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UTATION, MIGRATION, DISSEMINATION DANS LE TRAVAIL IN-SITU

        김경선 Universite de Pantheon-Sorbonne-Paris I 2002 해외박사

        RANK : 233262

        논문구성 본 논문은 실기와 이론을 두 권의 책으로 엮은 연구서 이다. 1권은 총329 페이지로서 260 페이지의 이론적 연구와 69 페이지의 목차, 인명록, 어휘록, 참고문헌을 싣고있다. 2권은 178 페이지로 세가지 종류들로 분류된 사진들을 담고있다. - 68장의 본인 작품 사진 : Photo. 라고 지칭함. - 53장의 작가들 작품 자료 사진 : Fig. 라고 지칭함. - 43자의 다양한 자료 사진 : Doc. 라고 지칭함. - 가설 및 문제제기 본 연구는 김을 실기 재료로 사용하는 조형적 연구를 시작한다. 조형예술의 공간에 도입된 김은 그 고유의 역할 및 문화를 벗어나 독특한 재료로 전환된다. 이 실기 작업 통하여 공간 이동 과 작업 변경(변화)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소(공간) 이동은 어떤 종류의 조형적 변경(변화)을 초래하는가? 이와 같은 실기작업에 있어 이 질문은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가? 김의 선택은 설치 작품 및 학춤을 통한 퍼포먼스에 이르기까지 본인의 실기 작업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있는가 ? 연구 주제인 변경, 이동 및 산종은 상호 어떤 연관성들을 형성하는가 ? 설치 작업은 이 세 가지 개념들의 다양한 상호 종속 작용에 의해 창출되는 일시적 결과가 아닐 것인가 ? - 단원요약 본 논문은 크게 3 단원으로 분류되고, 각 단원은 세 가지 소 단원으로 나뉘어있다. I. 김-변경 A. 물 B. 김 문화 C. 조형적 표현으로서의 김 II. 학 (두루미)-이동 A. 학 (두루미) B. 각양 각색의 새 C. 공간 작업 III. 종이-산종 A. 종이 B. 책-오브제 C. 알-산종 I. 김-변경 A. 물 김을 생태학적으로 연구하고 실기 작품, Des dauphins au livre 와 Dauphins a la riviere들을 분석을 통하여 김과 조형 개념으로서의 변경(변화)에 관한 연관성들을 분석한다. 가스통 바슐라흐의 책 "물과 꿈"을 참고 및 인용하고 물과 관련된 예술가들의 작품 과정들을 분석한다. B. 김 문화 Porphyra 및 Ulva는 실기 작품에 사용된 김의 종류이다. 한국의 김 양식 방법, 변형 방법, 보관 방법 또 요리 법들을 소개하고 본인의 실기 작품과 관련 있는 다른 예술가들의 작품들과 더불어 연구한다. C. 조형적 표현으로서의 김 본인의 조형 작품, Algue au cercle은 김과 종이의 교차를 통해 punctum을 형성하고, 이 재료들의 결합에 의한 미로 같은 작업 형태와 의미를 구성한다. 김과 종이 간의 차이와 시간은 다양한 변경(변화)을 유발시키는 핵심적인 요소들로 작용한다. II. 학-이동 A. 학(두루미) 이 철새에 관계 된 학술적인 연구는 전 세계 학춤의 다양함을 보여주는 신화적 연구를 보충해준다. B. 각양 각색의 새 동 서양의 언어 표현 법에는 학에 관한 모순들이 존재한다. 공간 이동처럼 언어 탐구 여행은 현실 세계와 상상의 세계를 이어주는 예술 창작의 근원이 된다. C. 공간 작업 공간 작업은 전시 공간에 적합한 설치 작품을 만들어내는 한 실기 형태이다. 공간에 따른 다양한 설치 의도, 방법 및 의미 변화를 요구하는 여러 종류의 오브제 전시와 학춤을 접목시켜 완성 작품에 생동감을 부여한다. 사진과 비디오를 통하여 본인의 순간지향적 작품들을 되 살펴 볼 수 있다. III. 종이-산종 A. 종이 개인적이며 문화적인 예들을 통하여 본인과 종이를 하나로 연결시켜본다. "종이"는 본인의 실기 작업에 중요한 재료로서 사용되고 "손"은 종이 접기 및 종이 죽을 만드는 핵심적인 창작 도구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창작의 주제가 되기도 한다. 열을 만들어내는 "불"과 종이를 말리는 방법들(태양열 과 가스열)은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조형적 요소의 역할을 담당하고 Echelle의 개념을 재정립시킨다. B. 책-오브제 이 연구는 오브제로 본 책을 창조하는 나와 다른 작가들의 작품들을 분석한다. 네 가지 조형적 측면, 즉 형태, 재료, 문자 및 양식(정신적,육체적)으로 나눈 새로운 책들의 창작 배경들을 연구한다. C. 알-산종 본인은 학춤의 퍼포먼스를 통해 새의 동태를 표현하고 종이 접기와 천을 꿰매기는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 및 색상의 학(두루미)과 학 알들을 만들어낸다. 일상 생활과 소망을 쓰는 일기는 한 문장씩 종이 학 알에 담아 날마다 접고 파라핀을 입힌다. 본 작업에서 산종의 개념은 제작 과정과 전시 공간에서 모임과 흩어짐에 대해 다양하게 설치한 작품 연구를 통하여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 결론 및 전망 변경, 이동 및 산종은 부분적으로 상호 종속되어 있다. 이 결론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를 원할 하게 하기위해 세 가지 개념들을 각각으로 나누면서 단계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설치 작품들의 공간에 의한 조형 변화들을 통하여 변경, 이동, 산종의 상호 종속성의 결과를 파악 할 수 있다. 창조 가능성으로 열린 탐구의 세계 속에 유랑자가 되는 본인은 창작행위를 통해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고 이를 승화시킨다. 산종에 대한 조형 작업의 연구 및 추구는 예술의 장에서 뿐만 아니라 가르침을 추구하는 교육의 장에서도 실현 될 수 있을 것이다.

