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행정연구의 연합학문성 연구 : 한국행정연구원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윤치중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67

        This study focused on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at Lasswell(1971) has emphasized, analyzes the structure of collaborative research in public administration through report of think tank that produces prescribing and practical knowledge in society. For the data collection, 181 report from 2012 to 2016 of collaborative research and 222 researcher's major field of study information collected from one of the government think tanks,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KIPA). KIPA is one of most competitive think tank in social science field. For the analysis, 2-mode type data were collected. When a number of researchers participated in one study, it was assum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s which is major fields of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was used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field. The result of social network analysis shows that many researchers who have same major field of study participated in one research. The density of the network was 2.094, which is higher than 1. It means there is a lot of reflexible tie which is, a number of researchers with the same major field participated one research. Indeed, public administration has most highest reflexible tie level of 136, it means more than two researchers who majored in public administration participated in same collaborative research. The other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research, almost disciplinary could be connected by one or two steps. It means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public policy has highest centrality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network. As a result of social network analysis,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public policy has highest level in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not secured in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field, even though the collected data could be biased by using the result of KIPA. However,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public administration has role as a bridge connecting other disciplinary even though there is a few interdisciplinary study. The difficult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ata collection for analysis, it is difficult to collect same level of researchers' the field of study. The National Reserach Foundation of Korea defines interdisciplinary study as a study that more than two middle classification level of study field combined work together in one research. Althoug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o institutions, it was difficult to obtain data at the middle classification level for all researchers' major fields.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think tank research, there are research projects that require multidisciplinary and research projects that do not require multidisciplinary.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literature review on the standards to separates these project. If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project is preceded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n the result of analysis could give more accurat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ve research. Lastly, if the concept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could be extended to concept, research methods, etc. the, it would produce meaningful result. 본 연구는 Lasswell(1971)이 제시한 정책학 연구의 특성 중에서 연합학문성에 초점을 두고 사회에 처방적이고 실용적인 전문지식을 생산하는 싱크탱크의 연구결과보고서를 통해 공동연구 및 학제 간 연구의 형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정부산하 싱크탱크 중 하나인 한국행정연구원의 2012년부터 2016년까지 181개의 공동연구 연구결과보고서를 통해 각기 다른 전공분야를 가진 222명의 연구원 정보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전공 분야가 어떻게 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함에 있기 때문에, 정부산하 싱크탱크 중 특정 분야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싱크탱크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사회과학분야 싱크탱크 중 경쟁력이 가장 높았던 한국행정연구원의 연구결과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한국학술재단은 전공 분야 분류표에 의해 중분류 이상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를 학제 간 연구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자료수집 단계를 통해 수집된 전공분야는 한국학술재단에서 제시한 연구 분야 분류기준에 따라 중분류 수준으로 전환하여 공동연구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서 2-mode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하나의 연구에 다수의 연구원이 참여하면 연구원간, 즉 전공 분야간 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계를 설정하고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한국행정연구의 연합학문의 구조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결과 공동연구 연결망의 특징은 한 연구에 같은 전공분야를 가지 연구원이 다수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망의 밀도는 2.094로 1보다 높은 값이 나왔는데, 이는 Reflexible Tie 즉, 같은 전공분야를 가진 다수의 연구자가 한 연구에 공동으로 참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행정학은 Reflexible Tie가 136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대부분의 연구에서 행정학이 전공분야인 연구원들이 하나의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른 연결망의 특징은 1단계, 2단계를 통하면 대부분의 노드들, 즉 전공분야가 연결되는데 이는 행정학과 정책학의 중앙성이 높기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연결망의 중앙성을 측정하는 지표인 연결중앙성, 인접중앙성 그리고 사이중앙성에서 정책학과 행정학이 압도적으로 높은 중앙성을 나타냈다. 