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일 약제 및 다약제 내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테노포비어 구조요법의 효능 : Efficacy of tenofovir rescue therapy in patients with single and multi-nucleos(t)ide resistant chronic hepatitis B

        이병욱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s: Sustained suppression of HBV replication with oral nucleos(t)ide analogue (NA) can provide clinical benefit in chronic hepatitis B (CHB) patients. Unfortunately, after sequential NA therapy in CHB patients, multi-nucleos(t)ide resistance (MNR) developed in a considerable patients.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TDF) therapy has been recommended as a rescue strategy for chronic hepatitis B (CHB) patients with NA resistance. Limited data are accessible on the comparison of TDF rescue therapy between single nucleos(t)ide resistance (SNR) and MNR CHB patients. Patient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antiviral efficacy of TDF therapy in 269 CHB patients with NA-resistance (139 SNR group and 130 MNR group) by a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hich matched 100 patients in each group. Results: Two hundred NA resistant CHB patients were selected after PSM with 1:1 ratio.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1.0 (6-44) months. Virologic response (VR) was achieved in 176 (88%) patient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The VR rate was lower in the MNR group than in the SNR group, but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84.5% vs. 75.4% at 12 month, and 91.6% vs. 85.2% at 24 month; P = 0.085). PVR rates also were not differ between both groups (29.0% and 36.0% in the SNR and MNR groups, respectively; P = 0.291). The rate of ALT normalization did not differ between both groups (94.2% vs. 85.1% in the SNR and MNR groups, respectively; P = 0.541). During TDF therapy, 7.8% (6 of 77) of patients in the SNR group, and 12.3% (10 of 81) of patients in the MNR group achieved HBeAg seroconversion, respectively (P = 0.343). In multivariate analysis, absolute HBV DNA level at the start time of TDF rescue treatment and advanced ag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R. Conclusions: TDF rescue therapy has comparable efficacy both the SNR and MNR CHB patients, and the presence of MNR did not affect the VR rate. HBV DNA level at the start of TDF rescue therapy and advanced age were predictors of subsequent VR. Therefore, earlier rescue therapy with TDF should be highly recommendable in patient with MNR HBV. 연구배경: 항바이러스제 내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테노포비어는 구제요법의 첫번째 선택 약물로 여겨진다. 특히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과 아데포비어 처럼 내성 발생이 쉬운 약제의 순차적 다약제 내성 발현을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만성 B형 간염의 치료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약제 내성이 발생한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테노포비어는 구제요법으로 권고되고 있으며 치료의 효과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일 약제 내성 과 다약제 내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테노포비어 치료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는 이뤄진 바가 없다. 방법: 본 연구는 항바이러스 제제에 내성을 보인 만성 B형 간염 환자 139명의 단일약제 내성 환자와 130명의 다약제 내성 환자를 대상으로 테노포비어 구조요법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교란요인을 줄이기 위해 성향 점수 매칭(propensity-score matching) 기법을 활용해 나이, 성별, 치료기간 및 HBV-DNA 값 등을 일치하여 비교했다. 단일 약제 내성 환자 100명, 다약제 내성 환자 100명의 치료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테노포비어 투약 기간은 31.0 개월 (중앙값) 이었고 바이러스 반응(virologic response)는 치료기간 중 총 176명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바이러스 반응은 다약제 내성 환자군에서 단일약제 내성 환자군 보다 낮은 수치의 경향을 보였는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값은 아니었다 (84.5% vs. 75.4% 12개월, 91.6% vs. 85.2% 24개월; 로그 순위 P = 0.085). 부분 바이러스 반응(partial virologic response)는 치료기간 중 총 65명의 환자에서 나타났고 두 군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9% vs. 36%, P = 0.291). 다변량 분석에서 테노포비어 치료 시작 시점에서 혈청 내 HBV-DNA 양이 낮을수록 그리고 고령의 환자에서 바이러스 반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테노포비어 구조 요법은 단일약제 내성 만성 B형 환자뿐만 아니라 다약제 내성 만성 B형 환자에서도 만성 B형 간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다약제 내성의 존재 유무가 테노포비어 치료의 반응율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내성 발생시 테노포비어의 조기 투약이 바이러스 반응율을 높일 수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 탄성지지 된 함정장비의 바닥기초부 조건에 따른 구조전달진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병욱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test procedure of evaluating structure-borne vibrations in supported navy equipments that cause underwater radiation noise. Since noises and vibrations, which was generated by the equipments in a special environment of naval ships, not only affect the working environment of crews living in a limited space but also reduce the fighting ability that leads to threaten the survivability of responsible persons by exposing the underwater position of hull to enemies. So the navy equipment supported by elastic mounts should be strict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est guideline regarding to reduce noise and vibration. Equipments mounted in naval ships in South Korea should be evaluated by the factory acceptance inspection that checks the airborne-noise and the structure-borne vibration of responsible test unit according to the US Navy standards.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test procedure by US Navy standard, any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n affect to the test results should be eliminated before conducting them to ensure the evaluation consequences on tested units. The motivation of this study is started from the effect of basement structure of the tested equipment for the measured level of the structure-borne vibration and the sensitivity of test result over the condition of basement structure was investigated for three different cases. The target supported system was selected for two cases, a vibration simulator and a fresh water generator, and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for three different basement structure conditions, spring+fixed basement structure mass block, spring+no fixed basement structure mass block, spring only. The sensitivity of the condition of basement structure was analyzed from the measured impedance values for two different basement structure conditions and it can be figured out that the condition of basement structure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evaluation result of tested target unit.