      • Creativity economics : from an economic agenda to a well-being model that cultivates behaviours for sustainability

        Kim, Sun Kyung D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6 국내석사

        RANK : 233023

        Creativity Economics: From an Economic Agenda to a Well-being Model that Cultivates Behaviours for Sustainability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마지막 조각에 대하여 수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많은 경제이론의 자연적 진화에 따라 창조경제의 시대가 도달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이 입지를 강화하기 최적한 시기이다. 그렇다면 창조경제를 위한 안건들은 지속 가능한 발전에 가능성을 높이는가 아니면 방해 영향을 미치는가? 결국, 지속 가능한 발전의 장벽이 사회정의를 이루는데 장벽이 되고 사회 불평등은 주관적 가치들의 대립을 통해서 지속한다.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정의를 위해서는 생리학적인 것 외에도 감정적이 필요성 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행동을 기반으로 사회, 경제, 그리고 환경적인 격차를 보는 것이 문제점들을 이어주는 방향을 제시할 것이고, 창조적인 시각은 제시한 방향을 길로 만들 것이다. 혁신은 새로운 시장과 기회 그리고 기술적인 해답을 가능하게 하겠지만, 나아가 창조적인 개인들을 통해 행동의 변화, 기존 방법의 혁신 등을 통해 사회적 정의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 창조적인 과정을 통해 개인의 주된 그리고 이차적인 (마이크로 레벨) 필요성을 충족하여 국가적인 (매크로 레벨) 건강, 나아가 국제적인 가치와 지속가능 한 발전에 대해 논의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경제적 안건을 제시하기보다, 개인과 사람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건강과 가치, 그리고 생각을 중심으로 창조함으로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지속할 수 있는 발전을 구축하는 것을 제시한다. 대한민국의 창조경제 안건을 분석 연구함으로, 본 논문은 창조를 기반으로 경제 성장을 발전시키는 안건들은 현시점에서는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지만 나아가 현실적인 시민들의 생활이나 삶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협목 시키지는 못할 것이다. 경제, 심리, 창조, 교육, 그리고 기술의 시너지를 접목하는 것으로 다양한 창조와 지속 가능한 발전의 정의를 다시 보고, 나아가 이러한 시너지들을 통해 경제적 성장, 사람들의 참살이 (well-being), 그리고 친환경적인 환경을 구축하려 한다. 대한민국은 국제적 과학과 기술에서 리더로서 그린 발전과 정책 그리고 국제 관계에서의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OECD 국가로서 지속적인 발전과 다양한 사업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청년실업있지만 청년실업, 교육 관련 자살률 (OECD, 2014a) 등의 슬픈 현실에도 직면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특별한 위치에 있는 대한민국으로서, 창조 척이지만 보다 완화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통해, 더욱 발전하고, 또 발전하고 있는 국가들에 청사진이 되어 창조경제가 국가적 발전과 지속할 수 있는 정책들의 교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정서적인 접근을 통한 창조가 회복의 원동력이 되어, 불평과 불화를 화해시키고 나아가 지속 가능한 발전의 시작점이 될 것이다. Creativity Economics : From an Economic Agenda to a Well-being Model that Cultivates Behaviours for Sustainability There is recurrent discussion about a final frontier that will bring the world into patterns of sustainability. The creative economy has arrived as a natural progression of preceding economic eras, and also with optimum tim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gain ground. Consequently, are currently enacted creative economy agendas facilitating or hindering the path toward sustainability? Ultimately, barriers to sustainability are barriers to social justice, and causes of social injustice are rooted in a complex discord of subjective values because secondary human needs are inevitable. Simply put, actually tackling barriers to sustainability and social justice requires addressing not only physiological (primary) but also psychological (secondary) needs. Thus, taking a behavioural approach to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disparities can open the path to the connected core of these issues - and creativity will pave that path. Creative thinking, once considered more as an arbitrary discipline for its lack of objective scientific value, now stands at center stage. It is expected that not just innovative ideas will surmount to solutions as never approached before, but even more so that facilitating lifestyles enabling deeper processes of and freedoms for creativity will generate a cycle of wellbeing that will inevitably lead to sustainable economics, natural resources, and social justice. Innovation can certainly provide new market opportunities and technological solutions that facilitate recovery and resurgence, but it is also important to highlight that elevated creativity in individuals is proven to give rise to behavioural transformations, resurfacing rudimentary values that support and advocate the onset of social justice and thus sustainability. The process of creativity makes way for addressing primary and secondary needs in individuals (micro-level), thus serving as an indicator of national (macro-level) well-being, ultimately building behaviours and values that promote international and generational (chrono-) sustainability. Therefore, rather than enforcing a national growth-centered economic agenda that now gives long overdue value to creative ideas, establishing a peoplecentered well-being model that aims to cultivate creativity as an indicator and driver of economic stability presents a more promising disposition for short- and long-term sustainability.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public of Korea’s creative economy agenda, particularly focusing on ICTs as the greatest tool of innovation today, this thesis will demonstrate that claiming creativity as a platform to solely deliberate economic growth may see a generation of new solutions, but will not actually cultivate behaviours and lifestyles amalgamated with well-being and thus sustainability. Synergy between elements of economics, psychology, creativity, education, and technology will be explored from various angles in order to demonstrate a resemblance between elements of creativity and principles of sustainability, thus further integrating connection between economic stability, human well-being, and a robust environment. Korea stands firm at the forefront of the global technology market, has demonstrated strong commitments to national green growth policy, maintains strong international relations hemisphere-wide, and has stable developing OECD conditions - yet continues to yield consistently deplorable career- and education-related suicide rates (OECD, 2014a). Given the nation’s unique global juxtaposition, a modified economic agenda will hopefully motivate other developed, developing, and to-be-developed countries to use it as their own blueprint to strengthen their national sustainability strategies by adapting the creativity economy model for improved well-being. Meeting secondary needs via creativity is the universally applicable key to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restoration, where the obsession with insatiable financial growth, ferocious competition, and thus planet-wide disparities will be broken and instead our options for sustainability will be unbound.

      •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Design Thinking Education: A Proposal for an Education Workshop Focu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Ages 13-15)

