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시대의 영상 아카이브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조소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recent advance of digital and IT has led to the radical changes in media environments. For example, film, broadcasting and video markets have been substituted for and are substituted for digital-based environments. Enormous digital moving images are produced and consumed through new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internet and IPTV. Digital information would possibly be reproduced without loss and damage. Besides, it is not affected by tangible media and can give an easy access to distribution through network anywhere. These features of digital information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to overcome some limits-loss and damage in length of time and from reproduction-analogue data had in the process of being permanently preserved. However, the strange phenomenon has happened that a recently surging number of digital information production triggers the rapid disposal and loss of the digital information. Also, no media, hardware or software exists that can reasonably assure long-term accessibility to digital assets. Unless we try to preserve digital information, this era might be considered 'forgotten civilization'. The entire world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moving image archives through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sponsorship, in order to hand down next generation of moving images, such as film, broadcasting and videos, under the perception of such moving images as valuable cultural heritages. Moving image archives are obliged to collect and gather safe digital images and inherit them to next generations. Digital take on the different forms in technological factors from analogue, and they take up the problems, such as very enormous production/ rapid disposal/ and the absence of long-term preservation technologies. These things pose not a few difficult tasks that archives have to solve. Thus, the aim of this research thesis is at considering effects of the digitaliz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environments of moving image archives, and at analyzing how moving image archives respond to such trend, and then at establishing new roles of moving image archives in digital environments. And, this thesis seek political/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strategy for moving image archives to adapt to digital environments and fulfill their duties and grow.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requires even more enormous cost than we imagine to preserve digital. Therefore, it needs to develop new business models capable of preserving digital without cease. Second, it is more important to make the careful judgements on contents worth while to be preserved, given that very enormous contents and information are overflowing in digital environments and it is impossible to collect and keep all of these factors. Also, the recent situations of the rapid disposal and loss of digital information require prompt measures to collect it. Third, we must remember that the preservation of digital moving images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preservation of film and video, and try to establish effective strategies to preserve digital moving images. Fourth, it is indispensable to establish the system which can manage and control digital archives systematically, so that a series of digital archives could be effectively performed. And, applying standardized technologies need to expand systems and maintain mutual operations. Fifth, organizational group should cooperate to raise problems surrounding digital preservation and access, and satisfy requests from moving image archives. Sixth, the choice of image formats and storage media depend on long durability of preservation and low cost. This is one of important matters, so low-priced standardized technologies must be applied to be used/ commercialized for a long time. Seventh, short durability of digital storage units means, in other words, that the added preservation strategies are required to preserve digital contents for a long time. As convertible media factors, 'Migration' and 'Emulation' are the strategies to be considered. Eighth, Digitization is desirable to convert to the best quality format to avoid trying again, considering that digital conversion requires tremendous cost and labor. Digital technology can serve to restore film heritages which disappeared. Ninth, it needs to establish and follow standardized meta-data necessary for linking and searching each organizational data. Tenth, the primary task of film archives is to preserve and maintain data. At the same time, they are obliged to give an access to the data has been preserved. Moving image archives ought to play a role as 'cinematheque provider' through online, which can attract the impatient audience to 'good films' at anytime and anywhere. Eleventh, one of the biggest obstacles to interrupt to make contents available is the copyright problem. This thesis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DB on copyright information and commission management business, in an effort to solve problems of copyright and reinforce available contents. Lastly, to gather effectively moving images, this suggested the right to replicate and collect non-profit online moving image contents announced to approach without any limit. As the accelerated media convergence makes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multi-media and causes media to be eliminated out of categories of archives, this research thesis suggested the necessity of archives for integrated moving image archives. 디지털과 정보기술의 발전은 미디어의 환경을 근본적으로 바꾸어놓았다. 필름, 방송, 비디오 시장 역시 디지털 기반 환경으로 바뀌었거나 이전 중이고, 인터넷, IPTV 등 새로운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해 방대한 양의 디지털 영상물들이 생산·소비되고 있다. 디지털정보는 화질 저하 없이 무한히 복제가 가능하고, 유형적인 매체에 얽매여 있지도 않아 네트워크를 통해 어디든지 손쉽게 배포가 가능하다. 디지털정보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아날로그 자료가 지닌 영구보존의 한계-시간 경과 및 복사에 따른 마멸, 훼손-를 극복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상 디지털정보의 생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급속한 폐기와 망실이라는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디지털정보의 장기 보존과 접근을 보장할 수 있는 어떠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도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디지털 보존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우리가 디지털 정보를 보존하는데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이 시대는 잊혀진 문명이라 불릴 지도 모를 일이다. 세계 각국은 필름, 방송, 비디오 등 영상물을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인식하고 소중히 보존하고 후대에 전승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또는 민간 차원에서 영상 아카이브를 설치 운영하여 왔다. 영상 아카이브는 디지털 시대에도 마찬가지로 디지털 영상물을 안전하게 수집보존하고 후대에게 전승할 임무를 가진다. 그런데, 디지털은 아날로그 영상물과는 기술적 기반이 매우 다를 뿐만 아니라, 방대한 생산과 급속한 폐기, 장기 보존기술의 부재 등 아카이브 기관에게 해결해야 할 적지 않은 어려운 과제를 던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영상물의 제작·유통 환경이 디지털로 변화함에 따라 영상 아카이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현재 국내외 영상 아카이브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디지털 환경 하에서의 영상 아카이브의 새로운 역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들 영상 아카이브가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고 그들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고 발전하기 위한 정책적, 기술적, 제도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보존에 요구되는 비용은 상상 외로 매우 크므로, 디지털 보존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디지털 환경 하에서는 너무나 방대한 콘텐츠와 정보가 쏟아지기 때문에 이들 모두를 수집하여 보관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보존 가치가 있는 콘텐츠에 대한 가치 판단이 더욱 중요해진다. 또한 디지털정보의 폐기와 망실이 급속한 속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집에 대한 조기 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디지털영상물을 보존하는 것이 필름, 비디오 등을 보존하는 것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고, 디지털영상물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보존 전략을 따로 수립하여야 한다. 넷째, 일련의 디지털 아카이브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수불가결하다. 시스템의 확장성 및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표준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다섯째, 디지털 보존과 접근에 대한 문제를 드러내고 영상 아카이브가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을 관철시키기 위해 조직적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보존할 영상포맷과 저장매체의 선택은 보존을 얼마나 오래도록 지속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가에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장기간 상용 가능하고, 비용효율적인 표준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일곱째, 디지털 저장장치의 짧은 수명은 디지털 콘텐츠의 장기보존을 위해 추가적인 보존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고려될 수 있는 전략은 매체이전(Migration)과 에뮬레이션(Emulation)이 있다. 여덟째, 디지털화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차후에 중복해서 디지털화 작업을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상의 품질과 포맷으로 추진해야 하고, 디지털 복원을 통해 사라진 영화 유산의 적극적인 회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기관 간 데이터 연계 및 통합검색을 위해 표준 메타데이터 규격을 마련하고 준수하여야 한다. 열째, 필름 아카이브의 일차적 의무는 그들이 관리하는 자료를 보존하는데 있으나, 더불어 보존한 자료들이 영속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접근을 제공할 의무를 지닌다. 영상 아카이브는 참을성 없는 디지털 시대의 관객들을 위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좋은 영화’에 접근할 수 있도록 온라인을 통한 시네마테크 활동을 시작하여야 한다. 열한째, 콘텐츠의 이용을 저해하는 가장 큰 걸림돌은 저작권 문제이다.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 영상자료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저작권정보DB구축 및 위탁관리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열둘째, 수집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비영리목적으로 제한없이 접근가능하도록 공표된 온라인영상콘텐츠에 대한 복사수집권한의 부여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매체 융합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매체 간 구분이 어려워지고, 아카이브 대상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모든 영상콘텐츠를 포괄할 수 있는 통합된 형태의 영상 전문 아카이브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이동된 격자 패턴을 사용한 어안렌즈 영상 교정 및 적응적 왜곡 보정

