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피아노를 통한 즉흥연주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 초.중급 과정을 중심으로

        전효숙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Korea has accomplished economic development which has enabled us to enjoy more abundant life and made us to feel emotional satisfaction, which brought about high interest of music and increased population of musicians. Above all, a piano has been pervaded most widely. Nowadays the education of piano is regarded as the most common education of music. Nevertheless the education of piano has mostly been concentrated on its function for acquiring playing technique and students are apt to lose their interest of piano and cannot feel beauty of music so that their musical talent couldnt be developed. Especially neglected area of teaching piano is developing musical creativity. There are little opportunities of improvisation in which most of private piano lessons, a student can freely express his feeling and emotion or change existing tune diversely so that he cant feel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of creative express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one to develop ones potential musical creativity in order to enjoy studying piano and music. Most of all it is to present the method of guidance for piano improvisation which can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musical faculties and creativity. This study shows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of music and creativity presenting the method of guidance for improvis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each beginner or intermediate students. It considers improvisation educationally in all aspects and also presents various methods of teaching improvisation in the 20th century. The concret methods of guidance for improvisation are by exploring sound, creation of melody, accompaniment, varia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In order to unfold these four methods each method has practical examples from related piano textbooks for further study. 근래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과 성장은 생활의 여유 속에 좀 더 윤택한 삶 을 위한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게 하였고, 이런 욕구는 음악에 대한 높은 관 심으로 이어져 음악 활동 인구의 증가를 가져왔다. 특히 음악을 접하는 데 피아노가 널리 보급되고 대중화 됨에 따라 피아노 교육은 가장 보편적인 음 악교육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대부분 피아노 교육은 단순 히 연주 기술의 습득을 위한 기능적인 면에 치중해 있어 학생들이 쉽게 흥 미를 상실하고 음악의 미적인 면을 느끼지 못하며 잠재된 음악적 능력이 개 발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개발이 잘 안되고 소홀히 다루고 있는 부분은 음악적 창조성을 개발 시키는 부분으로 주어진 곡 이외에 자신의 느낌과 감정대로 새롭게 변형해 보거나 표현해 보는 즉흥연주가 잘 다루어지지 않아 창조적인 표현 활동의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아노 학습의 동기를 유발시켜 음악에 대한 즐거움을 도모하고, 개개인의 잠재된 음악적 창의성을 개발하며, 학생들의 음악적 능 력 발달에 도움이 되기 위한 피아노를 통한 즉흥연주 지도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급 수준의 학생들의 피아노 지도에 적용시킬 수 있 는 즉흥연주 지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음악교육과 창조성과의 관계를 살 펴보았으며, 즉흥연주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적 고찰을 하였고, 20세기 음악 교육에서 나타난 즉흥연주의 여러 가지 방법들을 알아보았다. 즉흥연주의 구체적인 지도 방법으로는 첫째, 소리 탐색 즉흥연주, 둘째, 멜로디 창작 즉흥연주, 셋째, 반주에 의한 즉흥연주, 넷째, 변주에 의한 즉흥 연주, 다섯째, 창작 즉흥연주이며 이 다섯 가지 방법들을 전개하는데 있어 각 방법마다 관련 피아노 교재들에서 활용가능한 예를 들음으로써 배우는 교재와도 연관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즉흥연주는 창조적 표현 능력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서 창 작 행위의 하나인 만큼 음악 활동 중 가장 총체적인 기능을 요구하며 포괄 적 음악 성장을 유도한다. 이러한 즉흥연주가 피아노 교육 현장에 활발히 행하여져서 창의성과 음악성 발달에 기여하길 바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소재와 방법을 이용한 즉흥연주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가족기업 승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효숙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earch was to analyze the actual proof about how the succession factor affects the succession planning context for the successful succession of the family-run business. For this, the researcher suggested synthetically the succession factor and formed this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of the family-run business and succession. Based on a survey targeting the current CEO and successor who affect the succession plan and action and the family members and employees who take part in the company management,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actual proof about the factor that affects the justification for the succession, which is the basis for the succession planning context, and the succession-related communi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urvey and rearranged the succession factor through the analysis on the primary factor and actual proof of this. Based on the current CEO’s will of success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family system and successor as the independent variableness are configured for the succession factor. The subordination variableness is configured for the justification for the succession and the succession-related communication, which are the basis for the succession planning context. The researcher analyzed this variableness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searched whether the factors verified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 in the West, which affect the succession, are applied to the family companies among the small businesses in Korea. If applied, in the case of Korea on different level of culture, this researcher research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its influence. The positi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bove all,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the justification of the succession’, which is the sub factor of the succession planning context, and the research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at is different from the advanced research,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family-run business (devotion and absorption), which is the factor that affects the justification of the succession in the factor of family system characteristic, was confirmed as a significant influence factor.