이는 한국행정연구원이라는 싱크탱크의 연구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진 특성을 감안할지라도 Lasswell(1971)이 제안한 정책학 연구의 연합학문성 측면에서 그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빈도수가 적을 지라도, 행정학은 복합학적 응용학문(박순애, 2015)으로써 학 전공분야의 중심에 위치하여 공학과 인문사회학을 연결하는 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행정연구의 연합학문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지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정부산하 싱크탱크 중 한국행정연구원의 연구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공동연구에 참여한 연구자의 이름과 소속을 바탕으로 한국연구자정보 홈페이지와 한국행정학회 홈페이지를 통하여 2차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두 기관의 정보는 연구자 개인이 입력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전공 분야의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정부산하 싱크탱크 연구의 특성상 연합학문성이 필요한 연구와 그렇지 않은 연구과제가 있는데 그 기준에 대한 선행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정부과제의 특성을 분류하고 그 기준을 제시하여 연구결과보고서를 분류하는 작업이 선행된다면 연합학문의 구조적 특징을 더욱 확실 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연합학문성을 전공분야에 한정하지 않고, 방법론, 이론 등 그 개념을 확대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韓國 秘書學 敎育課程의 模型構築에 관한 硏究

        이평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8719

        최근 들어 대학에서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한 졸업생들이 사회에 진출하여 조직으로부터 크게 환영받지 못한다는 지적을 자주 듣게 된다. 이는 오늘날 대학교육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잘 나타내는 대목의 하나이다. 우리 나라의 고등교육기관에서 비서교육을 실시한지가 30여년을 넘기면서, 현재 전문대학 30개교, 4년제 학부과정 3개교, 대학원(석사과정) 1개교에 비서관련학과가 개설·운영되므로써 양적·질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비서교육을 주도하고 있는 전문대학 비서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은 여러 측면에서 문제점이 노정되고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문대학 비서관련분야의 교육과정은 전문직업인의 양성이라는 교육목표에 발맞춰 이론보다 실무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론중심의 교육에 치중하여 왔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또한 기존의 교육과정이 각 대학의 실정이나 전임교수의 전공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어, 향후 산업현장에 부응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 비서관련분야의 학문적 체계와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 분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모형구축을 위하여 전국 30개 전문대학의 교육과정과 전임교원의 전공분포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교육 수요자인 비서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비서학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 50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455명의 의견을 SPSS PC+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다.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이론교육과 실무교육의 적절한 안배의 문제가 전제되어야 하며, 비서학이 갖는 학문적인 토대 구축을 통하여 학문의 정체성과 위상을 정립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교과영역을 교양영역과 전공영역으로 대별하고 전공영역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제기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전공영역의 연구와 관련하여 세부영역은 다시 비서학관련 분야, 의사소통 분야, 사무기기 분야, 인접학문 분야, 교직 및 교양·상식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고에서는 특히 비서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전문대학의 교육현황과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지금까지 연구·개발되어 보급된 비서학관련 교재내용의 분석과 학회를 중심으로 한 영역별 연구분야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비서관련학과에 현재 재직하고 있는 전임교원 109명의 전공분포와 현행 교육과정에서 운영되고 있는 1240개의 교과목에 대한 교과영역별 분포 및 중요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 보다 앞서 비서교육을 폭넓게 실시하고 있는 선진제국의 비서관련분야 교육현황을 통하여 교육과정이 나아갈 방향을 조망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교양과 전공에 공통되는 교과 영역은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내용이 중복되는 교과목은 통폐합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교과목명과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이 일치되어야 하며, 비서학이 갖는 특수성으로 인한 유사 학과목의 중복 교육이 배제되어야 한다. 셋째, 중복 나열되고 있는 교과목의 명칭에 기준이 있어야 하며, 인접학문의 경우 비서교육에 적합한 교육내용으로 재편성되어야 한다. 넷째, 비서교육은 실무위주의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인접학문영역으로부터 실무중심의 교과목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오늘날 지식정보화 시대에 현장실무 중심의 전문비서를 양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비서관련분야의 영역별 교과모형은 다음과 같다. (1) 교양영역: 전공과 교양의 비율에서 교양을 최소화하되 어학이나 컴퓨터관련과목을 배제하고 순수한 교양과목에 국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비서학관련 분야: 이론보다 실무중심의 교육을 실시하되 실무분야에 대한 교과목의 확대와 현장실습의 교육기회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실습실운영의 활성화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3) 의사소통 분야: 수요자는 여러 교과영역 중 특히 영어학습에 높은 관심과 반응을 보이고 있어, 전공영역에서 체계적인 실용영어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특히 최근 들어 취업에서 TOEIC 과 같은 공인 영어점수를 요구하기 때문에 적절한 영어교육이 요청된다. (4) 사무기기 분야: 이론 교과목보다는 실기위주의 교육을 강화하되 키보딩이나 워드프로세서 등의 기초적인 기능을 숙달시키며 여러 기능을 연계시키는 체계적인 정보화 교육과 정보관리에 높은 비중을 두어야 한다. (5) 인접학문 분야: 인접학문 분야의 교육과정 반영 여부에 따라 비서교육의 향방이 결정될 수 있다. 최근 인접학문분야에 대한 축소 주장이 팽배하나 신중한 논의가 뒤따라야 한다. 다만, 인접학문을 통한 새로운 비서실무분야의 개발과 이를 통해 비서학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6) 교직 및 교양·상식분야: 비서관련학과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전공으로의 해당교과목 선정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일례로써 교육학개론이나 실기교육방법론은 전국적으로 21개교에서 개설 운영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워드프로세서 실기교사 자격증을 취득하여도 사회에서 전혀 활용되지 않고 있어 축소되거나 폐지되어야 한다. 