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스라엘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이 토론수행기술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현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창조적인 교육혁신이 강조되면서 창의인성교육의 선두국가라 할 수 있는 이스라엘의 토론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이스라엘의 하브루타는 두 사람이 서로 질문과 답을 반복하며 토론하고 사고하는 토론방법으로 이스라엘의 대표적인 토론학습 방법이다. 국내에서도 이스라엘의 하브루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브루타 토론을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의 노력이 생겨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스라엘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하여 설계한 온라인 토론활동이 학습자의 토론수행기술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선영, 최현정(2015)의 연구를 보완하여 설계하고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의 토론수행기술과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상호작용 유형의 특성을 바탕으로 온라인 하브루타의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온라인 토론을 실시한 통제집단 간의 토론수행기술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온라인 토론을 실시한 통제집단 간의 상호작용 유형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에서 나타난 상호작용 유형의 특성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의 K대학에서 교육공학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3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6명씩 무선 배치하여 12주 동안 다섯 개의 주제에 걸쳐 온라인 토론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이스라엘의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하여 설계된 온라인 토론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의 학생들은 일반적인 온라인 토론활동에 참여하였다. 토론수행기술 검사 도구는 정선영 등(201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Gunawardena 등(1997)의 상호작용 분석 모델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온라인 상호작용 유형의 질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매회 이루어졌던 온라인 토론활동의 내용을 분석하여 범주를 분류하고 관련성을 바탕으로 온라인 상호작용 유형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토론수행기술의 하위요소 중 정교화하기, 도전하기, 비평하기, 부연 설명하기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온라인 상호작용 유형의 정보공유, 불일치탐색, 의미절충 및 공동지식 구성, 의견 검증 및 조정, 지식 동의 및 적용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의 유형은 주장을 주의 깊게 들여다보기, 차이를 발견하고 탐색하기, 설득력 있는 근거 제시하기, 의미 절충하고 확장하기, 변화와 도전 및 협력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상호작용 분석모형(IAM)과 비교하여 보면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에서는 재확인시키기, 되질문하기, 재정리하기, 경험과 객관적 자료 제시 등이 토론내용의 분석 결과 새로이 범주화되었다. 또한, 불일치탐색이 좀 더 강화되어 나타나 차이를 발견하고 탐색하는 것이 촉진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하브루타 토론활동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지속적인 질문과 답변을 통한 질 높은 상호작용의 촉진을 돕고, 교수자들에게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의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의 적용 연구는 국내외 하브루타 토론활동의 활용 및 적용에 있어 교육현장에 많은 의의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여진다.

      • <소학>의 사상 연구 : 최현정

        최현정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날로 부조리한 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인성교육, 전인교육이라 생각한다. 지금 현행교육 또한 그 목적을 전인교육으로 하고는 있지만 실상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성적만이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지 오래다. 전인교육, 인성교육을 함에 있어서 하나의 지침서가 될 수 있는 대표적인 교과서가 있다면 아마도 朱子가 쓴 『小學』일 것이다. 물론 『小學』이 쓰여진 시대와 지금의 시대와는 많은 시대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小學』의 사상들을 지금의 사회에 바로 적용을 한다는 것은 많은 어려움과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溫故知新’이란 말이 있듯이 옛 것 중에 좋은 것은 받아들여서 지금의 시대에 맞게 적용하는 것도 필요하며 지금 사회에서는 절실한 연구라고 생각한다. 또한 『小學』의 내용은 五倫을 중심으로 하고, 교육을 통해 인간을 인간답게 하자는 교육목적으로 만들어진 교훈서이기에 사람간의 믿음과 예의범절이 땅에 떨어진 지금의 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小學』에는 어떤 사상들이 있으며 그 사상들을 현시대에 어떻게 적용해 볼 것인가를 연구하여 지금의 많은 병폐들을 바로잡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小學』이 쓰여진 배경과 『小學』의 간략한 내용을 알아보고 『小學』이 쓰여 지게 된 목적과 배경을 알아본다. 