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 on the other hand, ‘reliable family relationship’ is claimed as the biggest influence factor to the justification of the succession. The reliable family relationship has less influence on the succession than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family-run business in this research. Secondly, pointing out ‘gender and age’ as the most influence factor on ‘the justification of the succession’ is the very different research find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e empirical research. In case of the family-run businesses in Korea,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West, the researcher was to confirm that the distinctions between male and female (traditional primogeniture) and the age of the successor are highly regarded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justification of the succession’, and it is also the confirmable result that the position for the right age about ‘Justification of succession’ are highly regarded in case of the male. That is, the result makes inference that the successor should be enough age for the position, the successor doesn’t have a big difference with employees in the company, and the successor should be the man or the eldest son clearly.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justification of succession are ‘gender and age’, and ‘individual talent (sincerity). The survey results about the variableness, which affects the communication for succession, showed that the factors of trust family relationship have the important influence on communication for succession like advanced research. In other words, the mutual persons concerned about the content of the succession require the communication with the trust between family and attachment for business like the harmony between families, happy relationship, and share of decision-making etc. to keep the family company. 본 연구는 가족기업의 성공적인 승계를 위하여 승계요인이 승계 실행기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가족기업과 그 승계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승계요인의 종합적인 제시를 하고, 이를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구성하였다. 승계계획과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현 최고경영자, 후계자, 기업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가족구성원 및 가족구성원이 아닌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승계 실행기반이 되는 승계의 정당성과 승계관련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승계요인들의 요인분석 및 실증분석을 통하여 승계요인을 재배열 하였으며, 현 최고경영자의 승계의지를 전제하고 독립변수에는 경영관리 관행, 가족체계 특성 및 후계자 특성을 독립변수로서 승계요인으로 설정 되었다. 종속변수에는 승계 실행기반이 되는 승계의 정당성과 승계관련 의사소통으로 설정 되었다. 이 변수들을 다중회기분석으로 분석하여 주로 서구의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밝혀진 승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우리나라 중소기업속의 가족기업에도 적용되는지, 적용된다면 문화를 달리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그 영향력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지 등을 조사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승계실행 기반의 하위 요인인 ‘승계의 정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다른 연구결과로서 승계의 정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족체계 특성 요인 중 ‘가족기업의 지속경영(헌신과 몰입)’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검증되었다는 점이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보면 승계의 정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신뢰적인 가족관계’가 주장되고 있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신뢰적인 가족관계는 가족기업의 지속경영 요인보다 승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둘째, 본 실증연구에서‘승계의 정당성’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성과 연령’을 지목한 것은 기존 연구결과와 매우 다른 연구결과이다. 서구와 달리 국내 가족기업의 경우에는 ‘승계의 정당성’의 인식에 있어서 후계자로서 남, 여에 대한 구별(전통적인 장자 상속의 원칙)과 연령이 중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직급에 맞는 연령과 남자의 경우에 ‘승계의 정당성’에 대해서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즉, 승계자 혹은 후계자는 직급에 맞는 연령으로써 기업 내의 종업원과 큰 격차가 없어야 하며 남자 혹은 장자 승계가 당연하다는 인식이 여실히 드러난 결과로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승계의 정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성과 연령’과‘개인자질(성실성)’이 뚜렷한 영향요인으로 보여 주었다. 승계관련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대한 조사결과는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에서 같이 ‘신뢰적인 가족관계’요인이 ‘승계와 관련한 의사소통’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다고 밝혀졌다. 