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산시 원곡동의 문화접변 : 단일(單一)문화사회에서 다(多)문화사회로

        최연화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analyzed the process in which Wongok-dong in Ansan has changed from a monocultural society of Korean workers to a multicultural society of foreign workers by employing the acculturation theory presented by Hirano Kenichiro(平野健一郞) in "International Culture Theory." Specifically, the study revealed how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foreign workers was spread, presented, and accepted and settled through cultural resistance as the monocultural society of Korean workers in Wongok-dong was shake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ld equilibrium of Wongok-dong was a monocultural society of Korean workers. Wongok-dong was created in the late 1970s when Banwol New Industrial City was built and many Korean workers moved from various parts of Korea and settled there. The monocultural society of Korean workers began disintegrated partially in the late 1980s, mainly due to the departure of the domestic labor force, the need for foreign labor force, the lack of living infrastructure, the impact of development of surrounding new cities, and the rise of environmental problems, etc. In order to prevent partial disintegratio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foreign workers in Japan was introduced and presented to Wongok-dong as a foreign culture. In 1993,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foreign workers which employed Japan's industrial training system caused a backlash including fears of job deprivation and security instability. In response, the infrastructure for living was expanded to solve the problem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for foreign workers and through institutional improvement. As the number of foreigners increased in Wongok-dong,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foreign workers was accepted without being rejected or ignored. As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foreign workers was accepted, it faced various forms of cultural resistance in the beginning of 2000s. Fears of losing opportunities for labor arose as it became difficult to find quality jobs, and concerns over security instability increased as various crimes and law and order violations occurred due to illegal immigration and ignorance of law and order. In addition, as foreign workers remitted most of their earnings to their home countries, there was a strong backlash against the outflow of national wealth, and concerns were raised about the deterioration of education quality when conditions for children's education were not created, such as the occurrence of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t school. In addition, as various policies for foreign workers were implemented extensively, it caused complaints about reverse discrimination, in particular, the check against Korean Chinese who occupied half of the foreigners living in Korea. Both the monocultural society of Korean workers, which accepted foreign culture through resistance, and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foreign workers with foreign culture have changed. A large-scale borderless village movement was launched to create conditions for various races, ethnic groups, sex, religions, and classes to live without discrimination and settle down well.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a multicultural society was establishe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foreign community centers and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for the support of foreign residents in Ansan. In addition, various international cultural events expanded the opportunities for enjoying multiculture and foreign workers began to create wealth by operating shops as members of society or by engaging in trade with their motherland. In particular, Korea’s notion of "single-race nation myth" eased the check on Korean Chinese. Accordingly, foreign culture element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foreign workers have been re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giving vitality to the entire culture. As a result, Wongok-dong was designated as a special multicultural zone in 2009, and the ordinance on the human rights of foreign residents was enacted in Ansan. With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of more than 100 countries increasing and their commercial districts expanding, etc.,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foreign workers reached a new equilibrium and took root. 본고는 안산시 원곡동이 내국인노동자 단일문화사회에서 외국인노동자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을 히라노 겐이치로(平野健一郞)가 ‘국제문화론’에서 제시한 문화접변이론을 채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원곡동의 내국인노동자 단일문화사회가 동요하자 외국인노동자 다문화사회가 전파, 제시, 수용되어 문화적 저항을 거쳐 정착하는 모습을 밝혔는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우선 구평형은 원곡동 내국인노동자 단일문화사회이다. 원곡동은 1970년대 후기에 반월신공업도시가 건설되면서 국내 각지에서 내국인노동자들이 대거 이주⦁정착하면서 조성되었다. 내국인노동자 단일문화사회는 1980년대 후반 부분적인 해체가 개시되었는데, 그 이유는 주로 내국인 노동력의 이탈, 외국인 노동력의 필요성, 생활 기반시설의 미비, 주변 신도시 개발의 영향, 환경문제의 대두 등이다. 다음에 부분적인 해체를 막기 위해 일본의 외국인노동자 다문화사회가 외래문화로서 원곡동에 전파∙제시되었다. 1993년 일본의 산업연수제도를 채용한 외국인노동자 다문화사회에 대해 일자리 박탈에 대한 두려움, 치안 불안에 대한 우려 등의 반발이 일어났다. 이에 외국인노동자들의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고 제도적 개선을 통해 생활기반을 확충하였다. 이에 원곡동에서는 외국인수가 증가하면서 외국인노동자 다문화사회가 거절 묵살되지 않고 수용되었다. 외국인노동자 다문화사회가 수용되자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문화적 저항에 직면했다. 양질의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노동의 기회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고, 불법체류와 법질서의 무지로 인한 범죄나 법질서 위반문제가 다양하게 발생하면서 치안 불안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었다. 또한 외국인노동자들이 수익의 대부분을 모국으로 송금하면서 국부유출에 대한 반발이 거세졌고, 학교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제가 발생하는 등 자녀교육여건이 조성되지 않자 교육의 질 저하에 대한 걱정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외국인노동자들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대대적으로 실행하면서 역차별에 대한 불만이 거세게 일어났고 거주외국인의 절반인 중국동포에 대한 견제가 일어났다. 저항을 겪은 수용자측인 내국인노동자 단일문화사회와 외래문화측인 외국인노동자 다문화사회 모두가 변화했다. 다양한 인종, 민족, 성, 종교, 계층이 차별 없이 생활하고 잘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국경 없는 마을 운동이 대대적으로 전개되었다. 외국인주민센터를 설립하고 안산시 거주외국인 지원조례를 제정하는 등 다문화사회의 행정체제를 확립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국제적인 문화행사를 통해 다문화 향유 기회를 확충하였고 외국인노동자들도 사회구성원으로서 가게를 운영하거나 모국과의 무역활동 등을 통해 부를 창출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한국의 ‘단일민족 신화’ 관념은 중국동포에 대한 견제를 완화시켰다. 이로써 외국인노동자 다문화사회 외래문화요소는 재해석⦁재구성이 되어 문화전체가 활력을 갖게 되었다. 그 결과 원곡동은 2009년에 다문화특구로 지정되고 안산시에는 거주외국인 인권조례가 제정되었으며 100여개에 이르는 다양한 국가의 외국인 인구가 증가하였고 그들의 상권도 확장되는 등 외국인노동자 다문화사회로서 신평형을 이루어 정착하였다.

