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혼성 분자 동력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클로로설파계지질의 막 구조 예측 연구

        이준열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1. Chlorosulfolipid의 막 구조 형성에 관련된 연구 Chlorosulfolipids(CSLs)는 1960년대에 해조류에서 발견이 되었다. 하지만 당시 기술력으로는 해조류에서 클로로설파계지질을 추출해 내는 것이 불가능하여 연구가 중단 되었다. 그 후로 40년 뒤 2009년이 되어서야 클로로설파계지질을 추출할 수 있게 되었다. 클로로설파계지질이 독성을 지니고 있다는 연구가 보고 되어 왔다. 하지만 이 클로로설파계지질이 형성하는 지질 막의 구조는 현재까지 학회에 보고 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원이 M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클로 로설파계지질이 형성하는 세포막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coarse-grain 모델을 이용한 클로로설파계지질의 자기 조립 연구와 이 결과로 인해 얻은 정보로 atomistic 모델을 만들어서 분자 동력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선형의 클로로설파계지질로 이중 막과 단일 막을 만들어서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두 시스템에서 모두 물 분자들이 막 내부로 침투하여 막 시스템이 깨지는 현상을 발견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원은 자기 조립을 진행한 후 구부러진 모양의 클로로설파계지질을 만들어 다시 이중 막과 단일 막을 만들어서 시뮬레이션을 진행 하였다. 이중 막 시스템에서는 물 분자들이 막 내부로 침투를 하여 막 시스템이 깨지는 현상을 발견하였지만 단일 막의 경우 물 분자가 막 내부로 침투하지못 하고 막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2. Coarse-grained simulation을 이용한 세포막 내에서 산화된 인지질이 미치는 영향 연구 인지질의 산화로 인한 세포막에서의 물성의 변화는 많은 관심을 받아오고 있는 분야이다. 하지만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진은 coarse-grained 분자 동력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플라즈마 처리가 된 세포막의 구조적 물성변화와 기존의 세포막과의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DOPC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세포막에 산화된 여러 지질을 도입했을 때 세포막의 두께가 감소하였다. 또한, 산화된 지질의 농도에 따라 세포막의 물성이 변화하며, 산화된 지질의 농도가 증가 할 수 록 세포막의 두께가 감소하고 세포막의 지질 당 면적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1. Study of Membrane Structure Consisting of Chlorosulfolipids Chlorosulfolipids (CSLs) are the major components of flagellar membranes in sea algae. Unlike typical biological lipids with a hydrophilic head group and hydrophobic hydrocarbon tails, CSLs contain hydrophilic sulfate groups in the hydrocarbon tail region, which has eluded the prediction of the CSL membrane structure since 1960. Hence, in this study, we combined coarse-grained (CG) and atomistic molecular dynamics (MD) simulations to provide some insights into the CSL membrane structure. First, The CG model based on Martina force elds was used to predict the mesoscopic membrane structure of CSLs. It was found that the CSL lipids form a stable monolayer membrane structure, in which the hydrocarbon moieties are sandwiched by hydrophilic sulfate groups in both head and tail regions. Based on the mesoscopic membrane structure obtained by the CG model, i built up the corresponding atomistic model and investigated the integrity of the CSL membrane structure. 2. The Study of Plasma Treatment on Model DOPC Membranes Using the Coarse-Grained Simulation In cell membranes, oxidation of phospholipids and effects of oxidized phospholipid have attracted much interest from many groups. However in both experiments and computer simulations,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about oxidized cell membrane systems. In this study, using the coarse-grained simulations, we study the effects about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treatment on model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membrane, which induces phospholipid oxidization. On the plasma treatment, hydrophobic thickness decrease along with the generation of oxidized lipids (OX3). In addition, we built up additional systems in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OX3 lipids and hydrophobic thickness is decreased with increasing OX3 lipids concentration.

