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産業場 騷音 露出 實態에 關한 調査 硏究

        유현종 조선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research conducted an analysis of instantaneous sound pressure level by means of classifying 246 processes at 41 work places in 11 kinds of industries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how much noise laborers of each enterprise are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and the instantaneous sound pressure level in the audible frequency band It also investigated the exposure intensity and characteristic of noise frequenc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industries A frequency analysis, m turn, was conducted on the processes which exceeded 85dB(A) In addition, it analyzed the result of special health checkups and investigated the laborers knowledge about noise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ate of wearing protectors was also investigated and the following were obtained 1 Among the 246 processes of survey objects, the processes which exceeded 90dB(A), which is the maximum permissible standard for noise exposur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labor, were 55 places, which corresponded to 224% When the industry was classified, the mining industry and stone quarrying industry showed the highest levels among all at 70% The number of laborers who were exposed to noise which exceeded 90dB(A) was 298, which corresponded to 137% of the total 2183 By classification of industries, the fiber manufacturing industry was the highest, where 78 laborers were exposed and their percentage was 44 1% 2 When the analysis on frequency characteristic of 120 processes which exceeded 85dB(A) in surveyed industries was conducted, the processes at 20 places, 167% showed the highest sound pressure level in the high frequency band which represented higher than 2kHz It showed the fact that the laborers were mostly exposed to noise of the medium or low frequency band at work sites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sound pressure the high frequency band was 164% and low frequency band was 392% in the group which exceeded 90dB(A) On the other hand, the high frequency band was 77% and the low frequency band was 708% in the group which was less than 90dB(A) This fact showed that the high level of sound pressure appeared in the high frequency band A for the frequency featur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feature value A and C of compensating circuit for audible sense, the process which showed a difference of 0-1dB was 333% at the high frequency band, and 48% at the low frequency band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which showed a difference of more than 3dB was 58% at the high frequency band while 721% at the low frequency band This fact showed that a higher level of sound pressure developed at the low frequency ban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of the two features became greater 3 The laborers who had opinions that they had noise induced hearing loss were 85, which was 106 % of 802 laborers who were the survey objects In the classification of industries, briquette manufacturers were 667%, nonmetallic mineral product manufacturers were 157%, commercial print workers was 147%, plastic product manufacturers and primary metal product manufacturers were 140% In compliance with this order, the tendency was that a high rate of noise induced h e m g loss appeared in the type of industries which had a high rate of noise generated in the high frequency band But the noise induced hearing loss according to the rate of laborers who were exposed to the noise strength more than 90dB(A) did not show a distinct difference 4. As for the rate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according to age and years of laborers, the rate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appeared higher as their ages increased and their years of service increased 5 As for the tendency of recognizing their working environment 80% of the subjects stated that their working sites were noisy, and 512% stated that they easily felt tired This fact showed that most laboreres have been working in a noisy environment and many have been affected by noise But, as for the degree of knowledge about noise, only 61% stated that they knew much about noise, an 377% wore protectors The result showed that most laborers had little knowledge about noise and the rate of wearing protectors appeared to be low

      • 고용량 리튬이차전지용 실리콘 합금소재의 전기화학적 평가와 부피변화 측정

        유현종 忠南大學校 녹색에너지기술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mixing ratio of, 38:62 and average crystallite sizes of 23.3 and 40.6nm for silicon and TiFeSi2, respectively. A conchoidal fracture of the Zangboite-structure TiFeSi2 matrix was observed through microscopy. Electrochemical tests showed characteristic features such as rapid stabilization of the first charging profile at about 0.005V and high cyclic performance. The OCP (Open Circuit Potential) measurement and ex-situ XRD represent the Li15Si4 as the final phase. In-situ measurements of the electrode thickness showed improvements in the magnitude and hysteresis of dilation. Using FE-SEM, active materials of 3 um and 10 um different sizes were measured from silicon powder. Large particles of silicon powder have shown a little change in volume and good life characteristics measured by dilatometer cell measurement and electrochemical methods.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grain sizes of 3 um silicon powder as smaller than that of 10 um silicon powder by FE-TEM, we estimate that the factor affecting the volume changed and the life characteristics of Si-based alloy materials is in fact not the particle size, but the grain size.

