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생활만족을 위한 초등학생 낙관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이연숙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at developing an optimism training program to facilitate school satisfaction in children, particularly in an elementary school. The concept of an optimism is based on Seligman's idea of learned optimism. It is contrary to his idea of learned helplessness, which is pessimistic attitude as a result of a series of failure. The program is consisted of 6 sessions, each of which takes 50 minutes. The session includes orientation, lecture, activities, conclusion, and homeworks. Its training principle is learning by doing. 본 연구는 학교생활만족을 위한 초등학생 낙관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로서, 학교생활의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생활의 갈등을 감소시켜 나가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의 경우 학교생활 만족을 위해 구성되어지는 요소는 학교생활환경과 학습활동, 교사와의 관계, 교우와의 관계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영역에서 학교생활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낙관성 향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감성리더십 및 교사행동과 자율성의 관계

        이연숙 경인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의 자율성을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감성리더십과 교사행동 및 아동의 자율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의 감성리더십과 교사행동, 아동의 자율성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의 감성리더십과 교사행동, 아동의 자율성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감성리더십과 교사행동의 아동의 자율성에 대한 설명력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대상은 경기도 시흥시, 부천시, 인천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4, 5, 6 학년, 446명의 아동들이다. 검사지는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감성리더십, 교사행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각각 김용우(2010), 최희(2010)의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자율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주영(2010)의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통계적 자료처리를 하였다. 아동의 자율성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Ryan과 Connell(1989)이 제안한 자율성 지수(RAI)를 산출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교사 감성리더십, 교사행동, 아동의 자율성 수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t-검증을 이용하여 알아보았으며 아동이 지각한 교사 감성리더십, 교사행동, 아동의 자율성 수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의 감성리더십, 교사행동과 아동의 자율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하였다. 아동의 자율성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감성리더십과 교사행동의 설명력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아는 남아보다 교사의 부정적 피드백과 지시를 덜 지각하고, 아동 자신의 자율성은 더 높게 지각했다. 둘째,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 감성리더십의 구성요인 중 교사의 자기인식능력에서 4학년이 5학년보다 높게 지각했으며, 교사행동은 지지적 도움행동에서 4학년이 5, 6학년보다 높게 지각했다. 그리고 부정적 피드백과 지시행동에서는 5, 6학년이 4학년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 감성리더십과 감성리더십의 구성요소인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사회적 관계 관리능력은 아동의 자율성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지지적 도움행동과도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교사의 부정적 피드백과 지시행동과는 모두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아동이 지각한 지지적 도움행동과 아동의 자율성 간에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부정적 피드백과 지시 아동의 자율성간에는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감성리더십, 지지적 도움, 부정적 피드백과 지시는 아동의 자율성을 약 26% 설명하였다. 성별로 보았을 때 남, 여 아동 모두에게 아동의 자율성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은 지지적 도움행동이고, 학년별로 보았을 때는 4, 5, 6학년 모두에게 아동의 자율성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은 교사의 부정적 피드백과 지시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교사 교육프로그램, 다양한 학습지도 전략, 생활지도 전략 개발시 성별에 따른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 5, 6학년일수록 학습의 난이도가 어려워지고, 학습의 양과 시간이 많아져서 교사의 영향이 더욱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 6학년이 교사의 감성리더십과 도움적 지지행동을 낮게 지각하고 교사의 부정적 피드백과 지시는 높게 지각하는 바, 교사와 아동과의 관계 증진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이외에 교실에서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 꾸중, 질책, 숙제검사와 같은 교사의 행동들이 교사의 좋은 의도와는 달리 아동의 자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꾸중, 질책, 핀잔, 열등감 조성 등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존의 생각들이 바뀌어야 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감성리더십, 교사행동, 자율성, 자기결정성

      • 학습공동체 문화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이 초등학교 국어과 학업성취 및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미치는 효과

        이연숙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학습공동체 문화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이 초등학교 국어과 학업성취 및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미치는 효과 이연숙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전공 (지도교수 : 홍재호)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국어과 학업성취도 향상의 한 지도방법으로서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교과지도를 위한 효과적이며 매력적인 한 교수·학습 지도방법이 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근거로 하여 설정된 연구문제와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Ⅰ] :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학업성취도」 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 [연구문제 Ⅱ] :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 <가설 Ⅰ>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아동들의 학업성 취도에 의의 있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 <가설 Ⅱ>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아동들의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의의 있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남 ○○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그 중 1개 학급은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을 적용하는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1개 학급은 기존의 전통적 수업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을 위한 학습 단원은 6학년 1학기 국어과 다섯째 마당 ‘마음을 나누며’ 이었으며, 실험기간은 2002. 