      • 한국 스포츠토토 구매활성화 방안 연구

        최연화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포츠베팅은 대중스포츠를 대상으로 경기결과를 예측하고 투표하여, 예측의 적중률에 따라 당사자에게 환급금을 교부하는 스포츠레저게임이다. 그렇기 때문에 단지 운에 맡기는 복권과 달리, 투표권 구매자의 적극적인 승부 예측과 분석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스포츠토토는 공익적 성격이 강하고, 스포츠 분야의 성장에 많은 도움을 주지만, 베팅게임이 사행성산업이라고 정의됨에 따라 그 이미지와 의미가 많은 부분 퇴색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 및 스포츠토토 사업자는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구매를 촉진함으로써 스포츠토토 사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왔다. 스포츠토토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각계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지만, 현상 파악이나 실태조사가 대부분이며, 체계적인 분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포츠토토 이해수준, 인식, 구매동기, 그리고 만족도와 재구매의향의 관계를 규명하여 스포츠토토의 구매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면밀히 검토한 후 설문조사 도구를 개발⋅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유효한 300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토토를 인지하게 된 경로는 비공식적이고 주관적 정보원인 주변의 지인을 통해 접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스포츠토토의 선호 스포츠와 종목 모두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스포츠인 축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스포츠토토에 대한 이해수준은 스포츠토토 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스포츠토토 구매동기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토토 사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스포츠토토에 대한 구매동기는 스포츠토토의 구매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토토 구매만족이 재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토토 사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스포츠토토에 대한 구매동기가 재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구매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스포츠토토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스포츠토토의 건전성에 대한 홍보 및 광고 활동 증대, 도박성을 줄이기 위한 배팅금액 및 배팅횟수에 제한, 스포츠토토를 사칭한 온라인 불법사이트의 단속 및 차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변의 지인을 통해 스포츠토토를 접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에 입각하여 구전효과를 노리는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축구 종목을 중심으로 스포츠토토 구매를 촉진하는 동시에 비인기 종목에 대해서도 배려함으로써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어 공익적 성격을 부각시킨다면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스포츠토토 게임방식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고, 구매동기를 부여한다면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건전성을 강조하고,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펼침으로써 고객만족을 달성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판매점 및 서비스 만족, 인센티브 만족도를 개선함으로써 재구매의향을 높여 구매활성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스포츠토토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와 구매동기 자극이 고객만족에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재구매의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고객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법률, 정치, 유통, 그리고 불법적인 유사 사업의 차단을 통해 스포츠토토의 구매의 실질적인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원가족 애착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커플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최연화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친밀한 관계의 적응문제를 개인의 내적 문제로 보기보다 가족관계 안에서 조망하고자 하는 가족체계론의 시각에서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Bowen의 자아분화 이론과 성인 애착이론 관점에서 가족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역동과 인지적 특성이 대학생 시기의 이성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시기의 성공적인 발달과업을 성취할 수 있도록 이성교제 시 커플관계에서 자신과 파트너에 대한 부정적인 내적 작동모델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대학생 커플의 관계 패턴을 찾아 이를 대안행동으로 바꿀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친밀한 관계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대학생 커플의 인지적․정서적․행동적 변화를 경험하도록 하여 커플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학생 커플관계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 애착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커플관계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원가족 애착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커플관계증진 프로그램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8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대학생 시기의 발달과업을 고려하여 기존의 대학생 이성관계 증진 프로그램과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 효과 분석을 통해 제시된 제언을 참고로 프로그램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2단계는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대학생 커플들의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3단계는 1단계와 2단계의 과정을 걸쳐 모아진 자료를 근거로 프로그램의 회기별 목표와 활동 계획을 구성하였다. 4단계는 상담전공 관련 전문 교수 4인과 전문상담사 자격증을 소지한 상담관련 박사과정 4명의 안면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다. 5단계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6단계는 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커플들의 요구도 및 각 회기마다 실시된 슈퍼비전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쳤다. 7단계는 실시한 프로그램의 자체 평가를 하였다. 8단계에서 앞의 모든 단계를 통하여 보완, 개발된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위의 개발과정에 따라 프로그램 목표를 수립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예비 연구를 거쳐 프로그램을 수정하였고,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평가를 거쳤다. 대학생 커플의 이성교제 시 커플관계에서 자신과 파트너에 대한 부정적인 내적 작동모델을 재평가를 통해 대학생 커플의 관계 패턴을 찾아 이를 대안행동으로 바꾸고, 커플 만족도를 높여 커플관계가 증진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 본 프로그램의 다음과 같은 하위 목표를 두었다. 첫째,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특성과 성인 애착 유형에 따른 특성을 통해 나와 파트너의 이해 수준을 높인다. 둘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사회적 지지를 활용하여 커플관계에서 자신과 파트너에 대한 부정적인 내적 작동모델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커플의 관계 패턴을 찾아 이를 대안행동으로 수정하여 커플 만족도를 증진한다. 이러한 목표에 따라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예비 프로그램 실시 이후 집단원 커플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자체 평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집단원 커플들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원가족 애착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커플관계증진 프로그램에 자기이해 및 파트너 이해 그리고 더 나아가 커플관계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 개발된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H대학의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 남녀 커플 6커플을 참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류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참여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자아분화, 성인 애착, 심리도식, 인지적 정서조절, 이해․수용․개방, 이성관계 만족도의 사전, 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 공분산분석(two-way ANCOVA)을 실시하여 처리하였다. 