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능저하 저수지의 활용성 및 생태 활력 제고를 위한 수변공원 설계 : 낙생저수지를 대상으로

        이혜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5359

        우리나라는 과거 벼농사를 기반으로 발전해옴에 따라 농업용수의 공급이 필수적이었다. 하지만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기존 저수지는 본래의 기능과 역할을 잃어 방치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저하 저수지는 환경적·경제적 문제가 발생시킴에 따라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기능저하 저수지의 활용성을 제고하며 저수지가 가지고 있는 생태적 가치를 확대하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주변 도시 및 자연과의 맥락을 이해하고 사람과 자연을 재연결하고 활성화하고자 한다. 본연구는 경기도 용인시 고기동에 위치한 낙생저수지를 대상으로 한다. 낙생저수지 주변은 산지형 농지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주변 도시 및 주거지 개발로 인해 논과 밭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로써 주변 지역에 농업용수를 공급 하던 낙생저수지의 용도가 사라진 현황이다. 대상지는 산림과 하천, 저수지로 우수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점차 도시가 발전하면서 생태계가 훼손되었다. 또한 저수지와 맞닿아 주거공간이 위치하고 있지만, 차도의 건설로 인해 서로 간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낙생저수지는 폐쇄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뿐만 아니라 수익시설의 건설 및 도시공원일몰제로 인해 대상지의 중요한 생태적 거점 또한 훼손되었다. 대상지는 두꺼비의 산란지이며 멸종위기 Ⅱ급 대모잠자리가 출현하는 자연적으로 우수한 환경이었다. 하지만 개발로 인해 대상지의 습지가 모두 매립되었으며, 산란지를 찾기 위해 저수지로 내려오는 두꺼비의 로드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지의 생태·환경적 가치를 보존하고 회복하는 공원을 목표로 한다. 생태와 사람이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진입로 등을 조성한다. 이로써 도시의 개발로 인해 방치되어 기능을 상실한 낙생저수지에 새로운 용도를 찾아 자연과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고 자 한다. 이에 따라 단절되었던 생태축을 재연결하고 주민들이 저수지의 환경적·경관적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훼손되었던 습지를 복원하고 대체습지를 조성하여 다양한 동식물들의 산란 및 서식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태적 공간을 교육 및 관찰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들에게 생태환경이 친화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낙생저수지의 생태 시스 템을 주민이 직접 관리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 프로그램 또한 확대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주민을 위한 산책 공간, 휴식공간, 운동공간을 조성하여 더욱 쾌적한 주거환경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주민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해 지역 공동체를 강화하고자 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저수지의 방치된 현황을 극복하기 위해 생태적 활용방안 및 공원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낙생저수지의 공원 조성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어 : 기능저하 저수지, 활용성 제고, 생태 회복, 수변공원, 공원설계 학 번 : 2022-29825 South Korea has historically relied on paddy farming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making the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essential. However, with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existing reservoirs have been neglected, losing their original functions and roles. The decline in functionality of these reservoirs poses environmental and economic problems, highlighting the need to explore ways to enhance their utility. This study focuses on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underutilized reservoirs and expanding their ecological value. The aim is to understand the context with surrounding cities and nature, reconnecting and revit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nature. The research specifically targets the Naksaeng Reservoir in Gogi-dong, Yongin City, Gyeonggi Province. The surrounding area, once composed of mountainous farmland, has lost its agricultural purpose due to urban and residential development, leading to the disappearance of fields and paddies that used to supply agricultural water to the neighboring areas. While the target site boasts excellent natural features with forests, rivers, and a reservoir, urban development has gradually led to ecological degradation. Moreover, the proximity of residential areas to the reservoir has resulted in a lack of connectivity due to road construction, portraying the Naksaeng Reservoir in a closed-off manner. Additionally, the construction of profit facilities and the decline of urban parks have further damaged the critical ecological hub of the target area. The site, which served as a breeding ground for frogs and supported endangered level II damselflies, face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The once-natural habitat has been compromised due to development, resulting in the issue of roadkill as frogs descend into the reservoir in search of breeding grounds.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create a park that preserves and restores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value of the target area. Programs and entrance roads are designed to facilitate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ecology and people. By repurposing the neglected Naksaeng Reservoir, which lost its function due to urban development, the goal is to plan a space where nature and people can coexist. Reconnecting the severed ecological axis, the research enables residents to appreciate the environmental and scenic values of the reservoir. Restoration of damaged wetlands and the cre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are intended to provide breeding and dwelling places for various flora and fauna. Educational and observational programs are implemented to familiarize residents with the eco-friendly environment. Furthermore, activities are expanded to empower residents to directly manage and enhance the ecosystem of the Naksaeng Reservoir. In addition, the creation of walking spaces, rest areas, and exercise spaces aims to establish a more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for residents.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space for residents aims to strengthen the local community. In this way, the study proposes ecological utilization and park programs as practical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neglected status of the reservoir. The significance lies in presenting tangible alternatives for the creation of a park at the Naksaeng Reservoir.

