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계적 선형 모형(HLM)을 이용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 관련 변인 탐색

        변선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0799

        21세기 지식정보화 및 고도의 과학기술사회를 맞이하면서 수학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은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발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수학적 성향은 많은 인간의 발달과 마찬가지로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에 모두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수학적 성향은 유아의 개인내 발달 특성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나 가정의 수학교육환경, 유아교육기관에서 만나는 교사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 모형(HLM)을 이용하여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유아수준 변인인 성별, 월령, 수학지식,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가정수학교육환경과 교사수준 변인인 교사의 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교수효능감의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대한 주 효과 및 두 수준의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수준 변인(성별, 월령, 수학지식,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가정수학교육환경)은 수학적 성향에 주 효과를 갖는가? 2. 교사수준 변인(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교수효능감)은 수학적 성향에 주 효과를 갖는가? 3. 유아수준 변인(성별, 월령, 수학지식,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가정수학교육환경)과 교사수준 변인(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교수효능감)은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공·사립 유치원 만 5세반 학급의 유아 246명과 이들의 어머니 246명, 그리고 담임교사 23명이다. 연구 도구를 살펴보면, 종속 변인인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윤세은(2011)이 개발한 수학적 성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수준 독립 변인 중 수학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황해익과 최혜진(2007)이 개발한 유아 그림수학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측정을 위해서는 Smith(2000)가 개발한 수학적 태도 측정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어머니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가정수학교육환경은 강상(2012)이 개발하고 최보미(2013)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교사수준 독립 변인 중 교사의 수학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Smith(2000)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은 홍희주(2012)가 개발한 도구를, 수학교수효능감은 Luo(2000)가 개발하고 정정희(2001)가 수정·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 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초 모형 분석을 통해 유아들의 수학적 성향이 학급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뒤, 연구 모형 1 분석을 통해 유아수준 변인의 주 효과를, 연구 모형 2 분석을 통해 교사수준 변인의 주 효과를 살펴보고, 연구 모형 3 분석을 통해 유아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성향 관련 유아수준 변인의 주 효과를 살펴보면, 월령과 수학지식만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주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령은 유아의 수학적 성향 전체와 융통성, 자신감, 지속성, 자기점검, 적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흥미성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지식은 수학적 성향 전체와 하위 구성요소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학적 성향 관련 교사수준 변인의 주 효과를 살펴보면, 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중 융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융통성을 제외한 다른 하위 구성요소와 수학적 성향 전체에서는 교사의 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교수효능감 모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수학적 성향 관련 유아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유아의 성별과 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 간 상호작용, 그리고 유아의 수학지식과 교사의 수학적 태도 간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중 자기점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유아의 수학적 성향 전체와 하위 구성요소는 유아가 가지고 있는 개인 변인의 차이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융통성과 자기점검과 같은 일부 하위 구성요소는 교사수준 변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거나 유아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유아 대상 영재 교육 기관의 프로그램 사례 연구

        김명하 중앙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대상 영재 교육 기관의 운영 사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유아 영재 교육 기관인 가, 나, 다, 라 영재 교육원의 유아 영재 선발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연구 문제 2: 유아 영재 교육 기관인 가, 나, 다, 라 영재 교육원의 유아 영재 교육 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연구 문제 3: 유아 영재 교육 기관인 가, 나, 다, 라 영재 교육원의 유아 영재 교사 자격과 교사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가, 나, 다, 라 네 곳의 유아 영재 연구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대상 영재 교육 기관의 운영 사례를 살펴보기 위하여, 유아 영재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의 연구 논문과 단행본, 관계 법규, 정부 간행물, 그리고 영재교육 기관의 간행물, 인터넷 자료, 기관 방문, 기관 교사 인터뷰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아 영재 교육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유아 영재 선발, 유아 영재 교육 과정, 유아 영재 교사를 분석기준으로 하여 이론적 고찰은 물론 한국의 현행 유아 영재 교육 기관을 살펴 보았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기관의 유아 영재 선발과정은 지능검사와 창의성 검사, 그리고 영재 특성 체크리스트가 공통적으로 이루어지며, 추천 단계, 검사 단계, 상담의 단계, 프로그램 적응의 단계를 통해 유아 영재를 선발한다. 이처럼 선발 과정에서는 지능 검사 결과가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나, 창의성, 수, 언어 등 어느 한 방면에서 뛰어난 아동은 여러 교사들의 관찰 하에 선발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 기관에서는 유아 연령에 따른 진급 시 재검사를 함으로써, 유아의 영재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각 기관의 유아 영재 교육 과정은 대상 유아의 연령, 교육 시간, 교육 내용,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알아보았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상 연령은 라 영재 연구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만 3세에서 4세의 시기부터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하고 있었으며, 라 영재 연구원의 경우, 좀 더 어린 연령에서부터 교육이 시작된다. 교육 시간은 유치원 형태로 운영되는 나 영재 연구원을 제외하고는 주 1회 2시간 교육이 이루어졌다. 교육내용에서는 4기관 모두 사고력, 수학, 과학, 창의성을 공통으로 교육하고 있었다. 교육방법은 4기관 모두 지적 능력이 유사한 아동끼리 소집단을 이루며, 집단 토론을 통해 해결 과정을 논리적으로 추론, 유추해내고, 다른 사람들의 독창성과 논리를 수용하는 태도를 육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각 기관의 유아 영재 교사는 학사 또는 석사 학위 이상의 학위 소지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전공 역시 유아 교육학부터 수학, 과학, 언어 등의 프로그램 각 영역과 관련된 전문가로 구성된다. 교사 연수는 각 기관마다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공통적으로 기관의 초임교사는 기관의 해당 프로그램이나 영재 교육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기초 교육을 이수한다. 또한 해당 기관의 교사 뿐만 아니라, 일정한 자격 조건을 갖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 연수도 나 영재 연구원과 다 영재 연구원을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다.

