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의 문화자본과 사회계급에 관한 연구 : 술을 통한 문화적 실천과 소비를 중심으로

        서진선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논문은 북한사람들의 술과 관계된 문화적 실천과 소비를 통해 ‘고난의 행군’ 이후 재구성되고 있는 북한사회 내의 문화자본에 따른 계급의 분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은 1990년대 중반의 극심한 경제난 이후 점차 시장화 되면서 사회 형태가 분화되고 사람들의 삶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토대와 정치적 접근성, 경제자본이 미치는 영향을 넘어 이제는 지식, 교양, 기술, 경험과 같은 문화자본의 소유가 한 개인의 계급과 계급분파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 것이다.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는 문화자본에 기초하여 프랑스 사회의 계급과 계급분파를 나누고 개인의 취향과 관련하여 각 분파마다 나타나는 성향의 체계인 아비투스를 밝혀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부르디외의 분석방법을 가져와 북한 사람들의 일상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상징 중 술을 선택하여 이를 둘러싼 문화적 실천과 소비를 통해 문화자본에 근거한 북한사회의 계급을 나누어보았다. 또한 술 문화를 둘러싼 여성의 역할과 특징을 통해 북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술과 관련된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문화자본에 근거해 북한사회의 계급과 분파를 나누고 그 안에서 펼쳐지는 특징적인 아비투스를 밝히는 것은 시장화, 사회분화, 이로부터 나타나는 북한주민들의 일상생활의 다양성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differentiation of the social class based on the cultural capital by examining North Koreans’ cultural behaviors, attitudes and the consumption related to drinking alcohol after the great famine, also known as ‘the Arduous March’. As the Government of North Korea allowed marketization partly and gradually since the severe economic crisis in the mid-1990s,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verse forms of society and ways of living in North Korea. The change of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s caused possession of cultural capital including knowledge, education, practice skills, and personal experiences to become an important indicator of social class and the fractions of class in conjunction with previous standards, such as economic capital, political accessibility, and social foundation. According to the French sociologist, Bourdieu, the concept of ‘habitus’ was used to examine values, tastes, and disposition of particular social groups divided by the cultural capital. Taking Bourdieu’s theory into consideration, this current literature discussed alcohol,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phenomena to influence daily lives of North Koreans and researched social status, and class fractions based on the cultural capital. Furthermor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social status of North Korean women through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female drinking cultures. This study carried out an unstructured interview proces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with regard to drinking alcohol. This current research contributes to providing a description of habitus of North Korean people who are ranked based upon the possession of cultural capital, and therefore implies useful and relevant information about marketization, social differentiation, and diversity of North Koreans' daily lives.

      • 남북 사회문화교류 변화 요인 연구

        김영란 북한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남북 사회문화교류 변화 현상에 주목하고, 교류가 40여 년간 시행과 중단을 거듭하며 진행되고 있는데 그 변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보다 진전된 교류 모델을 정립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사회문화교류가 시작된 1981년부터 2018년까지 남북한의 각종 자료를 통해 수집한 교류사례 590건과 교류 변화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남북 사회문화교류 사례는 시기, 분야, 주체, 장소별로 분석하여 교류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그 동태성과 특징을 분단국 교류사례의 모범이라 할 수 있는 동서독의 사례와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교류 시기는 탐색기(1981∼1989년), 시도기(1990∼1997년), 활성화기(1998∼2007년), 조정기(2008∼2018년)로 구분하였다. 분야는 학술·교육, 문화·예술, 방송·언론·출판, 체육, 종교, 남북공동행사, 기타로 분류하였다. 주체는 교류 주도 여부에 따라 민간, 정부 등으로 분류하였고 교류 주최에 따라 남한, 북한, 해외 등으로 분류하였다. 장소도 남한, 북한(금강산·개성 경계 포함), 해외 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교류가 시기에 따라 빈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정치적 영향 아래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분야·주체·장소 등 부문별 교류도 시기에 따라 변화가 있는 것은 남북이 교류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과 관련이 깊다. 또한 교류 주체는 교류의 특징을 결정짓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분야는 교류가 미칠 이념적·정치적 영향 및 기능성과 관련이 크다. 장소는 주민들에게 미칠 영향과 편리성 및 상징성 등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 사회문화교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남한·북한 및 남북관계, 국제환경 등 네 가지 요인 중 시기별로 어떤 요소들이 교류 변화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교류 탐색기(1981∼1989년)는 데탕트와 냉전체제 유지라는 이중적인 국제환경이 남북교류에 영향을 미쳤다. 북한은 교류 탐색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교류를 추진하였다. 시도기(1990∼1997년)는 탈냉전과 사회주의권의 몰락 등 국제정세의 대변화가 남북교류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남한의 「7.7선언」 등 대북정책 영향으로 1991년 남북간 교류협력의 내용을 담은 「남북기본합의서」가 채택되었다. 남한은 적극적으로 교류를 추진하려 하였으나, 북한은 자본주의 바람 유입을 우려하여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교류를 하였다. 활성화기(1998∼2007년)는 국민의 정부의 ‘북한 변화’ 지원 의지가 반영된 대북 포용정책이 교류에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북한이 경제난으로 실용주의 노선을 선택함으로써 2000년 남북정상회담과 「6.15공동선언」이 채택되었고 교류 활성화로 이어졌다. 조정기(2008∼2018년)는 남한 보수정권의 강경한 대북정책과 북한의 도발 등으로 인한 남북관계 악화와 북핵문제에 대한 대북제재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하여 교류가 중단되는 등 후퇴하였다. 그러나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교류가 새로운 전진을 하게 되었다. 결국 남북 사회문화교류의 변화는 남한·북한 및 남북관계, 국제환경 등 네 가지 요인이 서로 맞물려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중층결정의 결과였다. 그 중 남북한 대북·대남정책의 상호작용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요인이 시기 및 상황에 따라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traces the development of socio-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and examines the factors that have caused the ebbs and flow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past 40 years, aiming to provide an analytical basis for more effective inter-Korean exchanges. For this purpose, this dissertation looks into 590 cases of inter-Korean exchanges between 1981 and 2018, data collected from both South and North Korean materials. It also analyzes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d socio-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The cases are analyzed by time, sector, organizer, and venue. The study then discusses their changing dynamics and distinctive features in comparison with the German experience, which is often considered as an exemplary precedent for socio-cultural exchanges. By time period, the study sets four stages - the exploration stage (1980-1989), the trial stage (1990-1997), the active implementation stage (1998-2007), and the adjustment stage (2008-2018). By sector, seven exchange sectors are identified - i.e. academic & educational; art & culture; media (press, broadcast, and publishing); sports; religion; joint events; and the rest. The organizer is categorized into civilian groups and the government by the leading actor and also classified into South Korean, North Korean, and overseas entities. The venue has three sub-categories - South Korea, North Korea, and abroa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xchanges at different times, as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olitical atmosphere. Also, other dimensions of the exchange - sector, organizer, and venue show variations by time period, for they are closely linked to different objectives that both Koreas have pursued. The host or organizer is an essent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exchange. Variance across sectors is heavily related to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impact that exchanges could make. The variations of potential impacts on residents, accessibility, and symbolic values have led to different venue choices. Subsequently, of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inter-Korean relations - i.e. North Korea, South Korea,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dissertation shows which variable has the most critical impact on the nature of exchanges at each stage. At the exploration stage (1981-1989),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which both global détente and the Cold War structure were at play strongly influenced over inter-Korean exchanges. During this period, North Korea led an effort to propose exchanges. At the trial stage (1990-1997), the sea change in international politics - i.e. the disintegration of the socialist bloc and the end of the Cold War were the dominant influences. The 1991 Inter-Korean Basic Agreement which incorporated clause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was adopted as a result of South Korea's proactive policy including the July 7th Declaration. While South Korea actively sought to promote exchanges, North Korea only allowed passive and restrictive exchanges because of its concerns about the influx of capitalist influence. At the active implementation stage (1998-2007), the engagement policy towards North Korea carried out by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was the key variable. North Korea acted on pragmatism in response, although its primary motivation was to overcome economic hardship, making it possible for the two sides to hold the first Summit and adopt the June 15th Declaration in 2000 as well as to expand the exchanges. Finally, at the adjustment stage (2008-2018), with the conservative governments in power in the South, inter-Korean exchanges have dwindled due to multiple reasons such as the South's hardline policy, a series of the North's provocations,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and corresponding international sanctions. However, with the 2018 Winter Olympics in PyeongChang, the exchanges have made new strides. In summary,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is a function of the interactions among four major variables - policy decisions of the two Koreas,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most critical determinant is policy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Koreas, while other factors have been contributing to changes at different times and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 북한 주민의 문화예술 수용 태도 : 함경북도 출신 탈북자를 중심으로