        김선영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에서는 렌즈의 방사형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새로운 어안렌즈 교정 알고리듬과 공간 적응적인 왜곡 보정, 점확산함수 데이터 셋을 이용한 영상 개선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듬은 영상의 중심에서 기준점까지의 거리를 다르게 하여 충분히 많은 점들을 생성할 수 있는 이동된 격자 패턴을 생성한다. 생성된 이상적인 이동된 격자 패턴 영상과 시뮬레이션 된 영상의 기준점들을 매칭하여 교정을 수행한다. 교정을 수행한 뒤 방사형 왜곡으로 인해 생기는 주변부 열화를 제거하기 위하여 방향성 보간법을 사용하여 영상을 보정한다. 보정된 영상에 점확산함수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영상을 개선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정확한 교정 데이터를 추정함으로써 어안렌즈를 정확하게 교정하고 방사형 왜곡을 보정한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기술은 디지털 줌 시스템, 감시 시스템, 후방용 카메라와 같이 어안렌즈를 사용하여 넓은 시야각을 필요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fisheye lens calibration method, spatially adaptive interpolation, and image enhancement using point spread function data set algorithm for correcting the radial distortion of the lens. The proposed calibration method uses a shifted lattice pattern (SLP) image that contains sufficiently many feature points with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image center. The calibration is performed by matching all the points in the simulated image and the corresponding points in the input original image. We correct the image using the proposed directionally adaptive interpolation to remove the peripheral degradation caused by the radial distortion. After correction, we enhance the image using point spread function data set. The proposed method can accurately calibrate the fisheye lens and restore the radial distortion without using complicated three-dimensional modeling. As a result, it can be applied to the various imaging systems using fisheye lens such as digital zooming, high resolution video surveillance, and vehicle rear view cameras.