      • 산화 전위의 역전이 가능한 루테늄 물 촉매의 디자인과 합성

        이병욱 상명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화 전위의 역전이 가능한 루테늄 화합물을 합성하기위해 최근 본 실험실에서 개발한 계산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60종류의 루테늄 아쿠아 화합물에 대해 L5RuII-OH2 → L5RuIII-OH → L5RuIV=O 단계로 이어지는 양성자 연계 산화반응의 산화 전위를 예측하여 산화 전위 역전의 가능성 여부를 심사하고 화합물의 화학적 구조와 산화 전위의 관계를 분석하여 [Ru(DAMP)(BIAN)(OH2)]2+ (DAMP는 2,6-비스(다이메틸아미노메틸)피리딘, BIAN은 비스(알릴이미노)아세나프텐)을 후보 화합물로 선정하였다. [Ru(DAMP)(BIAN)Cl]+ → [Ru(DAMP)(BIAN)(OH2)]2+ 단계에서 BIAN 리간드의 가수분해로 인하여 최종 화합물의 합성에 실패하게 되어 bipyridine 계열 두자리 리간드로 대체하여 최종화합물을 합성하였고 이의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전기 화학을 이용한 양성자 연계 산화 전위를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의 리간드 파라미터에 대한 일이차 산화전위차의 값은 기존 Meyer-Lever plot으로 예측되는 값과 큰 차이를 보였으나 계산 화학적 예측과 거의 일치하여 계산 화학적 방법이 산화전위 현상의 예측에 있어서 Meyer-Lever plot을 대체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 실험은 미래의 물 산화 촉매의 설계를 위한 루테늄 물 촉매의 산화 전위 역전을 판단하는 데 유용한 기준점이 될 것이다. Series Ru-aqua complexes of [Ru(DAMP)(BIAN)(OH2)]2+, where DAMP=2,6-bis(dimethylaminomethyl)pyridine and BIAN=Bis(arylimino)acenaphthene, were designed and tried synthesis for the study of oxidation potential inversion behavior. For the selection of target molecules, we employed DFT calculation method (PBE1PBE/def2SVP/SDD // mPW1LYP/6-31g(d)/LANL2DZ). Free energy differences between RuII-RuIII and RuIII–RuIV in the sequential two-electron proton-coupled oxidation reactions, L5RuII-OH2 → L5RuIII-OH → L5RuIV=O, of 60 mononuclear Ru-aqua complexes were evaluated. But in the [Ru(DAMP)(BIAN)Cl]+ → [Ru(DAMP)(BIAN)OH2]2+step, due to the hydrolysis of the BIAN ligand, synthesis of the final compound failed. a result, the final compound was synthesized by replacing the bipyridine bidentate ligand. Its structure was analyzed and the proton-coupled oxidation potential was measured by electrochemistry. The value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oxidation potentials for the ligand parameters (EL) of these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predicted by the conventional Meyer-lever plot, but almosst matched the calculated chemical predictions. This shows that computational chemistry can replace the Meyer-Lever plot in predicting oxidation potential. These experiments provided useful benchmark to judge potential inversion behavior of Ru-aqua complexes for the design of future water-oxidation catalysts.