        조현성 북한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507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tent of internalization of the North Korea’s dominant value among North Koreans by exploring the reception of artworks among the defectors in their 40s and early 50s who come from North Hamgyeong Province. This study conducted 14 interviews with the defectors from March until August, 2014. This study assumed that the residents in North Hamgyeong Province could be exposed to other countries’ artworks because of the geographical proximity to China; and as a result, they might show more various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rtworks. The defectors in 40s and early 50s had attended elementary school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ary ideological system of the Party; and so, they had been exposed to artworks depicted the Leader when they were stud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addition, the defectors in 40s and early 50s had gone through the Arduous March in the mid 1990s when they were in 20s and early 30s. Those experiences in their lifetime might have influenced the reception of artworks. Based on the interview data, this study found that the interviewees showed the changes in the reception of artworks in the three different periods over their lifetime. The first period appeared between their attendance in elementary school and in middle school, the second from their graduation of middle school until the Arduous March in the mid 1990s, and the last have appeared since the Arduous March. The first type of reception,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occurred among the interviewees when they attend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y receiving directly the ‘preferred meanings’ which was the connotative and denotative meaning inscribed in the artworks(text) and was produced by the unitary ideological system of the Party. For them, the Leader’s life and the revolutionists’ life represented in the artworks were a true fact, and the Leader was the ‘significant others’. When they wer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y tended to internalize the dominant value through the extreme involvement in artworks, such as identification and empathy with the artworks. By doing so, they had gone through the first socialization process. However, from the graduation from the middle school until the mid 1990s, the interviewees took diverse decoding positions; first,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position by accepting the ‘preferred meanings’ and internalizing the dominant value, second, the oppositional decoding position by refusing the ‘preferred meanings’, third, the negotiated decoding position by selectively accepting the ‘preferred meanings’, and lastly the post-encoding position in which the interviewees sought only for fun with neither empathy with artworks nor consideration of meaning of artworks. In doing so, when they were in late teens and 20s, the interviewees showed the various types of socialization, such as the first socialization or re-socialization(alternations) through which the interviewees refused North Korean artworks. Since the Arduous March in the mid 1990s, in contrast, the diverse decoding positions converged to the oppositional decoding position and became homeogenous again among the interviewees. They had to quit appreciating any artworks because they had to focus only on survival, and came to doubt the authority of legitimacy of North Korea’s governing Party. The interviewees’ experiences in China and their exposure to the South Korean films made them become more suspicious. Since the Arduous March in the mid 1990s, most interviewees had tried hard to refuse the contact with North Korean artworks by keeping their distance excessively from the artworks. Their refusal of the contact with North Korean artworks showed the fact that the interviewees came to break themselves from the internalization of the dominant value. For them, the Leader was not the ‘significant others’ any more, and the unitary ideological system of the Party became meaningless. In terms of the type of socialization, they came to engage in alternations. Re-homogenization taking the oppositional decoding position was resulted from the unification of the subjective experiences caused by the objective economic environment, the Arduous March. So far, North Korean users were considered as ‘passive’ and ‘homeogenous’ ones in the studies of reception of artworks.