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계절에 따른 Make-up의 색채 분석 연구

        정순호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33311

        메이크업이란 인간이 가지는 창조적 행위의 하나로서, 아름다워지고 싶은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표현방식인 동시에, 인간관계를 통한 의사 전달 및 개인의 이미지를 통한 개성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표현이다. 최근 컬러 메이크업의 발전과 함께 메이크업에서도 색채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메이크업에서의 색채는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향장업계에서는 자사 소속으로 색채 연구소를 개소하는 업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소비자들의 색상 선호도 조사 등 실증자료를 토대로 색조 화장품 출시를 하고 있다. 따라서 출고되어진 제품의 메이크업 색채 이미지를 비교분석한다는 것은 메이크업의 유행경향이 어떠한지 그 추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계절별로 색채이미지 컨셉이 어떠한지를 분석한다는 것은 우리나라 향장업계의 계절별 색채특성을 파악하게 하며 소비자의 계절별 메이크업의 색채 선호도 연구 및 향후 계절별 색채 파레트 개발에 기여하리라 본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이미지의 기본적인 특성과 이해를 바탕으로 2000년 이후 한국 여성들의 미적 가치기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화장품회사들의 지난 2000년부터 2004년까지 비주얼을 통해 나타난 메이크업 색채 이미지들을 통하여 전반적인 트랜드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미지와 계절에 따른 메이크업의 색채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의 메이크업 색채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4년까지의 국내 화장품 시장 점유율이 높은 태평양과 LG회사의 20대 여성을 위한 화장품이 수록된 패션잡지, 미용화보, 인터넷 등에 나타난 광고를 대상으로 이미지별, 계절별 메이크업의 색채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 이후의 메이크업 트랜드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패션과 사회적인 트랜드의 영향으로 메이크업 색채들 역시 특정한 유행색을 획일적으로 쓰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각 계절별 메이크업이 특정한 유행색을 제시하지 않고 각각의 개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채 이미지들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2000년 이후 메이크업 색채 이미지의 큰 흐름은 부드럽고 여성적이며 자연스러운 이미지이다. 둘째, 이미지별에서는 전체적으로는 로맨틱한 이미지(6점), 엘리건트한 이미지(5점), 고저스한 이미지(5점) 메이크업이 자주 나타난 반면, 클래식한 이미지(2점)나 네추럴한 이미지(3점) 메이크업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못했다. 이는 2000년 이후에 여성들의 메이크업 패턴이 자신의 주체성을 더욱 강조하고 강점으로 부각 시키고 있는 현상을 메이크업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 할 수 있다. 태평양은 로맨틱한 이미지 메이크업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LG회사에서는 모던하고 페미니즘적인 이미지 메이크업에 치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절별 분석에서는 각 계절별로 추구했던 이미지는 비슷한 구성을 하고 있었으나 회사별로 보여주는 이미지별 메이크업 패턴은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색상과 색조의 구성에 있어서 태평양보다 LG제품의 경우 펄과 글로시한 표현들이 메이크업에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펄의 느낌 또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었으며 질감과 색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메이크업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있어 태평양과 LG회사간의 색조 메이크업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Make-up is one of the most basic desires in human beings who want to be beautiful. However, Make-up doesn't mean only fulfilling desire. These days, behaviour of make-up is not only personal skill for making some one look good, but also, creative work, communication of effect and being polite, which are included in the meaning of social life. That is, it accomplishes a roll in the meaning and the creation of communication among people. Make-up has changed over time, differences in showing society and culture of an era. Intrinsically, Human beings have attribute for being beautiful and that beauty expresses phases of the era of it's times. Therefore, make-up is like the activities of your age that refect significant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 Expressly, industrial development effects a lot of the culture of female make-up. Through industrial development, the due to the in activities understanding in woman who participate and have occupations and necessity of make-up have been changing. Many people think of only the material aspects of using cosmetics. They think too narrowly and only about the physical benefits of applying make-up. True, the use of cosmetics can enhance one's beauty by reducing the appearance of wrinkles and producing a more healthy looking skin tone, etc. But more importantly than that, the proper use of cosmetics can enhance one's emotional well-being. Women that lack self-confidence and esteem, can gain great mental benefits as well by the fine art of applying make-up. The proper use of cosmetics can create large positive changes in some women's lives. These psychological changes and benefits can far outweigh the physical changes and benefits that women gain. This paper presents an abstract of both the material or physical attributes as well as the emotional or mental benefits. Cosmetics in the commercial and advertising industry is big business. It is "cut throat" throughout television, magazines, newspapers, internet and other mass media advertising to "lure" prospective customers. The latest trends or fads have great impact on what is sold and what is not sold. These trends over time help sway the thinking of the average person on what their definition of beauty and pretty is presently. What people perceive as a beautiful face changes over time and is highly influenced by what the current advertising trends are. One trend in the industry now is towards cosmetics that were produced without any scientific research that may have harmed animals in the process. So now, more than ever, academic knowledge about the ingredients of the product and how it was produced are more important than ever. This paper is an abstract of the amazing use of color in the cosmetic industry since the year 2000. This industry uses the wide array of colors across the spectrum to make a diversified assortment of products for any time of year. The seasons of the year offer a vast contrast in natural colors. The make-up industry uses these seasonal natural colors as a starting point for development of "complimenting" colors that enhance the surrounding natural color hues. And of course, current advertising trends that portray the latest color hues with the current season's natural blends of color, heavily influence the buying patterns of consumers. This combination of advanced technological production techniques, focused advertising on trendy ideas and colors, and the individual tastes of millions of eager customers, produces as an end result the forever changing attitudes of what the "typical beautiful Korean woman" looks like.