6. 10 ~ 2002. 6. 29 (18차시)이었다. 실험집단은 ‘학습공동체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은 ‘전통적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 모두 6학년 담임 동료교사가 수행하였다. 실험처치 후 두 집단에 실시한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 및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검사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t 검증을 사용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Ⅰ>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아동들의 학업성취도에 의의 있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는 긍정되었다(p <.01). 즉,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전통적 지도방법보다 학업성취에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 2. <가설 Ⅱ>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아동들의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의의 있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는 긍정되었다(p <.001). 즉, 학습공동체 문화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전통적 지도방법보다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의의 있게 더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이 초등학교 국어과에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며, 학생들에게 수업을 보다 유의미하게 받아들이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한 대안적인 교수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단순 지식 전달식 교육, 경쟁적 학습 분위기 조성, 이기주의적 성향의 학생 양성 등 우리 교육에 대한 비난을 극복할 수 있는 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둘째,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이 초등학교 국어과에서 학업성취 및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미치는 효과만을 검증하는 것으로 제한하였으나 앞으로의 후속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력 향상 및 인성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The Effect of Teaching by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Cultur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Instructional Meaning of National Language in Elementary School Lee, Yun-Sook Major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Chung-nam,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ong, Jae-Ho, Ph. D.)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the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cultur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perception of instructional meaning of national language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oblems and th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followings : [Problem Ⅰ] : Could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the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culture(FLCC group) be more effectiv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national language than the conventional approach(CONV group) in elementary school ? [Problem Ⅱ] : Could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the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culture(FLCC group) be more effective on the perception of instructional meaning than the conventional approach(CONV group)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 ? <Hypothesis 1> :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academic achievement of national language between FLCC group and CONV group in elementary school. <Hypothesis 2> :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instructional meaning between FLCC group and CONV group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 To test above hypotheses, learning contents titled 「Sharing of Heart」was selected from national language textbook for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s experimental groups, two groups of 6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ongju city in Korea. One group(LCCF group) was treated with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learning community cultural formation, the other(CONV group) was treated with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conventional approach. The number of the subjects was 4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LCCF group and CONV group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p<.01). That is to say,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learning community cultural form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conventional approach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ense of class meaningfulness between two groups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p<.001). That is to say,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learning community cultural form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conventional approach on the sense of class meaningfulness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made.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learning community cultural formation could be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 both for the enhancing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personality form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Marta Pan의 작품세계

