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스포츠행사 유치를 위한 국제홍보전략 연구 :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사례를 중심으로

        이문태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국제스포츠행사인 2014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나타난 국제홍보전략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가 국제스포츠 행사를 유치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국제홍보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국제홍보에 대한 개념, 이론적 배경을 살펴봤고, 또한 국제홍보의 기본 전략과 국제홍보활동의 관리모형을 살펴봤다. 이러한 국제홍보에 대한 기본적인 숙지가 있은 후에 국제홍보전략을 연구하는 것이 연구의 과정이라 인식했다. 그 다음으로 국내·해외의 국제스포츠행사 유치에 나타난 국제홍보전략 사례를 연구하였다. 사례는 각 행사마다의 특징적인 국제홍보전략을 살펴보는데 중점을 뒀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국제스포츠행사를 유치함에 있어서 국제홍보전략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나타난 국제홍보전략을 살펴봤다. 우선 2010평창동계올림픽 실패 이유를 분석하였고, 이를 국제홍보전략적인 측면에서도 살펴봤다. 또한 국제스포츠행사 유치 사례를 분석하여 2014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하여 어떠한 국제홍보활동을 펼쳐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이러한 부분은 주로 평창동계올림픽이 제공하는 공식적인 Brochure, Leaflet, 유치위원회 공식홈페이지 등을 활용하였다. 또한 왜 우리나라는 2014평창동계올림픽을 유치해야 하는지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평창동계올림픽의 개요와 구체적인 효과를 살펴봤다. 이는 본 연구의 목적인 국제홍보전략을 분석함에 있어서 그 필요성을 제시한다. 우리나라가 2014평창동계올림픽을 유치해야 하는 궁극적인 요소를 도출하지 않고서는 유치를 위한 국제홍보전략 또한 중요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선 2010평창동계올림픽을 분석함으로써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나타난 국제홍보전략상의 문제점을 도출했다. 여기서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2014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서는 국제홍보전략상의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국제홍보전략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성과를 분석했다. 이러한 성과는 지금까지 진행된 일련의 국제홍보활동이 국제홍보의 중요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하에 유치활동이 진행되었음을 검증하는 것이었으며, 나아가 국제홍보활동의 정확한 개념을 확인하게 했다. 또한 최종 유치결정을 앞두고 막바지 국제홍보전략을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무엇보다 맨투맨 홍보, 언론매체·광고 등을 통한 국제홍보 강화, 강력한 프레젠테이션 준비 등의 과제들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2014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나타난 국제홍보전략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우리나라가 또 다른 국제 스포츠 행사와 엑스포·박람회 등과 같은 국제 이벤트를 유치함에 있어서 필요한 국제홍보전략을 보다 구체적으로 수립할 수 있게 했다. 한 국가가 국제 스포츠행사를 유치하는 데 있어서 국가의 대외적 이미지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 이미지 증진은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발전을 도모하고 국제적 경쟁에서의 우위성을 확보하는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국가적 이미지는 어떠한 방향으로 계획되고 추진되어야 할 지에 대한 방향정립은 본 연구의 목적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1. 국가 내부적인 동의와 결집, 그리고 유치 의지가 국제홍보의 최대 수단임이 도출되었다. 국제 스포츠 행사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관심은 그 어떤 유치조건보다 중요한 부분이다. 국가 내부적인 일체감 조성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어떠한 국제홍보도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제시했다. 2. 국제 스포츠행사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민간활동 등 다양한 형태의 국제적 협력관계 구축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고, 그에 대한 방법을 찾았다. 3. 마지막으로 국제홍보활동을 위해서는 기존의 수단과 채널을 뛰어넘는 다양하고 합리적인 홍보수단 개발 및 활용이 요구된다는 것을 제안했다. 이외에도 개최지에 대한 이미지 홍보, 개최 후 발생 가능한 문제점에 대한 사전 준비 및 홍보활동이 요구됨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base data in international PR strategy for holding international sports events by beginning with analyzing the international PR strategy in 2014 Pyungchang Winter Olympic campaign. Theoretical background and general idea were primarily reviewed along with general strategy and management models of international PR. In addition, examples of international PR strategy in domestic and overseas events were also studied. The focus was in studying the distinctive factors for the example event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ternational PR strategy in holding international sports events was reviewed through these examples. International PR strategy applied in the Pyungchang Winter Olympic campaign was looked at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 and numerous examples. Specific effects and outlines were organized to review the reasonable factors for Korea being selected to hold 2014 Pyungchang Winter Olympic. In addition, the situations and problems emerged in 2014 Pyungchang Winter Olympic campaign was analyzed through failed event in 2010 Pyungchang Winter Olympic campaign. Uncertainty in achievement goal and vision, lack of recognition in international PR and expertise wer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is study. Failure in 2010 Pyungchang Winter Olympic campaign gave positive effects in holding 2014 Pyungchang Winter Olympic campaign, especially for achieving diversified attempts from the previous Olympic. For this reason, the modified changes in 2014 were recorded and the actual achievements in international PR strategy were analyzed. Distinctive factor was that diversified international PR strategy was applied such as creating agreements with professional international PR representative and consultants. Mainly the supplements provided by the PyeongChang Olympic Winter Games Bid Committee were used such as official brochure, leaflet and the homepage. The achievement from international PR strategy in 2014 Pyungchang Winter Olympic campaign verified that the progress was made under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in international PR strategy. In addition, it was an opportunity to also confirm the concept of the international PR activities. Near the final stage of marketing where all the international PR strategy was being analyzed, the necessity for intense international PR and presentation such as man-to-man marketing, media and advertisement emerged. Reviewing the international PR strategy applied in 2014 Pyungchang Winter Olympic campaign would contribute in establishing more specific international PR strategy for international sports events such as expo and exhibitions in Korea. The primary focus in a country holding the international sports events must be in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nation. Improvements in the impression of a nation would serve economical developments and sets the base for global competitiveness. Hence, the suggestive direction in improving the impression of a nation became an important factor discussed in this study. 1. International internal agreements, gatherings and attraction determination were the derived factors influencing the international PR the most. Interest of the citizens in holding the international sports event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PR would be minimized if the unification of the citizens does not exist. Relevant data has been submitted. 2. Not only the involvement of government, but the local communities, public activities and other diversified institutions must cooperate at international level to hold the international sports events and the application was found accordingly. 3. Finally, the suggestion was made for even more diversified and reasonable PR strategy and application that surpasses the existing channels and methods. The study also includes the suggestions for image marketing of the location, preparation against potential problems and PR activities.