즉, 가족 간의 화합, 원만한 관계, 의사결정의 공유 등 가족 간의 신뢰를 가지고 사업에 애착을 느끼고 가족기업으로 지속하기 위해서 승계에 관련된 내용에 대해 이해관계자 상호간에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전효숙 연세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의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가치의 다원화, 환자의 권리신장 등으로 인해 의료현장에서는 개인이 결정하기 힘든 문제들이 늘어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학제적 구성원들이 모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병원윤리위원회가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병원윤리위원회가 아직까지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원인들이 많이 지적되고 있지만 위원들의 전문성 부족, 윤리자문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윤리자문의 전문 인력으로서 윤리자문가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그 역할을 토대로 윤리자문가 되기 위한 필수조건들을 모색하며, 이들의 역할이 우리 사회에 정립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a$$a첫째, 윤리자문은 보건의료윤리 현장에서 발생하는 가치내재적인 이슈들의 불확실함과 갈등을 호소하는 환자, 보호자, 대리인, 의료제공자 또는 그 밖의 관련 당사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개인 혹은 집단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윤리자문을 행하는 전문 인력으로서의 윤리자문가의 역할은 의사결정자가 아닌 윤리촉진자로서의 역할로서, 윤리적 개념과 이론들을 통해 윤리적 문제를 확인하고 분석하며, 당사자들이 그 사안에 대한 도덕적으로 수용가능한 합의를 도출하도록 촉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윤리자문가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사실을 모으고, 도덕 원칙을 확인하며, 당사자들의 상호의견을 파악하여, 의견이 다른 당사자들의 감정, 이익, 권리들을 존중하며 그들이 만족할 수 있는 선택에 도달할 수 있도록 중재해야 한다.$$a$$a둘째, 윤리자문가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는 지식, 기술, 덕목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지식은 윤리와 의료, 법정책, 중재에 관한 지식인데, 윤리는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고, 의료에 관한 지식으로는 보건의료 시스템, 임상 실무, 해당의료기관의 관한 지식들이 해당된다. 법정책에 관한 지식으로는 의료기관의 방침, 환자들의 신념과 관점에 대한 지식, 전문직 윤리강령과 생명의료윤리 관련 법과 판례에 대한 지식이다. 법과 정책은 윤리적인 갈등의 대안을 찾고자 할 때 반드시 고려되어야할 사항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 다음으로 윤리 자문가에게 요구되는 기술로는 윤리 사정 기술, 진행 및 갈등 중재기술, 대인관계 기술이 있다. 윤리사정기술은 윤리적 문제를 확인하고, 분석, 평가하는 기술이고, 진행 및 갈등중재에 관한 기술은 윤리자문의 전반적인 진행과 확인된 윤리적 문제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중재에 관한 기술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기술은 윤리자문이 다양한 당사자들과의 관계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중요하다. 세 번째로 윤리 자문가에게 요구되는 것은 덕목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덕목들은 꾸준히 지속적으로 계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a$$a셋째, 윤리자문가가 우리 사회에서 그 역할을 뿌리내릴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그 결과 인력측면, 제도적 측면, 법적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먼저 인력 측면에서 가장 고려한 사항은 우리의 현재 상황에서 누가 윤리자문가로 양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지에 대한 논의였다. 그 결과 간호사가 지니는 특성 자체에 윤리 자문가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등이 이미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제도적 지원에 있어서는 윤리자문 서비스의 법제화와 행정적 차원에서의 지원, 윤리자문 활동을 보호 프로그램 개발 등의 방안이 있다. 윤리자문가의 법적 측면에 대한 논의에서는 윤리자문 절차상 해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는 법적 책임이 요구되고, 동시에 윤리자문가의 법적 권한은 법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a$$a윤리자문가의 역할을 살펴보니 병원윤리위원회의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에 소개된 윤리자문과는 상당히 달랐다. 윤리자문가가 윤리자문의 요청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자료수집 단계부터 환자의 동의를 구하면서 환자와 보호자의 참여를 존중하고 궁극적으로 윤리자문가가 윤리적 판단에 근거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역할이 아닌 당사자들이 그들의 스스로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윤리적 범위 안에서 만족스러운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촉진자로서,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현재 우리나라 보건의료현장에서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윤리자문가 양성이 우선되어야 할 과제이다.$$a$$a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pluralization of values and increase of patients'' rights, more problems are arising in the health care field that are hard to decide by oneself. A hospital ethics committee, in which multidisciplinary members come together to make decisions, has been proposed as aa alternative to this phenomena. However, in reality, hospital ethics committee in Korea are not being operated properly. Many reasons for this are argued, lack of professionalism from members and absence of professionals responsible for ethical consultation being a few example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ole of ethics consultant as professionals, examines conditions required for them to become ethics consultants based on these roles, and proposes plans for these roles to take place in Korean society. Results are as follows.$$a$$aFirst, ethics consultation is a service provided by individuals or group in order to help patients, family, representatives, health care providers or other related persons that are struggling with insecurities and dilemmas that arise in the health care. The role of an ethics consultant as a professional practicing ethics consultation is not that of a moral decision maker, but an ethics facilitator. Therefore, they identify and analyze ethical dilemmas through moral reasoning and ethical theory, then help the party concerned come to an ethically acceptable decision on the subject in question. In order to do this, the ethics consultant must gather facts about the ethical problem, identify and analyze the nature of the value uncertainty or conflict that underlies the consultation and facilitate resolution of conflicts in a respectful atmosphere with attention to the interest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those involved.