      • 소아 발열 환자에서 diclofenac sodium 근육 주사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후향적 연구

        이준열 강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발열은 응급실을 방문하는 소아들이 흔히 호소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응급실에서 효과적인 해열을 위해 diclofenac sodium 근육주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소아에서 그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에서 diclofenac sodium 근육주사의 해열 효과와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를 발열을 주소로 방문한 1세 이상의 소아 중 diclofenac sodium 근육주사가 투여된 환자의 의무기록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체온이 1℃이상 하강하는 것을 해열로 정의하였으며 allergic reaction을 관찰하기 위해 서로 다른 날에 2회 이상의 diclofenac sodium이 투여된 환자들을 조사하였다. 의무기록은 응급의료센터 기록과 소아청소년과 외래 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최종적으로 300명의 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평균 해열되는데 까지 걸린 시간은 69.1±23.8분이었다. 투약 한 시간 경과 후 평균 체온의 변화는 1.1±0.6℃이었고, 평균 체온 변화율은 40.6±22.2%였다. 응급의료센터 내에서 투약 이후 관찰 기간 중 중대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응급실에서 diclofenac sodium 근육주사는 소아 환자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해열시켰다. 해열 효과는 어린 환자일수록 더 빠르게 나타났으며 중대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Purpose: Fever is one of the common symptom of children that visit emergency department. In emergency department, intramuscular injection of diclofenac sodium is commonly used for antipyresis, but there are few data on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intramuscular diclofenac sodium injection for antipyresis in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intramuscular injection of diclofenac sodium. Methods: The medical record of febril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department were analyzed. Infants under 12 months of age were excluded. Fever alleviation was defined as the temperature decline to 1℃ below the temperature at presentation. Patients who received diclofenac sodium twice or more on different days were observed for side effects such as allergic reaction. Medical records from the emergency departmemt and pediatric outpatient clinics were analyzed. Results: Finally, 300 patients were included. The average time elapsed until antipyresis was 69.1±23.8 min. The average temperature reduction after 1hour was 1.1±0.6℃. The average proportion of temperature change after 1hour was 40.6±22.2%. During the period at the emergency department, there were no side effect. Conclusion: Intramuscular injection of diclofenac sodium provided effective antipyresis in febrile children. Antipyresis is more effective in younger children. side effect were not occurred.

      • 자가 적응형 IoT 디바이스를 위한 리눅스 커널 내장형 경량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 디자인

        이준열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사물인터넷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임베디드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있다. 한정적인 네트워크 자원을 가지고 많은 네트워크 커넥션들이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정적인 네트워크 자원을 가지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커넥션을 관리해야 하는 자가 적응적인 기법들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자가 적응적인 관리기법들이 네트워크의 각 커넥션의 상황에 맞게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관리를 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의 획득이 우선된다. 하지만 기존에 존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저마다의 한계가 있다. 리눅스 자체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에는 송수신 대역폭과 누적 바이트 수만을 제공한다. 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유저 영역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큰 오버헤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는 적절치 않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자가 적응적인 기법을 사용하는데 유용한 정보들은 제공해주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IoT 디바이스에 적합하게 매우 적은 오버헤드를 가지고 있고,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리눅스 커널에 내장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넓힌, 리눅스 커널 내장형 경량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 地方自治時代의 地域情報化構築에 따른 情報通信의 實體 硏究 : 광산구청을 중심으로

        이준열 全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화, 정보화, 지방화의 큰 물결속에 다가오는 21 세기는 정보화의 진행척도가 지방 자치 시대의 국가 및 지역 발전의 수준을 가름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 정보화 구축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기획하는데 있어 선행연구 및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활용과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정보화의 인프라 구축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역 정보화라는 개념이 불확실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그 구체적인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을 기대한다. 이러한 목적아래 본 연구는 지역 정보화 사회의 개념부터 접근 전략, 해외 선진 사례분석을 통한 예시 및 국가의 정보화 사업계획을 분석하여 지역 정보화 사회의 실행 전략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여 결론을 유도 하고자 한다. 특히 중앙 정부와 자치단체간의 화음은 필수적이며 지방화 시대의 컴퓨터를 통한 지역 정보화 사업의 사업은 반드시 필요하며 적극적인 투자와 성공적인 정보화 추진에 필요한 H/W, S/W 주요 과제의 문제 제기와 더불어 지역 정보화의 비전제시, 정보화의 기반이 취약한 지역에서의 지방 자치시대의 정보화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을 기초로 한 본 연구는 작고 효율적인 지방 정부, 경쟁력 있는 지역 정보화의 발전 전략으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 한다 Along with the wave in the name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networking and localization, the 21st century will be an era when the degree of information networking is a criterion to judge the level of development both centrally and locally in the age of local self-governing. This study suggests a desirable way to construct a local information network, plans concrete practices.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of a local information network using the previous studies, an active self-governing body, and the Internet would be a specific alternative in the situation that the concept of local information networking, which creates added value, is uncertai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draw a conclusion derived from concrete practice strategies of a local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nalyzing the concept of a local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ccess strategy, international advanced examples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business plan. In particular, the harmony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self-governing body is essential and the local information business through, computers is surely necessary in the era of localizat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difficulties hindering information in the region on a weak informative basis in the era of local self-governing, along with presenting the main problems of active investment and a successful information project and proposing the vision of a local information network.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a promising strategy for a small but efficient local government and a comparative local information network.