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interviewees tended to take various decoding positions depending on their own life experiences. In their late teens and 20s, in particular, the types of reception of artworks became divergent. Even though the interviewees’ reception of artworks showed the homeogenous decoding position in the period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in years since the Arduous March, there was still a slight variation in the homeogenous position depending on the interviewees’ life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maintains that North Korean users are not passive receivers but decoders who can interpret artworks with his/her own life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asserts that a person’s factual jud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affect the formation of and the change in his/her reception of artworks over the lifetime. If a person finds a text true, the person takes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position. On the other hand, if a person finds it false, he/she takes the oppositional decoding position. Thus, the reception of artworks is closely related to people’s perception of the political and social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both an intended consequence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during their attend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a unintended consequence (the interviewee’s oppositional decoding since the Arduous March) of North Korea’s cultural policy in which artworks are considered as a means of the governmental propaganda. 연구는 함경북도 출신 40대~50대 초반 탈북자의 문화예술 수용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북한 주민의 지배 가치 내면화 정도를 파악하려는 시도다. 이를 위해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탈북자 14명을 심층 면담했다. 연구 대상자는 유일사상체계 형성 이후 인민 학교에 입학하여 어릴 때부터 북한의 지배 가치가 포함된 문예물(텍스트)을 접한 세대이며,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과 외국 영상물 유통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지역의 거주자다. 문예물 관람자의 느낌·감정을 의미하는 수용 태도는 생애 주기와 시기에 따라 3개 시기(단계)로 나누어 분석한다. 첫 번째는 인민학교~고등중학교 시기, 두번째는 고등중학교 졸업~‘고난의 행군’ 이전, 세 번째는 ‘고난의 행군’~입국 이전이다. 유일사상체계 확립 이후 인민학교에 입학하여 20대~30대 초반에 ‘고난의 행군’을 맞이한 함경북도 주민의 문화예술 수용 태도는 유소년기의 동질성(지배적 해독, 지배 가치의 내면화), 청년기의 다변화, 그리고 ‘고난의 행군’ 이후의 재동질화 경향(대립적 해독, 텍스트 접촉 거부, 지배 가치의 내면화 탈피)으로 요약할 수 있다. 유소년기에는 수령 형상 문예물과 기타 북한 문예물에 내포되고 외재한 ‘선호된 의미’(preferred meanings)인 유일사상체계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지배적 해독을 한다. 문예물에서 재현된 수령과 혁명가의 삶은 ‘사실’이며, 수령은 ‘중요한 타자’(significant others)다. 학생은 북한 텍스트에 ‘극단적 관여’를 통해 동일시하고 감정 이입을 하면서 지배 가치를 내면화한다. 피면담자 대부분의 이 같은 수용 태도는 집체 관람, 제한된 텍스트, 생활 부담이 없는 연령대, 유일사상 교육 체계의 확립, 안정적 경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유소년기의 피면담자는 ‘중요한 타자’인 수령과 유일사상체계를 수용하면서 1차 사회화 단계에 있다. 고등중학교 졸업 이후부터 ‘고난의 행군’까지는 수용 태도가 분화된다. 북한 문예물의 ‘선호된 의미’인 유일사상체계를 수용하는 지배적 해독자, 거부하는 대립적 해독자,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교섭적 해독자가 존재한다. 그리고 문예물의 의미와 맥락을 탈각시키고 감정 이입 없이 재미만을 찾는 탈해독자가 나타난다. 성분·가족사, 문화예술 관심도, 관람 정도, 관람 정서 같은 삶의 경험이 문예물 수용 태도에 영향을 준다. 청년기 수용자의 사회화 단계는 문예물의 수령을 ‘중요한 타자’로 여기며 감정적 동일시를 하는 1차 사회화부터 북한 문예물을 거부하는 재사회화까지 다양하다. ‘고난의 행군’ 이후에는 대립적 해독으로 수용 태도가 재동질화된다. 생존을 위해 모두가 장사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문예물 관람은 중단되고 체제 정당성을 의심한다. 의심을 확인시켜 준 매개물은 중국 경험과 한국 영상물 관람이다. 중국에서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고, ‘고난의 행군’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되면서부터 한국 영화를 보기 시작한다. 중국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체험하면서 북한의 지배 가치를 보여주는 북한 문예물을 더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한국 영화를 탐닉할 경우에는 남한 영화에 부분적 동일시와 감정 이입을 하기도 한다. ‘고난의 행군’ 이후 대부분의 피면담자는 북한 문예물 접촉 자체를 거부하는 ‘극단적 거리’를 유지한다. 접촉 거부는 이들이 북한 지배 가치의 내면화에서 벗어났음을 보여준다. 수령과 유일사상체계는 더 이상 ‘중요한 타자’는 아니다. 이들은 재사회화 또는 부분적 변형의 단계에 들어선다. ‘고난의 행군’ 이후 대립적 해독의 재동질화는 경제적 여건이 주관적 경험을 흡입해 버린 결과다. 지금까지 북한 문화예술 연구는 두 가지를 전제하는 경향이 있다. 하나는 수용 태도의 차이가 없는 ‘동질적 수용자’란 가정, 다른 하나는 지배 가치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동적 수용자’란 가정이다. 동질적 수용 태도는 유소년기와 ‘고난의 행군’ 이후 대체적 경향이지만, 북한 주민을 수동적 수용자로 보기는 어렵다. 문화예술 관람자는 생애 주기, 당시 북한 사회의 정치경제적 환경을 공유하기에 동질적 수용 태도를 보인다. 하지만 ‘고난의 행군’ 이전 청년기의 수용자는 삶의 경험에 따라 단수(單數)가 아니라 복수(複數)로 존재한다. 또한 유소년기와 ‘고난의 행군’ 이후에도 수용 태도가 동질적이지만 동질성 내에서도 주관적 경험에 따라 편차가 있다. 북한의 문예물 관람자는, 수동적 수용자가 아니라 사회적 여건과 주관적 경험에 근거한 기호 해독자다. 한편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 수용 태도 형성 및 변화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은 텍스트의 사실성 여부 판단이다. 텍스트를 사실로 인식하면 지배적 태도를, 텍스트를 거짓으로 인식하면 대립적 태도를 보인다. 문예물에 대한 수용 태도가 체제에 대한 인식과 분리되지 않는다. 이것은 문화예술을 선전·선동의 수단으로 삼은 북한 당국의 의도한 결과(유소년기의 지배적 해독), 또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고난의 행군’ 이후의 대립적 해독)다.