그리고 그 『小學』이 어떻게 한국에 들어와서 당시에 어떤 영향을 어떻게 끼쳤는지 알아본다. 그런 뒤 『小學』에 나타난 사상을 여성관, 교육관, 윤리관으로 나누어 『小學』에서 관련내용을 찾아 그 내용을 예로 들어 『小學』이 가지는 사상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한다. 이는 『小學』의 사상을 알아보면서 당시의 한국에 『小學』의 어떤 사상들이 어떻게 뿌리내렸는지 알고자 함이다. 마지막으로 당시 한국 사회에 적잖은 영향을 주었던『小學』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적용, 재조명을 해 보면서 그 과정에서 생기는 한계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하고자 하는 연구에 들어가기 전 명확히 해야 하는 것은 연구하고자 하는 『小學』의 사상들을 각각 여성관, 윤리관, 교육관으로 나누어 연구를 하기에는 그 내용들이 대부분 서로 연관성을 가지기 때문에 그 관계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사상을 분류하기 전 그 경계선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小學』의 여성관은 현대의 여성관에 있어서 문제시되는 것에 중점을 두어 『小學』에서의 여성관을 찾고자 한다. 다음으로 윤리관은 『小學』의 모든 내용이 윤리관과 관련이 있다고 보여지므로 『小學』의 주된 내용인 오륜으로 제한을 두어 찾는다. 마지막으로 교육관은 『小學』을 가르치는 것 자체가 『小學』의 교육관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小學』의 내용 중에 구체적인 교육방법에 그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我认为在现在悖理的社会里最需要的是人性教育和素质教育。关于素质教育和人性教育方面的指南书大概就是朱子写的『小學』。『小學』的内容和五伦相关,既是通过教育以做到不愧于人的教育为目的的教训书,同时也充满了现在混乱社会里最需要的内容。本论文中了解『小學』的写作目的和『小學』的简略内容,在分析『小學』的写作目的和背景以后对『小學』是如何进入韩国的以及在当时产生了什麽影响进行分析。此外把『小學』里出现的思想分为女性观,教育观,伦理观三个部分,举例『小學』的内容来使『小學』的思想更加具体生动化。最后,寻找当时给韩国社会带来很大影响的『小學』,在现代的观点中在一次应用的过程中产生的局限性。本论文在研究之前要明确的是本论文把要研究的『小學』的思想各分成女性观,伦理观,教育观来进行研究,而这些内容又都是互相关联的,因此一定要明确它们之间的相互关系。在分流思想之前要分明其界限的话,『小學』中女性观的重点放在现代问题的女性观上,伦理观限于『小學』众多内容中的主要内容五伦。教育观把焦点放在『小學』内容中具体提出的教育法方上。

      • 융(C.G.Jung)의 상징이론을 통한 어린이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상적(表象的) 특성연구 : - 존 버닝 햄의 작품을 중심으로

        최현정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life, human basic structure of characteristics are formed mostly during the childhood. There are many primary factors that influence childhood of human being; habits, attitude, education and etc. The common medium that has huge influence upon the formation of characteristic of human nature during one's childhood, is a illustrated story book. The research proved that the use of symbols in illustrated story books plays huge role of influencing childhood. Even though, the education for children today follows this trend of using digital media, computer and every electronic devices as education instrument;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illustrated story books still is emphasized today. A good illustrated story book gives help in many way for children, such as linguistically, emotionally, intellectually, societary and also in growth of appreciating along with enjoyment. So by these means it is a literature which holds brief sentences or words with artistic picture that formed a piece of art. In it, children meet all different kinds of plants, friends who are different from culture and time who live in different plac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beauty of different colored languages, the mystery colors of fantasy world and sad, but beautiful stories which are met endlessly through out. Like these, children experience a lot of thing within it, grow within the things which they have learned and love it like a friend. In these manner it creates a world for the children none could think of till now. In an illustrated story book, a theme is an important idea or a thought within the story, and a bond which binds the story. In other words, it is a thought which flows through out the entire story. Hence the writer can express his or her thoughts through the theme. The illustrated story book can have direct connection to the child's own experience, and it can take children to a wonderful fantasy world. And because of these reasons, it takes a big part helping the growth of the children. Therefore the illustrated story book should contain the realism which can give fleshing meaning of life of which the