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CT를 활용한 영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장영규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I was consistently trying to find new methods to improve achievement and motivate students' interest for learning English in the classroom.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using ICT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With the introduction in ICT of the 7th curriculum, using ICT is spreading quickly in schools and changing the paradigm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The effort to make use of ICT in the classroom is increasing to require self-directed learning.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which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by using ICT for effective English teaching, some were not so helpful in increasing the ability for self-directed learning. I'd like to suggest this paper suggests some solutions and strategies which include a model of using ICT. After making an individual homepage as one of ICT-applied methods, this was directly applied to the students in the class. This study as an educational concept of open education and constructivism, is based on subjects from a first year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aims to develop an activ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made a individual homepage and provided the students with an effective environment for the ICT teaching-learning. Secondly, the researcher loaded various study materials to the homepage and led the students to use many other useful site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Thirdly, the students selected the learning materials of levels, and they created self-directed learning. Fourthly, this homepage was developed so that the students could use contents on the homepage without any limitation on time and lo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multiple choice survey, a descriptive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terview,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d more interest and a higher level of achievement by learning through this homepage.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changed emotionally and became active participations through experiencing ICT English classes. In conclusion, English teachers need to prepare good teaching and learning plan by using ICT so that students have more interest and higher levels of achievement in English classes.

      • PCV-2 감염군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한 림프구 및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에 관한 연구

        장영규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orcine circovirus type 2 (PCV-2) continues to be one of major pathogens that impacts the swine industry. The PCV-2 is known to have a wide range of impact on reproductive disorder and growing pig. Identification of T-/B-cells, Interleukin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L-10 secreting cells in lymph nodes of pigs naturally infected in accordance with PCV-2 antigen detection. The lymph nodes of 22 pigs from one farm were studied to obtain data on the prevalence of PCV-2 infection. All pigs submitted necropsy and tissue samples were taken for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The most common histopathological finding was lymphocyte depletion in the follicular and perifollicular areas of lymph nodes. The presence of typical granulomatous lesions with mutinucleated giant cells was also detected in the lymphoid tissue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 PCV-2-infected lymphoid tissues, particularly mandibular lymph node, PCV-2 antigen was mainly localized in parafollicular areas, T-cell rich areas, but rarely with B cell rich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for the role of cytokines (IL-6 and TNF-α) in naturally PCV-2 infection and it is not close relation to PCV2 antigen in lymphoid tissues. Significantly decreased T-/B-cell antigen expression observed in PCV-2 infection in this study suggests that certain immune modulated immunosuppression may play a critic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naturally PCV-2 infected pigs. Porcine