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비용 및 원전 해체 비용 산정에 관한 연구

        신상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35

        원자력발전은 지난 40여년간 우리나라 에너지의 주력 발전원으로서 안정적 전력공급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다. 향후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이 원전 중심의 발전 정책을 폐기하고 탈핵 정책을 선택하더라도 원자력발전의 반대급부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와 원자력발전소 해체는 우리가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후핵연료관리부담금 및 원전 해체비용 충당금 산정에 대해 비용 예측에 따른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투명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서 공학적 근거와 타당성있는 비용 추정을 위하여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비용 및 원자력발전소 해체비용에 대한 체계적인 비용 추정방안과 비용 산정 체계를 구축하였다.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비용 평가를 위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사용후핵연료 발생량을 예측하였다. 가정사항 및 전제조건 등을 고려하여 34기 원전에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의 총 누적 발생량은 경수로의 경우 총 35,246톤(83,432다발), 중수로의 경우 총 11,869톤(628,006다발)로 예측되었다. 사용후핵연료 누적 발생량을 바탕으로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의 운영규모를 산출한 결과 경수로 사용후핵연료는 24,839톤(58,800다발)이, 중수로 사용후핵연료는 8,618톤(456,000다발)로 산출되었다.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의 운영규모를 바탕으로 필요 부지면적을 산출한 결과,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운반·저장 금속겸용용기 방식의 총 부지면적은 543,765 ㎡, 콘크리트 저장용기 방식은 622,932 ㎡, 중수로 사용후핵연료의 모듈방식(MACSTOR/KN-400)의 총 부지 면적은 296,689 ㎡으로 산출되었다.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의 운영규모, 부지면적을 바탕으로 부지선정 비용, 설계 및 인허가 비용, 자본설비 비용, 시설건설 비용, 저장시설/용기 비용, 운영 비용, 증설 비용, 해체 비용, 교체 비용, 운반 비용, 예비비 등을 고려하여 총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관리비용을 산출하였다. 경수로 30기에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금속겸용용기 방식의 중간저장 관리비용은 18,094,828 백만원, 0.51 백만원/kg, 216.88 백만원/다발로 평가되었으며, 콘크리트용기 방식의 중간저장 비용은 10,087,947 백만원, 0.29 백만원/kg, 120.94 백만원/다발로 평가되었다. 중수로 4기에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중간저장 비용은 2,034,125 백만원, 0.17 백만원/kg, 3.24 백만원/다발로 평가되었다. 금속겸용용기 방식의 비용을 살펴보면, 저장시설/용기 비용이 61.48%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운영비용 9.26%, 해체비용 6.34%, 자본설비 비용 3.22%, 운반 비용이 1.31%를 차지하고 있다. 중수로의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비용에 대해서는 운영비용이 34.26%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본설비 16.99%, 운반비용 16.27%, 시설건설 비용 4.44%, 저장시설/용기 비용이 4.04%로 계산되었다.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사업비용 분석 결과 금속운반저장 겸용용기를 사용하는 경수로 사용후핵연료에 대해서는 금속용기와 관련된 비용이 전체 중간저장비용의 61.48%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운반저장 겸용용기를 사용하는 시나리오에서는 금속용기의 단가변화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수 밖에 없다. 금속용기의 단가가 40% 감소하면 관리비용은 약 5.87 조원, 다발당 비용은 0.7억원 감소하는 반면, 금속용기의 단가가 60% 증가하면 관리비용은 약 8.8 조원, 다발당 비용은 1.05억원 증가하게 된다. 우리나라 최초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는 2017년 6월 19일 00시 운전을 정지하고 그 수명을 종료하였다. 원전 설계 수명에 따르면 월성 1호기 2022년, 고리 2호기 2023년, 고리 3호기 2024년, 고리 4호기, 한빛 1호기 2025년 등 향후 10년 이내에 10여기의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수명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전의 안전한 해체 관리를 위해 원전 해체 비용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해체전략에 따라 충분한 해체기술과 ALARA를 기준으로 안전한 방사선관리를 통해 원전해체를 수행함에 있어 해체비용평가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전해체 비용평가 프로그램 중 하나인 POWERTool을 이용하여 한울 6호기 및 월성 4호기 원전을 대상으로 원전해체 비용평가를 통하여 원전해체 비용평가 체계를 구축하였다. 주요 전제조건으로는 사용후연료의 포장, 운반, 및 처리를 위한 조건은 제외하였으며,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포장 및 처분 비용 또한 제외하였다. 시설/부지는 토지의 무제한적 개방이 가능한 Green Field의 복원을 가정하였으며, 할인율을 고려하지 않는 즉시비용(Overnight Cost)으로 비용평가를 수행하였다. 해체비용을 구하는 순서는 해체방안 검토 및 선정, 대상원자력발전소 방문 및 시설특성 파악, 가정 및 전제조건 도출, 작업 목록 작성, 해체 대상 물량 명세서 작성, 단위비용인자 개발, 제염 및 제거 비용 산정, 해체 공정표 작성, 해체 관리조직 구성, 해체 작업비용 산정, 해체 부대비용 산정, 해체 관리비용 산정, 총 해체비용 산정의 단계로 제시하였다. 해체비용 평가절차 및 전제조건에 따라 한울 6호기 및 월성 4호기 원전의 Green Field화에 필요한 해체작업비용 및 필수 소요기간을 도출하였다. 해체작업비용에는 사용후핵연료 관리비용, 폐기물 운반비, 처리 및 처분비용, 보험료, 재산세와 같은 부대비용을 포함시키지 않았다. 경수로 원전해체에 약 5년 8개월(68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세부일정 및 시퀀스가 구성되었으며, 폐기물관리비용 등을 고려하지 않은 순 해체비용은 $110,996,745로 평가되었다. 