children can act together with it. And organize the problems in life with direct and simple theme, also it must gather up the characters and the events with interest together with a new attitude or insights. There are many activities in art that interest many targets; however, using the symbolism that has been evolving from the very beginning of human society till today, to know the inside of human's group consciousness, where symbolic system and modeling consciousness are placed, is very important. The deal of weight occupied by the symbols in Art differ from period and race, west and east, also can be different because of ideals of times. Furthermore, even similar symbols can be analy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it could also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but before it reach the state of expression it follows the same concept of psychologic motivation and the developing process. Thus the aspect shown together with all cultural area indwell in the human's mind of unconsciousness. This could be seen as the original form of symbols, we could know the common origins and their style of expressing inside the unconsciousness inner world by symbolic system. In this way the manner in the symbolic system is also shown in the illustrated story book. The symbol of children's illustrated story book could be shown unconsciously and consciously. The writer's symbolic expression appears frequently and helps to transmit and understand the content in it. The illustrated story book could also be seen as of the acknowledgement in art, the writer can express the feelings by the way of a line, coloring and shape seen and felt through the piece, which is the model language expressed. This expression reflects the many special qualities of confidential existence not well known to one's inner side. Like in all other Art pieces has meaning implied, reflected with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n the same time, it is one of the representation of which cannot have a clear form of definition in the mental perspective. Many C.G.Jung's theories of symbolism are analyzed in many art works, as well as use of healing process, but the children's illustrated books were never analyzed that far. This research bring the analyzation of symbol of culture, intelligence and emotion together by applying and evaluating with children's illustration books, to find out if the symbols in children's book involves the hidden intention. And hopefully this research would help us to explore the inner mind of children who dreams, who feel hopelessness, who repeats the overcome. Using this as a background, we could suggest new use of children's illustrated story books by producing them as fit for mentality of children and we might expect some healing effects during the process. 인성(人性)의 기본 형태는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대부분 유년기에 형성된다. 유년기의 인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은 생활 습관, 태도, 교육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그림책은 어린이들의 인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가장 친숙한 매체이다. 그림책의 상징적인 이미지가 유년기 아동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서도 그 중요성은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현재 아동 교육 현장에서도 전자 매체나 컴퓨터 등이 교수 매체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추세지만 어린이 그림책에 대한 중요성은 여전히 강조되고 있다. 좋은 그림책은 아동에게 책이 주는 즐거움과 함께 언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심미적 발달에 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림책은 문학성을 지닌 간결한 글과 미술성을 갖춘 그림이 조화를 이루는 하나의 예술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들은 그림책 속에서 수많은 동물과 식물, 곳곳에 사는 다양한 성격의 친구들, 가지각색의 언어의 아름다움과 색깔의 신비함, 환상의 세계, 그리고 슬프고 아름다운 이야기들을 무궁무진하게 만난다. 