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원도교육청 재정효율화 우수사례 분석과 정책적 함의

        김경선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강원도교육청에서는 200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학교회계제도의 정착과 교육 재정의 효율화를 위해서 매년 학교회계담당자 연찬회를 개최하고 있다. 학교회계담당자 연찬회에서 매년 강원도교육청의 재정효율화 우수사례로 선정된 사례를 소개하며, 이 과정을 통해 재정효율화 방법을 공유하고 더 많은 기관에서 교육 재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제2장 유형화를 위한 기준 설정에서는 재정효율화를 달성하기 위해 예산확보방법, 예산관리방법, 협력기관의 성격에 따른 기준을 설정하였다. 제3장에서는 강원도교육청의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재정효율화 우수사례 선정사업을 사업의 추진과정과 선정된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제2장에서 유형화한 기준을 근거로 우수사례를 분석하는 작업을 하였다. 제4장에서는 재정효율화를 위한 정책 모색으로 재정효율화 우수사례의 범주화를 통한 각각의 범주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기술하였다. 제5장 결론에서는 단위 학교의 지속적인 재정효율화를 위해 정부와 교육청 차원의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강원도교육청 재정효율화 우수사례를 분석해 본 결과, 단위 학교 및 기관에서 추진한 재정효율화 사업은 자체세입 증대, 외부지원 및 외부재원 유치,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지원과 시설 및 제도 개선을 통한 재정효율화 사업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재정효율화 사업의 범주를 추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체세입 증대의 범주로 정부와 교육청은 단위학교에서 자체 세입 재원을 증대하기 위해 단위 학교에 좀 더 많은 재량권을 주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외부 지원 및 외부재원 유치의 범주로 정부 차원에서도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확대하여 보다 많은 기업이 학교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지원 범주로, 지방자치단체 등이 교육재정을 지원할 수 있는 법률을 제정하고 및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청에서는 관심을 가져야 한다. 유관기관으로부터 교육재정이나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정부에서는 지원을 해주는 기관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비스 제공자에 대해 취업 우선 등의 혜택을 주어야 한다. 넷째, 시설 및 제도 개선을 통한 재정효율화 범주의 경우에는 단위 학교에서 추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정부와 교육청 차원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정비하고, 단위 학교에서 실시한 사업의 효과성이 높을 경우에는 공문 등의 시행을 통해 사례를 전파하고, 그에 따른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Kangwondo Office of Education is annually holding a brainstorming session for school accounting officer for the purpose of the settlement of school accounting system which has been enforced since 2001, and efficiency-creating education finance. In this session for school accounting officer, some cases selected as excellent examples for Kangwondo Office of Education's efficiency-achieving finance are introduced, and through this process, this session encourages mor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share such an exemplary finance-efficient method and manage educational finance more efficiently. This research paper consists of 5 chapters. The introductory Chapter 1 stated the research objective and its method. In Chapter 2- setting up of a standard for typification, this research set up a standard subsequent to the nature of a budget security method, budget management method, and cooperative institution to achieve finance efficiency creation. In Chapter 3, this research did an analysis job of excellent cases on the basis of a typified standard set up in Chapter 2 centering on the promotion process of the projects which were selected as an excellent one and selected excellent cases for finance efficiency-creation. In Chapter 4 which dealt with the inquiry into a policy for fiance efficiency-creation, a political assistance plan for individual categories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excellent cases for finance efficiency-creation was mentioned. In conclusive Chapter 5, this research pu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efforts made at a level of the government and the Office of Education for continuous finance-efficient management for a unit sch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xcellent cases for Kangwondo Office of Education's finance efficiency-creation from 2005 until 2007, it was found that the project for finance efficiency-creation promoted by a unit school and its related agencies is divided into the four category, such as the one relying on increase in revenue to itself; the one depending on outside assistance & inducement of outside finances; the one depending on assistance in cooperation with its related agencies like a local autonomous entity, and the one through the improvement in facilities and system. In addition, a political assistance plan for the promotion of individual categories of finance efficiency-crea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ategory of the increase in revenue to itself, the government and the Office of Education are supposed to lay a foundation for a project promotion so that a unit school could increase a revenue source to itself by giving a unit school a more discretionary power to act. Second, as for the category of outside assistance and inducement of outside finances, benefits, such as tax cut at a level of the government, should be expanded so that more corporations can give assistance to schools. Third, as for the category of assistance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agencies such as local autonomous entity, it is necessary for the Office of Education to have interest so that a local autonomous entity can establish & enforce a law that will make it possible to give assistance to educational finances. In case a unit school is offered educational finances or service by related agencies, it is imperative that the government should give assistance to the management of a supporting agency and also give a service provider a benefit, such as preference in finding employment. Fourth, as for the category of finance efficiency-cre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in facilities and system, it is necessary to arrange a system to make the assistance available at a level of the government and Office of Education in case a unit school cannot afford it; in case the efficiency of a project is assessed to be high, the government and Office of Education are expected to give it a support so that rewards can be made for their successful project promotion while disseminating such success cases through the enforcement of official documents.