circovirus type-2 (PCV-2)는 양돈사육 농가에서 지속적으로 질병을 유발시키는 주요 병원성 중 하나로, 이유 후 성장기에 있는 자돈에서 육성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위의 사육돈에서 호흡기 및 생식기질환 등을 동반하는 소모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돼지에서 림프절은 체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PCV-2에 감염되었을 경우 숙주 면역방어 기능 저하에 관여하여 다른 병원체 감염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야외에서 PCV-2에 자연 감염된 6주령 이상의 돼지 14두를 대상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바이러스 유전자를 검출하여 PCV-2 감염을 확인 후 면역세포 고갈과 연관된 형태학적 변화와 림프절 내 PCV-2 바이러스 항원 검출, T-/B-cells의 발현 및 내재면역 (innate immunity)에 관여하는 interleukin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α 와 anti-inflammatory에 관여하는 IL-10의 발현 양상을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에서는 다양한 장기에서 전형적인 PCV-2 감염으로 추정되는 바이러스 항원을 비롯한 조직구 및 다핵거대세포들이 관찰되었다. 특히 림프절에서 림프소절을 중심으로 T-cell이 주로 분포하는 퍼진림프조직 및 B-cell 영역의 종자 중심에서 림프구 고갈이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연구에서도 T-cell 영역의 퍼진림프조직과 겉피질 및 B-cell 영역의 종자 중심에서 림프구 고갈이 각각 관찰되었다. 면역관여 싸이토카인 중 내재면역에 관여하는 IL-6 및 TNF-α 의 발현은 미약하거나 발현이 없었으며, IL-10의 경우는 부피질을 중심으로 다소 증가된 양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재면역과 관련된 싸이토카인의 발현 부재는 PCV2 감염에 있어서 림프구의 불활성과 림프구 고갈을 조장하는 결과로 추정된다. 본 실험을 통하여 PCV-2 자연감염 상태하에서 림프구 고갈과 바이러스 항원 및 다양한 싸이토카인의 발현 양상들은 PCV-2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우주응용을 위한 PD-SOI기반 능동바이어스 회로

        장영규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SOI (silicon on Insulator) process provides structurally excellent insulation than the conventional bulk process. Therefore, the SOI process shows lower leakage power and better noise characteristics. However, the structural insulation makes the side effects such as history effect or kink effect. Nevertheless, SOI process is widely used for space applications because of the structural advantages. The high-energy and high speed particles generated from solar wind or external universe exists in the space. The radiation effect caused by the impaction of these particles on the spaceship wall could affect the semiconductor circuit’s reliability or lifetime. The system reli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system design of space applications. The radiation effect which caused by high energy particle can make SEU or can change the potential of isolated volumes which made by the structural isolation, depending on how much the energy has or where it appears. The radiation effect can results in the reliability issue of the SOI-based integration circuits. However, the conventional research does not deal with the radiation effect in the spac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PD-SOI based active body bias circuits to enhance both the history effect and SEU caused by the radiation effect. Experiment result shows 20% enhanced SEU robustness and maximumly 20 times reduction of the history effect. 인공위성이 처음으로 쏘아진 후부터 근 50년 동안 세계 선진국들은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 인공위성을 쏘아 올렸다. 우리나라도 최근 나로호를 발사하는 등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인공위성을 제작하는 수준은 세계 5위 수준에 이를 정도로 상당히 발전되어 있다. 선진국에 의해서 근 50년간 측정된 우주 환경은 매우 가혹한 환경임이 밝혀졌는데 극저온과 극고온을 넘나들고, 태양풍이나 미세한 입자들이 지구 자기장에 포획되어서 인공위성 궤도상에서 떠다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된다. 이러한 입자들은 매우 빠른 속도로 날고 있으며 우주선의 알루미늄 외벽등과 충돌하여 속도가 가감속 되는 과정에서 방사성 입자를 생성하거나 소자 구성 물질과 치환되는 등 반도체에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고속의 고에너지 입자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납판과 같은 보호체가 있어야 하지만 크기나 무게 때문에 인공위성이나 우주선 등에서 적용될 수 없다. 입자 충돌로 인해 생성된 방사성 입자는 기본적으로 물질을 이온화 하는 특성이 있다. 이온화된 물질은 전도성을 띄는데 반도체는 수 nm~um에 이르는 얇은 절연 층이 매우 많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사선 입자에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 α-particle 및 방사성 입자는 반도체 회로를 영구적으로 파괴하는 Latch-Up 현상을 유발하거나 접점이나 게이트 등 물리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파괴한다. 또한 반도체 제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웨이퍼는 순도 99.9999% 이상의 고순도 실리콘이다. 유입된 입자는 이러한 실리콘 분자와 치환됨으로써 순도를 떨어뜨리고 트랜지스터의 Gain을 낮춤으로써 회로의 성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조공정상 기존에 비해서 높은 밀도의 절연체을 제조, 사용하고 μm 급 공정 등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의 영향이 크지 않도록 하였다. 