또한 최근 비서교육에서 국제매너를 포함한 직장예절, 이미지메이킹, 화법 및 자기표현법 등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이 분야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서교육에 있어 실무중심의 교육으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른 교과목 증설의 문제와 이를 담당할 교수요원 확보의 문제가 과제로 남는다.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curriculums of secretarial science-related departments in junior colleges which leading the secretarial education in Korea. Accordingly, its improvement of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s inevitably needed. There is no denying the fact that past curriculums in secretarial sciences in junior colleges are biased toward theory-oriented education rather than practical learning. Moreover, existing curriculums were organized mainly on the basis of the professor's own area of specialization and circumstances of individual colleges. It is time for us to change the educational paradigm to a student-oriented on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desirable model curriculu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systems and content of curriculums in Korean junior college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as of specialization of the facilities and current curriculums of 30 junior colleges were investigated. Also, on-sit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persons who were graduates of those junior colleges nationwide. The usable responses were from 455 persons. The questionnaires solicited standard demographic variables, major subjects and cultural courses. The major subjects are classified as secretarial science, communication, office equipments, related courses, teaching, liberal arts subjects and common sense. The literature survey included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tatus of secretarial education and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in junior colleges along with the review of textbooks of the secretarial science-related departments and journals of the Secretary Research Academy. The empirical studies were followed on the distribution major fields of discipline of the professors teaching in secretarial science departments and on the importance of the 1,240 curriculum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primary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PSS PC+ program, factor analysis and cross-tab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ies are as follows ; The liberal arts subjects overlapped with major subjects and contents (1) The overlapped curriculums and contents in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should be integrated. (2) In view of the specialities in secretarial sciences, the curriculum,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should be unified and the repeated education on similar subjects should be avoided. (3) The title of repeated and overlapped curriculums must define basic standards and related courses should be reorganized into secretarial science- centered education. (4) Secretarial education should reinforce practical learning and make every possible effort to utilize the practice-oriented curriculums of related courses. The similarities and overlap between each subject ought to be examin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s. In an attempt to foster the field-centered professional secretary in the age of knowledge-based information, the ideal model-curriculums on related course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 (1) Liberal arts course : The number of liberal arts subjects in comparison to major subjects should be minimized, Liberal arts subjects should be limited by way of excluding foreign language and computer- related subjects. (2) Secretarial science-related course : Practical education rather than theories should be emphasized and expansion of practical subjects with the OJT opportunity is required as alternatives. The operation of simulation class should be activated. (3) Communication course : Most corporates in Korea want to hire secretaries with a good command of English knowledge. Therefore, the updated and systematic practical English course such as TOEIC are urgently needed. (4) Office equipment course : High-skilled keyboarding and word processing are basic requirements. In order to link the multifunctions, the systematic information education and information control should be given top priority. (5) Related course : The direction of the secretarial education will have to decid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of related subjects. However, the identity of secretarial science should be secured through development of secretarial practice and related subjects. (6) Educational, liberal arts and commonsense course : In an attempt to meet the recent trend, international manners such as business etiquette, image-making, narration and self-presentation should be included instead of practical teaching methodologies currenty being operated in some 21 junior colleges throughout the country. The results of the dissertation are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the major findings and significance bearing to paradigm-shift toward practice-oriented curriculums in secretarial education. Accordingly, expansion of the curriculum and appropriate staffing of the secretarial sciences departments are required to be given the top priorities.

