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육상 장거리선수의 불안요인과 대처방안

        조현진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육상 장거리선수의 불안요인과 대처방안 조현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스포츠심리학 본 연구는 육상 장거리선수들을 대상으로 경기 시 경험하는 불안요인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하여, 선수와 지도자들이 현장에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8년 기준 대한육상연맹에 등록되어 있는 대학실업팀 장거리 선수 10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실시하였고, 5,000m, 10,000m, 마라톤 경기에서 20회 이상 완주한 선수 중, 10회 이상 입상한 선수 5명(남자3명, 여자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상 장거리선수들이 경기 전 경험하는 불안 요인은 17가지로 나타났으며, 빈도수는 기록, 컨디션, 부상, 상대 의식, 수면장애, 워밍업, 등위, 훈련과정, 식사, 시합환경, 패배, 돌발 상황, 신체 증상, 지도자, 경기 준비, 자신감 부족, 징크스 순으로 나타났다. 빈도수가 가장 높은 ‘기록에 대한 불안’의 대처방안으로는 훈련 중 했던 루틴을 그대로 시합에 적용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빈도수가 두 번째로 높은 ‘컨디션에 대한 불안’의 대처방안으로는 체중관리, 식이요법, 산책, 긍정적 자화, 운동량조절 등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육상 장거리선수들이 경기 중 경험하는 불안 요인은 7가지로 나타났으며, 빈도수는 페이스 조절, 선두그룹 낙오, 포기, 힘듦, 라스트 스퍼트, 역전 상황, 자리선정 순으로 나타났다. 빈도수가 가장 높은 ‘페이스 조절에 대한 불안’의 대처방안으로는 ‘내 맘에 맞춰서 경기리드’, ‘마라톤 같은 경우에는 후반을 생각하여 조금 떨어져 한명씩 잡아 간다’ 등으로 조사되었고, ‘포기와 힘듦’에 관한 대처방안으로는 ‘훈련과정을 회상한다.’ 로 조사되었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육상 장거리선수들의 불안요인과 대처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가 육상장거리 선수들이 불안요인을 이해하는데 기여하며, 선수는 지도자를 믿고 신뢰하고, 지도자에게는 선수의 경기력을 항상 시켜 국제경쟁력이 있는 선수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Abstract Anxiety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Long Distance Athletes Hyun Jin Jo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Graduate School Sports Psychology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that can be applied as material for the performance enhancement of athletes and coaches on site by investigating the anxiety factors that long distance running athletes experience during races and proposing coping strategie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open-ended question surveys were conducted on 100 university business team long distance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 in 2018 and of the athletes that had completed at least 20 races including 5,000m, 10,000m, and marathon ra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5 athletes (3 males and 2 females) who had placed in at least 10 ra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7 kinds of anxiety factors experienced by long distance running athletes before races and they appeared in the frequency order of record, condition, injury, being conscious of other athletes, sleep disorders, warming up, rank, training courses, eating, race environments, loss, unexpected situations, physical symptoms, coaches, race preparation, lack of confidence, and jinxes. Applying training routines directly to races was surveyed to be a coping strategy of ‘anxiety regarding records’ which had the highest frequency, and coping strategies to ‘anxiety regarding condition’ which had the second highest frequency included weight management, diet, walking, positive self-talk, and exercise regulation. Second, there were 7 kinds of anxiety factors experienced by long distance running athletes during races and they appeared in the frequency order of pace regulation, falling out of the leading group, quitting, laboriousness, last spurts, situation reversals, and position selection. ‘Leading the race according to how I feel’, ‘catching up to others one by one in the latter half of the race in the case of marathons’ were surveyed to be coping strategies of ‘anxiety regarding pace regulation’ which had the highest frequency and ‘remembering my training course’ was surveyed to be a coping strategy of ‘quitting and laboriousness’. In summary, this study explored the anxiety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long distance running athlete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anxiety factors by long distance running athletes and that it will be used as base material so that athletes can trust and follow coaches and so coaches can improve the performance abilities of athletes so they can develop into athletes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지필평가를 통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학습목표 도달정도와 오개념 조사