      • 기독교적 관점에 기초한 J.A. Comenius의 유아교육론

        조래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50783

        코메니우스(John Amos Comenius, 1592-1670)는 敎育史상 근대교육의 선구자로 불리는 교육학자이며 교육운동가였다. 신학자, 철학자이기도 한그는 체코인이며 모라비아형제단의 지도자로서 30년 전쟁을 겪으며 민족적인 수난을 겪었다. 유랑하는 가운데서도 그는 학교를 세워 올바른 교육 방법을 제창하고 실시하는 교육 활동을 하면서 200권 이상의 책과 논문을 썼다. 그는 유아기를 가장 중요한 교육 기간으로 보았다. 그의 유아기 교육내용이 대표적인 저서 『대교수학』과 『범교육학』속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진다. 단권으로는 『유아학교』를 저술하여 부모교육서로 제공하였다. 코메니우스는 유아교육의 목적을 신앙적, 도덕적, 지적 목적에 두었다. 그중 신앙적 목적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그의 유아교육내용은 건강교육, 신앙교육, 도덕교육, 지식교육으로 분류된다. 그가 신앙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 이유는 기독교구원관과 종말론에 관련하여 인간을 내세에서 영원히 사는 존재로 보았기 때문이었다. 성격교육으로도 불리는덕성교육은 조화롭고 인간다운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함이며, 선행으로써종말에 상급을 받을 수 있는 요인이다. 또한 지식교육은 인간이 창조의 세계를 정복하고 다스리는 원리를 갖는다. 그는 인생을 학교 생활에 비유하였다. 그리하여 유아기 학교, 아동기학교, 소년기 학교, 청년기 학교, 성인기 학교, 노인기 학교, 사망 학교로 분류하고 평생교육을 주창하였다. 전체 교육내용에서 기본적인 주제는 같으나 각 단계의 난이도를 달리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학습 방법은 쉬운 것에서 점차 어려운 것, 보편적인 것에서 점차 특수한 것을 배우는 발달 단계 의미를 갖는다. 그는 인간은 교육을 통하여 완전하게 되어간다고 하였다. 유아를 교육할 때, 흥미를 유발시키며 자발적인 학습을 하도록 했다. 놀이하면서 재미있게 배우도록 했다. 교수 원리로는 개별화 원리, 다양성의 원리, 진보성의 원리, 발달의 원리, 놀이 원리, 또래 원리 등이 있다. 그는 감각을 중요한 교육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그림이 들어 있는 라틴어 학습 사전을 편찬하였는데 이는 그림과 글자를 대응시키는 시각적 교육방법이다. 오늘날 일반교육현장에서는 열린교육 등의 형태로 코메니우스의 아동중심적, 과학적 방법의 학습 이론이 실시되고 있다. 자녀를 부모의 대리만족 수단으로 여기는 오늘날 코메니우스의 아동중심교육관은 건전한 교육 풍토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의 기독교세계관에 비출 때, 일반교육의 목적은 창조세계의 원리를 발견하여 정복하고 다스리는 사명을 다하는 데 있다. 따라서 일반교육현장에서 사용하는 코메니우스의 교육원리는 근원에 있어 기독교적 관점에의한 것이다. 이는 일반교육과 기독교교육은 교육철학상 분리되지 않는, 동일선상에 위치한 의미를 갖는다. 유아기독교교육을 위해 부모와 교사는 먼저 자신들의 신앙을 확고하게 정립해야 한다. 하나님은 어떤 분이시며, 이 세상의 유래와 의미는 무엇인가? 인간은 누구이며 무슨 목적으로 사는가? 그리고 인간의 삶은 어디까지인가? 내세에 우리는 어디에서 사는가? 등 기독교적 진리를 알고유아에게 가르쳐야 한다. 코메니우스에게 있어 교육은 인간에게 필수적인 사항으로 성경의 달란트 비유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즉 그는 부모가 하나님께 자녀를 받은 것은 종이 주인에게 달란트를 받은 것과 같은 의미로 보고 상급과 저주의 대가를 결부시켰다. 또한 부모는 자녀 교육을 위한 희생제물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자녀를 잘 교육시켜 하나님께 바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그에게 있어 교육적 목적은 곧 신앙적 목적에 귀결된다. 교육으로써 인간은 인간되어 가며 구원받고 행복한 삶을 살며 인간의 본분을 다한다. 그리고 영원히 행복하게 산다. 자연법칙이 나타내듯이 교육은 어릴 때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낸다. 나무가 모양을 잡는 것은 어릴 때이며 밀랍이 굳은 후에는 변형이 어렵기 때문이다. 좋은 신앙, 좋은 습관, 현명한 판단이 어릴 때에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어머니의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어머니가 교육에 전념할 수 없거나 역부족일 때는 교사를 채용하거나 유아교육 기관에 보내어 훌륭한 교육을 받도록 한다. 유아교육의 책임자는 분명히 부모이다. 그러므로 부모는 각 가정에서 자녀를 잘교육시켜야 하고 기독교인 교사는 교회와 일반 교육 기관에서 유아를 신앙, 덕성, 지적으로 잘 교육해야 한다. 교사를 비롯한 전문유아교육자들은 부모들이 이러한 사실을 알고 각 가정에서 자녀를 바른 방법으로 잘교육시키도록 부모교육에 힘써야 한다. 건강과 신앙과 덕성과 지식의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교육이 기독교 가정이과 교회, 그리고 일반교육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교회에서의 코메니우스 교육론의 적극적인 도입은 유용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자는 코메니우스의 교육론은 기독교교육자들이 동시대적 방법으로 프로그램화하여 보급할 가치가 있음을 밝힌다. Comenius was a Czech who lived during the Thirty Years War, and suffered hardship as a refugee. While advocating sound educational methods and activities through building school while he was a refugee, he wrote more than 200 volumes of treatises and books. Among them,『The School of Infancy』was designed for infant education which he considered most important. Comenius's Infant Education contains a Christian purpose, moral purpose, and on intellectual purpose. The Christian purpose is taken as the primary one. His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is classified into health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moral education and knowledge education. he considered religious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one due to man's eternal living in the future life. Therefor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which is based on believing in Jesus and being saved by faith had to be the preferred