      • 行政學의 파라다임에 關한 硏究 : 獨自性 危機와 關聯하여

        손영배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8719

        After Woodrow Wilson's "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published in 1886, the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 discipline have developed through a century. Nevertheless, public administration was enlarged to a considerable degree in its field of concerns for such a short time. Especially, after World WarII. administrative phenomena became so diverse and heterogenous that the traditional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could not explain them scientifically. Therefore, many scholars and public administrators had to accept methods and approaches from other adjacent social sciences such as political sciences, sociology, psychology, economics and so forth. The identity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is due to the extensive and disordered acceptance of methodoligies for theory - building. Problems raised by those engaged in theory- building of public administration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leading paradigm in the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Second, it lacks the main focus because of so many diverse foci. Third, the traditional theorizers are being challenged by the new public administration school. Fourth, there are no original scientific languages in the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To solve these four problems, this paper suggested as follows : First, the future of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emphasiz the directions of middle range theory. Because it must evade the distinguishable uniformity and principle of the past, find out all of aspects and variables in relation with problems from a diverse viewpoints. Second, according as the object of study in public administration has been extending continually, it has to analyze its phenomena being connected with the open system of public administration. Third, the major purpose of public administration is to achieve the multi-valuable emphasis on the ultimate values. Thus, it has also included the new standards of public administrative appreciation through the amendment - responses, representatives, responsibilities - regardless of the pursuit of efficiency, democracy and social public administration. But, the more time is going on, the more seriousness of the scopes and t- he methods related with public administration's identity crisis are increasing. In order to search these problems with the consistent system, this study manage to endeaver all possible efforts.

      • 專攻醫 職務滿足度에 관한 硏究

        정동선 仁濟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전공의 수련환경을 기초 자료로 하여 전문조직 준거성, 직업적 소명감, 스트레스, 임파워먼트, 관계지향문화, 업무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보수, 복리후생 등을 조사하여, 전공의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전공의들의 직무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련병원에서 수련중인 전공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의 지위인식 정도를 보면 전공의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의사들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전공의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보다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의사들의 지위전망도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 전공의 직무관련특성을 보면 1일 평균 근무시간은 15.5시간이며, 1주당 통상 근무시간은 79.1시간으로서 과도한 근무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전공의들이 인지하는 직무만족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전문조직 준거성, 직업적 소명감, 스트레스, 임파워먼트, 관계지향문화, 업무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보수와 복리후생 등 9개 구성개념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각 요인에 대한 전공의들의 인식정도를 보면 스트레스를 상당히 많이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무만족도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공의들은 위계지향문화, 직업적 소명감, 관계지향문화에 대한 인식정도는 높았지만, 임파워먼트, 전문조직 준거성, 업무지향문화에 대한 인식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수와 복리후생에 대해서는 불만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직업적 소명감, 관계지향문화,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전문조직 준거성, 스트레스, 업무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보수, 복리후생은 전공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복리후생 등의 변수가 직무만족도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그것이 Herzberg의 이론대로 불만요인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적극적 만족도 제고도 중요하지만 불만의 해소도 중요하다는 점에서 전공의들의 보수와 복리후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residents' job satisfaction by researching, on the basis of resident training environment, about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referent, professional calling, stres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ulture(relation-oriented culture, task-oriented culture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payment, and employee-welfare that are thought as impact variables on the job 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on residents working in 18 medium or large-sized hospitals, and they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program. This research found the followings. Firstly, the residents considered the general doctors' social-economic status slightly higher than their own. Also, many responded that the overall doctors' status will decline hereafter. Secondly,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residents overwork: they worked average of 15.5 hours a day and 79.1 hours a week. Thirdly, nine major factors were found using by factor analysis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referent, professional calling, stress, empowerment, relation-oriented culture, task-oriented culture hierarchy-oriented culture, and employee-welfare. Fourthly, even though the residents were highly stressed, they showed fairly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Moreover, they had high degree of perception on hierarchy-oriented culture, professional calling, and relation-oriented culture, but they had relatively low degree of perception on empowerment,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referent, and task-oriented culture. The survey also showed that the residents were very dissatisfied with employee-welfare. Fifthly, the hypothesis suggested in this study were test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that professional calling,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empowerment influenced the residents' job satisfaction, but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referent, stress, task-oriented culture, hierarchy-oriented culture, payment, and employee-welfare didn't. The reason factors such as payment and employee-welfare were not found to influence job satisfaction is that they are dissatisfiers, as Herzberg's theory shows. Since dissatisfiers is as important as satisfiers, effective policies should be promoted to upgrade the residents' payment and welfare. This research also suggested some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residents' work environment.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상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19