중수로 원전해체에 약 5년(60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세부일정 및 시퀀스가 구성되었으며, 폐기물관리비용 등을 고려하지 않은 순 해체비용은 $112,992,424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비용 및 원자력발전소 해체비용 평가 방법은 공학적 개념에 근거하여 신뢰도 있게 비용을 산정할 수 있는 비용평가 방법론으로서, ‘방사성폐기물관리법’에 의해 주기적으로 재산정하도록 되어 있는 바, 사업자 혹은 정부에서 주기적 방사성폐기물 관리비용 산정에 직접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비용평가 방법론은 재원 확보 전략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 관련 비용 규모 및 사업 기간별 투자 계획 등에 있어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사용후핵연료 처분/중간저장/수송, 원자력발전소 해체 등은 소요되는 비용의 규모가 수십조에 이르는 거대한 산업이며, 또한 요구되는 기술의 수준도 국민의 건강과 직접 연결되는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평가된 적절한 비용의 추정은 요구되는 기술개발의 수준을 결정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학적 설계를 바탕으로 한 비용 산정을 통하여, 사용후핵연료 운반, 중간저장 시설의 설계 등과 같은 현안의 사업들은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 정책 결정에 중요한 기본 자료를 생산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용후핵연료 관리 부담금 및 원자력발전소 해체비용 규모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투명성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공학적 개념에 근거한 비용 규모 산정은 투명하고 합리적인 정책적 판단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Nuclear power generation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supplying stable power as a main electric power source of Korea for the past 40 years. Even if Korea's energy policy abolishes nuclear power based development policy and chooses a nuclear free policy, spent nuclear fuel and nuclear power plant decommissioning, which is a counterproductive of nuclear power generation, must be solved. In this study, to estimate uncertainties due to cost forecasts and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estimating spent fuel management charges and nuclear decommissioning cost estimates, the systematic cost estimation method and the cost estimation system for the interim storage cost of spent nuclear fuel and decommissioning cost of nuclear power plant were established. To estimate the interim storage cost of spent fuel, the amount of spent fuel was predicted according to the 7th Basic Plan of Power Supply and Demand. Considering the assumptions, the total cumulative amount of spent fuel generated from 34 nuclear reactors was estimated to be 35,246 tons (83,432 assembly) for PWR and 11,869 tons (628,006 assembly) for CANDU. Based on cumulative amount of spent fuel,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operating scale of the spent fuel interim storage facility, PWR spent fuel was calculated as 24,839 tons (58,800 assembly) and CANDU spent fuel was calculated as 618 tons (456,000 assembly). The site area of the spent fuel interim storage facility is the dual purpose metal cask storage method is 543,765 ㎡, the concrete storage container method is 622,932 ㎡, the MACSTOR/KN-400 was calculated as 296,689 ㎡. The total cost of spent fuel interim storag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operation scale of the spent fuel interim storage facility and site area, the cost of site selection, design and licensing costs, capital equipment cost, facility construction cost, storage facility/ container cost, operation cost, expansion cost, decommissioning cost, transportation cost and reserve cost, etc. The spent fuel interim storage management cost was estimated as 18,094,828 million KRW, 0.51 million KRW/kg, and 216.88 million KRW/assembly for dual purpose metal cask method of PWR spent fuel, 10,087,947 million KRW, 0.29 million KRW/kg and 120.94 million KRW/assembly for concrete storage container method of PWR spent fuel, 2,034,125 million KRW, 0.17 million KRW/kg, and 3.24 million KRW/assembly for CANDU spent fuel. Korea 's first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 Kori 1, stopped operating on June 19, 2017 and ended its service life. According to the design life of the nuclear power plant, the design life expectancy of 10 nuclear power plants is expected to end within the next 10 years, such as Wolsong 1, 2022, Kori 2, 2023, Kori 3, 2024, Kori 4.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decommissioning cost of nuclear power plants for safe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It is essential to evaluate the decommissioning cost in order to decommissioning nuclear power plants through safe deommissioning and safe radiation management based on ALARA.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system for evaluating the decommissioning cost of nuclear power plants by evaluating the decommissioning cost of nuclear power plants of Hanul 6 and Wolsong 4 using POWERTool, which is one of the nuclear decommissioning cost evaluation programs. As a prerequisites, did not consider the packaging, transport and treatment of spent fuel and the disposal/packing cost of intermediate and low level radioactive waste. The facility/site assumed a restoration of the green field where unrestricted using of the land and carried out the cost evaluation with the overnight cost without considering the discount rate. In order to calculate the decommissioning cost is the reviewing and selecting the decommissioning plan, visiting the nuclear power plant and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deriving the assumptions, preparing the work list, preparing the decommissioning target quantity statement, developing the unit cost factor, calculating the decontamination cost, estimation of dismantling incident cost, estimation of dismantling management cost, estimation of total decommissioning cost. Detailed schedule and sequence were formed for about 5 years and 8 months (68 months) to decommissioning the PWR. The decommissioning cost without consideration of waste management cost was estimated to be $ 110,996,745. Detailed schedule and sequence were formed for about 5 years (60 months) to decommissioning the CANDU, and net dismantling costs without consideration of waste management cost were evaluated as $ 112,992,424.