        조현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5학년 1학기 과학 지필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학습목표 도달정도를 파악하고 오개념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단원별, 차시별 필수학습개념과 학습목표를 추출하고, 이에 의거하여 지필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경상남도에 소재한 C시의 S초등학교, J시의 D초등학교, J시의 A초등학교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오개념이 특히 많이 나타나는 어려운 문항을 중심으로 서술형 질문지 투입 및 아동 4명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지필평가 문항은 필수학습개념과 차시별 학습목표에 맞게 제작되었으므로, 각 문항에 대한 정답률이 높다는 것은 해당 차시의 과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학습목표 도달정도가 높다는 것으로 보았고, 반대로 각 문항에 대한 오답률이 높다는 것은 해당 차시의 과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학습목표 도달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필평가 정답률과 오답률의 분석에 의한 각 단원의 평균 학습목표 도달률은 1단원 80.93%, 2단원 79.75%, 3단원 76.40%, 4단원 85.42% 로 높은 편이었다. 학습목표 도달정도가 70% 미만으로 낮은 9개의 문항에 대하여 서술형질문지와 면담을 실시한 결과, 1단원~4단원까지 다양한 오개념이 나타났다. 대표적인 오개념 유형으로는 ‘지구의 표면에서 빛을 받고 있는 절반은 낮(정오)이고 빛을 받지 않고 있는 절반은 밤(자정)이다’, ‘천체망원경에서 조절나사로 조절해서 초점을 맞춘다.’, ‘전구와 전지 모두 직렬로 연결하면 밝고 병렬로 연결하면 어둡다’, ‘전류가 흐르는 상태일 때만 전기회로이다’, ‘잎의 뒷면에만 기공이 있다’, ‘과일 중에서 씨, 껍질을 제외한 우리가 먹는 부분만 열매에 속한다.’, ‘대장균이 세균을 제거하는 항생제로 이용된다.’ 등이 있었다. 오개념의 원인으로는 과학개념에 대한 불확실한 이해, 개념 형성이 안됨, 고정관념을 가짐, 비가시적 현상에 대한 이해 부족, 4학년 때 배운 내용과 헷갈림, 교사가 사용하는 용어의 문제점,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교사로부터 그렇게 배움, 교과서에서 다루는 내용이 한정되어 있음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학습목표 도달정도를 높이고 오개념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또한, 앞으로 다양한 단원과 학년에 대한 연구와 학생들의 종단적 연구가 이루어져, 이를 통해 학생들의 과학 성취 수준과 개념 이해도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이 가능해지길 기대해본다.

      • 시설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을 위한 음악극 활동 사례연구 :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조현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설 청소년이 일으키는 문제행동은 우울, 충동성, 공격성 등의 개인적 성격과 부모의 통제 및 감독의 부족 등을 요인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자기통제력과 관련된 개념들로 여러 선행연구에서 자기통제력과 높은 상관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청소년 시설(청소년 쉼터)에 입소한 4명의 문제행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악극 만들기 및 연주활동을 실시하여 이러한 활동이 자기통제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제행동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해 사용한 중재매개체인 음악극 활동은 청소년들로부터 선호도가 높은 대중가요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문제행동 청소년의 흥미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이야기와 노래 만들기, 악기연주를 통해 자기통제력의 훈련단계인 자기표현과 문제인식, 대안제시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음악극 활동은 총 16회기의 그룹세션으로 이루어졌고 대상자들의 주된 문제행동인 흡연, 부적절한 돈사용, 폭력, 학업중단, 성문제, 부모와의 갈등을 이야기의 소재로 삼았으며 대상자와 치료사가 함께 음악극을 만들고 연주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분석은 자기통제력 척도의 사전·사후검사 비교와 자기통제력과 관련된 음악적, 언어적 반응의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자기통제력 사전·사후점수가 사례A는 47점에서 49점으로, 사례B는 48점에서 55점으로 사례C는 46점에서 46점으로 사례D는 50점에서 54점으로 상승 또는 유지 되었다. 집단의 평균은 47.75점에서 51점으로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상승하였다. 자기통제력과 관련된 언어적, 음악적 반응에서는 집중력의 향상 및 충동성의 감소와 같은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소에 대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자기통제력 훈련 단계인 자기표현과 문제인식, 대안제시가 문제행동별로 이루어졌으며 일부 대안제시에 대해 실천행동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음악극 활동이 문제행동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Youth's behavioral problems refer to inadaptable and asocial acts in all social contexts as well as anti-social behaviors such as juvenile crimes and delinquencies. In terms of causes of youth's behavioral problems, there are individual factors, family-related factors, school-related factors and peer-related factors. The individual factors include depression, impulsiveness, aggression and family-related factors. Also, teacher's roles as a mentor and monitor and their association with peers, having been in delinquencies, have a direct correlation to youth’s behavioral problems. All these factors are related to self-control. Therefore, when the level of self-control is improved, behavioral problems can be reduced. Considering high impulsiveness of youth at risk, the program to foster self-control is media focused, to gain their interest. Music is known to be effective in arousing interest and projecting feelings. Especially, activities of making a music drama using preferred pop songs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re attractive to youth. So that can lead up to self-control instruction naturally, through self-exploration, problem-insight and presenting alternat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our young people in juvenile sheltered housing. The study aims to see how making and playing music drama affects the self-control level throughout 16 timed group session. Main problems of youth at risk are dealt with as a theme of the drama such as smoking, inadequate money spending, violence, school learning, sexual issues and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This study is based on pretest-posttest design by measuring self-control level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musical and lingual respons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core of self-control in recipient is elevated or maintained as follows; 47 to 49 in subjection A, 48 to 55 in subjection B, 46 to 46 in subjection C, 50 to 54 in subjection D. The mean score of group elevated at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47.75 to 51. Musical and lingual response related to self control also shows positive response; elevation of concentration level and decrease in impulsiveness and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Through this research, music drama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control level of youth at risk.