      • 한국 참여 영상 문화의 형성과 특징 : 영상미디어운동을 중심으로

        김지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50671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social position of the ordinary people in regard to the visual media in light of the concept of participatory visual media culture. By participatory visual media culture, I refer to “a culture which emphasizes the cultural rights of th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communication and utilization of the visual media.” In particular, the term ‘participation’ claims the authority to take par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demanding more than mere access to the visual media. With this concept,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how the cultural rights of the people have been established, expanded and/or distorted in Korean society. Ultimately this is to ques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participation of the people and their social empowerment.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n the modern era have been a historical result of endless struggles. The same applies to the rights of the people toward the visual media. The empowerment of the people vis-a-vis the visual media doesn't emerge as an automatical outcom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Rather, it's a historical concept as the concrete struggles over social relations accumulate. Based on this problematics, this dissertation aims to reveal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articipatory visual media culture as it has emerged and developed in Korea since the 1980s. It also aims to search anew proper meanings and possibilities of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dissertation takes a mixture of methodologie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 and textual analysis to examine the governmental policies, the forms of media enterprises, technological environment, popular discourse, an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rajectories of visual media text by ordinary people since the 1980s. In chapter 3, this dissertation addresses how the concept of rights of th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visual media have been first formulated and practiced by the alternative media movements in the 1980s and later developed into governmental policies in the 2000s. The independent filmmakers began to appear in Korea during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of the 1980s using amateur film and analog home video technology. They were very critical of the clos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day and bravely stood up for their freedom of speech. However, the implications of their problematics didn't go very fa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ime such as technological (under-)development, popular (under-)consciousness and the oppressive political regime. They began to expand their problematics by learning from other countries’ alternative media movements and making connections with the media watch(or TV viewers’) movement in the mid 1990s. It was well into the late 1990s when the participation of the ordinary people in the visual media was approached as a matter of communication rights. The concept of civil rights which was developed along the growth of civil society movements during the 1990s began to be translated into the visual media field after the introduction of digital video camera.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visual media center MediACT in 2002, in particular, provided a critical opportunity for alternative media movements to strengthen theoretically as well as practically the yet idealistic and hypothetical agenda of the time. Since then, alternative media movements have been able to connect the problem of media access with the problem of social power relations. Through multifaceted activities of media education, social discussions and advocacy, they popularized the concept of participatory visual media culture, approach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civil rights and/or empowerment of the oppressed community. Chapter 4 pays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capital enters the realm of participatory visual media culture in the mid 2000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future media-communication rights of the people. As the basic access to the visual media is being provided by the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media industry, it is becoming ever-more important to demand for real democracy beyond formal democracy. For this, I suggest ‘the politics of subjectivity’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ites of ideological struggle for participatory visual media culture in the coming years. In this respect, I focused on three recent participatory film projects which explore alternative modes of filmmaking in the Korean independent cinema: “social production” in Newtown Culture Party(2011), “co-production” as a feminist way of filmmaking in Now It’s Time for Dance(2012-), and “fair cinema” of the cultural organization called <Theater for All>(2012-). I argue that these projects demonstrate meaningful experiments with constructing the active media “participant” in the transmedia age, as they aim at overcoming the rhetoric of the active media “user” touted by the dominant media apparatus that