      • SDR 기반 OFDM 시스템 공통 플랫폼 및 소프트웨어 모뎀 설계

        이병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연구 및 개발은 이론적인 모델에서 출발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만 분석되어지고 있으며, 실제 시스템 구현에 고려되어야 하는 복잡도와 실제 채널은 가정으로 생략되어지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이론적 연구 결과물을 하드웨어로 구현, 검증할 수 있는 효율적인 SDR 기반 OFDM 시스템 공통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SDR 기반 OFDM 시스템 공통 플랫폼은 신호처리자원으로 FPGA 한 개와 8,000 MIPS의 성능을 갖는 DSP 두 개를 내장하고 있으며, 최대 125 MHz의 샘플링 속도를 지원하는 두 채널의 AD 와 DA 변환기를 내장하고 있다. 신호처리 자원간의 유연한 데이터 버스 구조를 갖게 설계되어 통신 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하드웨어로 구현하여 실험적으로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설계된 SDR 기반 OFDM 시스템 공통 플랫폼을 이용하여 IEEE 802.16a/d 표준 규격의 OFDM 소프트웨어 모뎀의 실시간 처리 가능을 보임으로써, 개발된 SDR 기반 OFDM 시스템 공통 플랫폼의 유용성을 보였다.

      • 선택적 담도 삽관에 있어 경췌관 유두 절개술의 효용성과 안전성

        이병욱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목: 선택적 담도 삽관에 있어 경췌관 유두절개술의 효용성과 안전성 연구배경: ERCP 초심자에게 선택적 담도 삽관 성공을 위한 방법 중 경췌관 유두절개술의 안전성과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목적: 선택적 담도 삽관시 경췌관 유두절개술 후 담도 삽관을 시행한 방법의 삽관 성공율과 합병증에 대해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번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2013년 3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울산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ERCP를 시행한 환자 253명중 경췌관 유두 절개술을 이용하여 담도 삽관을 시도한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담도 삽관 성공율과 합병증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췌장염 예방을 위해 췌관 배액관을 삽입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대한 하부 집단 분석 (subgroup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62세 (24-85세)였고 남자 23명 여자 28명 이었다. 대상 환자의 진단은 총담관 결석이 32예, 췌장암 4예, 총담관암 4예, 담낭암 2예, 양성 담도 협착 4예, 담즙 누출 4예, 췌담관 합류이상(anomalous union of pancreaticobiliary duct, AUPBD) 1예 였다. 선택적 담도 삽관은 총 51명의 환자 중 50명(98%)에서 성공하였다. 췌장염의 발생은 췌관 배액관을 삽입한 환자군에서 1명 (5%), 삽입하지 않은 군에서 5명 (16.1%, P=0.38) 이었고 그 외 심각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ERCP 시술에서 경췌관 유두절개술 후 선택적 담도 삽관술은 매우 효과적이며 비교적 안전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와 실천·교육 방안 연구 : 유학에서의 효 사상을 중심으로

