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PA브랜드 프로모션을 위한 매장 디자인 전략 : E사의 S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차유나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세계 패션 비즈니스는 글로벌 시대의 도래와 아시아의 패션 시장 및 유통의 변화로 패션산업과 유통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 하고 있다. 한국의 패션 시장은 과거 제조업 기반의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의류 제조업의 생산거점이 90년대 중반 이후 대거 이동함에 따라 향후 패션산업의 핵심역량은 통합적 비즈니스 모델을 요구하는 글로벌 SPA(Special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브랜드로 옮겨가는 추세이다. 한국 패션 기업이 글로벌화에 공격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채 좁은 내수 시장에서의 경쟁에 머물러 있는 사이, 해외 글로벌 패션 기업은 한국 시장에 대한 사전 준비 및 국내 주요 패션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 하고 있다. 중소 규모의 국내 토종 패션업체들은 막대한 정보력과 거대 시스템을 앞세운 글로벌 기업에 대응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내수 시장에서 기반을 잃어가는 상황이며, 2010년을 기점으로 해외 SPA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50%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SPA’는 Special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의 약어로, 상품의 기획과 생산, 유통과 판매가 일체화된 브랜드를 의미한다. 국내 시장은 이미 SPA의 브랜드의 춘추전국시대로 스페인의 자라(ZARA), 스프링필드(SPRINGFIELD), 망고(MANGO), 미국의 갭(GAP), 스웨덴의 에이치앤엠(H&M), 미국의 포에버21(FOREVER21), 일본의 유니클로(UNIQLO) 등의 SPA 브랜드들이 내수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패션·유통구조의 변화를 통해 글로벌 SPA브랜드 성장에 대한 이해와 해외 SPA 브랜드의 성공 전략과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 패션기업의 성공적인 SPA 프로모션을 위한 매장 디자인 전략으로 E사의 SPAO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SPA(Special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브랜드는 크게 네 가지의 특성으로 분리되며, 그 특성 안에서 매장 디자인 전략이 형성되어진다. 첫째, SPA 브랜드는 상품기획 단계부터 매장의 VM전략을 고려한다. SPA 기업들은 일반 패션 기업에 비해 프로모션에 큰 비중을 두지 않으며, 실제로 광고 등의 프로모션 예산 편성이 적은 편이다. SPA의 기업의 브랜드와 상품의 커뮤니케이션은 매장을 통해 이루어지며 매장 자체가 광고가 된다. 따라서 매장 디자인 전략에 있어서 자사의 이미지와 상품의 메시지를 소구할 수 있는 마케팅(MARKETING)전략으로, VP 존과 콜라보레이션 존 형성이 반드시 계획되어야 한다. 둘째, SPA 브랜드는 패스트 패션으로서 최신 패션 트렌드화를 주도 한다. 일반적으로 혁신적인 트렌드를 수용하기보다는 초기 다수의 유행을 선택한다. 즉 트렌드를 대중화 시키지만, 브랜드 고유의 독창성과 상징성이 떨어진다. SPA 기업은 브랜드의 이미지와 상품의 정체성을 매장에 접목시켜야 하며, 브랜드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부여 할 수 있는 콘셉트적인 매장 디자인 전략이 요구 되어야 한다. 셋째. SPA 브랜드는 유형에 따라 다품종 소량기획, 소품종 대량기획의 특성을 가진다. 전자의 경우는 유럽계 SPA 기업들이 많이 채택하고 있는 상품 전략으로 다양한 카테고리가 형성되어 진다. 후자의 경우는 미국 및 아시아 SPA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는 상품 전략으로서 낮은 판매가를 매장의 상품 회전율로 극복해야 한다. 두 특성에 따라 매장 디자인 전략에 있어서 카테고리별 조닝 구성과 창고 확보라는 스페이스(SPACE)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SPA 브랜드는 리드 타임 단축으로 인한 상품의 판매 및 관리의 체계화가 구체적으로 계획되어 있다. 스피드를 중요시 하고 상품의 회전율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점포에 출시하기 때문에 신속한 상품 관리, 취급, 판매가 용이하도록 매장 디자인이 계획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기능적인 요소를 잘 반영하며 상품을 효율적으로 판매 할 수 있도록 페이스 및 집기의 시스템(SYSTEM)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는 위와 같이 SPA 브랜드의 성공 전략과 특성을 분석하여, 매장 디자인 전략으로 M(Marketing)·I(Identity)·S(Space)·S(System) 전략을 도출하였다. 한국 패션 산업이 국내외에서 확보하고 있는 경쟁 우위 강점을 키워 나가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패션 산업이 가져가야 하는 차별화 된 요소로서 이 논문이 기초적인 방향 수립에 미약하나마 기초 연구로 기여하고자 한다. The world fashion business is being changed the paradigm in fashion industry and distribution industry due to the advent of global era and to a change in fashion market and distribution in Asia. As for Korea’s fashion market, the production base of the clothing manufacture has moved on a large scale since the middle phase of the 1990s centering the textile industry based on manufacturing in the past. Thus, the core capability of future fashion industry tends to move to brand of global SPA(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which requires the integrative business model. Korean fashion enterprise remains in competition of the narrow domestic market with failing to aggressively cope with globalization. In the meantime, the global fashion enterprise is substantially advancing to Korean market through the prior preparation for Korean market and the cooperation with domestically major fashion enterprise. The domestically