이를 위해 SPSS 1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또한 실제 대학생 커플들의 변화를 알아보고,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양적 분석을 보충하고자 녹취록 확인 자료, 경험 보고서 등을 통해 사례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원 커플의 성인 애착의 불안차원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부적응적 전략에서 자기비난 수준이 감소하였고, 이해․수용․개방의 파트너 개방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남학생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원 커플마다 조금씩 프로그램의 효과 차이는 있지만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특성과 성인 애착 유형에 따른 특성을 통해 자신과 파트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사회적 지지를 활용하여 집단원 커플의 자신, 파트너, 커플관계에 대한 이해․수용R Based on the conce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view the intimacy issue of individual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mily system theory, rather than as the inner issue of an individual,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dynamism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on the romantic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Bowen’s theory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adult attachment. The study seeks to help the students to re-evaluate the negative internal working model of self and partner in the couple relationship, find the patterns and change them into the alternative behaviors for successful development task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coupl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for college students in a relationship so that they can have positive experiences in intimate relationships, through which they can experienc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ill be reviewed in the process. The issues of this study in achieving such goal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coupl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organized based on the family of origin and attachment? Second, how effective is the program? The program explor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in eight phases. In Phase 1,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program was established using the suggestions from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romantic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s and the comprehensive group program for improvement of the couple relationship for college student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tasks encountered by college students. Phase 2 analyzed the needs of the college student couple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rehensive group program design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 In Phase 3, the goals and activity plans by sess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Phase 1 and 2. The program was modified based on the face validity test by four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ir doctoral programs and four professors who majored in counseling. Phase 5 was the execution process and the program was modified based on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and supervision for each session in Phase 6. Phase 7 focused on the self-evaluation of the program. In Phase 8, all the previous phases were modified and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was organized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process and program goals and modified after the preliminary study. Then the final program was executed and evaluated. As mentioned earlier, this study seeks to help the students to re-evaluate the negative internal working model of self and partner in the couple relationship, find the patterns, change them into the alternative behaviors, enhance the satisfaction and improve the couple relationship. The sub-goal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self-differentiation and adult attachment by the students and their partners; Second, to utilize the social support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re-evaluate the negative internal working model of self and partner in the couple relationship, find the relationship patterns, change them into the alternative behaviors and enhance the satisfaction. The program was organized as per such goals, and the self-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by the group couples after the preliminary program was implemented. It showed that the coupl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family of origin and attachment was helpful to the students and their partners in understanding themselves, partners and their relationships. In order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ix male and female couples attending colleges were divided into the participating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students were from H University in Daejeon, Korea, and they ha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comprehensive group program. The self-differentiation, adult attachment, schema,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understanding/acceptance/disclosure, an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 and post-tests for the satisfaction of the romantic relationships were drawn from each group. Furthermore, the two-way ANCOVA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group and gender. The program called SPSS 13.0 was for statistics. The changes shown by the couples were studied, and the cases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minutes and reports, which supplement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adult attachment related anxiety and the self-criticism in the non adaptive strategies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reduced in the coupl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also found that their level of partner disclosure in understanding/acceptance/disclosure was improved, and it was especially so in the male students. The case analysis also showed that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achieving the goals of the individuals and couples,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self and partners by understanding the self-differentiation and adult attachment whil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understanding/acceptance/disclosure of self, partner and couple relationship based on the social support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upl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based the family of origin and attachment is effective in re-evaluating the negative internal working model of self and partner in the couple relationship, finding the relationship patterns and changing them into the alternative behaviors. It was also found to be effective in helping the students to have the positive experience from the inti