지상에서 IT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위성 또한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고 증가하는 위성 탑재 부품의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해서 nm 급 공정의 사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SOI 공정은 초미세 공정에서의 회로의 잡음 내성을 증가시키고 저 전력을 목적으로 개발된 반도체 제조 공정 기술이다. 주요 장점은 주로 구조적인 차폐를 통한 소자간의 절연을 통해서 얻어진다. 불필요한 누설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소비전력을 획기적인 감소시켰고 불필요한 도핑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였기 때문에 더 나은 스위칭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개별 소자를 절연 물질로 격리함으로써 잡음에 강하다. 하지만 격리 구조로부터 생겨나는 매우 작은 SOI의 body는 기본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따라서 body의 전위는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따라 항상 가변적이게 된다. 매우 얇은 Gate Oxide등을 통해서 들어오는 게이트 누설전류는 기생 트랜지스터의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입력 신호 패턴에 따라 MOSFET의 성능이 변하는 history effect[1]가 발생한다. 이러한 효과들은 수십 ps 정도의 스위칭 시간 변화를 유발하며 일반적으로 3GHz 정도의 클럭을 사용하는 디지털 시스템에서는 최대 15%의 타이밍 변이가 발생하여 문제가 된다. 더욱이 SOI의 body의 경우 부피가 매우 작기 때문에 외부에서 약간의 음전하 또는 양전하가 유입되면 전위가 급격히 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MOSFET의 성능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방사선에 의해 이온화된 물질의 양전하보다 전자가 훨씬 가볍기 때문에 전자를 더 쉽게 잃어버린다. 이러한 점은 물질이 양전하 또는 음전하로 대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총 선량 효과는 방사선에 의해 Oxide가 점점 이온화 되고 전자를 잃게 되어 양전하를 띄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SOI 구조상 Oxide는 넓은 영역 걸쳐있는데 양전하를 띄는 Oxide는 표면을 따라 예기치 못한 채널을 형성하여 회로의 누설 소비전력을 증가시키며 결국 회로를 파괴한다. SOI floating body effect로부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body contact을 추가하여 바이어스 할 수 있다[3]이 방법은 기생 트랜지스터 효과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body가 항상 일정한 전위를 가지기 때문에 history effect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bulk 공정이 가지는 단점처럼 바디를 통해 흐르는 누설 전류가 발생하고 SEL(single event latch-up)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기생트랜지스터 경로를 만들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MOSFET을 사용하여 신호를 다루는 트랜지스터의 바디를 필요에 따라 바이어스 하는 방법이다[6][7][8][9]. 주로 입력이나 출력신호 또는 별도의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구동하며 게이트 혹은 전원으로부터 bias 전류를 공급받는다. 이 방법은, body bias와 관련된 SOI 문제를 해결하지만 면적이 증가하고 성능의 감소시킨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두 가지 방법들은 모두 방사능 효과로 인한 문제를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p-n접합에 일시적인 전도성 경로가 발생하면 SEU로 이어질 수 있는 경로들이 존재한다. 특히 절연체에 의한 절연이 아닌 p-n접합에 의한 절연인 경우 쉽게 영향을 받는다. 또한 fixed body contact CMOS회로는 한 개의 트랜지스터가 켜지면 반대쪽 트랜지스터는 반드시 p-n접합에 의지하기 때문에 SEU가 발생할 수 있다. 확률적으로 동시에 특정한 두 지점에 전도성 경로가 발생될 확률은 매우 낮다. 따라서 2개의 p-n접합에 동시에 전도성 경로가 발생했을 때만 SEU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active bias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이어스 회로 또한 SEU에 의한 전하의 배출구 역할을 하면 안 되기 때문에 입력,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SEU가 발생해도 큰 문제가 없는 신호 전이구간에 body bias를 실행하면 효율적이다. 제안하는 아이디어는 입력 신호 값이 바뀌어 출력 신호 값이 변해야 하는 경우에 active bias 회로를 구동하고 신호 값이 변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 body를 floating 시켜 MOSFET에 일시적인 전도성 경로가 발생하더라도 바디를 통해 전자가 빠져나갈 수 없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우주 방사선 환경과 기존 CMOS공정의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3장에서는 PD-SOI의 문제점과 Active Body Bias 에 관한 연구, 4장에서는 앞에서 제안한 방사선 환경을 고려한 Active Body Bias 회로를 이용한 강인한 디지털 회로 설계의 결과를 다루고 5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 노래치료회상요법이 노인자아존중감과 기분상태와의 관계연구 : 노인복지관 노래교실 이용노인 중심

        장영규 동명대학교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회상요법에서의 노래는 회상을 통해 자긍심을 증진시키며 긍정적인 기분으로 변화를 줄 수 있는데, 노인을 위한 노래치료에서는 목소리나 노래가 가장 중요한 표현수단이며, 노래가 갖는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주장을 근거로 노인복지관 노인들의 젊었을 때 유행하고, 선호하는 노래들 중에서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한 회상요법이 그들의 정서에 영향을 주어 자아존중감과 기분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한다. 이것은 노인들이 자신의 좋아하던 노래에 대한 친숙함과 과거를 회상할 수 있도록 돕는 노래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자신이 살아왔던 인생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케 함으로써 자신감과 자아 존중감을 회복하며,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봄을 통해 지나온 삶을 긍정적으로 정리하여 남은 시간 동안의 삶의 질을 높이고 능동적으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더불어 과거의 의미 있고 좋았던 기억을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한 회상요법을 통해 노년의 부정적이고 우울한 정서를 극복하고, 긍정적 정서로 변화시킴으로써 노인의 삶에 활력과 의미를 더하고 우울과 침체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목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긍정적 기분상태로의 변화를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 대중가요를 이용한 노래치료 회상요법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중가요를 이용한 노래치료 회상요법이 노인의 기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가? 