      • 헤어살롱 서비스품질과 재방문의도에서 브랜드자산 및 선택속성의 매개효과

        조현진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미용서비스산업은 매장규모의 대형화와 프랜차이즈산업, 종사자들의 학력수준을 질적, 양적으로 향상하는 등 급격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그에 따라 고객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점포선택에 관한 의사결정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하여 살롱은 신규고객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격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라 할 수 있으며, 살롱은 신규고객 확보도 중요하지만 기존고객들의 재방문의도를 높여 고정고객을 고객화 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헤어살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자산, 선택속성이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서비스품질과 재방문의도에 관계에서 브랜드자산과 선택속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더욱 다양해지는 소비자들의 선택속성을 알아보고 살롱에서 소비자의 재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해 개선하고 보강하여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마케팅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며 헤어살롱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총 328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고,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각 변수들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한 결과, 서비스품질은 ‘신뢰성’, ‘공감성’, ‘유형성’ 세 가지 요인으로, 브랜드자산은 ‘브랜드충성’, ‘브랜드개성’ 두 가지 요인으로, 선택속성은 ‘외적속성’, ‘내적속성’, ‘브랜드속성’ 세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재방문의도는 단일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서비스품질은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비스품질 요인 중 브랜드충성에서는 신뢰성이, 브랜드개성에서는 유형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품질은 선택속성의 하위요인 외적속성에서는 공감성과 유형성이, 내적속성에서는 신뢰성, 공감성, 유형성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브랜드속성에서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품질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신뢰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자산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브랜드 충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선택속성은 재방문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택속성의 하위요인인 내적속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외적속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서비스품질과 재방문의도에 관계에서 브랜드자산은 모두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서비스품질과 재방문의도에 관계에서 선택속성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내적속성 만이 서비스품질의 신뢰성, 공감성, 유형성에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외적속성과 브랜드속성은 조건 불만족으로 매개효과 없음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the beauty service industry has made rapid progress by expanding the size of stores, enhancing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franchises and employees by quality and quantity. As a result, competition among customers is intensifying, making decisions about customers' choice of stores is an important factor. Due to these problems, Salon is having a hard time securing new customers, and Salon is expected to require strategies to enhance the revisit of existing customers and make fixed customer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impact of quality of service, brand assets, selection attributes, and selection properties on re-visit, and whether there is a link between quality of service and re-vis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selection attributes of more diverse consumers and to provide marketing data on what factors should be improved and strengthened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s' revisit in Salon. For this research, a self-adopted questionnaire was investigated for consumers who liv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had experience using hair salons. A total of 32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analyze factors and reliability, correlate, regression and parameterised.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First, after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the quality of service was derived as 'reliability', 'community', 'type' factors, and 'brandity' were selected as two factors. Third, the quality of service could significantly affect the brand assets. Reliability in brand characterization and tangibleity in brand personality among service quality factors are shown to have the greatest impact. Fourth, the service qualit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ternal properties of the sub-factorial elements of selective attributes, and reliability, synesthesia, and type in the intrinsic properties, all of which do not affect brand properties. Fifth,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service significantly affects the revisit and that reliability has the greatest impact. Sixth, brand asset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visiting and brand loyalty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Seventh, we could see that the selective nature had a partial effect on the revisit. It was found that the intrinsic property, a sub-component of the selective attribute, had the greatest effect and that the external attribute did not. Eighth,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degree of revisit, both brand assets were found to be mediated. Ninth,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degree of revisit, the selective nature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Only intrinsic attributes, which are subcomponents of quality of service, showed mediation for reliability, empathy and type of service quality, and external and brand attributes were found to be ineffective due to non-compliance.

