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합교육 경험에 따른 어린이집 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정영미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improvements in achieving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recognition and demands on integrated education of teachers with or without experience in its field who are leading the education in a time which giving equal opportunity and providing appropriate education to all children is being emphasiz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vestigate recognition of nursery teachers on integrated education. 1-1) Investigate recognition of nursery teachers on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experience in integrated education. 1-2) Investigate recognition of nursery teachers on integrated education by variables (age, work experience, completion in special education subjects) based on experience in integrated education. 2. Examine integrated education effects of nursery teachers on integrated education. 2-1) Examine integrated education effects of nursery teachers based on experience in integrated education. 2-2) Examine integrated education effects of nursery teachers by variables (age, work experience, completion in special education subjects) based on experience in integrated education. 3. Investigate issues and requirements of integrated education from teachers with or without experience in integrate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hich in total of 150 nursery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ocial welfare facilities, private, and special nurseries located in Gwangju city. The survey lasted 30 days from September 1st through 30th, 2006. Survey sheets and letter of information sta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notices were mailed to subject organizations. Total of 103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were taken into statistics. Survey questions consisted sections of nursery teacher's recognition on integrated education, effect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issues and requirements of integrated education. The contents obtained from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treated using an SPSS 12.0 program and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question, and the verification was performed through cross analysis, t-examination and dual variable analysis so a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each factor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ith experience in integrated education showed positive recognition on it.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integrated education, experienced teachers accepted it with more positiveness. Third, nursery teachers acknowledged that they need guidance and development in educational procedures when forming subjects in integrated education in order to perform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Moreover, they acknowledged that teaching, administrative, financial factors and responses of local society should be balanced in harmony.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o conduct studies on specific programs and educational contents required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this study will provide substantial support to nursery preparing for integrated education.

      •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 전문 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최희경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장애유아를 포함한 모든 유아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자질과 인성을 갖춘 유치원 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연수 방안과 근무 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유치원 교사가 구비해야 할 특수교육 전문 능력을 유치원 교사의 하위변인 별로 알아본다. 둘째 : 유치원교사가 구비하고 있는 특수교육 전문 능력을 유치원 교사의 하위변인별로 알아본다. 셋째 : 유치원교사의 하위변인에 따른 특수교육 저해요인에 대해 알아본다. 연구의 대상은 전남지역의 공·사립 유치원 교사 및 어린이집 교사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 전문 능력에 대한 인식을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 문항구성은 영역별로 나누어 제시하면 첫째, 특수교육의 전문성, 둘째, 특수교육 저해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문지의 자료로 얻어진 내용의 통계처리는 SPSSWIN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문항을 빈도·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요인분석, F-검증 및 분산분석,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해석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가 구비해야 할 특수교육 전문성에 관한 인식 비교에서 주목할 점은 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교사보다 특수교육 지식에 대한 인식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특수교육에 대한 연수의 기회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둘째, 유치원 교사가 구비하고 있는 특수교육 전문 실태 비교에서 주목할 점은 특수교육에 대한 강좌 경험(p <.01)이 있을수록 구비하고 있는 특수교육에 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특수교육과 관련된 연수가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 전문성 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셋째, 한편,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에서 주목할 점은 교사의 연령과 경력이 낮을수록 교육적·개인적 저해요인에 대해 유치원교사의 특수교육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전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며, 사립유치원 교사일수록 이질적 학급집단, 교육방법의 곤란, 불충분한 교육, 연수기회의 부족, 과다한 수업시간이 특수교육 전문성의 저해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환경의 시설과 설비를 확충하여 환경을 재구조화 할 필요가 있으며, 사립유치원 교사에 대한 특수교육 연수 기회를 자주 갖게하여 사립유치원 교사에게 전문성 향상의 기회를 가지게 할 필요가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 지식의 확장과 연수의 기회가 넓혀져야 한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인식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법적, 제도적, 행정적 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 셋째, 유치원 통합교육의 현실을 고려하여 빠른 시일 내에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training methods for kindergarten teacher and the way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variables the influence the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al ability of kindergarten teacher equipped with good qualifications and personality to satisfy the various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all preschool children including special children.