        Recently, many students in their 20s and 30s are easily feeling bored with their own occupations. This is resulting in lower job satisfaction for them. It is believed that external factors play a role in this phenomen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on their children's job satisfac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considering it as an external factor. Using the 2019 GOMS survey data, we conducted an analysis using a mediation model.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on their children's major choice, which in turn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monthly income. To empirically analyze the mediation model, polynomial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affects their children's choice of college major, which in turn has a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monthly incom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children's job satisfaction is higher when their parents have higher education levels and income. As for monthly income, children's income tends to be higher when their parents have higher income. The influence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on their children's choice of medical majors was found to be minimal.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higher monthly income in a specific major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higher job satisfaction. In summary, it appears that reducing the income disparity derived from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would have a greater impact on job satisfaction within occupations for students, rather than narrowing the educational gap among them.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education policies to minimize the socioeconomic disparity that young people receive from their paren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impact of income disparity from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through direct economic support such as taxes and subsidies. Moreove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ajor choices and their parents' job satisfaction and monthly income suggests that more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when making decisions about university major selections, especially during the process of merging specific departments. It is important to assess whether students from these departments can achieve similar levels of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other major fields. 근래 많은 20·30대 학생들이 본인 직업에 대해 쉽게 지루함을 느끼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따라 그들의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원인에는 외부적인 요인이 작용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선 외부적인 요인 중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직무만족도와 직업내 월평균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9 GOMS 설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개효과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전공계열 선택을 매개하여 직무만족도와 월평균소득에 미치는 영향과 직접적으로 이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매개효과 모형으로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다항로짓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자녀의 대학 전공계열에 영향을 주고 단계적으로 자녀의 직무만족도와 월평균소득에 영향을 주는 것보다 직접적으로 더 직무만족도와 월평균소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중 어머님의 학력과 부모님의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의 직무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소득의 경우, 부모의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의 월평균소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의약전공계열 선택에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계열별 월평균소득이 높다고 하여 직무만족도도 높은 것이 아니라고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학생들별 교육격차를 줄임으로써 이들이 직무내에서 가지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중 소득이라는 격차가 이들이 직업 내에서 가지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부는 교육 정책을 통해 청년들이 받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격차를 줄이도록 해야할 것이다. 나아가 세금과 보조금 같은 직접적인 경제적인 지원을 통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로부터 받는 영향격차를 최소화시켜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자녀의 전공계열과 부모의 직무만족도와 월평균소득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공계열과 정부에서 대학생들의 전공계열 선택에 있어 조금 더 신중을 가해야 할 것이다. 특히 특정 학과를 완전히 통폐합할 때 해당 학과의 학생들이 과연 다른 전공계열 내에서 비슷한 만족도를 갖고 업무에 임할 수 있을지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 東學의 合理性 理論에 대한 硏究 : 베버의 觀點과 對比하여

        조대현 京畿大學校 1994 국내박사

        RANK : 248719