      • 한국다문화 사회에서의 주거 관련 삶의 만족도 비교연구 : 대전, 세종, 그리고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조현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oretically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economical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characteristics of convenience facility of residence, social capital of residence. and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ed, and analyze comparatively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ial environment by region, and by country. Firstly, the result of the demographic analysis of the questioned is as follows. Person from Philippines, Vietnam, Japan live more in Chungnam area than other areas, and person from China live more in Chunan-Asan area than other areas. Woman is more than man in the questioned. and Person in thirty-forty is more than other ages in the questioned. The married person is more than non married person in the questioned. The heathen is more than person with religion in the questioned. The 81% of the questione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 In the jobless or student, person from US, Thailand, Mongolia is more in sequence. That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the most person of the questioned is in jobless or student. The 72% of the questioned is below 5million won in the average monthly income. The 49% of the questioned have a his/her house. The length of residence is higher in the item of one year-three years than other items. it shows that movement of house is frequent. In the size of family, two more person household is more than single person household. Secondly, the result of analysis of life satisfaction level in relation to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questioned is as follows. ①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questioned about the inside of house is high generally. It is the highest in item of ventilation. It is high at Chungnam>Daejeon>Chunan-Asan in sequence. It is the highest in the Philippines. Korea is ranked on 9th in 11countries. It is higher in the native than the immigrant. It is more high in the person from the Philippines, Vietnam than person from other countries. ②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estioned about economical value of house is low generally. It is high at Daejeon>Chungnam>Chunan-Asan in sequence. It is higher in the Philippines than other countries. It is higher in the native than the immigrant. ③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estioned about location of house, it is high in natural landscape and park facility in sequence. It is low in cultural facility. It is high at Daejeon>Chungnam>Chunan-Asan in sequence. It is higher in the Philippines than other countries. It is higher in the native than the immigrant. ④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estioned about selection of house, it is high in cleanness and convenience>security in sequence. It is generally low. It is high at Daejeon>Cungnam>Sejong>Chunan-Asan in sequence. It is highest in Iran. It is higher in the immigrant than the native. ⑤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estioned about convenience facility of residence area, it is low in cultural facility(theater, cinema). It is high at Daejeon>Sejong>Chungnam>Chunan-Asan in sequence. It is the highest in the Philippines. It is higher in the immigrant than the native. Korea is ranked on 7th in 11countries. ⑥ In the level of social capital of the questioned. it is high in interaction with friends and interaction with relatives in sequence. It is low in the participation in the volunteerism, civic organization and government related activity. It is high at Chungnam>Sejong>Chunan-Asan>Daejeon in sequence. It is high in the Philippines. It is higher in the immigrant than the native. ⑦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estioned about social capital related activity. it is high in the level of closeness with friend and the level of closeness with relatives. It is low in the participation in government related activity(party participation, public hearing). It is high at Chungnam>Sejong>Chunan-Asan>Daejeon in sequence. It is the highest in the Philippines. It is higher in the immigrant than the native. 