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ofession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that a kindergarten teacher must be equipped with is examined per the sub variables for kindergarten teachers. Secondly, the profession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currently possessed by kindergarten teachers is examined per the sub variables for kindergarten teachers. Thirdly, the arresting factors for kindergarten teachers are examined per the sub variables. The object of the study is the teachers at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in the jeollanam-do province region that was randomly chosen for a survey for the recognition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The structure of the questionnaire in each sphere is composed of firstly, the professional ability in special education and, secondly, the arresting factors for the special education. And the statistic treatment of the contents acquired from the data of the questionnaire was done to calculate each question's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the SPSSWIN11.0 program, and the factor analysis, F-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ir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Firstly, what is notable in the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on the profession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that must be possessed by kindergarten teachers is that the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 have a higher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han the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 or preschools, which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 have a systematic training on special education than the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 Secondly, what is notable in the comparison of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possessed by kindergarten teachers is that the possessed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appeared higher as there was an experience of lecture (p <.01) on special education, which shows that the training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Thirdly, what is notable in the arresting factors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formance of special education is that the younger the teachers and the les experience they have, the more it is recognized that the educational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are the arresting factors for the professional ability for the speci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afore-mentioned study results, the suggestions for the successive studie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ly,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on special education and the opportunity for training must be expanded. Secondly, the legal,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which cannot be solved by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nly must be provided first. Thirdly, the matter needs to be proceeded soon considering the reality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indergartens.

      • 신문·잡지를 활용한 언어학습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읽기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신영심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신문·잡지를 활용한 언어학습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아동은 전라남도 순천시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중에 읽기 능력의 부족으로 낱말을 바르게 읽을 수 없는 아동 1명이었다. 중재는 회기 당 50분씩 총 22회기 실시하였다. 중재는 연구자와 같이 신문이나 잡지를 읽어 본 다음 학습할 내용을 선정하여 다양한 활동과 함께 정확하게 읽을 때 까지 반복읽기를 하는 언어학습 프로그램이었다. 종속변인은 주어진 20개의 단어 중 정확하게 읽은 단어수와 1분 동안 주어진 문장을 정확하게 읽은 글자의 수이었다. 종속변인의 관찰은 수행결과 기록법(direct measurement of permanent products)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상 아동에게 매 회기마다 신문·잡지를 활용한 학습을 한 후 종속변인을 측정한 결과를 기록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개별 피험자 연구 설계 중에서 A-B-A설계를 사용하였고, 측정 검사 결과는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반적으로 신문·잡지를 활용한 언어학습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읽기 능력과 신문·잡지를 활용한 언어학습 프로그램의 기능적 관계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입증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뿐 아니라 저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단어 읽기와 문장 읽기 능력향상, 즉 유창성과 정확성의 향상효과만을 알아보았는데, 독해력 향상과도 관련지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서는 독립변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실험처치(중재)의 충실도(fidelity of treatment)를 측정하고, 관찰자간의 신뢰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nguage study program using newspapers and magazines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of an under achieving chil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the sixth graders of OO Elementary School in Suncheon, who was unable to read words properly because of the lack of reading ability. Total number of intervention was 22, and each intervention lasted 50 minutes. In each intervention, the subject read articles from a newspaper or a magazine with the researcher, and selected some articles for the study and read repeatedly with various activities until the subject could rea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language study program.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number of words read correctly. To measure the number of words read correctly, the subject was given 20 words and several paragraphs per session. Dependent variables were observed by the direct measurement of permanent products. In every intervention, after finishing the study program the measured result of dependent variable was record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A-B-A design from single subject research was utilized, and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was analyzed visually. From the study it was shown in general that the language study program using newspapers and magazine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ading ability of an under achieving chil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o demonstrate more effectively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study program using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children's reading ability, research utilizing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should be done. Second, study not only for the higher graders but also for the lower graders of primary schools should be done. Third,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should be done, besides the effects on reading ability of fluency and accuracy investigated by this study. Finally, in the further study the fidelity of intervention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should be measur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independent variables.