native fashion businesses in small-and medium size are in a situation of proceeding with losing the foundation in domestic market with failing to arrange a coping plan for global enterprise, which did let the tremendous information and huge system lead. The market share in overseas SPA brand starting from 2010 is expected to likely reach 50%. As ‘SPA’ is abbreviation of 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it implies the combined brand in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 in product. The domestic market is already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of SPA. Thus, the domestic market is being occupied by SPA brands such as Spain’s ZARA, SPRINGFIELD, and MANGO, America’s GAP, Sweden’s H&M, America’s FOREVER21, and Japan’s UNIQLO.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understanding about growth of global SPA brand, and a strategy and characteristics of success in overseas SPA brand through a change in fashion distribution structure, and researched centering on E company’s SPAO case as a shop design strategy for successful SPA promotion of Korean fashion enterprise. SPA(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characteristics. Within its characteristics, the shop design strategy comes to be formed. First, SPA brand considers VM strategy in a shop from the phase of product planning. SPA enterprises don’t give great weight to promotion compared to general fashion enterprise, and tend to be small in the compilation of budget for promotion actually such as advertisement. Corporate brand and product communication in SPA are formed through a shop. The shop itself becomes advertisement. Accordingly, the formation of VP zone and collaboration zone needs to be surely planned as a marketing strategy available for appealing own company’s image and product message in the shop design strategy. Second, as SPA brand is fast fashion, it initiates the recently fashion trend. It generally selects the initial trend of the majority rather than accepting innovative trend. In other words, trend is popularized. However originality and symbolism peculiar to brand drop. SPA enterprise needs to integrate brand image and product identity into a shop. The concept-based shop design strategy needs to be demanded that can give identity of brand. Third, SPA brand is characterized by Small Batch planning and flexibl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ype. As a case of the former is the product strategy that is being adopted by many of European SPA enterprises, it is being formed diverse categories. As a case of the latter is the product strategy of being adopted by SPA enterprises in America and Asia, it needs to overcome low selling price with the product turnover ratio in a shop. According to two characteristics, the space strategy is needed called zoning formation and warehouse security by category in the shop design strategy. Fourth, SPA brand is planned specifically the product selling and the management systematization due to the shortening in the lead time. Speed is emphasized. The turnover ratio in product is increased. New product is launched at a shop continuously. Thus, the shop design needs to be planned in order to be easy for prompt product management, handling and selling. Especially, a strategy for system in pace and furniture is demanded in order to well reflect this functional element and to possibly sell product efficiently. A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analyzed successful strategy and characteristics of SPA brand as the above, and then elicited M(Marketing)·I(Identity)·S(Space)·S(System) strategy as the shop design strategy. This study is aimed to contribute as a basic research even slightly to establishing the basic direction as the differentiated element that Korean fashion industry needs to have in future global market, by which Korean fashion industry proceeds with fostering strength in competitive advantage that it secures at home and abroad.