다양한 문화유입의 지속성으로 접촉, 형성, 이행 과정중인 다문화사회는 이질성과 상호교류의 변화에 따라 재탄생 되는 사회이며 그 속에서 개인이나 집단의 변화된 새로운 문화체계는 삶의 방식과 가치체계 차이로 인하여 사회적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고 모색하는 차원에서 본 논문에서는 국가마다 다른 주거의식으로 접근하여 삶의 만족도를 조사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사회 구성원 원주민과 이주민 의 주거 관련 삶의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주거의 일반적 특성, 주거의 입지적 특성, 주거의 경제적 특성, 주거의 생활 편의적 특성으로 구분하였고 더불어 주거의 사회적 자본을 파악하고, 거기에 따른 지역별, 국적별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함께 주거 관련 삶의 만족도 요인을 비교분석 하였다. 요인분석의 결정요소로는 연령, 성별, 결혼 여부, 교육, 소득, 직업, 세대 구성원, 직장동료, 친구 그리고 친척들과의 친밀도, 주거의 점유형태, 거주기간 등과 함께 주거의 특성, 주거의 사회적 자본, 정치적 성숙도, 정치참여 등도 포함되었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는 필리핀, 일본, 베트남 국적자는 충남에 많은 것으로 중국 국적자는 천안·아산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응답자는 여자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 응답자는 30∼40대가 가장 높게 나왔다. 결혼상태는 기혼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교는 전체적으로 무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에서는 다문화 구성원 모두가 고졸 이상인 전체의 81% 이상의 빈도로 높은 교육수준 결과를 나타냈다. 직업은 무직·기타「학생·농업·학원생」 기타, 항목만을 각국 나라별로 분석한 결과 미국❯태국❯몽골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주민들이 무직·기타 직업군에 두텁게 자리 잡은 것을 알 수 있다. 월평균 가구 소득은 500만 원 미만이 전체의 72%로 나타났다. 주거 점유형태는 자가 점유율이 전체의 49%로 응답자의 절반가량이 자가소유로 나타났다. 국적별에서는 한국, 베트남, 일본 3개국 응답자만 자가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국적별 응답자는 전세, 월세, 기숙사·사택 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주택 유형에서는 아파트 234명으로 높은 빈도 결과를 나타냈고 다음은 단독/다가구주택 67명으로 나타났다. 주택 거주기간은 1년에서 3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나 주거이동이 잦은 것을 알 수 있다. 전체 세대 구성원에서는 1인 구성 세대보다 多人 구성 세대가 높게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 측정결과에서 ①주택의 내부환경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가장 높은 빈도는 환기「바람」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만족도는 충남❯대전❯천안·아산❯세종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이란 응답자 1명을 빼고 필리핀이 가장 높았으며 한국은 기타를 뺀 총 11개국에서 9번째로 만족도를 나타냈다. 만족도 결과 분석은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필리핀 열대 온순형 기후와 베트남 열대 기후와 같은 더운 나라 이주민들이 내부환경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②주택의 경제적 가치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대전❯충남❯세종❯천안·아산❯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았으며 만족도 결과 분석은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③주택의 입지적 요인만족도에서는 자연경관의 쾌적성❯공원시설의 편리성❯등 순으로 만족도가 높지만, 그중 문화시설의 편리성은 만족도가 낮게 나와 있다.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대전❯충남❯세종❯천안·아산❯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았으며 만족도 결과 분석은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④주거지역을 스스로 선택한 이유 만족도에서는 주거환경이 깨끗하고 편리해서❯거주지 치안상태가 안전해서❯등 순으로 나타났고, 대체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대전❯충남❯세종❯천안·아산❯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이란이 가장 높게 나왔다. 만족도 결과 분석은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⑤생활편의시설의 이용 만족도에서는 문화시설「공연장·상영관 등」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대전❯세종❯충남❯천안·아산❯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게 나왔다. 만족도 결과 분석은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그중 한국은 기타를 뺀 총 11개국에서 7번째로 나타났다. ⑥ 사회자본(신뢰·참여)활동 정도는 친구들과의 교류 정도❯친지들과의 교류 정도❯등 순으로 나왔다. 자원봉사·사회단체 참여활동과 정부 관련 참여활동 정도「공청회·정당가입 등」은 참여활동이 낮게 나왔다. 지역별에서는 충남❯세종❯천안· 아산❯대전❯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 결과 분석에서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⑦ 사회자본(신뢰·참여)활동 사항 만족도는 친구들과 친밀도❯친지들과의 친밀도 등 순으로 나타났다. 낮은 만족도는 정부 관련 참여활동「공청회·정당가입 등」등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충남❯세종❯천안· 아산❯대전❯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만족도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 모든 항목의 삶의 만족도 측정결과는 자국민보다 이주민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주민 중에서도 필리핀 응답자가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VMD로 현출한 혈액지문의 과현출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조현진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범죄현장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증거물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 지문은 DNA와 더불어 강력한 개인식별의 수단이므로 지문을 현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유혈사태를 동반한 범죄현장에서는 혈액지문이 종종 발견되는데 가해자가 범행을 은폐하고자 방화를 저질렀을 경우 열에 의해 혈액의 구성 성분이 변성되므로 일반적으로 혈액지문 증강에 사용되는 시약들은 사용할 수 없다. 이때 vacuum metal deposition(VMD)을 사용하면 고온에 노출되어 변성된 혈액지문도 현출할 수 있다. VMD는 금과 아연을 순차적으로 증착시켜 지문을 현출하는 방법으로서 표면에 부착된 지문성분의 양에 따라 적정량의 금속을 증착시켜야 한다. 