caters to the neoliberalism’s imperative to the “technologies of the self.” Chapter 5 explores the aesthetic accomplishment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visual media landscape in Korea as the ordinary people began to make visual media texts for more than 20 years now. Now the width of participatory visual media culture is expanding evermore to encompass highly professional filmmakers to complete novices across multiple visual media. However, the space of aesthetical criticism to evaluate the meanings of these artworks is very narrow. To find a proper way of approaching these media texts as artworks, this dissertation tries to avoid the binary opposition usually found in independent cinema criticism that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nguage of independent films and those of mainstream media. This approach fails to catch the diversity of participatory visual media texts. It is more worth noting how the authors of the participatory visual media culture appropriate the mainstream media's language for their own purpose and create a new aesthetical space beyond the boundary of mainstream media. Among many, this dissertation suggests ‘reciprocal camera’, ‘author as producer’, and ‘transmedia’ as some of the aesthetics of participatory visual media culture from the textual analysis of <Labor News> 1st edition(1989), <The Blossom of Youth?>(2009), <Old Partner>(2009), <Chancellor's Office Freedom>(2011), and <Two Doors>(2012). 본 논문은 관객 내지 수용자(audience)에서 이용자(user)로 변모해가고 있는 영상 매체에 대한 대중의 사회적 위치를 참여 영상 문화라는 문제 설정을 통해 포착해보고자 한다. 여기서 참여 영상 문화란 “영상 매체의 제작ㆍ배포ㆍ소통ㆍ활용 과정에 대한 대중의 참여 권리를 강조하는 문화”를 말한다. 특히 ‘참여(participation)’라는 용어는 영상 매체에 대한 단순한 ‘접근(access)’을 넘어 의사결정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사회적 위치를 의미한다. ‘참여 영상 문화’라는 문제설정을 통해 본 논문이 주요하게 살펴보고자 하는 바는 영상 매체에 대한 대중의 참여 권리가 한국이라는 구체적 시공간 속에서는 어떻게 정립, 확산 또는 굴절되어오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그것은 궁극적으로 대중의 활발한 영상 참여 문화가 대중의 권리 신장과는 어떠한 연관을 맺는지 밝히는 과정이기도 하다. 근대 사회에서 ‘인권’이라는 개념이 처절한 권리 투쟁 과정을 동반하여 형성되어 왔듯이 영상 매체에 대한 대중의 권리 신장의 문제 또한 영상 기술이 발전한다고 해서 저절로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그것은 사회적 권력 관계에 관한 구체적인 싸움의 결과들이 쌓이면서 이루어지는 누적적, 역사적 개념인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논문은 한국 사회에서 참여 영상 문화가 애초에 제기되던 역사적 맥락을 제대로 조명하고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서 ‘참여’의 진정한 의미와 가능성을 모색하는 실천들을 새롭게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1980년대 소형 필름 및 아날로그 홈비디오 기술을 이용해 등장하기 시작한 한국 영상미디어운동의 태동과정부터 한국 사회가 지식기반사회로 전환해온 현재까지의 시기를 연구 범위로 삼고, 이 시기 국가 정책, 미디어 기업들의 사업 형태, 기술적 환경, 대중 담론, 대중에 의한 영상 텍스트의 생산 및 배포 과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조사 방법은 문헌 조사와 면접 조사 그리고 텍스트 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3장에서는 대중의 매체 참여 권리 개념이 영상 분야에서 어떻게 대안미디어운동에 의해 먼저 형성, 실천되었고 국가 정책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1980년대 말 <상계동 올림픽>과 노동자뉴스제작단에 의해 형성되기 시작한 이 흐름은 1990년대 중반 해외 대안미디어운동 사례에 대한 학습과 당시 시민언론운동의 성장 등과 교류하며 문제의식을 발전시켜나가기 시작한다. 하지만 당시의 기술 환경과 사회적 인식 그리고 정치적 제약 때문에 이들의 문제의식은 독립영화 진영 내에서도 소수 의견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영상분야에서 대중의 매체 참여 문제가 확실히 어떤 ‘권리’ 개념을 가지고 접근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말 시민사회운동의 성장에서 형성된 시민권 개념이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도입과 같은 기술적 환경 변화와 맞물리면서 차츰 영상 분야로 그 개념이 번역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특히 2002년 공공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MediACT)의 설립은 당시만 하더라도 아직 많은 부분 관념적이고 가설적 차원에 머물러 있던 이 의제가 이후 이론적ㆍ실천적으로 강화되는 기회를 마련해준다. 대안미디어운동은 참여 영상 문화를 시민권이나 피지배계급의 공동체 임파워먼트(empowerment)와 같은 개념으로 접근하며, 영상 매체에 대한 계층별 접근성의 차이가 사회적 권력관계를 반영ㆍ재생산한다는 문제의식을 한국 사회에서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설득해냈다고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대중의 참여 영상 문화를 자본이 포섭하기 시작하는 시도가 2000년대 중반 이후 어떻게 본격화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것이 참여 영상 문화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던지는 함의는 무엇인지 도출한다. 영상 매체에 대한 기초적 접근성이 기술적, 산업적으로 해결되기 시작하면서 본 논문은 향후 참여 영상 문화의 중요한 논의 과제로 ‘주체성의 정치학’에 관한 싸움에 주목하고자 한다. 매체의 이용 접근성에 대한 장벽이 사라질 경우 결국 남게 되는 핵심적인 쟁점은 그러한 미디어 자원을 가지고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능동적 미디어 주체”에 대한 이데올로기 싸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장에서는 자본주의 기술발전이 참여 영상 문화의 발전에 던지는 긍정적 함의와 함께 자본의 질서를 내면화하는 순응적 주체 생산을 겨냥한 ‘자기의 테크놀로지’에 맞설 대안적 미디어 주체성으로 “능동적 미디어 참여자(participant)” 개념을 제시한다. 신자유주의에서 말하는 능동적 미디어 ‘이용자’가 아니라 참여 영상 문화에서 말하는 능동적 미디어 ‘참여자’란 주어진 매뉴얼대로 능숙하게 미디어를 이용하면서 권력(주류의 질서)을 내면화하는 신체들의 생산이 아니라 그러한 미디어 질서에 파열을 일으키고 미디어를 ‘새롭게 고쳐서 사용’하는 실천력을 보여주는 주체성을 의미한다. 그러한 비판적 주체의 위치는 ‘나 self’라는 ‘기호’에 대한 열정이 아니라 상호 교환의 과정, 응답 가능성의 복원을 찾아나가는 과정 속에서의 ‘나’이다. 이럴 때 ‘참여’는 그 온전한 의미를 회복해 나가게 된다. 본 논문은 또한 지난 20여 년간 영상 매체에 접근할 수 없었던 사람들이 영상을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일으킨 미학적 성과와 영상 문화의 지형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간이 흘러오면서 참여 영상의 폭도 매우 전문적인 제작 수준에서부터 매우 초보적인 제작 수준에 이르기까지 점차 넓어지고 있는데 비해 이들의 미학적 시도를 조명하고 짚어줄 수 있는 비평적 공간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아직 참여 영상물에 대한 비평 문화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본 논문은 이 영상들의 다양성에 접근하기 위해 주류미디어에서 사용하는 영상 언어와의 차이점보다는 어떻게 이들이 주류미디어의 언어를 차용하면서도 그와는 다른 미학적 공간을 만들어나가는지, 그러면서 주류미디어의 한계를 우회하고 한국 영상 문화의 미학적 공간을 전체적으로 넓혀내고 있는지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이들이 일구어낸 다양한 미학적 성과 중 본 논문은 <노동자뉴스> 1호(1989), <개청춘>(2009), <워낭소리>(2009), <총장실 프리덤>(2011), <두개의 문>(2012)을 분석하며 ‘상호적인 카메라’, ‘생산자로서의 작가’, ‘미디어의 탈경계’를 짚어보았다.