      • 광교 제2저류지를 대상으로 한 파라메트릭 지형설계기법 개발 연구

        김성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5359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 홍수 및 침수 문제는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른 대응 방안으로 도시 계획 차원에서의 분산식 저류시설을 도시 내에 계획 조성해왔다. 그러나 도시 내에서 물리적으로 도시민과 밀접한 위치에 놓이게 된 만 큼 저류시설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저류시설의 문제 해결 및 활용 방안을 탐색하여 친환 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라메트릭 지형 설계 기법을 통해 저류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접 근 방식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지는 수원 광교 제2저류지로 선정되었으며, 이 지역의 저류 기능을 유지하면서 공원화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광교 제2저류지로 한정하였으며, 저류공원의 개념, 정책 및 법제적 고찰, 설계홍수량 산정 과정, 파라메트릭 디자인 적용 및 시뮬레이션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저류시설의 공원화가 어떻게 도시 홍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저류공원 및 파라메트릭 디자인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 고, 대상지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원시 관계자와의 면담 및 자료 수집을 진행 하였다. 파라메트릭 디자인 도구인 Grasshopper를 사용하여 다양한 지형 설계 디자 인 방안을 제안하고, Water Flow 시뮬레이션 및 타 대상지에의 적용 검토를 통해 스크립트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자동화 스크립트로 생성한 일시저류지 (Detention)와 상시저류지(Retention)의 옵션에 대한 설계 예시안을 제안하여 본 연 구의 스크립트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가이드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과 이론적 분석에 기반하였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의 검증 이 부족하고, 파라메트릭 디자인 도구의 기술적 한계와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검토 부족, 경제적 타당성 분석의 미흡함도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 는 파라메트릭 지형 설계 기법을 활용한 저류시설의 공원화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 를 통해 도시의 홍수 문제를 해결하고 친환경적인 도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 법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자동화된 설계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시 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주요어 : 도시 홍수, 저류공원, 지형설계, 파라메트릭 디자인, Grasshopper, 알고리즘 학번 : 2022-26335 With rapid urbanization, the problems of flooding and inundation in city have caused serious damage. As a countermeasure, decentralized reservoir facilities have been planned and developed at the urban planning level. However, due to their physical proximity to urban residents, various issues arising within these reservoir facilities have led to continuous complaints from local commun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these reservoir facilities and propose ways to utilize them to create an eco-friendly and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seek efficient approaches to reservoir facilities through parametric topography design techniques. The study area is selected as Gwanggyo 2nd Reservoir in Suwon, with the goal of proposing methods to maintain its reservoir function while transforming it into a park. The spatial scope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Gwanggyo 2nd Reservoir and includes the concept of a detention park, policy and legislative reviews, design flood estimation processes, and the application and simulation of parametric design. This research explores how the transformation of reservoir facilities into parks can solve urban flood issues and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The research methods involved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etention parks and parametric design, conducting interviews with Suwon city officials, and collecting relevant data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tudy area. Various topography design proposals were suggested using the parametric design tool Grasshopper,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 proposals was verified through Water Flow simulations. Parametric design enabled the generation of both detention and retention design options, offering advantages such as time and cost savings through automated design techniques. This study is based on simulations and theoretical analyses, which implies a lack of validation in actual field conditions. Limitations include the technical constraints of parametric design tools, insufficient review of long-term effects, and inadequat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reservoir facilities into parks using parametric topography design techniques, proposing a method to solve urban flood issues and create an eco-friendly urban environment.