부산시에 소재한 노인(금정, 연제, 남구, 북구)복지관 내 65세 이상부터 85세까지 노인을 대상으로 음악활동을 참여할 정도로 신체활동이 가능하면서 자발적 참여 의사 표시를 한 노인 36명을 대상으로 하여 노래가 자아존중감과 기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노래교실회원으로 구성되었다. 노인복지관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위해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측정도구(Self-EsteemScale)로서, 전병세(1974)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 하였다. 전병세가 노인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을 때는 신뢰도가 Cronbach'salpha 0.62로 보고된 바 있다. 이 도구는 총10문항으로 5개의 긍정적인 문항(1,2,4,6,7)과 5개의 부정적인 문항(3,5,8,9,10)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분 변화는 McNair 등 (1992)이 수차례의 검증과 확인을 거쳐 개발한 기분상태 측정도구, POMS를 윤재량(1993)이 번역한 것을 참고로 하여 한국 노인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신윤희(1996)가 수정하여 타당 화 시킨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인간의 전반적인 기분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한 도구로서 3요인-34문항 (불안-우울요인 21문항, 활력요인 8문항, 분노요인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노인복지관 노래교실에 참여하고 계시는 노인의 기분상태와 자아존중감에 생활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심리사회적인 변인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체계 형성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혀 낸 것 또한 본 연구의 의의를 더해 준다고 본다. 특히 사회적지지 중에서 정서적 지지나 평가적지지에 초점을 두고 개입해야 노인 내담자의 자아존중감과 기분상태에 보다 효과적인 상담이 될 수 있다고 보기에, 본 연구 결과가 그에 따른 상담중재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자아존중감과 노래치료요법을 통한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 할 수 있다는 점에 보다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大邱·慶北地域 中小企業의 去來的 換危險管理에 관한 硏究

        장영규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currency risk management methods of small and medium firm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under a fully liberalized foreign exchange floating system. Likewise, problems with current methodologies used were determined. The analysis sought to propose appropriate strategies for minimizing risks involved in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based on factual information.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ort industry comprise the greatest portion (84.6%) in the Daegu and Geongbuk areas, with nearly 90% of firms using the US dollar as the settlement currency. Such firms are highly exposed to risks of foreign exchange falls; therefore, they need to manage foreign exchange risk us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tools. Foreign exchange rates increasingly affect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impact of the US economy and upgrade of sovereign credit rating require setting up an efficient system to hedge currency risk. Specifically, analyzing structures of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defining risk management purposes, and using appropriate hedge strategies for eliminating currency risk are essential. In addition, more and more firms are actively managing foreign exchange risk. Most firms recognize the risks involved in foreign transactions and the need for currency risk management. Despite such awareness, however, many firms failed to efficiently manage currency risk due to the shortage of risk specialists and lack of in-house tools such as pricing policy. Likewise, they have difficulty using hedge tools due to lack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ienc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therefore very important to educate risk specialists to equip them with theories as well as professional tool. Finally, profits of many firms including import-export industries are affected by foreign exchange fluctuations. As a parameter that compares export price with the change in production costs, the decreasing export-profitability has considerably influenced the profitability of individual companies and regional economy. Thus, export-dependent industries including textile, machinery, and electronic goods should utilize various types of risk management tools in order to stabilize operation and maximize firm value.