      • 국가건설과정의 북한 문화유산관리 연구 : 1945년~1956년을 중심으로

        남보라 북한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35

        Cultural heritage is a medium to look back on the past and communicate with the future at present. It is especially a “spiritual symbol” to show the common origin of stat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a real sense. Both North and South Korea are aware of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but the realistic issue of division makes it difficult for South Korea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accurately. South Korea has conducted diachronic researches on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f North Korea, but they tend to concentrate on the legislation and exchange pla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ith a focus on the times of researches being conducted, which calls for research diversity. If researches are conducted on the changing patterns by the periods and field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scope of researches on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f North Korea will further expand. With a focus on the beginning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in North Korea,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during the formation of North Korean regime in the nation-building process and check the roots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in North Korea today. The study focused on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f North Korea until 1956, when new changes started to emerge includ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organizing structure since the beginning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the publication of an organ and multiplication of research capabilities for research reports, and the increasing frequency of emphasis on the revolution heritage in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then checking the content.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content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ccording to "legislation, organization, and policy"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reports on cultural heritage and "Joseon Central Yearbook" from the period and sorted out "colonial rule by Japanese Empire, socialism, and Korean War" as the backgrounds that influenced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f North Korea.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eriod of modern states when the concepts of state and cultural heritage were established along with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f North Korea in its nation-building process and checked the meanings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in modern nations through the cases of Singapore, Vietnam, and other nations that were founded in the 20th century. Those nations formed the "national identity" through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nd "achieved social unific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tradition." Based on those cases and the content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f North Korea between Independence and 1956, the study looked into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f North Korea in the nation-building process and found that North Korea formed the "national identity" of "guardian" fighting against the "destroyers" represented by "Japan" and the "U. S. A."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based propaganda and refinement works during the period. The memories of projecting the intentions of state onto cultural heritage, the "spiritual symbols," in the limited space of ruling through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howed the national identity and worked to unify the members of nation. Enacting laws, forming organizations, and doing research and conservation works for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would eventually serve as the methods to express sovereignty with a purpose and propagandize the nation when the nation was being built. The projection of memories and emotions of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through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was the result of complex works of many different factors including such environmental factors as the colonial rule by the Japanese Empire and the foundation of nation through the ideology of socialism. 문화유산은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를 살피고 미래와 소통하는 매개체이며 특히 남·북한의 경우 공통된 국가의 근원을 실재적으로 보여주는 ‘정신적 상징물’이다. 문화유산의 중요성은 남한과 북한 모두 알고 있지만 분단이라는 현실적인 문제 속에 남한에서는 북한에 소재한 문화유산의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기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남한에서 이루어진 북한의 문화유산관리에 대한 연구는 통시적(通時的)이지만 연구가 이루어지는 당시에 초점을 맞추며 법제와 남북교류방안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연구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존연구를 기반으로 시기별·분야별 변화양상에 관하여 연구된다면 앞으로 북한의 문화유산관리에 대한 연구 범위가 더욱 넓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에서 이루어진 문화유산관리의 시작에 집중하여 북한이 성립하던 시기의 문화유산관리가 국가건설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며 오늘날 북한 문화유산관리의 근원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화유산관리가 시작된 후 관리조직이 개편되고 조사보고를 위한 기관지의 창간과 조사역량의 증가, 문화유산관리에 있어 혁명유산을 강조하는 빈도가 늘어나는 변화를 보이기 이전인 1956년까지 북한의 문화유산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그 내용을 확인하였다. 문화유산관리의 내용은 이 시기 문화유산의 조사연구서와 『조선중앙년감』을 통해 ‘법령, 조직, 정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북한의 문화유산관리에 영향을 준 배경으로 ‘일제의 식민지배, 사회주의, 한국전쟁’에 대해 정리하였다. 한편, 국가건설과정에서 이루어진 북한의 문화유산관리와 함께 국가와 문화유산의 개념이 만들어졌던 국민국가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현대국가에서 문화유산관리가 갖는 의미에 대하여 주로 싱가포르, 베트남 등과 같이 20세기 들어 국가를 수립한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들 국가에서는 문화유산관리를 통하여 ‘국가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전통의 창조를 통한 사회통합’을 이루었다. 이런 사례와 광복 이후 1956년까지 북한 문화유산관리의 내용을 토대로 국가건설과정에서 이루어진 북한의 문화유산관리를 살펴보면, 이 시기 북한은 문화유산을 활용한 선전· 교양을 통해 ‘일제’와 ‘미제’로 대변되는 ‘파괴자’에 맞서는 ‘수호자’라는 ‘국가의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한정된 통치공간에서 ‘정신적 상징물’인 문화유산에 문화유산관리를 통한 국가의 의도가 투영된 기억은 국가의 정체성을 보여주며 국가 구성원을 통합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문화유산관리를 위해 법령을 제정하고 조직을 구성하며 조사와 보존을 하는 것은 결국 국가가 수립되던 시기에 의도성을 가지고 주권을 표출하는 것이며 국가를 선전하는 방법일 것이다. 북한에서 보인 문화유산관리를 통한 문화유산에 대한 기억과 감정의 투영은 일제의 식민지배와 한국전쟁이라는 환경적 요인과 사회주의라는 이념을 통한 국가의 수립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문화적응과 귀인 양식

