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axonomic Study of Integripalpia (Insecta: Trichoptera) from Korea : 한국산 무환수아목(곤충강: 날도래)의 분류학적 연구

        오민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rder Trichoptera (caddisflies) is a primary group of aquatic insets but, has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in Korea. Trichoptera of 206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the Korean peninsula. But only 17% of larvae were associated with adults although they spends most of their life cycle in water as larvae. This study focused on the association of larvae with adults of suborder Integripalpia which contained largest number of known species (106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Taxonomic descriptions and line drawings were provided for 24 taxa in 7 families. Dicosmoecus KGUa was a newly recorded genus from South Korea and Lepidostoma ebenacanthum was a species newly reported species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 were four genera of larval stage newly added (Anisocentrophus, Pseudostenophylax, Oecetis, Triaenode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immature stage and adult of twelve species were newly associa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new synonym of three undetermined species were suggested (Nothopsyche KUa; Nothopsyche pallipes, Nothopsyche KUb; Nothopsyche nigripes, Asynarchus KUa; Asynarchus amurensis). The new synonym of Goera yamamotoi; Goera tungusensis was proposed. The diagnostic error which commonly occurred in Goera and Psilotreta were dealt. The variation of the dark stripe on the legs of Hydatophylax were also compared. A taxonomic list of Integripalpia from Korea was revised that reflects all possible literature for the fauna of Korean Trichoptera.

      • CS언플러그드를 활용한 알고리즘 수행시간 분석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컴퓨팅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오민우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수행시간 분석에 초점을 맞춘 cs언플러그드 방식 의 교육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컴퓨팅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현직 초등교사 70명과 초등학교 3학년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라 CS언플러그드 교육프로 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4명에게 총 6일 동안 36시간의 수업을 진행하였고,같은 시간 동안 정보과학 관련 보드게임 교육을 받은 24명의 학생들과 사전•사후 비교 검사를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 석 결과, 알고리즘의 수행시간 분석에 초점을 맞춘 CS언플러그드 방식의 교육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컴퓨팅사고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 스마트신발을 이용한 젊은이와 노인의 보행대칭성과 일관성 비교