        이연숙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고는 1950년대 자연적 형태인 과일, 식물, 조개껍질을 확대경으로 관찰하여 접합점(接合點)을 발견한 후 떠있는 조각(Floating Sculpture)에 이르는 동안 마르타판(Marta Pan)이 발전시킨 조각 작품의 분석을 통해 조형성을 살펴보고 움직이는 조각과 자연 환경과의 관계를 조명해보고자 한 다. 서정적 추상(抒情的 抽象), 옵 아트(Op-art), 기하학적 추상(幾何學的 抽象), 미니멀 아트(Minimal-art) 등의 작가로 불리는 마르타 판(Marta Pan) 이 Paris에 정착한 후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한 제2차 세계대전 이후는 급격 한 사회 변화의 시기로 여러 예술 그룹과 예술 운동이 활발했었다. 그러나 마르타 판(Marta Pan)은 어떠한 시대조류나 부류에도 속하지 않고 그동안 이루어져 왔던 현대미술의 다양한 시도들을 맏아들이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성(造形性)을 만들어냈다. 마르타 판(Marta Pan)의 초기 작품은 자연물을 관찰하여 얻어진 형태에서 접합(chamieres)과 평형(equilibre)을 찾아내었다. 대표적인 예로 조개류의 구조를 연구하여 하나의 접합점올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는 운동을 발견 하였다. 접합은 그녀의 작품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움직이는 조각을 만들어내는 기초가 된 젓이다. 균형은 조각 자체의 평형을 추구하다가 조각 내에서 균형을 잡고 움직이는 무용수로 완성되었으며, 서로 이질적인 요소인 조각과 무용수(인간)와의 결합으로 설명한다. 이후 자연 형태는 추상화되고 간결한 형태로 단순화되었다. 그리고 조각 에 운동(에너지, 자연의 힘)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의 실험이 이루어졌다. 먼저 단순한 형태를 열림과 닫힘의 개념으로 하나의 덩어리가 여러 개의 퍼즐(Puzzle) 조각처럼 분리되었다가 다시 합해지는 것이며, 움직임이 손에 의해 재구성된다. 이것은 물을 좌대로 하여 운동(물과 바람 등의 자연)에 의 해 움직임을 갖는 떠 있는 조각(Sculpture Flotrente)의 시작으로 보여진다. 산업의 발달로 만들어진 공업용 원료가 조각 재료로 바뀌는데, 이것은 Plexiglas(유리처럼 투명한 합성수지)이다. 이 재료는 빛을 이용한 조각이 되며, 투명한 재료에 의해 만들어진 내부와 외부의 형태가 동시에 보이면서 빛의 반사, 투사, 굴절 등의 성질을 이용해 빛에 의해 달리 보이는 형태로 그 두 공간을 대립시켰다. Plexiglas는 건축적 조각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건축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작품에서 재현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각의 단계를 거쳐 건축가인 남편의 영향을 받아 건축과 조각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마르타 판(Marta Pan)은 환경과 조각의 조화를 이루어내었으며, 떠 있는 조각(Sculpture Flottente)을 완성하기 위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가며 발견해낸 폴리에스테르를 접하고, 조각 작품에서 좌대를 물 로 바꿀 수 있었다. 여기서 물은 조각 작품의 완만하고 지속적인 움직임을 연장시키는 요소로서 바람에 의해 파동과 유동을 지니면서 조각 작품에 운동감을 주었다. 또한 공원이나 도시 기획 등 마르타 판(Marta Pan)의 환경 조각은 조각과 건축에 이어 나타난 것으로 작품의 크기가 거대해지고 관람자를 적극 끌어들임으로써 장소의 상징으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조각은 건축물과 자연 환경, 그리고 그 속의 조각 작품이 자연적인 힘에 의해 움직임을 가짐으로쩌 서로 조화(調和>를 이루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연의 형태에서 유추되어 자연에 의해 움직임을 갖고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조각이 완성된다. 즉 마르타 판(Marta Pan)은 추상화 된 유기적이며 미니멀한 형태를 만들어내고 그 형태의 분리, 조합을 통해 자신만의 조형성올 만들어내었고, 조각에 움직임이라는 것을 부여하며 환경과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공간을 창조한 것이다. In this thesis, I want to examine Marta Pan's plasticity through analyzing her sculpture works she developed while she reached Floating Sculpture after discovering junctions by observing with a magnifying glass fruits, plants, shells, natural forms in the 1950s and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ving sculpture and natural environment. As the one of radical social changes, the period after World War II when Marta Pan called an artist of lyric abstraction, op art, geometric abstraction, minimal art and so on began to manufacture her works after she settled in Paris was the one when several art groups and art movement were active. However, Marta Pan, not belonging even to any current of the times or classes, made his own peculiar plasticity, accepting various attempts of modern fine art which had been performed in the meantime. Her initial works found out charnieres and equilibre from forms gained by observing natural objects. The typical example is that she researched the structure of seashells and that she discovered the movement that they opened and closed centering on one junction.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her works, charnieres became the basis for making moving sculpture. Balance was completed with a dancer who pursued the equilibre of sculpture itself and who moved balancing herself in sculpture, and is explained with the combination of sculpture and a dancer(man), mutually heterogeneous elements. Later, natural forms were abstracted and simplified in concise forms. And the experiment of various materials was performed in order to endow sculpture with movement (energy and natural forces). First, simple forms are seen as the concept of opening and closing and one lump is separated like several pieces of puzzle and united again, and its movement is reorganized by hands. This is seen as the beginning of Sculpture Flottente with motion by move1nent (nature such as water and wind) with water as a pedestal Raw materials for industry made by industrial development are changed into materials for sculpture, and these are Plexiglas (transparent synthetic resin like glass). These materials became the sculpture using light, and opposed the two spaces as forms appearing different by light by using the natures of light such as reflection, projection, refraction and the like while internal and external forms made by transparent materials are shown at the same time. Plexiglas is also called architectural sculpture, and this is because ii1ternal and external spaces of architecture have been re11roduced in her works. Through such stages of sculpture, she was infh1enced by her husband, an architect, and meeting of architecture and sculpture is achieved. Marta Fan achieved the harmony between environment and sculpture, and contacted polyester she discovered with the help of experts in several fields in order to complete Sculpture Flottente, and she could change a pedestal into water in her sculpture works. Here, as an element of extending slow and continuous movement of her sculpture works, water gave the sense of movement to her sculpture works with fluctuation and flowage by wind. Also, her environmental sculpture such as parks or city planning and so on appeared follow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and is playing the role as the symbol of places by attracting spectators positively while the size of her works increases. Such environmental sculpture is mutually in harmony in such a way that buildings, natural environment and sculpture works in it have movement by natural forces. Sculpture is completed in harmony with environment with movement by nature, analogized from natural forms in such a method. That is, Marta Pan made abstracted, organic and minimal forms, made her own plasticity through separating and mixing the forms, endowed sculpture with is called movement and created new space through harmony with enviroment.