        Kim, Kyung Sun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H 2014 국내석사

        RANK : 233007

        Creativity is essential in the 21st century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world that is becoming more complex. As industries have shifted from the manufacturing-based 20th century to the knowledge-based 21st century, we are currently surrounded by unprecedented and unpredictable changes that we must face and solve. Governments, institutions, and businesses have a desperate and urgent demand for creative individuals that will help successfully navigate a world characterized by complexities and difficulties. 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we must educate and train people to think creatively; in doing so, creativity must be embedded in education. The role of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should be to foster creative thinking. However, the systems of education used today, which have been invented before the 19th century to meet the needs of industrialism, focuses on linearity, conformity, and standardization.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currently used educational system, this research questions whether our educational systems are limiting our innate creativity and suggests that we must rethink the principles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 effective method of education for enhancing creativity. This research explores design thinking as a methodology for enhancing creativity in students. Design thinking, which promotes synthetic, divergent, and generative approach to problem solving, can balance the analytical thinking that is dominant in today’s education.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n education workshop called FRAME, a title abbreviating its five-step process (Find, Research, Ask, Make, and Evaluate), has been developed as one possible solution that could be implemented into schools.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governments, institutions, businesses,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students realize the importance of encouraging creativity in education and implement design thinking education to as a strategy for fostering it. Design thinking education can enhance creativity, which can lead to successes of the individual, competitive advantages in businesses, and prosperity of the nation in the future. 21세기의 더 복잡해진 세상의 어려움들을 마주하기 위해서 창의성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20세기의 산업기반 시대에서 21세기의 지식기반 시대로 바뀌면서 우리는 늘 새롭고 예측 불가능한 변화를 직면하고 해결해야 한다. 정부, 기관 및 기업들은 우리가 맞서야 하는 복잡함과 여러 도전들을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를 극단적이며 긴급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렇게 늘어나는 시대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선, 우리는 사람들이 창의적인 사고를 하도록 교육시키고 훈련시켜야 한다. 21세기 교육의 역할은 창의적 사고를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육 체계는 19세기 이전에 만들어졌고 산업주의 시대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므로, 직선(linearity), 일관성(conformity)와 표준화 (standardization)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시대의 교육 체계의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현재 교육 체계가 선천적인 창의성을 제한한다는 의문점을 제시하고 교육의 원칙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효과적 교육 방법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사고’를 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방법론으로써 탐구하고자 한다. 디자인 사고란 문제 해결에 있어서 종합적(synthetic), 확산적(divergent) 그리고 생성적(generative) 접근을 촉진시키며, 현대 교육을 지배하는 분석적 사고에 대한 균형을 맞춰줄 수 있다. 중학생들을 상대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FRAME 교육 워크숍은 학교에서 시행될 수 있는 한 가지의 해결책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FRAME은 하기의 다섯 가지 단계를 축약한 제목이다: Find 발견보기, Research 살펴보기, Ask 생각하기, Make 만들어보기, Evaluate 평가하기. 이 연구를 통하여 정부, 기관, 기업, 교육 단체 및 학생들이 교육에서 창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창의성을 기르는 전략으로 디자인 사고 교육을 시행하기를 기대한다. 디자인 사고 교육은 창의성을 향상시키며, 그 창의성은 개인의 성공, 기업의 경쟁우위와 국가의 번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Effects of Additives on Electrochem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 (Ethylene Oxide) (PEO) Electrolytes

        김선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990

        리튬 이온 배터리는 2차 전지로서 현대사회에서 매우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리튬 이온 배터리는 리튬의 한정적 자원에 의한 가격 상승 문제와 액체 전해질 누수에 따른 폭발 위험 가능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리튬의 대안으로는 리튬과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지는 소듐이 주로 이용된다. 동시에 안전성 문제 해결을 위한 액체 전해질의 대안으로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호스트 고분자는 주로 폴리 에틸렌 옥사이드가 사용된다. 폴리 에틸렌 옥사이드는 다른 폴리에테르보다 전기화학적으로 안정적이나 반결정화성 구조에 의해 낮은 이온 전도도를 가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두 가지 첨가물, 이온성 액체와 무기 필러를 첨가하고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 현탁액에 대한 첨가물의 영향에 관해 연구하였다. 