      •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최연화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Dance-movement therapy is a kind of therapy to aim a recovery of wholeness through integrated expression of mind and body in the base of hypothesis that body movement can affect to the mind. In dance-movement therapy, body movement can make positive effects in many areas through expression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feeling. That effects include emotional stability, change of behavior, positive self-image, recovery of distorted body function and relief of tension etc. Study objects: In this study, Investigator tried to make a theoretical review about dance-movement therapy, developed and implemented actual 6 sessioned dance-movement therapy for middle-aged women and investigated effects of this program to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Results: The level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participants were reduced after program. The stress score reduced from 22.4(SD 6.9)to 15.2(SD 5.3). The anxiety score reduced from 41.7(SD 8.8) to 31.7(SD 8.5). The depression score reduced from 9.1(SD 6.1) to 4.9(3.1). All reduc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at they could experience various positive affection during the program. It seems that dance-movement therapy can improve the feelings and affects of participants. Further development of more well-designed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and investigation about that program is suggested 춤-동작치료는 마음의 상태는 신체에 영향을 주고 신체동작은 마음에 영향을 준다는 전제하에 신체와 마음의 기본적인 통합표현을 통하여 전체성의 회복을 도모하는 치료의 한 형태이다. 춤-동작치료에서의 신체움직임은 의식적 무의식적 감정들을 배출하게 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과 행동수정, 긍정적 자아상, 왜곡된 신체기능의 회복, 긴장감의 해소등 많은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이 연구에서는 춤-동작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정리를 시도하고,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이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주 간의 회기를 가진 춤-동작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였다. PWI-SF와 STAI, BDI를 이용하여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 수준을 측정하였고, 참가자들이 작성한 느낌 보고서를 제출받았다. 프로그램 수행결과 참여자들의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 수준이 프로그램 전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긍정적인 정서들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춤-동작 치료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정서적 요소들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키고, 이를 통해 내적 치유와 자기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앞으로 좀 더 체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과 더불어 이의 효과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서도소리의 배따라기 연구 : 사설과 선율을 중심으로

        최연화 圓光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김정연·박기종을 중심으로 서도소리 <배따라기>의 음악적 분석과 제 1악절부터 제 7악절까지 악절별 분석 및 잦은 배따라기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정연·박기종의 <배따라기> 악곡구조를 정리하면 7악절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분량에 따라 그 비중을 보면 7악절→5악절→4악절→6악절→2악절→3악절→1악절 순서로 악절마다 사설의 길이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둘째, 김정연·박기종의 <배따라기> 박자구조를 정리하면 3박의 형태를 보인다. 주로 2박자나 3박자로 구성되지만 일부 다른 박의 구성을 볼 수 있다. 셋째, 김정연·박기종의 <배따라기> 경서토리 조직을 정리하면 제 1·2형은 re·mi·sol·la·do'로 제3·4형은 re·mi^fa·sol·la·do'로 제 2음이 mi보다 약간 높고 fa보다 약간 낮게 되어 있지만 제 1·2형과 유사한 음조직을 보인다. 넷째, 김정연·박기종 <배따라기> 창법 분석을 위한 시김새를 정리하면 김정연 창은 1972년도에 성음레코드에서 10매의 LP전집으로 발매된 ‘서도소리 대전집’에서 오복녀와 함께 부른 음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박기종은 2000년도에 한국전통 서도소리 연구회에서 발매한 ‘박기종 서도소리 제 3집 서도 잡가집’의 독창 음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음원에서 수심가 토리의 do'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김정연은 증4도 아래인 gb의 음고로, 박기종은 d로 노래하므로 여성 창자인 김정연 보다 박기종은 감4도 아래 낮은 음고로 노래하고 있다. 다섯째, 김정연·박기종 <배따라기> 악절별 형식 구조와 사설, 가사와 박자 및 말붙임새, 구성음 및 창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악절에서 형식 구조는 제 1부와 후렴의 두 부분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사설의 내용은 계절의 변화를 이야기 하고 있고, 가사와 박자 및 말붙임새를 보면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구성음을 보면 김정연은 la·re·mi·do·sol·re'의 순으로 박기종은 la·re·mi·do·re·sol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창법은 요성의 폭은 다양할 수 있지만 la를 떨고 do'를 흘리는 창법이 나타난다. 제 2악절에서 형식 구조는 총4부와 후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설의 내용은 뱃사람들의 신세 자탄이 주를 이루고 있다. 가사와 박자 및 말붙임새는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구성음을 보면 김정연은 음의 la·re·mi·do'·sol·re' 수심가토리 음조직을 보이고 있고, 박기종은 la·re·do'·mi'·re'·sol 이 사용되었고, la가 가장 많이 쓰여, 1악절의 수치와 다르다. 창법은 김정연은 6가지 창법을 사용하였고, 박기종은 4가지 창법으로 김정연이 더 다양한 창법을 구사하고 있다. 제 3악절에서 형식구조는 3개의 부와 후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설의 내용은 항해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가사와 박자 및 말붐임새는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구성음을 보면 김정연의 경우 la·re·do'·mi·sol·re' 순으로 박기종은 la·do'·mi·re·re'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창법 구사상에서 김정연은 다채로운 선율과 꾸밈, 기교 등을 사용하고 박기종은 비교적 단조롭고 한 두 개의 음만 써서 성별의 차이가 나타난다. 제4악절에서 형식구조는 9개의 부와 후렴으로 10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설의 내용은 항해 중에 긴급한 위기 상황이 닥쳤음을 시사하고 있다. 가사와 박자 및 말붙임새는 7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구성음을 보면 김정연은 la·re·do'·mi·sol·re'의 순으로 박기종은 la·mi·do'·re·re'의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창법에서는 김정연은 요성의 사용도 폭이 좁고 섬세한 반면 박기종은 창법의 수가 적고 남성적이고 굵은 요성을 사용해 성별의 차이가 드러난다. 제 5악절에서 형식구조는 11개 부분으로 10개의 부와 후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설의 내용은 배가 난파된 뒤 구조된 선원이 고향으로 돌아가는 배경을 그리고 있다. 가사와 박자 및 말붙임새는 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구성음은 김정연은 la·re·do'·mi·sol·re'·fa의 순으로 fa도 출현하고 박기종은 la·re·do'·mi·re'·do의 순으로 sol이 제외된 4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창법은 김정연은 5가지 창법을 박기종은 4가지 창법을 사용하는데 ‘여음목’과 ‘막는목’은 김정연 창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다. 김정연은 떠는 요성을, 박기종은 잔잔히 떠는 요성과 흘리는 목을 사용하였다. 제 6악절에서 형식구조는 4개의 부와 후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설의 내용은 조난당한 선원의 귀향을 그리고 있다. 선장과 밥하는 두 사람만이 살아와서 중심 인물인 기아버지를 만나지 못해 슬퍼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가사와 박자 및 말붙임새는 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고 구성음을 보면 김정연은 re·mi·sol·la·do'의 5음으로 박기종은 re·mi·la·do'의 4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창법은 김정연은 잔잔히 떨며 긴 박을 끌지만 박기종은 잔잔히 떨다가 굵고 힘차게 넓게 떨기도 하며 남성적인 창법을 구사하고 있다. 제 7악절에서 형식구조는 12개 부분으로 11개의 부와 후렴구로 구성되어 있다. 사설의 내용은 가족들과의 만남으로 다시는 죽을 쑤어 먹더라도 뱃사람이 되지 말자는 내용이다. 가사와 박자 및 말붙임새는 7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구성음을 보면 김정연은 la·do'·re·mi·sol·re'의 순으로 박기종은 re·do·mi·re·do'·mi의 순으로 do와 mi의 음이 출현하는 것이 다른 악절과 다른 점이라 하겠다. 창법은 김정연은 8가지 창법을 쓰고 박기종은 4가지 창법이 사용되었다. 김정연은 박기종이 쓰지 않는 ‘들어내는 목’, ‘조르는 목’, ‘막는 목’, ‘여음 목’이 나타났고 악절에서 잘 나타나지 않았던 흘리는 목을 함께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잦은 배따라기>형식구조와 사설, 가사와 박자 및 말붙임새, 구성과 주요음 및 창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형식구조와 사설은 크게 3개의 부와 후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설의 내용은 풍어를 기원하며 만선의 기쁨을 노래하고 있다. 가사와 박자 및 말붙임새는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구성음은 제 1부는 sol·la·si·re'·fa로 제 2부는 sol·ra·si·re', 제 3부는 do'·re'·mi·fa·sol·ra로 후렴은 sol·la·si·re'·mi로 1·3 후렴 부분은 주요음이 re'이고, 종지음이 sol로 똑같이 나타나는데, 3부는 주요음이 la이고, mi가 종지음을 이루고 있다. 창법은 ‘자주떠는 음’, ‘치는목’, ‘흘러내리는목’으로 세 가지 창법이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서도소리의 많은 잡가들 중에 <배따라기>를 연구하였는데, 모든 해안가가 있는 곳이라면 배따라기가 불리워졌을 것이다. 