      • 수학 교과서 선정 과정에서 교사들의 인식과 선정기준 개선 방안

        유현종 아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시작은 교과서 선정에 따른 타 과목들의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결과였다. 교과서 선정기준에 따른 인식조사와 선정기준 재설정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수학교과서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내용이 수정되는 부분에 있어서 각 교과서별 교수방법에 차이가 교과서 선정을 더욱더 중요하게 하고, 특히 수학교과의 경우 교과서의 내용이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교과서 선정 기준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서 선정 실태조사를 통해 교사들이 실질적으로 고려하는 교과서의 내적기준과 외적기준에 대해 고찰하고, 선정기준안에서 가장 중요시여기는 요소와 가장 고려하지 않는 요소를 분석하여 좋은 교과서의 기준과 그에 따른 교과서 선정 기준안을 재설정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관련 문헌 연구와 리커드 척도 설문 조사, 그리고 인터뷰 조사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먼저 진행된 것은 연구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과서 선정제도의 변화 과정을 조사하고, 변화과정에 따른 이론적 배경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외국의 교과서 선정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제도와 비교함으로써 외국 사례가 시사하는 바를 결과분석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그 다음단계로 진행된 설문지 문항 개발과 대상자 설정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한 ‘검정 교과서 선정 매뉴얼’을 토대로 구성한 예비 설문 결과를 가지고 설문지 문항 일부를 수정하여 체계화 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중 5번 문항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한 ‘검정 교과서 선정 매뉴얼’을 교과서 선정 시 본인이 중요하게 생각한 척도와 실제 선정 시 고려한 척도를 점수로 기입하도록 하는 리커트 척도 방식으로 재구성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항목이 각 연령별, 경력별, 성별, 그리고 학교군 별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그 후 이루어진 인터뷰에서는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각 평가기준에 대한 세부내용을 조사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새롭게 개선되어야 할 교과서 선정기준에 대해 제언한다. 본 연구는 교과서의 자율성 확대로 인해 교사들의 교과서 선정이 더욱더 중요해 짐에 따라 교과서 선정 기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수학 교과서 선정 실태조사를 통해 교사들이 실질적으로 고려하는 교과서의 내적기준과 외적기준에 대해 고찰하고, 선정기준안에서 교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와 가장 고려하지 않는 요소를 분석하고 요소별 구체적인 내용과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좋은 교과서의 기준과 그에 따른 교과서 선정 기준안을 재설정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수학 교과서 선정 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다양한 교과서를 세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마련과 교과서를 선정하기에 앞서 좋은 교과서를 선정할 수 있는 교사들 간의 토의 시간 마련, 그리고 수학 교과서의 특성을 반영한 선정기준안 마련이다. 다음으로, 외국의 사례와 본 연구의 양적연구, 질적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수학교과서 선정 기준안을 제언한다. 첫 번째로, 중요도가 낮게 측정되었던 ‘교육과정’영역의 ‘교육과정 부합성’기준 아래 세 항목을 하나로 통합하여 새롭게 구성 하였다. 그리고 ‘학습 내용 선정’영역의 ‘중립성’기준 역시 그 아래 두 항목을 하나로 통합하여 재구성 하였다. 두 번째로, 강조되어야 하는 항목으로는 ‘학습내용 조직’영역에서 ‘학습요소가 유용하게 구성되어 있는가?’항목이다. 따라서 새로이 ‘수학적 과정’기준을 추가하여 세분화 된 단계에서 교과서 내에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학적 과정(문제해결, 의사소통, 추론)이 나타나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 번째로, 난이도의 적절성을 강조하기 위해 ‘내용수준의 적정성’ 기준을 세분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활동의 유용성’기준 아래의 항목 중에서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서의 활동들이 학습자가 질문하고, 반영하고, 비판적 사고를 하며 문제해결 및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는가?’라는 항목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수학 교과에 맞는 선정 기준과 그러한 기준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인 마련이 동반된다면, 수학 교과서 선정이 조금 더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될 것이라 생각된다.

