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유아식품의 선택속성 중요도가 상품신뢰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 식품인증마크 중요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고은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최근 몇 년 사이 영·유아대상식품 시장이 확장되면서 영·유아대상 식품이 기존 단순 이유식과 분유시장에서 다양한 제품군으로 확장 되고 있다. 이에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의 안전성을 홍보하기 위해 다양한 인증마크를 획득 하여 소비자들에게 상품에 대해 홍보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증마크를 획득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신생기업이나 소규모 기업의 경우 수많은 인증마크를 획득하고 고객들을 만족시키기에는 다양한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선택속성을 구별하였고 인증마크의 특성에 따라 그룹화를 하여 소비자들의 선택속성에 따라 상품의 신뢰도에 인증마크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유의수준을 비교하여 어떠한 인증마크군들이 상품신뢰도에 영향을 주고, 어떠한 선택속성을 가지고 있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인증마크군을 제시하려한다. 이는 영·유아대상식품 제조업장에서 주고객층의 니즈를 파악하고 상품 홍보와 마케팅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인증마크 획득을 위한 시간과 돈을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선택속성, 인증마크, 상품신뢰도, 구매의도로 변수를 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영·유아 육아에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영·유아대상식품을 구입시 선택속성 총 15문항과 인증마크에 대한 중요도 3문항, 상품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한 10문항 구매의도를 알아보기 위한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영·유아대상식품을 구입시 구매이용형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선택속성은 3가지 요인 “위생,안전”, “가격,품질”, “디자인,이미지” 요인으로 나누어 다음 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위생, 안전”을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자는 원재료, 시스템 인증마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디자인,이미지”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자는 품질에 관련된 인증마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영·유아대상식품구입시 인증마크중 원재료 인증마크와 품질에 관련된 인증마크는 상품 신뢰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영·유아 대상식품 구입 시 선택속성와 상품신뢰도 사이에서 인증마크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넷째 영·유아 대상 식품 구입 시 상품 신뢰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품인증마크는 상품신뢰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주었으며 상품선택속성에 따라 선호하는 식품인증마크도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토대로 영·유아대상식품 제조업에서는 상품에 맞는 소비자들의 특성을 연구하여 그에 맞는 인증마크를 획득 혹은 홍보하를 위한 마케팅적 기초 자료로 사용하여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expansion of infant food market within the last few years, the infant food is expanding from the existing simple baby food and powdered milk market to diverse food groups. In order to promote the safety of products and quality, products are promoted to consumers by acquiring diverse certification marks. And to acquire such certification marks, lots of time and money are invested. However, in case of newly-founded companies or small-sized companies,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to acquire numerous certification marks to satisfy customers. Thus, this study aims to discriminate consumers' selection attributes,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certification marks into groups, and to compare the significance level by understanding the significant effects of certification marks on the product reliability in accordance with consumers' selection attributes. Through this process, it aims to suggest the certification mark groups having effects on the product reliability, and the certification mark groups preferred by consumers with different selection attributes. This could be used for marketing, promoting, and understanding main customers' needs in the manufacturing place of infant food, and also would be helpful to efficiently use time and money for the thoughtless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marks. This study selected the selection attributes, certification mark, product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as variables. Targeting 303 consumers having direct/indirect effects on infant childcare, a survey was conduct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5 questions for selection attributes when purchasing infant food, three questions for the importance of certification mark, ten questions for product reliability, and four questions for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is process,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understood, and their purchase/use type of infant food was analyzed. And dividing selection attributes into three factors such as "hygiene/safety", "price/quality", and "design/image",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consumers who emphasized "hygiene/safety" out of selection attributes when purchasing infant food considered the certification marks in accordance with raw material and system as important while consumers who emphasized "design/image" considered the certification marks related to quality as important. Second, out of certification marks when purchasing infant food, the raw material-related certification marks and quality-related certification mark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duct reliability.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and product reliability when purchasing infant food,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certification mark played the partially-mediating role. Fourth, when purchasing infant food, the product reliabi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summary, the food certification mark had effects on the increase of product reliability,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eferred food certification marks in accordance with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it, infant food manufacturers could meet consumers' needs by researching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products and also using it as basic data for marketing, promoting, or acquiring certification marks.

