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의 서번트 리더십 사례연구

        장선옥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경쟁의 가속화로 비롯된 조직 구성원들의 생각과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혁신주도적인 리더십의 필요성도 중요하지만 서번트 리더십과 같이 사람중심적인 리더십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기대감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은 구성원들이 공동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정신적・육체적으로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성해주고 도와주고 섬기는 리더십이다. 전통적 리더들은 주로 지휘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동기부여되는 반면, 서번트 리더십은 지휘하기보다는 봉사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동기부여된다. 서번트 리더들은 리더가 조직구성원들보다 나은 점이 없다고 진지하게 믿기 때문에 리더십을 공유하고 리더십에 대한 신뢰를 보여줌으로써 조직구성원들 사이에 공동체 개발을 촉진하는 수탁자(trustees)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리더십 이론에서 최근 대두되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에 관한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해 시대별 리더십 이론의 특징과 유형을 살펴보고, 서번트 리더십의 공통된 리더십의 구성요소가 국내외 기업에서 실증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조사를 하려고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서번트 리더십 적용을 위한 기업 조직과 리더들의 행동원칙을 제시해 봄으로써 이론적・실증적 토대를 한걸음 더 나아가게 하는 데 있다. 그 결과 서번트 리더십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리더들의 노력이 함께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서번트 리더십 적용을 위한 기업과 리더에게 필요한 몇 가지의 원칙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번트 리더십 적용을 위한 기업의 노력은 자발적 역량 개발을 위한 정보 흐름의 원활, 관료화 극복을 위한 소규모 조직의 운영,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간소한 운영, 구성원의 자발적인 몰입 유도이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 적용을 위한 리더의 노력은 구성원 존중, 구성원 섬김, 공정, 정직, 공동체 구축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서번트 리더십 연구는 발전의 초기단계에 있기 때문에 서번트 리더십을 직접적인 대상으로 한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까지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이론형성은 임시적인 상태로 남아 있고, 서번트 리더십의 측정도구 역시 아직 일반화 되지 않아서 학자들 사이에 많은 견해차를 보이고 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을 적용한 국내 기업을 찾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서번트 리더십이 국내 기업에 적용시킨 시기가 몇 해 되지 않아 아직 성공한 기업을 찾기가 어려웠으며, 현재 서번트 리더십을 적용한 기업이라 해도 기업 전체의 움직임이 아닌 기업의 대표나 임직원에 한한 것이 현실이기에 성공사례라고 하기엔 매우 미흡했다. Recently, due to the fierce competition in today's society, various organization's members' expectations for people-oriented leadership such as servant leadership are growing, though innovation-oriented leadership is also necessary. Servant leadership is one of leaderships that establishes an atmosphere and helps and serves members to maintain their good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dition to achieve organizations' common purposes. While traditional leaders are motivated by the purpose of command, servant leaders are motivated to desire to volunteer, rather than command. As servant leaders sincerely believe that they are not superior than the organization's members, they play a role as trustees who promote the community' development among the members by sharing their leadership. The study examined the periodic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leadership theories through the existing document researches regarding servant leadership and how the common components of servant leadership were empirically applied by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d, the study tried to improv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by providing the behavior principles of companies' organizations and leader. The results show that both companies and leaders' efforts are necessary to apply servant leadership. The principles of companies and leaders to apply servant leadership are as follows. Companies' efforts to apply servant leadership are smooth flow of information, operation of small organizations to overcome bureaucracy, simple management to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members, and inducements for members' voluntary involvement. In addition, leaders' efforts to apply servant leadership are respect for members, serving for members, fairness, honesty, and community building. The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ly, as the research of servant leadership is in the initial stage of development, the theory formation for servant leadership is temporary until enough studies are made for servant leadership as a direct object. In addition, the measurement tool for servant leadership is not generalized, scholars still hold widely different views. Secondly,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look for domestic companies that apply servant leadership. As it hasn't been long since servant leadership was applied by the companies, it is difficult to find a successful company. Although the company applies servant leadership, it is limited to the CEO or executives and isn't enough to call as a successful case.