아이들은 이렇게 그림책과 더불어 많은 것을 경험하고, 배우고 느끼며 그것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때로는 친구처럼 사랑하기도 한다. 이처럼 그림책은 어린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 했던 아이들이 세계가 그려져 있다. 그림책에 있어 주제란 이야기에 내재되어 있는 중요한 생각이며, 이야기를 묶어 놓는 틀이다. 즉 이야기 전체에 흐르는 생각이다. 따라서 작가는 표현하고자 하는 생각을 주제를 통해 나타낸다. 그림책은 아동 자신의 경험과 직접 관련이 있거나 아동을 아름다운 환상의 세계로 데려다 주기 때문에 아동의 성장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그림책에서는 아동들이 함께 호흡하고 그들의 삶에 생생한 의미를 던져줄 수 있는 사실적인 느낌이 함께 표현되어야 한다. 그리고 삶에 대한 문제를 명확하고 단순한 주제로 생동감 있게 구성해야 하며 등장 인물과 사건에 의한 흥미로움과 함께 새로운 자세나 통찰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 미술 속에 나타나는 예술 활동의 관심 대상은 수없이 많은데, 원시사회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화 예술 전반에 결처 끊임없이 형상화되어온 상징을 통해서 인간의 집단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상징체계와 조형 의식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상징이 미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시대와 민족, 동양과 서양이 같지 않으며, 그 상징성 또한 시대정신에 따라 다르다. 또한, 동일한 형상일지라도 상징의 내용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고 그 표현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표현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심리적 동기와 과정은 거의 유사한 맥락을 이루고 있다. 이렇게 모든 문화권을 아울러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인간 정신의 무의식 속에 공통된 사고가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원형적 상징’이라 볼 수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무의식적 내면세계의 공통적 기원과 그것들의 표현 양식을 상징의 의미 체계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이렇듯 상징의 의미 체계에 나타난 양식들은 어린이 그림책에서도 나타난다. 어린이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상징은 작가를 통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드러난다. 작가의 상징적 표현은 책안에 빈번히 등장하며 내용의 전달과 이해에 도움을 준다.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 역시 예술 작품처럼 하나의 심리적 고백으로 볼 수 있으며, 작가는 감정을 담은 작품을 통하여 자신이 바라보고 느끼는 방식을 선, 색채, 형태를 조형 언어로 삼아 표현할 수 있다. 그러한 표현에는 개인의 내면이 잘 알지 못 하는 가장 내밀한 존재의 여러 특성을 반영해 주고 있다. 또한 수많은 예술 작품처럼 의미를 함축하고 있고, 의식과 무의식을 함께 반영하게 된다. 그러면서도 지적인 관점에서 명석하게 정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하나의 상징이다. 융의 상징 이론은 많은 예술 작품을 분석하고, 치료적 입장에 적용하는 데 크나큰 기여를 하였으나 어린이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에 적용하여 분석을 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본 연구는 문화와 지성, 정서를 아우르는 상징의 해석을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적용 · 분석하여 이미지의 숨겨진 의도와 상징적 내용을 내포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어린이 그림책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면서 꿈을 꾸기도 하고 현실에서 좌절과 극복을 반복하는 어린이의 심오한 세계를 탐구하고 연구하는 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 그림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어린이의 심리 맞춤형 그림책 제작을 시도할 수 있으며, 그 안에서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교 수행평가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

        최현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에 대해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과 수행평가 실태를 분석해, 시행 4년이 되어가는 수행평가 정책을 진단하고 평가하여 그것을 토대로 사회과 뿐만 아니라 나아가 고등학교 수행평가의 현장 적용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 운영 방법면에서 수행평가 기본점수를 70%이상을 주는 비율이 실업계고보다 인문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 현행 실시하는 수행평가 유형으로는 보고서법이나 서술형․논술형이 많고, 바람직한 수행평가 유형으로는 포트폴리오법과 토론법의 응답률이 높았다. 둘째, 수행평가 성적 반영 비율에 대해서는 교사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응답이 상당히 높게 나왔고, 교과 협의회가 수행평가 도구 개발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행평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경력이 낮은 교사들이 수행평가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행평가의 만족도 면에서는 여러 개인변수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 학교 분위기와 여건에 따라 수행평가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수행평가가 교육목표․방법․학업 성취도 향상에 기여하는가라는 시행효과에 대해서는 효과가 있다는 응답과 없다는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한편 수행평가 취지와 위상 향상 여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다섯째, 수행평가의 문제점으로는 수행평가로 인한 업무 과중과 담당 학생수의 과다, 평가 도구의 개발 및 준비의 어려움이 지적이 되었다.