      • 첫 영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SP) 경험 탐구

        정고은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탐구는 첫 영아기 자녀를 둔 부부인 탐구자인 ‘나’와 배우자가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이하 OSP) 통하여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탐구에서는 경험이 가지는 의미를 온전히 담아내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OSP 프로그램은 2022년 7월부터 2022년 8월까지 7회기 진행되었으며, OSP 경험은 전 회기는 녹음되었고 축어록 형식으로 전사되었다. 탐구자는 축어록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연구 퍼즐에 맞는 키워드들을 작성해 나갔으며 심층 면담 2회기를 진행하였다. 이 밖에 탐구자의 개인적인 작업물, OSP 기초 연수 작업물, 사진, 일상 대화를 적어놓은 메모 등이 연구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 퍼즐을 중심으로 첫 영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OSP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다음과 같다. 탐구자의 경험이야기는 <자라지 못한 나를 만나다>, <나무를 만나다>, <좋은 엄마가 될 수 있을까?>, <어른이 되어 다시 부모님을 만나다>, <아이를 통해 인정받다>, <OSP를 통해 나를 마주보다>로 구성되었으며 배우자의 경험이야기는 <따뜻한 가정에서 자라다>, <울타리고 되고 싶다>, <나의 쉼, 가족>, <나의 18도>, <OSP를 통해 알게 되다>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내러티브 탐구 과정에서 경험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언어가 아닌 그림으로 나를 이야기하다>에서 그림으로 자신을 오롯이 드러내게 하였고, <너와 나, 우리를 이해하다>에서는 부부가 그림을 통해 진정한 소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였다. <부모님을 이해하고 부모가 되어가다>에서 원가족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부모님을 이해하고 더 나은 부모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아이, 그 새로운 시작을 열다>에서는 아이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경험이야기와 경험의 의미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첫 영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OSP 경험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드러내주었다. 첫째, 부부가 함께하는 OSP를 통해 ‘나’와 ‘우리’를 이해할 수 있었으며 보다 나은 관계로 나아가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OSP의 노코멘트(No-comment)의 자유로움 속에서 있는 그대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OSP의 인텐션(Intention), 위트니스 글쓰기(Witness Writing)의 과정은 자신이 찾고자 하는 것을 명확히 드러나게 한다. 넷째, OSP는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작업과 유사한 가치를 지닌다. 본 탐구는 첫 영아기 자녀를 둔 부부가 OSP를 통해 그림으로 소통하는 경험을 하게 하였으며 안전하게 자신을 드러내면서 자기이해 및 자기성장과 서로를 이해하는 경험을 하게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inquiry was to explore what an inquirer and her spouse with their first infant experienced through the Open Studio Process (OSP) and what the experience meant. Then, this study adopt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to reveal the meaning of experience. The inquirer conducted seven OSP sessions from July 2022 to August 2022, recorded all sessions, and transcribed recordings in verbatim form. The inquirer repeatedly read verbatim texts, found research keywords, and conducted two in-depth interviews. In addition, the inquirer gathered personal works, OSP training works, photos, and daily conversation notes as inquiry materials. The OSP experience narratives of the couple, focusing on the inquiry puzzle, were as follows. The experience stories were <Encounter me who couldn't grow up>, <Looked at a tree>, <Can I be a good mom?>, <Meet my parents after being an adult>, <Recognized through my child>, <Faced myself through OSP>, and experience stories of the spouse were <Grown up in a good family>, <I want to be a guaridan>, <My rest, family>, <My 18 degrees>, and <Getting to know through OSP>. In this narrative inquiry, the experience meanings were as follows. In <Described me through drawings, not words>, the inquirer was able to reveal herself through pictures, and in <Understanding you, me, and us>, it depicted their honest communication through drawings. <Understanding parents and becoming parents>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the original family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parents and becoming better parents. <The child, open the new beginning> narrated how to perceive the child from a new perspective. The meaning of experience stories and significance reveal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OSP experiences. First, through the OSP with the couple, the inquiry allowed them to understand 'me' and 'us'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Second, in the no-comment freedom of OSP, the couple could express themselves as it was. Third, the OSP's Intention and Witness Writing process guided them to reveal what they wanted to find. Fourth, OSP had similar values to artwork in art therapy. This inquiry resulted in the experience of their communication improvement through drawings through OSP, self-understanding, self-growth, and understanding each other while safely revealing themselves.

