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향벡터를 이용한 족흔적 자동 검색 시스템

        최성호 광운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crime is rising recently, investigation methods are also increasing. Using shoeprints method of lots of crime investigation solutions make good arrest ratio and there are lots of researches on it. As a result, this paper proposed Automatic Shoeprints retrieval system using 4 directional vectors and partitioning. The system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ree steps. First step is image pre-processing and partitioning process which is making image into eight parts. Second step is the feature extraction of 4 directional vectors and pattern size for show prints. And third step is deriving the highest similarity from comparing with feature information database. This paper somewhat resolve partial wave, loss and noise of query image problem. For a performance evaluation, this paper compares the POC (Phase only correlation) retrieval ratio with the proposed idea. The proposed idea shows 100% of retrieval ratio as POC for noise. And for the rotation at 20 degree, it shows about 95% of the ratio. In addition, it shows about 90% retrieval ratio for combined image with noise and rotation. As a result, proposed idea shows robust and 5% searching improvement than POC. 최근 범죄가 증가하면서 범죄를 수사하는 방법도 증가하고 있다. 많은 범죄수사 방법 중 범죄자가 은폐하기 힘든 족흔적을 이용한 범죄수사로 좋은 검거율을 보이고 있고 있으며, 그와 관련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방향벡터와 파티셔닝을 이용한 족흔적 자동 검색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이미지를 전처리 과정을 거치고 이미지를 8등분으로 나누는 파티셔닝 작업과, 족흔적에 대한 방향벡터 특징과 문양의 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징정보와 유사도를 비교해 가장 높은 유사도를 출력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파티셔닝을 통해 질의 이미지의 부분 왜곡이나, 손실, 노이즈에 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였다. 본 논문의 성능 평가를 위해 기존의 위상한정상관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검색률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노이즈에 대해서 기존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100%의 검색률을 보였고, 회전에 대해서는 20°일 경우 약 95%의 검색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노이즈와 회전을 결합한 이미지에 대해서는 약 90%의 검색 결과를 보여 기존의 위상한정상관 방법보다 회전에 강인하고 5%의 검색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용적조절환기와 압력조절환기가 수액반응예측인자로써의 일회심박출량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최성호 가천의과학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We hypothesized that the two ventilation modes might have a different influence on the stroke volume variation (SVV).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ventilation modes on SVV as a predictor of fluid responsiveness during major abdominal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VCV, n=30) or pressure-controlled ventilation (PCV, n=30) modes. After the induction of anesthesia, hemodynamic variables and SVV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volume expansion (VE) with colloid solution of 10 ml/kg. The ability of SVV to predict the fluid responsiveness was tested by calculation of the area under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for an increase in stroke volume index ≥ 15% after VE. Results: There were 10 and 16 responders in the VCV and PCV groups, respectively. The area under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95% CI) for SVV before VE was 0.723 (0.538-0.907) and 0.799 (0.625-0.973) in the VCV and PCV groups, respectively. The optimal threshold value of SVV was 11% and 14% in the VCV and PCV groups, respectively. Conclusions: SVV can predict fluid responsiveness during both VCV and PCV modes. However, the optimal threshold values of SVV may differ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modes. 일회심박출량변이도(stroke volume variation)는 수액부하반응의 신뢰성있는 예측인자이다. 본 연구는 복부 수술 환자에 있어서 서로 다른 환기 방식이 수액부하반응의 예측인자로써 일회심박출량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60명의 환자들을 무작위로 용적조절환기 군(n=30) 또는 압력조절환기 군(n=30)으로 나누었다. 수액부하를 위해 마취유도 직후에, 20분 동안 6% hydroxyethyl starch 130/0.4 10ml/kg를 주입하였다. 심박수, 평균동맥압과 Vigileo-FloTracTM system에 의해 측정된 심장박출지수, 일회심박출량지수와 일회심박출량변이도를 수액부하 전, 후로 측정하였다. 수액부하 후 15%이상의 일회심박출량지수 증가를 보이는 환자를 반응자로 정의하였다. 용적조절환기 군과 압력조절환기 군에서 각각 10명과 16명의 반응자가 있었다. 수액부하 전 일회심박출량변이도가 수액부하반응을 예상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수용자조작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곡선을 구한 결과, 용적조절환기 군과 압력조절환기 군에서 ROC curve의 아래영역은 각각 0.723 (95% CI, 0.538-0.907)과 0.799 (95% CI, 0.625-0.973)이었다. 본 연구결과 일회심박출량변이도는 용적조절환기 군과 압력조절환기 군 모두에서 수액부하반응을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회심박출량변이도의 최적 기준치는 환기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었다.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저 가습환경에서 CO 불순물에 의한 영향과 CNT 담지체 기반 촉매의 최적 조건에 관한 연구