      • 줄넘기 운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유현종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series of jumping rope exercise for 10 weeks. The purpose for these specific exercises were carried out to improve and compare not their fitness levels but their academic levels. The study was carried out at a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Two classes of the 4th grade were chosen from Y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consisting of 38 students. I analyzed mean and a standard deviation from 1st semester grades and the 2nd semester grade by using the standard t-test. As the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l study and science subjects. However, it did not improve in Korean(the national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 Through this study, I have proved that a structured exercise program is possible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10주간의 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과 운동을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학업성취도를 비교하여 줄넘기 운동으로 인해 학업성취도가 향상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시 소재 Y초등학교 4학년 학급 2개 반 38명을 선정하여 19명은 실험집단으로 아침 자율학습시간에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나머지 19명은 비교집단으로 평소와 같은 아침 자율학습을 운영하였다. 줄넘기 운동으로 인하여 학업성취도가 향상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1학기 기말고사를 사전검사로 설정하였고, 10주의 운동이 종료된 후 2학기 기말고사를 사후검사로 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핵심과제였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WIN ver. 12.0 을 이용한 기술통계 분석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1학기 성적과 2학기 성적의 평균의 차를 t-검증방법을 이용해 비교집단과 실험집단간의 차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사회, 과학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국어, 수학, 영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못했다. 이는 학교 현장의 교사가 계획, 실천, 관찰, 반성, 피드백의 과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학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으로 학생 개인의 학업성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또한 방과 후 수업, 보충 학습 등 정규 수업 외 학생 개인적 요인에 의해서도 학업성취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교과를 사용하였으나,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 음악, 미술, 체육 등 많은 과목을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현종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2017년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정책에 따라 2018년도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 처우 개선안이 시행되고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현재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현재의 실태를 파악하고,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제도적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초등체육의 안정화와 발전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강원도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로 이성천(2010), 강미(2015)가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직무환경, 직무만족, 이직의도로 구성하였다. google시스템이 제공하는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질문 내용에 대해서는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사용하여 회수 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의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α 와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처리 방법으로 SPSS Windows ver. 24 프로그램과 AMOS ver. 24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인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구체적 차이 검증을 위한 Effect-size를 실시하였고 경력에 대한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OVA(일원배치분산분석)와 Scheff의 사후검정 실시하였다.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무환경,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서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직무요인과 인간관계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라서는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보수요인과 이직의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보수에서는 3년차 미만의 경력자가 6년차 이상의 경력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3년차 미만의 경력자들이 보수에 대한 불만이 더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직무환경의 하위요인들 중에 직무요인, 인간관계 요인이 직무만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수요인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직무환경의 하위요인들 중에 직무요인, 업무평가 요인이 이직의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직무요인, 업무평가 요인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도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 요인이 이직의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무환경의 개선을 통해 직무만족을 높여주어야 하며, 무기계약의 전환을 통한 고용의 안정성 보장과 역할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업무의 정확한 매뉴얼 개발을 통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는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업무의 향상과 초등체육의 질 향상을 가져 올 것이며, 더 나아가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정책의 근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근거 자료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Moon Jae-in government of 2017, 2018 reform is put into action sports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treatment in accordance with public policy for temporary jero and after splitting a year.An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job environment i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by analyzing the impact to determine current and of the sports teachers at primary schools.,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and