educational contents. Moral education which is also called personality education is for living a harmonious and decent life, and is a factor that brings a reward through good deeds in the end. Comenius saw life as school life, so he classified life into infant school, childhood school, boyhood school, adolescent school, adult life school, old man school and death school, and advocated lifelong education. The basic subject in each part is the same but the degree of difficulty at each level is different. As regards learning method, learning has its own developing stages, moving from easy things to difficult ones and from universal things to special ones. Comenius asserted that man could become perfect through education. When educating infants, he provoked an interest, and let them learn voluntarily. He guided them to play and learn though fun. He thought infants' sense education was important. Teaching principles include the principle of particularization, the principle of variety, the principle of progress, the principle of development, the play principle, the age principle and others. Comenius compiled the pictorial Latin language learner's dictionary for the first time. This was designed to get the effect of optical education by connecting picture and word. Comenius' child-centered educational perspective will be helpful in creating a sound educational climate especially in these days when parents take their children as the means for their proxy satisfaction. Today in the field of general education Comenius' child-centered learning theory is enforced in the form of open education or some other forms. Comenius's educational theory may have to be used in church. It seems to be desirable for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ors to apply Comenius' theory because his educational theory originally was based on the Christian world view. It means that general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are on the same line when they are viewed through educational philosophy and cannot be separated. Parents and teachers should have their own faith and christianity themselves. Who is God? How was the world created? And what is the purpose of it? What is a human being and what is the purpose of existence? And where is the last destination of human life? Where shall we live in the future life? We should learn the truth of Christianity and also teach it to our children. This is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 is essential. Comenius considered parents' receiving children from God the same as a servant's receiving talents from his master. He even said that imprecation would be upon them, if they neglect educating their children. And he said parents should be sacrifice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y should give their children to God by educating them well. Therefore, educational purpose ends in religious purpose. Through education, a human being becomes a real person, lives a happy life and does his or her duty, and lives happily ever after. As shown in the natural law, the educational effect is highest in babyhood. A tree has its form in infancy and wax cannot be transformed once it has become hardened. In the same way, good faith, good habits and wise discernment need to be formed in infancy and all are taught by the mother. If the mother is not available, find a good teacher or send a child to a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for better education. Clearly the person who is responsible for infant education is the parent. Therefore, parents must educate children well in their home and Christian teacher must teach faith, virtue and knowledge to infants in church and in general educational institution. Infant educators also need to focus on parent education so that parents may know the purpose of infant education and educate their children in the right way. Synthetic and all-round education including health, faith, good heart and knowledge should be enforced in Christian homes, Christian churches and general educational fields.