다른 해안지역 소리의 유형을 더 발굴하여 전문 소리꾼들에 의해 다시 불리워지기를 기대하고 서도소리의 보존 및 전승과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e musical analysis of Seodo-Sori <Baeddaraki> by Kim Jeong-yeon’s and Park Gi-jong and analysis by passage from the 1st to 7th and content of Jajin (quick-pace) Baeddaraki up until now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m Jeong-yeon/Park Gi-jong’s <Baedddaraki> music can be divided into seven passages. Each passage has a different length of Saseol with the biggest 7th, 5th, 4th, 6th, 2nd, 3rd and 1st in the order by the portion of quantity. Second, the musical traits of rhythmic structure in Kim Jeong-yeon/Park Gi-jong’s <Baeddaraki> show the form of triple meter, usually in the composition of double or triple time but with some others. Third, as to the Gyeongseo-tori structure of Kim Jeong-yeon/Park Gi-jong’s <Baeddaraki>, the 1st and 2nd type are re-mi-sol-la-do’ while 3rd and 4th type re-mi^-fa-sol-la-do’, with the second note a little higher than mi and a little lower than fa, but shows a similar tonal system to the 1st/2nd. Fourth, for the Sigimsae in Kim Jyeong-yeon/Park Gi-jong’s <Baeddaraki> singing, Kim Jeong-yeon’s was from the sound source of singing with Oh Bok-nyeo ln Seodo-Sori Complete Works released in 10 volumes of LP’s in 1972 by Seongeum Record Co., while Park Gi-jong;s was from the solo in Park Gi-jong’s 3rd Seodo-Japga Collection released in 2000 by Korea Traditional Seodo-Sori Society. In each sound source, on the basis of do’ in Susimga-tori, Kim Jeong-yeon sings at the pitch of gb, augmented 4th lower while Park Gi-jong at a low pitch of d, diminished 4th lower, compared to the woman singer Kim Jeong-yeon. Fifth, in Kim Jeong-yeon/Park Gi-jong’s Baeddaraki, formal structure, Saseol, lyrics and time, Mal-Buchimsae, component tones and singing techniqu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first passage, formal structure consists of two parts, the 1st fraction and a refrain, Saseol tells about seasonal changes, and lyrics, time and Mal-Buchimsae largely appear in three types. As to component tones, Kim Jeong-yeon shows the order of la-re-mi-do-sol-re’ and Park Gi-jong la-re-mi-do-re-sol. For the technique of singing, with diverse widths of Yosung, there appear the vibrato of la and spill of do’. In the second passage, formal structure consists of four fractions in all and a refrain. Saseol largely tells about the sailors’ grief over their lot. Lyrics, time and Mal-Buchimsae are divided into four types. For component tones, Kim Jeong-yeon shows la-re-mi-do’-sol-re’, a tonal system of Susimga-tori, while Park Gi-jong uses la-re-do’-mi’-re’-sol, but la is most frequently used, which is a difference from the percent in the first passage, While Park Gi-jong used four singing techniques, Kim Jeong-yeon used six with a larger diversity. In the third passage, formal structure is composed of three fractions and a refrain. Saseol tells about sailing. Lyrics, time and Mal-Buchimsae all appear in four types. For component tones, Kim Jeong-yeon’s is in the order of la-re-d’o-mi-sol-re’ and Park Gi-jong’s la-do’-mi-re-re’. In using the technique of singing, Kim Jeong-yeon uses colorful melody, trim and art but Park Gi-jong uses only one or two tones, relatively simple, revealing difference in gender. In the fourth passage, formal structure is composed of 10 parts, nine fractions and a refrain. Saseol tells about an upcoming emergency during the sailing. Lyrics, time and Mal-Buchimsae are of seven types. For component tones, Kim Jeong-yeon’s is in the order of la-re-do’-mi-sol-r’e and Park Gi-jong’s la-mi-do’-re-re’. For singing, while Kim Jeong-yeon makes a narrow and delicate use of Yosung, Park Gi-jong shows s smaller number of singing techniques using a masculine and deep Yosung. In the fifth passage, formal structure is of eleven parts, 10 fractions and a refrain. Saseol tells about the homecoming of a sailor who was rescued after shipwreck. Lyrics, time and Mal-Buchimsae are of six types. For component tones, Kim Jeong-yeon’s is in the order of la-re-d’o-mi-sol-re’-fa with appearance of fa while Park Gi-jong’s la-re-do’-mi-re’-do, composed of four tones excepting sol. For singing, Kim Jeong-yeon uses five techniques and Park Gi-jong four, and ‘Yeoeum Mok’ and ‘Makneun Mok’ are the characteristic which uniquely appears in Kim Jeong-yeon’s singing. While Kim Jeong-yeon uses the Yosung of vibrato, Park Gi-jong uses the Yosung of silent vibrato and Mok of spill. In the sixth passage, formal structure is composed of four fractions and a refrain. Saseol tells about the homecoming of sailors who had been cast away. It portrays the grieving of two survivors, captain and cook, over not being able to see the father, a central figure. Lyrics, time and Mal-Buchimsae are of six types. For component tones, Kim Jeong-yeon shows five tones (re-mi-sol-la-do’) and Park Gi-jong four tones (re-mi-la-do’). For singing, while Kim Jeong-yeon shows a silent vibrato with a lingering time, Park Gi-jong shows a silent and then deep and strong vibrato using a masculine technique of singing. In the seventh passage, formal structure is composed of 12 parts, 11 fractions and a refrain. Saseol tells about reunion with the family and resolution not to be a sailor again even if going to live from hand to mouth. Lyrics, time and Mal-Buchimsae are of seven types. For component tones, Kim Jeong-yeon’s is in the order of la-do’-re-mi-sol-re’ and Park Gi-jong’s re-do-mi-re--do’-mi, with a different appearance of do and mi from other passages. For singing, Kim Jeong-yeon used eight techniques and Park Gi-jong four. In Kim Jeong-yeon’s appeared ‘Deureonaeneun,’ ‘Joreuneun,’ ‘Makneun’ and ‘Yeoeum’ Mok’s, which are not used by Park Gi-jong, together with Heulineun Mok which hardly appeared in passages. Seventh, in <Jajin Baeddaraki> formal structure and Saseol, lyrics and time, and Mal-Buchimsae, composition, major tones and technique of singing are as follows. Formal structure and Saseol largely consist of three fractions and a refrain. The content of Saseol prays for a good haul and sings the joy of a big catch. Lyrics, time and Mal-Buchimsae are of three types. Component tones are sol-la-si-re-fa’ for fraction 1, sol-ra-si-re’ for fraction 2, and do-re-mi-fa-sol-ra for fraction 3. They are sol-la-si-re-mi for a refrain and major tone is re for 1-3 refrains with the same appearance of sol as ending tone. But for fraction 3, major tone is la and mi makes the ending tone. For singing, three techniques appear–“Frequent vibrato,’ ‘Chineun Mok,’ and Menari-Tori. To conclude, among many folk songs of Seodo-Sori, this study looked into <Baeddaraki> and Baeddaraki must have been sung anywhere and everywhere with the seash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Seodo-Sori by finding more types of Sori at other coastal areas and allowing professional singers to revive them.