첫번째로 이온성 액체는 전기화학적 특성을 크게 변화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온성 액체는 가소화 효과에 의해 고분자 사슬의 이동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염이므로 전하 운반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자체로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지므로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온성 액체의 첨가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의 감소를 야기한다는 단점이 있다. 50%의 이온성 액체를 첨가할 경우, 이온 전도도 값은 대략 1600배 정도 향상되나 항복강도가 23%로 감소하며 적은 변형에도 전해질 필름이 빨리 끊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해질의 경우 전극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매끈한 표면을 필요로 하는데 이온성 액체의 첨가 결과 표면에서 주름진 구조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또한 기계적 강도 감소와도 연결할 수 있다. 두번째로 무기 필러, 즉 실리카 나노 입자는 비교적 기계적 강도를 크게 감소시키지 않고 전기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킴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리카 나노 입자의 경우, 사슬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고분자 사슬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나 동시에 과량 첨가할 경우 입자의 뭉침에 의해 blocking 효과가 작용한다. 이후 계속해서 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입자 간 거리가 서로 가까워지며 전도를 위한 새로운 경로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농도 변화에 따른 이온전도도 경향성은 두개의 최대점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리카 입자는 고분자 사슬과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므로 이온성 액체에 비해 이온 전도도에 대한 효과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과량의 무기필러는 고분자 사슬 표면에 부착되어 기계적 성질의 감소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조 전 현탁액의 유변 물성을 관찰한 결과 실리카 나노 입자를 이온성 액체 농도의 절반 이상 첨가한 샘플에 대해 항복 응력 유동이 나타났다. 즉, 특정 값 이상의 힘을 가해줄 때에만 흐르는 성질을 가지므로 코팅 시 시료를 원하는 두께로 펼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 과정에서 원하는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농도의 실리카 나노 입자 첨가는 공정효율성을 증가시킨다. Lithium Ion Batteries (LIBs) have been widely utilized as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LIBs are essential in modern society but have disadvantages of cost rise due to the limitation of lithium resources and the possibility of explosiveness by leaking of liquid electrolytes. As an alternative to lithium, sodium is used because of simila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lso, Solid Polymer Electrolytes (SPEs) are commonly studied to resolve the safety problem of liquid electrolytes. Poly (ethylene oxide) (PEO) is usually selected as a host polymer because PEO is electrochemically stable as compared to other polyethers. However, PEO-based SPEs have low ionic conductivity due to the semi-crystalline nature of PEO. Therefore, in this study, two types of additives, ionic liquid and inorganic filler, were used to improve the electrochemical property of SPEs. After tha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ditives on polymer electrolytes and suspensions. First, ionic liquid influenced the electrochemical property of polymer electrolytes significantly. Ionic liquid increases the movement of the polymer chain by a plasticizing effect. Plus, ionic liquid is “room temperature molten salt,” thus can offer the charge carriers. Thus, ionic liquid had a rel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onic conductivity of polymer electrolytes. However, ionic liquid simultaneously had a disadvantage of decreasing the mechanical property. When we added the 50% ionic liquid, the ionic conductivity of SPEs increased roughly 1600 times than PEO20-NaClO4 electrolytes. Nevertheless, polymer electrolytes were easily broken by even small deformation with the decrease of yield strength by 23%. Besides, polymer electrolytes need a smooth surface for enhancing the interfacial stability. However, ionic liquid induced the wrinkling surface of the film. This can also be related to a decrease in mechanical strength. Second, silica nanoparticle (SiNP) as inorganic filler influence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without the substantial decrease of mechanical properties. Within polymer electrolytes, SiNP increases the flexibility of the polymer chain by Lewis acid-based type surface interaction with the polymer chain. But the excess amount of SiNP results in particle aggregation, inducing the blocking effect. Next,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s further, fillers get close to each other enough, so that the interconnected high conducting pathway is formed. Therefore, when we added SiNP, the variation of ionic conductivity exhibited two maximum peaks. However, as SiNP interacts with the polymer chain indirectly, SiNP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mprovement of ionic conductivity as compared to ionic liquid. However, the excess amount of inorganic filler could attach to the polymer chain, thus compensating for the deterioration of mechanical strength by increased mobility of the polymer chain. Furthermore, as we investigated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EO-based suspensions before coating, we could observe the yield stress behavior for samples containing SiNP over half of the ionic liquid concentration. In other words, suspensions can flow only when stresses above the specific value are applied. Therefore, fluid can spread easily by shearing of the coater and retain the thickness uniformly during the drying process. Thus,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SiN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cessability.