      • 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공개 전담협의체(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NFD) 핵심지표에 따른 국내 기업의 자연환경 관련 활동 현황 분석 :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중심으로

        이양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5343

        Beyond tradition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companies are increasingly seeking to achieve non-financial environmental performance goals. The Task 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TNFD) emerged as a response to this trend, providing an ESG framework for companies to evaluate and disclose their dependence and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encompassing more than just climate change. However, standardization challenges with natural capital and diverse nature-related guidelines hamper disclosure efforts. The costs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re not properly recognized and quantified. In addition, the difficulty in standardizing natural capital and the differences in guidelin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re hindering the activation of disclos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NFD core indicators and suggest ways to increase the level of corporate activiti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by domestic companies.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NFD core indicator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creating shared value(CSV) activitie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 environment-related disclosures by domestic companies and examining leading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disclosures related to TNFD core indicators to consider ways to activate natural environment-related disclosures. This study analyzed the TNFD global core disclosure indicators of five companies in each of nine industries: energy, materials, industrial goods, consumer discretionary goods, consumer staples, finance, healthcare,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ervices, divided into the 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GICS), including ecosystem change (C1.0, C1.1), pollution/decontamination(C2.0, C2.1, C2.2, C2.3 C2.2), resource use/decontamination(C2.3), and environmental impact(C3.0, 3.1), resource use/replenishment(C3.0, C3.1), alien species management(C4.0), and state of nature(C5.0, C5.1). For ecosystem change(C1.0, C,1.1), 11 cases(24%) of 45 domestic companies reflected the need for supplementation and 5 cases(11%) reflected the state of nature(C5.0, C5.1). 11 companies(24%) monitored soil(C2.0) during pollution/decontamination, 4 companies(9%) disclosed whether wastewater(C2.1) was discharged into freshwater and other ecosystems, 23 companies(50%) disclosed the conversion rate of hazardous waste(C2.2), 9 companies(20%) disclosed the usage and conversion rate of plastics(C2.3), and 33 companies(77%) disclosed three or more pollutants among non-greenhouse gas pollutants(C2.4). Resource use/replenishment(C3.0, C3.1) was assessed by the World Resources Institute(WRI) Water Stress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invasive species(C4.0) was difficult to disclose.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corporate activiti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mpany's land use area and protected area to assess the status of ecosystem change(C1.0, C,1.1) and the state of nature(C5.0, C5.1), and pollution/decontamination (C2.0, C2.1, C2.2, C2.3 C.2.4) and alien species management(C4.0) can be activated in the direction of linking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aquatic ecosystems, etc. Raw material use/supplementation(C3.0, C3.1) requires identification of the production method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raw materials used by the business. The TCFD notification announced in 2017 was implemented by 96% of companies in this study, and if sufficient guidance is provided on reflecting the TNFD, it is likely that companies' activiti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can be internalized into management, and continuous discussions are needed for this. keywords : Nature capit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Creating Shared Value(CSV), sustainability management reports, ESG management 최근 기업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을 넘어 환경 관련 비재무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 속에 기업은 환경 분야에 기후변화 대응을 넘어 자연환경 관련 의존성과 영향을 평가 및 공시해야 하는 사회흐름에 직면 속에 연환경 관련 기업의 ESG 대응체계인 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공개 전담협의체(Task 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s Disclosures, TNFD)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자연자본의 표준화가 어렵고 이에 따른 자연환경 관련 지침마다의 상이함이 고시 활성화 걸림돌이 되고 있다. 자연환경에 관련한 활동들에 대한 비용과 성과를 제대로 인지 및 정량화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자연자본의 표준화가 어렵다는 점, 이에 따른 자연환경 관련 지침마다의 상이함이 고시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NFD 핵심지표 반영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국내 기업의 자연환경 관련 기업 활동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NFD 핵심 지표별 반영 여부 현황 및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및 사회공헌(CSV) 활동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기업의 자연환경 관련 고시 현황을 토대로 TNFD 핵심지표와 관련한 국내외 반영 선도 사례를 고찰하여 자연환경 관련 고시 활성할 방안은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산업분류체계(GICS)로 나눈 에너지, 소재, 산업재, 자유소비재, 필수소비재, 금융, 헬스케어, 정보기술, 커뮤니케이션서비스 9개 산업별 5개 기업을 TNFD 글로벌 핵심 공개 지표를 중 생태계 변화(C1.0, C,1.1), 오염/오염제거(C2.0, C2.1, C2.2, C2.3 C.2.3), 자원사용/보충(C3.0, C3.1) 외래생물관리(C4.0), 자연의 상태(C5.0, C5.1) 중심으로 고시 여부를 확인하였다. 셍태계 변화(C1.0, C,1.1)에 대한 고시는 국내 기업 45개 기업 중 보완 필요 11건(24%), 자연의 상태(C5.0, C5.1) 5건(11%) 반영하였다. 오염/오염제거 중 토양(C2.0)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기업은 11건(24%), 폐수(C2.1)의 담수 및 기타생태계 방출 여부를 고시한 기업은 4건(9%),, 유해폐기물(C2.2)의 전환율을 고시한 기업은 23건(50%), 플라스틱(C2.3) 사용량 및 전환율을 고시한 기업은 9건(20%), 비온실가스 오염물질(C.2.4) 중 3~4개 이상의 오염물질 고시한 기업은 33건(77%) 이었다. 자원사용/보충(C3.0, C3.1)에서는 세계자원연구소(WRI) 물스트레스 평가가 이루어졌고, 외래생물관리(C4.0) 관리에서는 고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자연환경 관련 기업 활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셍태계 변화(C1.0, C,1.1), 자연의 상태(C5.0, C5.1) 상태 평가를 위한 기업의 토지 사용 면적과 보호 면적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며, 오염/오염제거(C2.0, C2.1, C2.2, C2.3 C.2.4), 외래생물관리(C4.0)는 수생태계 등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들을 연계하는 방향으로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원사용/보충(C3.0, C3.1)에서는 사업에서 사용하는 전반적인 원자재의 생산방식 및 생산지의 공간적 특성 파악이 필요하다. 2017년에 발표한 TCFD 고시는 본 연구에서 96%의 기업이 시행하고 있었고 TNFD 반영에 대한 가이드가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기업의 자연환경 관련 활동이 경영 내재화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 자연자본,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공유가치 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지속가능경영보고서, ESG 경영