      • 개의 장문합술에 있어서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와 Dextran 의 합제 및 Interceed의 유착방지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장영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iveness of a synthetic solution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SCMC) and dextran in the prevention of adhesion formation following intestinal anastomosis of intestine in dogs was elucidated and compared with Interceed. Following induction of adhesion on jejunum of dogs by resection and intestinal anastomosis, the dogs were infused with a synthetic solution of 1% SCMC and 10% dextran in saline in the abdominal cavity at the dose of 5 ml/kg of body eight or treated with Interceed membrane. Fourteen days after operation, all of the dogs showed adhesion of anastomotic sites to surrounding tissues. The average score of adhesion was 0.50, 0.60 and 0.80 in the dogs infused with the synthetic solution, Interceed membrane and saline solution, respectively. The synthetic solution showed better result of adhesion prevention than Interceed or saline solution. No significant change of body weight, vital signs, hematological values and side effects after operation were found in the dogs of each group. Therefore, a synthetic solution which is combined with 1% SCMC and 10% dextran in salin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prevention of adhesion formation following intestinal anastomosis in the dogs.

      • 주5일 근무제 도입에 있어서 참여자간 상호작용 분석

        장영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사회에서 주5일 근무제는 주당 근로시간을 4시간 단축하는 동시에 다른 국가에서는 보기 힘든 기형적인 휴가제도를 개선하고, 기존의 임금수준을 보장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근로시간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노동계와 경영계는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대해 원칙적으로 찬성하였으나, 임금보전 등 세부쟁점에 있어서는 한치의 양보도 없이 대립하였다. 서로 상대방의 양보를 요구하면서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언론플레이, 집회·시위·파업, 정부 및 정치권 압박 등의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5일 근무제 도입 과정을 참여자들간의 전략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동태적으로 분석하고,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하여 발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한 정책결정과정은 다음의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노사정위원회 논의가 본격화된 2000년 10월부터 노사협상 결렬을 공식선언한 2002년 7월까지이다. 이 시기 초기에는 노사정위원회 내부의 특위를 중심으로 국·내외 실태조사 및 노사간 쟁점을 명확히 하는 등 향후 논의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2001년 하반기 이후부터 본격적인 노사협상이 진행되었으나 노사 모두 조직 내부적 문제로 최종합의에는 실패하였다. 노동계와 경영계는 노사정위원회라는 제도적 개입수단을 보유하게 되었다는 점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2002년 8월부터 10월까지의 정부입법 추진 단계이다. 2002년 7월 노사정위원회에서는 노사협상이 결렬되었음을 최종 선언하고 그동안의 논의 결과를 정부에 이송하였다. 산자부, 노동부 등 관계부처는 기존의 노사정위원회 논의에서 보였던 노사간 대립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국무총리실, 재정경제부 등 상급기관의 적극적인 조정을 통해 정부입법안을 수립할 수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노동계와 경영계는 노사정위원회라는 제도적 개입수단을 상실하게 되었으나, 경영계는 규제개혁위원회 등을 통해 자신들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수단을 보유하고 있었다. 셋째, 정부입법안이 국회에 제출된 2002년 10월부터 국회를 통과한 2003년 8월까지의 기간이다. 입법안 국회 제출 당시는 16대 대선을 앞두고 있는 상황속에서 사실상 의미있는 논의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2002년 말 대통령 선거 결과 및 2003년 노동계의 공세적 전략에 따라 경영계는 ‘근로조건 저하없는 주5일 근무제’ 확산이라는 궁지에 몰리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전경련을 중심으로 최선(주5일제 도입지연)은 아니지만 차선(정부입법 수용)을 선택하게 되었다. 주5일 근무제 도입 과정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 우선 내적인 요인을 들 수 있다. 노동계와 경영계, 정부, 국회 등 이 게임에 참여하였던 행위자들은 하나의 단일한 개인으로 활동하지 않았다. 특히 노동계의 경우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경쟁관계 및 한국노총 내부 계파간 갈등 등으로 인해 노사정위원회에 참여하였던 한국노총 지도부가 책임있는 결단을 내릴수 있는 여건이 미약하였다. 경영계는 주5일 근무제 도입 지연전략을 공통적으로 사용하였지만 경총과 전경련 사이에 주5일 근무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정부는 다른 집단과 달리 상대적으로 대외적으로는 하나의 단일한 행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정부입법을 위한 내부 논의과정에서는 각 부처별 고객집단의 요구를 대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국회는 여소야대의 상황속에서 노사합의 없이는 주5일 근무제 도입을 반대한다는 한나라당의 입장에 따라 입법이 지연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이러한 집단 내부 구성원간 상호작용의 결과에 따라 각 집단의 전략과 입장이 결정되었으며, 특히 1단계에서는 노사 모두 지도력 부재 및 구성원간 이해관계의 충돌로 발생한 내부 갈등으로 인해 노사정위원회 협상이 지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적요인 외에 주5일 근무제 도입에 영향을 미친 외적요인으로는 정치적 상황, 경제적 여건, 사회적으로 주5일 근무제 도입 사업장의 확산, 국민적 여론의 지지도를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적 요인들은 그 영향력의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여소야대의 정치적 상황은 주5일 근무제 입법을 완결짓는 최종단계에서 그 영향력이 가장 강했으며, 경제적 여건의 어려움은 경영계의 기업부담 가중 논리를 강화시켜주었다고 하겠다. 