      • 에스닉 이미지의 복식에 따른 메이크업 연구

        조민경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3279

        As the 20th century encounters multi-original age, the center of the culture has centralized to concern over non-western cultural environment from western culture and this movement has made increase of effort to get motive from constituents of traditional and ethnic customs of natural environment. Especially, Ethnic has become an issue as the hippies- a western subculture- had made an interest on Eastern culture by resisting against their own culture and from influence of Post-modernism, free from ideology of the formality of Modernism and Rationalism had made accept the other cultures positively. That is, Ethnic could be generally said as a cultural constituent that has strong characteristics of race and factors of different cultures. As the point of view changes from machine to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it's getting more frequent to get inspiration from natural and traditional items and to use these as a motive and it's even getting to be popular. On this thesis, Oriental culture- Korea, China, Japan as a group - which has strong ethnic images will be described and by dividing India and Africa, will try to investigate each countries' folk dressings by analyzing particularly on characters of the modeling which are shape, color, material and the feel of the material, pattern and scar. And also, will try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dressing, make-up, and hair style, that is to say the fashion which are illustrated and expressed by the eastern and western designers who are influenced by folk dressings. The study of this thesis has collected the folk dressings that reflects ethnic images which were expressed on the collection paper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ooks printed from year 2000 to 2006. 20세기 다원화 시대를 맞이하여 문화의 중심이 서양에서 비서구적인 문화 에 대한 관심으로 서양의 기계중심에서 인간중심, 자연환경으로의 시점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자연적이고 전통적인 민속적 요소에서 모티브를 얻으려는 노력이 가중되었으며 점차 대중화 현상까지 일어나게 되었다. 특히 에스닉은 서양의 히피라는 하위문화에서 서구문명에 대한 반발로 인하여 타문화에 대한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점차 타문화의 긍정적인 수용으로 받아들여졌다. 20세기 후반부터 자연주의 흐름과 맞물려 동양의 선(禪: Zen)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 문화총체적으로 붐을 일으켜 종전에는 참선이라는 수양에 그쳤으나 최근에는 의복이나 음식, 인테리어 등 물질문화 쪽으로 그 영향권을 넓혀 가고 있다. 이러한 동양의 사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또 다른 새로운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에스닉이라는 민족의 토속적인 이미지가 짙게 깔려있는 문화가 자리 잡아 하나의 문화코드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의 서론에서는 에스닉이 각광받게 되고 대중화현상이 일어나게 된 이유를 서술하였으며 본론의 이론적 특성에서는 에스닉의 발생배경과 정의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에스닉 이미지를 오리엔탈(한국·중국·일본), 인도, 아프리카로 분류하여 각 나라의 민속적인 이미지를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패션에 나타난 조형적인 특성에서는 각 나라의 민속적인 특징을 형태, 색채, 소재 및 질감, 문양 및 상흔 등으로 분류하여 특징적인 요소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현대 패션에 나타난 에스닉 이미지의 유형에서는 민속복식에서 영향을 받은 동·서양 디자이너들이 컬렉션을 통해 해석하고 표현하는 에스닉의 의상,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즉 패션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2000년대부터 2006년까지 국내외 서적과 컬렉션 잡지에 나타난 디자이너들의 에스닉 이미지를 반영하고 있는 복식을 중심으로 수집하여 복식에 따른 메이크업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패션의 조형적인 특성을 기준으로 현대의 디자이너들이 해석한 에스닉 패션의 해석을 살펴본 결과 전통적이고 민속적인 성향이 강한 패션이 주를 이루었으며, 특히 일본의 기모노에서 영감을 받은 레이어링(Layering)이나 직선재단의 비구조적인 형태와 중국의 치파오(Chipao)의 타이트한 실루엣과 매듭 단추, 사선 여임, 만다린 칼라(Mandarin collar), 긴 슬릿(Slit)의 형태와 실크직조에 용문이나 꽃모양, 식물문양의 자수 등이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그리고 한국은 저고리와 옷고름의 디테일, 오방색의 색채 표현이 두드러졌으며, 인도는 사리, 도티 등 재단하지 않은 천을 몸에 그대로 둘러 입는 착장법과 페이즐리 문양, 그리고 아프리카의 기하학적인 문양이 활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패션과 더불어 패션코디네이션의 중요한 요소인 메이크업에서는 동양 여성처럼 작게 오므린 듯 한 형태의 입술화장, 속눈썹을 표현한 과장된 곡선들은 동양의 신비감을 표현하였고, 짙은 눈썹과 눈꼬리를 길게 뺀 아이라인 등이 에스닉한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색채에서는 민족의 강한 색채감을 원색컬러를 사용하였고 중국 특유의 심홍색을 주조로 붉은 이미지를 주었으며 아프리카의 원시적인 미를 표현하기 위하여 피부를 검게 페인팅하여 원색적인 컬러를 터치감있게 살려주었다. 이와 같이 지역특성에 따른 에스닉은 현대사회에 적합하도록 고유의 형태, 색채, 소재 및 질감, 문양 및 상흔 등으로 현대 패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되고 재해석 하여 새로운 감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점차 기계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세계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세계가 단일 공동체로 인식 되어 세계사의 문화사조의 흐름은 사라지고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화양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겠다. 이처럼 현대 패션에 나타난 에스닉은 시대적 흐름과 예술사조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요소를 혼재하고 있는 다문화적인 양상을 띄고 있으며 이러한 배경으로 더욱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테마로 인식함으로써 민족의 자연주의적 개념을 바탕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경향들이 세기말을 맞이하면서 다양한 시대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이 융합과 절충에 의해 새로운 이미지로 재구성되어 끊임없이 연구·발전 되어지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현대 에스닉의 복식에 따른 메이크업을 연구하여 더 나아가 변화를 예측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과제이다.