        김경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35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문화적응과 귀인 양식의 관계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귀인(Attribution)이란 본인 혹은 타인의 행동 배경을 추론하거나 사건의 원인을 찾는 인지적 과정이다. 북한이탈주민의 귀인 양식을 측정하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통해 이들의 마음가짐과 심리상태, 감정 등이 추론 가능하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북한이탈주민은 성공과 실패 사건 모두 내부 귀인, 안정 귀인, 통제 불가능 귀인 양식을 보인다. 즉, 북한이탈주민은 성공과 실패 사건에 대하여 본인의 능력으로 귀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이탈주민 집단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성별, 북한에서의 학력, 남한에서의 최종학력, 남한 거주기간 등에 따라 귀인 양식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또한 문화적응 전략 유형 중 통합전략을 선택할수록 긍정적인 사건의 원인에 대하여 강한 안정 귀인을, 강한 통제 불가능 귀인을 띤다. 북한문화 유지 수준과 남한문화 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사건에 대하여 안정 귀인, 통제 불가능 귀인을 보인다. 남한문화 수용 수준이 높을 때에는 북한문화 유지 수준과 상관없이 긍정적인 사건의 원인을 안정 귀인 했고, 북한문화 유지 수준이 높을 때에는 남한문화 수용 수준과 상관없이 긍정적인 사건에 대하여 안정 귀인 했다. 종합하면,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남한 거주기간이 길수록 우울과 같은 심리적으로 취약한 귀인 양식에서 멀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변화는 북한이탈주민 집단이 우울에 취약한 병리적 집단이 아니라 적응의 과정에 따라 인지능력이 변화하고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 또한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은 북한문화와 남한문화의 유지 및 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성공에 대한 기대감과 자부심 등과 관련이 높은 귀인 양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을 위해서는 남·북 문화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두 문화 모두를 통합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adaptation and attributional mod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Attribution’ refers to the cognitive process to infer a behavioral background of individuals or to look for the causes of events. The mindset, mental state, and emotion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can be inferred by measuring the attributional mode and explor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As such, a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139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orth Korean defectors tend to have internal, stable, and uncontrollable attributional modes in both successful and failed events. This means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attribute the success and failure of events to their abilities. When analyzing the North Korean defector group in detail,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ttributional mode is visible in accordance with th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in the Republic of Korea, educational background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period of stay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so on. In addition, when the North Korean defectors choose integration strategy as a cultural adaptation strategy, they show strong stable and uncontrollable attributional mode on the causes of positive events. The North Korean defectors with a higher level of maintaining North Korean culture and accepting South Korean culture show stable and uncontrollable attributional mode in positive events. While those who with a higher level of accepting South Korean culture show stable attributional mode on the causes of positive even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maintaining North Korean culture, those who with a higher level of maintaining North Korean culture show stable attributional mode in positive even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accepting South Korean culture. To sum up, the following two results can summarize this research.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longer the stay period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 stronger the psychological attributional mode. This implies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 group is not a pathological group prone to depression but is changing their cognitive abilities depending on the adaptation process. It also suggests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ability to cope with circumstances is changing in a positive direction. Seco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with a higher level of maintaining North Korean culture and accepting South Korean culture tend to show the attributional mode related to expectancy and pride for succes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had better integrate two cultures in order to settle in South Korea as opposed to choosing one culture.

      • 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적응 실태 : 한겨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최연주 북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의 목적은 새터민 청소년의 특성화학교인 한겨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적응실태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겨레중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생활하고 있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학교생활적응·인성교육프로그램인 창의교과 과정 만족도·자아존중감·남한사회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사회적 지지에 따른 사회심리적 적응 실태를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는 한겨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4세부터 23세까지의 새터민 청소년 전체이다. 설문지는 한겨레중고등학교를 여러 차례 방문하여 문항을 완성하였고, 150부를 배부·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20부는 SPSS 11.5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요인분석·상관관계분석·다중회귀분석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생활과 인성교육 프로그램인 창의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나, 개인의 일반적 특성과 각 척도와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다양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영향과 친구와 선생님, 주변의 도움 등 사회적 지지는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이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한겨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적응 실태를 알아보았다. 사회심리적 적응 변수 3개(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우울감)를 종속 변수로 하고, 학교생활에의 적응도, 실용적·순수예술적 창의 교과과정 만족도, 문화적응 스트레스 그리고 주변·친구·선생님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으로 하여 분석 모델에 삽입하였다. 먼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주변·친구·선생님의 도움이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즉, 학생들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모델에 포함된 다른 요소들(학교생활에의 적응도, 실용적·순수예술적 창의 교과과정 만족도, 문화적응 스트레스) 보다도 주변이나 친구들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즉, 학생들의 부정적 자아존중감이나 우울감은 모델에 포함된 다른 요소들(학교생활에의 적응도, 실용적·순수예술적 창의 교과과정 만족도, 주변·친구·선생님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때문이 아니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주요한 요인이었다. 따라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중고등학교 학생들은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고 밝게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부정적 자아존중감이나 우울감 또한 지니고 있다. 새터민 학생들 역시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서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받을 권리가 있다. 따라서 이들 개인의 사회적 적응을 위한 제도의 중요성이 재고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남한사회 구성원들의 끊임없는 배려와 관심이 요청된다. 또한 새터민을 더 이상 북한인으로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다문화를 지닌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끌어안을 수 있도록 세대별·계층별 교육이 시급히 모색되어야 한다. 아울러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과 교육 연구, 남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관심과 이해, 전문 인력 확보에 의한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등 이러한 각계각층의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의 한 구성원인 새터민 청소년들이 건강한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the social-psychological adaptation of students in Han-gyoreh mid-high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Refugees. The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socio-psychological adaptation were examined. Survey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North Korean Youth refugees at Han-gyoreh mid-high school. Their age ranged from 14 to 23. 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20 returned. Frequency was examin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were checked for the measure.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ocio-psychological adaptation, cross-tabs and multiple regress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taken, As dependent variables, positive/negative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used for measuring the socio-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students. An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artistically creative curriculum, stress from cultural adjustment and support from friends, teachers and neighbors were inserted into the model. Its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t turns out that the students have been satisfied with the creative curriculum for school life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regardless of the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it was the effect of the various personality programs and social support from friends, teachers and neighbors that have provided the student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elf-esteem. Second, it was revealed that support from friends, teachers and neighbors gave meaningful influence to the students in terms of positive self-esteemt. That is to say, support from the community is more influential on forming positive self-respect than any other factors. And negative self-respect and depression were caused mainly by stress from cultural adaptation. Therefore, it showed that where the higher stress from adaptation exists the higher negative self-respect and depression are there. While the subject students are highly self-esteemed and live with passion, they also have to some degree negative self-respect and depression. They have a right to education for their own development since they are a member of this society. Therefore, for their adaptation, importance of the institution must be reconsidered and there has to be constant concern from South Koreans. Moreover, it is required to provide people with multi-culturally and generationally designed educational programs to get rid of prejudice they might have. Finally, the students would play a vital role in this society as a part of it by cooperating with each other. In order to do so, they need governmental policy support, educational studies, promotion of people’s concern and consensus and job training programs.