      • 예비교사 교육과정 중 동작관련과목의 실태조사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안정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유아교육학과가 개설된 대학의 예비교사 교육과정 중 동작관련과목 개설현황 실태조사와 동작교육과목의 수업내용 및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1년 현재 유아교육학과가 개설된 전국의 전문대학, 4년제 대학의 동작관련과목 139개 과목과 동작교육과목 강의계획서 38부이었으며, 이 과목을 이수한 교사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3개 4년제 대학 중 20개 대학교(86.95%), 83개 전문대학 중 65개 대학(78.31%)에서 동작관련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2) 동작관련과목의 교과명은 4년제 대학에서는 `유아동작교육`과 `유아(창의적)신체표현`(23.07%), `유아음률교육`(15.38%), `유아음악과 율동`(15.38%), `유아체육교육`(7.69%), `유아무용교육`(11.53%), `리듬과 창작활동`(3.84%) 순으로 많이 개설되어 있었다. 전문대학에서는 `유아(창의적)신체표현`(28.08%), `유아동작교육`(24.71%), `유아음률교육`(19.10%), `유아체육교육`(10.11%), `유아무용교육`과 `유아율동교육`(5.61%), `유아음악교육`(4.49%) 순으로 많이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동작관련과목의 이수구분은 4년제 대학에서는 전공필수(80.76%)로, 전문대학에서는 전공선택(78.49%)으로 많이 택하고 있었다. 4) 동작관련과목의 개설시기는 4년제 대학에서는 3학년(61.53%), 전문대학은 1학년 2학기(34.95%)와 2학년 1학기(29.12%)에 주로 개설되어 있었다. 5) 동작관련과목의 이수학점 및 시간을 살펴보면 4년제 대학에서는 3학점 3시간(65.38%), 전문대학에서는 1학점 2시간(44.66%)으로 가장 많이 배정되어 있었다. 6) 강의 목적은 「다양한 신체활동을 통한 동작의 즐거움 경험」, 「동작교육의 제반이론 습득」, 「동작을 통한 유아들의 정서표출유도」, 「창의성 중심의 활동중시」, 「모의수업을 통한 바람직한 지도방법 습득 및 실제적 활용」, 「다양한 활동의 실제 소개」, 「다른 영역, 활동과 연계성을 고려한 통합적 운영」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7) 강의방법 중 이론과 실기의 실시방법은 매 주 이론강의 후 이론에 따른 실기 병행, 매 주 이론강의 후 활동실례 소개, 기본적인 이론강의 후 모의수업 실시, 매 주 강의한 내용으로 모의수업 발표가 있었다. 8) 강의방법 중 실기수업의 방법은 조별 혹은 개인별 이론을 토대로 모의수업을 실시 및 평가, 동작요소 혹은 생활주제에 따른 신체활동 모의수업의 발표, 동작요소와 생활주제 모두에 따른 신체활동 모의수업 발표, 통합적 접근방법 모의수업, 자신이 계획한 활동을 유치원 현장에 적용, VTR 촬영, 결과발표, 현장 동작교육수업 참관, 현장에서 주로 쓰이는 율동, 노래 위주로 한 모의수업, 손유희 발표가 있었다. 9) 강의내용 중 이론부분의 동작교육 개념과 내용은 비교적 다른 것에 비해 잘 다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38개 과목의 82%가 환경부분을, 74%가 평가부분을 다루지 않고 있었다. 때문에 이 부분을 배우지 못한 교사들이 현장에서 활동을 적용하는데 여러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었다. 10) 강의내용 중 실기부분의 기본동작요소와 기본동작, 창의적 신체표현, 구조화된 율동을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지만, 38개 과목의 63%가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지 않고 있었다.