      • 이용통계 기반의 전자저널 평가에 관한 연구 : P대학교 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electronic journal become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resources which occupy a large portion of the library budget and configuration collection in university libraries. However, continued price increases and package subscription which cause irrational pricing give rise to serious problems such as depriving right to choose journals and budget pressure. Thus, I suggest that journal evaluation should be a first step toward effective collection of electron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Analyzing usage statistics i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evaluate electronic journal because it can reflect utilization of users. In this study, I use the usage statistics analysis to make an evaluation tool, and thus, the results from analysis can be reflected in journal selection proc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lectronic journals based on the analyzing of usage statistics. This research is organizing regarding to the following plan. First, I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works to get more information about usage statistic and evaluation of electronic journals. Second, I analyzed 6,581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which were collected from 11 consortia. I conducted seven analytical methods based on the collection of usage statistics from P university library which contracted to consortia through KESLI from 2007 to 2009.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usage statistics analysis, I develope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which is applicable to the subscribing electronic journal in P university library. The result conclude that ACS, Nature, IOP show high performance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 the contrast, Blackwell STM Collection, Springer, Wiley show lower performance.

      • 어머니의 마음의식,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김경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mind-mindedness,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2)to explore the effect of maternal mind-mindedness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was 104 preschooler's mothers and their teachers. Maternal mind-mindedness was assessed by mother's description of child and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assessed by questionnaire based on several stud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COVA, MANCOVA,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in positive and negative mind-mindedness,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More specifically Positive mind-minded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behavior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In contrast, Negative mind-minded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by negative mind-mindedness, and in parenting behaviors by positive mind-mindedness and interactive effect. Third, parenting stress mediated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mind-mindedness on parenting behaviors. Fourth, positive mind-mindedness have an effect on relationship with peer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negative mind-mindedness have an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Moreover parenting behaviors mediated the effects of negative mind-mindedness on regulation of emotion, empathy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conclusion, maternal mind-mindedness affected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s,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help development of preschooler's emotion and to support maternal mental security.

      • 인천 유권자의 투표참여와 특징에 대한 고찰

        김경선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1987년 민주화 이후에 인천지역 유권자의 투표참여의 특징과 그 요인을 분석했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 인천 유권자의 투표참여에 있어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천 유권자의 투표율은 1987년 대통령선거부터 2007년 대통령선거가 있기까지 전국적인 투표율이 하락하는 추세와 유사하게 계속적으로 투표율이 낮아졌다. 둘째, 인천 유권자의 투표율은 1987년 민주화 이후 벌어진 모든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에서 가장 최저의 투표율이나 거의 최저에 근사한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현상의 요인으로 한국적인 투표참여 모델에서 제기되었던 이론이 매우 설득력 있다고 본다. 무엇보다 인천에서 투표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요인으로는 전국적인 차원에서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투표참여 의사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특히 인천의 투표율이 전국에서 항상적으로 가장 낮은 요인은 이미 지적했듯이 인천지역의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정당이 없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인천지역을 대표하고 정체성을 대변할 대표적인 정치인이 부재함으로 인하여 다른 지역에 비하여 적극적인 투표참여가 자리잡지 못했다. 