반면에 주5일 근무제 도입 사업장의 급속한 증가는 주5일 근무제를 사회적 대세로 인식시켰고 특히 2003년 금속노조 및 현대자동차 노조의 주5일 근무제 쟁취는 경영계에서 입법지연 전략을 버리게 되는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한 주5일 근무제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지지는 동 제도 도입의 당위성 높였으나 세부쟁점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서 다소 지지도가 낮아지고 있어 큰 영향 요인이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한편,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한 정책결정 과정을 게임이론의 전략적 상호작용 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참여자간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합리모형이나 만족모형, 다원주의 또는 엘리트주의 등에서는 효과적으로 밝혀주지 못했던 참여집단 내부 및 참여집단간 동태적 상호작용과 그들이 구사한 전략 및 입장의 변화 등을 보다 성공적으로 분석하고, 우리나라 정책결정과정에서 관련 집단의 영향력이 강력한 정책변수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행정부의 정책결정에 있어서 관련 집단들의 이해관계를 정책 입안시부터 고려하여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내적·외적 영향요인들의 영향력의 정도를 계량적으로 측정하고 있지 못하며, 노사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사회적 자본인 ‘신뢰’의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는 한계도 있다. Adopting a five-day workweek in Korean society means transformation of labor environments such as vacation system, existing wage levels and the related productivity institutions. Both labor group and employer's group agreed on adopting a five-day workweek in principle. However, those two groups were confronted sharply with each other on the matters of details. Asking the other party's concession, each party took various measures such as appealing to media, putting pressure on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politicians as well as holding demonstrations and strikes. This study sets out to analyze the steps of adopting a five-day workweek focusing on the strategic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Also, this study emphasizes discovering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of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the strategic interaction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adopting a five-day workweek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started in October 2000, when discussions in Korea Tripartite Commission was initiated, it lasted until July 2002, when the failure in a labor-employer consensus was announced in public. In the beginning of this period, special committee of Korea Tripartite Commission paved the way for fundamental issues for discussion. Since the latter half of 2001, real discussion had begun between labor group and employer's group. However, they could not reach an agreement due to each group's internal problem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is the advent of Korea Tripartite Commission as an institutional mediation means. The second period is a legislation process in the government. In July 2002, the Korea Tripartite Commission announced the rupture of negotiation between labor group and employer's group and sent the results of negotiation to the government. Related government bodies such as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and Ministry of Labor are opposed to each other just like labor group and employer's group. However, upper level government bodies such as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and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took the positive actions to settle the differences and made a draft for the bill introducing a five-day workweek. Although the labor group and employer's group lost the institutional means through the Korea Tripartite Commission, the employer's group maintained an efficient way to express their standpoints through Regulatory Reform Committee. The third period starts from October 2002, when a draft bill for legislation was brought into the Congress, to August 2003, when the Congress passed the bill. Initially, discussion in the Congress was