      • 아내폭력 피해자에 대한 양육태도변화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성

        최연화 신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urturing attitude changes via an Active Parenting Today(APT) targeted to the wife as a domestic violence victim parenting. In a particular, this was focused to identify what would happen to the nurturing attitude in the post-APT program and to make measure the democratic civility, autonomy, affection, and acceptance as sub-components of the nurturing attitude against children. In terms of Active Parenting Today program, this study verified the extent to which would change into the nurturing attitude against the wife who has been victimized by the domestic violence. In order to do this, I surveyed 20 mothers who had visited K Family Counseling Office in Y city of Kyungnam Province and further asked to be client for counseling. Thes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 group with 10 mothers, and another control group with 10 ones. The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ed : 1) Concerned with the pre-test of APT program, the commonality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ere verified b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Mann-Whitney as a nonparamatic method; 2) Based on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 method, I found the positive change in the nurturing attitude of experiment group, while not happened to the control group; 3) There existed the remarkable significance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in terms of pre-test and post test, regarding to democratic civility, independent action, affection, and acceptance comprising the sub-factors of the nurturing attitude against children; 4) After 6-month with the end of this experiment program, the additional proving experiment was performed, and showed nearly non-changed effects on total nurturing attitude and its sub-components such as democratic civility, independent action, affection, and acceptance. This study may imply some meanings which the APT(so-called Active Parenting Today) program would play positive role on diminishing the psychological stress among the mothers via husband-to-wife violence, and creating a much more positive change in their nurturing attitude against children. Furthermore, this APT program will positively affect the child nurturing and education, and block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the wife. The next study will be focused on identifying diverse characteristics about the nurturing attitude against children, and further developing more effective preventing strategies against husband-to-wife violence. 폭력으로 인한 피해는 여성 개인 뿐 아니라 왜곡된 부모-자녀 관계를 통해 아동에까지 심각한 부적응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우리사회에서 아내폭력 피해자의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와 양육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는 절실히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아내폭력 피해자들이 갖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곤란을 돕고, 여성과 부모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들 여성의 양육행동을 변화시킬수 있는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효과성도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아내폭력 피해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양육태도변화를 알아보았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과 부모역할훈련 APT(Active parenting today)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해서 알아보았으며, 아내폭력 피해자의 양육태도를 알아보고 부모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양육태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전체 양육태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하위요인인 민주·자율, 애정·수용에 대한 변화정도를 측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아내폭력의 피해자인 어머니의 태도는 가정폭력의 경험을 한 자녀의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부모의 역할수행이 자녀에게 지금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기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변화를 위한 부모역할훈련이 필요하며 이에 본 연구는 아내폭력 피해자를 대상으로 부모역할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ichael H. Popkin이 창안하고 홍경자가 번안한 적극 부모역할(APT) 프로그램으로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아내폭력 피해자인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에 어느정도 변화가 있는지 양육태도를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이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경남 Y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족상담소에서 아내폭력 피해자로 상담을 의뢰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적극적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은 10명, 적극적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 10명으로 주1회 3시간씩 6회를 실시하였으며, 총 18시간이 소요되었다. 부모교육APT 국제강사인 외래강사와 본 연구자가 함께 진행하였다. 효과성검증을 하기 위한 평가도구로서 양육태도검사를 APT 훈련전과 훈련 후 두집단 모두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한지 6개월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의 분석은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훈련전 검사점수를 비모수통계인 Mann-Whitney 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간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양육태도변화 변화를 비모수통계인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윌콕슨 부호순위검정)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APT 프로그램의 사전검사에서 통제집단, 실험 집단 두 집단 간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통계인Mann-Whitney분석을 통하여 검사 한 결과 두 집단간 동질적인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검사에 대한 양육태도의 향상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통계인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윌콕슨 부호순위검정)로 검증 한 결과 통제집단의 양육태도는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양육태도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서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민주ㆍ자율, 애정ㆍ수용의 요인에서 강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종료한지 6개월 후 양육태도의 변화상태를 검증해보기 위하여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의 전체양육태도와 하위변인인 민주·자율과 애정·수용의 변인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프로그램 실시 후 단시간에 멈추지 않고 어느 정도의 시간까지는 지속이 된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인 아내폭력 피해자를 중심으로 실시한 적극적부모역할훈련은 자녀의 민주ㆍ자율, 애정ㆍ수용의 양육태도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조사 분석되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로는 일반인에게 실시해오던 부모교육을 가정폭력의 피해자인 어머니에게 실시함으로써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녀가 올바르게 성장하게 되며, 가정폭력의 예방적 차원에서 그 필요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보다 정교한 실증적 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연구의 한계들을 보완하는 추후의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앞으로 아내폭력 피해자의 양육행동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명확하고 체계적인 양육행동의 특성을 밝히는 작업과 이를 기초로 학대가정의 악순환과 가족해체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실천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가정폭력의 예방적차원에서 미치는 요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규명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 유아의 정서적 기질, 어머니의 정서인식, 정서신념과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최연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을 구성하는 정서표현, 정서이해, 정서조절에 대한 유아의 정서적 기질, 어머니의 정서인식, 정서신념과 양육행동의 설명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6-7세 유아 76명과 그들의 어머니 76명, 담임교사 7명으로 유아에게는 정서표현과 정서이해능력을 관찰과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교사에게는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어머니에게 자녀의 정서적 기질, 어머니의 정서인식, 정서신념과 양육행동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측정방법은 유아의 정서표현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의 자유선택놀이시간에 유아의 기쁨 정서표현을 10초씩 15번을 4회에 걸쳐 총 60회 관찰 기록하였으며 유아의 정서이해능력 측정을 위해서는 연구자가 개별 유아와 혼합정서이해능력 면담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유아의 담임교사가 설문지를 통해 작성하였다. 