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담당 학생 수 축소 및 교과별 전용교실 확보, 교사 업무 경감, 평가도구의 개발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상의 결과 분석을 통해 결론을 정리하면, 수행평가 유형의 다양화로 학습자에게 다양한 학습경험을 제공해야 하고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시켜야 한다. 기존의 지필 평가보다 수행평가 실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교사가 많으면 교육여건이 아무리 열악하더라도 수행평가는 교육현장에 정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의식이 변한 것을 전제로 교사 1인당 담당 학생 수와 수업시수 감축, 다양한 수행평가 도구 개발, 교과전용 교실 확보 등이 이루어져야겠다. 수행평가 자체가 학생들의 다양성과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그 범위를 확대시켜야 한다. 그리고 학생의 학습력을 높이고, 상급학교 입시와 관련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고학년일수록 형식에 치우치는 평가가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시험 불안의 관계에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최현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시험 불안의 관계에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나타내는 매개효과와 그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456명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 척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척도, 시험 불안 척도가 포함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효과분석, 그리고 팬텀 변수를 사용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시험 불안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시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연속적으로 매개하는 경로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단순 매개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그로 인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차례로 시험 불안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며, 특히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시험 불안을 예언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시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구체적인 매개 경로를 설정하고 검증함으로써 심리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 이는 대학생들의 시험 불안을 완화하는 데 있어 목표와 정서조절 차원의 치료적 개입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456 undergraduate particip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mpleted a battery of scales including the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cale,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the Emotion Regulation Style scale, and the Test Anxiet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the primary variables in this study, and then the mediation model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lastly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Phantom variabl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In correlation analysis, the four variables including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test anxie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nd in the SEM analysi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was significant. Also,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demonstrate empirically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affect test anxiety sequentially, and suggest that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test anxiety.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sychological process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ffects test anxiety.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goal orientation and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suffering from test anxie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 메뉴 엔지니어링 및 판매량 추이 분석을 통한 메뉴 운영 전략 개발