      • 패션 광고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인지에 관한 연구

        임미애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3263

        현대는 산업사회의 고도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미(美)에 관한 상품이 늘어남에 따라 광고 속 에로티시즘 표현도 증가하고 있다. 에로티시즘은 인간의 본능으로서 인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표현되고 있다. 광고 속 에로티시즘은 인간의 기본 욕구인 성에 호소하는 효과적 수단으로 광고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광고 속 에로티시즘의 많은 표현요소들 중 노출정도, 자세, 의상스타일,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색상 등 에로틱한 표현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논문은 패션 광고 속 에로티시즘의 효과적 표현을 알아보고자 표현요소와 인지 정도를 연구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에로티시즘의 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증 분석을 위해 자극물을 제작하였다. 자극물은 패션광고 4장의 사진으로 각각 4종류의 자극물을 만들어 패션 스타일리스트 전공 학생과 비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총 236부가 실증 연구에 이용되었고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과 분산분석(ANOVA)및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에로티시즘 인지 차이는 성별과 수입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전공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성적 관심도에 따라 에로티시즘 인지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광고사진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표현 요소 중 자세를 가장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4종류의 자극물에 대한 인지정도에서 자세를 보여준 자극물이 가장 높게 인지하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볼 때 같은 광고라 할지라도 표현 요소들에 의한 인지정도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자세는 에로티시즘을 인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앞으로 에로티시즘을 표현하기 위해 더욱 더 다양하고 과감하게 표현되리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피험자 대상과 자극물의 제한이 있었으며 설문 문항의 구성이 주관적이었다는 한계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This thesis is on level of recognition and element of expression to understand the efficient expression of eroticism in fashion advertisements. A advertisement is the efficient way to promote products and its expression is diversifying these days. Moreover, fashion related goods have been increased as inkustrial society is highly growing. With this trend, erotic advertisements are often released to improve advertising impact by appealing sexual desires. In this thesis, erotic expressions in advertisements such as a level of body exposure. Posture, clothing style, make-ups, hair style, and color are studied. As a way of study, sample advertisements are make for practical analysis on recognition of eroticism. These sample advertisements consist of four different photos and surveyed by two different student groups. One is student majored in Stylist and the other is not majored in Stylist. Total of 236 surveys are conducted and regression analysis and diversion analysis are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eroticism recognition varies with major of students surveyed, but not with gender or income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high sexual in forest correlates with the high revel of eroticism recognition. Doe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roticism expression elements. This fact correspond, well with the experiment that demonstrated stimulants pose were recognized most highly from four kinds of stimulants. In conclusion, the level of recognitions varies with expression elements ever in the same advertisement and pos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re fore, more aggressive and direct expression will be useful for explicit expression of eroticism.

      • 외적이미지를 리드하는 여성들의 미적 관심도 외모 관리 행동 연구

        조슬기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33247

        21세기의 급변하는 현대적 특징들은 인간의 도덕적, 윤리적 규범과 가치관에 커다란 영향을 주어 인간의 아름다움에 대한 미적가치 기준을 다양하게 변화시켰다. 이에 따라 외적 이미지 관리행동은 외모를 중심으로 한 외면적인 미뿐만 아니라 자신의 의사를 표출하고 가치를 상징하며 외적인 실체와 내적 존재와의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생활문화로서 뚜렷한 특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하나의 문화적인 코드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의 서론에서는 외적 이미지를 리드하는 직업을 가진 여성들의 직업군을 선정한 이유와 필요성을 피력하고 연구내용을 제시하였으며 본론의 이론적 특성에서는 여성들의 이미지 중 외적 이미지와 내적 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 자아 존중감,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연구문제에는 외적 이미지를 리드하는 여성들의 외적 이미지 관심도를 알아보고 외적 이미지의 만족도와 외적 이미지와 자아 존중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트랜드 관심도와 트랜드의 경로에 대해 알아보고 외적 이미지를 리드하는 여성들이 추구하는 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외적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관심을 두는 서비스는 무엇이며 어떠한 발전을 바라는지 알아보았으며 외적 이미지를 리드하는 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논문의 검증을 위해 수도권과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항공인, 방송인, 미용인, 호텔리어, 서비스업종인과 같은 직업을 가진 여성을 423명을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ANOVA test, 교차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수집, 표본 집단의 특성 및 통계자료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실증적 문제에 대하여 자료의 통계분석을 살펴본 결과 호텔리어와 항공인은 자신의 이미지가 곧 직업을 반영하므로 이미지의 중요성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 이미지를 추구하는 미적 선호에는 지성미와 자연미로 나타났다. 외적 이미지를 리드하는 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에는 메이크업, 의복, 헤어스타일, 네일 아트, 피부 관리, 성형, 건강의 7가지 변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변인들 중 메이크업 연출시 전체적인 얼굴의 균형과 조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복구매에서 본인과의 조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헤어 선택하는 데는 주위사람의 추천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네일 관리는 전문 네일 乍 받는 것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관리는 자택에서 직접관리가 의외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리에도 충실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전체적으로 외적 이미지 추구 시에 가장 중요시 하는 부분은 자신의 외적 이미지와의 전체적인 조화를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사회에는 문화적 발달과 함께 미의 개념도 모든 여성에게 다양화. 개성화되어가면서 신체 외 · 내적인 건강을 포함한 외적 아름다움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강해지고 있으며 시대가 요구하는 미의 기준은 사회 · 문화적인 배경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가지고 있지만 자신의 외모에 대한 노력은 새롭게 자기 자신을 지각하는 계기가 되며,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인정을 받고 호감을 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사회생활에도 긍정적인 자세를 갖도록 해준다. 이러한 외모관리행동은 끊임없이 연구, 발전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외적이미지를 리드하는 직업을 가진 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을 연구하여 일반인들의 미적특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상적인 미적특성을 제시하여 외모관리행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연구가 중요한 과제이다. The aims of this project were : 1)firstly, to find out women's, who can lead an external image, satisfaction of external image, interest in beauty and featur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2)to understand not only external beauty but also mentality such as self esteem. Therefore, we can understand features of beauty deeply and guide consumers in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effectively by showing them ideal features of beauty. <Main purposes> 1. Research into female exteranl image, who can guide. 2. Research on female interest in beauty in order to follow after their appearance. 3. Research on femal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Data were administered to 423 female such as cabin crews, people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beauty artists, hoteliers and service men living in Seoul and Busan.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SPSS11.0 for window program has been activated. This program includes frequency, cross analysis, ANOVA TEST, and related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emale, who lead image, their Interest and satisfaction on External image have been high. Also, these results can effect their self esteem and job satisfaction. 2) When it comes to efforts to keep up with their own image regarding their job, age and income, their efforts will be higher as their income is high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age and effort. As for the job, hoteliers and cabin crews show more interests and efforts than any other else. 3) Female, who guide image and appearance, show their interests in trend a lot and their interest will be increased when they are older. Especially, young people use internet search whereas the old prefer magazines, books or medias. They prefer 'beauty enhanced by intellect' and 'natural beauty'. 4) Female, who lead image and appearance, they focus on body, skin care. People over 50 concerned about their health matters and they want mutiful beauty service. 5)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can be divided into makeup, hair, nail, skin care, health, plastic operation. Mostly, they take care of their health via workout (34.3%). As far as make-up is concerned, the balance and harmony on their faces are shown highly(41.8%). When people purchase clothes, one's harmony is the most important matter(59.8%). Most people would be influenced by recommendation from others when they want to do their hair(38.3%). Also, people often visit professional nail shops(43.3%) and they tend to get people their houses so that they can get home service comfortablely when they want to take care of their skin(36.2%). According to this study, people make an effort of their balance of external image and appearance.