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interim storage cost of nuclear fuel and decommissioning costs of nuclear power plants proposed in this study is a cost evaluation methodology which can reliably calculate costs based on engineering concepts. These cost-valuation methodologies can help to ensu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financing strategy and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related costs and investment plans for each project period. Therefore, estimation of the appropriate cost estimat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required level of technology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jects based on the engineering design, such as the design of the spent fuel transportation and the interim storage facility, will produc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national policy decision.

      • 정부의 원자력정책 변화와 원전지역의 대응 전략에 대한 제언

        최원백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우리나라는 1978년 고리원전 1호기의 상업운전을 개시한 이후 원자력을 에너지 수급 안정화와 에너지 안보 확보를 위한 중요한 발전수단으로 인식해 왔으며, 2020년 3월 현재 월성 2호기를 포함하여 원전 24기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6월에 정부는 깨끗하고 안전한 청정에너지라는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선언하고, 원전사고 걱정 없는 나라 실현을 위해, 건설 준비 중인 신규원전의 건설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고, 노후 원전의 수명연장을 하지 않기로 하는 등 이른바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78년 고리원전 1호기의 상업운전을 개시한 이후 원자력을 에너지 수급 안정화와 에너지 안보 확보를 위한 중요한 발전수단으로 인식해 왔으며, 2020년 3월 현재 월성 2호기를 포함하여 원전 24기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6월에 정부는 깨끗하고 안전한 청정에너지라는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선언하고, 원전사고 걱정 없는 나라 실현을 위해, 건설 준비 중인 신규원전의 건설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고, 노후 원전의 수명연장을 하지 않기로 하는 등 이른바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의 구체적인 실천계획으로 2030년까지 2017년 현재 30.3%인 원자력 발전 비중을 23.9%로 낮추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6.2%에서 20.0%로 획기적으로 높이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17.12)』을 확정하였다. 이 계획에 의하면 신한울 3, 4호기부터 건설 준비 중인 신규 원전건설은 전면 취소하고, 수명연장 불허에 발맞춰 기 수명 연장된 월성 1호기도 조기에 폐쇄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원자력과 석탄의 발전비중을 감축하고 LNG발전비중을 증대시키는 한편,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까지 확대하기 위해 2030년까지 110조원의 재원을 투자하여 47.2GW 규모의 설비를 증설하기로 하였다. 생명자원의 하나인 에너지 문제는 이제 환경문제이자 경제와 미래 생존의 문제로까지 인식되면서 에너지전환 흐름은 세계적인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보다 더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그리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의 추구를 위한 변화로, 대부분의 선진국들도 자국의 여건에 맞는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화석연료와 원자력 중심에서 풍력, 태양광 등의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확대하는 에너지믹스를 이루는 것으로서, 우리나라도 국토 환경과 자원, 에너지 안보와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 수출경쟁력 제고와 재생에너지 기술 여건 등을 고려한 경제적, 기술적, 점진적, 그리고 합리적인 에너지전환 정책의 추진이 요구된다. 한편, 경상북도는 우리나라 가동 원전 중 절반인 12기의 원전과 국내 유일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장이 입지하고 있으며, 아울러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본사, 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가 있는 국내 최대의 원자력시설 집적지이다. 경북은 그동안 국가 에너지 안보와 원활한 전력 수급을 위해 불가피하게 원전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을 수용해온 바 있으나, 현재 추진 중인 탈원전 중심의 갑작스런 에너지전환 정책은 경북 원전지역의 경제와 산업에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경주시의 경우에는 월성 1호기의 조기 폐쇄, 가동 원전의 수명연장 불가 및 원전 이용률 감소로 지역 세수 전반에 걸친 타격이 예상되며, 울진군의 경우에는 신한울 3, 4호기의 실시설계허가 승인을 앞둔 상황에서 건설이 전면 중단됨으로 인해 건설에 따른 대규모 경제효과가 사라지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60년의 가동 기간 동안에 예상되던 고급 일자리의 증발, 지방세수의 감소, 지역 경제의 침체 등 지역 경제에 미칠 파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전원개발예정구역 지정 고시 이후 사유 재산권 행사가 불가능했던 영덕군의 천지 원전 건설 예정 지역의 경우 주민들의 경제적 손실과 함께 이에 따른 주민들의 불만도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지금까지 단편적으로 수행된 연구결과만 보더라도 경북지역의 총 손실효과는 기회비용이 2조 604억 원, 갈등의 사회적 비용이 2조 3,592억 원으로 총 손실비용이 4조 4,197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라남도 영광군의 경우는 2003년 한빛 5,6호기 준공이후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장 유치도 실패했으며, 신규원전도 추가로 건설되지 않았고, 오직 6기의 원자력발전소 운영실적에 따른 지방재정 수익금에 의존할 수 밖 에 없다. 