        이병욱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민족은 옛부터 부모에게 효도하고 웃어른을 공경하는 미풍양속을 지녀왔다. 이러한 경로효친의 정신은 우리 민족의 삶과 전통 속에 깊이 스며들어 전통윤리의 중핵을 이루어 왔다. 물질보다는 인간을 중시하고 향락보다는 청렴하고 절제하는 삶을 추구하며 이해타산과 상호경쟁을 앞세우기보다는 인정과 상호존중을 귀하게 여겼던 우리 민족이다. 그러나 해방 후 물밀듯이 흘러들어 온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경로 효친의 인륜질서는 퇴색되었고, 특히 전통적인 효 사상은 미래의 세대에게 갈등의 요인이 되고 있어 효의 재정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질적인 효 사상의 의미와 변천과정을 알아보고, 전통적인 효가 우리나라에 끼친 문제점을 진단하여, 효의 근본정신을 현재의 일상적인 삶에 접목시킬 수 있는 효의 실천 및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효의 의미와 유교에서의 효 사상이 우리나라에 어떻게 뿌리내렸고, 계승되어야 할 전통적인 효행의 방법이 수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고찰해 보았다. 아울러 전통적인 효 사상의 문제점인 개인주의 및 이기주의, 수직적 인간관계와 타율성, 비합리성, 전제 군주정치의 유지를 위한 이념적 교조성을 극복할 수 있는 효 사상의 근본정신에 대하여 유학의 시대적 전개상황에 따라 고찰해 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유학적 효에 대한 이해를 고찰해 봄으로써 효 중심의 전통문화의 일단을 가늠해 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유학에 바탕을 둔 전통적인 효사상의 현대적 변용을 통한 실천방안과 효의 현대적 실천을 위한 가정ㆍ사회ㆍ학교에서 효 교육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현대사회의 변화양상과 효 문화 문제점을 진단하며, 참다운 효행적 가치를 알고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효 가치 내면화를 통한 효 문화 정착을 위해 학교에서의 효 교육에 대한 교과 교육 적용 방안을 전통문화의 문화적 텍스트로써 통합교과적 성격을 갖고 있는 한문교과 교육을 중심으로 효 교육의 필요성, 효 교육 자료 및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구성 방법에 대해 연구하여 제시함으로써 효를 '왜' 해야 하며 그 근본 원리는 어떠한가라는 원리의 문제와 함께 '어떻게' 효를 해야 하며, 행하게 할 수 있는가라는 실천과 현실적용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We had had a good and beautiful custom that is filial piety toward our parents and respect to our elders. The spirit of such custom had soaked in our lives and tradition deeply and constituted the core of traditional morals. We had taken a serious view of human rather than of material, pursued the honest and moderate life rather than pleasure and considered the acknowledgment and mutual respect preciously rather than self-interest and mutual competition. However, the moral order of the custom has faded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cultures which has been flowed since the Korean Liberation and especially the traditional ideology of filial piety has become the main cause of a conflict to the future generations, so the reconstitution of filial piety should be required. Investigating the meanings and transitional progress of the traditional ideology of filial piety and making a diagnosis of problems that traditional filial piety has affected to our nation, I considered how the meanings and the ideology of filial piety in Confucianism have settled down and what plans can be applied with modifying the ways of traditional filial piety which should be succeeded in order to search the practical and educational plans of filial piety which can graft its basic spirit on our routine lives. Moreover, I considered individualism and egoism which are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ideology of filial piety, vertical human relations and heteronomy, unreasonableness and the basic spirit of filial piety to overcome an ideological dogma for keeping absolute monarchy according to the historically transitional situation of Confucianism. Also, I took aim at a part of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filial piety as considering the understanding about Confucian filial piety in Korea. Founded on this, I looked into practical plans through the modem transition of traditional filial piety based on Confucianism and educational ones about filial piety in homes, societies and schools for the modern practice of filial piety. In addition, I made a diagnosis of the transitional phases of the modem society and problems of the filial piety culture, studied the necessity, data or composition of the contents about filial piety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al methods of instruction-learning on the basis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at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unified curriculum as a cultural text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presented applied plans of the curriculum on filial piety in schools in order to settle down the filial piety culture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the value about filial piety as well as made students know the value and practice it in their lives. Therefore, I intended to offer a clue of the practice and realistic application about “how” we should do and make students do filial piety, “why” we should do it and “what” the basic principle is.