      • 가족건강 사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장선옥 梨花女子大學校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에 간호학에서 가족에게 관심을 두는 이유는 개인의 건강은 가족에서 얻어지고, 가족구성원의 질병은 가족구조와 기능을 변화 시키기 때문이며, 또한 가족을 통해 전인적이며 지속적인 간호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사가 가족을 간호하기 위해서는 가족건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가족건강 사정도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 문화와 가족구조에 맞는 표준화된 가족건강 사정도구가 없는 실정이며, 가족건강에 대한 조작화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가족건강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가 높고 타당한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한국가족의 건강정도를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가족건강 사정도구의 개발과정을 요약하면, 먼저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로이의 적응모델을 기초로 분석하여 예비도구를 작성하였다. 예비도구는 관계전문가를 통해 2차에 걸쳐 내용타당도를 검정케 하여 문항을 수정, 삭제하였으며, 사전조사를 통해 나온 결과를 근거로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가족자극 문항 35개, 가족적응양식 문항 35개가 선정되었고, 가족자극의 경우 “예” “아니오”로, 가족적응양식의 경우 “매우 그렇다”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까지 4점 평점척도로 측정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 신뢰도, 타당도 검정을 위한 연구대상자는 서울, 1개 중소도시, 1개 농촌에 거주하는 15세 이상의 남녀 1291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1995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였다. 조사-재조사를 위한 대상자는 고등학교 교사 50명, 대학생 5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와 Pearson적율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법과 집단비교법을 시도하였다. 가족건강정도는 평균과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인구학적 제 변인과 가족건강정도와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t-검정, 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발된 가족건강 사정도구의 검정결과 타당도 검정에 있어서, 구성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시도한 결과, 가족자극의 경우 4개의 요인 즉 가족관계 자극, 가족구성원 내 자극, 상황자극, 가족외적 자극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로이가 제시한 초점자극의 하위개념들이다. 이 과정에서 요인적재량이 유의하지 않은 2개의 문항이 탈락되어 33개의 문항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4개의 요인이 전체 가족자극을 100% 설명하고 있다. 가족 적응양식의 경우 4개의 요인 즉 가족자아 개념양식, 가족건강 관리양식, 생리적 기능양식, 역할기능양식으로 나누어지는데 로이의 4개의 적응양식과는 차이가 있다. 로이가 제시한 상호의존성 양식은 하나의 요인으로 분류되지 않고 가족건강 관리양식에 포함되었고, 역할기능양식 중 1개의 문항은 가족자아 개념양식에 포함되었다. 이 과정에서 요인적재량이 유의하지 않은 1개의 문항이 탈락되어 34개의 문항이 되었다. 이러한 4개의 요인이 전체 가족적응양식을 97.34%를 설명하고 있었다. 또한 분리된 각 요인간의 독립성을 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가족자극의 경우는 상관관계가 낮아 각 요인간에 비교적 독립적이었고(r=.1611-.4122, p<.0001), 가족적응양식의 경우는 보통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035-.6438, p<.0001). 아울러 환자가 있는 가족과 환자가 없는 가족간에 집단비교법을 시도한 결과 두 집단간에 점수차이가 있어서, 환자가 있는 가족은 가족자극이 높고 가족적응양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정에 있어서 조사-재조사법으로 검정한 결과, 가족자극의 경우 상관계수는 r=.8120(p<.0001)이었으며, 가족적응양식의 경우 상관계수는 r=.9199(p<.0001)이었다. 내적 일관성 검정에서는 가족자극 총문항에 대해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한 결과, 가족자극 .8056, 가족적응양식은 .9243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족자극 사정도구와 가족적응양식 사정도구의 상관관계는 r=-0.444(p<.0001)로 2개의 도구는 역상관관계이며, 상관관계가 낮아 비교적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개발된 가족건강 사정도구 위의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가족자극 사정도구는 33문항(표 26), 가족적응양식 사정도구는 34문항(표 27)이 되었다. 3. 가족구성원 간 가족건강에 대한 지각의 일치 정도 가족건강에 대한 가족구성원 간의 지각일치 정도를 보기 위해 72가족을 대상으로 각 가족에서 2명 이상의 가족구성원이 가족건강을 측정한 결과, 가족구성원 간의 상관관계는 r=.956(p<.0001)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족건강 사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에 영향을 주는 가족자극과 가족적응양식을 사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측정도구를 가족간호 사정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reliable and appropriate instrument for an assessment of Korean family’s health. Summarized below are the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of such an assessment tool. First, this study surveyed recognitions as to family health by the person subjects to the survey.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from that survey based on the Dr. Roy’s adaptation model and developed preliminary item. This study had the concerned specialists clarify the validity of contents of the preliminary item two times and then reduced the number of preliminary items. Then, this study selected the final item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re-test. The items finally selected consist of 35 items as to family stimuli which require “yes” or “no”. The items finally selected are consisted of 35 items as to family adaptational mode. The questionnaires on family adaptational mode were drafted so that such mode may be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four point Likert Scale, which includes the point of “Strongly agree” and the point of “Strongly disagree”. The number of men and women subject to this study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amounts to 1,291 with ages of 15 years or more and who live in one of Seoul, a small and middle city and a rural area. The data collection was made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 1995 to July 30 1995. The subjects of the test and retest were 50 high school teachers and 50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utilized Cronbach’s α and Pearson’s correlation in analyzing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and applied the factor analysis method and known group techniques. The degree of family health is represented in average and percentage. Furthermore, this study applied t-test and ANOVA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and degree of family health.