      •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이 직장 내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고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장 내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489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 직장 내 인간관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Reivich와 Shatte(2002)가 개발한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 RQT)문항을 한국문화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김주환(2011)의 KRQ-53(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을 사용하였으며,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허경호(2003)가 개발한 의사소통능력 측정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한 김유정, 박지혜, 안선희(2012)의 설문을 사용하였다. 직장 내 인간관계는 김희수(2016)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수정 및 보완한 설문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 및 Scheffe의 사후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의 경우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과 인간관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직장 내 인간관계 하위요인의 경우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가장 원만하였고 그다음으로 학부모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장 내 인간관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결혼상태,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혼상태의 경우, 미혼보다 기혼인 보육교사의 경우 인간관계 평균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의 경우, 대학교 재학 이상의 최종학력을 가지고 있는 보육교사가 고등학교 졸업 또는 전문대 졸업의 최종학력을 가진 보육교사보다 인간관계 평균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 직장 내 인간관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인간관계는 회복탄력성 전체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능력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이 직장 내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이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기존 연구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 직장 내 인간관계 간의 관계를 밝혀 추후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이 보육교사의 직장 내 인간관계에 있어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으며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직장 내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 타인과의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인 의사소통능력도 중요하지만, 교사의 개인적인 특성과 주변 환경적인 요인을 포함하여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회복탄력성을 길러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원만한 인간관계 증진을 꾀하기 위하여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비 또는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 등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보육교사의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을 도모하여 보육교사의 개인적인 삶의 질뿐만 아니라 보육의 질까지 높일 수 있도록 하고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main spokesperson on the workplace relationships of child care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489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human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re teach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n marriage status and final education. In the case of marital status, child care teachers who had married showed higher average scores on human relationships than unmarried people. In the case of final education, child care teachers with more than four-year college degrees scored higher on average on human relationships than that of whom graduated from high school or graduated from a junior colleg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human relationship in the workplace. Third,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were found to affect overall relationships with the director, fellow teachers and parents who 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Relative influences on human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were shown in order of resilienc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that had not been done in previous studies for child car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omote resilienc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 in order to encourage a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Ultimately, the government should aims to encourage a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so that they can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ir personal lives.