최근 한빛 3, 4호기는 건설당시의 시공결함으로 인한 격납견물 공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장기간 운영을 중단한 상태로서 원전운영으로 인한 재정 수입이 많이 감소한 상태로서 지자체 예산운영에도 상당한 차질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정부(2015년6월)에서 결정했다가 전면 재검토하게 된 고준위폐기물(사용후 연료 등) 처분에 대한 중앙정부차원의 정책결정에도 적극 참여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대안으로 고려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지방 분권화에 따른 에너지 분권화로 지역 실정에 적합한 에너지정책의 시행과 전력시장 자유화를 위한 법제화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전력요금 감면은 물론 원전 주변지역 산업체에 대한 전력요금의 차별화 등으로 원전 주변지역에 첨단산업시설 유치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원자력사업에 대한 주민의 참여와 지역에 소재하는 여러 원자력사업자와의 소통과 상생 협력의 확대로 각종 원자력사업을 보다 원활하게 추진하고,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원자력산업 플랫폼 구축과 운영에도 원전주변지역 지자체가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Korea has recognized nuclear power as an important power generation source for stabilizing energy supply, demand, and ensuring energy security since it started commercial operation of Kori Nuclear Power Plant Unit 1 in 1978. Furthermore, as of March 2020, 24 nuclear power plants are in operation, including Wolseong Unit 2. However, in June 2017, the government declared a new energy paradigm called clean and safe clean energy, and completely implemented the construction plan of a new nuclear power plant under construction to extend the lifespan of old nuclear power plants in order to realize a country, where free from worry of nuclear accidents. It is pursuing a so-called de-nuclear policy, and more. As a concrete action plan, the 8th Basic Plan for Power Supply ('17.12') was finalized to drastically decrease the proportion of nuclear power generation from 30.3% to 23.9% and increase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rom 6.2% to 20.0% from 2017 till 2030. According to this plan, the new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in preparation for construction from Shin Hanul Units 3 and 4 will be completely canceled, and the Wolseong Unit 1, which the lifespan has been extend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ll be closed early to prevent the extension.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proportion of nuclear power and coal power generation and increase the proportion of LNG power generation, the government decided to invest 110 trillion won by 2030 to expand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to 20% and to expand scale facilities to 47.2GW. A renewable energy expansion policy for solar and wind power plants requires enormous sites for a facility. Thus, there are problems such as fluctuation of output due to weather and climate, causing frequency adjustment of the power system, and inhibiting system stability. In addition, LNG power plants, which are being promoted as alternatives to nuclear power and coal power plants, have 30 years of life span, which causes lots of different problems in terms of economy, energy security, fine dust emissions, and environment. To overcome these problems, solar energy and nuclear power are complementary alternative technologies that can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paradigm.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energy conversion policy, a strategy is needed to devise countermeasures for nuclear power plants so that north Gyeongsang province, where the nuclear power industry is concentrated, can coexist and grow together. To secure nuclear safety in Gyeongju, where Korea Hydro & Nuclear Power (KHNP), the Korea Atomic Energy Environment Corporation, and low- and medium-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are locat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research continuous technologies by creating an integrated technology R&D complex and to improve the long-term energy decentralization and the power market liberalization system. A nuclear power platform should be established by connecting various communities and networks that form and operate a nuclear industry consultative body. For instance, a town hall meeting should be held regularly to communicate between various nuclear power companies (nuclear power plants, KHNP, Korea Nuclear Environment Corporation, Korea Electric Power Technology, and more) and local governments, media, local residents and researchers. In addition, to secure interim storage facilities for spent nuclear fuel in Hanbit Nuclear Power Plant and Gori Nuclear Power Plant, where the spent nuclear fuel is saturated in 2024, various scenarios should be reviewed. The government,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ies should cooperate organically to come up with an early management system so that the nuclear power plant region can survive after the energy conversion policy.