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below; (1) Results from the test of instrument for an assessment of family health.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which was intended to test construct validity, the family stimuli were divided into family related stimuli, family member stimuli, situational stimuli and family external stimuli.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subconcept of focal stimuli suggested by Dr. Roy. In the course of this factor analysis, two question were excluded and thus, the number of final questionnaires were reduced from 35 to 33.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the family adaptation mode was categorized as family self concepts, family health care, physiologic function and role function mode. This classification is different from Dr. Roy’s four adaptation modes. In other words, the inter-dependence mode suggested by Dr. Roy was covered by family health care mode under this study and one item as to role function mode was included into family health care mode, which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from 35 to 34. In addition, a survey of correlation intending to search independence among various factors evidences that such factors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Furthermore, an application of the known group technique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family health assessment tools developed by the two groups. Coefficiency of family stimuli from the test and retest for clarification of reliability was proved to be r=.8120(p<.0001), and Coefficiency of family adaptation mode was r=.9199(p<.0001). This study attempted to compute Cronbach’s α coefficiency with respect to the questionnaires in an effort to evaluate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 Under this test, Cronbach’s α coefficiency with respect to family stimuli proved to be .8056, whereas that regarding the family adaptation mode .9243. Finally, correlation between family stimuli assessment tool and family adaptation mode assessment tool was r=-0.444(p<.0001).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two tools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thus not correlated. (2) Degree of consistency as to family health among the family members. This study raised a question as to family health to evaluate the degree of consistency as to family health among members of a family. The subjects of this question were 72 families and at lest 2 persons belonging to each family answered for that question. As a result it proved to be r=.958, which can be said to be a high degree. Based upon the forego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for assessment of the family health developed by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high. In this sense, the instrument for assessment of the family health developed by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assessment of family nursing.

      • 건설현장 근로자의 작업복 개발에 관한 연구

        장선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근로자의 작업복 착용 실태 조사를 통하여 작업복의 불편사항과 문제점, 의복 파손부위를 파악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현장 활동에 적합하고 안전성과 동작적응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킨 봄ㆍ가을용 작업복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근로자를 직접 관찰 및 면담, 예비조사를 통해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근로자 425명과 13개 건설현장 안전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이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작업복의 불편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소재, 패턴, 디자인을 고려한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실험복과 기존복을 비교하기 위하여 주관적 평가, 객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로자 설문조사 (1) 계절에 따라 주로 착용하는 의복은 봄ㆍ여름ㆍ가을에는 긴소매티셔츠와 작업조끼, 면바지를 주로 착용하며 겨울에는 긴소매남방과 점퍼, 솜바지를 주로 착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작업 시 착용하는 보호구와 보조 장비는 보호구의 경우 안전모를 95.3%, 안전화를 91.3%, 안전대를 41.4%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조 장비의 경우 작업장갑을 80.0%, 각반을 70.4%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작업 시 상해부위는 허리부위, 어깨부위, 무릎부위, 팔꿈치 순으로 나타났고 작업 후 피로부위는 허리부위, 다리, 팔, 어깨부위 순으로 나타났다. (4) 작업 시 주로 취하는 동작은 쪼그린 동작과 선 자세에서 팔을 사용하는 동작으로 나타났다. (5) 작업복의 불편부위는 상의의 경우 등 부위, 어깨부위, 팔꿈치부위이며 하의의 경우 무릎부위, 샅부위, 엉덩이부위의 불편율이 높게 나타났다. 직종에 따라 동작별 의복 불편부위의 유의차를 살펴본 결과, 모든 부위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2. 관리자 설문조사 (1) 작업복의 색상으로 근로자의 업무를 구별하는 방법에 대한 조사 결과는 협력업체별로 구별하는 방법과 직종별로 구별하는 방법이 높게 나타났다. (2) 작업 시 주로 취하는 동작은 근로자 설문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3) 관리자가 생각하는 근로자 작업복의 불편부위는 상의의 경우 등 부위, 어깨부위, 팔꿈치부위이며 하의의 경우 무릎부위, 샅부위의 불편율이 높게 나타났다. (4) 근로자의 보호구 착용실태 조사 결과, 근로자의 보호구 착용상태는 ‘대체로 착용하는 경우’가 ‘항상 착용하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실험복 설계 근로자와 관리자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동작적응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킨 건설현장 근로자에게 적합한 실험복을 제작하였다.(1) 소재설계 : 실험복의 열적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겉감으로 흡한 속건성 섬유인 Aerocool^(??)소재를 사용하였으며, 땀이 많이 배출되는 등 부위와 겨드랑이 부위에 흡습 속건성 쾌적섬유인 Coolever™ 와 Mirawave™를 혼용한 mesh소재를 사용하였다. 근로자가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작업 시 눈에 잘 뛰도록 가시성을 향상시킨 재귀반사 안전소재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다. (2) 디자인설계 : 가슴주머니는 bellows pocket으로 변경하였으며 소매단과 바지단 여밈 방법을 변경하였다. 