        이 글은 동학사상이 지니고 있는 근대성 내지는 합리성의 이미지를 서구적 합리성, 즉 서양 근대성에 대한 막스 베버의 분석과 비교하여 보는 것을 주제로 한다. 합리성은 그 개념 자체가 대단히 애매모호한 것이며 상황에 따라 다의적 혹은 상대주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 현대적 합리성 이론의 시조라 할 수 있는 베버에서부터 최근의 허버트 사이몬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합리성은 그 순수한 논리적 형식에 있어서는 오직 하나뿐인 합리적 기준이나 상태를 상정할 때에만 성립할 수 있는 개념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구체적 현실에서 사람들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내용들은 항상 인간적, 역사적 제약에 의해 규정되어 왔다는 것이 베버를 비롯한 가치다원주의자들의 공통적인 해석이다. 베버의 설명처럼 합리성의 현실적 내용은 각 시대의 사회·문화적 특수성과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는 이해되기 어려운 것이다. 실재의 인간들이 합리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그가 속한 사회의 문화적 가치체계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며, 다시 그 가치체계를 성립시킨 것은 그 사회의 역사적 경험이겠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사회가 가지고 있는 합리성의 개념은 합리성에 관한 하나의 절대적 범주이기보다는 만일 조건이 변화한다면 바뀔 수도 있는 일종의 ‘이론’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각 사회가 발전시켜 온 합리성 이론이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라면, 그리하여 미국인들이 일반적으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내용과 한국인들이 합리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내용이 서로 다를 수 있다면, 그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도 대단히 유익한 작업이 될 것이다. 만일 베버의 주장처럼 이 차이가 사실이라면 미국 행정학자들과 한국의 행정학자들은 비유하자면, 합리성이라는 같은 개념을 두고도 동상이몽의 처지에 빠져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 한국의 행정학자들이 학문적으로 서양인들과 동일한 합리성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행정학자가 아닌 한국인들 일반이 가지고 있을 합리성의 개념은 서양과 다른 것일 수 있다. 아마도 현대 한국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개념은 서구적 개념과 한국 전통의 관점이 혼합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개념적 차이가 한국의 행정현실과 행정학 연구에 미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은 대단히 클 것임에 틀림없다. 한국 행정학이 이 영향을 의식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그 차이를 확인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구적 변용이 본격적으로 가해지기 이전에 존재하였던 한국 고유의 합리성 이론을 동학을 통해 찾아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 확인된 합리성에 관한 한국적 이론을 서양 근대사회에서 발전한 합리성 이론에 대한 베버의 분석결과와 대조하여 보았다. 베버는 서양 근대사회가 이룩한 합리성의 한 형태를 그 발생과정과 특이성, 한계 등에 비추어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베버는 서양사회가 목적-수단 합리성과 형식합리성을 일면적으로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고 진단하였다. 베버의 합리화론은 이러한 서양 특유의 합리성이 발전하게 된 계기와 원인을 추적하였다. 합리화에 있어 베버는 종교적 관념의 역할에 특히 주목하였다. 베버는 서양의 근대적 합리성이 발달하게 되는 정신적 기반은 프로테스탄티즘이었다고 해석하였다. 베버에 의하면 역사적으로 중국사회가 서구와는 구별되는 합리성의 한 형태를 발전시킨 것은 유교와 도교의 종교적 에토스에서도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베버는 중국의 유교가 이념적으로 가치합리성과 실질합리성을 중시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세계에서는 도교의 주술적 비합리성과 타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논평하였다. 그러나 베버는 유교가 실현하고자 하였던 동양적 합리성의 이념이 서구적 합리성의 한계에 대해 하나의 대안적 처방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정하였다. 본 논문은 동양적 합리성의 이론이 지니는 이러한 대안적 성격을 동학사상 속에서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프로테스탄티즘과 서양 근대의 합리성에 대한 베버의 분석과 동학사상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동양적 합리성의 이론을 비교해 보는 연구전략을 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첫째, 한국인들이 역사적으로 발전시켜 온 합리성의 이론과 서양 근대의 합리성 이론은 내용적으로 서로 다른 특질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합리성의 비교를 위한 베버의 범주들은 동양적 합리성의 이론을 적절히 포착해 내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셋째, 동양적 합리성은 相補性과 陰陽論的 사고방식, 氣哲學的 순환의 원리, 도덕합리성, 동양적 휴머니즘의 요소 등을 혼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동학사상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神人合一의 정신과 지상천국의 이념은 한국사상사의 유구한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서, 합리성에 관한 한국 특유의 이론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동학사상 속에 반영되고 있는 한국적 합리성의 이론은 근대적 합리성의 한계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모형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동학의 합리성 이론은 한국 행정학의 학문적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몇 가지 유익한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학을 비롯한 동양사상이 근대적 합리성의 발전에 유익하지 못한 영향을 미쳤다는 베버의 논평과 달리, 동학은 동양사상을 기초로 하였으면서도 한국인들의 근대적 각성과 합리적 인간형의 출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된다. 동학의 합리성 이론은 전통사상의 요소와 근대성이 반드시 서로 상충하는 것만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동학은 한국의 전통사상들과 서민들의 일상적 지혜 등을 흡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상적 지향과 사회적 효과에 있어서는 근대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더 나아가 동학의 합리성 이론은 근대적 합리성의 한계에 대한 처방의 모색에 있어서도 참고할 만한 특성들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동학사상 속에「易」의 상보적 사고방식과 음양론적 개념, 종합화의 원리 등이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학사상은 상보적 합리성과 음양론적 합리성, 종합적 합리성 등을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동학의 중심교리인 侍天主는 휴머니즘적 지향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 학자들에 의해 빈번히 지적되어 왔다. 동학은 음양 상보성과 소통합리적 사고방식 등을 통해 휴머니즘적 성격을 띠는 侍天合理性의 경지를 교리적으로 체계화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동학사상이 구현하고 있는 합리성 이론의 최고의 형태는 시천합리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합리성의 다른 기준들과 달리 시천합리성은 실질적으로 정의된 개념이다. 여기에는 일정한 궁극적 가치체계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시천합리성은 신인합일을 최고의 가치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신인합일주의는 그 하위 범주로서 동양적 인본주의와 평등사상, 공동체 정신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Rationality is one of the basic ideals in Public Administration. So, the way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rationality is of great importance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essence, rationality is a concept of having only one ideal status. But it is rarely possible to define the ultimate meaning of rationality. This thesis adopted the theory of rationality from Max Weber as a theoretical model. In social sciences, with regard to the way of dealing with rationality, there are two polemical points of view in modern sociology: absolutism and relativism. Absolutists assume only one absolutely rational status. But the relativists assert that there cannot he absolutely rational knowledge, and we can only approach the human rationality under the conditions of social and historical realities of the times. This thesis studied the theory of rationality from the viewpoint that is derived from a dialectical synthesis of absolutism and relativism. This point of view, which may be called 'dialectical approach', was elaborated by Ru¨diger Bubner, who is a philosopher in modern Germany. Max Weber suggested that Occidental concepts of rationality and Oriental concepts of rationality differ in quality. By means of wide ranging comparative analysis of Occidental and Oriental civilizations, Weber pursued the differences in courses, mechanisms and peculiarities of rationalization process between modern Western society and Oriental society. According to Weber, the types of rationality that have been advanced especially in modern Europe are purposive rationality in individual behavior and. formal rationality in social dimensions. In the modern age, Occidental societies developed into the societies of instrumental-formal rati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Oriental societies, including China, developed a kind of substantive rationality based on Confucian morality. Now, the point is the process of Oriental rationalization, that