      •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이 편식 유아의 편식과 부적절한 식사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형복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이 편식유아의 부적절한 식사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이 유아의 부적절한 식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의 대상은 전남 S시 H면에 소재하는 공립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다니며 편식으로 인해 부적절한 식사행동이 문제행동으로 나타난 만 3세, 만 5세, 남자 유아 2명이었다. 본 연구의 중재는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요리활동이었다. 요리활동은 대상 유아가 편식하는 식품 10가지를 이용한 요리를 유아와 함께 실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중재효과를 보기위해 편식음식과 부적절한 식사행동에 대해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하였다. 검사지로는 최명주(2002), 김주민(2003), 김현숙(2004)의 체크리스트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기간동안 유아의 편식 변화는 섭취 수준 관찰용지를 사용하여 관찰,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은 유아의 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은 부적절한 식사행동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은 편식으로 인해 나타나는 유아의 부적절한 식사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in kindergarten on the Unbalanced Diet and the inappropriate eat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 cooking activities in kindergarten have on the inappropriate eat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Second, what effects do cooking activities in kindergarten have on an unbalanced diet of young children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young boys whose ages were three and five respectively and who had unbalanced diet. They attended the affiliated kindergarten of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H myeon, S city, Jeonnam province. They participated in cooking activities using 10 kinds of food they do not like. To confirm the intervention effect, two kind of checkli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hecklist developed by Choi Myeong-Joo (2002), Kim Joo-Min (2003), and Kim Hyeon-sook (2004)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the researcher. In addition to the checklist, the subjects' unbalanced diet were directly observed and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ooking activities in kindergarten have positive effects on an unbalanced diet of young children.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cooking activities in kindergarten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their inappropriate eat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 자극용암법과 정적강화기법이 선택적 함묵유아의 말하기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현숙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선택적 함묵증이 나타나는 주된 장소인 유치원에서 자극용암법과 정적강화기법이 선택적 함묵유아의 말하기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여 유아교육 현장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유아는 J도 H군 H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다니는 만 3세 여아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기전의 연구대상 유아는 가정에서는 대화가 이루어지나 유치원에서는 또래들이 손을 잡아 이끌어 주어야만 움직였고, 몸짓으로도 자신의 의사를 표시하지 않았으며 단 한마디의 구어도 표현하지 않았다. 연구대상 유아의 말하기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의 전 회기를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연구대상 유아의 말하기 행동은 직접관찰방법에 의해 관찰되었다. 자발적 말하기 행동은 사건계수기록방법으로, 질문에 답하기 행동은 반응기회기록방법으로 관찰하였다. 관찰된 자료는 시각적으로 분석되었다. 중재는 연구대상 유아의 교실의 역할놀이영역에서 실시하였다. 자극용암법의 적용을 위해 연구대상 유아와 의사소통이 활발한 아버지를 역할놀이자로 참여시켰으며, 각 단계별 목표기준에 도달할 때마다 새로운 또래 참여자를 연구대상 유아가 선택하여 역할놀이에 참여시키는 방법으로 함께 놀이할 수 있는 또래 인원수를 계속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자극용암법과 함께 정적강화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기초선단계에서는 한마디의 음성언어도 표현하지 않던 연구대상 유아가 중재 중에는 교사나 또래의 질문에 대답하는 행동이 증가하였으며 중재가 끝난 후에도 자발적 말하기 행동과 질문에 답하기 행동은 소멸되지 않고 유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말하기 행동을 통제하는 자극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자극용암법과 변화된 행동을 유지하게 하는 정적강화기법은 유치원에서 선택적 함묵유아의 말하기 행동의 증진과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는 선택적 함묵유아의 말하기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 교육 현장인 유치원에서 교사가 적용할 수 있는 중재 방법임을 시사 해 주는데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imulus fading with positive reinforcement on the speaking behaviors of a young child with selective mutism at kindergarten.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 3year old girl who attended a kindergarten attached to H elementary school in H-gun, J province. The selected young child talked with her family at home, but she didn't speak at all the kin den gotten. Before this expedient, She need a physical movement at kindergarten only when her peers led her by the hand. Her answering behavior and her spontaneous speaking behavior were examined by fregnency recording and controlled presentations recording.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in her classroom by using role playing. To apply the stimulus fading, her father was selected as a role player, and she was allowed to choose a new peer participant whenever she spoke with predestined amount of words. Thus, the number of peers who played with her was increased, The positive reinforcement was applied to the speaking behavior. The data of this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visu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baseline, she didn't say any word. But while the inter- vention was under way, her action to answer to the questions given by her teacher and peers increased, and she kept on answering and saying spontaneous words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withdrawn.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stimulus fading with positive reinforcement, was effective in increasing and maintaining the speaking behavior. The stimulus finding with positive reinforcement could especially be applicable to kindergarten education as a vehicle to enhance the speaking behaviors of preschoolers with selective mutis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s. if preschoolers who are diagnosed with selective mutism are detected and exposed to appropriate programs at an early date, they will make a good progress even in a short period of intervention.