      • Governance 觀點에서 바라본 老人일자리 事業推進方案에 대한 硏究 : 仁川廣域市 南洞區 事例를 中心으로

        이연숙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사회는 급속히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Governance와 학습복지의 관점에서 노인일자리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복지행정은 독일, 미국 등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전통복지의 개념은 저소득층들에게 사회적 최저수준의 생활을 보장해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전통복지의 개념은 복지재정의 급격한 팽창을 가져와, 근로에 의한 소득확보를 중요시하는 고용복지의 개념을 거쳐, 최근에는 학습을 통한 능력향상을 통한 소득확보를 도모하는 학습복지의 개념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여, 현대 행정은 시장실패와 정부실패를 경험한 이후 거버넌스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거버넌스의 개념은 정부의 조항기능을 중시하여, 네트워크 관리자로서의 정부의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의 경우, 민간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Governance의 개념의 도입을 생각할 수 있다. 현재의 노인일자리사업은 정부주도로 사업이 운영되고 있으며, 재원구성 또한 국고보조금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어 각 지방자치단체의 독자적인 사업운영이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단순 소일거리에 치중된 사업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정부주도로 사업이 진행되고 국고재원의 편중이 심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이 저하되어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의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조사의 대상은 남동구 거주 노인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4가지 영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노인들은 현재의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해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사업내용에 대하여는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노인들은 일자리와 관련된 교육 및 교양교육에 대하여 많은 필요를 느끼고 있었으며, 특히 일반 교양강좌에 대한 높은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학습복지의 관점에서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실시되는 노인일자리사업의 관리방안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정부와 민간이 연계되어 함께 운영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거버넌스 개념에 의한 노인일자리사업 개선방안에 대하여 원스톱 노인인력 관리센터를 설립하여 노인들이 손쉽게 노인일자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노인들의 학습에 대한 욕구에 대처하기 위하여 민간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특히 노인들이 원하는 교양강좌나 직업교육등에 대하여는 민간의 교육기관을 활용한 새로운 평생학습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e Korean society is becoming graying in fast speed. The study is therefore, attempting to research about improvement plants for the job creation business in the view point of governance and learning warfare. The traditional warfare administrations were developed in the center of Germany and the U.S. These traditional concepts were supposedly guaranteeing the lowest levels of life to the low-income bracket. These concepts brought rapid saturations of administration warfare, developing concept of learning warfare that seeks for earning security through improving ability through learning by ways of employment warfare that regards earning security of one's service importantly. On the occasion of the 21st century, the modern administration is introducing concept of governance after experiencing market and governmental failures. This concept of governance regards the government's provisions thus emphasizing function of the government as a network administrator. For the job creation business for the elderly, we can come up with an idea in introducing concept of governance by taking advantage of the private resources. The government initiates the current job creation business for the elderly and even the resources formation is designed in the center of the national subsidies hence, the structure is difficult for the local governments to actively involve in the business operation independently. The structure is formed as a simple pastime structure, the operation is lead by the government, lay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national source of revenue which end up discouraging autonomy of each local government. The 201 elderly residing Namdong-gu for this fact-finding survey hav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four spheres were the cores of the survey. As of the study result, while majority of the elderly have demonstrated that the currently available jobs for the elderly are useful but there must be improvement with the business detail. The elderly responded there is necessity of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related to the job and they show high desire about general liberal art. Thus suggest that learning warfare is significant. And for the questions regarding management plans for the job creation business, the majority of the elderly responded that it is recommendable that they co-operate it in connection with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The study was able to find a easy method to obtain job information for the elderly by establishing the one-stop elderly resource management center Governance. Moreover, in order to cope with learning desire of the elderly, we should design measures to effectively utilize private resource. For the liberal art and vocation education that the elderly wants, a new life-long learning system taking advantage of education institutes of the private sector is required.