      • 유아교사들이 들려주는 유아들의 일상생활 속 '성' 이야기

        연초록 배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67

        This study reviewed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observed the linguistic and behavioral expressions relating 'sex' appearing in the daily lives of infants and how the guidance is done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ons of infants. We reviewed what the teacher's wishes are in future sex education for infants in the future, by working on how was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observed the behavior of the infants, what types are in the expressions of the infants, what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can be used and if there are any difficulties. Through the study, it aims to provide a basis to help the teachers feeling the difficulties in guiding the way of expressions of the infants associated with 'sex' appearing in everyday lives of the infants without any guidance and a basic knowledge in sex education for infants. The issues selected for this study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feeling of the teachers who first experienced the way of expressions associated with 'sex' appearing in the daily lives of infants? 2. What are the expressions associated with 'sex' appearing in the daily lives of infants? 3. What are the ways to guide the expression associated with 'sex' appearing in the daily lives of infants? 4. What are the difficulties in guiding the expressions associated with 'sex' appearing in the daily lives of infants. 5. What is the wishes of the teachers in guiding the expression associated with 'sex' appearing in the daily lives of infants? For the above issu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During a total of 20 weeks from November 3rd 2014 until March 20th 2015, in-depth interviews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conducted for 10 infant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who were the teachers working with the researchers in same institutions, attending the same graduate school or having close relationship after informing them of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result of the study conducted as abov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experienced the expressions of infants associated with 'sex' during first two to three years from the start of teaching, and when first observed those expressions, they experienced embarrassing. The change of feelings clearly impressed the teachers as an intense experience in the process and it was embarrassing and make them conceal the face rather than naturally accepting the situation. Second, there are a number of aspects in the expression associated with 'sex' of the infants and both boys and girls showed motions of touching or rubbing genitals, also even gradually showed a behavior of masturbation. They also showed behavior of touching by stealth in a nap time or in a toilet, or watching the body of a friend without hesitation. In addition, they were often exposed to porn and also depicted adultery. Third, the teaching methods of the teachers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research issue include working on long-term observations, as the teachers do not know the criteria on when is the right time for guidance of the repeated misbehavior of the infants and guiding them through group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subject or selecting the individual guidance depending on the conditions. Tried to turn the interest of the infants to others or sometimes to figure out the hidden reasons or environmental background around. Teachers new to the expressions of infants would ask for help of colleagues and guide them together with their parents. Fourth, we tried to figure out what are the difficulties the teachers faced in the guide. When the teachers observe the behavior of infants, it was difficult to hide their embarrassment and they were not aware on what is the baseline for the right guidance on the behavior of infants and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as they do not know if the infants easily understand the teacher's guidance because the teachers do not know the proper terms and appropriate data. In addition, not like other issues, when the teachers counsel the parents for behavioral issues relating to sex,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as they do not know how the parents would accept the issues. Finally, we figured out the wishes of the teachers for the sex education of the infants. The teachers wanted to be educated for raising the confidence and expertise in sex education through retraining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 system, and they hope to be informed about sex education for the infants in the undergraduate course, and the teachers wanted to be provided the appropriate sex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age level of the teachers. In addition, they want that any appropriate baseline by grades shall be established for the sex education for infants. Through the study, we reviewed the expressions related to the 'sex' appearing in the daily lives of infants and heard the challenges coming from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nd experiences of the teachers. Through this study, we are able to show a way for sex education for the infants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help the teachers who feel it difficult to guide the way of expressions associated with 'sex' and to prospective teachers who will go into the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성’과 관련된 언어적, 행동적 표현을 관찰한 교사의 경험을 들어보고 유아들의 개별적인 표현에 따른 지도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들의 성과 관련된 표현을 목격한 교사의 경험, 유아들의 표현 유형, 교사의 지도 방법, 어려움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앞으로 유아 성교육에 바라는 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성’과 관련된 표현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성’과 관련된 표현을 처음 경험한 교사의 감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성’과 관련된 표현에는 무엇이 있는가? [연구문제 3] 유아의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성’과 관련된 표현을 지도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연구문제 4] 유아의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성’과 관련된 표현을 지도하는 데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이 있는가? [연구문제 5] 유아의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성’과 관련된 표현을 지도하기 위해 바라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2014년 11월 3일부터 2015년 3월 20일 까지 총 20주 동안 총 20 차례에 걸쳐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와 같은 기관에 근무하거나 같은 대학원에 다니는 교사, 기존에 친분 있는 교사로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전달한 후 동의를 구해 진행되었다. 이상과 같이 진행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아들의 ‘성’과 관련된 표현을 초임~3년 사이에 경험하게 되었고, 처음 관찰 했을 때 당황스러워 하였다. 그 과정에서 부끄러움, 성교육의 어려움, 당혹스러움 등 강렬한 경험인 만큼 기억에 뚜렷하게 남아있으며 자연스럽게 받아드리기 보다 당황하고 표정을 감추게 되었다. 둘째, 유아들의 ‘성’과 관련된 표현에는 다양한 양상이 보였는데, 남녀 모두 자신의 성기를 만지거나 비비는 모습을 보였으며, 그 행동이 점차 심해져 자위를 하는 모습도 보였다. 낮잠시간이나 화장실에서 몰래 만지거나 서슴없이 친구의 몸을 보는 등의 행동을 보였다. 또한 유아들이 야한 동영상을 접하게 되기도 하고 어른들의 성 행위를 놀이를 통해 묘사하기도 하였다. 셋째, 두 번째 연구문제에 따른 교사들의 지도방법은 몇 번의 행동을 보였을 때 지도해야 할지 기준을 몰라 긴 기간 관찰에 힘썼고, 생활 주제와 상관없이 대집단 활동을 통해 지도하거나, 상황에 따라 개별지도를 선택하였다. 