      • 차별강화와 무상토큰 및 반응대가 중재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정임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15

        이 연구는 차별강화와 무상토큰 및 반응대가 기법이 유아의 문제 행동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강화와 무상토큰 반응대가 기법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가? 둘째, 차별강화와 무상토큰 반응대가 기법이 종료된 후에도 유아의 문제행동의 감소가 유지되는가? 연구의 대상은 전남 순천시에 소재하며, 공립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3학급으로 편성되어 있는 만 5세 유아들 중 행동수정 치료의 요구가 있는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의 문제 행동을 세 가지의 표적행동(정리정돈 행동, 비학습 행동, 복도통행 행동)으로 집약하고, 그에 따른 대체행동을 선정하였다. 연구절차는 기초선단계- 중재단계- 유지단계 순으로 진행하였고, 총 22회기동안 관찰하였다. 관찰방법은 차별강화와 무상토큰 반응대가 기법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정리정돈 행동은 영속적 행동결과 기록방법 으로 비학습 행동은 시간간격별-부분기록법으로 복도통행 행동은 지속시간 기록법으로 관찰했다. 이 연구는 개별 대상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했다. 실험 설계는 선정된 2명의 유아들에 대한 행동간 다중기초선설계법을 사용했고, 자료 분석은 시각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강화와 무상토큰 반응대가 기법은 정리행동을 증가시켜 정리하지 않는 문제행동을 감소시켰으며, 비학습 행동과 복도에서 뛰거나 떠드는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차별강화와 무상토큰 반응대가 기법의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가 유지 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차별강화는 문제행동을 일으킬 소지가 없도록 대체되는 행동에 강화를 하기 때문에 행동 통제에 매우 유용하였다. 무상토큰 반응대가 기법은 유아의 행동문제를 통제하는 벌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그와 반대되거나 상이한 행동을 적극적으로 강화하는 보상의 역할을 함께 내포하고 있어 유아의 행동 통제에 매우 유용하였다. 따라서 차별강화와 무상토큰 반응대가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으며, 두 기법의 동시사용으로 상승되는 효과는 매우 크다는 것을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and free token response cost technique on decreas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Specific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does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and free token response cost technique have effects on decreas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Second, is the decrease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maintained after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and free token response cost technique are complet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five-year-old children who atlerded the kindergarten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uncheon-si Jeollanam-do. The target behaviors were cleaning behavior, disraptive behavior, hallway walking behaviors. The order of the research process wa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tep. The target behaviors were observed for 22 session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and free token response cost on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permanent product recording was used for observing cleaning behavior, partial interval time sampling for observing disraptive behavior, and duration recording for observing hallway walking behavior. For this research,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 design of single subject research was applied, and The data of this research were analized visuall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and free token response cost technique increased the children's cleaning behavior. In addition, they decreased non-cleaning behavior and had effects on decreasing disraptive behavior and running and making a noise behavior in a hallway. Second, children's decreased problem behavior was maintained after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and free token response cost were completed. When the above results are summed up,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was very useful in controll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because it reinforced alternative behavior so that children weren't involved in problem behaviors. Also the free token response cost was very useful because it played not only a role of punishment to control problem behavior and but also a role of compensation to reinforce actively alternative and appropriate behaviors.