바지단은 작업자의 발목둘레에 맞도록 벨크로를 달아 별도의 각반을 착용하지 않도록 디자인 하였다. (3) 패턴설계 : 상의 옆 밑단을 기준으로 앞길이 2㎝ 줄이고 뒷길이 3㎝ 늘려 상체를 구부리는 동작 시 뒤쪽이 당겨 올라가지 않도록 하였으며, 팔 동작시 당김 현상을 줄이기 위해 겨드랑이 부위에 여유량을 추가하였다. 팔꿈치, 엉덩이, 무릎부위에 다트를 삽입하여 입체적인 패턴으로 설계하였다. 4. 착의 평가 외관평가와 동작적응성 평가는 7명의 피험자 집단과 9명의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졌으며, 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실험복이 기존복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현장 활동 적합성 평가는 4명의 근로자 집단으로 이루어졌으며, 평가 결과 동작 적응성과 의복 쾌적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객관적 평가에서 상의 옆 밑단 및 뒤 밑단 위치의 이동길이 변화는 실험복이 기존복보다 더 작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주관적 평가 결과를 객관적으로 뒷받침 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mproved work clothing which is much safe, comfortable, and convenient than what workers currently wear at construction site. The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to evaluate current work clothing to grasp any problems, discomforts and damages related to the work clothing. For the best and accurate data, hands-on investigation and a short-interview have been performed at the construction site as well as formulating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was answered by 425 workers and safety manager of 13 different construction site.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enables us to design a sample work clothing, many parts such as material, pattern and design have been improved. A sample work clothing evaluated an objective assessment and subjective assessment to compare to a current work clot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urvey from Worker's Questionnaires (1) As a seasonal work clothing differs, a long-sleeve t-shirt, a working vest and a cotton pants were suitable for the spring, summer, and autumn. A long-sleeve shirt and a jumper, wadded trousers were suitable for winter. (2) Taking a look at protection products and supplementary products on sites, 95.3% workers wear a safety helmet, 91.3% of workers wear safety boots, and 41.3% of workers wear a safety belt. In terms of supplementary products, it appears that 80.0% of workers wear working gloves and 70.4% of workers wear leggings. (3) When workers work on sites, it appears that damage parts on a clothing are as follow: waist, shoulder, knee, and elbow. Fatigue parts are as follow: waist, leg, arm, and shoulder. (4) Frequent motions taken by workers on sites are, a crouching motion and a standing motion while using arms. (5) Taking a look at discomfortable areas on a work clothing, the back, the shoulder and the elbow are the most discomfortable areas on an upper garment. By contrast, the knees, the crotch and the hip are the most discomfortable areas on pant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different type of occupations. 2. Survey from Manager's Questionnaires (1) According to the evaluations workers movements are what managers thought it to be. (2) Managers believe that discomfortable areas on a work clothing to a worker are the back, the shoulder, the elbow on upper garment and the knees, the crotch on pants.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otection products of a worker, 'wearing protection products usually' is higher than 'wearing protection products all the time'. 3. Sample work clothing Design The improvements of the amenity and adaptability to the work clothing wa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worker and the manager's questionnaires. (1) Material: To improve the amenity of heat, the surface of a material was used by Aerocool^(??) fiber which contains inside dryness function. In order to absorb perspiration on the back the armpits, mesh martial that is mixture of Coolever™ fiber and Mirawave™ fiber was used to absorb perspiration in an effective manner. In addition, a reflecting safety material was used to improve visibility and help a managers identify the workers clearly in a dark working conditions. (2) Design: A shirt pocket changed to bellows pocket. A sleeve's bottom part and trousers' bottom part's cover method have been changed. Velcro were added on the bottom parts of trousers so that the workers don't have to wear laggings. (3) Pattern: Sample work clothing was shorten at the side of upper garment up to 2cm and lengthen the length of the back by 3cm. This enables the bottom parts of a shirt to stay where they are when a worker bends down. To reduce the tightness around armpit more room was given in that area. Darts were added to the elbow, the hip, and the knees that also followed an ergonomic pattern. 4. Evaluation of Samples Assessment group consists of seven subject groups and nine expert groups to evaluate external appearance and adaptability to the movements. In all aspects of the test, the result of evaluation process of the sample work clothing received more positive assessment than the current work clothing. The assessment of relevance of activity at a construction site was done by four construction workers. They made a careful assessment of it and provided it with high evaluation for adaptability to the movement and the amenities of clothes. In addition, from the objective point of view, for the difference of the length in the bottom side of shirts and the bottom side of the back, it is found that the sample work clothing is smaller than the current work clothing. This can confirm that the subjective assessment was reflected objectively.