또한 다른 것으로 흥미를 돌려보기도 하고, 행동을 자주 보이는 유아의 정서적인 부분은 어떤 지 주변 환경적 배경은 어떠한지 알아보기도 하였다, 유아의 표현을 처음 접하는 교사들은 주변의 동료교사들에게 도움을 청하기도 하였으며 가정과 연계해 지도하기도 하였다. 넷째, 교사들은 유아들의 행동을 관찰할 때 당황스러움을 감추기 어려워했으며 유아들의 행동 중 어느 정도까지 지도해야 하는 지 기준선을 알지 못하였고, 적절한 자료와 용어를 알지 못해 유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 힘들어 하였다. 또한 다른 문제와 달리 성과 관련된 행동에 대해 부모님과 상담을 할 때 부모님이 어떻게 받아드리실지 어려워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유아 성교육을 교사들은 유아교육 기관에서 교사 재교육을 통해 성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전문성을 키워주길 바랬으며, 그 전에 학사 과정에서 유아 성교육에 대한 내용을 알려주고 교사들이 연령별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성교육 자료 마련을 원하였다. 또한 유아들에게 성교육을 할 때 수준별로 적절한 기준선을 마련해주기를 원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성’과 관련된 표현을 알아보고 교사들의 다양한 지도방법과 경험에서 나오는 어려움을 들어보았다. 이를 통해 앞으로 유아 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었으며 ‘성’과 관련된 표현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교사들과 앞으로 교육 현장에 들어가 예비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신문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소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의 목적은 신문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두 곳의 어린이집 만 5세 34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따라 16개 소주제를 계획하여 신문을 활용하여 교육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정규 교육과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신문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을 시행한 집단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인지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타문화에 대한 태도의 정서적 영역 부분에서 타문화에 대한 선호도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변화되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타문화의 선호 이유에서는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newspaper in early childhood in context of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other cultures. In two kindergartens in Seoul, 34 children aged five years were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group or comparison group.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eceived newspaper-based education with 16 subsections according to national education system, and the others in the comparison group were given regular education.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newspapers, statistically demonstrates the significant increase in attitude towards other cultures in cognitive areas. The experimental and the comparison groups differently displayed the change in preference towards foreign cultures in emotional areas.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scored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the part of the reasons behind the preference towards other cultures. Therefore, the result addresses that the newspaper-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enhances the attitude of foreign cultures in early childhood.

      •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장필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하며, 각각의 하위 영역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6명(남 18명, 여 18명)으로 실험집단 18명(남 9명, 여 9명), 통제집단 18명(남 9명, 여 9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을 경험하였으며, 실험처치는 2016년 9월 21일부터 2016년 12월 2일까지 11주 동안 실시하였다. 유아의 환경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도구로 김은정, 조부경(2013)과 장정애(2011)가 유아 환경감수성 평가 척도로 제작한 것을 기초로 조부경, 지옥정, 김경철, 정아림(2016)이 재구성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한태현(2001)이 제작한 환경보전지식 검사도구를 최명하(2012)가 수정·보완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점수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 간 동질성 가정이 충족되지 않았으므로, 사전점수를 통제한 두 집단의 사후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은 유아의 환경감수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F=123.45, p< .001).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민감성, 심미감과 정서안정, 동정과 연민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은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F=351.84, p< .001).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물의 보전, 공기의 보전, 흙의 보전, 재활용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최현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50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ose a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pply it to actual scenes of education, thus examining its influence upon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 and its changing process. For this,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application effect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composi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carried out by such three steps as a preparation step, an analysis step and a composition step. In the preparation step, related literature was examined. In the analysis step, the demand for the trai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analyzed. And in the composition step, a program was compos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examination and demand analysis, and the content system of the program and the suitability and propriety of activity organization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consultation with specialists. The main contents of the progra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ultimate goal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to cultivate early childhood teacher s' cultural capability of carrying out multicultural education. Its specified goals were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cultivation of knowledg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cultivation of practical abilit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cultivation of cultural perception and attitude needed in multicultural society.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multicultural society and education,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family and young children. The actual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sisted of the repetition of program contents for every sessi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program was classified into the principle of teaching-learning,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and the strategy and data of teaching. The principle of teaching-learning of the program was classified into the principle of connectivity, the principle of flexibility, the principle of actual-scene applicability and the principle of mutual learning.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consisted of such four steps as understanding, discussion, practice and evaluation. As for the media of teaching, the investigator used audiovisual materials, real things, exhibition, demonstration, observation and practice. As for the strategy of teaching, such diverse techniques as lecture, discussion, information sharing,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books, journal writing and feedback were used, together with the actual-scene encouragement of learning.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carried out by such three steps as diagnostic evaluation, formative evaluation and summative evaluation. As for the technique of program operation, a mixed training technique, which consisted of group training and personal training,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60 early childhood teacher s who were working for edu-care facilities in J-gu, Seoul were sampl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n=30) and the control group (n=30). The program was applied to study subjects over the period from April 15 to September 16, 2010.