      • 일본어 호칭에 관한 연구 : 직장 내에서의 대인관계와 장면을 중심으로

        차유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본고에서는 일본의 직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호칭사용을 대인관계와 장면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타인과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올바른 호칭사용이 필요하며, 직장이라는 사회적인 장소에서의 적절한 호칭의 사용은 더욱 중요시 된다. 따라서 필자는 직장 내에서의 호칭사용에 주목하고 드라마에서 호칭사용의 분석을 통하여 그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직장 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호칭의 유형을 「인칭대명사형, 이름형, 애칭형, 직업·지위명형, 경칭형, 완충어구형」의 6가지로 나누었다. 또한 호칭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성별, 상하관계, 친소(親疎)관계, 장면 등으로 나누어 호칭의 사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직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호칭 사용의 실태를 드라마를 통하여 고찰하여, 각 유형별의 호칭 사용의 경향성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상위자와 화자가 친한 관계이고, 사적인 장면이라 하더라도 상위자에 대한 호칭사용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직장에서의 호칭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상하관계가 친소(親疎)나 공사(公私)보다 우선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일반적으로 상위자의 직급이나 지위가 있을 때 하위자는 상위자에게 지위명을 사용하여 호칭하고, 상위자가 직급이나 지위가 없을 때는 경칭형인 「姓+さん」이나 직업·지위명형인「先輩」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인칭대명사형 「あなた・あんた」의 사용은 친한 관계보다 소원한 관계에서의 사용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사적(私的)인 장면보다 공적(公的)인 장면에서, 여성의 경우 공적인 장면보다 사적인 장면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여성의 경우 상대방의 성별과 상관없이 본인보다 직급이 낮을 경우「あなた・あんた」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성이 사용한 인칭대명사의 91.36%가 「あなた・あんた」로 나타나, 여성이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인칭대명사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일본의 직장 내에서 사용하는 호칭의 경향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일본인과의 업무 시 적절한 호칭 선택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일본어 비즈니스를 위한 참고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본 연구는 호칭이 이루어지는 배경을 직장으로 한정하고, 호칭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다방면으로 고찰하여 다양한 상황에서의 호칭 사용의 경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모쪼록 본 연구결과가 직장 내에서의 효과적인 호칭 사용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스토킹 교육 경험에 따른 스토킹에 대한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경찰관을 대상으로

        차유나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15대 국회에서 처음 스토킹 관련 법안이 발의된 지 22년 만에,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비로소 스토킹을 ‘범죄’로 규정하고 형사처벌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경찰 단계에서는 스토킹 범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스토킹 범죄에 대한 초기대응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토킹 교육 경험 여부를 변인으로 두어, 지구대와 기동대에서 근무하는 경찰관 120명을 대상으로 스토킹에 대한 경찰관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경찰관의 스토킹 교육 경험에 따른 스토킹 행동 판단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스토킹 통념(Stalking Myth)에 입각하여 스토킹 인식을 살펴보았을 때, 스토킹 통념 전체에서는 스토킹 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 중 구애행동화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스토킹 교육 경험 여부에 따라 스토킹 사건에 대한 인식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더불어, 스토킹 관련 법에 대한 인지도를 살펴본 결과, 스토킹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이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제정안 내용에 대해서 ‘모른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약 2배 정도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스토킹 범죄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예방을 위해 스토킹 사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22 years after suggesting the first draft for regulating stalking in the 15th National Assembly, the Act on Punishing Stalking Crimes, etc was passed in the main conference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it is now available to define stalking as a ‘crime’ and punish it with criminal laws. Therefore, the stage in police shows changes in early responses to stalking crimes in order to react them in advance and prevent the damages. Accordingly, this study, with whether to have experience of education on stalking as a variable, aims at reviewing the perception of police on stalking from 120 policemen who work in mobile police and police box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judging stalk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stalking education on the policemen. However, when reviewing the perception on stalking based on stalking myth, the entire myth of stalking showe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stalking education,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 regarding stalking behavior of sub-elements as the matter of romance affai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group experiencing stalking education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stalking cases perceptions. Also, as a result of the perception on the laws related to stalking, the group without stalking education showed about double higher answers of ‘Not knowing’ about the draft of the Act on Punishing Stalking Crimes, etc. than the group having education about stalking. This study, through these results, aims at suggesting the necessities of education for raising understanding on stalking cases in order to respond properly and prevent stalking crimes.