      • 19세기 상징주의 회화를 응용한 Body Painting 연구

        황지호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247

        Body Painting mobilizes all expressible methods visually in human's body and image does videotex. Depart in static work painting in person's body and I can speak as work that inspire vitality in the work. The primitive ages of to protects oneself from fierce animal at the very least and displays class or consecratedness or Body Painting that is used by conduct the incantation enemy or is used long time ago to distinguish strain by resources that demonstrate nation's strong power of combination and force in 2002 Korea and Japan World Cups use. Though Body Painting can feel animation whenever a person moves, there is the sense. I have approached as commercial painting more intimate and near to us there is Body Painting used to event in local festival, business event and play movable property commercially. Modern Body Painting is having infinite development possibility as applied fine arts field that express symbolic concept of writer in human body concretely through creative form and contents. Can improve art sex and power of expression of work by linkage with various art. Body Painting work is similar with symbolism esthetics that writer's creation intention is serious view measure and was in fashion in 19th century in terms of various aesthetic expression is possible. Body Painting to part of reed art mainly in virtue study estimation study. This investigator studied book and connection books and literature for systematic theory thesis. Examinesed Body Painting's origin and arranged to a proof and studied Byeoncheonsa by age. Also, studies various Body Painting expression method and arranged to a proof. This investigator studies symbolism that is 19th century art and analyzes characteristics of symbolism and analyze similarity and characteristic as Body Painting's whereabouts. Special quality about inside mind vent of mortality of symbolism is good material of Body Painting at point that start from viewpoint about human. Body Painting can say that interest about human is the basicest that representation is possible art through human body. Because 19th century symbolism art embosses writer's idea, object connected with individual, woman, dream, deathlife etc. were handled to main notion. Symbolism art developed because was expressed as synthetic form of several field of art of literature, music, art etc.. in same age. Because Body Painting has personality as composite art that several factors with music, model's rhythm, lighting, painting material and technique are synthesized, there were symbolism art and similarity. In this study, I wished to review in Body Painting work of creative work with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 of symbolism. I wished to suggest motive that analyzes several characteristics of 19th century symbolism conversation and esthetics that writer's idea is reflected mainly and is new in Body Painting field. With such symbolism esthetics study, I wished to display Body Painting of work that have art sex. That is a representative symbolism painter as for symbolism writer's study extent diagonally, I put limiting point by Mungkeu, Reudong. Expressed in canvas and human body and compare various techniques that is applied in symbolism with study of singularity. Body Painting is effective to manage subject that is private regarding symbolism reflect writer's idea to three-dimensional space that is a human body and when produce work regarding human body by Body Painting specially, effect that raise subject was enlarged. Can help symbolism pictorial expression can give possibility as new theme Body Painting writers through work study and develops various Body Painting territory I am considered. This research paper wished to present Body Painting as new motive through Body Painting work study that apply symbolism art. Body Painting은 인간의 신체에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이미지를 영상화하는 것으로 사람의 몸에 그림을 그려 정적인 작품에서 벗어나 그 작품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원시 시대의 적이나 맹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계급이나 신성함을 나타내기 위해 또는 주술적 행위로 사용되거나 종족을 구별하기 위해 오랜 세월 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Body Painting이 2002 한일 월드컵에서 민족의 강한 단결력과 힘을 과시하는 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진바 있다. Body Painting은 사람이 움직일 때마다 생동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상업적으로는 지방 축제, 기업체 이벤트 및 놀이동산 등에서 행사용으로 이용되는 Body Painting도 있는데 상업적인 페인팅이 우리에게 더 친근하고 가깝게 다가와 있다. 현대의 Body Painting은 작가의 상징적 개념을 창조적인 형식과 내용을 통해 구체적으로 인체에 표현하는 응용미술분야로서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다양한 미술사조와의 결합으로 작품으로서의 예술성과 표현력을 높일 수 있다. Body Painting 작품은 작가의 창조 의도가 중요시 되며 다양한 미적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19세기에 유행하였던 상징주의 미학과 유사하다. Body Painting은 선행연구에서 주로 바디 아트의 일부분으로 평가 연구되었다. 본 연구자는 체계적인 이론 정립을 위해 단행본 및 관련 서적과 문헌을 연구하였다. Body Painting의 기원을 살펴보고 표로 정리하였으며 시대별 변천사를 연구 하였다. 또한 다양한 Body Painting 표현방법을 연구하여 표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자는 19세기 미술사조인 상징주의를 연구하고 상징주의의 특징들을 분석하여 Body Painting의 소재로서의 유사성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징주의의 인간의 내부 심리 표출에 대한 특성은 인간에 관한 관점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Body Painting의 좋은 소재가 된다. Body Painting은 인체를 통해서 표현이 가능한 예술임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이 가장 기본적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 상징주의 예술은 작가의 이데아를 부각시켜 개인과 관련된 사물, 여인, 꿈, 죽음과 삶 등이 주요 관념으로 다루어졌다. 상징주의 미술은 동시대의 문학, 음악, 미술 등의 여러 예술분야의 종합적인 형태로서 표현되어 발전하였다. Body Painting은 음악, 모델의 율동, 조명, 페인팅 재료와 기법 등 여러 요소들이 종합된 종합예술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어 상징주의 예술과 유사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징주의의 성격과 특징을 바탕으로 창조적 작업으로서의 Body Painting 작품에 재조명 하고자 하였다. 작가의 관념이 주로 반영된 19세기 상징주의 회화의 여러 특징과 미학을 분석하여 Body Painting 분야에 새로운 모티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상징주의 미학 연구를 바탕으로 예술성을 지닌 작품으로서의 Body Painting을 선보이고자 하였다. 상징주의 작가의 연구범위로서는 대표적인 상징주의 화가인 모로, 뭉크, 르동으로 제한점을 두었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상징주의에서 응용된 다양한 기법들을 캔버스와 인체에 표현하여 비교해보았다. Body Painting은 인체라는 3차원 공간에 작가의 관념을 투영함으로 상징주의와 관련하여 개인적인 주제를 다루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인체와 관련한 작품을 Body Painting으로 제작 할 때 주제를 부각시키는 효과가 증대되었다. 작품연구를 통해 상징주의 회화적 표현은 Body Painting 작가들에게 새로운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다양한 Body Painting 영역을 발전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 논문은 상징주의 미술 사조를 응용한 Body Painting 작품연구를 통해 새로운 모티브로서의 Body Painting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韓 · 中 · 日 傳統劇에 나타난 扮裝 表現技法에 관한 硏究