또한 인천이라는 지역성은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와 달리 뚜렷한 지역색과 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한 상태이다. 이러한 현상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상주인구라는 통계를 이용했다. 상주인구는 한마디로 야간에 상주하는 인구의 비율을 측정한다. 상주인구가 100%에서 멀어질수록 그곳에 상주하는 인구가 적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다시 해당 지역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다. 인구이동이 활발할수록 지역의 정체성이 약한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인천의 상주인구는 전국의 광역시도 가운데 100%에서 가장 먼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므로 상주인구로 측정된 정체성은 인천 유권자의 낮은 투표참여를 설명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이 논문에서 확인한 것은 인천 내부에서 관찰되는 투표참여의 특징이다. 다시 말하자면 1987년 이래 인천 안에서 투표율은 서울에 가까울수록 낮아지고 이와 반대로 서울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특히 2000년대에 가까워지거나 2000년대에 도달해서는 서울에 가까운 서구, 계양구, 부평의 투표율은 현저하게 낮아지고 해안에 가까운 옹진군 등의 투표율은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이 논문은 두 가지 통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했다. 즉 그 두 가지 통계자료는 인구이동율과 주거형태이다. 인구이동율은 서울에 근접한 인구의 구 단위일수록 커지고 해안선에 가까울수록 낮아졌다. 사실 서울에 근접한 구는 서울의 위성도시라는 오명이 따라다니고 있다. 이에 따라 인구이동율이 상대적으로 큰 구에서는 투표율이 낮은 반면 인구이동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구에서는 투표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구이동율의 차이는 다시 한 번 인천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다. 상주인구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인구이동율이 높다는 것은 인천에 주소지를 두고 있지만 그만큼 인천 또는 각 구에서 생활의 터전을 삼고 정치, 경제, 문화, 사회적 활동을 영위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인구이동율이 높다는 의미는 인천에 거주지를 두고 있지만 인천 이외의 지역에서 제반 생활을 주로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서울에 근접한 지역에 거주하는 인천 유권자의 정체성은 그만큼 희미하고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투표참여의 의사가 삭감되는 것이다. 그 결과 인천 내부에서도 구의 위치에 따라 투표율의 차이가 현격하게 발생했다고 본다. 그리고 이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주거형태도 인천 내부에서 구의 위치에 따라 투표율의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잘 설명해준다. 다른 어떤 주거형태보다도 현대적 주거형태로 꼽히는 아파트는 전통적인 문화, 사회관계, 가치관은 물론 투표행태까지도 영향을 준다.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서 최근에 개발된 구에 거주하는 유권자는 그만큼 전통적이고 규범적인 가치관이나 정치문화에서 벗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지역에 거주하는 유권자의 투표율이 현격하게 낮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다양한 주거형태 가운데 아파트의 비율이 낮은 옹진군과 강화군의 경우에는 인천에서도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천의 투표율은 심각한 위기에 봉착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전국에서 가장 낮은 투표율을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있고 지역적으로 큰 편차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천에서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가장 최근의 사례는 인천의 한 재보궐선거에서 투표한 유권자에게 상품권이나 할인권을 제공한 것이 있다. 그리고 2008년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주차할인권이나 국립공원 입장료할인권 등이 배포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적인 시도는 큰 성과 없이 비판만 많이 받고 말았다. 유권자의 사행심만 조장하고 신성한 투표의식을 저급한 상품권과 맞바꾸었다는 지적이다. 이 대신 앞으로 인천의 투표참여를 진작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한국의 독특한 투표참여 모델에 의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하자면 먼저 인천의 유권자들이 투표일이면 열심히 투표하러 투표장에 가게끔 만드는 정치지도자가 발굴되고 길러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인천의 지역성과 정체성을 널리 고양시켜 상주하지 않고 이동이 잦은 유권자라도 인천에서 꼭 투표하는 정치문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단기간 안에 해결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하지만 더 늦기 전에 시작하지 않으면 인천의 투표율은 더욱 낮아져 대의 민주주의의 위기는 물론 다른 광역시도 유권자의 뉴스거리만 될 것이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voter participation in Incheon ever since the democratic transition in 1987. There are three levels of elections in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national assembly election, and local election. Thus, this study compares the voter participation in the three different levels of elections and traces the changes in the voter turnout in Inche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in voter participation in Incheon is very similar to those of Korea. Ever since the democratic transition, there has been a sever decline in voter turnout in Korea and in Incheon. Second, voter turnout is the lowest in Incheon for the most of the elections held since 1987. Incheon residents are the least likely to take part in elections in Korea. Third, traditional islanders and/or those who live close to the coast lines are more likely to vote in Incheon. On the other hand, those who live close to the Metro Seoul areas are less likely turn out at the polls. This study suggests that weak identity as Greater Incheon residents may attribute to the lower voter turnout as compared to other parts in Korea. This is confirmed by the settled population rates in this thesis. And the population fluidity and the traditional resident style may have impacts on the differences of voter participation among many Gu districts in Incheon. Those who commute from Seoul to Incheon and live in new apartment complex tend not to take part in voting.