      • 색면추상 시각을 통해 본 조형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정고은 숙명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artists, creative originality is depended by immediacy of expression, relations with the outer world and response of desire from inner life. Their works would thereby, deliver various kinds of pattern and their thoughts of purpose for arts became diverse through individual experience. Abstract art that had been variously unfolded from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has expressed the inner world of humane in various and in depth compare to other period. Out of such modern art from the postwar days, America was able to develop their paintings more like American style by breaking from tradition of Europe. The aim of color field abstraction among those is to discover absolute abstract design that has inner persuasion and simplicity developed from the abstract art. As of a result, the point that it made an effort through extreme expression pattern in accordance with symbolism of coloring itself could be regarded as a cardinal point in the development of history of modern paintings in the postwar days. In particular, the study is aiming to understand on expression pattern of the color field abstraction through the art world of Mark Rothko, a renowned artist of the color field abstraction. The coloring on color field that structured the creative world of Mark Rothko has been simplified and by pursuing autonomous of immediacy of coloring itself including mysterious character and silence of the color field have created a physiological value through fine oscillation from square of a non-fixed shape of a picture. In addition, it intended to make an allusion of ultimate definition for human that aim for something that is pure and transcendental in a progress where the size of pictures are becoming large scale. The vividly embossing point here is that while the artist express myth spirit which is a result of he's own inner necessity, he also suggested a painting that embossed sublime to pure ideology and created a new patter of art that is sublime. This study intended to systemize my own work which formally and partly combined geometric design elements that visually holds affect that influence inner part of my work of sublime beauty and expression pattern that showed on the color field abstraction, thereby understand and develop. My work take basis on religious inner necessity, connects to work that corresponds to the ideology and basis on inner impulsive value in the sublime theoretical point of view, and completed in a painterly language on formality of work which affected on expression pattern of color field abstraction. While the color field is simplified by covering in many layers of coloration, it is expressed in coloring that has figurative of an intensive language and formed together with the geometric design elements which is a representative means of expression that could appeal in direct feeling as a reasonable figure to understand modernism and thereby established an abstract visual language by expressing a dynamic relation of objects. As such, the purpose is to view the world pursued by oneself as a viewer or experienced as such, wish to seek for a development strategy by giving a in-depth thought on my own work of world and pursue in developing a continual direction as an artist. 미술가들에게 창조적인 독창성은 내적인 삶의 요구들에 대한 반응과 외부 세계와의 관계, 그리고 표현의 직접성에 의해 좌우된다. 이로써 그들의 작품은 매우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되고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 그들이 생각하는 미술의 목적도 다채로워졌다. 20세기 초부터 다양하게 전개되어 온 추상미술은 그 어느 때 보다도 인간 본연의 내면세계를 깊고 다양하게 탐구하고 표현하였다. 그러한 전후의 현대미술 중 미국의 경우는 유럽의 정통성에서 탈피해 더욱 더 미국적인 회화로 발전하게 된다. 그 중 색면추상은 추상미술에서 발전하여 내면적인 설득력과 단순하면서도 색채에 대한 독창성을 갖춘 절대적인 추상형식을 발견하고자 했다. 그 결과 전반적인 가치의 중심을 상실한 20세기 정신적 황폐함 속에서 존재의 영역을 색채 자체의 상징성에 의한 극단적인 표현양식을 통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전후 현대 회화사의 발전에 중요한 기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색면추상의 대표작가 마크 로드코의 작품 세계와 예술론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색면추상의 표현양식에 관해 이해하고자 한다. 마크 로드코의 독창적인 세계를 구축해 나간 색면에 의한 색채는 단순화되고 색면의 정적이고 신비한 성격과 색채 자체의 직접성과 자율성을 추구하여 화면의 비정형적인 사각형의 미묘한 흔들림을 통하여 정신적 가치를 창출하였다. 또한 화면의 크기가 대형화 되어가는 전개과정에서 순수하고 초월적인 것을 지향하는 인간의 궁극적 의미를 암시하려 했다. 뚜렷하게 부각되는 점은 작가 자신의 내적 필연성의 결과인 신화 정신을 표현하며 숭고를 순수이념으로 부각시킨 회화를 제안하였고 숭고한 새로운 양식의 미술을 탄생시켰다. 본 논문은 색면추상에 나타난 표현양식과 숭고미가 본인 작품의 내적인 부분에 미친 영향과 시각적으로 갖는 기하학적 조형 요소들이 형식적인 부분으로 결합된 본인의 작업을 구체화시켜 잘 이해하고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본인이 추구하는 작품은 종교적인 내적 필연성을 바탕에 두고 그 이념에 부합하는 작업을 연결시켜 숭고론적인 시각에서 내면적 충동가치를 바탕으로 하고, 색면추상의 표현양식이 작품의 형식적인 부분에 미친 영향을 회화적 언어로 완성시켰다. 색면은 엷게 여러 번 입혀 착색시켜 단순하지만 강렬한 언어로 조형성을 가진 색채로 표현되고, 현대를 이해하는 합리적인 조형으로서 직접적으로 감정에 호소 할 수 있는 대표적인 표현수단인 기하학적 조형요소들과 함께 구성해 사물들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를 표현해 추상적인 시각 언어를 구축하였다. 이처럼 본인이 추구한 세계를 관람자 또한 동일하게 경험하기를 원하며 본인의 작품세계를 돌이켜보고 깊이 생각해 작업의 발전방향을 찾고, 작가로서의 지속적인 방향과 발전을 지향하는데 목적이 있겠다.

