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최숙진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특성을 지닌 유아가 일반 유치원에 증가해 감에 따라 다른 유아에게까지 부정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수정하기 위하여 토큰강화 기법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주의산만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과제 불이행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전남 O군·에 소재하며, 공립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특성을 지낸 유아 3명을 선정했다. 자리이탈 행동, 주의산만 행동, 과제불이행 행동을 부적응 행동인 표적행동으로 정하고 표적행동에 상반된 목표행동을 하면 토큰을 주는 토큰 강화법을 사용하였다.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법으로 기초선 단계에서는 토큰강화를 하지 않고 표적행동을 직접 관찰 하였으며, 중재단계에서는 토큰강화 기법을 사용하여 연속강화와 고정비율 강화를 하면서 표적행동을 관찰 하였고, 2주 후에 유지 단계를 두어 표적 행동을 관찰 했다. 자료의 분석은 표적행도의 관찰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시각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토큰강화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다. 둘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주의산만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다. 셋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과제 불이행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토큰강화 기법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하는데 유용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oken economy on modifying maladjustment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which appears significantly in educational field of kindergarten.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set up: First, does token economy influence on decreasing seat separ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Second, does token economy influence on decreasing distrac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Third, does token economy influence on decreasing assignment nonperformance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ren with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n annex kindergarten to a publi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O-gun, Jeollanam-do. Seat separation behavior, distraction behavior and assignment nonperformance behavior were decided as target behaviors and token economy was used in a way of giving token when the children do alternative behavior opposed to the target behavior.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 design was used. In baseline, target behaviors were observed without token economy. And in arbitration, through continuous reinforcement and fixed ratio reinforcement step. Two weeks later, target behavior was observed in maintenance step. Visual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ken ec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seat separ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Second, token ec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distrac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Third, token ec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assignment nonperformance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 연출된 공간을 통한 상징적 이미지의 표현연구 : 본인작품 <초대받은 자리> 연작을 중심으로

        최숙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회화에 나타나는 형상들은 눈에 보이는 것을 예술적으로 재현하기보다는 내면의식의 표현에 중요한 가치를 부여한다. 회화는 작가 자신의 개성의 투영(投影)이며, 회화의 주제란 작가가 말하고 싶은 것을 표현하기 위한 출발점인 것이다. 작가는 현실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자신의 내부로 흡수하여 상상력의 세계로 이끌며 관심과 가치관을 작품에 반영함으로써 현실과의 소통을 시도한다. 이는 하나의 자아(自我)표현이며 작가와 내면의 자아를 이어주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적 형상화의 원천은 무의식과 상상력이다. 무의식 자체에는 어떠한 합리적 질서를 찾아 볼 수 없지만, 무의식이 상상력을 통해 의식의 수준으로 드러날 때에 무의식의 내용은 비로소 의미 있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결국 작가가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심층을 이루는 유동적이고 자유로운 무의식을 객관화하고 명확히 함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정서적 반응을 일으켜 심적(心的)인 평온의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본인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느끼게 되는 소외와 고립의 감정을 작품의 기반(基盤)으로 두고 상상력을 통해 자신만의 신비로운 공간을 연출하여, 이 공간속에 상징적 이미지를 조합함으로써 내면(內面)과 내면이 만나는 감성적 세계의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작품 <초대받은 자리>연작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외로운 영혼들을 본인이 구축한 상상의 공간으로 초대하여 그들만을 위한 ‘위문공연’의 자리를 마련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이야기가 담긴 설정은 그 서술성에 맞게 상징의 코드(code)로 이미지화되어 화면을 구성해 나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작품 전반(全般)에 걸쳐 등장하는 웅크린 신체 이미지의 내용과 형태에 이르는 상징적 의미작용의 분석을 통해 내면의 감성을 파악하고, 회화의 본질과 가능성을 탐구하고자함에 있었다. 따라서 작품의 형성배경인 소외와 상상력의 이론적 근거 및 연출된 공간과 이미지의 생성과정을 열거하여 작품이 갖는 정체성(正體性)을 확립하였다. 내용분석에서는 작품이 담고 있는 이야기와 웅크린 신체, 붉은 열매, 춤, 물고기, 동산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이러한 요소들이 소외로부터의 치유를 상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작품을 이루는 주요 색채인, 작가의 내향적 성향을 대변하는 푸른색과 부동성(不動性)을 지닌 녹색, 그리고 역동적인 붉은색의 상징체계를 규명하였다. 결국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제작된 본인의 회화 작품 <초대받은 자리>연작에 대한 정리이며,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앞으로의 작업 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작업의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의 계기로 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mages in modern paintings confers an important value to the representation of inward consciousness, rather than reproducing the visible artistically. The painting is the projection of the artist's personality, and the subject of painting is a beginning point to express what the artist wants to articulate. The artists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reality by absorbing various problems of reality into the ego, directing them toward the imaginary world and reflecting their interest in the work. This can be said to be an expression of ego and provides unlimited potential to link the artist and the ego. The source of the inward representation is the subconsciousness and imaginative power. Though no rational order can be identified in the subconsciousness itself, the substance of subconsciousness finally takes a significant form when the subconsciousness comes to the surface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imaginative power. Finally, artists pursue to transform the fluid and free subconsciousness- which forms the deep inner 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into what is subjective and clear, so as to induce the viewer to have emotional reaction and reach the psychological tranquility and serenity. I presented my own imaginary mysterious space based on the feeling of alienation and isolation in modern society, which is the motif of this work, and built the symbolic image in that space, so as to attain a consensus of the emotional world in which the inner world and inward consciousness converge. The sequence titled "A reserved space for an invited guest" tried to invite the lonely souls of the contemporary times to my imaginary world to comfort them, and those narratives were converted to image through the symbolic code which suits the narration when configuring the aspect of canva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inner sentiment and emotion by analyzing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form and substance of the crouched physical image which is ubiquitous in works, and explore the essence and potential of painting.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the identity of work by listing the theoretical ground of the alienation and imaginative power,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work, and the creation process of the presented space and image. The findings of analysis of the substance indicated that the images the narrative of work, images of crunched body, red fruit, dance, fish and hill represented the healing of alienation. Moreover, I shed light on the symbolic structure in which the blue color embodies the inward characteristics of artist, the green color represents the immobility, and the red color represents a dynamic feature. Finally, this study summarizes my sequence work, titled 'A reserved space for an invited guest', which was produced from 2002 to 2006, and is significant in consideration that this process of research is instrumental in exploring the direction of future works and continuously seek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