하지만 표면에 남아있는 지문성분의 양을 알 수 없으므로 금과 아연을 과도하게 많이 증착시키는 과현출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금과 아연이 지문성분을 뒤덮어 지문이 보이지 않게 되며, 한번 과현출된 지문의 품질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금/아연 VMD로 현출한 검체에 열을 가하여 아연 층을 제거한 후 재현출함으로써 과현출된 지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였으며 이때 지문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적정 온도와 시간을 찾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비다공성 표면인 타일, 유리, 스테인리스 표면에 depletion series로 혈액지문을 유류한 후 500 ℃에 10분 동안 노출시켜 지문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만들고 금/아연 VMD를 이용하여 지문을 현출하였다. 이 후 혈액지문이 현출된 표면에 각각 300, 400, 500, 600 ℃에서 10, 20, 30분 동안 열을 가하여 아연 층을 제거하고 금/아연 VMD를 사용하여 지문을 재현출하였다. 그 결과 타일과 유리 표면에 유류된 혈액지문의 유류물 양이 많을 경우에는 가열되는 온도와 시간에 상관없이 개인식별이 가능할 정도의 지문이 재현출되었지만, 혈액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depletion series의 네 번째 혈액지문부터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혹은 노출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재현출된 지문의 품질이 떨어졌다. 스테인리스 표면은 열을 가해도 아연 층이 제거되지 않아 재현출하지 않았다. 실제 범죄현장에 남아있는 지문의 유류물 양은 알 수 없기 때문에 지문의 품질에 가장 영향을 적게 주는 낮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 동안(300 ℃에서 10분) 열을 가하여 아연 층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과현출된 VMD 검체에 300 ℃에서 10분 동안 열을 가하여 지문에 영향을 적게 주면서 아연 층을 제거한 후, 금과 아연을 재증착하여 지문을 현출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evidence at a crime scene, of which fingerprints are a powerful means of personal identification along with DNA, so it is crucial to develop fingerprints. Blood fingerprints are often found at the crime scenes accompanied by bloodshed. If the perpetrator commits arson to conceal the crime, the components of the blood are denatured by heat and reagents generally used for blood fingerprint enhancement cannot be used; however, vacuum metal deposition (VMD) allows the development of blood fingerprints that have been denatured by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VMD is a method of developing fingerprints by sequentially depositing gold and zinc on the surface,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metal should be deposi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fingerprint components attached to the surface. However, since the amount of fingerprint components attached to the surface is unknown, excessive deposits of gold and zinc can cause fingerprint to be overdeveloped. In this case, they cover the fingerprint components making the fingerprint invisible, and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ngerprint once overdeveloped. Therefore, we wanted to find a solution to the overdeveloped fingerprints by applying heat to substrates developed using gold/zinc VMD to remove the zinc layer and then re-developing them; in addition, we wanted to find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ime that did not affect fingerprints. In this experiment, blood fingerprints were deposited in a depletion series on the non-porous surfaces such as tiles, glass, and stainless steel. The fingerprints were exposed to 500 ℃ for 10 minutes to make them invisible to the naked eye and developed using gold/zinc VMD. Afterwards, heat was appli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blood fingerprints developed at 300, 400, 500, 600 ℃ for 10, 20, 30 minutes to remove the zinc layer, and the fingerprints were re-developed using gold/zinc VMD. As a result, when the amount of blood fingerprint components deposited on the tile and glass surface was large, fingerprints were re-developed enough to allow personal identification regardless of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However, from the fourth blood fingerprint of the depletion series, where the amount of blood was relatively small, the quality of the re-developed fingerprints deteriorat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or the exposure time increased. The stainless surface was not re-developed because the zinc layer was not removed even when heat was applied. Since the amount of fingerprint components left at the actual crime scene is unknown, it is desirable to remove the zinc layer by applying heat for a short period of time at a low temperature (10 minutes at 300 ℃) that has the least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fingerprint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the fingerprint by redepositing gold and zinc after removing the zinc layer by applying heat to the overdeveloped VMD substrate at 300 ℃ for 10 minutes to lessen the influence on the fingerprint.