      •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 2016 FW - 2019 SS 4대 컬렉션을 중심으로

        차유나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Makeup Trend in Hybrid Fashion From 2016 FW to 2019 SS With the Four Collections Cha, Yu na Major in beauty Des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In the present times, unlike the past, diverse cultures coexist and there have been active exchanges between those cultures. Accordingly, people's cognition and value view are changing rapidly due to the social trends and economic influences. And with changes in cultures and people's cognition, the time has come that people are desperate for something newer and unexperienced rather than those which they have been accustomed to. As people have come to pursue the new by disintegrating and recombining the existing framework, the hybrid trend has been entrenched. The hybrid is the phenomenon that the meeting of more than two heterogeneous elements creates something new and different in nature, not the existing thing. It is characterized by creating the new thus far unexperienced. In the rapidly changing life, the hybrid is one of those which contemporary people further crave and require. This is not confined to life, technology, machinery and so on but spreads into diverse domains and daily life and has been naturally entrenched. In the fashion domain, the reality is that a diversity of fashion appears through new attempts as the existing framework is broken and diverse costumes and items come out. Accordingly, fashion designers show new clothing by disintegrating and recombing the existing fashion in the rapidly changing times. Such fields as accessories, makeup and nail as well as clothing go beyond the boundary, get mixed and generate new images. Among other things, makeup has so far shown the social status and position as the important means for determining the first impression and been used to protect the human body from the outside. Contemporary men as well every woman pursuing beauty have an interest in makeup, and the importance of makeup has become larger as it has come the time when individuality is emphasized more than fashion. If the hybrid was defined as the method of contrasting those fragmentarily mutually antithetical in the past, it has evolved into the concept of combining more than two things and creating something new at present. Accordingly, in keeping with the present times when new things are born by disintegration and recombination, there is currently a need to make a new investigation of how fashion and makeup appear to be hybridized.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hybrid fashion found in the collections enabling us to recognize the recent fashion trend at first glance and the concomitant makeup trend. The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four collections in the magazine of Marie Claire Fashion Shows with a focus on 2016F/W∼2019 S/S. It selected six seasons from the most recent 2016F/W as the research material for analysis as the trend has the most influence over the present, not the past. In the research method, it employed big data, excluded all key words that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key words of the relevant trend such as silhouette, pattern, size, color and so on and extracted the key words commented by specialists with the designer with a focus on the key words of the tend not mentioned in the book of 'Lifestyle and Trend'. This study classified extracted designers and key words by number and viewed more than two as the hybrid phenomenon. For the purpose of makeup analysis, it was based on the definitions of terms through NCS and divided base makeup, eyebrow, eye makeup, cheek, lip and so on into natural, semi and point. This was analyzed after the setting of the criterion for analysis because of a strong subjective viewpoint in determining the criterion for makeup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makeup trend found in the hybrid fash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analysis of the fashion trend in all seasons showed that key words appeared in orders of retro, sportism, romanticism, feminism and androgyne and also such as ethnic, nomadism, country, futurism, orientalism. Second, analysis of the hybrid phenomenon in fashion showed that of 712 brands, 33% had the hybrid phenomenon of having more than two key words combined, 37% had the solo key word and 30% had no key word. Third, analysis of the key words overlappingly found in the hybrid fashion in all seasons showed that the most matched key words in the hybrid phenomenon appeared in orders of retro+romanticism, retro+sportism, romanticism + sportism, retro+street, ethnic+nomadism, de-constructivism + avant garde and