      • 국내 섬유·패션 전시회 홍보전략 연구

        이희승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43

        전시산업은 전시되는 제품의 산업발전과 국내외 무역증가뿐만 아니라, 전시주최사, 전시장, 호텔, 관광, 교통 등 다양한 범위에 동반 성장이 가능한 고부가 가치 산업이다. 그렇기에 전시산업의 육성은 중요하며, 글로벌 시대의 국제규모의 무역전시회 개최는 필수이다. 1960~70년대에 섬유수출로 국내 경기를 부흥시켰던 섬유·패션 산업은 현재도 감각 있는 독특한 디자인과 기능성을 갖춘 제품으로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소재개발을 통해 고부가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섬유·패션의 다단계 산업구조와 전시산업의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국내 섬유·패션 무역전시회의 발전은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전 세계 전시회의 80% 정도가 유럽과 미주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전통이 있고, 전문적이며, 규모가 크다. 최근에는 중국, 홍콩, 일본, 러시아, 인도 등 아시아 지역으로 유럽과 미국의 전시 주최사의 진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 흐름을 충분히 파악하여, 한국 내 전시회가 국제 전시회로서 당당히 설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국제적인 전시 트렌드는 국제화, 통합화, 대형화, 전문화 이다. 트렌드에 맞춰 해외 전시업체의 한국 진출을 무조건 배제하기 보다는 유명 전시주최사와 협약을 맺거나, 국제전시기구로부터 전시회를 인증 받음으로써 위상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더 이상 한국 내에서만 전시회를 개최하고 홍보하여서는 성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주변국가인 일본, 중국, 대만 등과도 배척하기보다는 협조를 통해 유럽과 미국에서 아시아를 찾은 바이어가 한국에도 방문 할 수 있도록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한다. 또한 국내외를 막론하고 연계된 전시회 브랜드를 개발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한다. The exhibition industry is a high valued industry, which brings the growth of exhibition product industry, the increase of domestic/international trading, and also plausible accompanied growth of organizer of the exhibition, exhibition center, hotel, tourist industry, transportation, etc. Therefore, developing of Exhibition industry is very important, and international trade exhibition in the global market is necessary.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which brought lots of trade boom in 1960~70’s, requires number of workers. Due to Korean fashionable and functional products are attractive and competitive, Korean exhibitions of Fashion and Textile industries can be very effective and competitive to others. 80% of exhibitions in the world are held in Europe and U.S. The exhibition organizers in there have a history, know-how, and is also large-scaled. Recently, the exhibition organizers in Europe and U.S. are entering into Asian markets such as China, Hong Kong, Japan, Russia, and India. Korea needs to analyze the change and movements, and prepare to make the great and distinguished international exhibitions in the world. The trends of exhibition industry are internationalized, unified, large-scaled and specialized. Following these trends, for the international interests of Korean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s we should make partnership with international exhibition organizers and try to get the approval of UFI(The Global Association of the Exhibition Industry), rather than reject of others suggestions. Since the exhibition company will not be successful by holding domestic exhibitions anymore, it is time to move on to the international market. Moreover, rather than excluding relationships with nearby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Hong Kong, and Taiwan, we have to make good relations with them, so when buyers from Europe or America come to Asia, we have to get the chance to come to Korea as well. We need a plan to attract them to come to Korea and visit the exhibitions for trading. Lastly, making a brand name value of Exhibitions is very important to promote, and if the exhibitions, having same title, are held in the several countries, it will be a lot of synergy for the each of exhibitions.

      • 재외동포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의 국가홍보 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진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27