      • 초등 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신뢰가 업무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조현진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ru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act on work satisfaction and happiness Hyun-Jin Cho Dep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Seung-kyu N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24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jeon to find ways to improv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rust on th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 looked at it. The data consists of measur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rust, work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online. Reliability and Others in Measures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The sugar content was examined through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and factor analysis. Relevance was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teachers' work according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rust The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and happiness was examined by two-way ANOV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ers with high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atisfaction will be higher than lower teachers. 'Higher teachers will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ho are not. 'Ⅱ was supported, bu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rust on job satisfaction. Hypothesis III was not supported. In addition, 'the high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eople will be happier than teachers with low lev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hypothesis that "highly trusted teachers will be happier than low-trust teachers." Ⅴ was supported, bu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rust on happiness. Hypothesis VI is not suppor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ositive examiners to improve work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variety of training and rooms to use more patterns and trust and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aws will need to be discussed and prepar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rust, work satisfaction, happiness

      • 중저가 호텔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ano 모형을 이용한 품질분류의 적용

        조현진 대구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daptability of service quality classification by Kano model on mid-price hotel’s service quality.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customer of mid-price hotel with differentiated survey questionnaire compared with existing studies on service quality and method of analysis. The focu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is study classifies the hotel’s service quality using two-dimensional recognition method of Kano model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 of Kano model that attractive service quality can changes over time.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estimated pattern of change according to each quality characteristic adapting Kano model to quality classification of hotel’s service. Additionally, it also identifies a representative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among each service quality factor. Second, this study suggests differentiated strategy to improve service quality from understanding customer’s satisfaction degree based on the Better and Worse indices of customer satisfaction index by Timko. Thir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factors classified by Kano analysi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oyalty so that the marketing strategy for each factor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practical field.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regional and brand mid-price hotels. One of the nonrandom sampling, convenience sampling was applied to this stud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44 consumers among 450 consumers except for meaningless 36 respondents from February 1, 2016 to February 28, 2016. Results are as followings. As a result of measuring service quality by Kano classification, most of factors are identified as One-dimensional attribute(O). Although Indifferent attribute(I) is also classified into 4 factors, they are analyzed on the base of One-dimensional attribute except for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which are classified as One-dimensional attribute,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consists of room service, functional service, reservation/check-in service. The hypothesis test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and customer satisfaction, room service, restaurant service and reservation/check-in service have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and customer royalty, room service, restaurant service and reservation/check-in service have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between service quality factor composed of One-dimensional attribute by Kano classification and satisfaction indicates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is .710 , F is 438.063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000, which concludes tha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atisfaction are restaurant service quality(.252), room service(.226) and reservation/check-in(.198) in order. In the other hand, functional service factor has no influence. Accordingly, in the first hypothesis composed of 4 subsidiary hypothesis, 3 subsidiary hypothesis H1-1. Room service quality has a meaningful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H1-2. Restaurant service quality has a meaningful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H1-4. Reservation/check-in service quality has a meaningful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re adopted. However, H1-3. Functional service quality has no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is classified into a meaningless service quality factor as an aspect of customer, which leads to a rejection of the subsidiary hypothesi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between service quality factor composed of One-dimensional attribute by Kano classification and royalty indicates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is .710 , F is 438.063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001, which concludes tha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royalty are room service(.311), restaurant service quality(.295), and reservation/check-in(.148) in order. In the other hand, functional service factor has no influence. Finally,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royalty of mid-price hotel indicates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is .488 , F is 294.902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000, which concludes tha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royalt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The academic implication is that this study integrated linear and nonlinear analysis by Kano classification on the service qualities which have an important role in prioritizing for hotels. It also found out the necessity of a study on a point of difference and commonness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recognized by mid-price hotel’s customer using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conducted from regression analysis by Kano model. This study suggests that a study on the effect of One-dimensional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by Kano classification on diverse variables such as management result, brand royalty and hotel’s image as well as customer satisfaction and royalty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se studies are accumulated, it is considered to achieve a remarkable development in the marketing strategy to insure royal customer of mid-price hotel. To gentrify the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the owner or executive should increase the capital investment in room service, restaurant service and parking facility. There also must be a consideration of plan for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nd roya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