romanticism + Victorian age. Fourth, the makeup trend when the hybrid phenomenon was found in fashion most showed the natural trend in base makeup, eyebrow, cheek and lip and that eye makeup showed the semi trend. Finally, analysis of the makeup trend of key words of the trend overlap pingly found in the hybrid fashion showed that it had the remarkable semi trend in base makeup and eyebrow and eye makeup and had the natural trend in cheek and lip. This study showed that the unlike the past, the hybrid fashion is currently becoming entrenched in more diverse and new fields and changing in fashion in accordance with economic indicators and social trends, or that the hybrid trend may move with changes in consumers' new needs. Divers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s to what hybrid phenomenon will emerge in the future, for what reason the hybrid phenomenon changes and how makeup changes accordingly. Key words : makeup, beauty, hybrid, trend fashion, coordination 현대는 과거와 달리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그 문화들 간의 교류가 활발해졌다. 그에 따라 사회적 경향이나 경제적 영향을 받아 사람들의 인식과 가치관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문화와 사람들의 인식도 변화함에 따라 기존에 익숙한 것들보다는 더 새롭고 접해보지 못한 무언가를 갈망하는 시대가 되었다. 기존의 틀을 해체하고 재조합하여 새로운 것들을 추구하게 되면서 하이브리드 트렌드가 정착되어 가고 있다. 하이브리드는 이질적인 요소가 두 가지 이상 만나서 기존의 성질이 아닌 새롭고 다른 성질의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현상으로, 지금까지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점이 특징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삶 속에서 하이브리드는 현대인들이 더욱 갈망하고 요구하는 것 중 하나인데, 이는 생명, 기술, 기계 등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과 일상생활에까지 스며들어 자연스럽게 자리 잡아가고 있다. 패션 영역에서도 기존에 있던 틀이 깨지며 다양한 의상과 아이템들이 나오고 새로운 시도를 통해 다양한 패션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패션 디자이너 역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 기존에 선보였던 패션을 해체하고 재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의상들을 선보이고 있다. 의상뿐만 아니라 액세서리나 헤어, 메이크업, 네일도 서로 경계를 넘나들며 뒤섞이고 새로운 이미지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메이크업은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수단으로 과거부터 신분과 지위를 나타냈으며, 자신의 과장이나 은폐, 자연환경이나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왔다. 아름다음을 추구하는 모든 여성은 물론, 현대에는 남자들까지도 메이크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유행보다는 개성을 중요시하는 시대가 다가오면서 메이크업의 중요도는 더욱 커졌다. 과거에는 단편적으로 서로 상반되는 것들의 대조방법으로써 하이브리드를 구분하였다면, 현재의 하이브리드는 두 가지가 아닌 두 가지 이상이 모여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개념으로 진화했다. 따라서 해체와 재조합으로 새로운 것들이 끊임없이 탄생하는 현시대에 맞춰, 패션과 메이크업은 어떻게 하이브리드 되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 최신 패션 트렌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컬렉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패션과 그에 따른 메이크업 경향을 함께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2016F/W∼2019S/S 시즌을 중심으로 마리끌레르(Marie Claire) 패션쇼 북의 4대 컬렉션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빅데이터를 통해, 실루엣, 무늬, 사이즈, 컬러 등 해당 트렌드 키워드에 포함될 수 없는 키워드는 제외하고, 전문가의 코멘트가 작성이 되어있는 키워드를 도서 ‘라이프스타일과 트렌드’에 기재 되어있는 트렌드 키워드를 중심으로 디자이너와 함께 추출했다. 추출된 디자이너와 키워드는 개수 별로 분류하여 두 가지 이상을 하이브리드 현상으로 보았다. 메이크업 분석은 NCS를 통한 용어 정립을 기본으로 하여 베이스 메이크업(Base makeup), 아이 브로우(Eye Brow), 아이 메이크업(Eye makeup), 치크(Cheek), 립(Lip) 등을 내추럴(Natural)과 세미(Semi), 강조(Point)로 나누어 분석한다. 분석 기준은 토탈 코디네이션에서 보인 메이크업이 진하기로 표현되어야 패션과 메이크업의 조화를 확인할 수 있어 기준을 이와같이 정하였다.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시즌에서 유행 추이를 분석하였을 때, 키워드는 레트로, 스포티즘, 낭만주의, 페미니즘, 양성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에스닉, 노마디즘, 컨트리, 퓨처리즘, 오리엔탈리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션에서 하이브리드 현상을 보인 결과는 712개 브랜드 중 2가지 이상의 키워드들이 합쳐진 하이브리드 현상은 33%, 하나의 키워드를 가지고 있는 솔로 키워드는 37%, 트렌드 키워드가 나타나지 않은 현상은 30%로 분석되었다. 셋째, 시즌 전체의 하이브리드 패션에서 중복적으로 보인 트렌드 키워드 중에서 가장 많이 매치되어 보인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레트로+낭만주의, 레트로+스포티즘, 낭만주의+스포티즘, 레트로+스트리트, 에스닉+노마디즘, 해체주의+아방가르드와 낭만주의+빅토리안시대 순으로 하이브리드 되어있었다. 넷째, 패션에서 하이브리드 현상이 나타날 때의 메이크업 경향은 베이스 메이크업과 아이 브로우, 치크, 립에서 내추럴 경향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아이 메이크업에서 세미 경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하이브리드 패션에서 중복적으로 보인 트렌드 키워드의 메이크업 경향 분석한 결과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아이 브로우, 아이 메이크업에서 세미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치크와 립에서는 내추럴 경향이 표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하이브리드 패션은 과거와 달리 더욱 다양하고 새로운 방면으로 정착되고 있으며, 패션에서는 경제적 지수나 사회적 경향에 따라 변화하거나, 소비자의 새로운 니즈가 변화하면 하이브리드 경향도 그에 따라 움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결론을 토대로 미래에는 어떤 하이브리드 현상이 나타나는지, 어떠한 이유로 하이브리드 현상에 변화가 있는지, 그에 따른 메이크업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회계감사인의 비례책임