      • 스베트라나 앨퍼스 Svetlana L. Alpers의 신미술사학 : 회화적 재현을 중심으로

        김경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스베트라나 레온티에프 앨퍼스 Svetlana Leontief Alpers의 회화적 재현을 중심으로 한 미술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이다. 이러한 작업은 원근법과 이성적 재현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전통적 미술사학의 규범화를 비판적으로 극복한다는 의도에서 출발하며, 시각문화를 고려한 상황적 조망을 통해 시각적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다는 앨퍼스의 제안을 옹호한다. 또한 그 과정을 통하여 불확실하고 모호한 동시대 미술에 대한 연구 방법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추론하고자 한다.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 미술에 대한 글쓰기의 초기 형태는 다른 주제의 언급 속에서 단편적으로 나온 것이었다. 이후 최초의 미술사학자로 여겨지는 바사리의 출현과 미술사학의 시조 빙켈만의 등장, 그리고 방법론에 대한 모색과 논의를 거치면서 학제화가 이루어진 전통적 미술사학은 작품을 신화보다는 역사 속에 자리매김하기 위한 원칙을 부여해 나가면서 점차 규범화되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연구자들은 그 기본적 연구 틀이 르네상스 시기의 이탈리아라는 장소에 토대를 둔 것임을 소외시킨 채 다른 시기와 다른 장소의 미술연구에 일률적으로 적용하였다. 따라서 비이탈리아적이고 비르네상스적인 미술에 대한 접근을 어렵게 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게 된다. 전통적 미술사학의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앨퍼스의 미술 연구 방법을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그것의 근거를 이루는 신미술사학의 개념적 형성과 방법적 배경에 관해 고찰한다. 미술에 대한 연구는 예술에 주안점을 둔 미술의 역사 history of art에서, 역사에 초점을 맞춘 미술사 art history로, 다시 또 이것이 지닌 비판적·사회적·급진적 측면이 더욱 부각되면서 그것이 내포한 복합적이고 다양한 개념을 명시한 신미술사학 new art history으로 이행되었다. 이러한 신구 조류 간의 대비는 1950년대에 출판되기 시작한 페브스너의 시리즈 출판물『미술의 역사 History of Art』와 1970년대에 아너와 플레밍이 엮은『맥락 속의 예술 Art in Context』과의 대조를 통해서도 표면화된다. 상호학제적인 신미술사학의 방법적 배경은 대략 1968년의 신좌파운동을 배경으로 하는 사회사적 연구와 문화이론을 바탕으로 한 시각문화연구의 두 축으로 나뉜다. 앨퍼스의 미술연구는 이같은 신미술사학 체계 속에서, 역사보다는 시각문화에 초점을 맞춰 시각적 이미지가 지니는 회화적 재현에 대하여 탐구한다. 그녀가 제안하는 시각문화라는 개념은 재현과 상황에 근거한 것으로써 북부 예술의 이미지들이 표면 아래 의미를 숨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눈이 받아들일 수 있는 표면 위에 제시되는 묘사성 describing에 주목하면서 전개된다. 즉, 앨퍼스는 의미의 기본적인 미술사 개념에 대한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파놉스키의 도상학에서 간과된 것은 이미지가 그림 안에 재현된 것이지 현존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미술사가들에게 결여된 것은 재현이라는 개념임을 지적하였으며, 이미지들이 캔바스 표면 위에 재현되는 방법과 조건들을 알기 위하여 예술을 상황적으로 조망할 것을 제시한다. 또한 앨퍼스는 상황에 대한 호소를 통하여 예술을 사회적 현시로 볼 뿐 아니라 폭넓은 문화 안에서 이미지들의 장소 · 역할 · 현존 고려를 통한 이미지 접근도 의도하였다. 이러한 시각문화를 염두에 둔 미술연구는 시각문화를 이루는 본질적 요소로서의 그림과 그것을 제작하는 주체로서의 예술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앨퍼스의 관점과 결합되어, 네덜란드 작품의 묘사성과 17세기 대가들의 예술적 실행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드러내는 회화적 재현의 의미 해석에 기여하였다. 네덜란드 예술의 묘사적 성향을 통하여 추론된 회화적 재현의 의미는 시각적 자기 인식과 기술, 그리고 이미지 언어의 두 가지 측면으로 요약된다. 시각적 자기 인식이란 눈에 대한 관심으로 고안된 보기로 해석되며, 기술로서의 재현이란 눈의 적극적 사용과 주의 깊은 응시를 바탕으로 하는 손을 통한 전사 혹은 기록으로서 관찰 혹은 기술의 숙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언어로서의 재현이란 시각적 자기 인식과 기술에 의해 간접적으로 유추된 재현의 의미가 특별한 종류의 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적용된 것이다. 이 시기에 모델은 그 자체로 하나의 이미지가 된다. 따라서 이미지 언어로서의 재현은 어떻게 그리기라는 것이 묘사의 예술로써의 그 자체의 한계를 초월하는가에 대한 것으로써, 그 한편은 지도제작과 같은 그래픽적 시스템에 관련되며 다른 한편은 그림 속의 캡션이나 모토 혹은 프린트된 페이지 속의 경구나 주석서 등 말 그 자체의 사용과 연관된다. 요컨대 앨퍼스는 지도 작성 충동을 이미지 언어적 성격으로서의 네덜란드 재현의 특질과 관련짓고 아울러 시각적 자기 인식과 기술로서의 재현을 네덜란드 풍경 조망의 특이한 타입으로 이끌고 있다. 이러한 회화적 재현 연구는 다시 바로크 예술가 해석에 적용되어 루벤스 · 벨라스케스 · 렘브란트를 각각 내면적 · 전통적 · 경제적 상황과 연관 지음으로써 자기동일시 · 전통에의 신참자 · 픽토르 이코노미쿠스로 규명한다. 첫째, 경제의 화가 렘브란트 Pictor Economicus, Rembrandt 는 미술품과 경제적 요소들의 상관관계에 주목하여 렘브란트와 미술시장과의 관계를 조명함으로써 렘브란트의 성품·양식·도상법 등을 새로운 방법으로 해석한다. 17세기에 후원자와 화가의 관계를 기반으로 미술시장이 번창하고 있었던 신교 국가 네덜란드에서 작업을 했던 렘브란트는 생전 수십 여 개에 달하는 자화상을 그렸다. 당대의 후원자와 고객은 직업 미술가들을 고무시켜 자기와 동일시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자신에게 봉사하도록 하였으나 렘브란트는 당시 성행하던 이 같은 체계에 따르지 않고 대신 그림과 더불어 자신을 상품화했다. 