      • 안정한 Amine-coordinated silylenoid의 합성 및 반응성 연구

        이병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Halosilylenids, 5, 6 having the bulky trisyl, (Me3Si)3C, group were synthesized respectively by the reductions of the corresponding trihalotrisylsilanes, 2, 4 with 2 equiv of Metal Naphthalenide (M = Li, Na, K) in THF at -78 oC, respectively and then trapped by MeOH.The reaction of lithium bromosilylenoid, 6 with the 1 equiv of 2-(N,N-dimethylaminomethyl)phenyllithium, 8 at 0 oC in THF/Et2O gave the amine-coordinated silylenoid, 9, which was trapped by H2O, MeOH, i-PrOH, EtBr to give the corresponding trapping adducts, 11(88%), 13(82%), 15(75%) and 17(79%), respectively. But the amine-coordianted silylenoid, 9 was not trapped by both of t-BuOH and MeI, because of the bulkiness of trapping agents.In general, silylenoid clearly shows ambiphilic properties such as nucleophilic and electrophilic properties. But the amine-coordinated silylenoid did not react with MeLi or n-BuLi due to the fact that the silicon center might be electron rich through the intramolecular coordination of amine-substituent.The amine-coordinated silylenoid, 9 was very thermally stable in the condensed phase up to toluene-reflux temperature, which is the first case.The 29Si-NMR chemical shift of the amine-coordianted silylenoid, 9 was appeared at 82 ppm in -50 oC, that was shifted to upfield by 24 ppm compared to the 29Si-NMR data of bromosilylenoid. This result indicates indirectly that there is an intramolecular coordinate interaction between silicon and nitrogen atom of amine-substituent. 입체장애성이 큰 치환체인 trisyl (Tsi = tris(trimethylsilyl)methyl)기를 가지는 화합물 TsiSiCl3, 2와 TsiSiBr3, 4를 -78 oC에서 각각 2당량의 MNp (M = Li, Na, K)로 환원시켜 halosilylenoid, 5, 6을 각각 합성하고 MeOH로 포착하였다.그 중 합성한 lithium bromosilylenoid, 6과 2-(N,N-dimethylaminomethyl)phenyllithium, 8을 0 oC에서 반응시켜 amine-coordinated silylenoid, 9를 합성하고 각각의 포착제인 H2O, MeOH, i-PrOH, EtBr로 포착한 생성물 11 (88%), 13 (82%), 15 (75%), 17 (79%)을 확인하였다. 특히 포착제 t-BuOH과 MeI에 의해서는 amine-coordinated silylenoid가 포착되지 않았는데 이는 포착제의 입체 장애성이 크기 때문에 친핵성 치환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Amine-coordinated silylenoid, 9의 친전자성 치환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MeLi과 n-BuLi을 반응시켰으나 포착된 화합물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benzylamine기의 질소원자의 비공유 전자쌍이 Si 중심원소에 전자 주개 역할을 하여 amine-coordinated silylenoid, 9의 친전자성 치환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또한 amine-coordinated silylenoid, 9는 toluene-reflux 조건에서도 안정하게 존재하였고 높은 열에 의해 silylene을 생성시킬 수 있는 α-elimination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Amine-coordinated silylenoid, 9의 29Si-NMR chemical shift는 -50 oC에서 82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bromosilylenoid, 6이 -50 oC에서 106 ppm에서로 나타나는 것에 비해 24 ppm upfield로 shift 하였다. 이는 Si 중심원소에 분자내 전자 주개 원자에 의해 전자가 풍부해 졌기 때문이고 결과적으로 amine-coordinated silylenoid, 9가 5-배위 구조라는 간접적 증거가 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