        차유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회계감사인의 책임에 대하여 비례책임이 도입된 지 어느덧 5년이 되어가지만 아직 실무상 별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비례책임은 공동불법행위자에게 연대채무를 부담시켜 무자력의 위험을 불법행위자들이 부담하게 한 것과는 정반대의 방향에 있는바, 고의가 없는 피고들은 원고에 대하여 자신의 책임비율만큼만 책임을 부담토록 함으로써 책임을 완화시키는 제도이다. 책임 제한의 필요성에 관하여 여러 견해가 있지만 회계감사 업무의 특징, 명성자본 등을 고려할 때 일정한 경우 책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 방법으로서는 책임제한이 필요한 영역을 상정할 수 있다면 이를 보다 구체화하여 명문의 규정으로 만들어 두는 것이 법적 안정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비례책임 제도의 도입 자체는 타당하다고 본다. 비례책임 제도를 취하는 국가들도 그 국가의 상황과 가치관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위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제4장 이하에서는 현행 비례책임을 어떻게 운용할 것이지에 중점을 두어 검토를 하였다, 비례책임의 성립과 관련하여, 이사․감사․감사위원, 증권인수인에게는 비례책임을 적용하지 않고 나머지 게이트키퍼들에 대해서는 적용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귀책사유와 관련하여 중과실이 있는 자에게도 비례책임을 배제하는 것이 타당하고, 중과실 기준은 판결 등의 사실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발행시장에서의 공시에는 비례책임을 적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할 것이다. 나아가 회사에 대한 책임, 민법상 책임에의 적용 여부, 계약에 의한 비례책임 배제의 효력을 살펴보았다. 비례책임자가 부담하는 책임의 기준이 되는 것은 책임비율인데, 이는 공동불법행위자들 내부의 부담비율로 보아야 할 것이다. 공동불법행위자가 비례책임자만 있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연대책임자가 있는 경우 그 자의 단독책임 부분은 그 자의 구상권 행사 가부에 따라 다르다. 아울러 책임비율 산정 요소를 검토하였다. 구상권 행사와 관련하여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책임부분을 넘어 변제한 자는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고의의 행위자도 신의칙․공평의 원칙에 반하지 않는 한 가능), 비례책임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위임․사무관리 등에 따른 것이고, 연대책임자나 추가배상의무자의 경우 공동불법행위자로서 연대책임의 구상권에 관한 규정을 유추적용하는 구상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대책임자・추가배상의무자의 구상범위는 비례책임자의 구상범위와 다르다. 일부 가해자가 피해자와 화해한 경우 공동불법행위자들의 책임비율을 기준으로 하되 피해자가 자신의 손해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배상받지 못하게 하고, 공동불법행위자들 사이의 구상권 행사를 허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끝으로 추가배상 규정의 구체화가 필요하다는 점, 비례책임 사안에 대해 일부 공동불법행위자에 대해 먼저 어떠한 판결이 있고 그 후에 선행된 판결에서 누락된 나머지 공동불법행위자에 대해 판결을 선고하려는 경우, 미국이나 호주의 초과배상 금지 규정과 피고 추가 제도의 도입 가능성과 필요성, 판결주문의 형태를 살펴보았다. It has been five years since the proportionate liability of auditors was introduced. However, it has not yet been utilized much in practice. The proportional liability is in the opposite of imposing a joint and several obligation to joint tortfeasor. Therefore, it is different from burdening the danger of insolvency on misfeasors. The proportionate liability reduces the liability of unintended defendants by making them only responsible for their own proportion of liability.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the necessity regarding the restriction on liability.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to limit the liability in certain ca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udit work and reputation capital. If it is possible to define areas requiring the liability limits, it would be reasonable to introduce the proportionate liability system and stipulate concrete provisions in terms of enhancing the legal stability. The countries that have enacted the proportionate liability system have taken various measur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values of them.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chapter 4 and later chapters will focus on how to operate the current proportionate liability system. It is desirable not to apply the proportionate liability to directors, statutory auditors, members of an audit committee, and underwriters, but to apply other gatekeepers. It is reasonable to exclude the proportionate liability for those who have gross negligence in relation to the reasons attributable, and the standards of gross negligence were examined using fact relevance shown in verdicts. One of the principles is not to apply the proportionate liability to the public disclosure in the issue market.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o apply proportionate liability to the liability for a company and to the civil law, and the effect of proportionate liability exclusion by contract. The liability proportion is the basis of determin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people responsible for the proportion. I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internal burden ratio within the joint misfeasors. It is not an issue if the joint misfeasors are solely composed of the people responsible for the proportion. However, when there are people collectively responsible for it, the sole responsibility of a person depends on the exercise of contribution. Additionally, factors affecting the calculation of liability proportion were examined. Regarding the exercise of contribution, a person who basically repaid more than his or her liable portion can always exercise contribution(even an intentional doer can exercise it unless it is against the trust and good faith rule). In the case of the people responsible for the proportion, it basically follows the mandate and the