이는 당대 예술가들의 전통적인 제재 사용·양식 전개·집필 방법과 구별되는 것으로써, 앨퍼스는 예술시장과 렘브란트의 예술 전략과의 관계성에 집중하여 렘브란트 연구에서 사회경제적 맥락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둘째, 앨퍼스의 자기동일시로서의 루벤스 Self-identification, Rubens 라는 제안은 작품 <실레노스 Silenus>와 루벤스의 자기 정체성 고찰에서 출발한다. 앨퍼스는 루벤스가 활동했던 당대의 상황 혹은 그의 예술에 대한 외부적 조망 뿐만 아니라 예술가 스스로의 활동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따라서 루벤스가 작품에서 어떻게 스스로를 체현했는가에 대한 문제 제기와 더불어 그가 당대의 다른 화가들, 즉 베르미어·렘브란트·푸생과 달리 결코 자신을 예술가로서 그리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예술 실행의 장소로써 집·궁정·스튜디오 어느 곳도 재현되거나 우의적으로 표현된 적이 없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앨퍼스에게 있어 루벤스가 특별히 무게를 준 유일한 이미지가 있다면 그것은 살찌고 만취한 실레노스였다. 루벤스는 그를 매우 빈번히 제재로 삼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 Virgil에 의한 실레노스로서, 앨퍼스의 시각에서 볼 때 주목받지 못한 실레노스를 예술제작의 소재로 만든 것은 베르길리우스지만 그것을 공명 resonance시킨 것은 바로 루벤스였다. 세째, 전통에 대한 신참자로서의 벨라스케스 Latecomer, Vela'zquez 개정은 스튜디오 현상과 뮤지엄 고찰을 바탕으로 마네의 작품과 연결되어 부가적이고 점증적으로 진행되어〈실 잣는 여인들 The Spinners〉분석에서 최고조에 이른다. 벨라스케스는 선대의 티치아노 Titian와 틴토레토 Tintoretto로부터 페인트 취급을 배웠으나 필법 속에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또 다른 재현의 임무를 제공하였다. 또한 그가 제작한 작품의 전경과 후경 속 형상들의 관계와 공간적·회화적 표면 운용 등은 후대의 마네의〈풀밭 위의 식사 De'jeuner sur L'herbe〉로 이어진다. 이처럼 작품의 아우라가 과거에서 당대로, 당대에서 후세로 이동하면서 동요하고 변형되며 공명되는 것을 앨퍼스는 전통에의 신참자라는 의미로 벨라스케스 연구에 적용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필자는 앨퍼스의 미술연구가 전통적 미술사학의 개념적이고 방법적인 측면 모두를 비판적으로 종합한 계기가 되었고, 그녀가 미술 연구의 토대로 삼았던 시각문화라는 개념이 1980년대를 풍미한 신미술사학의 논리적·이론적 확장뿐 아니라 1990년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각문화연구의 토대가 되었음을 고찰하였으며, 아울러 예술이 지닌 본질적인 요소들을 상황적으로 전통 안에서 조망할 때 불확실하고 모호한 동시대 예술에로의 접근도 용이하다는 것을 추론하였다.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 character of the history of art began to be criticized for the narrowness of its range of subject matter and concentration on individual artists whom it classified as geniuses. It useful to define this change as being from the traditional study of the history of art to the study of art history. In the history of art, the subject is 'art', and the study is of the patterns of caution, however now, art is being increasingly perceived as a means as well as an end, and in art history the subject is 'history', especially social and cultural history. Here the goal of scholarship is to achieve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individuals and societies, and works of art provide tangible evidence. Art history as a discipline, its new, critical and interdisciplinary methodology of art has become an intellectual advantage in a scholarly world of an increasingly permeable border between the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 a world of relative rather than absolute quality. At present, the two most distinctive trends in the new art history are the interest in the social aspects of art and the stress on theory. A more broadly conceived account would have to reckon with the path-breaking work of Anglo-American scholars, Svetlana Leontief Alpers. She bring into focus the heterogeneous nature of art. She place much value on the basic art-historical notion of representation as well as circumstances and visual culture. She explains pictorial representation as visual self-consciousness, craft, and picture language, and also describes painters as pictorial economicus, self-identification, and latecomer. Firstly, in Holland the visual culture was central to the life of the society. The eye was a central means of self-representation and visual experience a central mode of self-consciousness. For in defining the human eye itself as a mechanical maker of pictures and in defining 'to see' as 'to picture', Kepler provides the model we need for that particular binding of finding and