      • 북한의 문화적 트라우마 연구 : 전쟁과 '고난의 행군기'의 서사화를 중심으로

        윤주영 북한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50735

        본고는 북한의 집단 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친 트라우마에 주목하고, 북한 주민들에게 전쟁과 고난의 행군기의 사건이 문화적 트라우마로 구성되는 과정을 서사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문화적 트라우마란 집단 구성원의 의식에 충격을 가한 비극적 사건에 대한 문화적 재현을 통해 집단 정체성이 위기에 처하고 재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적 트라우마가 구성되는 과정에서 핵심을 차지하는 것은 고통의 피해자와 가해자를 가리고 책임을 귀속시키는 서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본고에서는 이를 서사화로 일컬었다. 특히, 제프리 알렉산더는 사건의 고통을 미화하는 진보 서사가 아닌 고통을 재현하는 비극 서사를 통해 트라우마가 구성된다고 주장하였다. 일반적으로는 서사화를 수행하는 집단 간에 서사의 경쟁을 통해 비극 서사가 지배 서사로 자리매김함으로써 문화적 트라우마가 확산된다. 그러나 당이 서사화의 과정을 독점하고 있는 북한의 사회제도적 환경이 제약 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북한의 서사화 과정은 자유주의 국가와는 다른 양상으로 펼쳐졌다. 북한의 당은 북한 전체에 큰 고통을 가져다준 한국전쟁과 고난의 행군기의 고통을 사회 진보를 위해 치른 대가로 여기도록 미화시키면서도 동시에 고통을 재현하는 비극 서사를 일부 허용하는 이중적 서사화를 통해 사건을 문화적 트라우마로 구성해 나갔다. 전쟁을 승리한 조국해방전쟁으로 서사화하면서도 신천학살 등 일부 고통을 선택해서 적나라하게 재현하였으며, 90년대 주민들이 겪은 고통을 고난의 행군의 호명과 강성대국의 비전 제시를 통해 사회 진보를 위한 희생으로 해석하면서도 강계정신을 통해 자강도에서 발생한 현실적 고통을 묘사하였다. 이와 같이 북한 정권이 인민들이 겪은 고통을 은폐하지 않고 제한적이지만 이를 인정하고 치유하는 서사적 노력을 펼쳐나갔다는 것은 북한 정권이 강압적으로 서사를 주입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인민들의 요구를 서사에 반영하는 노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북한 정권이 주민들의 동의를 얻기 위해 정교한 서사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은 정권과 주민간의 통합적 관계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trauma that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collective identity of North Korea. To understand the collective identity of North Koreans, the study analyz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Korean war and events of the Arduous March period were turned into cultural trauma for North Koreans. Cultural trauma refers to collective identity being brought to a crisis and reconstructed through cultural representation of tragic events that leave indelible marks on group consciousness. What is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cultural trauma is to form a narrative that establishes identities of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and imputes responsibilities, which is called ‘narrative process’ in the current study. In particular, Jeffrey C. Alexander contended that cultural trauma is constructed not through progressive narrative which beautifies suffering, but through tragic narrative which describes suffering. In general, cultural trauma is constructed when tragic narrative emerges as the prevailing one after different social groups conducting narrative processes vie for influence. However, the narrative process of North Korea took place in ways different than it would in free states, due to the nature of North Korea’s society and institutions in which the North Korean workers’ party monopolizes narrative process. The North Korean workers’ party constructed cultural trauma by undertaking a dual narrative process in that it beautified the suffering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Arduous March period as the price for social progress, while allowing for tragic narratives that represent the suffering at the same time. North Korea narrated on the Korean War as the war of national liberation, while selectively describing the suffering such as Sincheon Massacre. It interpreted the suffering North Koreas underwent in the 1990s as the sacrifice for social progress by calling it “the Arduous March” and setting forth the vision of “the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At the same time, it described the suffering of people in Jagangdo through the Ganggye sprit. The fact that the North Korea regime did not conceal the suffering of the North Korean people, but it conducted narrative processes acknowledging and alleviating their suffering, albeit to a limited extent, indicates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is making efforts to incorporate the demands of the people into narrative processes. Tha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making elaborate narrative efforts to gain the consent of the people can substantially help to understand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North Korean people.

      •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와 지원정책 연구 : 분배와 인정의 관점에서

        장훈 북한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35

        북한이탈주민은 한국사회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차별로 인해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정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차원의 분배 정치와 사회문화적 차원의 인정 정치가 통합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남북하나재단의 실태조사(‘정착실태조사’, ‘사회통합조사’)와 정부의 지원정책을 분석하여 한국사회가 북한이탈주민 정착문제를 경제적 ·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하나재단의 실태조사는 경제적 ·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정착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접근 경향은 지원정책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한편, 2017년 실태조사에서 가족 관련 문제를 경제적 관점에서 인식하는 경향이 강화되었고 향후 지원정책이 경제적 자립을 강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경제적 차원의 접근은 점차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착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소득불평등 및 차별 등 사회구조에서 파생되는 결과만을 시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해결 전략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사회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경제구조를 유지한 채 분배 정치를 추진할 경우, 북한이탈주민을 무능한 집단으로 평가절하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문화구조를 유지 한 채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을 재평가하는 방식은 이들의 배타적 집단 정체성이 강화될 수 있으며, 이는 사회통합의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한국사회는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자립 역량을 강화하여 이들의 사회통합을 도모하려는 관심이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원제도는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역량을 제고시키기 위해 금전적 보상을 통한 지원방식에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강화될 경우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정착문제를 간과할 가능성이 높으며 결국 북한이탈주민의 자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정착문제에 대한 한국사회의 접근 경향을 진단해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함의가 있다. North Korean Defector have problems with settlement because of the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social distinction. Redistribution policy in economic perspective and Recognition policy in sociocultural perspective should be promoted integrally to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Settlement Survey of the Korea Hana Foundation and the settlement policy of Korean government to find out whether the Korean society approaches the settlement problem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economic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integrally.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the Survey of the Hana Foundation recognizes the settlement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 in economic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is tendency continues in support policy as well. On the other side, in the 2017 Survey, it is strengthened that people tend to consider the family issues in economic perspective, it is needed to check whether this kind of change has occurred in the other sides. Also, as the support policy intends to promote the economic self-reliance, it is highly likely to strengthen the economic approach. Above this, it promotes to correct only the result which was derived from the social structure of income inequality and cultural discrimination. This problem-solving strategy is meaningful, but it would operates to maintain the current economic structure which seems to be rather problematic. In addition, if distribution politics is pursued, there might be a trouble of devaluing North Korean defectors into incompetent group. The Korean society is highly interested in improving self-relianc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by advancing their level of economic independence. In this situation, the existing support program prioritizes financial subsidy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competency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If this tendency is continued, it is likely that socio-cultural issues of the settlement overlooked, and will have negative effects on their self-reliance in the long ru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Korean society’s approach on the settlement problem of North Korean Defector, followed by the suggestion of a comprehensive approach.