development of primary sports by providing basic data on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To achieve this goal, 295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working in Gangwon Province were surveyed and questionnaires used by Lee Seong-cheon(2010) and Kang Mi(2015)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job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The online questionnaire provided by Google System was used and the questions were retrieved using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Cronbach's α and a positive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SPSS Windows ver. 24 program and the AMOS ver. 24 statistical program were used as data processing methods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Effect-size was perform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test and specific differences, which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post-test of ANOVA and Scheff was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experience. Multiple return analysis and simple retur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By analyzing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through the above procedure, w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difference in job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factors and human relationships, a sub-factor of job environment, depending on gender, and men were higher than women. Depending on one's experi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muneration factor and the turnover, a sub-factor of the job environment. Specifically, those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were higher than those with more than six years of experience in conserv. Those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higher complaints about remuneration. Second,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was shown to affect job satisfaction by job environment. Specifically, it has been shown that job factors and human relations factors have a static effect on job satisfaction among lower factors in the job environment, and that repair factors have an ineligible effect. It has been shown that the job environment affects the degree of turnover. Specifically, job factors and job evaluation factors among the sub-factories of the job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turnover. 이는 The higher the number of job factors and job evaluation factors, the higher the number of job turnover, the higher the number of job openings, the report showed. It has been shown that job satisfaction affects job turnover. Job satisfaction factors have been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turnover.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urnover.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the study, you should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improving the job environment of sports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hrough the development of accurate manual of work to ensure the stability of employment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role through the conversion of arms contracts. It will improve the work of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primary sports. Furthermore, it will serve as a fundamental basis for carrying out the fundamental role of zeroing out non-regular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 측정기기 운영에 관한 실증적 연구 : 中小製造企業을 中心으로

        유현종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산업이 고도화되고 무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업체의 측정기기 사용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측정은 모든 산업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측정의 중요성은 줄곧 강조되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측정은 아직까지 확고하게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품이나 공정은 정확하게 측정, 평가되어져야 한다. 잘못된 측정으로 인해 공정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면 이로 인해서 품질비용은 상승하게 되고 제품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측정기기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2009년 5월 1일부터 2009년 8월 31일까지 223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측정기기 운영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찾아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1. 이해하기 어려운 불확도의 개념보다는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R&R값의 개념을 교육·보급하여, 모든 측정에서 적정한 R&R값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2. 제품의 정밀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측정기기 관리시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고려하여야 한다. 측정 결과는 특정한 환경조건 하에서 유효한 것이므로 적합한 측정환경을 구비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측정기기 보관 및 사용 환경조건을 명시하고 준수해야 한다. 3. 측정기기는 재료의 특성, 온도, 습도 등의 변화, 기계적·전기적·화학적인 충격, 반복사용에 의한 노후나 마모 등으로 인해서 측정오차가 발생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정해야 한다. 같은 측정기기라 하더라도 사용환경이나 사용기간 등에 따라 그 성능에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측정기기의 정확도, 안정성, 사용목적, 환경조건, 사용빈도를 감안해서 적절한 교정주기를 자체적으로 설정해서 교정을 해야 한다. 4. 측정기기의 올바른 사용을 위해 측정기기의 구조, 성능, 측정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야 하며, 측정실무자는 측정분야에 대한 측정원리·구조·측정방법, 측정기기의 교정방법과 절차 및 불확도를 포함한 측정결과의 관리기법 등을 교육을 통해서 습득해야 한다. 5. 측정기기와 검사 지그를 선택할 때는 측정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적절하지 못한 선정을 하게 되면 올바른 측정값을 얻을 수 없게 되고 시간, 노력, 비용 등이 보람 없이 쓰이므로 측정기기를 선택할 때에는 제품공차, 측정물 크기·형상·재질, 측정능률 등을 고려해야 하며, 검사 지그 선택 시에는 위치결정, 체결방법 등을 고려해야 한다. 측정기기를 효율적으로 관리·운용해 나간다면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고 QM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레이저 클리닝 기술을 이용한 304L 스테인리스 강 녹 제거 연구