        A modern society has become more dependent than ever. Each nation needs to strongly promote an alliance with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for its own national interest. To attain their own interests, the State has to build a positive image throughout the world. Until now Korea's PR strategy has focused only on sending information so their strategies have been very limited. Basically, Korea needs to diversify its channels to promote the Korean PR strategy so that other people and other countries can know about Korea.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possibility of using an overseas Korean network in America for the Korean state PR channel and to make a strategy based on this. This study provides examples of Israel, Italy, Greece, and China which have many people abroa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uilding a network of people abroad. This study uses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the American Jewish community so that you can know how they effectively cooperate with the State PR of Israel and work with their human resources. Based on the study above I draw a conclusion that the following are recommended ways to implement a Korean PR strategy using Overseas Korean Network: 1) The Overseas Korean Foundation has to be the major institute for promoting Korean PR. The main sector for State PR has to be the nation because an individual can hardly have the authority to work with other countries. 2) The overseas Korean network has to build a tight bond among themselves. 3) A critical factor in using the overseas Korean network is to make programs where people cooperate with the Korean community to ensure the Korean identity is maintained and the Korean-oriented network remains strong in the United States. 4) The networking on the web is called HANMINJOK NET and is provided by the Overseas Korean Foundation. It needs to device more creative ideas for giving information and building a positive image of Korea. For instance, an electronic card service with an image from Korean culture on it could be one method for accomplishing this or an electronic mail schooling service could reduce the costs of sending print material by mail. Key Words: State Public Relations, Overseas Korean Network, Identity, Overseas Korean Foundation 본 연구는 국가홍보에 있어서 재외동포 네트워크(network)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재외동포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의 국가홍보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지구촌화가 가속화되는 국제사회에서는 국가도 자신의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을 해야한다. 국가의 이미지는 한 국가 혹은 국민에 대해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실이라고 믿는 정보로 단순히 하나의 요인만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그 안에는 역사, 사회, 정치, 문화 등 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국가홍보는 상호 의존성이 강한 현대사회에서 더욱 필요하게 된다. 그것은 국가홍보가 자국에 대한 정보를 전세계 각국과 개인, 단체에 제공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국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하고 국제여론의 지지를 얻어 국가가 의도한 목적을 달성하는 설득 커뮤니케이션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자국에 대한 정보는 한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국민성을 총괄하는 내용으로 국가 이미지라고도 하는데, 국가가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해 제공하는 정보나 사실이 되므로 국가홍보는 국가의 이미지를 알리는 것이다. 국가홍보에 있어서 재외동포를 활용하는 예는 외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중국, 이스라엘, 이태리, 그리스는 재외동포 다수보유국으로서 재외동포 네트워크를 국가의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태리와 그리스의 경우는 재외동포를 해외진출의 발판으로 생각하고 그들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해외에 있는 화교단체를 친중국으로 끌어들여 중국의 세계적인 영향력을 강화하고 중국통일에 화교세력 동원을 초점으로 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특히 이주민에 대한 정착지원과 유태인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에 있는 유태인 단체와 협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외동포 다수 보유국인 한국의 경우도 560만 재외동포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한국의 국가홍보 매체로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 가운데 이스라엘과 미국내 유태인의 관계는 한국의 해외홍보에 있어 교포단체의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미국내 소수민족으로 성공한 유태인은 커뮤니티(community)안에서 단체를 형성하여 조직적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American Jewish Committee의 활동은 주로 상류층의 인사들을 친이스라엘 세력으로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들이 실시하는 Project Interchange 프로그램은 미국내 영향력 있는 지도자들을 이스라엘로 초대하여 이스라엘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이스라엘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줄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켜 미국내 친이스라엘 세력 형성을 하고 있다. 다음으로 유태인들이 현재 가장 신경 쓰고 있는 부분은 유태인의 정체성 유지 문제로 교육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한다. Hillel Foundation과 Israel Experience Organization이 공동 주최하고 이스라엘정부와 유태인 커뮤니티가 협력하는 이스라엘 경험 프로그램은 미국내 유태인 학생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양측의 협력프로그램은 미국내 친이스라엘 형성으로 이스라엘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유태인 정체성 유지에 상당한 효과를 주고 있다. 한국의 국가홍보는 주로 해외홍보원과 재외공보관을 위주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인력의 부족과 산만한 체계로 어려움을 겪고있다. 재외동포는 문화사절단으로서, 민간외교관으로서, 국가홍보 요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국의 재외동포정책은 외무부를 중심으로 문화관광부, 공보처, 교육부, 재외동포재단이 협력하고 있다. 한국의 재외동포정책은 사업의 중복, 적극성의 부족, 예산의 낭비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재외동포정책은 우선 거주국의 동포가 원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거주국별로 나누어 한인회와 협력을 통해 현지를 파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면서 한국의 국가홍보의 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 미국내 유태인과 이스라엘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유태인 단체와 이스라엘의 협력이 국가홍보의 목적인 국가간의 마찰이나 분쟁을 줄이고 자국의 정확한 사실을 상대국의 국민에게 올바르게 알림으로써, 이스라엘이 처한 상황에 대해 국제적인 이해와 지지를 얻는데 성공하였기 때문에 재외동포를 활용한 이스라엘 국가홍보는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은 유태인의 사례를 통해 국가홍보의 방법을 역이용하여 재미단체가 미국 내에서 기반을 확실히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그런 과정에서 한국의 국가이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유기적, 탄력적으로 구성된 재외동포 네트워크는 재외동포의 힘을 모으고 나아가 한국의 국가홍보의 매체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유태인 단체의 사례연구에서 한국 국가홍보 방안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어야한다. 첫째, 국가홍보의 주체는 재외동포재단이 되어야 한다. 재외동포사업과 관련하여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이관 받아 재외동포재단을 중심으로 문화관광부, 공보처, 교육부, 외교통상부가 재외동포재단의 사업 및 활동을 지원해야한다. 둘째, 재외동포를 국가홍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재외동포 스스로 네트워크를 강화하도록 지원을 한다. 재외동포들이 스스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그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지 못한다면 수많은 한인이 미국에 거주한다고 하더라도 국가홍보의 자원으로서 활용될 수 없다. 셋째, 미국내 한인회와 협력하여 2세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여론지도층을 친한세력으로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재외동포는 거주국에서 오랫동안 살아왔기 때문에 거주국의 사회구조에 대하여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 거주국의 정보를 바탕으로 재외동포 네트워크활용 방안이 구상되면 장기적인 측면에서 국가홍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타겟(target)지역을 미국으로 선정하고 국가홍보를 실시할 경우에 미주지역 한인회와 협력하여 한민족의 정체성유지 및 친한세력을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차세대의 주역이 될 재미 대학생의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확보하고, 오피니언 리더(opinion leader) 혹은 정책 결정자와 같은 계층의 친한인맥을 형성하는 연령별 혹은 타겟공중별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재외동포재단의 한민족 네트워크를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의 개발과 캠페인 활동이 요구된다. 결국 네트워크의 탄탄한 구성은 재외동포를 연결하고 나아가 한국을 올바르게 알리는 계기가 되며,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주제어: 국가홍보, 재외동포 네트워크, 정체성, 재외동포재단, 유태인 커뮤니티