      • 단일 카메라 영상 기반 이동 객체의 위치 및 높이 추정에 관한 연구

        박상욱 中央大學校 尖端映像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50671

        비디오 카메라의 일반화로 인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영상정보 처리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중 Video Surveillance 를 통한 영상 감시산업은 그 중요도가 날로 높아가고 있다. 영상 감시시스템은 영상내의 객체를 인식한 후 객체 추적, 분석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객체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범죄자 추적, 시설물 보호, BI(Business Intelligence)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2차원 영상 중심으로 연구가 추진되었으나 최근 멀티 카메라를 통한 3차원 영상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감시시스템에서 주요 탐지 대상이 되는 사람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 추출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영상 내 사람의 정보는 키, 이동 경로, 옷, 걸음걸이 등 다양하지만 정보 추출의 용이성과 실시간성을 위하여 키와 이동 경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 보급되어 있는 CCTV 네트워크 시스템을 고려하여 기존 시스템에 추가 장비 설치 없이 간단히 알고리즘 탑재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단일 카메라 기반의 역 투영 방식을 이용하여 직관적이며 실시간으로 키와 이동 경로를 동시에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내 외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의 실효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영상 감시시스템에의 객체 정보 추출에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est in characterizing and extracting 3D information from video sequences for object tracking and identification. To stabilize the society and improve the community, the information of object will be used in many areas, such as video surveillance and monitoring the socie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ngle view-based object information extraction framework for robust estimation of height and position. In this work, 2D features of a target object is back-projected into the 3D scene space where its coordinate system is given by a rectangular marker. Then the position and height are estimated in the 3D scene space. In addition, geometric error caused by an inaccurate projective mapping is corrected by using geometric constraints provided by the marker. In this paper, we use homography method to compensate the error. The proposed framework is entirely non-iterative, and therefore is very fast. As the proposed framework uses a single camera, it can be directly embedded into conventional monocular camera-based surveillance /security systems. The accuracy and robustness of the proposed technique are verifi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several real video sequences taken from outdoor environments.

      • 사용자 관심 영역 추정 알고리즘 기반의 저지연 360 VR 스트리밍 시스템 설계

        최민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In the 360 VR streaming service field, the recent growth of demand in high quality 360 VR video streaming is observed due to the technical improvement of 360VR video content creation technology and high-speed network. However, higher bandwidth is required for high resolution video services. Low bandwidth conditions can cause motion sickness and lack of immersiveness to users. In this paper, low latency 360 VR streaming system based on user's ROI estimation algorithm is suggested which is consists of 360 VR streaming protocol based on Tiled CMAF Chunk, User’s ROI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device pose information and low latency streaming algorithm based on simulcast rendering. User’s ROI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device pose information minimizes switching latency by estimating user’s ROI based on past and present device pose information and caching videos. 360 VR streaming protocol based on Tiled CMAF Chunk, which is a streaming technology of splitting video segments into CMAF Chunk units, minimizes streaming latency with low latency streaming algorithm based on simulcast rendering. From the experiment, a low delay 360 VR streaming system based on the user's ROI estimation algorithm shows equivalent bandwidth performance and improves the performance by 46% in switching latency and 28% in streaming latency compared to 360 VR streaming system based on MPEG-DASH SRD. 360 VR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360 VR 영상 콘텐츠 제작기술과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하여 고품질의 360 VR 영상 스트리밍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영상의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영상을 스트리밍 하기 위해 많은 대역폭을 요구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몰임감의 저하와 멀미감 현상을 느낄 수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 관심 영역 추정 알고리즘 기반의 저지연 360 VR 스트리밍 시스템을 제안하고 핵심 기술인 Tiled CMAF Chunk 기반의 360 VR 스트리밍 프로토콜, 디바이스 포즈 정보 기반의 관심 영역 추정 알고리즘, 시뮬캐스트 렌더링 기반의 저지연 스트리밍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디바이스 포즈 정보 기반의 관심 영역 추정 알고리즘은 과거와 현재의 디바이스 포즈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추정하고, 영상을 캐싱하여 관심 영역 스위칭 지연시간을 최소화한다. Tiled CMAF Chunk 기반의 360 VR 스트리밍 프로토콜은 영상 세그먼트를 CMAF Chunk 단위로 쪼개어 스트리밍 하는 기술로, 영상을 저품질 영상과 고품질 타일 영상을 렌더링하는 시뮬캐스트 렌더링 기반의 저지연 스트리밍 알고리즘과 같이 스트리밍 지연시간을 최소화한다. 제안하는 사용자 관심 영역 추정 알고리즘 기반의 저지연 360 VR 스트리밍 시스템은 MPEG-DASH SRD 기반의 360 VR 스트리밍 시스템과 비교실험을 통하여 동등한 수준의 대역폭 성능을 보이면서 약 46%의 스위칭 지연시간 성능향상과 약 28%의 스트리밍 지연시간 성능향상을 검증하였다.