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COVA using the SPSS 15.0 Window program.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of teachers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the program, the investigator analyzed such materials as self-reflective journals, in-depth interview materials, final results of activities, written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actual-scene education encouragement data and discussion materials. Based on the above process,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verage multicultural efficacy of the experi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program seemed to b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Second, the average multicultural attitud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program seemed to b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Third, as for teachers' changing process presented in the course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y presented a positive change in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 Teachers presented difficulties and conflic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initial stage of training. However, in the course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y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ely, understood the metho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quired confid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ormed positive expectation as a multicultural teacher, thus presenting the enhancement of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In addition, teacher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changed positively and actively. 본 연구의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현장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과 다문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준비단계, 분석단계, 구성단계로 진행하였다. 준비단계에서는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요구단계에서는 다문화교육 연수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성단계에서는 문헌연구와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구성을 하고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체계 및 활동 구성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최종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적은 유아교사로서 다문화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문화적 역량을 기르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 함양,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실천 능력, 다문화사회에서 필요한 문화적 인식과 태도를 기르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한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문화사회와 교육, 다문화교육의 접근, 다문화가정과 영유아로 하고 다문화교육의 실제는 매 회기 프로그램의 내용과 함께 반복적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과정, 교수전략 및 자료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원리는 연계성의 원리, 융통성의 원리, 현장 적용의 원리, 상호학습의 원리이며 교수-학습 과정은 이해하기, 토의하기, 실행하기, 평가하기의 네 단계로 구성하였다. 교수매체는 시청각자료, 실물, 전시, 시범, 참관, 실습 등의 매체가 사용되었으며 교수전략으로 강의 및 토의, 정보공유, 교재교구 및 도서지원, 저널쓰기와 피드백, 현장 장학 등의 다양한 교수전략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로 나뉘어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은 집단연수와 개별연수의 혼합형 연수 방법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서울시 J구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60명(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 15일부터 9월 16일까지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사전과 사후에 다문화적 효능감과 태도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는 SPSS 15.0 Window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 공변량 분석(One-way ANCOVA)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반성적 저널, 심층면담 자료, 활동 결과물, 다문화교육 활동 평가서, 현장 장학 자료, 토의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집단의 다문화적 효능감은 비교집단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다문화적 태도는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 과정은 다문화적 효능감과 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연수 초기 다문화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갈등을 나타내었으나 과정을 거치면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 다문화교육 방법의 습득, 다문화교육에 대한 자신감 획득, 다문화교사로서의 긍정적인 기대감이 형성되면서 다문화적 효능감이 높아졌으며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 자신의 태도가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전유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50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fter applying it to five-year-old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I conducted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after performing the study to design i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were the goal and objectives,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evaluation methods of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Second, what wer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In order to develop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I studi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related to language education and the balanced approa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researcher did preliminary study. Finally,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was developed,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after review by sev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experts. The goal of this program was to improve young children's language attitude, knowledge, and func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four part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Each part consisted of attitude, knowledge, and func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is program were as follows: The basic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was to make children speak about their experiences as a starter, and learn basic reading and writing skills while they were fully engaged in whole language activities. Language activities were based on games in which teachers, peers, and parents were allowed to participate. During the process of integrat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development of attitude, knowledge, and functions was promot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 had three steps: the whole, the parts, the whole. The teaching strategies were questioning, explanation, modeling, cooperative learning, feedback, writing down aloud children's speaking, shared finger-point reading, independent reading and independent writ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young children's experiences, individual word cards, literary works, pictures and photos, electronic media,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nd materials on the notice board. The evaluation methods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three parts: diagnostic evaluation, formative evaluation, and summative evaluation. To perform these evaluations, formal and informal methods were applied as appropriate. This program was applied to sixty-two 5-year-old children(31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at 'D' kindergarten in Guri, Kyungkido, for sixteen weeks(April, 2010-July, 2010).