      • 인터넷을 활용한 초등 문학 교육 방법 연구

        장선옥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인터넷을 활용한 문학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데 있다. 특히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상호 작용을 쉽게 하는 인터넷의 기능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문학 입문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인터넷은 학습자를 교실 밖의 세계와 연결시켜 줄 뿐만 아니라 사이버 공간 속에서 정보를 획득·교류·출판할 수 있게 하며, 다양한 사람과 실제 상호 작용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다른 매체와 비교할 수 없는 많은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인터넷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사회적으로는 정보 통신 윤리 문제, 불건전 정보 유통 문제, 언어 사용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교수-학습 현장에서는 학습자 측면, 교수자 측면, 공학적 환경 측면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문학 교육 현장에 인터넷을 활용하기 앞서 문학 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표와 방향을 정립하고, 수업 적용을 위한 공학적인 환경을 설정하였다. 문학 교육은 학습자에게 문학 경험을 의도적으로 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바람직한 인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문학 교육의 방향은 독서를 중요시하고 아동의 사고력을 향상시키며, 아동 스스로 생각하고 나름의 방식을 터득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활동 위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인터넷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정보 통신 윤리에 관한 네티켓도 문학 교육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습득되게 해야 한다. 인터넷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환경도 필요하다. 공학적 환경은 수업 환경에 따라 일반교실, 열린 정보실, 컴퓨터실(멀티미디어실)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교수-학습 형태와 학생들의 정보 활용 유형이 달라진다. 앞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인터넷을 활용한 문학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해 보았다. 모형은 학습자 스키마 활성의 원리,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의 원리, 하이퍼링크(Hyperlink)의 원리, 웹(Web) 서비스에서의 양방향 통신 원리, 상호작용 및 피드백의 원리에 의해 구안되었다. 전체 학습 구조는 [1. 계획단계 → 2. 교수-학습 단계 → 3. 평가 단계]로 이루어지고, 교수-학습은 [1. 반응 형성을 위한 준비 → 2. 반응의 형성 → 3. 반응의 명료화 → 4. 반응의 심화]의 4단계로 적용해 보았다. 인터넷 활용은 각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상호 텍스트성의 확대, 게시판 기능을 활용한 ‘독서 감상문 포트폴리오’, ‘친구에게 책 추천하기’에 중점을 두어 학생들이 스스로 책을 찾아 읽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모형의 구체적인 적용은 초등학교 5학년의 문학 단원의 교수-학습을 통하여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그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기본학습 차시뿐만이 아니라 심화·보충 단원의 ‘더 나아가기’ 차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였다. 인터넷을 활용한 문학 교수-학습은 현장에서 학습자의 독서 흥미와 능력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학생들에게 교수-학습이 끝난 후에도 문학 시간에 배우고 토의한 내용이 수업 안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인식을 갖게 하여 항상 독서에 흥미와 의욕을 가지도록 하였다. 문학 교육과 문학 교육으로 인한 내면화는 교수-학습 중에만 이루어지고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평생 교육의 차원으로 일상 생활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goal and a course that the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intended prior to the use of internet in the literary education. And it is to determine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applying to the learning. The literary education came to make the literature be a meaningful part of personal life. The course of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composed centered on the actual activities in order to make the reading important, to increase the children's thinking power, to think themselves, and to understand their ways. Accordingly, the weight of teachers and children's activities moved to the children. And the netiquette about the data communication ethics pointed as a problem of internet should be naturally acquired through the literary education. It needs the physical environment in order that the teaching-learning by using the internet might be accomplished.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general classroom, open information room, and computer room, multimedia room,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at, it became to differ a teaching-learning pattern and a type of the students' information utility.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pply to the literary teaching-learning model by using the internet for the life for literature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This model was projected by the principle of ① the learners' schema activation, ② learner-oriented literary education, ③ Hyperlink, ④ two-way communication in the Web services, and ⑤ interaction and feedback. The structure of the whole learning was determined as [1. Planning stage → 2. Teaching-learning stage → 3. Evaluation stage]. In the planning stage, it is to establish the determination of strategic goal, the diagnosis of teaching-learning condition,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the preparation