management and affairs. Moreover, obligors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and obligators for additional recompense exercise the right to indemnity by analogically applying the rights of recourse associated with joint liability as a joint misfeasor. Therefore, obligors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and obligators for additional recompense have a scope of contribution different from people responsible for the proportion. When some perpetrators reconciled with the victim, it is desirable to allow exercising the right to contribution among the misfeasors based on the liability proportion between joint misfeasors. However, the victim shall not receive more than the loss of him or her. Lastly, this study argued that it would be needed to definitize the additional recompense provisions. This study also presumed multiple cases that has proportionate issues with a precedent for some joint misfeasors and different later verdicts for other joint misfeasors and evaluated the excessive recompense prohibition of the US and Australia,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defendant addition system, and the form of formal adjudication.

      • ‘좋은 음악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조사

        차유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의 일상생활 및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음악수업에 대한 실태와 ‘좋은 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세 곳의 중학교 2학년 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에 대한 호감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중학교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의 음악활동으로 음악 감상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이러한 활동은 한 시간 미만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음악장르로는 대중음악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음악수업에 대해 분석한 결과, 많은 학생들이 학교 음악수업과 음악교사가 음악적 지식과 능력이 형성되는 데에 많은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음악선호도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 중 노래 부르기는 학생들이 흥미롭게 참여하는 활동인 동시에 어려움을 느끼는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좋은 음악수업’을 위한 수업준비 영역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준비된 수업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좋은 음악수업’을 위한 수업실행 영역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실행의 하위요인으로 수업분위기를 수업방법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좋은 음악수업’을 위한 수업결과 영역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결과의 하위요인으로 내적효과를 외적효과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좋은 음악수업’을 위한 수업환경 영역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다양한 악기가 갖춰진 환경과 다양한 시, 청각 자료 및 수업자료가 잘 갖춰진 환경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에 따라 학생들이 원하는 ‘좋은 음악수업’의 모습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음악수업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더 긍정적으로 느끼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음악수업을 위한 제도적 방안과 교육환경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sic classes are performed, the daily liv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how to recognize a ‘Good Music Clas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268 second-year students in three different middle schools in Seoul and in the Kyonggi area.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analyzed results. First, The majo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enjoyed listening to music in their daily lives, which was usual done for less than an hour. Also, The most favorite music genre was popular music. Second, the result indicated that many students were aware of their musical ability and how the students gained more knowledge based on concept of music from their music teachers and music classes. However, the students thought that these results had little influence on what they enjoyed in music. Also, among the activities in the class, students perceived singing as the most interesting and also most difficult activity. Third, Many students believed that when classes supported student-centered learning, the classes were more important and beneficial. Forth, Students recognized that class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teaching methods as a subsidiary factor of any teaching performance. Fifth, Students recognized that internal effects was more important than external effects. Sixth, Students were aware that music classes with various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and with various poems, audio materials, and teaching materials were most important. This study allowed to introduce the image of ‘Good Music Class’ that students perceived. In the future, it sh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e class environments where all students could feel positive and enjoyed participation in classes.