        최성호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EMFC(polymer electrolyre membrane fuel cell)의 실험 방법이나 기준은 여러 방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미국, 일본, 한국, 유럽등의 선진국들은 이 연구 분야에서의 국제적인 기준의 결정을 위해 ISO나 IEC와 같은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만약 우리의 연구 결과가 국제적인 기준에 적용되지 않는다면 떠오르는 미래 상업 시장에서 연료전지 분야의 적용은 어려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IEC의 polarization curve method와 국내의 method를 정확도와 시간적 효율에 관해서 비교하였다. 총 4가지의 평가 방법을 비교한 실험에서는 4가지 방법 모두 동일한 정확도를 보여서, 한 측정 전류밀도 지점당 5분간 측정 하는 것 보다는 2분간 측정하는 것이 시간적 효율이 더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수소와 산소는 가습장비를 통해 100% 상대습도가 유지된다. PEMFC는 장시간 운전시에 성능이 저하 될 수 있고, 저 가습 상황에서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CO)에 의해 아주 강한 영향을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저가습 상황에서의 CO 불순물의 성능에 대한 영향을 확인 하였다. 20%와 40%에서 실험을 수행했으며 10ppm과 5ppm의 농도에서 실험을 수행했다. 20%가습에서는 성능 저하 이후 회복이 되지 않는 등 막의 건조가 심하게 일어나서 CO의 영향을 보기 힘들었고 40%의 가습에서는 성능의 감소하 멈추지 않고 역 전압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했으며, 순수 수소에 의한 회복도 80%에 그쳤다. 하지만 CV를 통해서 촉매활성면적의 회복이 확인되었다. Carbon 담지체를 사용한 Pt 촉매의 성능은 가혹 임계조건에서 쉽게 저하된다. 탄소나노튜브(carbon-nano-tube, CNT)는 강력한 담지체로서 주목 받고 있고, 높은 비표면적과 전기화학적 강도, 그리고 열화 테스트에서도 높은 강도를 보인다. 때문에 최근 연료전지 담지체로서 CNT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단위전지의 활성면적이 5cm2인 MEA를 직접 제조해서 CNT담지체를 사용한 40wt%Pt 촉매의 전극 층 내 최적 Nafion 함량을 도출하였다. Nafion의 함량이 20%일때에 성능이 좋았으며 최대 저?예筠뎬? 25%에서 가장 좋았다.

      • 씨드 스웰링법과 광중합법을 이용한 기능성 야누스 입자 제조에 관한 연구

        최성호 수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Janus particles are particles in which one particle consists of two or more phases. Each phase has a different composition and/or opposite properties. The shape and chemical properties due to anisotropy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to give particles asymmetric functions. These advantages are likely to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surfactants for the preparation of Pickering emulsions, drug delivery, and catalysts. Methods for preparing Janus particles have been studied using physical vapor deposition, microfluidics and electrohydrodynamic co-jetting. However, the synthesis procedure is often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and above all, mass production is still far from being materialized. In this study, we introduced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the synthesis of monodisperse Janus particles that enables phase compartmentalization and surface amphiphilicity. Spherical seed particles having hydroxyl groups on the surface were introduced via copolymerization, and surface hydrolysis of styrene and vinyl acetate. Amphiphilic monodisperse Janus particles bicompartmentalized wi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hemispheres were prepared by seed swelling of monomer and subsequent photo-polymerization. The formation of Janus particles is determined by the total free energy due to the surface tension between the phases, the surface tension between the two polymers, which is resistant to accurate measurement, controlled the contents of PS-co-PVA and TA. Moreover, the continuous phase was made to vary to the ratio of the ethanol and deionized water mixture. Particles were swollen by the determined content of TA, and then, separated into two phases at the 3:2 ratio between ethanol and water. PS spherical particles were synthesized via dispersion polymerization as seed particles for preparing the Prolate Janus particles. PS particles-embedded PVA films were stretch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producing aspect ratios of 2.3 and 4.6. We found limited results that where swelling occurs, the shape has changed from spheroidal to spherical, but swelling has not occurred if the spheroidal shape is maintained. Functional Janus particles were fabricated by applying magnetism to the prepared PS-co-PVA/PTA Janus particles. For this purpose, hydrophilic hemispheres were coated with polyethyleneimine to induce nickel nanoparticles stabilized with PVP to be selectively patched by electrostatic attraction to impart asymmetrical magnetism. As a result, Janus particles were selectively patched with nickel nanoparticles on a hydrophilic hemisphere. Stable Pickering emulsions were produced from Janus particles and nickel nanoparticles-patched Janus particles and will be potential to be applicable to colloidal surfactants.