        조마리아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3247

        분장은 가장 외형적인 의사전달 수단으로 정확하게 다른 인물로 전환하여 배우와 관객 상호간에 필요한 성격적 사실을 이해시키는 배역 창조에 있으나 우리의 현실적인 분장이나 화장에 관한 교육은 교육의 철학과 이념이 바탕이 되지 않고 오직 실기 위주의 기술적인 면에만 주력하여 서구화된 기능사만 양성하고 있어 우리나라 분장학의 체계적 이론 정립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바, 이에 우리 전통분장인 여성국극의 분장기법과 동일문화권에 있는 중국의 경극, 일본의 가부키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분장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의미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장의 기원과 역사적 배경에서 한국의 여성국극은 판소리가 창극으로 발전하여 춤동작이 포함되는 형태로 발전하였고, 중국의 경극은 노래와 연기, 대사가 삼위일체 된 형태의 춤이 곁들인 전통적인 종합 무대 예술로 발전하였으며 일본의 가부키는 여자들의 가무가 중심이 된 뮤지컬형의 종합예술 형태로 발전하였다. 둘째, 극의 구성에서 한국의 여성국극은 여성이 남장분장을 하여 권선징악의 스토리 형태로, 경극은 생(生), 단(旦), 정(淨), 축(丑)등 4대 배역으로 나뉘어 역사 이야기를 공연하고, 일본의 경우는 남자가 여장분장을 하는 것으로 이 형태에는 여성국극과 마찬가지로 권선징악을 대표하는 교육적 요소가 내포 되어있다. 셋째, 극의 분장 표현기법에서 한국의 여성국극은 인물의 피부표현을 그대로 눈썹, 눈, 입술 등을 선을 이용하여 그라데이션을 하였고, 홍(紅), 황(黃), 흑(黑), 주황이 전부였으며, 중국 경극의 경우 얼굴 위에 다른 색채를 사용하여 면으로 나뉘어 눈썹이나 입 모양에 문양을 넣어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였고, 일본은 얼굴에 흰 백분을 발라 흰색(白), 붉은색(紅), 남색(藍), 대자의 색으로 분장을 하고 그 위에 선을 이용하여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였다. It'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that women has made use of wearing dress, makeup, ornaments, etc., expressing their own characters and beauty over a long history of mankind. Especially makeup skill of these has been variously changed through the all ages. It is particularly notable that as the women's opportunity to join the society and their societal roles get expanding, women's interest in seeking their beauty come to get highly elevated. In addition that situation, multifarious brand-new makeup skills are actively developed. Moreover, although the innate role of makeup as the most visible communication method is creating one's character enabling an actor to make his characteristic facts understood to spectators through exactly changing himself into another persona, the current education of makeup in Korea is cultivating just westernized technicians by focusing on practice-centered technical phase without its sound philosophy and ideology, thus strongly demanding setting up a systematic theory of makeup. Commensurate with this desperate necessity mentioned above, I made a research on each makeup skills of three nation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method of mutual comparison and analysis, together with an attempt to understand their own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s. Especially I focused on the three nations' makeup expression skills that are respectively shown in Korean Female National Drama[KFND], one of the traditional dramas in Korea, Gyung-guk, a classical Chinese opera, and Gabuki typical of Japanese Ar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view of makeup's origin and its historic background, KFND had developed from Pansori, a traditional Korean long narrative song performance and Chang-guk, a Korean Classical opera into a ultimate shape including dance performance. Gyung-guk in China had made its way to a combined stage arts together with dance through the whole combination of three elements such as song, act, narration. Gabuki in Japan had made a shift into musical type of combined arts centered on women' song and dance. Secondly, in the organizatonal aspect of the play, KFND has a special feature that its story ends up with the punishing wrong and rewarding of right, and women wear a manly makeup. On the other hand, Gabuki has a feature that men wear a womanly makeup on the contrast of KFND, including the educational spirit of "good-people-eventually-win" in the same way as KFND, while Gyung-guk shows a history-related performance, devided into four roles like Sang, Dan, Jeong, Chook. Lastly, in the aspect of makeup expression skills in drama, KFND makes a facial expression through the gradation effect using the line of eyes, eyelashes, lips etc., and the whole colors of KFND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colors: red, yellow, black, orange. In the case of Gyung-guk, it expresses person's character by double painting on his face, especially eyelashes and lips with other primary colors. Gabuki describes actors' character in a way of drawing a line on his face after first painting his face with white powder, and then putting on a makeup at his face with the colors of white, red, navy, deep blue etc.