$$a$$aSecond, the core competencies to become an ethics consultant can be divided into knowledge, skills and virtues. Knowledge is related to ethics and medicine, law and policies, ethics being the most fundamental. Knowledge of health and medical systems, clinical context, and that related to the specific health care institution are included in knowledge of medicine. The specific health care institutions''s policies, beliefs and perspectives of patient and staff population, and knowledge of laws and precedents related to professional ethical principles and medical ethics are included in knowledge related to law. Laws and policies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item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searching for a solution to ethical dilemmas. Next, skills required to an ethics consultant include ethical assessment skills, process and medi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Ethical assessment identifies, analyzes and evaluates the ethical problem, while process and mediation includes techniques related to intervention for searching for decision making to the overall process of ethics consultation and identifies ethical problems. Lastly. interpersonal skills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used by the ethics consultant in various relationships with related parties. The third thing required of an ethics consultant is good character. However,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o continuously and diligently develop these virtues.$$a$$aThird, a method in which ethics consultants could take root in Korean society was searched for.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aspects of human resources, institution and law. In human resources, the item most considered was who, in Korea''s current situation, would be the most desirable to train as an ethics consultant. The answer can be found in nurses, who, by nature of profession, already possess such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required of ethics consultants. In institutional support, there are such supports as legalization of ethics consultation, infrastructure support, and development of programs to protect ethics consultant''s activities. In the legal aspect of ethics consultation, legal responsibility is required in case of damage occurring in the ethics consultation process. At the same time, an ethics consultant''s legal authority must be insured by law.$$a$$aThe role of ethics consultant is very different from the ethics consultation introduced to Korea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hospital ethics committee. This is because an ethics consultant must promptly confront the needs of ethics consultation and respect the patient''s and family''s participation by seeking for the patient''s consent starting with the data collecting phase. Based on ethical judgement, the ethics consultant must act as a facilitator and mediator that helps the party concerned find a satisfactory solution, within the ethical boundary acceptable by social standards, on their own. In order to resolve Korea''s current ethicals dilemma in health care, the task of training of ethics consultants must be given priority.$$a$$a

      • 가족의 정서적 환경이 아동의 친구관계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전효숙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emotional environment 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ir gender.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874 primary school students in Cheong-ju cit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t-test, F-test, Scheffe post-hoc test, and correlation using SPSS 12.0 program. The theoretical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al matrix by using AMOS 7.0 program, which is introduced by a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family emo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grades, and sibling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emo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family structure, and economic status. Third, the girls perceived more positive peer-relationship than boys did. However, boys perceived more negative paternal-relationship than girls did. In addition, children who have siblings and are in high circumstance of their economic status are in positive peer-relationship. Fourth, the lower maternal education level is, the more negative peer-relationship children perceived. Fifth,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strength directly influenced both the boy and girls’ positive peer-relationship. Family worry directly affects girl's positive peer-relationship. Meanwhile, family worries directly influenced both negative peer-relationship. Family support had an effect on girl's negative peer-relationship. Sixth, family communication, strength, and worry directly influenced boy's loneliness. However, in girl’s case, only family support and family worries affect their loneliness. Seventh, family communication, strength, and worry had an indirect effect on both boys and girls' loneliness. On the other hand, family support only had an effect on girls' loneliness. Eighth, it showed that family worry is the important factor in family emotional environment for boys' loneliness. However, family support was important factor for girls'. Family strength was important factor for both boys and girls' positive peer-relationship. In case of negative peer-relationship, family worry was related to boys but, family communication was related to girls. In conclusion, as expect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ferent results between boys and girls existed. Thus, this study suggests it is needed for child counsellor to approach diverse ways to how to help and what to help them with proposed assumption of the results for this study.