      • 중학생의 영어 읽기 동기와 불안이 읽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

        정고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taking a look at the difference of the reading strategy, reading motivation and anxiety by the variable of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8th grade and the 9th grade, the correlation among the reading strategy, anxiety and the motivation, and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motivation and anxiety on the reading strateg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had been the students in the 8th grade and the 9th grade at the junior high schools that were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number of the samples was 317. In order to find out the English reading strategy, motivation, and anxiety of the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nd the data had been collected. If I wer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y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it was analyzed that there had been some variables that brought forth the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reading strategy, motivation, and anxiety of the learner. As for the personal variables of the learner that had the influences on the reading strategy, there had been the gender, the grade, and the level of the interest in the study of the English language. Regarding the reading motivation, there had been the gender, the time of the beginning of the study of the English language. And, regarding the reading anxiety, there had been the gender and the level of the interest in the study of the English language. I would like to say that, regarding the level of the interest in the study of the English language, as it is a variable of the learner that brought forth the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strategy, the motivation, and the anxiety, there is a need for the teachers to worry in order to create the class atmosphere for heightening the level of the interest in the English language of the learners at the site of the learning. Secondly, when I had taken a look 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ading strategy, motivation, and anxiety, it appeared that the correlations were very significant. When I had taken a look at the correlations by variable, regarding the reading motivation and the strategy, the positive (+) correlation was high. Regarding the reading anxiety and the strategy, there was the negative (-) correlation. And, regarding the reading motivation and the anxiety, too, there was the negative (-) correlation, in the same way. Among the correlations between all of the factors, when I had taken a look at the things of which the relevances were high, there were the grammar and the words anxiety, the ordinary reading anxiety, the internal values and the external values, the metacognitive strategy and the socio-emotional strategy, the socio-emotional strategy and the external values, and the socio-emotional strategy and the internal values, and the positive correlations were high. As a result, if these three factors are considered in a balanced way and, especially, if the variables of which the correlations are high are considered in a balanced way and are applied to the field, it looks like the effects will be gathered in an easy way. Thirdly, it appeared that, between the overall reading motivation factors and the overall reading anxiety factors, a part had an influence on the use of the reading strategy. If we take a look at the motivation factor and the anxiety factor that have the influences by lower-ranking strategy, in the case of the cognitive strategy, the internal values, the importance of reading, and the level of the preference had the influences. And, regarding the compensation strategy, there were the internal values, the importance of reading, and the grammar and word anxiety. And, it appeared that, regarding the socio-emotional strategy, the internal values, the external values, and the importance of reading had the influences.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appeared that the internal values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all of the strategies, it can be said that, for the efficient learning of the English language by the learners, there is the need for a research regarding the method for heightening the interest in, and increasing the attention to, the reading study on the part for the learn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as understood that the overall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some factors of the reading anxiety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use of the reading strategy. I have the high expectation that more researches will take place regar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guidance on the efficient reading strategy and for lowering the factors of the triggering of the motivation and the anxiety regarding the learning of the English reading by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special,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based on thi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학습자 변인 별 읽기 전략, 동기, 불안의 차이, 읽기 전략, 읽기 동기, 읽기 불안의 상관관계, 읽기 동기 및 불안이 영어 읽기의 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2, 3학년 학생 이었으며, 표본수는 317명이었다. 학생들의 영어 읽기 전략, 동기, 불안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읽기 전략, 동기, 불안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온 일부 변인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읽기 전략에 대해 영향을 미친 학습자 개인 변인으로는 성별, 학년, 영어공부의 흥미도가 있고, 읽기 동기에 대해서는 성별, 영어 학습 시작 시기, 영어 공부의 흥미도가 있으며, 읽기 불안에 대해서는 성별, 영어 공부의 흥미도가 있다. 영어 공부에 대한 흥미도는 전략, 동기, 불안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온 학습자의 변인이므로, 교사는 학습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기 위한 수업 분위기 조성을 위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읽기 전략, 동기, 불안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상관관계가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읽기 동기와 전략은 정(+)의 상관성이 높았고, 읽기 불안과 전략은 부(-)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읽기 동기와 불안도 마찬가지로 부(-)의 상관성이 있었다. 전체 요인 간 상관관계 중에서 관련성이 높은 것을 살펴보았을 때, 문법 단어 불안과 일반 읽기 불안,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 메타인지 전략과 사회정서 전략, 사회정서 전략과 외재적 가치, 사회정서 전략과 내재적 가치가 있었으며, 정의 상관성이 높았다. 따라서 이 세 요인을 균형적으로 고려하고, 특히 상관성이 높은 변인들을 균형적으로 고려하여 현장에 적용한다면 용이하게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학생들의 전반적인 읽기 동기 요인과 읽기 불안 요인 중 일부가 읽기 전략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전략별로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과 불안 요인을 살펴보면, 인지 전략의 경우 내재적 가치, 읽기 중요성, 선호도가 영향을 미쳤고, 보상 전략에 대해서는 내재적 가치와 읽기 중요성, 문법 단어 불안이 있고, 메타인지 전략에 대해서는 외재적 가치, 내재적 가치, 읽기 중요성이 있으며, 사회정서 전략에 대해서는 내재적 가치, 외재적 가치, 읽기 중요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가치가 모든 전략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학습자의 효율적인 영어 학습을 위해 학습자들에게 읽기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전반적인 영어 읽기 동기와 읽기 불안의 일부 요인이 읽기 전략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읽기 전략 지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과 학생들의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과 불안 요인을 낮추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 드라마 음악을 활용한 클래식 음악 감상 지도 방안