resulted in societies which is very irrational in formal standards. As compared to this, formal rationality of modern Europe had offered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ational capitalist system. Max Weber's social thought is a synthesis of three parts, which consists of economic explanations on the social base, religious ideological analysis of the super-structure and the theory of domination in social system. Therefore we may call Weber's perspective on society as 'a compound eyed view'. In the pre-modern era, Oriental societies had more positive conditions for the capitalism than Occidental societies, in respects of economic base and social structure. The reason why, in spite of the unfavorable conditions, only Western societies developed the rational capitalism in modern times is that a combination of religious ethos in Protestantism with capitalist economic system made better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formally rational culture in Western societies. Chinese Confucianism has developed no less rational spirit than Protestant ethic. However, unlike the Protestantism showing the 'selective affinity' for capitalist system, Confucianism of China had a selective affinity for the patrimonial domination system of Oriental societies. Due to these facts, Weber commented, development of modern capitalist system in China was retarded. Weber diagnosed Occidental rationality, which is based on formal rationality, as accompanying strict limits. Formal rationality is in conflict with substantive rationality. And in modern societies irreconcilable conflicts are in progress, in the criteria of substantive rationality. Weber was pessimistic about the future of Occidental rationality. He had a deep sympathy for the life of human being in the modernized world who cannot but make a contradictory choices of living. Weber thought of Oriental rationality as an alternative to the limits of Occidental rationality. Because, in Weber's analysis, Oriental rationality have entirely different principles and ideological foundations from those of the Occident. Getting a clue from Weber's observations on the Western and Eastern rationality, this thesis traced Oriental rationality to its origin, contents and plans for the future. In this process, this thesis analyzed chiefly the Dong-Hak thought. As Gary G. Hamilton pointed out, Weber's study of Oriental society raised fundamentally negative questions on Chinese society and positive questions on Western societies. Weber made every effort at looking for the things that existed in Occidental societies, but not in China. Weber observed the Oriental societies in the standpoint of an European.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study Oriental societ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Orientals. Accordingly, this thesis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task of finding the factors that were in Oriental societies, but not in the Occident. This thesis tried to show the contemporary values of Oriental rationality, which are embodied in Dong-Hak thought,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to the analysis of Max Weber on the Occidental rationality. It seems that Weber set up six categories of rationality. Weber defined purposive rationality(ends-means rationality) and value rationality in individual behavior, formal rationality and substantive rationality in social dimension, and subjective rationality and objective rationality in the social scientific dimension. But the fact that Weber's categories of rationality are insufficient for the tools of illuminating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rationality was proved by an analysis of the theory of rationality in Dong-Hak thought. So, in this thesis, an attempt was made to design some new categories of rationality.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Oriental theory of rationality is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ity. Historically, both Western and Oriental thought have developed the concept of equilibrium. But while the concept of equilibrium in western thinking was, as it were, centered on the equilibrium by offset(balance of rival), to the contrary, the Oriental concept of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y equilibrium(balance in harmony). If we can characterize the Occidental rationality as bipolar rationality, we may also define the Oriental rationality as complementary rationality. Complementary rationality is a kind of synthetic rationality. It may be able to conceptualize the analytical rationality in opposition to the concept of synthetic rationality. It is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in the Science of Divination(the Science of Changes 易學) that had a great influence over the development of the. complementary way of thinking. So, the Oriental rationality may be called the Yin-Yang rationality. From Yin-Yang rationality we can distinguish some more sub-categories of rationality, that is to say Yin rationality and Yang rati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Oriental thought elaborated a method of thinking, that can be called communicative rationality, by the concepts of Qilogy(氣學). Western concepts of rationality differ from Eastern concepts in the fact that the former stressed the utilitarian side of rationality and the latter pursued the moral side of rationality. Dong-Hak inherited the philosophical tradition pursuing the unity of God and man, from the ancient Korean thought. By the spirit of God-man unity Dong-Hak elevated the Korean humanism to the highest stage in the world. In this sense, the theory rationality in Dong-Hak is a theory of humanist rationality. Humanistic rationality is the antonym of instrumental rationality which has been censured by the critical theorists of Frankfurt School. Dong-Hak is a thought that seems to embraced all the principles of Oriental rationality.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that make moral and intellectual excellence for the Dong-Hak thought is the ideal of 'Si-Cheon-Ju'(means enshrine God). In short, this thesis concluded that the theory of rationality in Dong-Hak is founded on, so to speak, Si-Cheon rationality.