      • 도시근교 단독주택단지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 2010년대 이후 수도권 사례를 중심으로

        최성호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housing residential types have been changing and households that have interests on detached houses are increasing, it is true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which meet value of detached house complex. This study has a purpose that it could help housing market activated and diversified and then contribute a plan of detached house complex in suburban areas, after systematically arranging and formalizing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of detached house complex in suburban areas to deal with phenomena that people move from high-density multi family housing to detached housing and then deducing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 of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housing types from 25 complexes through case researches in order to identify complex design features and architectural design features in metropolitan areas after 2010, this study found the features of detached house complex. In location of complex, there are many forest types, and natural green areas are mainly developed for the complex. This study found that large complexes have appeared in Yangpyeong and Yongin a lot, since traffic infrastructures have been constructed as well. Ferroconcrete houses are still constructed a lot but wooden structure houses are increasing and they are preferred because of a characteristic of eco-friendly material. The houses are planned with 2nd floor scale and a planned attic a lot. In characteristics of flat composition, whole space composition is shown as the hall is center, and LDK composition appears as vertical type takes the largest percentage. In front doors, eccentricity installation engages similar proportion with center installation. Front entrance is the most common type, but if side entrance and rear entrance are combined the proportion of side and rear entrance is much more than the front entrance. The entrance is mainly connected to a corridor and then it is connected to the inside, because there is a lot of hall-centered composition. Both wing typed stairs are the most common form of stairs, and they are connected to the second floor through living rooms in movement features. Bathroom of the first floor is connected to a corridor and supplementary kitchen is necessarily designed but multi-room is planned as low frequency because there are many small types. A main room is located in the second floor, a dress room and a bathroom is planned as supplementary space, and the main room is rarely connected to the outside. There is highly tendency such as the outside yard is mainly connected to a living room, a back yard is infrequently designed, outside terrace is planned in second or third floor, ground parking lot has high proportion, and three rooms and three bath rooms are designed considerably. As mentioned, this study found features of the detached house complex, and it researched features of the complex by reclassifying types of it. The features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ing features by distance, features of a complex in the shorter distance, engage high proportion as it is in natural green area, the main room is at the second floor, and supplementary rooms of the main room are a dress room and a bathroom. Features of a complex in the far distance are the second floor scale and LDK vertical composition a lot. Second, when comparing features by local district, there are a lot of features of the natural green area, such as remote complex, ferroconcrete structure, planned attic, both wing typed stairs, the main room located at the second floor, and a dress room and a bath room as supplementary rooms of the main room. Features