      • 이스트에 대한 소금 스트레스가 식빵 반죽과 제품에 미치는 영향

        이준열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이스트를 활성화 시켜 소금물에 침지시킨 스트레스 시간에 따른 반죽의 발효와 제품의 특성과 스트레스에 사용되는 소금의 양과 종류에 따른 반죽의 발효에 미치는 결과를 분석하여 산업적인 이용을 하기 위함이다. 이스트를 활성화 시킨 후 소금물에 침지시켜 이스트 현탁액을 먼저 만들어야 하는 준비과정이 소규모의 베이커리에서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렵더라도 비교적 체계적인 관리조건을 갖추고 있는 대량 제빵업체들에게 있어 그동안 제빵 반죽법에 사용하지 않았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함으로 제빵 산업에 현실적인 적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이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 생산에 이바지 할 연구로서 대량 생산 및 표준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 반죽의 가스 생성율은 처음에는 대조구를 비롯하여 모든 실험군이 0 mL로 시작하였고, 발효 15분 후에는 대조구와 S15의 반죽이 12.5 mL로 가장 높았고, S75가 7.25 mL로 가장 낮았다. 발효 60분 후에는 S45가 27.5 mL로 가장 낮고 S75가 40 mL로 가장 높은 가스 생성율을 나타냈다. 150분이 지난 후에는 대조구의 가스 발생량이 가장 낮았으며, 가장 가스 생성율이 높았던 것은 S60으로 108 mL이었다. 반죽 발효율의 경우 S45는 0분부터 135분까지 대조구와 다른 실험군들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발효율을 보여주었으나, 135분 이후에는 발효율이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발효율이 높았던 것은 S15이었으며, 135분 이후에 발효율이 감소했던 S45와는 달리 135분 이후에도 발효율이 29.17 mm에서 30.96 mm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60과 S75는 낮은 발효율을 보였다. 침지시간 45분이 가스 생성율은 가장 낮았지만 반죽의 발효율은 가장 좋은 것으로 보아 가스 보유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반죽의 pH는 침지시간 15-45분 까지는 대조구보다 pH가 낮아졌으나 그 이후는 pH가 증가하였다. 반죽 pH 측정결과 75분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았으며, 침지시간 45분까지는 발효환경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빵의 부피는 소금에 스트레스를 준 이스트를 사용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대체로 증가하였고, 침지시간 45분이 1892.1 mL로 가장 좋았으며, 비용적도 4.75 mL/g으로 가장 좋았다. 이는 45분 동안 소금용액에 이스트를 침지하는 것이 가장 높은 발효율을 보인 결과와 일치하며, 이것이 가장 오븐 스프링에 좋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침지시간 15분은 부피와 비용적이 각각 1626.7 mL, 4.02 mL/g으로 가장 적은 값을 나타내었다. 3. 경도의 경우 대조구가 8.61 g 으로 가장 낮았으며 침지시간 45분이 9.27 g 으로 가장 높았다. 30분, 45분은 대조구, 15분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경도가 높아지다가 60분부터 경도가 낮아졌다. 부착성은 침지시간이 지날수록 값이 높아져 75분이 10.48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은 45분이 다른 침지시간에 따른 반죽들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았다. 응집성은 60분과 75분이 0.71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15분이 0.65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가장 낮았다. 점성 또한 15분이 5.70으로 가장 낮았으며 75분이 6.37로 가장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씹힘성은 15분이 5.37로 가장 낮았으며, 60분이 6.10으로 가장 높았다. 측정 결과, 경도와 탄력성은 45분, 부착성과 점성은 75분, 응집성과 씹힘성은 60분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식빵의 부피는 침지시간 45분의 시료가 다른 시료들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2146 cc로 가장 높았다. 기공의 조밀도는 대조구의 조밀도가 770.00으로 가장 낮았으며, 침지시간 75분의 조밀도가 853.67로 가장 높았다. 조밀도가 가장 낮은 대조구의 기공의 찌그러짐 정도가 1.52로 가장 컸으며, 45분이 1.39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껍질의 두께는 침지시간 45분이 0.46 cm로 가장 두꺼웠다. 5. 식빵 색도 분석 결과 L값은 75분이 유의적으로 가장 밝았으며, 45분부터 75분까지는 시간에 따라 L값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값은 15분이 가장 높았으며, 15분 이후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적색이 약해지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b값은 15분이 가장 높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황색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6. 관능검사 결과 텍스처는 45분이 가장 좋았고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향에서 역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45분이 가장 좋았으며, 식감에서도 45분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맛 또한 45분이 가장 좋았고, 그 다음은 30분이 좋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처, 향, 식감, 맛에서 가장 좋았던 것으로 나타난 45분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역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구는 텍스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가장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역시 가장 순위가 낮았다. 특성 차이 검사에서는 부피와 기공크기에서 45분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7. 소금 양을 달리한 소금 이스트 침지 용액에 따른 반죽의 가스 발생율은 처음에는 가스 발생이 없었고, 15분부터 소금 양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15분부터 SS1.25가 가장 높은 가스 발생율을 보였고, SS2.0이 15분부터 관찰 종료까지 가장 낮은 가스 발생율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8. 소금 양이 다른 소금 이스트 침지 용액에 따른 반죽의 발효율은 0분에는 SS1.0이 가장 컸고, 15분, 30분에는 SS1.5가 가장 컸다. 하지만 45분부터는 다시 SS1.0이 가장 발효율이 좋았으며, 관찰 종료시점인 135분까지 SS1.0이 가장 좋았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60분까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시간이 흐를수록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9. 