        유현종 국립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304L 스테인리스강(SS 304L)은 기계적 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부식 환경에 사용이 되지만 예민화 온도 범위에서는 크롬 결핍층이 발생하여 부식이 발생한다. 기존의 녹 제거 방법은 블라스팅과(Blasting) 화학적 녹 제거 방법이 있지만, 작업자와 환경에 유해한 방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접촉식, 고정밀, 간단한 제어가 가능하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레이저 표면 클리닝(Laser surface cleaning, LSC) 공정을 통해 녹을 제거하고자 한다. 또한 공정 전후 녹 제거 유무, 상 변태 변화, 미세구조 변형, 기계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녹 시편은 인위적으로 제작하였으며, 사용된 레이저는 고출력 Nd:YAG 레이저를 사용하였다. SS 304L 녹 제거를 위해 1140W 출력을 사용하였으며 레이저 스캔 해치 간격과 반복 횟수를 달리하여 가공하였다. 전자 탐침 미세분석을 통해서 레이저 스캔 해치(Scan Hatch) 간격이 작거나 높은 반복 횟수일 경우에 녹이 제거되었다. 하지만 레이저 스캔 해치 간격이 큰 경우 LSC 공정 후에 SS 304L 표면에 녹의 잔류물들이 남아 있었다. XRD 분석을 통해 재료 물성을 확인하였으며 LSC 공정 전후 상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LSC 공정이 SS 304L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EBSD 패턴 분석과 TEM을 통해서 알아보았으며 레이저 스캔 해치 간격이 크고 반복 횟수가 적은 LSC 공정에서는 전위밀도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레이저 스캔 해치 간격이 작거나 반복 횟수 많은 LSC 공정에서는 조밀한 전위 구조와 변형으로 인한 쌍정, 결정립 미세화 및 석출물이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레이저 스캔 해치 간격이 작고 반복 횟수가 큰 LSC 공정은 경도 및 인장 강도가 증가하였다. 스캔 해치 간격이 넓으면 녹의 잔류물이 발생하여 녹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으며, 스캔 해치 간격이 좁으면 결정립 미세화 및 석출물이 발생함에 따라 기계적 특성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넓은 해치 간격을 반복적으로 공정 시에 녹을 제거함과 기계적 특성을 최소화하였다. 하지만 LSC 공정은 재료의 유지 보수를 위한 표면 세척 기술이기 때문에 공정 후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도 지속해서 진행되어야 한다.

      • 금융계 비서의 경력관리에 관한 연구

        유현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Coupled with rapid changes in enterprise environment, personal career management has been more interested than organizational management. Also the boundaryless career concept is widespread, which goes beyond the boundaries of a single employment setting. This means that professional secretaries need to develop their individual career competencies through ongoing and changing work experiences as well a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personal career management. However, research mainly has focused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secretarie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ir career ladder and research on their career management has not been studied. Considering the growing interest in financial secretaries, research on financial secretaries and their career management is required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nd discuss career competencies of financial secretaries and their career management including career switch. This is to suggest effective career strategies which are helpful to the applicants of financial secretaries and the incumbent financial employe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1) requirements of the financial secretaries, (2) career competencies of financial secretaries, (3) career strategies of financial employees, (4) career competencies required for career switch from secretaries to financial expert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in this study. In the stage 1,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one to one in-depth interviews with 12 financial secretaries and career switchers in order to define career competencies. In the stage 2,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seven financial secretaries and seven career switchers in groups, which is to identify effective career strategies for financial employees. NUD*IST V4.0 program was applied for the content analysis of stage 1 and 2.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competencies of financial secretaries are defined as 10 sub-categories and 47 career competencies under know-why, know-how, and know-whom competencies. Knowledge on finance and accounting, human relations, and the eagerness and passion are ranked as the most important career competencies. Also computer proficiency, especially in excel and power point program is required. Second, career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financial secretary applicants are financial information, knowledge on accounting and financial analysis, and human relations. Third, career competencies of career switchers are defined as 8 sub-categories and 24 career competencies, including opportunity development for promotion or switch, will power to overcome the prejudice in secretarial position, and eagerness and enthusiasm. Last, financial employees regard computer proficiency, time management, and neutral position as important career strategies, which are highly ranked from 38 sub-strategies under 7 categories. In conclusion, the findings reveal that career competencies of financial secretaries are financial and accounting knowledge, human relations, computer proficiency, and eagerness. Considering career barriers, fair assessment based on job achievements and career competencies from supervisors as well as organization is necessary to develop career opportunity for career switch. However, the problem of generalization about research conclusion can be suggested as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hich is resulted from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snowball sampling. 