      • 한국의 효과적인 ODA 정책을 위한 홍보전략 연구

        이고운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September 2000,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which are eight goals to be achieved by 2015 was announced during the UN millennium summit. To fight against poverty, international society agreed framework of eight goals and 18 targets. Halfway to the 2015 deadline, it is a time to look back over the past how much we implemented MDGs and how much we should make efforts to meet the goals. While international society is making clear progress towards implementing the MDGs, I was wondering how much the Korean administration and how many Koreans recognize our role and responsibility as a citizen of global society. It is very clear if you compare the size of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which is the core source of revenue to implement MDGs with the other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member countries’ performance. The ODA can not be planed and carried out by government itself without nation’s support because the resources of ODA is consisted of citizens’ taxes and the usage of the fund is not for Korean people but for the people living in poor countries. Furthermore, the member countries of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have public relations strategies to get people’s supports and express taxpayers as principal stakeholders or process customers to execute ODA in their policy. Therefore, it is very critical to have dialogs with citizens and listen to public opinions before the government establishes any new policy. In the past, Korea also suffered from extreme poverty because the liberation from Japan and the Korean War took place within short period (in 1960’s) but now Korea became a wealthy country and a member of OECD with splendid epithets by virtue of various types of ODA from other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Korea may not deny the truth that the motive power of rapid development was international society’s assistance. Thus, Korea has tried to be a responsible country as the successful model state of ODA,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Korea is still far from the appropriate level in the ODA policy and the scale. Korea devoted USD 752.3 million to ODA in 2005, accounting for 0.1% of its gross national income (GNI) which is far from the UN’s target which is 0.7% of GNI to be allocated to ODA. Particularly, the low level of people’s recognition and support to ODA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to be resolved first to reform ODA policy and expand the size of contribution. The results of recent survey analysis shows that 37.1% of citizens (1000 adults) recognize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carried out ODA business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only 8% of a opinion leader group (total 200 professionals: 60 representatives of economic organizations, 35 chiefs of press agencies, 35 university professors/researchers, 35 congressmen/assistants, 35 government officials) have clear perception of the term “ODA.” It means that the government does not have enough public relations mind to the nation and does not perceive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To establish an effective policy and induce public interests to the policy,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make public understand the policy and its intention but the policy makers overlooked public relations. Another element attributed to the results is the shortage of the expenditure on information and development education. Korea spends only about 0.001% of total ODA budget for development public relations while the DAC member countries spend about 0.2~2%. Consequently, the increase in public relations budget is also in an urgent need. Korea requires developing new ODA strategies to resolve the existing controversial points and to be a member of DAC. Firstly, the national economic situation, the level of people’s recognition and knowledge of ODA, press coverage, and government’s public relations mind are founded as the basic factors of public support through the research. Secondly, I found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ublic support and ODA volume by literature review. Lastly, I compared ODA status and public relations strategies in Japan and Norway to understand and solve the ODA problems in Korea. Based upon the above researches, I recommend that making development education mandatory for juveniles, increasing ODA public relations expenditure and media exposure about the world to general public and assuring ODA public relations professionals and training ODA human resources among graduate students, employees of development NGOs and civil servants working in this field as ODA public relations strategies to the nation. 지난 2000년 UN 총회 정상회담에서 지구촌 빈곤퇴치를 위한 새천년개발목표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를 발표했다. 2015년까지 8가지 개발목표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2015년까지 거의 반이 지난 지금, 지난 7년간 얼마나 많은 성과가 이루어 졌고 앞으로 남은 시간 동안 얼마나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지 짚어볼 시점이다. 국제사회가 MDGs 달성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동안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은 국제시민사회 일원으로서 MDGs와 우리의 역할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이 과연 몇 명이나 될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MDGs 달성에 기본적인 재원이 되는 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의 한국 공여규모를 다른 국가와 비교해 보면 그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과거 한국은 해방과 동시에 반발한 한국전쟁으로 극심한 빈곤에 시달려 왔다. 하지만, 지금은 세계경제규모 12위, IT강국, 올림픽과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치른 나라 등 화려한 수식어가 붙는 OECD 가입국으로서 소위 부자나라로 변모했다. 우리가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과거 국제사회로부터 제공받았던 수많은 형태의 ODA 덕분이다. 이렇듯 공적개발원조의 성공사례인 대한민국이 현시점에서 국제적으로 책임 있는 국가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원조의 정책이나 규모 면에서 제대로 된 틀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05년 한국은 752백만 달러를 ODA로 책정했으며, 이는 GNI대비 0.1%로 UN 권고수준인 0.7%에 훨씬 못 미치는 규모로 한국 경제능력에 비해 낮은 ODA 수준에 국제사회의 압력과 비난을 받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ODA 정책 입안 및 규모 확대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국민지지도가 낮은 것이 가장 핵심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공적개발원조는 과거 한국의 군사정부시대처럼 정부가 독단적으로 지원하고 처리하는 문제가 아니다. ODA의 재원이 국민 개개인이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의 일부를 국가에 낸 세금으로 이루어 졌고, 이 세금이 일차적으로 우리나라 국민을 위해서가 아니라 타 국가를 위해서 쓰여지는 특수한 자금의 흐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OECD내에 선진 ODA국가들의 모임 즉, 개발원조위원회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회원국가들의 ODA 정책 기조를 살펴보면 국민을 ODA의 주체로 표현하며 국민들의 공적개발원조 지지를 위한 홍보전략을 따로 수립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국민들의 ODA에 대한 여론을 분석해본 결과 37.1%만이 한국 정부가 해외에 원조사업을 실시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고, 한국의 대표 지식인과 오피니언리더 그룹도 8%만이 ODA 명칭을 확실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대국민 ODA 정책홍보의 부족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파악된다. 효율적인 정책입안 및 국민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여론을 미리 수렴하고 사전에 국민들의 이해를 구하는 정책홍보가 선행되어야 함을 정부가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의 총 ODA 규모 대비 홍보비용은 DAC 회원국의 0.2~2%의 규모에 현저히 못 미치는 0.001% 수준으로 나타나 홍보교육비 규모 확대가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의 ODA 실적부진에 대한 문제점 해결 및 향후 ODA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한국형 ODA 전략이 필요하다.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우선 ODA 지지도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보았는데, 국민들의 ODA 지지도가 국내경제상황, 국민의 ODA에 대한 인식 및 지식, 언론보도, 정부의 홍보마인드 등 다양한 요인에 결정되고 있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서는 효율적인 원조사업을 수행하는데 국민지지도가 큰 영향을 미치며, 일본과 노르웨이 ODA 비교연구에서도 ODA 홍보와 ODA 실적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한국이 안고 있는 전반적인 ODA 문제점과 홍보실태 분석과 DAC 회원국 중 일본과 노르웨이의 사례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국가정책을 지지하고 협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대국민 ODA 홍보방안으로 개발원조 교육의 의무화, 대국민 홍보교육 비용 증액 및 매체 홍보 강화, 사회 각계 각층을 대상으로 한 ODA 전문가 양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논문을 통해 우리나라 개발원조사업의 많은 부분의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그 중에서도 저자는 국민의 지지도 제고가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할 부분으로 인식하고, 국민참여형 ODA 기반 구축을 위한 다양한 홍보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아직까지 개발원조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담당기관 조차 ODA 홍보에 대한 인식이 낮기 때문에 앞서 제시한 홍보방안을 당장 실행하는데 많은 무리가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앞으로 개발원조와 관련한 문제제기가 더 많이 제기되어야 하고 더 많은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그런 문제들을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국정홍보처 해외홍보원의 국가홍보기능에 대한 연구