유아의 어머니에게는 자녀의 정서적 기질, 어머니의 정서인식, 정서신념과 양육행동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분석은 SPSS program 18.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정서적 기질과 어머니의 부정정서인식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는 유아의 정서이해능력은 7세가 6세보다 높고 6세가 7세보다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형제유무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는 형제가 있는 유아의 정서적 기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긍정정서인식과 발달적 정서신념은 외동아가 형제 있는 유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산후우울 경험 유무는 어머니의 정서인식, 정서신념, 양육행동에 차이가 없었으며 양육지원자가 있는 경우는 없는 경우보다 어머니의 긍정정서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생득적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입장은 유아의 기질이 타고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어머니의 부정정서인식이 높았으며 유아의 기질이 환경에 따라 변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정서표현지도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분노발작 경험이 있는 유아는 없는 유아보다 정서이해와 정서조절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정서적 기질, 어머니의 정서인식, 정서신념, 양육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정서표현은 어머니의 긍정정서인식, 애정적 양육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유아의 정서이해는 어머니의 긍정정서인식, 정서표현지도 신념, 애정적 양육행동과 정적 상관이 어머니의 부정정서인식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조절은 유아의 정서적 기질, 어머니의 부정정서인식과 부적상관이, 어머니의 긍정정서인식, 정서표현지도 신념, 발달적 신념, 애정적 양육행동과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정서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으로 나타났으며 관련변인의 총 설명량은 14.6%이었다. 유아의 정서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은 유아의 연령과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이었으며 관련변인의 총 설명량은 20.4%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긍정정서인식, 부정정서인식, 정서표현 지도 신념이었으며 관련변인은 총 26.2%의 설명량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을 구성하는 정서발달의 중요한 세 측면인 정서표현, 정서이해, 정서조절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관찰과 면담, 설문지를 사용하여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을 설명하기 위해 유아의 개인 내적인 변인과 함께 어머니의 정서관련 특성인 정서인식, 정서신념과 양육의 실제적 특성인 양육행동의 관련성을 함께 고려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xplanation of children's emotionality,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beliefs about feelings and parenting behaviors on expression, understanding and regulation of emotion, which are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Study subjects consist of 76 children aged 6 to 7 years, 76 mothers and 7 teachers who live in Seoul.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re conducted for children to examine expressivity and understanding of emotion and questionnaire is performed for teachers to examine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ERC) of children. Also, survey is employed for mothers to find children's emotionality (EAS: E),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PANAS), beliefs about feelings (BAF) and parenting behaviors (MPB). To examine children's emotion expressivity, expression of joy is observed during free play time at child care institutions for four sessions of 10 seconds through 15 times and recorded the results for total 60 times of observations. To assess children's emotion understanding, researchers perform interviews on mixed emotion understanding competence with each childr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as assessed by questionnaire to teachers. Survey is conducted for mothers to investigate children's emotionality,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beliefs about feelings and parenting behaviors. For statistical analysis of study results, SPSS program 18.0 is used an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employed as wel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observed variables by children's sex is shown that boys have higher children's emotionality and mother's negative M than girls. The difference of observed variables by children's age indicates that 7-year-old children have higher children's emotion understanding competence than 6 year-old children while 6-year-old children has higher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than 7-year-old children. The difference of those by whether to have siblings indicates that children with siblings have higher children's emotionality than those without siblings. Only children have higher mother's positive affect and beliefs about feelings than children with siblings do. Postpartum depression indicates no difference in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M, beliefs about feelings and parenting behaviors. Mother's positive affect was high if they have parenting supporter. For mother's position on children's innate emotionality, in case they think children's emotionality is innate, their negative affect is high while in case they think it depends on environment, beliefs of teaching emotion expressivity is high. Children with experiences of temper tantrum have significantly lower understanding and regulation of emotion than those without the experiences do.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emotionality,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beliefs about feelings, parenting behaviors indicate that children's emotion expressivity h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ther's positive affect and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while children's emotion understanding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mother's positive affect, beliefs of teaching emotion expressivity and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ity and mother's negative affect while it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ther's positive affect, beliefs of teaching emotion expressivity, developmental beliefs and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Third, the effect of related variable that affects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indicate that the variable that affect children's emotion expressivity is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which occupies 14.6% of total explanation of related variable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s children's emotion understanding are children's age and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which occupy 20.4% of total explanation of related variable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s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re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beliefs of teaching emotion expressivity and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which occupy 26.2% of total explanation of related variables.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three important factors for emotional development that lea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emotion expressivity, understanding and regulation. In order to assess the factors, observation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are employed to collect and analyze objective and in-depth information. Given that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beliefs about feeling as emotion related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with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s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parenting as well as children's innate variables are considered to account for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 Couple communication 프로그램이 예비커플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최연화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Couple Communication 프로그램이 긍정형 의사소통은 향상시키고, 부정형 의사소통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광역시 H 대학교의 미혼 남녀커플 8쌍을 대상으로 2001년 5월 26일부터 6월 16일까지 제1차 프로그램 실시와 9월 15일부터 10월 6일까지 제2차 프로그램 실시로 나누어서 매 회기 120분간 주 1회씩 4주 동안에 걸쳐 이루어졌다. 