in the planning management areas are second floor scale and LDK vertical composition. Third, when comparing features by the number of households in complex, if the number of households is under 40, a stair hall is connected to a living room at a high rate and the other parts are similar levels to the standard. If the number of household is over 40, there is high proportion in some places such as natural green areas, ferroconcrete, planned attic, both wing typed stairs, ground parking lot, outside yard connected from a living room, and a dress room and a bathroom for supplementary space of a main room. Fourth, when comparing features by structural type, wooden structure houses show high proportion at some space such as planned attic, a main room at the second floor, an eccentric installed entrance, and stairs connected to a living room. Ferroconcrete structure houses show high proportion at some space such as natural green areas, large complex, and both wing typed stairs. The detached house complex in suburban areas adopts not only convenient structure and elements of apartment housing in urban areas but also outside yards of country housing. In the future,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and composes of the detached house complex in suburban areas should consider the features of local district to this trend, and it should be actively reviewed to utilize the outside space for a comfortable house. 주거의 형태가 점점 변화되고 있고 단독주택에 관심이 있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는 반면에 단독주택단지의 가치에 부합하는 건축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고밀도 집합주거에서 단독주택으로 옮기는 현상에 대응한 도시근교 단독주택단지의 건축 계획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유형화 한 후 특징을 도출하여, 주택시장의 활성화와 다양화에 도움을 주고 향후 도시근교 단독주택단지의 계획 시 기여하는 것에 목적을 가진다. 2010년 이후 수도권지역의 도시근교 단독주택단지의 주택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단지 계획적 특성과 건축 계획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사례조사를 통해 25개 단지의 주택타입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단독주택단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단지의 입지는 임산형이 많이 나타나고 자연녹지지역을 단지로 주로 개발한다. 교통인프라가 많이 구축됨에 따라 대규모 단지들이 양평, 용인 등에 생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여전히 많이 지어지고 있지만 목구조 주택도 늘고 있는데 자연친화적인 재료의 특성 때문에 선호한다. 2층 규모로 계획되고 다락 계획도 많이 늘어났다. 평면 구성의 특성은 전체 공간구성은 홀 중심으로 나타나며, LDK 구성은 세로형이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현관은 편심 설치형과 중앙 설치형이 비슷하고, 진입은 전면이 가장 많이 나타나지만 후면, 측면을 합하면 후, 측면에서 진입하는 현관이 더 많이 나타난다. 현관은 복도와 연결되어 내부실로 진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홀 중심 구성이 많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계단의 형태는 ㄷ자 계단이 가장 많고, 거실과 연결된 계단을 통해 2층으로 이동하는 동선 구성의 특징을 보인다. 1층화장실은 복도와 연결되고 보조주방은 필수적으로 계획되지만 멀티룸은 규모가 작은 타입이 많기 때문에 계획빈도가 적다. 안방은 2층에 위치하고 드레스룸과 화장실을 부속공간으로 계획하고 안방에서는 외부와의 연결이 극히 적다. 외부마당은 실내에서 주로 거실에서 연결되며 후정은 계획하는 빈도가 낮고, 2층이나 3층에 외부테라스가 계획되어있고 지상주차장의 비중이 높고 실 개수는 방이 3개, 화장실은 3개를 계획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단독주택단지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가진 단지의 타입을 유형별로 재 분류하여 단지의 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리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면 근거리 단지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자연녹지지역, 안방 2층 위치, 안방부속실이 드레스룸+화장실의 비율이 높고, 원거리의 단지일수록 2층 규모와 LDK 세로형구성이 더 나타난다. 둘째, 지역지구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면 자연녹지지역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원거리단지, 철근콘크리트구조, 다락계획, ㄷ자 계단, 안방 2층 위치, 안방부속실이 드레스룸+화장실 등의 비율이 높고, 계획관리지역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2층 규모, LDK 세로형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셋째, 단지세대수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면 40세대 미만인 경우 계단실과 거실연결의 비율이 높고 나머지 항목들은 기준과 비슷한 수준이며, 40세대 이상인 경우 자연녹지지역, 철근콘크리트 구조, 다락계획, ㄷ자계단, 지상주차, 거실에서 외부마당 연결, 안방부속실이 드레스룸+화장실 비율이 높다. 넷째, 구조형식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면 목구조는 다락계획, 안방 2층 위치, 현관 편심형, 계단과 거실연결의 비율이 높고,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자연녹지지역, 대규모단지, ㄷ자 계단 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도시근교 단독주택단지는 도심지 아파트의 편리한 구성과 요소를 수용하면서 전원주택이 가지는 마당과 함께하는 주거생활을 위한 요소를 함께 가지고 있다. 앞으로 도시근교 단독주택단지는 이런 경향에 맞춰 지역지구의 특성을 고려한 건축계획요소와 구성을 해야 하고 쾌적한 주거를 위한 외부공간의 활용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 수직결합식 복합소재 교량 바닥판의 피로특성 분석