      • 미용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수강생의 미용자격증 취득과 취업 영향 요인

        이연숙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미용 계좌제 수강생들의 미용자격증 취득과 취업에 미치는 주된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경상북도 중소도시에 위치한 모 직업전문학교에 직업능력개발계좌제로 미용사국가자격증 과정을 등록한 수강생(17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가 작성한 설문결과와 행정자료를 분석하였다. 미용 계좌제 수강생들의 미용자격증 취득과 취업에 미치는 주된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수강생 특성, 강사 및 시설특성과 자격증 취득여부와 취업여부와의 단변량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특성에서는 30~39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에서는 고졸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결혼상태는 기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강생의 특성에서는 수강과목은 네일, 헤어 순으로 나타나 2014년 이후 미용사(네일)국가자격증 신설로 인해 네일과정 직업훈련 받는 훈련생이 늘어난 것으로 보여진다. 교육연도는 2015년, 2016년, 2014년 순으로 나타났고, 교육일수는 평균 52일로 나타났고, 모의고사점수는 평균76점으로 나타났다. 교육동기는 취업 또는 창업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이는 미용을 배우는 목적이라 보여진다. 수강생의 기대치, 수강생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만족하였고, 강사 및 시설특성에서는 강사의 경력은 평균 12년으로 나타났고, 강사의 수업충실도, 전문지식정도, 전달능력, 강의능력, 시설만족도, 행정지원만족도에서도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수강생 특성, 강사 및 시설특성별 자격증 취득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연구대상자 176명 중 98명이 자격증을 취득하였으며, 78명이 비취득하였다. 출석률이 높고 모의고사 점수가 높은 수강생이 자격증취득을 많이 하였으며, 자격증 취득한 수강생이 취업정도가 높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수강생 특성, 강사 및 시설특성별 취업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연구 대상자 176명 중 98명이 취업하였고, 78명이 미취업 하였다. 결혼상태에 따라 취업여부 차이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격증 취득한 여부에 따라 취업여부가 달라졌다. 자격증취득여부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서는 모의고사점수가 높고 수강생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격증 취득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서는 자격증 취득 여부가 취업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미혼보다 기혼이 취업을 많이 하여 결혼여부도 취업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미용 직업능력개발계좌제훈련 수강생들의 만족도가 올라갈수록 자격증취득도 높아졌고, 취업에도 자격증 취득 여부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격증취득이 취업에 있어 필수불가분한 조건이라 사료되어진다. In order to investigate main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acquisition of cosmetologist licenses by trainees of Cosmetology Skills Development Account System and their employment,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176 trainees who were enrolled on national beautician qualification course under the Skills Development Account System at 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situated in a small city in Gyeongsangbuk-do from 2014 to 2016. The study analyzed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and administrative data prepared by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investigate main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acquisition of cosmetologist licenses by trainees of Skills Development Account System and their employment, this study performed a univariate analysis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inees' feature, characteristics of lecturers and facilities, certificate acquisition, and employment status. As a result, 30~39 years old people showed the highest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the highest in education level; and, married people showed the highest in marital status. As for trainees' feature, lecture subjects were in the order of nail and hair, which means trainees of nail vocational training course increased due to establishment of national beautician (nail) qualification since 2014. Education year was in the order of 2015, 2016, and 2014; training days were average 52 days; and, mock test scores were average 76. The largest education motive was employment or foundation which must be purpose of their learning beauty course. As for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trainees,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as for characteristics of lecturers and facilities, career of lecturers was average 12 years; and, as for lecturers' teaching faithfulness, expertise, communication ability, lecture ability, satisfaction of facilities, and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uppor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This study analyzed license acquisi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inees' feature, and characteristics of lecturers and facilities. As a result, 98 research subjects out of 176 ones obtained licenses while 78 persons did not obtain licenses. Trainees with high attendance rates and high mock test scores obtained more licenses and trainees who obtained licenses showed higher employment rates. This study analyzed employm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inees' feature, and characteristics of lecturers and facilities. As a result, 98 research subjects out of 176 ones were employed while 78 persons were not employed. Difference in employment rate highly depended upon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depended upon acquisition of license. As for influential factors on acquisition of license, it was fou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cquisition of license if a trainee had high mock test scores with high satisfaction. As for influential factors on employment, it was found that acquisition of license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ment and that marital status also had correlation with employment because married trainees were more employed than unmarried ones. Seen from above research results, it is known that if satisfaction of Trainees of Cosmetology Skills Development Account System was high, acquisition rates of license became higher and acquisition of licens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employment. Above results seem to show that acquisition of license is indispensible condition of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