        정고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st fundamental thing to experience music is the activity of listening to music. Through listening to music, children can develop aesthetic experiences and happiness, their latent creativity and musicality. Therefore, listening classes should be taught so that children can experience music in a variety and natural way with interest. In particular, when learning classical music, it is more effective to teach an appreciation class using classical music in a drama rather than a traditional listening class. In this thesis, classical music is used in the drama Sky Castle to make students more naturally interested in classical music. Therefore, a teaching/learning guide plan for listening to classical music using drama music was presented. Through the 1st class, the students were made aware of the effect and meaning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matic song on the drama image. Dramatic video can be used to naturally tell why a thematic song was chosen for a scene and its musi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ctivity sheet, the students' interest in classical music was increased by freely imagining whether the atmosphere of the thematic song and the drama scene would go well together. In the 2nd class, students can learn about the role of background music and the theme song. Students learn the importance of background music by looking at scenes where music that does not fit into the video is inserted. After teaching the background music, students have time to learn about the theme song and can easily learn the theme song that symbolizes the characters in the play through the drama. The reason why thematic song was chosen as the theme song for the characters in the drama is explained based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applied through the activity sheet. The expected effects of classes applying these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s are as follows. First, by using the drama Sky Castle,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classes can be conducted more efficiently. Through drama videos, you can understand the plot and arouse interest, which will induce students to take an active class attitude. Watching and listening to appreciation class can promote students' motivation. Seco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video content and musical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classical music inserted in Sky Castle as a thematic song after understanding the plot of the drama. Students can compare and feel the flow of the video, the form of the music, and the composition of the instrument, and rel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haracter to the music. Student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matic song and the composer's intention through the drama scene. Third, children's creativity and observation skills can be nurtured through the activity of finding classical music that suits the people around me. In this thesis, the activity of presenting each selected classical music was presented. Through activities, students can become more naturally interested in classical music.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are expected to develop self-directed abilities and to have easy access to music. If a teaching method using not only drama or movie music but also commercial music or sound effects is developed and the results are derived, learners can participate in music classes more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I suggest that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using various media and methods be presented in school music education. 음악을 경험하는 데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음악을 감상하는 활동이다. 음악 감상을 통해 아이들은 미적 경험과 행복, 잠재된 창의성과 음악성을 기를 수 있다. 따라서 감상수업은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고 음악을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특히 클래식 음악을 학습할 때에는 전통적 감상수업의 형태보다 드라마에 나오는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감상 수업 지도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래식 음악을 드라마 <스카이 캐슬>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더 자연스럽게 클래식 음악에 관심을 갖게 한다. 그리하여 드라마 음악을 활용한 클래식 음악 감상을 위한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1차시 수업을 통해 제재곡이 가지는 음악적 특징이 드라마 영상에 주는 효과와 의미를 학생들에게 알게 했다. 드라마 영상을 활용하여 제재곡이 장면에 선택된 이유와 음악적 특징을 자연스럽게 알려줄 수 있다. 활동지를 통해 제재곡의 분위기와 드라마 장면이 잘 어울리는지 자유롭게 상상하며 클래식 음악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있었다. 2차시 수업에서는 배경음악의 역할과 주제곡에 대해 알 수 있다. 영상에 맞지 않는 음악이 삽입된 장면들을 보며 배경음악의 중요성을 알게 한다. 배경음악에 대해 가르친 후 주제곡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극중 인물을 상징하는 주제곡을 드라마를 통해 쉽게 학습할 수 있다. 제재곡이 드라마 속 인물 주제곡으로 선택된 이유를 음악적 특징을 토대로 설명하고 활동지를 통해 적용해본다. 이러한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적용한 수업의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 <스카이 캐슬>을 활용함으로써 클래식 음악 감상 수업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드라마 영상을 통해 줄거리를 이해하고 학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 적극적인 수업 자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보며 듣는 감상수업은 학생들의 동기 유발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드라마 줄거리를 파악한 후 <스카이 캐슬>에 삽입된 클래식 악곡을 제재곡으로 사용하여 영상 내용과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는 활동이 가능하다. 영상의 흐름과 악곡의 형식과 악기 구성을 비교하여 느낄 수 있으며 주인공의 성격과 악곡 특징을 연관지어 감상할 수 있다. 제재곡이 가진 특징과 작곡가의 의도를 드라마 장면으로 통해 감상할 때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내 주변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클래식 음악을 찾아보는 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창의성과 관찰력을 기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자 선정한 클래식 악곡을 발표하는 활동을 제시했다.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클래식 음악에 보다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활동들로 자기주도 능력을 기르고 쉽게 음악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드라마나 영화 음악뿐 아니라 광고 음악이나 효과음들을 활용한 교수법을 개발하고 결과물을 도출해낸다면 학습자들은 더 효율적이고 흥미롭게 음악 수업에 임할 수 있다. 학교 음악 교육에 있어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활용한 교수 ‧ 학습 지도안들이 제시되었으면 한다.