급속한 기업환경의 변화는 개인의 경력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켜 조직원들은 조직보다는 개인의 경력에 더욱 몰입하고 있다. 또한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무경계경력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최근에 와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비서직 또한 이러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문비서로서 개인적 차원의 경력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전문비서직의 확립을 위해 경력개발과정 규명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졌으나 개인적 차원의 경력관리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금융계로의 취업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이 분야 비서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금융계 비서의 역량과 경력관리과정을 규명해야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금융계 비서들의 비서경력을 통한 역량개발과 경 력전환을 포함한 경력관리과정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경력전략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금융계 비서직으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학생들 뿐 아니라 금융계 비서직 종사자들에게 효율적인 경력전략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계 비서로 진출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요건들은 무엇인가? 둘째, 금융계 비서직으로 근무하면서 개발한 역량은 무엇인가? 셋째, 금융계 종사자들의 효과적인 경력전략은 무엇인가? 넷째, 금융계 비서직에서 금융전문가로 경력전환시 이를 위한 역량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두 차례에 걸친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금융계 비서의 역량과 경력관리에 관한 내용을 도출하기 위하여 비서직 종사자 및 경력전환자 12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2차 조사는 금융계 종사자의 효율적인 경력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비서직 종사자와 경력전환자 각 7명씩 그룹별로 구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1, 2차 조사는 경력역량과 경력전략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결과는 NUD*IST V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계 비서의 역량으로 Know-why, Know-how, Know-whom의 세가지 경력역량 범주 아래 10개의 하부범주가 도출되었고 47개의 하위역량이 도출되었다. 금융 및 회계 지식과 인간관계 관리능력, 그리고 업무를 배우고자 하는 열의와 열정이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컴퓨터 활용능력에 있어서도 엑셀과 파워포인트 소프트웨어 활용능력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둘째, 금융계 비서로 취업하기 위한 역량으로는 금융지식, 회계 및 재무지식, 인간관계 관리능력이 도출되었다. 셋째, 경력전환을 위한 경력역량은 8개의 하부범주와 24개의 하위역량이 도출되었으며 경력전환과 승진의 기회개발, 비서직에 대한 편견극복의지, 일에 대한 열정이 중요한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넷째, 금융계 종사자의 효과적인 경력전략 방안은 7개의 경력전략 범주아래에 38개의 하부전략이 도출되었는데, 컴퓨터활용능력 증대, 회계 및 금융지식의 습득, 리더십 배양이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특히 비서직 근무경력이 많아질수록 또는 경력을 전환하여 관리자의 입장이 된 경우일수록 이러한 리더십 역량은 더 많이 요구되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금융계 비서의 경력역량은 회계 및 재무지식, 인간관계 관리능력, 열정과 열의로 요약할 수 있겠다. 경력전환을 위한 요소로는 현실적인 장애요인들을 고려할 때 상사와의 인접성을 바탕으로 상사로부터 업무능력을 인정받고 기회를 개발하는 것이 자신이 원하는 경력관리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한계점들은 후속연구를 통하여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질적연구방법과 내용분석에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어 일반화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의 선정이 누적표본추출법(snowball sampling)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와 타당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본 질적연구결과에 기반한 양적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연구대상을 다양화시킨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군인의 기본권 보장에 관한 연구 : 사생활 영역의 보호를 중심으로

        유현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Soldiers perform a special mission called “National Defense”. Due to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ir profession, the basic rights of soldiers are more restricted than those of ordinary citizens. However, even when acknowledging the need for restrictions on the basic rights of soldiers, the current military laws and practices go beyond the scope permitted by the Constitution and laws, and thereby extensively infringe on the human rights of soldiers. In addition,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soldiers have been accepted as something that must be endured due to the uniquenes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based on the spirit of top-down command and obedience. In particular, these violations of the basic rights of soldiers are mostly applied to their private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restriction imposed on the basic rights of the military personnel under the current laws and practices, from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 protection of basic rights. In order to determine the legitimacy of the restriction on the basic rights of the militar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ncept,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of the military, and the peculiarities of military servic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was first required to look into the theoretical basis for restricting the basic rights of military personnel – the theory of special power relations and how this theory has evolved over time to the theory of special status relations – and analyze the prerequisites, standards and limitations as to restricting basic rights on grounds of the Constitution and laws in general. After that, this thesis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restrictions on the