      • 전원주택단지의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최규성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5327

        It is an object of the research to find a generalized standard of Garden Housing Site design scheme for harmonizing with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Garden Housing Site, the Garden Housing Site and natural environment for a planned development of Garden Housing Site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elements of housing estate that common applied to development of estate. For establishing a direction of designing the Garden Housing Site, the researcher uses a case study approach. The research is progressed as follows. The researcher explains general theoretical concepts and patterns of the Garden Housing Site in the chapter 2. The chapter 3 contains how the researcher approaches to the object of the research by using the case study . The researcher selects appropriate subject of the case by investigating present states of rural houses around the Teague and analyzing selected rural house by visiting the rural house, interviewing with residents and surveying with questionnaire. By analyzing results of the investigating, the researcher finds problems in designing the Garden Housing Site. In chapter 4, the research presents a design-direction of the rural hosing estat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apter 3 by dividing the design-direction into three design-directions such as design-directions of estate, house and landscaping. And the researcher also shows predicted limitations of established the design-directions in case that the conceptual design-directions is applied into real world. The researcher reaches conclusions through preparing and studying the research.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At first, the researcher gains a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he case study that the Garden Housing Site is better to be developed in a lump rather than dependently developing each lot divided for sale. By developing the Garden Housing Site in lump, the Garden Housing Site can be united and harmonized with constructional elements and environment. The Garden Housing Site has to be developed consistently therefore, appropriate size of estate needs to be selected for eliminating side effects and problems including a lack of supplemental facilities from small-scale development and the Garden Housing Site must be developed by faithful building company having high construction technique and capital. Second, the principl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needs to be settled by extracting common factors representing the principl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Korea-style rural house ba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common problems of Korea-style rural house. Third, the rural house needs to be distinguished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by giving identity or particularity to physical elements of residential area and the rural house must have uniqu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existed environment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village or residents, and leading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to design the rural house. Fourth, the housing estate needs to be designed by considering a community spirit between residents and as means of the community spirit, a concept of public area has to be applied into the housing estate. Therefore, freedom and unity must be coexisted in the estate. Fifth, a market for rural house needs to be vitalized for settling a standard of an environment of the rural house estate and for vitalizing, restriction of law needs to be alleviated. Specially, trading of an agricultural land needs to be vitalized and a land inside green belt also need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search new development plan. As mentioned above, the research presents general principles of designing the Garden Housing Site by using a case study approach. The research expects that the presented general principles will be a base to enhance the designing scheme for the Garden Housing Site.