impossible due to the upcoming 16th Presidential Election. Since the president Roh Moo-hyun was elected in the end of 2002 and labor group's aggressive strategy was carried out in 2003, the motto, ‘accomplishing a five-day workweek without lowering labor conditions’, was widely spread. Thus, the employer's group was pushed to the corner and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chose the second best (accepting the legislation bill), not the foremost choice of delaying the implementation of a five-day workweek system. One of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decision making process of adopting a five-day workweek is an internal factor. Players in this game such as labor group, employer's group, government and Congress were not single entities. Especially, leaders of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 who participated in Korea Tripartite Commission, were not able to make responsible decisions because of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 and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as well as the inside troubles in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 itself. Even though employer's group used the same strategy of delaying the implementation of a five-day workweek system, there were different understandings about the necessity of a five-day workweek system between Korea Employers Federation and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Contrary to other players, government appeared to play a role as a single entity. However, each ministry spoke for related interest groups in internal discussions. In Congress, passing the bill was delayed because the Grand National Party, the outnumbered leading opposition party, was hostile to adopting a five-day workweek without mutual agreement between the labor group and employer's group. In other words, interactions among internal participants of each group produced each group's strategies and standpoints. Especially, at the first stage, lack of leadership and interest conflicts among participating members led to the delay of negotiation in Korea Tripartite Commission. External factors for adopting a five-day workweek include political situations, economic environments, a growing number of corporations introducing a five-day workweek system and public support. However, these external factors had different degrees of influence. The political situation of outnumbered opposition party had the most powerful influence in the final stage of putting the controversial bill to a vote. Difficult economic situations accounted for corporations' burden caused by a shortened workweek system. On the other hand, a growing number of corporations introducing a five-day workweek led the general social trends. Also, obtaining a five-day workweek for Metal Union and Labor Union of Hyundai Motor in 2003 caused the employer's group to throw away the delaying strategy. Public support for a shortened workweek could have been a main factor. As discussions for details relating to working conditions go on, public support has been decreased gradually. Therefore, public support cannot be seen as a main factor. As this study shows decision making process of adopting a five-day workweek using a strategic interaction definition of game theory, dynamic interactions among internal participants and participating entities, their strategies, their standpoint changes can be clearly analyzed, which former analyses using Rational Model, Satisfaction Model, Pluralism or Elite Theory could not clarify. This study confirms that related groups become more and more powerful in policy making process which, in Korea, has been the government's exclusive domain. Therefore, I can suggest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deeply consider the complicated interests relation between related groups in early stage of policy making process. However, this study does not measure the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lso it fails to recognize·trust·which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social asset in the relations of labor management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