        전민향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해외홍보원의 경쟁력 강화를 통하여 한국 해외홍보의 발전방향을 제시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해외홍보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는 주요선진국의 예를 통하여 한국 해외홍보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해외홍보원의 위상강화의 필요성과 해외홍보 방안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급변하는 국제환경 속에서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국제 무대에서 자국의 위상을 높임으로써 국가가 생존하고 발전해나가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 중의 하나가 해외홍보이다. 한국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외국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 현실에 처해 있다. 따라서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능동적이고 사전 반응적(proactive)인 대처를 위한 새로운 홍보 개념의 정립과 더불어 해외홍보 관련 기능의 강화와 해외홍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해외홍보 제도의 개선은 필수적이다. 한국 해외홍보의 문제점으로 가장 많이 제시된 것은 예산의 부족, 홍보에 대한 인식의 변화, 업무의 중복성 등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해외홍보 관련 기구나 기관을 총괄하여 해외홍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해외홍보 기관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그 대상으로 국정홍보처 내 해외홍보원을 지적했다. 해외홍보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해외홍보 관련 예산 증액과 전문인력의 확충이다. 그리고 각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홍보를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업무 중복을 사전에 예방하고 각 부처의 역량을 집결하여 시너지 효과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및 조정기능의 설정이다. 본고에서 논지 전개 방향을 보다 분명히 하고자 실시했던 인터뷰에서도 이러한 사실은 드러났다. 해외홍보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일 먼저 이루어져야 될 일 중의 하나는 해외홍보 활동 분석기능의 강화이다. 해외홍보 활동에 대한 분석 기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는데, 첫째는 국제환경과 홍보 대상 나라의 환경에 대한 분석이며, 둘째는 한국 각 홍보기관이나 단체의 홍보활동에 대한 분석이고, 셋째는 한국과 상대하는 다른 나라의 홍보 활동에 대한 분석이다. 해외홍보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편으로 제기된 것에는 인터넷 멀티미디어, 특히 홈페이지를 활용한 해외홍보이다. 홍보매체로서의 인터넷은 공간적·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유일한 홍보 매체로서 홍보효과의 무한 강화, 홍보대상의 무제한성, 홍보매체의 경제성, 홍보의 상호 작용성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전세계 각국과 주요 기업들이 해외홍보에 널리 활용하고 있다. 인터넷은 기존의 홍보 매체 활용의 한계와 예산, 인원 부족 그리고 홍보 관련 소프트웨어 부족 등의 문제를 극복해나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해준다. 그러면서도 홍보 매체로서의 장점으로 인하여 해외홍보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구이다. 해외홍보원 또한 인터넷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해외홍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찍부터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활용하는 등 많은 투자를 해오고 있다. 그러나 좀더 다양한 메뉴를 갖추는 등 활성화시켜 한국의 이미지를 높이고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며, 나아가 해외홍보원이 한국을 대표하는 해외홍보기관으로서 다른 해외홍보기관들을 총괄할 수 있는 기능에서의 홈페이지 활용도 있어야 하겠다. 해외홍보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홍보방안으로서 본고가 제시한 것에는 제 3 자(the 3rd party)의 활용과 / 이벤트 활용, 그리고 사회적 이슈화를 통한 해외홍보였다. 한국의 해외홍보도 이제 고전적인 방법만이 아닌 제3자를 활용한 방법, 이벤트성 집중 홍보, 사회적 이슈화 등 보다 다양한 방법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홍보의 중요성은 두 번 세 번 강조해도 부족하다. 연간 200억 정도 투자하면 적어도 2조원 이상의 국가 경제적 가치와 이미지를 창조해낼 수 있는 게 홍보이다. 정부당국자 및 국민 모두의 홍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This paper intends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Korea overseas public relations by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Information Service (KOIS). An investigation into the problems of Korea overseas information services has been made to this purpose through comparisons with the principal advanced nations that are actively developing thei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is paper propounds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KOIS and discusses a policy for overseas public relations in Korea. If Korea is to survive and develop by improving its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 rapidly changing global environment and by heightening its presence in the global arena, a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is essential. Korea is in a position where realistically, it cannot help but be influenced greatly by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foreign countries. Therefore,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new concept of information service that can respond proactively to the changes in the global environment and to improve the system of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so that its functions are strengthened and its efficiency increased. Insufficient budget, a shift in the awareness about the information service and superfluous operations are presented most often as the problems in Korea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As a mean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an organization that will take the initiative in information service by presiding over all other related organizations and further identifies KOIS within the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 as that organization. The foremost things KOIS requires in order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are an increased budget and extended professional manpower. Moreover, an administration or regulations must be established which can prevent overlapping work resulting from each department maintaining information services independent of one another and produce a synergy effect by concentrating the capacity of each department. Interviews conducted to clarify the direction of this discourse reveal the same conviction. One of the first things that must be accomplished in order to strengthen KOISs competitiveness is an effective analysis of overseas public relations. The analysi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of which is an analysis of the global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 of the country subject to the information service. The second concerns public relations by information service organizations and other agencies within Korea while the third concerns the public relations of the nation associated with Korea. The internet multimedia, especially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through homepages, is proposed as a means to strengthen KOISs competitive power. The internet stands out as the only medium for information services unconfined by space or time. Nations and corporations throughout the world favor the use of the internet in their overseas public relations for its boundless potential in effectiveness, the extensive range of possible subject matters, its economy as a medium, and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in information services. Furthermore, the internet introduces a way to overcome problems such a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mediums as well as the lack of budget, manpower and information service related software. The effectiveness of overseas information services can be maximized through the advantages offered by the medium of the internet.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multimedia i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s, KOIS has invested in the internet extensively early on beginning to run a homepage. However, enhancing Korea s image and augmenting its competitive power overseas requires efforts in the direction of vitalizing the site with a more varied menu. In addition, the KOIS homepage should be able to function as a comprehensive site representing all other Korea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organizations. This paper puts forth the utilization of a third party, specific events, and social issues in information services as a means to increase KOISs competitive edge. What overseas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need to do now is use third parties, arrange public relations around events and identify social issues. The outdated routine should be left behind for more diverse method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rvices cannot be emphasized enough. Public relations is a field that can generate at least two trillions worth of economic power and positive image for the country from about 20 billions worth of investment. (Public relations is a field that can generate at least a hundred fold profit from the initial investment in the guise of economic worth and positive image for the country.) Government authorities and ordinary citizens alike need to change their awareness of information services.

      • 국가 이미지 구축을 위한 국가홍보 발전 방향

        김보경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In the 21^(st) century, as the world is driven by knowledge-based economy and globalization, the publicity of a country took on a paramount importance in order to stay competitive. In order to survive'and thrive in the world today, a nation needs to find a way to stay in limelight in the international scene and become competitive among its neighboring countries. This public image in essence is a representation of a country; and given today's competitive environment, a country without a strong identity or with a weak credibility with other nations becomes marginalized and insignificant. Despite of the fact that Korea's meteoric rise from one of the poorest country to the 12th largest economy, invention of world's first printing press, ingenious Korean alphabet, and other incredible achievements, many remember the atrocious Korean War and recognize Korea as the nation with incessant, hostile labor disputes and other violent demonstrations. The reason for Korea's negative image is due to lack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to enlighten the surrounding nations that Korea is not a country of labor disputes and violent demonstrations. Korea has not done anything to try to change the image that it gives to the other nations. The purpose of the country's public relations is to maintai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which is based on the image of a country by emphasizing the positive aspects of Korea's political issue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history to other countries to prevent friction and disputes. Also, the purpose of national public relations lies in heralding accurate portrayal of nation's political, economical,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by employing various organizations. This is vital in preventing any conflicts that may arise out of misunderstanding or miscommunication and promoting positive traits of a nation. This public relations serves many purposes : politically, it serves to bolster security by facilitating understanding among nations and advocating cooperation through the media and economically, it paves the road for domestic companies to establish themselves abroad and helps companies form a positive brand image by associating with their home countr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smart, public relations establishes foundations in other nations for various cultural to take hold of. So national public relations not only functions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to help nations to cooperate but it also works as a way for nations to persuade others in international political forum.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national pubic relations in diplomacy, many countries fail to utilize public relations to their advantage because they don't have a department responsible for it. The departments involved in international matters are : Korea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nd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departments involved in international affairs have become obsolete since they are involved in similar fields but have no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lso, the image of the country is not being presented in the best possible light as there is no leading department in charge to overlook other departments involved in public relations. Another problem is that the organizations currently running public relations are not professional publicists. I have come up with six different strategies using : information-based society theory, cultural theory, and comparative management. First of all, I am going to construct a theory based on our own, more personal needs. I will create programs and contests that concern younger foreigners in order to stimulate their interest in Korea. Secondly, I will emphasize the image of a Dynamic Korea. By hosting the 2002 FIFA World Cup, the world has seen what a great country Korea is. Using this to our advantage, we must use this to build momentum for greater achievements. Thirdly, we must establish an international media broadcasting system. This broadcast system must be comprehensive and requires cooperation among national organizations specifically involved in public relations. This, in turn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a strong mass media network. Fourth, in order to ensure accurate information, we are required to create a center for Korean correspondents. Fifth, we must create a network among international elites in different areas in order to respond and cater to international and domestic changes. Lastly, we are obligated to evaluate these and future achievements on a government level. All these strategies would be managed under one organization with six different divisions to implement them. Through continuous and frequent conferencing and constant communication, this organization will spearhead national public relations strategies. Actual public relations would parcel and carry out by lower level sections. However, the design, control, and managing of comprehensive outlines must be carried out by professional publicists. For all of these reasons, there is a need to create a Korean Overseas PR Communication Unit which will use these six strategies to comprehensively manage and develop Korean public relations.