      • 공공시설 접근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변재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71

        “사태 그 자체로 돌아가라(Back to the things themselves)” 본 연구는 위 문구로부터 시작되었다. 현상학자 Edmund Husserl의 표현으로써, 관찰 대상을 가정 또는 선입견 없이 있는 그대로 보고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노력하려는 의식적 태도를 추구하는 말이다. 위 문구는 사태 그 자체에 대한 본질 직관으로부터 비로소 과학이 시작될 수 있음을 뜻한다. 행정학을 공부하는 동안 문구 속 의미를 종종 고민했다. 서로 다른 사람들을 어떠한 선입견 없이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 위해서 어떠한 연구를 지향해야 할지 고민했고, 다양한 현실 세계의 목소리가 그대로 담길 수 있는 연구를 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됐다. 행정학뿐만 아니라 수많은 사회과학 연구는 오늘날 인간을 이성적 차원에서 동일성을 지닌 행위자로 가정한다. 관료제 및 정책을 주로 분석하는 행정학의 경우, 객관적이며 합리적인 인간관 아래 정책 또는 의사결정의 과정을 연구한다. 이성에 기반한 행정학 연구는 이론을 고도화하고 최적화된 정책 전략을 세우는 데 상당한 공헌을 했다. 그러나 삶의 현장에 있는 시민의 감정 담긴 목소리는 연구 자료로써 활용하기에 객관적이지 않거나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연구대상에서 종종 제외하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우려하여 행정학이 자칫 작은 자들의 목소리에 소홀해지지 않도록 생활 세계의 모습을 반영하는 행정학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다. 일상적인 행정 공간의 관찰을 통해 행정 서비스가 실현되는 현실의 모습을 보고자 했다. 행정 현장과 가장 가까운 연구를 위해 공공시설 및 대중교통에서의 접근성을 연구 주제로 삼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방법은 질적 인터뷰를 통한 현상학적 분석이다. 구체적으로 Moustakas의 현상학적 분석 및 연구자가 개발한 현상학적 의식 분석을 활용하여 계획가 집단과 체험자 집단의 상이한 공공시설 접근성 인식을 탐색한다. 계획가 집단은 공공시설의 접근성을 계획하는 건축가와 인허가 관리자를 의미하며, 체험자 집단은 체험자로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의미한다. 접근성의 물리적 계획을 시도하는 건축가, 제도적 계획을 시도하는 인허가 관리자, 제약된 접근성을 경험한 장애인, 자유로운 접근성을 경험한 비장애인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접근성에 관한 행정 이론 및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네 집단 내 21인에 대한 질적 인터뷰 및 현상학적 분석을 수행한 연구 결과, 계획가 집단은 합리적 이성에 기반한 정적 논리(logic-of-position)를 통해 접근성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체험자 집단은 주관적 경험에 기반한 해석 논리(logic-of-interpretation)를 통해 접근성을 다양하게 이해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같은 계획가 집단에 속하는 건축가와 인허가 관리자 사이에서도 인식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험자 집단의 경우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공공시설 접근에서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파악했다. 끝으로, 비장애인의 경우 부상 또는 장애를 경험할 때 비로소 장애인이 경험했던 접근의 제약과 유사하게 의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약하게나마 본 연구를 통해 공간을 주제로 한 행정 연구의 잠재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공간을 주요 관찰 대상으로 삼을 때 가장 큰 장점은 관료-시민 사이 권력의 주체를 상정하지 않고, 공간 내 동등한 행위자로서 상이하게 체험한 내용을 기술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감각-지각-해석’의 과정을 거치는 의미의 구성을 관찰함으로써 정체성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표관료제의 정책적 함의, ‘필요에 기반한 행정 서비스’에 관하여 생각해볼 수 있었다. 끝으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한 행정 연구의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