여러 종류의 소금을 사용한 소금 이스트 용액으로 만든 반죽의 가스 발생은 15분부터 IS, NS, HS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관찰 종료 시점인 135분까지 IS의 가스 발생율이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것은 30분, 45분에는 US, 60분에는 HS, 75분에는 HS와 US, 90분부터 135분까지는 BS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소금 종류별 가스 발생률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10. 소금 종류를 달리한 소금 이스트 용약에 따른 반죽의 발효율은 0분에는 HS와 IS, 15분, 30분에는 BS, 45분에는 US, 60분부터 120분까지는 NS의 발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IS는 발효율 측정 시작부터 종료까지 발효율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스트의 소금 스트레스 시간에 따라 반죽의 특성과 제품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5분 동안 소금용액에 침지된 이스트를 사용한 반죽과 식빵이 발효율, 부피, 비용적이 더 우수하였고, 텍스처, 향, 식감, 맛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으므로 최적의 침지시간이라고 사료되었다. 또한 소금의 양은 1.5% 까지는 반죽의 발효율이 좋아지지만 그 이상의 소금 함량에서는 발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한 소금 중 뉴질랜드 산 소금의 발효율이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Salt, the one of main ingredients to make bread, fuc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usage levels and methods. Through the first experiment, it was examined the effects of yeast soaking time from 15 to 75 minutes in 1.5% salt solution on gas production and fermentation rate of dough and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The addition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on the effects of different amounts and types of salt. 1. In the gas production and fermentation rate experiment of bread dough, the released amounts of CO2 gas and fermentation rate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S45(45 min soaking time) appeared as the lower gas level, but S45 was the highest fermentation rate. As a results, the gas retention related to gas production and fermentation rate was the best at the 45 min yeast soaking time. 2. S75(75 min soaking time) showed the highest pH level of dough, but other samples of dough were appropriate to the dough fermentation in the range of pH 5.74-5.90.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bread was the best in 45 soaking time. 3. In texture analysis, the dough with 45 min yeast soaking time was the highest in crumb hardness and higher in springiness among the samples. Also, the dough with 75 min soaking time was higher in adhesiveness and gumminess, and 60 min soaking time showed higher in cohesiveness and chewiness. 4. As a result of crumbScan analysis, the bread made with 45 min yeast soaking time showed the biggest bread volume. The bread volume over 45 min was decreased due to the increasement of soaking time. 75 min soaking time comes out higher in crumb fineness and the control had the highest in crumb elongation. The crust thickness of bread made with 45 min soaking time was thicker than any other samples(0.46 cm). 5. Brightness of crumb color(L valu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yeast soaking time(p<0.001). Crumb L value was increased and crumb a value was decreased as soaking time increases. But, crumb b value was not considered statistically. 6. According to the preference test, the white pan bread made with 45 min soaking time in salt solution was preferred the most. And the attribute different test showed that 45 min soaking time showed the highest bread volume and crumb grain size. 7. As a result of gas production in different amounts of salt, SS1.25 showed the highest gas production level and SS2.0 showed the lowest level throughout the all fermentation time. In the experiment of dough's fermentation rate in different amounts of salt, SS1.5 showed the highest rate at 15 and 30 min of fermentation time and SS1.0 was the biggest fermentation rate at 135 minutes. 8. As a result of gas production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salt, IS(Italy salt) showed the highest gas production level at 135 minutes of fermentation time. And overall,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he salt types. 9. In the experiment of dough's fermentation rate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salt, BS showed the bigger rate at 30 minutes, US indicated bigger rate at 45 minutes and after 60 minutes, NS showed the biggest fermentation rate. On the other hand, IS is the lowest fermentation rate during 120 minutes. In these results of experiment, salt-stressed yeast soaking time affected on the quality of dough and bread, and the case of soaking 45 min in salt solution showed a good fermentation rate, volume, specific volume and overall acceptance. And up to 1.5% of salt amount and NS showed a good fermentation rat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 useful method in mass production of bread an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 of the baking industry.