making, of nature and art, that characterizes the picture in the north. Besides, Representation on the part of craft is techne as a model for art's pursuit of knowledge through experiment or thought of as observations of the natural world. If in the 'representation as visual self-consciousness' the model for pictorial representation was presented by he artifice of sight, in the 'representation as craft' it is presented rather by the skill of craft. Alpers define the new emphasis on the exercise of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al skills of the Dutch artist. It is an extraordinary display of craft and in particular the contemporary interest in the eye's active use. Attentive looking, transcribed by the hand led to the recording of the multitude of things that make up the visible world.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is was celebrated as giving basic access to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Secondly, Representation as picture language ground directly in a particular kind of image. It related to ways of referring to the world, on the one hand graphic systems such as mapping and on the other the use of words themselves. The general problem here is how picturing transcends its own limitations. In addition, Alpers thinks nowhere is this 'transparent view of art' less appropriate, then she propose to view art circumstantially. Appealing to circumstances mean not only to see art as a social manifestation but also to gain access to images through a consideration of their place, role, and presence in the broader culture. In addition to circumstantial studies have tended to concentrate on the artist as the viewer of his/her art or as the maker of a work to be viewed. Much attention is paid to how paintings have been seen. The pressure is outward from the work. But there is another account which has to do less with how the viewer is served, than with the satisfactions of the maker. The pressure is inward, on the artist in the making. Alpers describes painters in economical, internal, and traditional circumstances. The first, Alpers's theoretical conception of Rembrandt as a pictor economicus whose "works are commodities distinguished from others by being identified as his ... in making them, he in turn commodifies himself." A second, unlike painters at the time Rubens never painted himself as a painter, and if there is a single figure to whom he gave particular weight, it is the fleshy, drunken Silenus. The making of Rubens is not only a matter of circumstances, or of the viewing of his art, it is also a matter of his own activity as a painter. Alpers is that in his self-identification with the disempowered, fleshy, drunken singer Silenus, Rubens evokes a desire for access to a potent, ecstatic mode of creating. Rubens's Silenus gives evidence of this as he confronts the condition of human generation and creativity. A third, Alpers says that we might see Vela'zquez's art more from the perspective of its makers, as art produced by latecomers to a pictorial tradition. They were heirs to certain assumptions, and above all to certain skills. Alpers has served the art historical community excellently by raising the intellectual stakes of Dutch art in seventeenth century and its European context. It is so persuasive, that it appears an open and shut case, and that gives new horizons for the interpretation of art and the phenomenon of picture making itself. Shortly, Alpers's study is an example of the centrality of art history among current disciplines by replacing a sector of the history of art within its proper context of intellectual history.