      • 대중문화의 뷰티아이콘 연구

        강연진 성신여자대학교 아트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247

        다원화되는 미디어 매체와 넘쳐나는 대중문화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대중문화를 만들어 가는 대중은 이에 적응하기 위한 정신적 혼란과 시련 을 경험한다.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정보의 양은 대중에게 더욱 분별력 있 는 안목과 식견을 요구하게 된 것이다. 대중문화의 핵이라고 할 수 있는 뷰티아이콘에 대한 연구와 고찰은 검증되지 않은 뷰티아이콘으로 인한 저질(低質)의 대중문화를 양산할 수 있는 이러한 시점에서 꼭 필요한 과 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제 Ⅰ장 서론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의의 및 목적을 밝힌다. 뷰티아이 콘에 대한 용어의 의미와 범위를 정하고 용어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으 로 해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대중의 뷰티관련 경제 활동과 어떤 연관 성을 가지고 있고 왜 대중이 연구 대상에 대한 지식을 갖춰야하는지 연 구 의의와 목적을 밝혔다. 제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제 1절 뷰티아이콘에 대한 정확한 사전적 의미와 이론적 배경에 대해 서술하였다. 용어의 1차적 의미는 백과사전과 문헌을 통해 도출하였으며 시대에 따른 2차적 의미는 연구자의 종합적 판단과 결론에 의해 도출하였다. 제 2절 뷰티아이콘의 등장 배경에 대한 이론적 개념 연구와 발생의 핵심적 배경이 되는 스타마케팅에 대한 정의 와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였다. 여러 가지 구체적인 사례 제시를 통해 뷰 티아이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파악을 도왔다. 본 연구에 제시된 사례들 은 대중의 이해력을 높이고 좀 더 직접적 연관성이 있는 국내 뷰티아이 콘에 한하였으며 해외 뷰티아이콘에 대한 사례 조사는 제외되었다. 사례 에 대한 문헌을 토대로 하여 인터넷 뉴스와 기사를 참고로 연구되었다. 제 3절 연구대상과 직접적 상호 연관성이 있는 대중문화에 대한 사전 지 식을 돕기 위해 대중문화의 이론적 정의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고 현재 대중문화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대중과 상호교류하고 있는지 연구하였다. 구체적 사례를 통해 이해된 연구 대상이 체감하는 대중문화에 직접적 혹 은 간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 Ⅲ장 뷰티아이콘의 스타일 분류에서는 뷰티아이콘에게 헤어, 메이 크업의 역할과 필요성을 분석하고, 연구자의 재해석을 바탕으로 컨셉에 따라 총 5가지로 분류하였다. 뷰티아이콘의 헤어 메이크업에 대해 분류된 컨셉 스타일은 Natural Style, Cute Style, Elegance Style, Sexy Style, Mannish Style 총 5가지이며, 컨셉에 해당되는 뷰티아이콘의 헤어, 메이 크업을 중심으로 한, 구체적 사례 는 1990년 ~ 2007년까지 폭넓은 대중의 지지를 받았던 CF스타, 대중가수, 탤런트를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더 심 도있는 분석을 위해 재해석에 대한 분석 사례로 연구자가 직접 작품에 참여했던 드라마, 광고 속 뷰티아이콘의 이미지 설정 과정을 제시하였다. 제 Ⅳ장 뷰티아이콘의 문화산업적 비전(vision)에서는 뷰티아이콘의 존재가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과거,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대중문화와 뷰티산업까지도 전망할 수 있고 예측할 수 있 다는 점을 서술하였다. 미래의 뷰티문화산업에 대한 비전제시자로서의 뷰 티아이콘의 역할이 곧, 본 연구의 의의이자 가치인 것이다. With pluralistic media and cultural contents overflooded, the public experiences psychological confusion and hardships in adujsting themselves to this trend. It is asked for the public to be qualified with better insights and knowledge with this overflow of cultural contents. With this social phenomenon, it is demanded to have better judgement about 'Beauty icons', so-called 'the essence of pop culture' to avoid producing inferior outcomes. First chapter as introduction explains meaning and purpose of thesis and decide meaning of term and definition for 'beauty icon' and analyzed by new approach to term. As meaning and purpose of this thesis clarify how beauty icon can make certain relationship with economy activity and why popular must possess knowledge for research object. Chapter two ,theoretical background is described about correct lexical meaning and theoretical background for first section. Primary meaning of term drew through cyclopedia and literature and secondary meaning by period drew by investigator's synthetic judgment and conclusion. Second section is presented about star marketing and specific example that becomes theoretical concept research and central background of occurrence about entrance on beauty icon. Various kinds of specific examples help correct comprehension and understanding for beauty icon. Cases of this thesis are presented to improve popular'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limited to internal beauty icon that has little more direct relations. Research for foreign beauty icon was excepted. case study. internet news, article and documents used important parts of information for this thesis. Chapter three describe shortly about theoretical definition of mass-culture to help initial knowledge about mass-culture which has direct interrelationship about research object through specific cases, this thesis investigate how beauty icon is influenced to mass-culture through indirect or direct. beauty icon classified by total 5 according to concept. Total five concept styles of beauty icon that sorted by researcher are Natural Style, Cute Style, Elegance Style, Sexy Style, Mannish Style, and beauty icon corresponded to concept focused on CF star, a popular singer, person of talent as the central figure who received present from 1990 to 2007. For more profound analysis, Researcher presents examples of Beauty Icon which appears on drama or CF and researcher are directly involved in working process of these image makings. Chapter four about value beauty icon of culture-industrial vision explains how this research can predict to future as well as past and current of culture. Beauty icon gets into standard that can compose contents of mass-culture according to current situation and actuality. Popular can take bring activation of culture contents industry as well as activation of mass-culture by beauty icon that receive and evaluate by value as database of mass-culture information. In conclusion, researching beauty icon not only helps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y but also enables to expect and prospect the future where beauty icon sheds very important light on providing 'the vision'.