of learning materials, the selection of internet use types and the establishment of learning plan, and the establishment of feedback plan. In the teaching-learning state, it applied after determining it as four stages, [1. The preparation for forming response → 2. Formation of response → 3. Clearness of response → 4. Deepening of response]. The internet use was concretely realized in each stag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method of be of help when the students find to read books themselves centered on the increase of mutual text property, making portfolio about the written description of their impressions, and recommending the books to their friends for the life for the literature. As for the concrete application of model, it is to investigate a plan whether how does it apply to the actual learning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in the unit of literature in the fifth year at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it determines time to promote the life for literature through deepening 'a step ahead' supplementary unit. It uses the time for basic learning as well as 'further more' time effectively. The literary teaching-learning using the internet could be consisted considering the learners' interest and capacity for reading books in the field. But the use of internet is not always useful, so it requires flexibility and steady use by the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students should always have interest and desire of reading books with consciousness that the contents learned and discussed in the literary time must not stay only in a class after the teaching-learning. The literary educational and the internalization by that should not present only in the teaching-learning time, but it should be accomplished in daily life as a dimension of lifelong education.

      • DVD Player 를 위한 후처리 블록에서의 메모리 최적화에 대한 연구

        장선옥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DVD players contain 4 main functions : MPEG-2 video decoder, SPU(Sub-Picture Unit) decoder, post processor, and sound decoder. Post processor composes of size conversion, zooming the frame, and adjustment of image quality such as sharpness, contrast, hue and saturation. This thesis proposes a hardware-efficient post processing structure for a DVD player. In a naive implementation, SDRAMs exist among subblocks. The new structure proposed in this thesis removes these memories. It needs shift registers, instead. Using memories between each block, 2.415 Mbytes of memory is needed. And the number of clock cycles required to access one frame of data in sharpness block is 12096000cycles. It exceeds the maximum operating frequency of typical SDRAMs considering RAS, CAS and precharge delays. This paper presents a hardwareefficient structure to reduce the memory size and the number of clock cycles for memory access. With our proposed structure, memory size is decreased by 57%.

      • 플루오르화 가소제와의 아자이드-알카인 클릭반응을 적용한 폴리우레탄 결합제의 합성 및 물성 : Synthesis of Polyurethane Binders Utilizing Azide-Alkyne Click Modification with Fluorinated Plasticizers and Their Properties

        장선옥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development of energetic materials, energetic plasticizer as an additive is facing lots of challenges such as high and secure energy output, efficient plasticizing ability and long sustained service life. The way to meet the requirements about providing high energy is to modify plasticizer by using energetic functional groups. But the energetic functional groups, such as nitrate, nitro, nitrite and azido groups, show high impact sensitivity, in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or easy oxidation under air atmosphere, and these properties cause the safety problem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e, transportation, usage and storage. So plasticizers with new concept was studied in this research. The energy output was by the reaction between the new concept of plasticizer and other material, such as thermite reaction. Thermite reaction is used to describe exothermic reactions involving reduction of oxides with aluminum (Al) to form aluminum oxide and reduction of element. The use of fluorine or its derivatives as oxidizers in various propellants and explosives has been recognized for many years. The reaction of fluorine and its derivatives with metals and metal hydrides is of interest in various pyrotechnics. Al reacts with decomposition products of fluorine containing polymers to produce metal fluorides, generally in the gaseous state yielding comparatively high flame temperature and enthalpy release. Therefore the fluorine-containing group was proposed