      • 파노라마 영상 생성을 위한 효율적인 Homography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서상원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 영상에서 호모그래피를 효율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호모그래피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영상 정합 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하드웨어의 급속한 발전으로 고해상도 영상을 쉽게 취득 할 수 있게 되었지만, 데이터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정확한 일치관계를 추정하는데 많은 계산량이 요구되었다. 또한, 고해상도의 영상에서 확률적으로 부정확한 호모그래피가 추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원 영상을 각 스케일별로 다운 샘플링한 다수의 영상을 생성하여 각 다운 샘플링된 영상에 해당하는 호모그래피를 추정한 후 투영 오차가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하여 원 영상에 적용할 수 있게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영상을 정합하는 과정에서 기준 영상과 대상 영상의 색상 톤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중첩영역의 지역 정보만을 이용하여 기준 영상과 대상 영상의 색상 톤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3.2M 픽셀의 해상도 영상에서 약 3배, 8M 픽셀의 해상도 영상에서 약 5배 이상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커질수록 제안한 방법의 효과가 더 커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An efficient homography estimation method for large sized images is proposed. Estimating an accurate homograph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image stitching processes. Since hardwares have been advanced, it has been passible to take higher resolution images. However, computational cost for estimating homography has been also increased. Specifically, when too many features exist in the images, it requires lots of computations to estimate a correct homography. Furthermor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obtaining an incorrect homography. Therefore, we propose a numerical method to extract the appropriate correspondences from several down-scaled images to estimate and compensate the homography numerically for restoring an original homography. Also, if there is an unbalance in color tone between the reference and the target images, we make them balanced by using local information of the overlapped regio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roposed method is three times faster in 3.2 mega pixel images, five times faster in 8mega pixel images than the conventional approach.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 useful tool to efficiently estimate a homography.

      • 배경 업데이트와 서포터를 이용한 카메라의 움직임에 강인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이정현 中央大學校 尖端映像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기존 고정 카메라 기반의 지능형 감시 시스템의 경우 배경 영상과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객체 추적, 버려진 물체 검출 등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 때, 카메라의 모션이 발생할 경우 입력 영상의 전역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실제 이동하지 않는 객체를 오검출 하거나 배경 생성의 시간 초기화 등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의 전역적인 움직임 발생과 입력 영상의 변화된 정도를 판단하여 이를 이전에 생성된 배경 영상과 왜곡된 입력 영상 간에 적응적으로 어파인 변환 및 정합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배경 영상의 변화된 부분을 보정한다. 또한, 버려진 물체가 검출된 시점부터 물체 주변 배경 영상 내에서 강인한 특징점을 검출하고 그것을 버려진 물체의 중심부와 연결하여 서포터를 생성한다. 이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객체에 의해 가림현상이 일어나도 서포터에 의해 시각적으로 강건하게 버려진 물체를 검출 및 감시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업데이트된 배경 영상과 서포터를 이용하여 이동 객체의 오검출율을 낮추고 버려진 물체와 이동 객체를 검출하여 지속적으로 감시를 수행한다. Existing stable camera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is perform object tracking, object detection using input image and background image. But, camera motion occurred that can cause input image has global motion change and performance degradation because wrong object detection and initialized background generation time. In this paper decision to global camera motion and distortion of input image and affine transform and image registration for compensation of background image using previously generated background image and distortion input image. Robust feature detection within background image around objects and connect to object center and feature for supporter generation when abandoned object detection. Proposed algorithm can robust abandoned object detection visually when covered moving object. The proposed method can moving object detection more accuracy and continuously surveillance abandoned object using updated background and supporters.

      • 단일 영상의 파라미터 추정을 통한 초해상도(Super-resolution)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ingle Image Super Resolution through Parameter Estimation