      • A study on the effects and selection standard of government PR ambassadors

        안은별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정부기관에서는 정부기관의 이미지 제고 혹은 공공캠페인의 홍보를 위해 홍보대사를 활용하고 있다. 홍보대사 선정 대상은 당 시대에 인기가 많은 연예인 혹은 해당 정부기관과 지연 또는 연고가 있는 유명인이 주로 선정된다. 인기 연예인이나 유명인을 홍보대사로 활용하는 이유는 이들에 대한 관련 기사가 쓰이고 언론에 많이 노출되는 과정을 통해 원하는 홍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홍보대사가 위촉되는 수는 늘어나고 이에 활용되는 정부 예산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동시에 홍보대사가 위촉 된 후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으로 언론에 눈에 띄게 되면서 홍보대사 자격에 관한 논란 역시 늘어나고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기관의 올바른 홍보대사 활용을 위하여 홍보 수단의 범위를 좁혀 정부기관 공공캠페인 홍보대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정부기관 공공캠페인의 홍보대사 활용 효과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두 인물을 정하여 비교분석을 통해 홍보대사의 속성 중 어떤 속성이 공공캠페인에 효과를 얻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연구 결과 정부기관 공공캠페인 홍보대사 활용을 통해 대중들로부터 신뢰를 얻고 홍보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홍보대사에 대한 선정기준을 내부적으로 정하고 홍보대사의 속성을 파악하여 선정기준과 비교해보았을 때 공공캠페인과 적합한 인물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Government agency is appointing PR ambassadors to promote image of a government agency itself or to promote public information campaign. They wanted to appoint popular entertainers or entertainers with regionalism or connection. In consequence, government agencies judged that they can promote themselves when popular celebrities are appointed as PR ambassadors, and they are exposed at news or newspapers. However, as time passed, the number of PR ambassadors appointed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and the budget has increased but PR ambassadors caused trouble for not acting properly as a government PR ambassadors. This research narrowed range of a government PR which is government PR ambassador and aimed to study on it. First, study will analyze the effect of government PR and compare to celebrities to find out the selection standard of PR ambassadors and which property effects the most to obtain effect. . For the study’s result, to maximize the effect of government PR ambassador, each agency should set standard for appointment, do research for celebrity candidates and appoint the most suitable celebrity for the public campaign.

      • 재외국민 선거참여 홍보 전략에 대한 분석 : 대한민국의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이상미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논문은 2009년 2월 공직선거법 개정 이후, 2012년 4월 11일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재외국민 선거제도의 다양한 홍보 활동들을 4단계 홍보 모형이라는 분석틀을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선전 모형, 공공정보 모형, 쌍방향 불균형 모형, 쌍방향 균형 모형이라는 네 모형의 각 특성에 따라 홍보 활동을 분류하여 앞으로의 재외국민 선거에서 보다 효율적인 홍보 전략을 수립하여 재외국민 선거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TV나 라디오 그리고 신문 등 방송매체, 포스터와 브로셔 등 인쇄물, 시설물, 홈페이지와 SNS과 포털과 같은 인터넷, 각종 기관과 단체 등에서 다양한 홍보활동이 진행되었다. 1800년대 후반, 미국의 초기 PR 형태로써 선전을 목적으로 공중에게 유리한 자료를 유포시키는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 형태인 선전 모형은 재외국민 선거 홍보활동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각 후보들 간 선거운동 과정에서 개인의 경력과 정책 등 유리한 정보만을 알리는 형태로 일부 사용되고 있다. 다음 단계인 공공정보 모형은 공중을 알아야 할 권리가 있는 존재로 인식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러한 홍보 활동은 홍보의 초기 단계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진다. 재외국민 선거제도 또한 홍보 인쇄물과 책자, 라디오 방송,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재외국민 등 홍보 대상자들에게 전달되었다.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선전 모형과 공공정보 모형과는 달리, 쌍방향 불균형 모형과 쌍방향 균형모형은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그 중 쌍방향 불균형 모형은 홍보 대상자를 설득하기 위해 과학적인 방법을 모색한 모형으로 설득적인 메시지와 전략을 사용하기 위해 여론조사 기법이 동원되었다.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재외국민선거 인지도와 효과적인 홍보 방법, 제도 인지 경로, 선호하는 정보 습득 방법 등을 주요 질문으로 한 여론 조사를 실시하여 이 결과를 재외국민들의 선거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쌍방향 균형 모형에서는 상호 이해 개념을 기본으로 하며 공중에 맞는 정책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홍보 활동에 반영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워크숍과 심포지움 등에서의 토론회, 페이스 북 등에서 홍보 주체와 홍보 대상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상호 작용을 통해 정책에 대한 개선점과 보완 사항을 논의하고 이러한 내용들은 제도에 반영되며 다시 수정된 제도가 홍보되며, 이 과정은 반복적으로 순환된다. 따라서,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외국민선거제도 홍보활동들을 4단계 홍보 모형에 대입, 분석한 결과, 1단계 선전 모형은 재외국민선거제도 홍보라는 국정, 제도 홍보 분야에 적합하지 않으며, 2단계 공공정보 모형은 방송매체와 인쇄물, 인터넷 등을 통해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3단계 불균형 모형은 여론조사를 통해 인지도와 홍보활동 평가 등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홍보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4단계 균형 모형 역시 페이스 북과 토론회 등이 진행되고 있으나 홍보 활동에 대한 피드백이 제도에 반영되는 부분은 부족하다. 2012년 12월 두 번째로 시행되는 재외국민선거인 제18대 대통령선거와 향후 선거에서 재외 국민들의 선거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정 단계의 홍보 모형에 집중되는 홍보 활동이 아닌, 2단계, 3단계, 4단계 홍보 모형에 해당하는 홍보 활동이 순환하고 상호 작용해야 한다. 즉,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가 전달되며, 이에 대한 홍보 대상의 의견을 측정할 수 있는 과학적 분석 그리고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제도에 대한 끊임없는 소통과 이해가 필요하며, 이러한 단계별 홍보 전략을 통해 앞으로 재외국민선거 참여율이 높아져서 결과적으로 국내·외 대한민국 국민들의 높은 관심과 적극적 참여를 통해 정치 지도자가 선출되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 관광 마케팅을 통한 관광 홍보 방안