      • 국내 경수로 및 중수로 해체원전의 부지 개방을 위한 잔류방사능 유도농도 도출 및 비교분석 연구

        손진호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19

        A Study on Calcul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Derived Concentration Guideline Levels for Site Release of Decommissioned PWRs and PHWRs in Korea Jinho Son Advisor : Prof. Kong, Tae Young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Currently, there are two permanently shut down nuclear power plants (NPPs) in Korea: Kori Unit 1, which is a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and Wolsong Unit 1, which is a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PHWR). The decommissioning of an NPP involves the removal of buildings and structures and, ultimately, the release of the site for unrestricted use. To release the site for unrestricted use, an assessment of the radiation dose received by individuals using the site must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Korea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otice No. 2021-11, for the purpose of unrestricted site release, the annual radiation dose standard for individuals using the site after decommissioning is set at 0.1 mSv. Conducting such radiation dose assessments for every NPP decommissioning involves practical difficulties. An alternative to this dose assessment is the use of derived concentration guideline levels (DCGLs), which can be used to demonstrate that the dose is within the acceptable standard.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DCGLs for Kori Unit 1 and Wolsong Unit 1. Estimating the DCGLs requires various factors. In particular, there are different scenarios based on the purpose of the site use by individuals, with the residential farmer or the industrial worker scenarios. They are typically considered the most conservative scenarios for evaluation. In these scenarios, the main factors for radiation exposure include the consumption of food produced on the contaminated site or working on a site that has been contaminated by radioactive materials. In this study, the food consumption rates of adults in Korea were surveyed to estimate the DCGLs. The radioactive isotopes expected to remain at Kori unit 1 were estimated using data from the Rancho Seco & Connecticut Yankee NPPs, which have similar decommissioning conditions. For Wolsong Unit 1, measurement data from the replaced pressure tube samples were used, and additional radioactive isotopes were included by assuming concrete activation. Additionally, the site's meteorological, hydroge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were investigated to match the site characteristics for the DCGL calculation. The DCGLs showe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PWR and PHWR. The expected residual final radioactive isotopes for Wolsong Unit 1 included additional isotopes not found in the list of residual radioactive isotopes for Kori Unit 1, specifically 36Cl, 133Ba, 182Hf, 192mIr. On the other hand, the final predicted radionuclides remaining at the site of Kori Unit 1 include 237Np, which is not observed in Wolsong Unit 1. It was found that the DCGLs and dose to individuals were affected by each site's hydr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general, for the common isotopes expected to remain in both decommissioned sites, it was found that the DCGLs differed by approximately 2-3%. However, the DCGLs of 90Sr were found to be approximately 22.38% higher in Wolsong Unit 1 compared to Kori Unit 1. Even for the same radioactive isotopes, different doses to individuals have resulted depending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site. Furthermore, radiation exposure primarily occurs due to gamma-emitting radionuclides remaining on the contaminated site rather than internal exposure from ingestion. This indicates the need to focus on the decontamination of gamma-emitting radionuclides during the remediation of decommissioned sites. It was also found that for some radioactive isotop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ses and DCGLs can arise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coefficient of the soil.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when decommissioning an NPP, soil samples should be collected from each site, and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hould be accurately measured using tracer isotopes to conduct a dose assessment for people using the site after decommissioning. Additionally, hydrogeological factors of the site can also influence the transport of radioactive isotopes, so it is advisable to apply actual measurement data for thes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