        한윤상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50671

        Although high resolution images are easily taken by us nowadays, demands for higher resolution images have been continuing. However, it is known that image sensor technology such as CMOS and CCD has almost reached its limitation. Super resolution technique tries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soft ware with low price. Super resolution technique is divided into multi-image super resolution, which estimates a high resolution image from more than one image, and single image super resolution which estimates high resolution from single input image.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a single super resolution using parameter estimation via low resolution generation process from unknown high resolution image.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hree main steps, parameter estimation, correction, and refinement. In the initial enhancement via parameter estimation step, initial enhancement using parameters estimated via characteristics of low resolution generation system from input is performed. Next, in the image correction via parameter correction step, parameter correction using on-line training is performed and a flag image is estimated for avoiding error propagation in the next step. Fi-nally, constrained iterative back-projection for reducing back projection error trough trained data is performed in the refinement step.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posed algorithm has lesser limitation for image acquisi-tion due to using single image comparing with multi-image super resolution. Second, the proposed algorithm does not require any other parameters from other data by estimating parameter from input data. Third, the proposed algorithm generates natural images via effective back-projection algorithm. Fourth, rare artifact is generated via constraint where in where artifact may be generated. In order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quan-titative measures were defined in terms of the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and structural similarity (SSI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store better than compared state-of-the-art methods. Especially, when Cartoon image is used for super resolution, the increase of PSNR was considerable. According to experiment, the PSNR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1dB and 2.25dB then compared the state-of-the-art methods.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extended into all fields where digital images are used. Therefore, we believe that it can be a useful tool for the fields where costs may increase when multi-images are used, or when there is limitation to take multi-images. Further work will be focused on artifact free interpolation for super res-olution. 디지털영상 취득 시스템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고품질의 영상을 손쉽게 취득할 수 있게 되었지만 보다 많은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영상품질 향상은 현대인에게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하지만, 하드웨어 발전은 지난 수십 년간의 발전에 비해 더디고 CCD나 CMOS의 발전은 한계를 갖고 있으며 이 한계에 거의 닿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의 한계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소프트웨어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초 해상도 기술이다. 초 해상도 기술은 여러 입력영상으로부터 고해상도의 영상을 추정하는 다중영상 초 해상도 (Multi-image super resolution) 및 단일 입력영상으로부터 고해상도의 영상을 추정하는 단일 영상 초 해상도 (Single image super resolution)방법으로 나뉜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입력영상의 효율적인 파라미터를 통한 초 해상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알지 못하는 고해상도 영상으로부터 입력영상인 저해상도 영상이 생성되는 원리를 통해 파라미터를 추정하고 초기 영상을 생성하는 “파라미터 추정을 통한 초기 영상 생성” 단계, 추정된 파라미터의 효율적인 온라인 훈련을 통해 추정된 초기 영상을 수정하고 다음 단계에서의 오차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플래그(Flag) 영상을 생성하는 “파라미터 추정을 통한 영상 수정” 단계 및 복원된 영상과 입력영상간의 오차를 통해 영상을 수정하는 “정제” 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제안된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다중 영상방법과 비교하여 단일 영상만을 사용함으로써 영상취득의 제약을 적게 받는다. 둘째,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모든 파라미터를 단일 입력영상에서 추정함으로써 별도의 입력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셋째, 추정된 영상과 입력영상의 효율적인 역사영(Back-projection)방법을 통해 자연스러운 영상을 생성한다. 넷째, 초해상도 영상을 추정할 때 아티팩트가 생성될 수 있는 영역의 역사영을 제안함으로써 아티팩트 생성을 억제한다. 제안된 방법은 최근 가장 좋은 결과를 보인다고 알려진 방법들과의 PSNR 및 SSIM 비교를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기존의 가장 좋은 결과를 보인다고 알려진 J. Yang, C. Yang 및 Kim의 방법과의 비교에서 비슷하거나 더 나은 PSNR 향상결과를 보였다. 제안된 방법은 고해상도의 영상을 필요로 하는 디지털 영상기기 및 디지털 영상을 사용하는 모든 분야로 확장이 가능하며 특히, 디지털 TV 및 모바일 기기와 같이 다중 영상의 사용이 비용을 많이 발생시키거나 취득에 제한을 받는 분야에서의 적용이 용이하다.

      •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의 이미지 구성에서 나타나는 영상 특성 : 서울스퀘어의 콘텐츠와 작품 ‘Not-Other’을 중심으로

        이유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활용이 건축물의 외벽으로까지 확장된 형태인 미디어 파사드의 영상 콘텐츠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영상시대를 맞이하여 이전의 어느 때보다도 영상 이미지의 역할이 우리의 생활양식과 의식 속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에 비해 영상 이미지가 현대사회에서 갖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영상 이미지를 깊이 있게 읽기 위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미디어 파사드의 영상 콘텐츠의 경우, 그 영상이 건축물의 외벽을 통해 공공공간에 노출된다는 점에서 영상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 연구는 판단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의 이미지 구성에서 나타나는 영상 특성을 도출하기위해 기존 영상 콘텐츠들과 비교하여 구분되는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미지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미디어에 따른 이미지 수용 방식의 변화를 기술하고, 영상의 이미지 구성 요소를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된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기존 동영상 콘텐츠의 이미지 구성을 분석하였다. 사례 조사 대상으로는 서울 스퀘어의 정규 콘텐츠 7개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앞에서 분류한 영상의 이미지 구성 요소에 따라, 서울 스퀘어의 정규 콘텐츠와 기존 동영상 콘텐츠 간의 비교를 통해 유사정도를 표기하였다. 비교 결과를 통해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만의 이미지 구성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의 영상 특성 또한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는‘등장 요소’와 ‘배경 요소’, ‘프레임 요소’를 통한 간결한 묘사와 ‘연결 요소’에 의한 단편적인 서사구조, 그리고 기존 동영상 콘텐츠에 비해 다소 느린 ‘속도 요소’ 를 통해, 그 이미지가 공공에게 쉽게 읽혀지며 변수가 많은 주변 경관과 잘 어우러지는 영상 특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통해 도출된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의 이미지 구성 특성을 반영한 연구자의 작품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결론 및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 제시뿐만 아니라, 컴퓨터 기반의 업무 체계 및 스마트 폰의 활용 등으로 영상의 영향력이 광범위해진 영상시대에서 적절한 영상 읽기 및 활용을 위한 연구에 대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image contents of media facade, a form of image expansion to the outer wall of buildings. In the current age of images, the role of visual image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in our everyday lifestyles and consciousness. Although its significance increased all the more in modern society, studies to understand the visual images deeply have not been actively carried out yet. On this account, the author thought an in-depth study of images is necessary from the aspect of its exposure to the outer wall of buildings and in relation to the image contents of media facade. In this vein, the characteristic of image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mage contents was comparatively examined, in order to work out the characteristic of images presented in the composition of images of media facade contents. For this, the change of methods of media-oriented image acceptance was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f media concept and then the components of visual images were classified. In addition, based on the classified components, the image composition of the existing video contents was analyzed. As study subjects, seven regular contents of Seoul Square were sampled and examin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visual images, classified in the above, the regular contents of Seoul Square were compared to the existing video contents, thus indica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And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son,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image composition of media facade contents was drawn and then based on this unique characteristic, the image characteristic of media facade contents was worked out as well.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Media facade contents had such image characteristics as being easily read by the public and well harmonizing with landscapes around, which had many variables, via its simple description on the basis of 'staging elements', 'setting elements' and 'frame elements', linking element-oriented fragmental structure of description, and a little slower 'speed elements' comparing to the existing video contents. Finally, via the outcome of the author's work that was reflected on the characteristic of image composition of media facade contents, drawn in this study, the conclusion and validity of this study were examined. Study findings seem to provide a classified direction to media facade contents as well as to the study on the proper reading and utilizing of images in the age of images, in which the influence of images is broadened due to computer-based business systems and the use of smart phone.