      • 워터파크의 국내·외 실태조사 : 수처리 시설을 중심으로

        이준열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oday, recreational activities are important parts of everyday life, as they have been conducive to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nd enrichment of living experiences. 'Water Park', a new type of leisure space which has emerged lately, is a complex aqua space equipped with not only swimming pool but also various amusement, health and recess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new type of sound leisure space or 'Water Park' in terms of theory and cases and thereby, explore its model suitable to our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attem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f water park with its most fundamental and important element, namely theme expressed effectively and therewith, explore a design technique for water park, which would meet users' needs for speci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while organizing the space allowing for comfortable, pleasant, rich and happy experience of life. Owing to rising GNP, more holidays, prevailing well-being culture and expanding Korean culture, demands for water park are rapidly increasing, indeed. However, planning and operating techniques do not seem to catch up with such increasing demands. In addition, the facility-centered water park plan may interest users at first, but such an interest would be lessened over time. All in all, it is deemed essential to introduce more diversified programs to the water park and at the same time, set a strong sense of theme for effective research and healthy amusement. 국민소득 증대와 휴무일 증가와 웰빙문화의 정착, 한류문화와의 확산 등에 힘입어 워터파크의 시설의 수요가 급증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증가 추세에 비하여 기획이나 기술수준은 매우 취약한 현실을 고려하여 워터파크의 시설물 중심의 조성은 처음에는 비교적 흥미를 끌 수 있으나, 이용횟수가 거듭됨에 따라 흥미가 반감되므로 다양한 프로그램의 도입과 강한 테마성을 도입한 휴식형과 건강오락형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게 구성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다음에 제시된 사항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기업의 상업성을 목적으로 한 워터파크 조성만이 아닌 건전한 국민레저의 장으로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둘째, 강한 테마성을 가지면서 가족, 친구들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모든 연령층이 공감할 수 있는 테마를 설정하여 일상생활과 차별화된 환상적인 공간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이는 앞장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점점 더 많은 워터파크들이 이러한 추세를 따르고 있으며, 빠르게 변해가는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발맞추기 위한 효과적인 해결방안이기 때문이다. 셋째, 4계절의 구별이 뚜렷한 우리나라 기후조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워터파크의 유형 중 오락형과 건강_휴식형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워터파크를 조성해야 한다. 넷째, 시설물 설치 중심의 단순한 워터파크 계획이 아닌 다양한 프로그램 도입과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관리_운영방안을 모색하여 이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생동감 있는 레저공간으로 계획되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워터파크의 효과적인 기획과 설계에 충분한 고려와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겠고 시공, 유지 운영하기까지 지속적인 안전과 청결유지 또한 중요하게 고려되어져야 한다. 결국 워터파크의 효율적인 조성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자외선 차단 기능성의 프레스드 헤어 파우더 제형의 분산성 및 안정성 향상에 관한 연구