        최성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수직결합식 복합소재 교량 바닥판에 대한 반복적인 윤하중의 피로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압축피로 및 휨피로시험을 수행하여 피로특성을 분석하였고, 기 수행한 수평결합식 바닥판과의 비교를 통해 피로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하중반복횟수는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제시된 200만회까지 재하 하였으며, 압축피로시험은 복합소재 바닥판 및 튜브간의 연결부에 대한 피로성능을, 휨피로시험의 경우에는 복합소재 바닥판 및 주형연결부에 대한 피로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결과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는 수직결합식 복합소재 바닥판의 피로에 대한 안정성을 입증하였으나 실용화를 위해서는 단면개선 등을 통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수종의 조직 양화재에서 탄성 변형과 복원에 관한 연구

        최성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능 인상법 (Functional impression technique)은 기존 의치에 이장된 조직 양화재 (tissue conditioner)를 이용하여 실제 기능 운동하에서 동적인 지지조직의 인상과 기능적 생리적인 의치변연부의 형태와 길이를 재현하는 술식이다. 기능 인상법이 임상적으로 처음 적용된 이후로 많은 연구와 임상적 적용이 시행되어 왔다. 기능 인상법은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이어서 상당한 지지를 얻어왔는데 이는 조직 양화재가 기능 인상재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직 양화재를 기능 인상재로 사용할 때는 조직 양화재의 점탄성(viscoelastic)성질, 석고와의 적합성, 미세부 재현성 등의 성질을 고려해야 한다. 이 중 조직양화재의 점탄성 성질과 체적 안정성은 구강 연조직의 정확한 기능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특성이다. 이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3종의 조직 양화재 Coe-Comfort, GC Soft-Liner, Visco-Gel)와 1종의 연성 이장재 (Coe-Soft)의 시간에 따른 점탄성 변형량과 복원량을 측정, 체적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시편은 10mm의 반경으로 두께를 1.5mm, 3.0mm로 각각 제작하여 두께에 따른 차이점도 비교하였다. 제작된 시편에 단위 면적에 가해지는 평균 성인 남성의 저작력을 고려하여 하중을 20초간 가한 후, 40초간 탄성 회복을 측정하여 체적의 변화는 시편 제작후 1시간, 12시간, 24시간, 36시간, 3일, 7일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실험한 조직 양화재에서는 임상적으로 점탄성을 상실하여 조직 양화재를 교체하거나 기공 과정을 하기에 적합한, 변형이 적은 시간은 혼합 후 2일-3일이 경과했을 때이다. 2. 제조사와 조직 양화재의 종류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른 탄성 변화량에는 유의할 만한 차이가 있다. (p<0.05) 3. 실험한 조직 양화재에서는 1.5mm, 3.0mm 두께에 의해 탄성 변형량과 탄성 복원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탄성 복원은 1.5mm 시편 군에서 더 많이 일어났다. 4. 조직 양화재 자체의 탄성 변형량과 복원량만을 비교 하였을 때는 실험한 군에서는 Visco-Gel 3.0mm군에서 가장 안정적인 탄성 변형과 복원을 보였다. 5. 연성 이장재인 Coe-Soft는 1.5mm 시편에서는 불균일한 점탄성을 보이나 3.0mm시편에서는 탄성 변형 후 복원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로 실험한 조직 양화재에서는 시간에 따라, 두께에 따라 체적 변화가 크기 때문에, 임상적으로는 기능인상을 채득하고 이에 따르는 기공과정을 위한 시기를 결정하는 것보다 사용 목적에 따른 재료의 선택이 더 중요한 인자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조직 양화재의 체적 안정성을 잘 이해하고 기능 인상재로서 도포할 적절한 상태와 적합한 기능 인상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issue conditioners characterizes the ability of the materials to yield accurate functional impressions of oral mucosa. This study evaluated the viscoelastic property and the linear dimensional changes with the factor of time and thickness of tissue conditioners (COE-COMFORTTM, Visco-gel, COE-SOFTTM, Soft-Liner) The thickness of these materials were changed (1.5mm, 3.0mm) and the percentage changes in dimension were measured at 1h, 12h, 24h, 36h, 3day, 7day after specimen preparation. From the results large differences appear between the various tissue conditione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iod recommended for forming functional impression would be 2-3days after insertion in the mouth.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select tissue conditioners suitable for functional impression because of the wide range of dimensional stability among the materials.