      • SF영화의 특수분장에 관한 연구 : Star Wars와 Star Trek에 나타난 캐릭터를 중심으로

        임희경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3247

        “앞으로 언젠가는 우리가 배우고,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모든 것이 꼭 이 빨대같이 흔한 것에서 나올 거요.” 영화 ‘인디애나 존스’ 촬영 중 휴식시간에 스필버그에게 조지 루카스가 한 말과 같이 영화 속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을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공상과학 영화에 있어 특수 분장이 차지하는 부분은 시나리오에 따라 그 내용이 결정되어 진다. 캐릭터 또한 상상속의 가공인물을 만들어 가는 작업으로 인류가 공존하는 환경 속에서 그 모태를 찾을 수 있으며 등장인물을 캐릭터로 디자인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시나리오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며 새롭게 탄생된 캐릭터는 분장사 혼자만의 작업이 아닌 제작감독과 함께, 수정을 통해 완성되고 특수효과를 곁들여 살아나는 영상으로 제작되어 진다. 영화에서 분장은 일반분장, 캐릭터분장, 디지털 디자인분장, 등으로 구분 한다. 분장이 차지하는 부분이 영화의 일부분일 수도 있고 전체를 차지 할 수도 있지만, 그 효과는 매우 크다. 캐릭터 마스크의 제작은 시나리오를 통한 자료 분석, 수집, 아이디어 스케치과정을 걸쳐 수정, 보완 된다. 선택된 캐릭터는 라이프 캐스트(Life cast), 또는 라이프 마스크(Life mask)와 데드 마스크(Dead mask)로 구분되어 제작되며 유토로 하는 모델링(Modeling)과정을 거쳐 몰딩(Molding), 폼 믹싱(Foam Mixing), 그리고 페인팅(Painting) 작업으로 마스크의 일차적인 작업이 마무리 된다. 이어서 디자인한 캐릭터 마스크를 배우의 얼굴에 직접 부착하고 분장 후 촬영을 마치면, 마지막으로 세안작업이 이루어지며 이 모든 과정을 특수 분장의 완성으로 본다. 현재 상영되고 있는 많은 영화들이 특수 분장을 하지만, 마스크와 같은 작업의 캐릭터분장은 공상과학 영화나 액션 영화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으며, 국내영화의 경우 마스크로 제작된 캐릭터 영화는 『용가리』를 제외하고는 거의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영화장르의 다양성과 특정 배우에게만 의존하는 캐릭터보다는 다양한 캐릭터 디자인작업이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보다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캐릭터 분장의 모색을 통하여 이 방면의 발전을 도모하여야 된다고 본다. “One day everything that we learn, see, and hear will come out from some thing that looks just like a straw.” We can easi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haracters from a movie in our lives, just like George Lucas said to Steven Spielberg while they were filming Indiana Jones. Conclusion of Special-effects in Sci-Fi movies depend on the scenario. Fictitious characters come from our environment. Designing a character requires a lot of time. The early stages of the job works through the scenario and the character becomes a living breathing image from special-effects not only from the make-up artists but also from the director. Make-up in a movie is divided into general make-up, character make-up and digital make-up. The effect of make-up is very influential, whether it takes a little part of the movie or a lange part of the movie. Making a character-mask is done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nd sketching the idea through the scenario. The chosen character is turned out separately into Life casts and Life mask. The work starts with the oil-clay, and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molding, foam mixing and painting. Secondly, attach the mask to the actor's face, adding more make-up so it looks more real istic. And then filming continues. Last, finish the job by washing off the make-up from the actor's face. There are a lot of movies using special make-up but you can find it mainly in science fiction films and action films. In the case of Korean films, the only movie that used a character mask with special effects is [Young-Ga-Ri], other films are too insufficient in special effects. From this it is obvious that high quality character design involves more than just the actor, it requires character design specialists.