      • 단편영화 〈앞〉 제작보고서 : 연출을 중심으로

        Jing, Yuchen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단편영화 <앞>은 필자가 2020년에 완성한 작품이자 필자의 졸업작품으로 필자가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공부한 결과물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필자는 꿈을 좇는 한 젊은이의 시각으로, 한편으로는 필자 자신의 내면 갈등과 필자 자신의 인생 결정을 보여주고자 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인터넷 시대에 영상 작품이 어떻게 창작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보여주고자 했다. 필자는 마음으로부터 꿈이 가치가 있다지만 또한 꿈은 실현되지 않을 확률이 크다고 믿는다. 특히 이 세상의 많은 사람에게 꿈은 아득한 것이 될 때가 많다. 하지만 생각을 바꾸면, 꿈이 쉽게 이루어진다면 꿈은 너무 싼 것이다. 필자는 이런 생각을 가지고 징유천이라는 인물을 창조하고, 그가 보기에 매우 믿음직스럽지 않은 꿈을 좇게 하고, 징유천이 어려움 앞에서 흔들리게 하고, 마지막에 깨달았다. 자신 노력은 가치가 있는지 의심하지 말고 자신의 노력의 길이 옳은지 의심하지 말라. 왜냐하면 "어디로 가든 앞"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번 촬영에서, 필자는 원래 자신이 다년간의 학습으로 이번 단편 영화를 잘 완성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었지만, 사실은 필자가 여전히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특히 분위기 조성에 있어서, 엑스트라로 분위기를 조성해야 하는 장면에서, 필자의 엑스트라에 대한 지도에서의 부재는 최종적인 효과의 구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배우와 카메라의 호흡 면에서 필자는 배우의 스케줄을 잘 짜지 못하였고 게다가 코로나 사태의 영향으로 촬영 주기가 정말 빠듯했다. 필자는 많은 것을 잘 고려하지 못했다. 필자는 디테일이 어떻게 성패를 결정하는지를 행동으로 증명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 필자는 결국 이 영화를 완성하였다. 필자는 촬영하는 동안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깨달았지만, 필자는 무리수를 두며 끝까지 촬영을 끝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필자는 단편영화 속 주인공 징유천과 마찬가지로 밀란 쿤데라의 그 대사의 진정한 의미를 실감하게 된다. 즉 "어디로 가든 앞"이라는 것이다. 노력의 가치가 있는지를 주저하지 말고, 앞의 길이 올바른지 의심하지 말고 열심히 가라." 어디로 가든 앞"이기 때문이다. The short film <MOVE ON> is completed in 2020, and it’s also the author‘s graduation work. It is a concentrated display of the my learning achievements in the Advanced Imaging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The author tried to use the perspective of a young dream chaser to show the my own inner entanglement and my own life decisions,.on the other hand, the author also wants to show the my views on how to create video works in such a network age. The author believe dreams are valuable, and dreams will not be realized with a high probability. Especially for all the living beings in this world, dreams are more often an out-of-reach thing. But in another way, if dreams can be easily realized, wouldn't they be too cheap? With this idea, the authorcreated a character Chen Youtian, and let him to chase a dream that seemed unreliable. so that Chen Youtian was shaken in the face of difficulties, and finally understood, don’t doubt whether your efforts are worthwhile, don’t doubt yourself. The path you work hard for is correct, because "where we go, we always go forward." In this filming, the author originally believed that with my years of learning and practice, the author could successfully complete the shooting of this short film. However, it turns out that the author still has a lot of shortcomings, especially in the atmosphere. In terms of construction, in scenes that require group performances to create an atmosphere, the author’s lack of group performance guidance has largely affected the presentation of the final effect. In terms of the cooperation between actors and cameras, the author have not done well. the author‘s scheduling is arranged, and the filming cycle is really tight due to the impact of the epidemic, and the author have not considered many things. The author use actual actions to prove how the details determine success or failure. However, the author is gratified that, despite all the difficulties, The author finally insisted on completing the film. Although the author was aware of various problems during the shooting process, the author still insisted on finishing the filming. In the process, the author, like the protagonist Chen Youtian in the short film, truly understands the true meaning of Milan Kundera’s line, that is, "Wherever you go is to go forward." Don’t hesitate to pay, and don’t doubt whether the road ahead is correct. , Go hard, because "wherever you go, you always go for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