to use as new concept of energetic functional group. The problem of leaching, migrating and evaporating could be solved by strengthening the force between plasticizer and polymer. By referencing the idea of reactive plasticizer, a new form of reactive plasticizer with suitable molecular weight (MW) was designed to resist leaching, migrating and evaporating while had excellent plasticization. Efficient and effective “click” reaction was used to form a chemical bond between plasticizer and polymer. Hence three types of six different reactive plasticizers (RPs), long fluorinated ester linkage RPs, short fluorinated ester linkage RPs and short fluorinated formal linkage RPs, have been synthesized by combining fluorine-containing groups and clickable alkyne groups. As well as, the ability of RPs on improving processability of prepolymer and the effect on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y after being incorporated with polyurethane (PU) binders were investigated. RPs present low viscosity (20 cP to 30 cP at 30 °C and 6 cP to 10 cP at 60 °C),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below -100 °C) and acceptable thermal stability, as well as high reactivity with azide groups of poly(glycidyl azide-co-tetramethylene glycol) (PGT) polymers. The four short fluorinated ester and formal linkage RPs showed good miscibility with PGT polyols and decreased the viscosity of PGT polyols. The viscosity of PGT polyol dramatically decreased after mixing 50 wt% of RPs. The extent of azide-alkyne click reaction between RP and PGT prepolymer could reach 100%. The reactivity of RP was proportional to electrophilic ability of alkynyl group. The ester linkage RPs and shorter intramolecular distance between EWG and alkynyl (d=1) RPs showed higher reactivity. The thermite reaction between PGT-RP and n-Al was assessed by DSC (Al crucible) and DSC (high pressure crucible). 20 wt% n-Al mass loading was selected to apply into PU binders. The investigation of energetic performance about long fluorinated ester linkage RP, E-15F-2, proved the high content of fluorine made a contribution to higher energetic performance. RP was incorporated in PGT-based PU binder with aluminum nanopowder (n-Al) by in-situ "click" reaction during PU reaction. After getting PU binder, mechanical properties of RP-incorporated PGT-based PU binders with n-Al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measuring the tensile strength and strain.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changed after incorporating with RP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RP-incorporated PGT-based PU binders with n-Al was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 triazole groups which were formed by “click” reaction appeared to affect on the thermal property, presenting higher Tg than PGT base PU binder. As well as, the thermal stability was analys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with temperature from 50 °C to 900 °C. Compared to thermal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 (Td,max) of PGT-based PU binder with n-Al aroud 240.0 °C, the Td,maxs of RP-incorporated PGT-based PU binders with n-Al were around 380 °C, implying that the incorporating of RPs could enhance the thermal stability of PU binders. The energetic performance of RP-incorporated PGT-based PU binder and n-Al was assessed by DSC (Al crucible) and DSC (high pressure crucible). The PGT(5/5) PU binder system exhibited more excellent energrtic performance than PGT(3/7) PU binder system because the larger fluorine content. 가소제는 낮은 유리전이온도, 낮은 점도, 낮은 누출특성 및 높은 열 안정성을 가져서 고분자의 유연성 및 가공성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요구 특성들은 일반적으로 많은 경우에 상충되므로, 최적의 가소제를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가진다. 최근 고에너지 물질 분야에서 에너지화 가소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구조의 에너지화 가소제가 현재 합성 및 적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합성된 에너지화 가소제들은 가소제로서의 특성을 충족시켜주고 있을 뿐 만 아니라, 높은 에너지 공급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화 가소제는 물리적으로 고에너지 물질에 분산되어 있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에너지화 가소제의 누출이 발생함으로써 장기적인 저장 및 안정성에 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에너지화 가소제에서 에너지 증대에 기여하는 에너지 그룹은 열 안정성의 감소, 충격감도의 증가 등 고에너지 물질의 민감도를 증가시키는 단점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반응형 가소제를 디자인하고 합성하고자 하였다. 신규 반응형 가소제의 구조적 특징으로는, 첫째 뛰어난 가소화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결합제와의 혼화성이 중요하므로 에스터 또는 에테르 화학구조를 도입하였다. 둘째 반응형 관능기인 알카인 구조를 가소제에 도입하여 고분자 결합제의 곁가지에 클릭반응을 통하여 도입됨으로서 시간에 따른 가소제의 누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셋째 기존 에너지화 가소제에 도입되는 에너지화 그룹을 대체하여 일상적인 조건에서는 inert한 물질로 존재하지만 고에너지 물질이 작동하는 조건에서 추가적인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관능기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잠재적 에너지화 반응으로 thermite 반응을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반응형 가소제에 플루오르기를 도입하였다. 