      •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최숙진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특성을 지닌 유아가 일반 유치원에 증가해 감에 따라 다른 유아에게까지 부정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수정하기 위하여 토큰강화 기법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주의산만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과제 불이행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전남 O군·에 소재하며, 공립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특성을 지낸 유아 3명을 선정했다. 자리이탈 행동, 주의산만 행동, 과제불이행 행동을 부적응 행동인 표적행동으로 정하고 표적행동에 상반된 목표행동을 하면 토큰을 주는 토큰 강화법을 사용하였다.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법으로 기초선 단계에서는 토큰강화를 하지 않고 표적행동을 직접 관찰 하였으며, 중재단계에서는 토큰강화 기법을 사용하여 연속강화와 고정비율 강화를 하면서 표적행동을 관찰 하였고, 2주 후에 유지 단계를 두어 표적 행동을 관찰 했다. 자료의 분석은 표적행도의 관찰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시각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토큰강화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다. 둘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주의산만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다. 셋째, 토큰강화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과제 불이행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토큰강화 기법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하는데 유용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oken economy on modifying maladjustment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which appears significantly in educational field of kindergarten.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set up: First, does token economy influence on decreasing seat separ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Second, does token economy influence on decreasing distrac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Third, does token economy influence on decreasing assignment nonperformance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ren with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n annex kindergarten to a publi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O-gun, Jeollanam-do. Seat separation behavior, distraction behavior and assignment nonperformance behavior were decided as target behaviors and token economy was used in a way of giving token when the children do alternative behavior opposed to the target behavior.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 design was used. In baseline, target behaviors were observed without token economy. And in arbitration, through continuous reinforcement and fixed ratio reinforcement step. Two weeks later, target behavior was observed in maintenance step. Visual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ken ec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seat separ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Second, token ec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distrac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Third, token ec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assignment nonperformance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 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박인수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 변화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 변화가 만 3세, 만 4세, 만 5세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전남 화순군·읍에 소재하며, 공립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3학급으로 편성되어 있는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들 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에 대한 정보제공, 장애이해 동화, 모의 장애체험,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구성한 프로그램을 1주일에 2회기씩 8주동안 총 14회기에 걸쳐 실시하고, 각 영역을 실시한 후에는 글이나 그림으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검사지로는 Favazza 와 Odom(1995)이 비장애 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작한 “유아용 수용척도”( Acceptance Scale for Kindergartners : ASK )와 읽기 전 단계 유아를 위해 구두로 답하도록 되어 있는 Esposito와 Peach(1983)의 Primary Student Survey of Handicapped Persons(PSSHP)를 우리나라에서 이성세(2002)가 재구성한 ‘태도측정을 위한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11.0을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집단간의 비교를 알아보기 위해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이해 프로그램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남·여 유아의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는 있으나 성별에 따른 태도 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셋째, 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연령대별로 태도 변화에 차이가 없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장애 유아에게 장애를 이해하고 장애유아에 대한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 형성을 위한 내용과 활동으로 장애이해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비장애 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 변화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understanding peers with disabilities program (UPDP) on changing attitude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pecific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es UPDP have effects on changing attitude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Second, does UPDP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in changing attitudes of non-disabled young children toward disabled young children? Third, does UPDP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such as 3, 4 and 5 years old in changes in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young children toward disabled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2 young children. They were 3, 4 and 5 years old, and in three classes of an annex kindergarten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Hwasun-gun, Jeollanam-do. For this study, a program, which consisted of areas such as information on disability, fairy tales of understanding disability, mock experience of disability and video-audio materials,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which amounted to 14 sessions in total. After finishing each area, children were asked to express their own feelings by writing or drawing. The order of the research process was preliminary test,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As for test tools, used was Acceptance Scale for Kindergartners(ASK), which was produced by Favazza and Odom(1995) to measure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young children towards disabled young children. Also used was "Questionnaire to Measure Attitudes" which was a reorganized version by Lee Seong-se(2002) in Korea of Primary Student Survey of Handicapped Persons(PSSHP) devised by Esposito and Peach(1983) for young children who are at the stage of pre-reading to answer orall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with the program SPSS WIN 1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PDP had positive effects on changing attitude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UPDP had positive effects on changing attitudes of males and females, but there was no change in attitudes by sex Third, UPDP showed no difference by age in changes in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young children toward disabled young children. When the above results were summed up, they implicated that providing non-disabled young children with a program of understanding disability including contents and activities to help understand disability and form positive and acceptive attitudes toward disabled young children could make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young children toward disabled young children change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