      • A class of parallel methods for computing a few extreme eigenelements of large sparse matrices implemented on parallel computers

        김선경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Minnesota 1991 해외박사

        RANK : 232989

        큰 희소행렬에서 몇개의 가장 크거나 가장 작은 eigenvaluse와eigenvectors를 구하기 위해서 Krylov subspace로의 projection과정에 기초한반복적 방법들이 많은 사용되고 있다. 대칭행렬에 는 Lanczos알고리즘이,또 비대칭행렬에 대해서는 Arnoldi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병렬처리컴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알고리즘들이 사용하려고 하는병렬컴퓨터의 hardware적 틤曠蘭퓸杵蔘�한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Projection방법들의 S번 반복단계를 한꺼번에 수행하는 S방법들을제시한다. s-step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큰 희소행렬의 축소된 행렬은, 원래의방법에 의지는 축소된 행렬과 같은 eigenelements를 가진다는 것이증명되었다. s-step방법은 병렬처리 컴� 원래의 방법에비해서 더나은처리결과를 얻을 수 있다. 원래의 알고리즘에서는 한번 반복단계에번 이상의 동기점이 필요하나, s-step알고리즘에서는 한번 반복수행에 대해한번의 동기점이 필요것은 원래의 방법의 S번 반복단계에 해당하므로동기점의 회수를 적어도 s분의1로 줄일 수 있다. 기존의 방법의 S번반복단계동안 필요한 벡터들간의 곱하기가 동시에 수행됨으로써, 분산된기억장지고 있는 병렬시스템에서 전체 프로세서들간의 자료교환시간이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기억장컥�求�시스템에서는 기억장치로의접근시간을 줄임으로써 빠른 시행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p방법들을cray-2공용기억장치 시스템과 Ncube7 Hypercube분산기억장치 시스템에서수행하였을때, Projection방법들을 이러한 병렬처리 컴퓨터에서 수행할때에 비하여 더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