기본적으로 3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는 6종류의 반응형 가소제를 합성하였다. Long fluorinated ester linkage 반응형 가소제, short fluorinated ester linkage 반응형 가소제와 short fluorinated formal linkage 반응형 가소제를 합성하였다. 이들 반응형 가소제들은 낮은 점도 (20~30 cP at 30 oC,6~10 cP at 60 oC),낮은 유리전이온도 (-100 oC이하), 적합한 열 안정성 및 poly(glycidyl azide-co-tetramethylene glycol) (PGT)의 아자이드 그룹과의 매우 높은 클릭반응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Short fluorinated ester linkage 반응형 가소제와 short fluorinated formal linkage 반응형 가소제는 PGT prepolymer와 뛰어난 상용성을 나타내었으며, 50 중량 퍼센트의 이들 반응형 가소제를 혼합했을 때 PGT prepolymer의 점도가 급격히 하락됨을 확인하였다. 반응형 가소제와 PGT prepolymer의 아자이드-알카인 클릭반응도는 100%에 도달하였다. 이때 반응형 가소제의 반응성은 alkynyl group의 친전자성에 비례하였다. 반응형 가소제 구조내에 있는 EWG와 alkynyl group 사이에 1개의 methylene spacer가 있는 반응형 가소제가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반응형 가소제와 반응한 PGT와 나노 알루미늄과의 thermite 반응은 일반 Al crucible을 사용한 DSC와 고압 crucible을 사용한 DSC를 사용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이 평가에서 20 중량 퍼센트의 나노 알루미늄 함량을 폴리우레탄 바인더에 적용하기로 결정하였다. PGT-based 폴리우레탄 결합제 합성하는 폴리우레탄 반응에 반응형 가소제와 나노 알루미늄을 혼합하여 in-situ 클릭반응을 수행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결합제의 기계적 물성은 반응형 가소제의 첨가에 의해 변화하였으며, 유리전이온도도 합성된 폴리우레탄 결합제내에 생성된 triazole group에 의해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열 안정성은 TG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합성된 폴리우레탄 결합제의 열 분해온도는 반응 전의 PGT prepolymer의 240 oC에서 380 oC로서 증가하였으며 이는 반응형 가소제의 도입에 의해 생성된 triazole 관능기에 의한 증가효과로 판단되었다. 나노 알루미늄과 혼합된 RP-incorporated PGT-based 폴리우레탄 결합제의 에너지 성능을 평가한 결과에 의하면, fluorine 함량과 보다 많은 반응을 할 수 있는 PGT(5/5) prepolymer를 사용하여 합성한 폴리우레탄 결합제가 PGT(3/7)을 적용한 시스템보다 높은 에너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유방암 환자의 식행동 특성 및 영양섭취상태 분석

        장선옥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in the breast cancer patients. Subjects of this study are women above 30 years of age (103 breast cancer patients and 108 non-cancer group). Non-cancer group was selected from Daegu Fatima Hospital employees and Orthopedic patients who do not have hormone related dis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subjects of this study is a total of 211 women above 30 years of age. The most significant age group for breast cancer was 40's. Average age of total subjects is 48; average height is 156 cm; average weight is 57 kg. 2. It appeared that after the treatments of breast cancer the patients notably decreased their intake of beef, pork, chicken, ramyon, ham, sausages, charcoal-broiled, fried foods and panbroiled foods while increasing the intake of cereals (such as brown rice, barley, etc. other than the white rice), fruits, fresh vegetables, legumes, green vegetable juices, green tea, mushrooms, etc. 3. Breast cancer patients exhibited very irregular eating habits, attitudes, and overeating habits toward foods. Their dietary and nutritional knowledge was noticeably lower compared to their control group.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breast cancer risks food factors. 4. The breast cancer patients was under stress more easily than control group not being able to cope with stresses but enduring whatever comes. Psychologically, they seemed to have very negative thinking toward their life style. 5. In predisease state, the cancer patients consumed more fat, protein and energy compared to after breast cancer occurrence. 6. The breast cancer patients have changed their eating habits since they were diagnosed as breast cancer. They had been eating more fibrous and low-calorie foods. In particular, the relapsed patients have considerably decreased their food intake on each food category including the fibrous and low calorie foods. 7. In the use of health or dietary supplements the patient group tended to be more influenced by others' advices or mass media advertisements other than the other sources, and each patient was taking more than two dietary supplements. 8. Among the factors thought to be causing breast cancer, the age of early menarche and the intake of hormone medication were shown as the highest risk factors. Having a large number of children and breast feeding were shown as the protective factors. 9. The intake of yellow-green vegetables, tomatoes, and dairy products seems to be the protective factors against the breast cancer while the polished white rice, polished wheat flower, butter, margarine, charcoal-broiled, ham, sausage, and eggs were shown to be the risk factors of increasing breast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