      • 바울의 "새로운 피조물"에 대한 이해 : 고린도후서 5장 16-19절 중심으로

        김경선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역사하신 구원에 관하여 예화적으로 인용된 진술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절망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이 절망으로부터 자유하게 하신다는 것을 우리는 볼 수가 있었다.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에 관한 바울의 메시지를 올바로 이해하려고 한다면, 바울이 말하고 있는 인간이 처해 있는 멸망상태를 알아야만 했다. 바울의 의해서 우리는 인간이 결코 자신의 힘으로 죄에서 깨치고 나올 수 없으며 그 시간이 여전히 한계 지어진 "이 세상" 안에서의 인간을 바라보았다. 이 세상은 하나님에 의하여 창조되기는 했지만, 그러나 아담의 죄로 말미암아 죽음이 세상으로 들어왔으며, 그때부터 하나님은 피조물을 허무에 종속하게 버려두셨다. 바울은 갈라디아서 4장 3절에서 그리스도 이전의 인류를 의미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이것은 인간이 하나님으로부터 멀리 떨어졌다는 것을 뜻한다. 바울은 인간이 그 안에 처해 있는 이 세상에 관해서 이야기 할 뿐만 아니라 인간 그 자체를 대신해서 "세상"(우주)이라는 표현을 근본적으로 더 자주 사용한다. 세상으로 표현된 일간들에게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비록 그들이 하나님에 관하여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인정하여 들지 않는다는 것 이었다. 세상으로 특정 지어진 인류는 분명히 "원시종교"를 따라서 온 것이고 "그리스도에게서 온 것은 아니"였다. 자유는 책임으로만 있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믿는 자에게 대해서 결정적인 사건은 이미 일어났다. 죽음도, 삶도, 그 외의 아무런 적대세력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으로부터 우리를 분리시킬 수 없으며, 믿는 자는 이미 현재에서 모든 운명을 극복한 자유한자인 것이다. 인간은 사건과의 만남에서, 그 만남에서 자기 결단을 하는데서 되어지는 역사이다. 이러한 결단에서 인간은 비로소 자기 자신이 되어지는 것이며, 그리스도인으로서 실존한다는 것은 자유롭게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은총에 의해서 믿는 자에게 주어진 자유 안에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 믿음으로 의롭게 된 자는 그의 과거로부터, 그 자신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이다. 바울에게 있어서와 같이 요한에게 있어서도 신자의 삶은 정적인 것이 아니요, 직설법과 명령법과의 변증법적인 관계에 있는 역동적인 운동이었다. 그러므로 믿는자의 현존재는 성숙을 요하는 것이며, 동시에 그는 장차 되어야 할 존재에 이미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그가 믿음으로 들어오게 된 그 자유 안에 있으며, 그 자유는 순종에서 드러나는 것이다. 직설법과 명령법의 이 변증법은 요한에 의해서 특히 믿음과 사랑의 관계로 나타났다. 믿음은, 애수의 봉사를 수락하는 것이고 그 수락된 봉사는 사랑 안에서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믿는 자는 이미 세계로부터 벗어 나왔다. 그리고 그의 존재는 하나의 종말론적인 존재이다. 그러면서도 그는 아직도 세계 안에 있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바울에 따르면, 세계도취에서도 세계도피에서도 멀리 있으며 신앙은 세계에서 해방시켜 독립시키며, 동시에 세상 안에 존속할 의무를 지운다. 세상에 대한 이 독특한 이중적인 관계는 바울에게서 다양하게 표현되었음을 우리는 살펴볼 수 있었다. 그들에게 열린 새로운 삶을 힘입어 믿는 자들은 더 이상 이세상과 그 권세들과 계략들에 빠지지 않고, 십자가에 달려죽었다가 부활한 주(主)에 속해 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통해서, 우리는 세상을 향해 죽고, 하나님을 행해서 다시 살아났다. 바울은 모든 세상적인 모든 조건들로부터 거리를 두며, 이제는 더 이상 세상의 척도와 기준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외친다. 바울의 외침은 믿는 자들이 부름을 받고 모든 불안과 근심, 걱정에서부터 해방되었으며, 그리스도안에 이미 새로운 존재가 되었다는 것과,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은 새로운 피조물로써 늘 우리 자신을 개방하고 다가오시는 하나님을 만나며 끊임없이 사랑하는 자로서 우리의 존재의 중심이 바뀌어 간다는 것을 말한다. 이제 우리는 그리스도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받아들이고 인간은 하나님이 활동하시는 장소로만이 수행됨을 스스로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하나님은 늘 앞서 계신 분이기 때문에 미래를 향해 우리 자신을 개방하고 열 때만이 나를 깨뜨리고 부숴뜨려 새로운 것을 보게 한다. 세상의 질서인 이기를 버리고, 구속하는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로워질 때만이 우리는 새로운 피조물로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새로운 피조물로서 살아가는 자는 하나님의 의를 드러내는 자 이며, 의롭다함을 선물로 받은 자인 것이다. 그러므로 세상을 향하여 죽는다는 것은 하나님을 향하여 살고 있다는 동시성을 가진 역설을 가진다. 하나님을 향하여 살아난 새로운 피조물은 폐쇄성에서 자신을 열어놓는 개방성으로 우리의 육적인 한계를 뛰어 넘어 세상 안에 살고는 있지만 세상밖에 있는 자처럼, 종말을 성취해서 사는 자로서 살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자는 세상을 변화시키는 존재로 '나'를 버리고 '너'를 위해 희생하며, 내 안에 있는 이기성을 버리고 나를 철저히 비움으로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이것이 바로 사랑하는 자로의 삶을 사는 것이다. 인간의 이기성 때문에 하나님과 멀리 떨어져있을 수밖에 없었던 죄의 허물이 그리스도의 철저찬 순종으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가 회복되었고, 인간은 그 은혜를 거져 받았다. 그러기 때문에 거져 받은 인간들은 신앙 안에서 이웃을 위해 나를 개방하고 나를 비워서 살아가는 것이다. 