      • 지역정체성 제고를 위한 고속도로 휴게소 옥외 휴게공간 설계 : 중앙고속도로 군위휴게소 옥외 휴게공간을 중심으로

        李洽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5327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design solutions for reflecting local identities as well as cultural settings of an adjacent (nearby)town, and to provide a design model for desirable outdoor space of rest areas in expressways. In a past time, outdoor spaces in the rest area were built with uniform like a manufactured product. This study has provided recommendations for characterizing rest areas according user's tastes, while differentiating other areas, A case study area, 'Kunwi' rest area, located in about 45.15km away from 'Kumho' interchange of Joong-Ang Expressway, were selected. The study area was developed with a standardized design module in 80's and 90's, representing a very typical form of rest area throughout Korean expressways, This study has conducted with three main stages: first, a construction of local identity's concept, throughout reviewing theoretical research papers and books; second, a development of planning principles and objectives, by analysing a collected data, not only on site's existing natural settings, human and social environment, but many domestic and abroad case studies; finally, an inducement of presentation and opportunity meaning (design solutions) for promoting local identities, by analysing physical and human elements as well as time and spacious contexts. For conclusion, this study has suggested recommendations for development of outdoor rest space as follows: 1. Outdoor space of rest area, as a strategic point of a huge linear expressway, should be created as an image of place for promoting local identity. 2. It should be developed (designed) not just a place of 'stop by', but a place of character for encompassing user's tastes. 3. It should be developed (designed) to accommodate diversifying and affluent user's needs and to make 24 hours of service, 4. It should be located for harmonizing surround landscape, and should be developed for making expansion possible alongside of expressway. 5. It should be developed for making a sustainable landscape planning possible, reflecting a local ecological environment (a local ecology and environment).

      • 농촌다움 보존을 위한 소리경관의 맵핑 및 활용 방안 : 이천시 율면 부래미마을을 사례로

        박세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35327

        본 연구는 농촌다움을 보존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소리경관(soundscape)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공간계획에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농촌다움은 우리 농촌이 가지는 긍적적인 가치로, 이는 지속 가능한 농촌 공간 조성을 위한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그러나 도시화와 산업화의 영향으로, 농촌 지역의 경관 훼손과 함께 소리경관 또한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농촌 지역의 소리경관을 조사하고, 이를 농촌 공간 관리 및 계획에 활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이천시 율면 부래미마을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해당 지역의 소리경관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소리 수집, 분석 및 맵핑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IDW(Inverse Distance Weighting) 보간법을 적용하여 공간적으로 소리 데이터를 시각화하였다. 소리경관의 주요 요소는 피아노브스키(Pijanowski)의 분류에 따라 인간의 소리(Anthropophony), 생물의 소리(Biophony), 자연의 소리(Geophony)로 구분하였으며, 각 요소별 소리 패턴과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래미마을의 소리경관은 농촌다움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정 지역에서는 농업 활동, 생태 환경, 인간 활동이 혼합된 독특한 소리 패턴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농촌 지역의 주요 공간 유형(공장, 주거지, 과수원, 경작지, 산림 등)에 따라 소리경관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리경관을 활용한 농촌 공간 관리 및 보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사운드스케이프 조닝(zoning)을 도입하여 소리경관의 특성에 따라 세 가지 구역으로 나누었다. 첫째, 마을환경소음관리구역은 인공 소음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으로, 공장 및 교통밀집 지역에 해당하며, 소음 저감을 위한 관리 방안이 필요한 공간이다. 둘째, 마을환경소리보전구역은 자연 소리가 우세한 생태 보전 구역으로, 동식물의 서식지를 보호하고 외부 소음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핵심 과제인 공간이다. 셋째, 마을환경소리조정구역은 생활 환경과 작업 활동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소음 관리와 정주 환경 보호가 필수적인 구역이다. 조닝 후에는 각 구역에 따라 지형적, 생태적, 정책적인 방안을 활용하여 농촌다움을 살린 소리경관을 어떻게 만들어나가고 보존할 수 있을 것인지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소리경관을 활용한 농촌다움 보존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점에 있다. 기존의 농촌 경관 연구가 주로 시각적 요소에 집중되었다면, 본 연구는 청각적 환경이 농촌 지역의 정체성과 환경적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를 공간 계획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소리경관 맵핑을 통해 농촌 공간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소리경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포함하고 있다. 해외 사례를 분석하여 소리경관 보호를 위한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농촌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농촌다움을 유지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공간 관리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계절 및 시간 변화에 따른 소리경관의 동적 변화를 추가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