      • BIM 공간 객체를 이용한 물량산출 정확성 분석

        차유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도입되고 난 후 건설 프로젝트의 공사비용 측정에 대한 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BIM을 이용한 물량산출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2D기반 도면의 물량산출과 함께 BIM을 이용한 물량산출을 추가로 진행하기 때문에 많이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마감 물량은 그 종류가 많으며 모델링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구조체에 비해 과다하게 소비되기 때문에 초기 물량을 정확하게 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부터 BIM 공간 객체를 이용한 물량산출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기존의 물량산출 방식과의 차이점과 그 정확성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2D 도면기반의 물량산출 및 BIM 공간 객체의 특성 및 Parameter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BIM 공간 객체를 이용한 구체적인 물량산출 방법 및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또한, BIM 공간 객체를 이용한 물량산출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최적화된 공간 유형을 분석하고, Case study를 통해 2D 기반의 기존 물량과 BIM 공간 객체에서 추출한 물량을 비교하였다. 물량을 비교하기 위해 1차, 2차 물량산출을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물량산출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보정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평균 오차가 0.05%에서 7.13%로 공간 객체의 물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IM 공간 객체를 이용한 물량산출 시, 이러한 차이를 감안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실무에서 BIM 공간 객체를 이용한 물량산출을 위해 구체적인 물량산출 방식 및 정확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Working O`range>: 미디어아트 속 청년 프레카리아트의 초상

        차유나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 디지털 시대의 청년 프레카리아트 노동자들은 고용불안과 인지노동의 일상화로 인한 정신적 고통에서 살아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청년 프레카리아트 노동자들으 ㅣ고통을 시각화하고 장착형 기계장치의 작품을 통해 청년의 인지 노동으로부터의 정신적 고통을 재현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자의 작품 <Working O`range>은 물리적 고통을 통해 신체의 반응을 기록함으로써 인지 노동의 정신적 고통을 재현해 보인다. 작품의 고문 장치는 머리 장착형 기계장치로 뇌 모양의 형태를 띠며 뇌 양옆으로 나온 네 개의 손가락 형태 기계 장치를 장착한 관람객에게 고문을 주는 방식이다. 신체적 반응은 정확히 고통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거기에 고통이 있음을 상기시키는 역할이다. 동요되는 자신의 심박 데이터를 보면서 관람객은 고통을 인지하며 신체적으로 반응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인지 노동자는 자신의 신체 데이터를 인지하며 자기애를 바탕으로 고통을 통해 저항을 하게 된다. 고통의 정도는 심박데이터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되며 정량적 수치의 심박 수가 그래픽 이미지로 시각화 된다. 본 연구의 작품은 감상하는 관람객이 개인의 문제를 사회적으로 확장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그로 인해 전시작품이 관람객 자신의 문제를 투영하고 있다고 느끼는 계기로 연결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정신적 고통을 장착형 기계장치를 통해 표현함으로써, 신체와 기계장치가 결합한 상호작용적 미디어아트에 있어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감각은 수치화하기 힘들고, 고통 역시 감각적 현상이다. 사회적인 시각에서 보았을 때 일부 개인의 감각은 그리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프레카리아트라는 사회현상을 해석하고 개인에게 미치는 불안함의 고통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미디어아트라는 예술적 시도로 풀어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다.

      • 대학무용집단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공유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차유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무용집단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공유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무용집단의 능동적인 인적자원관리 전략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년 현재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의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397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구조화된 설문지이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후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방법은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요인 중 상향적 커뮤니케이션,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정보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하향적 커뮤니케이션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요인 중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하향적 커뮤니케이션, 상향적 커뮤니케이션은 공연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요인 중 상향적 커뮤니케이션,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은 전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하향적 커뮤니케이션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정보공유가 공연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정보공유가 전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대학무용집단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공유 및 전공몰입, 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커뮤니케이션이 상향적이거나 수평적, 비공식적일 때 정보공유가 원활하고 전공에 몰입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하향식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일방적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쌍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이 유용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정보공유도가 클 경우 전공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고, 공연성과가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