      • 북한 청소년 놀이문화 연구 : 혜산 지역을 중심으로

        박신영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급격한 변화를 거쳐온 1980년대와 2000년대 혜산지역의 청소년 놀이문화를 살펴봄으로써 일차적으로 북한 청소년 놀이를 연구하고, 나아가 두 시대의 놀이문화 비교를 통해 북한사회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질적 연구방법 중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놀이문화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변화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1980년대에 북한의 중학교 과정을 혜산지역에서 보낸 남·녀 각 3명씩 6명과 2000년대에 중학교 과정을 보낸 남·녀 각 5명씩 1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이 청소년기인 중학생 시절에 학교 안, 밖에서 즐겼던 놀이들을 연구하였다. 1980년대 청소년들은 전통적 아동놀이인 수다떨기, 공기놀이, 꼬리잡기, 흙집짓기, 줄넘기, 띠어라, 옥사라, 말타기, 사람잡기, 제기차기 등을 즐기고 있었고, 압록강을 끼고 있다는 지리적 특징으로 여름에는 수영과 겨울에는 썰매, 스키, 스케이트, 빼돌이 등이 발달하였다. 어느 사회에서나 성인문화를 모방하는 청소년들의 모습은 북한의 남학생들에게서 담배나 술, 패싸움 등의 놀이문화로 나타났다. 이 당시 북한의 청소년들의 놀이들은 즐거움과 또래집단의 관계 형성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 또한 북한 사회 안에서, 특히 학교와 조직생활 중에서 청소년들이 느끼는 단조로움과 긴장감을 해소시켜 주며, 놀이를 통해 발휘되는 독립성 및 창의성은 청소년들 스스로 미래를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북한의 변화의 계기가 된 고난의 행군 이후의 2000년대 청소년들은 외부정보 및 유입된 문화를 많이 접했다. 놀이에서도 외부로부터 들어온 것들을 상당히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불법 · 비법인 놀이들도 과감하게 즐기고 있다. 가장 대표적 것으로 게임기, 남한을 비롯한 외부의 노래와 춤, 남한의 영화나 드라마 시청이다. 2000년대 청소년들은 80년대 청소년들이 노출된 학교 운동장이나 동네 공터, 마당에서 기존놀이 중심으로 즐겼던 것과는 다르게 그들만의 공간(빈집, 부모가 없는 집, 어두운 저녁, 주로 집안)에서 그들만의 방식(특히 남한 노래와 춤, 술과 담배, 남녀가 함께 하는 놀이들)으로 즐기고 있다. 이들은 또한 놀이문화에서 저항적 요소를 드러내는 하위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으며, 이 하위문화의 반복과 확산은 북한사회의 변화에 영향력을 가할 수 있음을 짐작하게 된다. 새로운 변화의 모습으로, 인구의 대부분이 장사와 밀수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혜산지역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계층화는 학교에서의 물질적인 격차와 이질적인 또래집단의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경제적 조건이 놀이의 대상을 결정하게 되고, 비슷한 놀이를 즐기는 이들이 새로운 또래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1980년대 청소년들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었던 경제적 이유로 인한 배제와 소외의 새로운 관계망이 나타나고 있다. 이 관계망 안에서 이질적인 새로운 놀이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이 놀이문화에서 사용되는 놀이도구인 게임기, MP3, 녹화기, CD, DVD가 ‘돈’과 연결되어 있고, 돈내기 주패를 치고, 돈을 모아서 음식과 술을 사고, 돈을 이용해서 이동수단을 빌려서 놀러가고, 생일선물을 사거나 생일상을 차려주기 위해서도 돈이 필요하다. 이처럼 경제적 조건은 청소년 놀이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되었다. 즉 경제적 계층화는 이질적인 놀이집단을 형성하고, 이런 놀이문화를 통해서 형성된 관계망은 더 깊어지고 배타적이 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청소년 놀이문화는 외부문화에 대한 모방과 전유의 과정 속에서 기존세대에 대해 잠재적 대항의 요소를 갖는 하위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다. 이러한 놀이문화의 반복, 확산 정도와 이 놀이문화의 유경험자들의 장년기에도 계속적으로 유지, 발전시키는 정도에 따라서 북한사회의 변화를 추동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youth culture of the play in Haesan city of North Korea had been evolving between the 1980s and 2000s. Accordingly, the analysis identifies the trends of North Korea social changes through comparison of two youth recreation cultures In-depth interviews among qualitative survey methods were conducted for examining the youth culture details. 3 girls and 3 boys respectively who experienced middle schools in 1980s of Haesan city were selected. Additionally, 5 girls and 5 boys were interviewed among those who studied during 2000s in the same city. All interviewees experienced the Economic crisis of North Korea that is so called “Konanwehangun “. In the study, games, sports and entertainments were reviewed that were enjoyed in and out of middle school period. Its results are followings: The adolescent in 1980s played traditional youth games such as Sudaddulgi, Konginoli, Korijabki, Hekjipjiki, Tiara, Oksara, Maltaki, Sarabjabki, and Jekichaki and so on. Furthermore, they took an advantage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Haesan where is located in Yalu River. Swimming in summer as well as skiing, skating, and Ssulmae, Bitoi were popular seasonal sports for them. Like common characteristics that shows in teenagers, they tend to imitate adult culture. it is founded that the male group of youth plays smoking, drinking alcohol, and group fighting. The games they played contribute to building good relationship with peer group and to have a fun time. It also helps cultivating the capacity of problem solving in the future. After 2000, however, they have contacted the culture outside that flowed in the city. As a result of influx of outside culture, they used to play them and even illegal ones. in own their space, electronic game machine, song, and dance produced out of North Korea are classic examples of playing. Furthermore, they liked to watch soap operas and movie films of South Korea. It was viewed that they developed the sub-culture that contained the factor of resistance through enjoying items above. In turn, their opposition culture might impact to the main stream of North Korea culture if they expand and repeat it on their own way. In the form of a new change, the economic stratification appears in youth culture in play and impacts widening a gap between the have and the have-not. Moreover, it leads to form a heterogeneous culture in peer groups according to material status. In fact, more than 70% of the population earns their living by smuggling and trade in Haesan area, unlike other cities of North Korea. The material condition becomes the factor of determination on what kind of games they were eligible to play and affected in generating different peer group who were distinct from regular groups. It is noted that new neglected and rejected peer groups and networks have emerged due to material condition that was rarely noticed in 1980s. It is also identified the new trends connected to money in all aspects: playing games such as machine of electronic game, MPEG Audio player, recorder, CD-ROM, and Digital Video Drive, enjoying a kind of gambling “ Jupe” , collecting money to purchase food/ liquor, renting vouches for personal travel, providing birth day gifts, and hosting a birthday party . Accordingly, economic conditions play such a significant. Economic stratification results in forming different youth group. Moreover, the culture of youth play has become more exclusive deepened. Finally,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at the order and discourse that are identified through the study can be applied to the main stream culture of North Korea with the similar pattern.