        오민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ait characteristics in young and old adults as revealed through gait speed change in young adults, and the gait speed and BMI index according to age in old adults and their affect on gait asymmetry(GA) and Phase coordination index(PCI). In addition,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ody and gait characteristics by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 selection method (stepwise) to predict PCI. The 357 analysis subjects were composed of 186 healthy young adults and 171 old adults. In order to draw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ait symmetry and consistency in young and elderly adults through gait on treadmill and on the ground were evaluated by using a shoe-type IMU syste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of all, it was revealed that SS_CV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PCI, physical information and gait time-space variables,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1) The GA and PCI according to age-range in the elderly adults were divided into an under-70 years-old group and over-70 years-old group, and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y differenc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obesity degree in elderly adults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BMI < 25 kg/m2 or BMI ≥ 25 kg/m2) depending on BMI.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the GA, but PCI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distribution of gait speed in elderly adults was 0.32~1.10(m/s/height) and the median gait speed was 0.62. Depending on the median gait speed, slow gait and fast gait group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A,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CI according to gait speed.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vored gait speed, slow speed (-20%) and fast speed (+20%) in the young adults. The post hoc test result showed that slow speed (-20%) has a smaller value than favorite and fast speed (+ 20%).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CI. As a result of the post hoc test, it was found that the PCI decreases as gait speed increases.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A and PCI according to the age of the young and old adults. Fifth, a regression model which indicates the effect of favored gait speed in young and elderly adults on the PCI is as follows. 1)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in the young adults were SS_CV, GA, and weight, and account for 38.4% of the PCI valu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CI is affected by SS_CV, GA and weight in order. The regression model of young adults is presented as follows. PCI = 1.814 + (0.540 * SS_CV) + (0.149 * GA) + (-0.01 * Weight) 2)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 of the old adult was SS_CV, Age, Stride, and explain about 38.8% of the PCI.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CI was more affected by SS_CV, Age, and Stride in order. The regression model of the old adults is presented as follows. PCI = 4.146 + (0.532 * SS_CV) + (-0.027 * Age) + (-0.976 * Strid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GA and the PCI showed a stable gait index at the preferred speed and at fast-speed condition. However, when gait was performed at slow-speed condition, the ability of gait coordination deteriorated. When gait stability deteriorates, a physical phenomenon directly related to quality of life is also found. Therefore, a study which provides future guidelines and simplifies the measurement method, cost and time through gait habits and pattern analysis in elderly adults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shoe-type IMU system which measures gait symmetry and consistency is a tool for evaluating the gait coordination ability in musculoskeletal patients, as well as neurological patients, and continuous and various studies are needed. Keyword : Gait Asymmetry, Phase Coordination Index, Inertial Measurement Unit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젊은 성인의 보행 속도 변화와 노인의 연령에 따른 보행속도 및 BMI지수에 따른 젊은 성인과 노인의 보행특성이 보행불균형지수(Gait Asymmetry) 및 국면협응지수(Phase coordination index, PCI)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다중회귀분석 단계선택방식(stepwise)을 이용하여 인체특성과 보행특성을 분석하여 국면협응지수(Phase coordination index, PCI)를 예측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건강한 젊은 성인 186명과 노인 171명 총 357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도출을 위하여 신발타입 IMU시스템을 사용하여 트레이드밀보행과 지면보행을 통해 젊은 성인과 노인의 보행대칭성 및 일관성을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면협응지수(PCI)와 신체정보 및 보행시공간변인과 상관이 가장 높은 변인은 단하지지지기 변동계수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1) 노인의 연령에 따른 보행불균형지수(GA), 국면협응지수(PCI)는 70세 미만그룹과 70세 이상그룹으로 나누어 차이를 분석하였으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노인의 비만도(BMI)는 체질량지수 25기준(25 이상 비만)으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보행행불균형지수(GA)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국면협응지수(PCI)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노인의 보행 속도 분포는 0.32~1.10(m/s/height)로 보행 속도의 중앙값(Median)은 0.62로 설정하여 중앙값보다 보행 속도가 느린 그룹과 빠른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보행행불균형지수(GA)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국면협응지수(PCI)는 보행 속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젊은 성인의 보행속도는 선호속도, 느린속도(-20%), 빠른속도(+20%)로 보행 수행 시 보행불균형지수(GA)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결과 느린속도는 선호속도와 빠른속도 보다 작은값을 가진다. 국면협응지수(PCI)에서도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보행속도가 증가 할수록 국면협응지수PCI)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넷째, 젊은성인과 노인의 연령에 따라 보행불균형지수(GA)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국면협응지수(PCI)도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젊은 성인과 노인의 선호속도 보행이 국면협응지수(PCI)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모형식은 다음과 같다. 1) 젊은 성인의 다중선형 회귀식은 단하지 지지기의 변동계수(SS_CV), 보행 불균형지수(GA), 몸무게(Weight)로 나타났으며, 국면협응지수(PCI)의 값을 약 38.4 % 설명한다. 또한 단하지지지기 변동계수(SS_CV), 보행불균형지수(GA), 몸무게(Weight) 순으로 국면협응지수(PCI)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다. 젊은 성인의 회귀모형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PCI = 1.814 + (0.540 * SS_CV) + (0.149 * GA) + (-0.01 * Weight) 2) 노인의 다중선형 회귀식은 단하지 지지기의 변동계수(SS_CV), 나이(Age), 활보(Stride)로 나타났으며, 국면협응지수(PCI)의 값을 약 38.8 % 설명한다. 또한 단하지지지기 변동계수(SS_CV), 나이(Age), 활보(Stride) 순으로 국면협응지수(PCI)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다. 노인의 회귀모형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PCI = 4.146 + (0.532 * SS_CV) + (-0.027 * Age) + (-0.976 * Stride)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보행불균형지수(GA)와 국면협응지수(PCI)는 선호속도 및 빠른 속도 조건에서 안정된 보행지수가 나타났다. 그러나 느린속도 조건에서 보행을 수행 하였을 땐 보행의 협응능력이 악화되었다. 보행안정성이 나빠지게 되면 생명과도 직결되는 신체적 현상도 발견된다. 따라서, 노인들의 보행습관 및 패턴 분석을 통해 올바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향후 가이드라인 제시 및 비용, 시간, 측정의 복잡함 등을 측정방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신발타입 IMU시스템은 보행대칭성과 일관성을 간단히 측정하는 방법으로 신경계 질환자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자들의 보행협응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지속적이고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기반의 직류 전압변환 회로에 관한 연구