      • 운영 최적화를 위한 RAMS기반 철도시스템 설계 방안 연구

        최성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유럽을 중심으로 시작된 철도산업이 부활 전략은 유럽통합과 함께 더욱 힘을 받으면서 철도산업의 통합을 추진하게 된다. 유럽 국가는 철도산업의 국가 간 연결과 운영체계를 통합하기 위하여 우선 물리적으로 철도산업 시스템에 대한 수평적 통합을 추진하였고, 또한 철도 시스템 운영에 대하여 수직적 분리를 수행하면서 철도시스템에 대한 통합되고 단일화된 접근방법으로 표준화를 제시하여 철도시장 진출에 있어 의무화하고 있다. 국내 철도산업 역시 안전한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철도안전법을 통하여 철도산업의 시스템 기반 RAMS(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and Safety)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철도산업 문화와 환경이 다른 국내 철도산업은 RAMS에 대하여 적합하게 적용하지 못하여 왔다. 따라서 이러한 국내 철도산업의 문제점을 기반으로 시스템 기반의 RAMS 경험이 부족한 국내 철도현실에 적합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관리 프로세스 및 프로세스 활동을 기반으로 RAMS 엔지니어링의 관리의 철도시스템에 대한 적용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국제 철도산업에서 제시하고 있는 품질관리 및 안전관리 표준규격을 기반으로 국내 산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 과제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구과제를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우선 철도시스템에 대한 문헌 검토, 사례연구 및 서면·면접 조사의 접근 원칙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RAMS 관리 지식 및 정보를 접근하기 위한 연구방법을 확립하여 문헌연구를 추진하여 연구의 기반이 되는 모델링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은 철도시스템에 대한 RAMS 접근을 첫 단계로 시스템 RAMS 엔지니어링 관리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활동에 통합할 수 있도록 RAMS 요구 정의 프로세스와 활동(Activity), 기능적 아키텍쳐 정의 및 RAMS 성능 할당 프로세스와 활동, 물리적 구조 및 RAMS 성능 정의 프로세스와 활동, 물리적 구조 및 RAMS 성능 검증 프로세스와 활동, RAMS 관리·통제 프로세스와 활동 그리고 RAMS 기반 위험관리 프로세스를 RAMS 관리 프로세스 및 프로세스 활동으로 단계별 제시하였다. 이어서 RAMS 프로세스 관리의 가장 중요한 활동인 위험관리를 정의하였다. 해저드와 이것이 발생할 경우 미치는 영향을 기반으로 고려해야 하는 경우 해저드에 대한 시나리오 해석의 수행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와 FTA(Fault Tree Analysis)를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영향요소에 대한 분석력을 향상 시켰다. 또한 위험관리에 필요한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활동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위험평가 기술을 채택하였다. RAMS 활동의 기본 요구사항인 RAMS 요구사양 및 시험평가 조건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RAMS 사양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신뢰성 할당방법과 유지보수성 할당 방법을 통해 RAMS 성능 조건이 적용되고 할당되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앞서의 연구를 통해 이를 공진형 보조전원장치를 통해 적용하는 방법으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조전원장치에 공진형 기술을 적용하여 설계하는데 있어 시스템 수준의 RAMS 성능 결정하고 이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새롭게 설계되는 공진형 장치의 기술적 설계 안을 기반으로 위험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철도용 시스템 및 부품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수행하게 될 엔지니어링 과정에서 RAMS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 과정의 관리 프로세스 및 활동을 제시하고 실 사례연구를 통해 산업현장에서 매우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RAMS 수행에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The Application of RAMS for railway systems is an engineering discipline that integrates Reliability, Maintainability, Availability and Safety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to system This study is suggested the optimized design solutions for application of RAMS engineering management in the railway systems engineering process. This study firstly performed to establish RAMS management system, which is included engineering concepts, methods, technology and tools, which are developed for application of railway system engineering. Recently RAMS is performed, based on risk management, so this study suggested the risk management process that can implement along with systems engineering process. Also the .techniques for risk assessment are proposed by the combined FTA and FMEA. Next this study shows that how to decide the RAMS technical specification including operational test conditions. Finally a case study provides the application of RAMS and risk assessment to Auxiliary Power system. All outputs of this study is for RAMS engineers in the railway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