      •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전효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생아에 관련된 의학기술과 치료방법의 발달은 다양한 윤리적, 법적 딜레마를 가져왔다. 그 중에서도 재태기간이 24주도 안 되는 초미숙아부터 심한 기형을 여러 개씩 동반한 채 태어나는 고위험 신생아들을 치료하는데 있어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지 언제 중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크다. 그들을 치료하는 과정이 길고 고통스러우며, 그 예후가 확실하지 않고 장애가 남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치료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치료적 의사결정에 있어서 실제 임상에서는 대부분 의사가 권유하는 대로 실시하거나 부모가 의사의 권유에 반하여 요구하는 경우는 부모의 의견을 따르는 것이 관행이었다. 그러나 최근 보라매병원 사건 의 영향이 더해져, 병원에서는 치료중단에 대해서 상당히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어 모든 환자들을 끝까지 치료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아기들은 물론 그들을 치료하고 있는 부모들과 의료진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위험 신생아 치료중단을 결정할 때 윤리적인 의사결정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의 자율성 원칙과 선행원칙에 의하여 그 정당성을 찾을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아이의 최선의 이익기준, 무의미한 치료, 삶의 질,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라는 원칙들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의 유형을 분류하여 위의 기준들을 가지고 정당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분류된 유형과 4가지 원칙들을 토대로 고위험신생아 치료 중단을 결정하는데 있어 실제적으로 적용가능한 윤리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1) 모든 가능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죽음이 불가피한 경우 (2) 가능한 한 치료로 생명은 유지할 수 있으나 인간관계를 전혀 맺지 못하는 경우 (3) 생명연장을 위한 고통(정신적, 육체적, 경제적)이 큰 경우 (4) 고통이 수반된 치료에도 불구하고 생존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 (5) 진행적이고 불가역적인 질환으로 아기와 가족의 삶의 질이 심하게 손상받을 경우 셋째, 이러한 윤리적인 기준을 활용하고 결정하는 주체로서는 병원윤리위원회를 제시하고 있다. 병원윤리위원회의 집단의사결정 과정을 거치는 것이 당사자들의 법적 책임을 완화시켜주고 사회적으로 합리적이고 합당한 결정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병원윤리위원회가 이러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새로운 조직 개편과 그에 따른 기능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오늘날 의료환경의 변화는 의료의 의무가 더 이상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만 국한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서 의료의 한계를 인정하고 보다 윤리적인 의사결정과정을 거쳐 치료중단을 고려해야만 한다. The advances in newborns related medical treatment and technology have brought us new ethical and medico-legal dilemmas. Amongst them, the decision as to when to start or to withdraw the treatment for infants with 24 weeks gestation extreme premature or in lethal congenital malformation is a very crucial matter. The treatment process is normally long, painful, and the prognosis is unpredictable, generally leading to a disability of some sort. Therefore it is a very tough decision to make whether to withhold or to with draw the treatment. In the practical medical decision-making process, it is almost a "tradition" to follow the doctors' advisory, unless the parents do not conform to it and in which case the parents decision is generally accepted. Recently, however, after the Boramae hospital incident the hospitals because very "defensive", and, as a result, most patients now are permanently looked after. Of course, this reality has become a burden to infants as well as to parents and the doctors in charge of the infants. Hereby in this paper, a framework on the making of such an ethical decision in the withdrawal of high-risk newborns will be presented. This kind of reality has become a burden to infants as well as parents and doctors who are caring them. Of course, this reality has become a burden to infants as well as to parents and th e doctors in charge of the infants. Hereby in this paper, a framework on the making of such an ethical decision in the withdrawal of treatment of high-risk newborns will be presented. First, the withdrawal of high-risk newborns can be justified in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and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Therefore, the decision is based on the principles, the best interest standard, medical futility, quality of life, and informed consent. Also, the different cases in the withdrawal of high-risk newborns have been classified into categories, and based on the above conditions, the justification of the withdrawal of treatment has been investigated. Secondly, based on the different categories and the four principles in this paper, practical ethical standards for the withdrawal of high-risk infants are presented. (1) In spite of every available treatment, death is in evitable. (2) No human relationship is possible, although life can be maintained with the available treatment. (3) Heavy mental, physical, and economical cost for the extension of life. (4) In spite of painful treatment, the survival of the patient is uncertain. (5) The quality of the patient life and its family life being severely damaged by the progressive and irreversible sickness of the patient. Thirdly, is it suggested that main body (organization) to use and make these principles is the Bioethics committee. The decisions made through a mass decision-making process by the Bioethics committee will relieve the person in charge of legal liability as well as making it a base for the approval of a socially logical and appropriate decision. For the Bioethics committee to play this role, a legal and a systematic base should be established along with a new organization with appropriate functionalities. The change in the medical environment nowadays does not limit the duty of the medical services to only extending one's life. To maintain the dignity of life, the limit of our medical treatment must be acknowledged and the withdrawal of the treatment based on an ethical decis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