        최현정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레스토랑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메뉴별 판매량 추이 분석과 메뉴 엔지니어링 분석을 통해 메뉴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레스토랑 메뉴의 전략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7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2년간 M레스토랑 10개 점포를 25회 이상 방문한 고객 636명의 메뉴 이용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M레스토랑 점포 중 오픈시기가 가장 비슷한 2개 점포를 선정하여 A점포는 2008년 2월~2010년 4월, B점포는 2008년6월부터~2010년4월까지 Pasta군 8가지 메뉴, Pizza군 6가지 메뉴, Rice군 7가지 메뉴의 메뉴엔지니어링 분석과 판매량 추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판매량 추이 분석 결과 Pasta, Pizza군의 경우 A점포와 B점포 메뉴 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에서 성장기의 패턴을 보여 주었다. Rice 군의 경우 월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거의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단계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즌별 판매량 추이는 A점포와 B점포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A점포의 Pasta, Pizza Rice군은 모두 쇠퇴기를 나타났으며, 반면 B점포의 Pasta, Pizza, Rice군은 모두 성장기 단계의 양상을 나타냈다. 각 메뉴 카테고리군의 메뉴 수명주기에서는 Pasta군에서는 A점포와 B점포 모두 장수상품의 제품 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 양상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Pizza군의 경우 성장기 단계에서 유지단계를 Rice 메뉴는 성장기 단계에서 꾸준히 고객들에게 지속적으로 구매되는 형태의 장수상품의 제품 수명주기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Sucide Rice, Seafood Rice의 경우 일시적 유행상품의 제품수명주기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B점포의 경우 A점포와 다르게 Rice 군에서 많은 메뉴들이 쇠퇴기의 단계가 나타났으며, Garlic Sizzling Rice와 Seafood Cream Risotto 의 경우, A점포와 동일하게 성장기 단계가 꾸준히 유지되는 장수상품의 제품수명주기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B점포에서는 A점포에서 꾸준히 구매가 일어나고 있는 Chili Curry Shrimp Rice, Garlicholic Rice, Mushroom Risotto가 일시적 유행상품의 제수명주기의 형태로 나타났다. Seafood Rice 와 Suicide Rice 의 경우 A점포와 B점포 모두 쇠퇴기 단계로 조사되었다. 메뉴 엔지니어링 기법에 의한 분석 결과 Pasta군에서 Gorgonzola Gream Pasta와 Sesfood Pasta A점포와 B점포 모두 고객선호도와 공헌이익이 높은 Star 메뉴로 나타났다. Crab&Lobster Pasta, Garlicpeno Pasta의 경우 공헌이익은 낮지만 고객선호도가 높은 박리다매 형 Plowhorse 메뉴로 분류되었다. Red Devil과 Vongole Mare pasta는 공헌이익이 좋으나 고객이 찾지 않는 Puzzle 메뉴로, Arrabiata, Fresh Shrimp & Garlic Sprout은 공헌이익도 낮고 선호도도 낮은 문제의 메뉴로 나타나는 Dog 로 분류되었다. Pizza 군에서는 A점포 B점포 모두 Garlic Snowing Pizza, Gorgonzola Pizza는 Star 메뉴로, Margherita Pizza, Garlic & Sweet Potato Pizza 는 Puzzle 메뉴, Mixed Cheese Pizza와 Calzone Pizza는 Dog 메뉴로 나타났다. Rice군에서는 A점포의 경우 Suicide Rice가 Star 메뉴로 반면 B점포에서는 Puzzle메뉴로 나타났으며, Garlic Sizzling Rice는 A점포, B점포 모두 Star 메뉴로 나타났다. Garlicholic Rice와 Mushroom Risotto의 경우 A점포와 B점포 모두 Plowhorse로 나타났다. Chili Curry Shrimp Rice 와 Seafood Cream Risotto 는 Dog 메뉴로 나타났다. 메뉴 수명주기와 메뉴 엔지니어링의 분석결과를 비교해보면, A점포와 B점포의 Pasta군의 경우 제품수명주기에서는 모두 성장기를 나타내고 있지만, 메뉴 엔지니어링 분석의 경우 Gorgonzola Cream pasta 와 Sea food Pasta 만이 Star 메뉴로 분석되었으며, Arrabbiata 와 Fresh Shrimp & Garlic Sprout 는 Dog 로 구분되었다. Pizza 군에서는 A점포의 경우 Garlic Snowing Pizza는 제품 수명주기에서 성장기, 메뉴엔지니어링 분석에서 Star로서 두 가지 분석이 일치하였고, Calzone Pizza 와 Mixed Cheese Pizza 두 가지 모두 제품수명주기에서 쇠퇴기, 메뉴엔지니어링 분석에서 Dog로 나타나 일치하였다. B점포에서 Pizza 군은 Garlic Snowing Pizza 와 Gorgonzola Pizza는 메뉴엔지니어링 분석에서도 Star 메뉴로서 두 메뉴는 일치였고, Calzone Pizza 와 Mixed Cheese Pizza는 쇠퇴기와 Dog 메뉴로서 일치하였다. 마지막으로 Rice 군에서는 A점포의 Garlic Sizzling Rice는 두가지 분석이 성장기와 Star로 일치하였고, Seafood Rice는 쇠퇴기와 Dog 로서 일치하였으나 나머지 메뉴는 모두 불일치하였다. B점포의 경우 Garlic Sizzling Rice는 성장기와 Star 메뉴로서 일치하였고, Chili Curry Shrimp Rice와 Seafood Rice는 쇠퇴기와 Dog 로서 두 분석이 일치하였으나 나머지 4가지 메뉴는 불일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고, 메뉴 엔지니어링과 메뉴 판매량 추이 분석의 결과를 함께 해석하여 메뉴 운영에 있어 보다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온달설화의 현대적 변용 양상