        이준열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프레스드 헤어 파우더의 중요 품질 속성으로는 새치와 빈모를 마치 머리카락처럼 잘 커버할 수 있는 진한 발색력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량(30~40%)의 흑색 산화철이 배합되어야 하는데 산화철 특성상 다량(30~40%)으로 배합 시 응집이 생겨 케이킹(caking)현상이 일어나 표면이 오돌토돌한 돌기가 발생하여 발림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발색력과 발림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제형을 개발하기 위해 triethoxycaprylylsilane이 코팅된 산화철을 이용하였다. 추가적으로 케이킹 방지제(Anti-CakingAgent)로 단분산성 실리카인 Silica/ Caprylic/ Capric Triglyceride/ Methicone (SCCTM)과 소수성 실리카 Silica Dimethyl Silylate(SDS)를 배합 비율을 조절하며 분산성을 증가시켰었다. 그 분산성 측정으로는 입도 분석, 퍼프 테스트, 응집 침전 속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는 논코팅 산화철에 비하여 Triethoxycaprylylsilane이 코팅된 산화철이 분산성이 높았고 SCCTM 5%, SDS 2% 적용한 실험이 분산성이 좋아 발림성 평가가 높았고 낙하안정성도 3회로 제형 안정도도 높았다. 해당 실험의 입도 분석 결과로는 9.0 μm으로 두 번째로 작았고, 퍼프 테스트 결과로는 표면이 제일 깨끗했으며, 응집 침전 속도에 따른 탁도 차이로는 탁도가 제일 짙어 가라앉은 정도가 제일 낮았다. 추가적으로 여름철 모발 및 두피 보호에 대한 소비자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자외선 차단 원료를 무기 자외선 차단제 Aluminium hydroxide와 Triethoxycaprylylsilane이 코팅된 제품의 Titanium dioxide (AS Coated TIO2)와 유기 자외선 차단제 ethylhexyl methoxycinnamate (OMC) 추가 배합하여 in vitro SPF 값에 따른 적절한 배합 비율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발림성과 발색력 모두 만족시킨 선행연구의 프레스드 헤어 파우더 제형에 AS Coated TIO2 7%와 OMC 3% 배합한 실험의 SPF 16으로 제일 높았으나 오일이 배어 나오는 현상으로 발림성이 떨어졌다. AS Coated TIO2 7%만 적용한 실험의 경우 SPF 8이며 발림성 평가 또한 높았다. 따라서 이미 응집력이 높은 산화철이 다량으로 배합된 프레스드 헤어 파우더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까지 추가 배합하기에는 제형의 품질이 떨어져 무기 자외선 차단제만 적용하는 게 올바른 방향으로 보이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of the pressed hair powder in quality is intensive color that covers grey and empty hair and shows them like real hair. In order to achieve this property, a large amount of iron oxide (30 to 40%) must be mixed. However, agglomeration occurs when large amount of iron oxide (30 to 40%) is mix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ron oxide. This causes caking phenomenon, which creates bumps on surface of powder and decreases spreadability. Therefore, iron oxide coated with triethoxyacaplylsilane was used to develop a formula that satisfies qualities in both color intensity and spreadability. In addition, dispersibility was increased by controlling a mixing ratio of anti-caking agents which were silica/Caprylic/Capric Triglyceride/Methicone (SCCTM), a monodispersible silica, and silica dimethyl silicate (SDS), a hydrophobic silica. The dispersibility was measured using particle size analysis, puff test, and agglomeration precipitation rate analysis. The result indicated that iron oxide coated with triethoxyacaplylsilane showed higher dispersibility than non-coated iron oxide. Moreover, experiment with ratio of 5% SCCTM and 2% SDS demonstrated higher spreadability evaluation score and formulation stability, and passed dropping test three times. The result of particle size analysis illustrated that the size of particle in this ratio was the second smallest as 9.0μm and the puff test indicated the surface was the most clean and even. Last, this ratio exhibited the most turbid result, thus the degree of sinking was the lowest, according to the agglomeration precipitation rate. Addition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sunscreen ingredients to satisfy needs from consumer for hair and scalp protection from UV light. An inorganic sunscreen ingredient, titanium dioxide coated with Aluminum hydroxide and triethoxypyrrolsilane (AS Coated TIO2), and an organic sunscreen ingredient, ethylhexyl methoxycinnamate (OMC), were mixed in different ratios to find out the ratio that delivers the highest in vitro SPF value. Using previously studied pressed hair powder formula that satisfied both spreadability and color intensity, experiment including 7% of AS Coated TIO2 and 3% of OMC mixture demonstrated the highest SPF value with SPF 16, but the spreadability was low due to oil leak. When 7% of AS Coated TIO2 was used alone, SPF was 8 and the spreadability evaluation was high.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it is more appropriate to use inorganic sunscreen ingredient alone than using mixture of inorganic and organic sunscreen ingredients since the pressed hair powder already includes large amount of iron oxide which possess high cohesion characteristic that drops quality of formula when organic sunscreen ingredient is ad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