      • 개인 팀 가치적합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 동료신뢰와 동료대상 발언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고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조직 내에서 발언행동이라는 역할 외 행동의 중요성이 많이 시사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조직 전체에서의 맥락적인 측면에서의 접근과 리더의 특성을 중심으로만 진행되어왔다. 특히 상사를 대상으로 하는 발언행동에만 초점이 맞춰줘 왔기에 발언행동의 개념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에 따른 발언행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사를 대상으로 하는 발언행동을 예측하기 위해서 Nahapiet 등(1998)의 사회적 자본 형성 모델을 바탕으로 개인-팀 가치 적합이 동료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신뢰가 대상에 따른 발언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동료 신뢰가 동료를 대상으로 하는 발언행동으로 먼저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살펴보고, 순차적으로 동료대상 발언행동이 상사대상 발언행동으로 까지 확장될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총 SPSS 20과 AMOS 2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개인과 팀 간의 가치 적합 지각의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신뢰 수준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형성된 동료 간의 신뢰는 동료를 대상으로 하는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팀 가치 적합은 동료를 대상으로 하는 발언행동과의 관계에서 동료신뢰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료를 대상으로 하는 개인의 발언행동은 상사를 대상으로 하는 발언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동료신뢰와 상사 대상 발언행동 간의 관계에서 동료 대상 발언행동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연구가 갖는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통합적으로 논의하였다.

      • 담배광고 및 사용경험담에 대한 노출과 흡연 의향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정고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담배광고 노출이 이후 담배 사용과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으며, 소셜미디어와 같은 뉴미디어를 통해 담배광고가 사용경험담과 같은 형태의 정보로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게 접근하기 쉽게 변화된 것도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여러 향과 맛을 첨가하는 가향은 담배의 홍보수단으로써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흡연 시도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법적으로 담배광고를 규제하고 있지만 FCTC 규정의 포괄적인 담배광고 규제 항목 이행은 아직 불완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향 및 비가향 담배광고 및 사용경험담 노출 채널을 분석하고 흡연 의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질병관리청에서 시행된 온라인 조사 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만 13세~만 39세 비흡연자 3,656명(남 1,929명)에서, 유튜브, 틱톡,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뉴미디어 및 신문, 라디오, TV와 같은 전통미디어에서 가향 및 비가향 담배광고와 사용경험담 노출 현황을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노출 매체에 따른 흡연 의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만13~18세 23.1%(844명), 만19~24세 43.9%(1,605명), 만25~39세 33.0%(1,207명)을 분석한 결과, 가향담배와 비가향 담배광고 매체 노출 모두 전통미디어에서는 편의점이 각각 19.8%(724명), 17.8%(65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뉴미디어에서는 유튜브가 각각 20.5%(750명), 16.8(613명)으로 가장 많았다. 담배광고 및 사용경험담 매체 노출과 흡연 의향간의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담배광고 및 사용경험담 노출 시 흡연 의향은 뉴미디어만 노출 또는 뉴미디어와 전통미디어 양쪽 모두 노출 시 유의하게 높았으며(OR 2.52, 95%CI 1.98-3.22), 전통미디어에만 노출 시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담배광고 및 사용경험담 노출을 가향 담배광고와 비가향 담배광고 노출로 나누어 보았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비가향 담배광고 및 사용경험담 노출 시에는 전통미디어에서도 흡연 의향이 유의하게 높았다. '뉴미디어'에서 '가향담배' 광고 노출 시 흡연 의향 오즈비는 3.44(95%CI 2.76-4.29)였다. 결론: 연구 결과 뉴미디어에서의 담배광고 및 사용경험담 노출은 흡연 의향과 관련성이 있었다. 국내외 뉴미디어에서의 가향 담배광고의 폐해를 막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소셜미디어 상에서 담배광고의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보건교육과 대책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열 임피던스 측정을 통한 Gd₂Zr₂O7 박막의 열전도도 분석

        정고은 부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Gd2Zr2O7 shows the Pyrochlore structure which is similar to the Fluorite structure missing 1/8 oxygen. Pyrochlore structured materials have been of interest recently as thermal barrier coating materials because they show low thermal conductivity due to the oxygen vacancy. This study reports the preparation and thermal characterization of Gd2Zr2O7 films deposited on Al2O3, YSZ substrates. Gd2Zr2O7 thin films of various thickness are deposited by using a Pulsed laser deposition method. The structural crystallization, surface roughness, and thickness of the thin films are characterized with X-ray diffraction, Atomic force microscopy(AF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pectively. Thermal conductivity of Gd2Zr2O7 thin films is measured with two different kinds of 3ω method, the original and extended 3ω metho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Gd2Zr2O7 thin films exhibits dependence of film thickness. The thickness dependent thermal conductivity is ascribed to the interfacial thermal resistance between the Gd2Zr2O7 film and substrates. The interfacial resistance is obtained by fitting the thickness dependent thermal conductivity with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equation. The interfacial resistance values of Gd2Zr2O7 film on Al2O3 and YSZ substrates are 0.455 0.0852 × 10-7m2KW-1 and 0.432 0.0632 × 10-7m2KW-1, respectively.