        정수옥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11

        Tourism industry is big and growing bigger. Tourism is now one of the biggest industries on the planet- international receipts are $ 4 trillion a year worldwide. Worldwide international tourism receipts have grown by 12 percent per annum over the last 10 years.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for the tourists will get ever more intense. It grows in ways which are economically,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beneficial. Meeting these goals will not happen automatically. Government and tourism industry together need an effective strategy. People want the millions of overseas visitors who come and to keep coming back in later years, telling family and friends that their countries are the places to be. The proposals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 Korea and promotion of Korea abroad are intended to make the most of a unique opportunity. It must be a world class in every respect; our unique environment, heritage and culture. Its success will depend in part on a better flow of information about the industry and its emerging trends. The challenge facing us now is to create a competitive, world class tourism industry in Korea which matches both the quality and the best Korea business generally and the scale of tourism in Korea in particular. A tourism industry provides affordable quality, which is open to all and which makes the best use of Korea’s resources. And a tourism industry concentrates on its key resource - people. Tourism covers a multitude of leisure time activities ranging from sightseeing and shopping to attending sports events or visiting friends and relatives. Now specialist activities and interests of every kind are extending tourism in new ways and into new regions; business conferences, trade fairs, study courses and language learning As individuals, tourism offers us the opportunity for rest, relaxation, adventure and enjoyment. It helps us to bring family and friends together an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our lives. At national level, however, tourism offers much more than this. It’s one of our most important industries; it generates wealth, it creates jobs, it provides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and supports local diversity and cultural tradition. The market place should normally develop its own solutions in response to changes in customers’ preferences. The key to success is achieving excellence-providing the best and most consistent quality experience for tourists. As the number and range of overseas destinations grows, we should raise standards if we are to compete successfully. Every business in tourism has a part to play in meeting the challenge of changing customer expectations. Businesses which understand can identify the needs and wishes of current and potential customers can best develop suitable products and services and, through targeted marketing, ensure customers find out about what is available. Over the last decade, new technology has led to changes in the way many tourism businesses and destinations manage themselves, learn about their customers, disseminate information and facilitate booking their products. Not everyone has access to new technology, so brochures and guidebooks will continu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ourism decision making process, but they’ll need to be tailored to cater more directly to the changing and specific needs of customers. The government is committed to bringing major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to this country; it was entirely self - financing and attracted a number of foreign visitors and generating extra tourist expenditure. Tourism worldwide is predicted to grow over the next century. With this in mind, the KNTO has coordinated a project, taking input from a wide range of organizations: Regional Boards, local authorities, national and individual operators, accommodation providers. The long term success of this depends on all these various elements working in harmony. Every element of that entry-from its people, its products or services, the way it treats its customers, its advertising and other marketing material _ must portray a coherent and consistent message. The aim of the marketing program in tourism industry is to improve business efficiency and also to enable businesses to market themselves more effectively. It uses marketing best practice and continuous improvement ideas to help its business to be as efficient and effective as possible and also to enable us to maximize potential business opportunities. Developing a practical and realistic action plan which enables us to make a real difference from other tourism destinations; Analyze the current activities. Highlight actions which can undertake to improve. Develop an action plan for short and long-term improvements. Identify the major sectors of the tourism industr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ustomer service in tourism and related industries.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process, barriers to communication and the role of listening.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making a positive impression. Communicate Korean culture and heritage in a positive way.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presenting accurate information to visitors and understand how to use reference material. Examining how to meet and exceed customer service standards. 관광산업은 21세기 세계 경제/사회 발전을 이끌어 나갈 전략산업으로서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 모든 국가는 자국의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여 나가고 있다. 특히, 소득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의 증대와 함께 정보통신 산업 발전에 따른 전자 상거래의 활성화는 앞으로 인간의 관광활동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관광자가 관광 목적지를 선택하는 경우에 대상 국가에 대한 국가 이미지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외국 관광객들이 한 나라에 대해 편견과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면, 관광 계획을 미루거나 취소할 가능성이 많다고 한다. 또한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를 곧 국가 이미지라고도 한다. 국가 이미지는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관광지 홍보, 관광지의 경험 및 사람들간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경우를 통해서 갖게 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관광지에 대한 홍보와 외래 관광객에게 인식되는 개인적인 이미지에 의해 관광지 이미지는 크게 달라질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사람들이 다른 국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교육의 정도, 정보 획득의 매체 유형, 문화적 배경, 그 국가와의 직접 접촉 여부 등이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기타 국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대중 매체, 국민성, 사회적 특성, 자연 환경, 상품, 국가 간의 관계 등을 들 수 있다. 상품이나 서비스, 방문 지나 방문 국가, 방문하는 곳의 사람들에 대하여 관광객이 갖는 이미지는 그런 대상에 대한 정신적 영상으로서 여행에 관련된 의사 결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그 선택 과정은 비용이나 시간, 관련 정보의 수집 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관광지의 이미지란 오랜 시간에 걸쳐 관광자의 다각도에 의한 정보 탐색에 의해 이루어진 관광지에 관한 지각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국제 사회에서 인식되고 있는 한 나라의 국가의 이미지는 상대방 국가의 성격이나 특징적 행위에 대한 믿음이라고 여겨진다. 이미지는 동기에 선행하여 이미지의 역할과 기능은 관광 행동을 일으키는 잠재력이 크기 때문에 마케팅 환경 관리 면에서 중시되어야 함을 알 수 가 있다. 외국인에게 있어 마음에 그리는 어떤 국가에 대한 특성은 바로 국가 이미지로 인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광의 이미지는 국가의 이미지와 동일하다고 보고 있다. 이처럼 한 국가의 이미지와 관광 목적지로서의 이미지가 상호 관련성이 크기 때문에 관광홍보를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따라 국가 이미지 역시 변화할 수가 있다. 선진 관광국의 경우는 관광 목적지로서의 자국을 다음과 같이 마케팅하고 있다. 홍콩의 경우, 다양한 홍콩의 매력 물을 강조하고 다양한 대 도시적 라이프스타일과 비즈니스, 쇼핑, 스포츠, 오락, 문화, 예술, 음식 등에 주안점을 두고 관광마케팅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영국은 발명품들과 혁신을 동시에 강조하면서, 웅장한 자연경관, 로맨틱한 역사, 스코틀랜드 사람들만의 따뜻한 기질 홍보하고, 런던의 독창적 문화, 예술, 나이트 라이프 소개하고 있다. 싱가폴은 싱가폴의 다양성과 동양적 신비함, 그리고 음식과 쇼핑을 함께 할 수 있는 곳임을 강조하고 있다. 뉴질랜드는 마케팅을 함에 있어서 관광 업체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장기적인 이미지 홍보에 주력하고 있다. 파나마의 경우, 도시 관광은 물론 아름다운 자연인 해변 등 다양한 매력을 알리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자연 자원 중심의 특화된 생태 관광 상품을 강조하고 있다. 선진관광국에서 관광객의 욕구나 선호도에 변화가 생기거나 기존 관광객 유치전략에 한계가 나타나 새로운 대응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생길 때 그에 맞는 이미지 주제를 선정하여 홍보에 활용하는 등 시장 변화에 신속하고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다. 홍보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이 어떤 표적시장(target market)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그 집단이 갖는 취향과 선호도, 욕구에 강하게 어필하는 매력적인 이미지를 잠재적인 관광객에게 전달하고 있다. 또한 마케팅에 이용되는 이미지 슬로건에 홍보하려고 하는 자원이 어떤 성격의 것인가를 분명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들 국가들에 비해 우리가 갖고 있는 관광홍보의 문제점을 지적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 자원을 외국에 홍보할 때 특색 없고 고정적인 이미지만을 만들어 내고 있다. 둘째,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전략이 부족하며 이미지 설정에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셋째, 다양한 시장(Market)과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관광이미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 외래 관광객이 관광목적지를 정하는데 의사결정을 하는 결정적 요인이 되는 것은 목적지의 이미지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부정적 관광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는 홍보전략이 필요하다. 관광목적지로서의 우리나라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인요소를 이미지 체계로 구축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관광지로서의 인지도를 높이고 관광상품적 매력을 잠재관광객에게 홍보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가 다양한 관광매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 이미지 마케팅은 관광객에게 관광지에 대해 갖는 긍정적인 이미지뿐만 아니라 경쟁국과 차별적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마케팅 수단을 통해 관광객에게 자국의 관광지 관련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우리는 이미지 마케팅에 중점을 둔 홍보를 하여야 한다. 관광목적지로서의 우리나라 관광의 바람직한 이미지에 적합한 심볼, 슬로건 등을 설정하여 그 이미지를 전 세계에 알려 새로운 이미지 창출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 국내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현황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오수연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95