        최현정 아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삼국사기』열전편에 실려 전하는 온달설화는 바보 온달이 평강공주와 혼인하여 고구려의 명장으로 성장하여 나라를 구한다는 이야기이다. 온달설화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 검토되고 있다. 온달설화에 관련된 논의는 온달전이 설화적 구성체로 되어 있다는 논의를 일단 수용한 뒤 그 방향을 달리하여 각각 다음의 두 가지 방면으로 나뉘어 연구되어 왔다. 하나는 온달을 역사 자료로 이해하는 입장을 취하여 당대 고구려 사회의 어떤 변화와 동태를 찾아내고자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문학적 가치를 수용하여 설화적 작품으로서 온달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온달전의 전승양상에 관한 연구와 온달을 통해 당대 고구려 사회를 짐작하고자 한 연구는 전자의 논의를 수용하는 연구들이며, 서사적 줄거리를 바탕으로 한 설화의 내용 분석 및 그 가치에 관한 연구와 현대적 변용 양상에 관해 밝힌 연구는 후자의 논의를 수용한 연구들이다. 온달설화는 그 문학적 소재가 뛰어난 탓으로 현재 다양한 측면에서 수용되어 다양한 장르로 변형, 재창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온달설화의 현대적 의미를 세 가지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를 생명력의 원인으로 파악하여 온달설화와 현대적 작품을 비교하였다. 온달설화의 생명력은 첫째, 온달의 사랑과 둘째, 바람직한 현대 여성상에 대한 인식과 셋째, 현대 산업사회 속에서 새롭게 등장한 온달콤플렉스이다. 최인훈의 희곡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는 온달설화와의 비교를 통해 그 현대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새롭게 첨가된 꿈 이야기를 통해 온달과 평강의 만남에 대한 필연성을 밝히고 온달의 비극적 미래를 암시하며 평강이 온달의 사랑을 확인하는 장치로 사용하여 작품에 개연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강 중심으로 전해지던 설화를 온달 중심으로 새롭게 해석하여 온달의 신이한 영웅적인 면모를 강조하였으며 계모와의 갈등을 통한 평강공주의 심화된 사회적 갈등 양상을 제시하여 부조리한 현실 인식과 온달에 대한 왜곡된 사랑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이야기에는 아기장수 설화와 은혜 갚은 까지 설화가 원용되어 기존 설화의 다양한 이야기 수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카펠라 뮤지컬 『거울공주 평강 이야기』는 왜곡된 평강의 모습을 쫓아 그녀가 되기를 희망하는 시녀 연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여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바람직한 여성상에 대해 제시하였다. 온달설화의 평강이 지혜를 바탕으로 온달을 영웅으로 성장시킨 것에 반해 이 이야기 속의 평강은 외향적인 아름다움만을 추구한다. 연이는 그러한 왜곡된 평강의 모습을 시기하고 질투하지만 그녀가 되기를 희망하여 거울을 훔쳐 달아난다. 거울은 현대 우리 사회에 여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조장하는 일부 어긋난 시각을 상징한다. 결국 연이는 야생소년의 도움으로 내면의 아름다움을 되찾고 진정한 자아를 발견한다. 자신이 미처 알지 못한 숨겨진 내면의 한 부분을 깨닫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야생소년과 온달설화의 온달은 동일한 역할을 해내고 있다. 설화 속의 온달이 평강공주가 사랑을 확인하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해 냈다면 『거울공주 평강 이야기』의 야생소년은 연이가 내면의 아름다움을 회복하도록 돕는 역할을 해 냈다. 그들은 모두 죽음을 통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평강공주와 연이가 긍정적 삶을 살도록 이끄는 역할도 더불어 해내고 있다. 현대 드라마 『사랑한다 웬수야』는 부잣집 외동딸 해강과 결혼한 종세를 통해 온달 콤플렉스에 대해 제시하였다. 온달 콤플렉스란 제력이나 능력이 뛰어난 여성을 배필로 만나 신분 상승을 하려는 남성들의 심리를 일컫는 신조어이다. 사회적 변화는 다양한 남성상을 제시하였는데 온달형 남성상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온달형 남성상은 여성의 능력이나 물질에 의존해서 출세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사내대장부 남성상과 상반된다. 종세는 자신의 노력과 성과는 인정해 주지 않고 모든 걸 아내 덕으로 돌리는 사회적 시선 때문에 괴로워한다. 부부의 갈등은 종세의 왜곡된 심리에서 시작되는데 우리사회가 요구하는 가부장적 남성상에 대해 부흥하지 못하는 종세가 내적인 갈등을 겪고, 이에 대한 원인을 해강에게 돌리는데서 비롯된다. 종세는 자신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이혼 프로젝트를 꾸민다. 이 이야기 속 온달과 평강의 어긋난 오해의 양상은 온달설화의 온달에 대한 평강의 왜곡된 사랑의 방식과 비교하여 뒤바뀐 모습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종세가 해강을 이용하여 사회적 명성을 얻으려고 한 것에 반해 해강은 순수하게 그를 사랑하는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 점이 그것이다. 결국 이혼을 계기로 종세는 해강에 대한 사랑을 깨닫고 열린 결말 구조를 통해 작품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여 인간적 차원의 화해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온달설화는 작품에 대한 해석의 폭이 넓어 현대에도 끊임없이 여러 부분에 수용될 가능성이 많은 작품이다. 진보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여 주었던 평강과 온달의 순수한 사랑은 오늘날 우리 사회가 남녀에게 요구하는 바람직한 모습으로서 그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기존에 연구된 온달설화의 다양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이야기의 중심 구조를 따르는 범위에서 새롭게 수용된 현대적 두 작품, 『거울공주 평강 이야기』와 『사랑한다 웬수야』는 왜곡된 평강의 모습과 온달의 모습을 제시하여 원전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주었다. 이는 급격히 변화된 시대에 남성과 여성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밝혀 주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발음 교육을 중심으로