      • 여고생들의 화장행동 분석

        정민정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991

        이 연구는 경북지역 소재의 여고생 326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여 인구통계학적변수(학교계열, 학교유형, 학년)에 따른 화장빈도, 화장 이유, 단계, 시기, 화장정보의 관계를 밝히고 이들의 화장 전/후 얼굴이미지를 조사함으로써 화장교육 요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들과의 통계처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빈도는 고학년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 계열, 학교유형과 화장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열별 공학여부에 따른 화장빈도를 조사한 결과 인문계의 남녀공학 여고생들과 전문계의 여자고교 여고생들의 빈도가 높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고생들의 화장행동 심리적 기대 요인은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각 요인의 명칭은 ‘외모단장’, ‘기분전환’, ‘피부보호’라고 명명하였다. 화장행동 목적은 전체적으로는 ‘외모단장’의 요인이 높게 나타났고, 학교계열, 학교유형에 따라 화장행동의 목적은 약간의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차에 따른 화장행동 목적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고생들의 화장 시기는 전체적인 결과의 경우 ‘하교 후 친구와 약속시 화장을 한다’가 높게 나타났고 학교유형에 따른 화장 시기는 차이가 있었으나 학교계열, 학년차에 따른 화장시기는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고생들의 화장 단계는 전체적으로 기초화장단계, 색조화장단계, 향수사용 단계 순으로 사용하였고, 색조화장단계에서는 얼굴, 입술, 눈, 볼, 몸의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계열에 따른 화장단계의 경우 얼굴, 눈, 볼, 향수에 차이가 나타났고 학교 유형에 따른 화장단계의 경우 기초단계를 제외한 색조단계, 향수단계에서 차이를 보여 학교계열과 학교유형은 화장단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화장단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화장단계와 학년은 관련성이 없었다. 셋째, 화장에 대한 정보는 학교계열, 학교유형, 학년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문계의 경우 친구를 통해, 전문계는 TV와 인터넷을 통해 주로 화장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유형, 학년별 화장에 대한 정보는 주로 TV와 인터넷의 미디어매체를 이용해 화장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나 미디어가 여고생들에게 직,간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화장이미지의 전과 후를 비교 해본 결과 화장 전의 이미지는 학생다운 자연스럽고 청순한 이미지를 기대하였고 화장 후의 이미지는 타인에게 아름다워 보이고 싶은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을 하기 전의 얼굴보다 화장을 하고 난 후의 얼굴에 만족감을 나타내는 변화가 크게 나타나 화장을 한 후의 자신의 얼굴모습을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 전 얼굴이미지에서 높게 나타난 ‘순수한’, ‘자연스러운’, ‘편안한’은 화장을 한 후에도 순수하게 보이고자 하는 기대심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메이크업 트렌드를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화장 전 얼굴이미지에서 낮게 나타난 ‘당당한’, ‘독특한’, ‘아름다운’은 화장 후 얼굴이미지에서는 높게 나타나 화장 후에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화장법 교육에 대한 요구는 전문계, 남녀공학, 1학년 여고생들의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전체적인 화장법 교육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논의와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을 확대하여 화장행동과 화장이미지를 보다 심층적으로 비교·분석 할 것이 요구된다. 둘째, 여고생들을 교복변형의 여부를 분석하여 화장행동과의 차이를 살펴본다. 셋째, 여고생들의 화장행동의 만족도를 비교.분석 할 것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help people who educate teenagers by researching on behaviors of the make up about a girl's high school students. Study method is questionaire.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 12 to Oct 23, 2009. in a girls high school located Gyeong-Ju. This survey specified by student's grades and school types. SPSS WIN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factor analysis,cross analysis. Duncan test has been used for confirm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ults are below. 1. The frequency of make-up is related into students' grade because the survey shows students wear make-up more when they get older.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different school types and school departments in frequency of make-up. But academic high school girls, vocational high school girls tend to put on make-up more than students in other schools. 2. There were three psychological factors for high school girls to wear make-up. These are 'decoration their appearance', 'lifting their mood', 'skin protection'. Main make-up behavior purpose is 'to decorate their appearance' in general,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purpose of make-up by students' type of school and school departments. But there was not huge difference in purpose of make-up by students' grade. Girls high school students usually wear make-up when they have appointment with their friends after school. Examination shows, according to students' type of school, there was difference when they put on make-up, but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students' grade and school department. Overall stages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are in the order of basic make-up stage, shade make-up stage, perfume stage. The survey proved that in shade make-up stage, students care more in the order of face, lips, eyes, cheeks, and body. With the case of school department, there was order difference among face, eyes, cheeks, perfume. But with the case of school type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in shade make-up stage and perfume stage except basic make-up stage. Therefore the survey proved school type and school department effect stages of make-up. Yet students' grade does not effect make-up stage. 3.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learning source for make-up technique by school type, school department, grade. With the case of academic school, friend following, with the case of vocational school, TV and nternet were the highest learning sources. Learning sources of make-up by grade was TV and internet. Therefore we can notice media would effect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both direct way and indirect way. 4. Students expect to have a natural and pure image like student when they don't wear make-up. But they expect to be shown more beautifully by others when they wear make-up. Thus, students(who wear make-up)have more satisfaction than no make-up face. The survey showe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make up face. 'innocent', 'natural', 'comfortable' shown highly before the make-up were also high in after the make-up. We can notice students want to look pure after they put make-up on. When students wear make-up, they feel more confidence, unique, beauty themselves than they don't wear make-up. Therefore we can notice there are high satisfactory towards make-up. 5. Demands of make-up technique education were high in the order of vocational high school, coed high school, 1st grade girls high school students. so their were gap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tatistical data. Overall make-up technique education demand was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