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on children's language attitude, knowledge and function,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with SPSS program.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covariance,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young children's speaking attitude(F=16.52, p<.001), reading attitude(F=7.83, p<.01), and writing attitude(F=15.18, p<.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language attitud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covariance,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young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F=144.68, p<.001), grammatical knowledge(F=4.98, p<.05), vocabulary knowledge(F=21.15, p<.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language knowledge.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covariance,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F=4.85, p<.05), writing ability(F=39.71, p<.001), language expression ability(F=23.99, p<.001), comprehension(F=7.12, p<.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language fun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후,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는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둘째,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먼저,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 요구 분석, 프로그램의 시안 구성, 1차 전문가 협의, 예비 연구, 2차 전문가 협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유아의 언어에 대한 태도·지식·기능의 종합적인 발달을 도모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은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네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영역의 하위 교육 내용을 태도·지식·기능으로 구분하여 하위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의 전반적인 방향은 유아의 경험을 소재로 한 말하기를 시작으로 총체적 언어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문자의 기초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언어활동은 놀이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교사, 또래, 부모와 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과정이 통합되고 이 과정에서 태도·지식·기능의 발달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은 전체-부분-전체의 순서로 구성하였고, 교수전략은 질문하기, 설명하기, 모델링, 협동학습, 피드백, 유아의 말을 소리 내며 받아 적기, 손가락으로 짚어가며 함께 읽기, 단서를 활용하여 함께 쓰기, 독립적 읽기, 독립적 쓰기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자료로 유아의 경험, 개별 낱말카드, 문학작품, 그림과 사진, 전자 매체, 교재·교구, 게시자료 등을 사용하며 프로그램의 평가는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2010년 4월부터 7월까지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D유치원 만 5세 유아 62명(실험집단 31명, 비교집단 31명)을 대상으로 총 16주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 기존의 검사 도구들을 수정·보완하여 언어 태도, 언어 지식, 언어 기능에 해당되는 검사들을 구성하고, 이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14주간의 프로그램 적용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사전-사후검사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 방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위와 같이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언어 태도, 언어 지식, 언어 기능에 미친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이 언어 태도에 미친 효과를 알아본 결과, 말하기 태도(F= 16.52, p<.001), 읽기 태도(F=7.83, p<.01), 쓰기 태도(F=15.18, p<.001)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언어 지식에 미친 효과를 살펴보면, 음운 인식(F=144.68, p<.001), 구문 지식(F=4.98, p<.05), 어휘 지식(F=21.15, p<.001)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언어 기능에서는 읽기 능력(F=4.85, p<.05), 쓰기 능력(F=39.71, p<.001), 언어 표현력(F=23.99, p<.001), 이해력(F=7.12, p<.01)의 모든 영역에 해당하는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태도, 언어 지식, 언어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신설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67

        본 연구의 목적은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1-1.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2.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국가 수준의 공통 교육과정인 누리과정 관련 문서,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단행본, 정기 간행물 등의 문헌 고찰 후, 유치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미술교육 현황을 조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을 토대로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 및 활동 구성의 타당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1차 전문가 협의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안을 수정하고 예비 연구를 실시한 후, 2차 전문가 협의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 구성 요소에 따라 교육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범주화하여 개발한 프로그램 최종안은 다음과 같다.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상상놀이에 기반하여 아름다움을 탐색하고 미술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기며 심미적으로 감상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이에 따른 목표는 ‘상상을 즐기며 자연, 사물, 작품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미술적 요소와 원리를 다양한 관점에서 찾아본다’, ‘상상놀이에 참여하면서 즉흥과 변형을 시도하며 미술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즐긴다’, ‘상상하면서 자연, 사물, 작품을 감상하는 것을 즐기고, 미술적 표현에 대한 이해와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이다. 교육 내용은 ‘아름다움 탐색하기’, ‘미술적 표현 즐기기’, ‘심미적 감상하기’ 범주로 제시하였다. ‘아름다움 탐색하기’ 범주는 자연, 사물, 작품 등에서 아름다움을 상상하며 느끼고, 미술적 요소와 원리를 상상하며 찾아보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미술적 표현 즐기기’ 범주는 미술적 요소와 원리를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즉흥적으로 표현하고, 미술활동에 필요한 재료와 도구를 변형해가며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내용과 다양한 미술적 표현 기법을 상상하며 경험하고, 상상하면서 미술적 표현 과정을 즐기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심미적 감상하기’ 범주는 자연, 사물, 작품을 다양하게 감상하며 상상하기를 즐기고, 나와 다른 사람의 미술적 표현을 이해하며 존중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에서 교수‧학습 원리는 놀이 중심의 원리, 과정 중심의 원리, 상호작용 중심의 원리, 감각적 경험 중심의 원리, 통합적 경험 중심의 원리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은 유아들이 상상놀이를 하면서 아름다움을 탐색하고 미술적 표현을 즐기며 심미적으로 감상하는 경험을 모두 가질 수 있도록 도입, 전개, 마무리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교수 전략은 교수‧학습의 원리가 교수‧학습 과정에서 충실히 구현될 수 있도록 가작화 기회 제공하기, 즉흥과 변형 격려하기, 상상 친구로 놀이 참여하기, 다양한 미술적 표현 촉진하기로 구성하였다. 평가는 유아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로 구성하였다. 먼저 유아 평가는 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하는 유아의 경험과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유아 관찰 및 기록을 실시하며, 표현 결과물, 활동 사진을 수집하고, 검사도구를 활용한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하여 평가한다.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전에 프로그램 구성 및 활동 계획에 대해 평가하고, 프로그램 적용 중에는 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프로그램 적용에 대해 평가하고, 프로그램 적용 후에는 활동 평가, 면담 및 협의 내용을 통해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평가를 실시한다.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019년 7월 1주부터 10월 3주까지 예비 검사, 교사 훈련, 사전 검사, 실험 처치,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총 12회차의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활동을, 통제집단에는 생활주제 중심의 일반적인 미술교육 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상상력, 미술표상능력, 미술감상능력을 검사하였다. 상상력은 상상력 수준의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미술표상능력과 미술감상능력은 검사 점수 증가분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상상력, 미술표상능력과 미술감상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상놀이 기반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유아들이 상상의 맥락인 가작화된 상황 안에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즉흥적으로 표현하고, 변형을 즐기면서 상상놀이가 가진 특성을 활동 과정 중에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유아가 풍부한 미술적 경험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과정 중심의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유아미술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상상놀이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