        최현정 숭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marriage immigrants are supposed to settle down in Korea by raising children unlike general immigrants, it is necessary to give an education that help them learn how to pronounce words like Koreans do. However, there are many integrated Korean textbooks that only transcribe or suggest pronunciation or do not have any content for pronunciation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ontent of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integrated Korean textbooks targeted for marriage immigrants and seeking a plan for improving Korean pronunciation skills of marriage immigrants. In Chapter 2, the traits of learners (marriage immigrants) and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targeted for marriage immigrants were examined.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arriage immigrants and instructors, the pronunciation education status in actual education field and learners’ requirements were verified. In Chapter 3, the textbook targeted for marriage immigrants titled “Korean Language with the Marriage Immigrants” and another textbook titled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for Immigrants” were respectively categorized into formal aspect and content aspect, and areas of production education suggested in the textbooks were examined. In Chapter 4, the content of pronunciation education that has to be in the textbook by referr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Model for Korean Language and the analysis result of textbooks in Chapter 3 with consideration for learners’ traits in Chapter 2 was suggested. And based on the vocabulary list and grammar items in the beginner books like Korean Language with the Marriage Immigrants and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for Immigrants, the appearance frequency, difficulty level, and connection with other pronunciation rules were considered and the order of pronunciation rules was suggested. Moreover, the plan of organizing the pronunciation curriculum in the textbook by categorizing into formal aspect and content aspect was suggested. Existing studies on the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textbooks targeted for marriage immigrants were mostly self-learning limited to one linguistic sphere. The plan on the pronunciation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is for cross-linguistic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integrated Korean textbooks, in which domestic educational reality is reflected. Hopefully it will be helpful to the pronunciation education of marriage immigrants in future. 결혼이민자는 일반이민자와 달리 아이를 양육하며 한국에 정주하여 살아가야 하는 이민자로서 한국인에 준하는 발음 교육이 필요하다. 하지만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통합교재에서는 표기와 발음만 제시되거나 발음 교육이 없는 교재가 많다. 본고에서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통합교재의 발음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발음 실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결혼이민자의 학습자 특성 및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의 특징을 살펴보고, 결혼이민자와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교육 현장의 발음 교육 상황과 학습자 요구 사항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을 한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교재와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교재를 형식적 구성과 내용적 구성으로 나누어 교재에 제시된 발음 교육 영역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2장의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3장의 교재를 분석한 결과와 국제 통용 한국어 모형을 참고하여 교재에서 다루어야 하는 발음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와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초급 교재의 어휘 목록과 문법 항목을 기준으로 출현 빈도수, 난이도, 다른 발음 규칙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발음 규칙 제시 순서를 제시하였다. 또한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교재에서 발음 교육을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의 발음 연구는 한 언어권으로 한정된 자가 학습용 발음 교재 연구에 그쳤다. 본고에서 제시한 발음 교육 방안은 국내의 교육 현실을 반영한 통합교재의 범언어적인 발음 교육을 위한 것으로 향후 결혼이민자의 발음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