      • 시각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정고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encounter a variety of information through visual images in our life. With the growing influence of mass media,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transmitted mainly through visual images. In order to understa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interpret and accept visual images properly, visual communication is important, and this requires education that raises the ability to share one’s thought and feeling with others. The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is the ability to come up with visual images and use them to deliver one’s thought to others and to understand and share the visual images of others. Typo illustration makes effective communication possible through creative visualization and delivers information by expressing the meaning of words as visual images. It is also valuable due to its effectiveness in delivering the meaning of visual images, an important factor in the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and valuable as a visual tool that can raise the accuracy of delivering the meaning of words. Therefore, understanding of typo illustration and the attempt to express using it offers a chance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This study used typo illustration and designed a middle school art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and applied it to class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ypo illustration and visual communication, this study tested the possibility that an art education program that uses typo illustration will raise the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extracted the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classes, and searched a way of teaching and guiding study. The learning stages of this art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five stages--perception stage, communication stage, idea stage, production stage, criticism stage. These stages were made by reflecting academic capacity and the core concepts of content system of the revised school curriculum of 2015 and they focus on raising the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through an art education program that uses typo illustration. This study conducted four sessions of classes with 144 third graders of H middle school, and through analysis of portfolios, which were the results of classes, analysis of peer evaluation result, and analysis of self evaluation result, it deduced the following educational effect and resul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First, through an art education program that uses typo illustration, this study could explore the function and meaning of visual language hidden behind the visual images and raise the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Second,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the members of a group, various ideas were conceived and ideas that could make the closest expression to the meaning were selected and used for creative activities. Third, by using typo illustration that can interpret and visualize the meaning of words, students produced works that are effective in delivering the meaning of visual images and have improved accuracy of conveying the meaning of words. Fourth, the opinions about works made by groups were collected and presented, and various works of other groups were appreciated and evaluated.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could raise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group members and other groups using visual tool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rt education programs that use typo illustration ca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mproving students’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There were cases, however, where a few number of passive students could not present their ideas in group learning setting and the opinion of leading students ended up representing the opinion of the group. So following studies should test the significance of improving the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of all the students of each group. Also, attempts should be made to involve more than 4 sessions of classes with depth and to measure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depending on key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