basic rights of the military personnel based on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The matter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private life are of a highly private nature. However, it is not easy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domains, and even if a matter has low public relevance, it may be subject to restriction for public or military purpo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basic rights in the scope of private life and its constitutional basis before considering the basic rights and restrictions in private lif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thesis critically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restrictions that are identified to be unfairly infringing on the basic rights of soldiers by dividing them by individual basic rights related to the scope of private life. To examine in detail whether the restrictions on basic rights in the South Korean military are unreasonable and unjustifiable, it was necessary to study the legislation of the foreign military and the status of restriction on basic rights that enables meaningful analysis. Therefore, first, this thesis examined the legislation of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ly recognized as a nation with strong military force,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military culture centered on the military and basic rights. The thesis then examined the legislations of the German military, which operates the most pioneering system in terms of respecting the human rights of military personnel due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rew out implications from the viewpoint of democratic military culture. Finally, the legislations of the Israeli military, which has a security environment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military, were examined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alance between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maintaining a strong military.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state of restrictions on basic rights in the Korean military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future. After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each foreign military has developed its own system and culture for the restriction of basic rights according to the unique security environment of their land. As it would not be necessary for the Korean military to adopt all of these foreign legislative practices, this thesis tried to sort out the foreign practices that may provide insights for the Korean military, and subsequently suggested alternatives in terms of improving military culture, reforming current military laws, and abolishing military service malpractices. 군인은 ‘국가방위’라는 특수한 임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직업적 특수성으로 인해 군인의 기본권은 일반 시민의 기본권에 비해 많은 제약을 받는다. 그러나 군인의 기본권에 대한 제한의 필요성을 인정하더라도 현행 군 법령과 관행은 헌법과 법률에서 허용하는 범위를 넘어서서 군인의 인권을 광범위하게 침해하고 있다. 또한 군인에 대한 인권침해는 ‘상명하복’(上命下服)의 정신을 근간으로 하는 군 조직의 특수성으로 인해 감수해야만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특히, 이러한 군인의 기본권에 대한 침해는 대부분 사생활 영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논문은 기본권 보호를 위한 헌법적 관점에서 현행 법령과 관행에 따라 이루어지는 군인의 기본권에 대한 제한현황을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군인의 기본권 제한에 대한 정당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군의 개념과 조직 및 구성, 그리고 군 복무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군인 기본권 제한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종래의 특별권력관계론과 이후 특수신분관계론으로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일반론적으로 헌법과 법률에 근거하여 기본권을 제한하는 요건과 기준 및 그 한계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후 구체적으로 현행 법령에 근거하여 군인의 기본권을 제한하고 있는 현황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사생활 영역은 이른바 사적 관련성이 높은 영역이다. 그러나 사생활 영역과 공적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공적 관련성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공익적·군사적 목적을 위해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생활 영역의 기본권과 제한현황에 대한 고찰에 앞서 사생활 영역의 기본권이 가지는 의의와 그 헌법적 근거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사생활 영역과 관련된 개별 기본권별로 구분하여 실질적으로 군인의 기본권을 부당하게 침해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제한현황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우리 한국군에서 이루어지는 기본권 제한들이 과연 불합리하고 정당하지 않은 것인지 세밀하게 검토하기 위해서는 유의미한 분석을 이끌어낼 수 있는 외국군의 입법례와 기본권 제한 현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먼저 전 세계적으로 강한 군대로서 인정받는 미국의 입법례를 살펴보고 실전위주의 군대문화와 기본권 제한의 목적 및 필요성의 관점에서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군인에 대한 인권 존중 측면에서 가장 선구적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독일의 입법례를 살펴보고 민주적 군대문화의 관점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 한국군과 유사한 안보환경을 가진 이스라엘군의 입법례를 살펴보고 인권의 존중과 강한 군대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한국군에서 이루어지는 기본권에 대한 제한현황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개선 대책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외국군은 고유의 안보환경에 따라 그 특성에 기반하여 기본권 제한에 대한 고유의 제도와 문화를 발전시켜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 한국군이 이러한 외국의 입법례를 모두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만의 특성에 맞추어 참고할만한 것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군대문화의 개선, 현행 군 법령의 정비, 군 복무 관행의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각각 그 대안을 제시하면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