자기 자신까지도 포기하며, 모든 것이 사랑에서 작용할 때에만 참된 신앙이 존재함과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은 오로지 동시에 이웃에 대한 사랑일 때에만 참된 것이듯, 그리스도 안에서 철저한 순종으로 희생하는 것이다. 새로운 피조물로 변화된 인간의 존재의 중심은 바로 사랑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은 사랑을 하는 자이다.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옛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고후5:17)." 라는 바울의 선포에서 봤을 때, 그리스도는 율법의 마지막이고,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는 이미 믿는 자로서 결정적인 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사건에서 우리는 하나님과 인간이 새롭게 만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사건은 새로운 피조물로 우리를 변화시키는 종말론적 사건인 것이다. 이렇듯이 바울에게 있어서 구원받은 자는 새로운 피조물로서 나타난다. 새로운 피조물로서 변화된 인간은 예수 그리스도의 흔적을 가진 자로서 십자가의 삶을 살아가는데, 이 십자가의 삶이 바로 하나님의 아가폐의 사랑, 바로 희생의 삶인 것이다. 왜냐하면 사랑은 하나님 자신의 본성이고 존재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 사랑은 인간과의 관계에서 본질적으로 드러난다. 이것이 바로 인간이 존재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임을 말해준다. 그러나 사랑을 단기 인간이 이루고, 어떠한 대상이 되어서 추구해야할 업적으로 이해한다면 그것은 사랑이 아니다. 사랑은 어떤 윤리나 원리가 아니다. 사랑이 있는 곳에 그리스도 자신이 현재하듯이 사랑은 인간 존재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의 결론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새로운 피조물"은 바로 "사랑하는 자로서의 삶"으로 지향되는 것을 말한다. 율법으로 죄에 갇혀있던 옛 사람에게 단 한번의 사건으로 죄에서 해방되고, 하나님과 세상이 화해되면서 새로운 실존이 열려졌듯이 하나님의 은혜로 사랑을 입은 자들이 새로운 모습으로 즉, 사랑할수밖에 없는 존재로서의 삶으로 인간 존재의 중심이 새롭게 변경되어 수정되었기 때문이다. 사랑을 가지고 살아가는 자는 비로소 새로운 피조물로서 변화되었다는 것이다. 새로운 피조물로서 변화 된 인간은 자기 존재 중심을 깨닫게 되며 내가 왜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것인지에 대한 정체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탄소복합소재를 이용한 방열소재의 경량화 및 방열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김경선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an provide a simple and easily extruded carbon composite heat dissipation material through the mixing process of carbon-based powder and aluminum powder mixed with carbon nanotubes and graffite in polymer resin. Carbon composite materials are lighter than conventional aluminum die-casting heat-discharge panel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and can realize diversity in product format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thermo-conducting plastics, and are injection molding materials with improved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all aspects, including molding, manufacturing costs, heat-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lightening, and can be used as heat-proof panels used in various industries. By containing a mixed resin base of carbon nanotubes and graffites, heat dissipation materials with price competitiveness can be provided in terms of heat dissipation efficiency compared to conventional aluminum diecasting heat dissipation materials. The heat dissipation material with heat dissipation properties can be used in LED lighting equipment and industrial inverters, electric vehicles, robot devices, solar power generation and other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By optimizing the ratio of sub-measuring powder, it was possible to provide carbon composite heat dissipation materials with significantly higher thermal conductivity by combining relatively inexpensive graffite materials compared to carbon nanotubes. Using injection molding technology in Korea, it can reduce dependence on foreign imports and provide high-temperature conductivity multi-functional carbon composite materials suitable for various needs of customers' need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carbon composite heat dissipation materials using carbon material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nd light weight by supplementing low plasticity and high weight of metal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