      • 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 : 기혼 북한이탈여성과 결혼이주여성의 비교를 중심으로

        야마기와 타카코 북한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35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nalysis of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North Korean defectors and marriage immigrants during their assimilation to Korean socie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six female marriage immigrants, all of whom have resided in Korea for more than six years. The interviews focused on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these women, an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economic exclusion, sociocultural exclusion, and institutional exclusion. First, analysis of the economic exclusion experienced by these women showed that their financial conditions had improved since arriving in Korea, though their current standards of living were not necessarily as high as what they had expected before arrival. Members of both groups mentioned the difficulty of entering the skilled labor market in Korea, citing reasons such as the lack of recognition of their skills,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he second category, sociocultural exclusion, was the type of exclusion felt most heavily by both groups. Both the North Korean defectors and marriage immigrants felt that Koreans viewed them as foreigners, as strangers who were not necessarily in Korea to stay. Members of the marriage immigrant group felt that many Koreans regarded them as people who had come to Korea solely for financial reasons. On the other ha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mentioned persistent stereotypes that lead to their being viewed as people with abnormal thinking patterns for whom an ordinary lifestyle is difficult. Both groups remarked on the role played by the media, which often exaggerate support policies and provide distorted portrayals that cause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Opposing results were seen in terms of language: while the marriage immigrant group viewed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s a necessary tool to accelerate their assimilation to Korean society, the North Korean group felt that their linguistic habits led to discrimination and therefore needed to be adjusted. Finally, aspects of institutional exclusion (such as exclusion from public services and deprivation of rights to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not clearly seen; however, problems in institutional systems regarding education and work opportunities were mentioned as significant issues. Neither group seemed to fully understand the emphasis on private education among Korean families, and had become passive observers regard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Most members of both groups shared the tendency of their children to conceal their background amongst their peers.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marriage immigrants, and points to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specific policies regarding these two groups. The influx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marriage immigrants is a fairly recent phenomenon, continuing to increase since 2000, so it may be difficult to expect an organized structure aimed at full social integration to be achieved quickly; however, this study provides a realistic background of two groups that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in Korea, and suggests the need for fuller integration methods.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제점을 사회적 배제의 틀로 분석하였다. 한국에 정착한지 6년 이상 된 북한이탈여성과 결혼이주여성 각각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이 한국 사회의 정착의 과정에서 어떠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 지 경제적 배제와 사회문화적 배제, 제도적 배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제적 배제 분석 결과 이들은 이주 이전에 기대하였던 경제적 수준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이주 이전의 생활에 비해 개선된 경제적 여건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 질 좋은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장벽이 높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 이유는 한국사회가 이들을 질 좋은 일자리를 가질 만 한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기거나, 이들의 과거 학력이나 경력 등을 제대로 인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배제의 양상은 사회문화적 배제이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한국인들이 자신들을 언제든지 한국을 떠날 수 있는 사람들로 인식한다고 생각했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해서는 돈을 보고 한국으로 온 사람들로 취급하는 반면, 북한이탈여성에 대해서는 ‘완전히 비정상적인 생활과 사고를 하다가 한국으로 온 사람들’로 인식되고 있거나, ‘정상적인 방법으로 잘 사는 것은 어려운 사람들’로 오해를 받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주여성은 이들에 대한 지원이 많은 것처럼 포장된 정책홍보로 인해 불필요한 오해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미디어에서 이들을 다루는 것에 있어서 왜곡이 크다고 지적하였다. 언어의 경우 두 집단이 느끼는 언어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어의 습득이 사회적응을 위한 촉진 요소로 작용하여 한국어에 익숙해질수록 한국사회 적응이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반면, 북한이탈여성은 자신들의 언어습관이 차별을 만들어 내는 사회적 위계의 요인으로 작용하며, 기존의 언어습관을 고쳐야만 한다는 강요를 느끼고 있었다. 제도적 배제에서 사회참여의 기회 즉, 공공서비스로 부터의 배제나 정치적 참여기회의 박탈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취업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다고 주장하였으며, 교육제도와 관련된 문제는 다소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사교육이 중심이 된 한국의 교육현실을 이해하지 못하며 자녀교육과 관련해 두 집단 모두 소극적인 방관자로 전락한 상태였다. 이 두 집단은 대체적으로 아이가 북한이탈주민 가족이거나 다문화가족 출신임을 숨기려고 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이 논문은 북한이탈여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에 대한 정책이 보다 정교하게 수립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사회적 배제라는 틀로 이 두 집단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사회통합에 대한 접근을 다원화 할 수 있었고, 사회에서 배제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의 경험과 그 이유의 맥락을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