측정방법으로는 기존의 의사소통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한 예비커플 의사소통 능력향상 평가 측정 설문지와 Couple Communication 프로그램 자체 평가 그리고 사례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빈도분석, 분산분석, 대응표본 t-test, 공변량 분석을 하기 위해 SAS 프로그램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uple Communication 프로그램은 예비커플의 긍정형 의사소통과 부정형 의사소통 모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지만, 긍정형 의사소통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의 Couple Communication 프로그램 자체 평가 결과에서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에 실시한 사전점수보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실시한 사후점수에서 더 낮게 나타나 의사소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플간의 사례분석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커플들이 평소 의사소통을 할 때 본인은 배려하지 않고, 그저 상대방만 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는 본인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않으면서도 상대방이 먼저 본인의 감정을 헤아려주고 배려해주기를 바랬다. 이러한 잘못된 의사소통 패턴으로 인하여 커플간의 관계가 약화되고 갈등해결 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말하기 맵(map)을 통해 본인의 감정, 생각 등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면서 동시에 상대방은 듣기 맵(map)을 통해 다른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공감해주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대부분의 커플들이 평소 느꼈던 문제를 해결하고, 그 동안 배려 받지 못한 본인들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배려 받고자 하여 부정적인 의사소통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Couple Communication 프로그램은 예비커플의 의사소통 중에서도, 특히 부정형 의사소통을 감소시켜 갈등해결의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couple communication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cation between pre-marital couples can develop communicative skill in positive conversation and reduce that in negative conversation. Participants allowing this program were pre-marital 8 couples of 'H' university in Daejon and took part in the first experiment from May 26th, 2001 to June 16th, 2001 and second experiment from September 15th to October 6th every 2 hours a week for a month. This program was measured by papers made up of questions which was amended existent communication test tools and added new items made by ourselves and finally we did analyze each case. Collected data were taken statistics in order to analyze frequency, dispersion, ANCOVA and t-test. I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uple communication program came into effect significantly on positive and negative conversation. Especially, it was more effective on negative conversation. Second, in the result of self-test by excepting and applying couple communication program that point of test after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compared with that of pre-test before got less points, therefore it showed that this program worked well for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Third, according to case analyses of couples, most of all tried to solve conflicts in daily life and reduce negative conversation by sharing feeling during these tests, which was not accepted by each other before. In conclusion, it is certain that couple communication program is especially effective on reduction of negative conversation for pre-marital couple's conversation.

      • 친환경 물류를 위한 폐가전제품 회수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연구

        최연화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기업들은 환경규제 정책에 부합하고 경영상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환경적 측면에서의 관리를 기업경쟁력에 있어 보다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굴지의 기업들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친화적인 기술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본 연구는 가전제품의 회수 후, 처리방안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법을 제시한다. 현행 회수물류처리 프로세스 상의 문제점을 분석한 바, 이는 회수물류에 대한 인식의 결여, 회수물류의 식별 및 추적성에 대한 문제, 통합정보시스템에 대한 부족 그리고 재정상의 제약조건 등 으로 귀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가전제품 재사용 처리의 활성화를 위한 ‘Web-portal 기반의 마켓플레이스 시스템’과 ‘유가물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는 객체지향CBD방법론에 의하여 수행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개발방법론에 focus를 맞추어 진행하였다. Web-portal 기반의 마켓플레이스시스템은 ‘재활용을 위한 4대 서비스(4Rs services for Recycling)’이며 개인, 기업, 정부기관, 국가 즉 4대간의 재활용 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교환을 위하여 개발된 컴포넌트로 Web-portal을 통하여 물품의 정보 및 이력 추적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고 이를 통하여 자원의 재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 ‘유가물 관리 시스템’은 RFID기반의 유가물 통합관리시스템으로 본 시스템의 도입을 통하여 폐기물 분해 시, 추출할 수 있는 유가물의 실시간 관리 및 이력추적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제품이력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제품의 재활용과 재사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모델로 현행 비효율적인 회수물류체계의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향후 연구방향으로는 구성된 모델의 효율성을 검증하고 테스트를 통하여 회수물류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회수물류체계 표준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도록 하겠다. Nowadays, environmental management becomes a critical business consideration for companies to survive from many regulations and tough business requirements. In addition, most of world-leading companies are now aware that environment friendly technology and management are critical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company. Considering this kind of trend, this study proposes an efficient approach of recycling electronic waste after the collection.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process of reverse logistics: lack of awareness about reverse logistics, identification and traceability issue; a lack of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and financial constraints. Thus,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we developed ‘Web-portal based-market place system’ and ‘Valuable Reusable Materials (VRM)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the reuse of discarded household appliances. The development has been carried out by object-oriente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CBD) while the development methodology is on the focus of this paper. The Web-portal based-market place system, which is one of the 4Rs service for recycling, is a component for an efficient exchange of information about recyclable resources among individuals, companies,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nations. Through this Web-portal function, users can track the information and history of articles and thus, can activate reuse of resources. VRM management system i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it is developed to manage and track valuable materials from the wastes in real-time. The systems was designed to address the current issues of reverse logistics by improving the transparency of product history, increasing recycle and reuse of products. As the future research, we suggest verifying the efficiency of the developed model to set up the future direction of reserve logistics and standardizing a reserve logistics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