        학령인구의 감소와 세계화에 따른 환경변화는 대학교육에 변혁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혁에 대응하는 대학의 발전방안으로서 외국인 유학생 유치전략의 정책적 함의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하여 8개의 대학선택요인(위치, 재학생수, 등록금, 교과과정, 시설 및 설비, 입학절차, 대학홍보, 입학 후 서비스)을 선별해 낸 후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결정을 추정하는데 적합한 설문을 개발하여 실시하였고, 총 193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설문조사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대학선택요인을 파악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홍보매체와 입학 후 개설을 희망하는 교육서비스를 조사하고 바람직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선택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다. 둘째, 인구통계적 요소가 대학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각 선택요인마다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특정의 성별, 국적, 수학기간이 존재하였다. 셋째, 효과적인 대학홍보매체를 조사한 결과 서울지역의 경우 최초정보원으로 인터넷이 절반이상으로 많았고, 주로 사용한 인터넷 사이트로는 대학홈페이지가 절반에 가까웠다. 경기지역의 경우 최초 정보원으로 학교추천이 절반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주로 사용한 인터넷 사이트로는 대학홈페이지가 전체의 7할에 해당하였다. 넷째, 입학 후 기대하는 교육서비스를 묻는 질문에 서울지역의 경우 현재 만족도가 매우 높은 언어관련 강의부문과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안내제도 부문에서 다양화 요구를 고르게 응답하였고, 경기지역에서는 현재 만족도가 높은 언어관련 강의부문과 비즈니스 코스 개설 등의 기타 의견이 고르게 제시되었다. 대학이 발전방안을 추진할 때 유의미한 모든 요인을 동시에 공략하기에는 시간․경제적으로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대학이 외국인 유학생 유치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학선택요인의 영향력 순으로 정비할 수 있겠고 이 때 인구통계적 분석을 병행한다면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위치, 재학생수, 등록금, 교과과정, 시설 및 설비 등의 고정적 특성요인의 변동이 어렵다고 판단될 때는 비교적 변화가 용이한 입학절차, 대학홍보, 입학 후 서비스 등 학생과의 의사소통 노력요인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실정에 맞는 강화 요소를 선택하여 맞춤형 유치전략을 전개하며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University Education is expected to change due to reduction of school age population and globaliz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a strategy for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as a general plan toward changing surrounding. To achieve this object, literature reviews comparing factors for university choice in preceding studies have been made to assort 8 factors(location, enrollment, tuition-fee, curriculum, facilities, entrance formalities, publicity, educational service) for university choice. In addition, a survey was taken by international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resulting in 193 surveys collected. From the survey, it is possible to predict an influencing factors for university choice and analyze demographically. Also the survey makes it possible to illuminate an efficient publicity, educational service and to suppose an advisable strategy for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actors for university choice influence variously from difference between regions. Each factor for university choice has an influencing specific sex, nationality, educational period. Most students in Seoul tend to use the publicities, internet and university web site to take an information about studying abroad. And most students in Gyeonggi-province tend to use publicities, recommendation of their native school and university web site to take an information about studying abroad. Educational services required in Seoul are increase of language lectures and guidance system. Educational services required in Gyeonggi-province are increase of language lectures and opening a business course . In the process of exercising a strategy for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university could choose the factor which is the most efficient assessing the influence power of 8 factors or analyzing their demographical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