        오민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10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에 이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기술은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비결정(amorphous) 및 다결정(polycrystalline) 실리콘(silicon)을 활성층(active layer)으로 갖는 실리콘 TFT는 제작의 용이함과 생산성 증가로 인해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TFT를 이용하여 각각의 화소(pixel)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AMLCD (active-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기술은 TFT를 이용하는 가장 훌륭한 예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고화질화, 3D television의 출현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화면 주사율(frame rate)을 높이는 고속동작(high speed driving)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 되었고, 기존의 실리콘 TFT는 그 성능의 한계를 드러내었다. 그 결과, 새로운 소자에 대한 많은 연구를 통해 산화물(oxide) TFT가 실리콘 TFT를 대체할 가장 유력한 후보로 각광 받게 되었다. 특히, 2003년 일본의 호소노 교수 그룹이 발표한 논문을 시작으로, 국내외에서 산화물 TFT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비결정질 산화물 TFT는 비결정질 실리콘(a-Si) TFT에 비해 전자 이동도(electron mobility)가 10배 이상 높고, 좁은 영역에 대한 균일성(uniformity)이 우수하다. 또한 비결정질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낮은 제조 원가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들과 더불어 산화물 TFT는 실리콘 TFT와 차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 특징은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 VT)이 음(negative)의 값을 갖는 depletion-mode 동작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depletion-mode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실리콘 TFT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driving circuit)는 산화물 TFT를 적절히 on/off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산화물 TFT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이론의 구동회로가 필요하다. 위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depletion-mode 산화물 TFT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직류 전압변화 회로(DC-DC converter)를 제안한다. Thin-film transistor technologies for display device have been highly developed for recent 10 years. Silicon active layer TFTs such as amorphous and poly silicon TFTs occupy the most important part among the components of display because of increased TFT productivity with easier making process. However as demands for lager size and higher definition display as well as appearance of 3D television cause technical challenge for high-speed driving method, the prevailing a-Si TFT confront with its limitation in therms of low electron mobility less than 1 cm2/Vs. As a result, a lot of researchers have found that oxide TFTs are considered as the most promising device for replacing a-Si TFTs. After the team of Hosono, a japanese professor, announced the fabrication of reasonable oxide TFTs in 2003, many studies on oxide TFTs have been reported. The saturation mobility of oxide TFTs are greater by an order of magnitude than that of a-Si TFTs and oxide TFT have an intrinsic advantage in better short-range uniformity over poly-Si TFTs. In addition, manufacturing companies are attracted by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for amorphous structure. Along with these advantages, oxide TFTs highly tend to have a unique characteristic so called depletion-mode operation, i.e. oxide TFTs have negative threshold voltages. It is hardly possible to turn off the oxide TFTs with the conventional silicon based TFT circuits. For this reason, we need a new circuitry to switch on and off the depletion-mode oxide TFTs properly. In this thesis, the DC-DC converter for oxide TFTs are presented. This circuit can turn on and off depletion-mode oxide TFTs completely.

      • 전기 화학적 etching 방법을 이용한 금속 나노탐침의 제작과 인가 전압, 반응 회로의 구조, 약품의 조성에 따른 최적화 조건에 대한 연구

        오민우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시료의 미세 구조 표면 형상을 관찰하기 위해 근접장 주사 광학 현미경(NSOM, Near-field Scanning Optical Microscope)이 개발되었다. 이 현미경에 사용되는 금속 탐침 혹은 광섬 유 탐침은 시료 표면 근처에 위치하는 evanescent field를 원거리장으로 복사하는데 사용된다. 이 중 Scattering type NSOM의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 화학적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금 나 노 탐침을 제작하고 직경이 작은 탐침을 제작할 수 있는 최적화 조건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전극에 금 와이어, -전극에 Platinum ring을 연결하고 염산용액에 담근 후 전압을 인 가하여 금 나노 탐침을 제작했다. 이후 금속 탐침의 최적화된 식각 조건을 찾기 위해 Amplitude, Duty cycle, Platinum ring depth, 염산과 에탄올의 혼합비율을 변경하여 식각을 진행했고, 각 조건 별로 10개의 탐침을 제작하여 금 나노 탐침의 모양, 직경, 안정성(성공률)을 정리했다. 연구결과: 금 와이어와 Platinum ring에 인가하는 전압은 탐침 직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조건 임을 확인하였고 Duty cycle을 변화시키는 실험을 통해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이 충분해야 더욱 안정적인 탐침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latinum ring depth의 변화에 의한 식각 결과는 탐침의 직경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제작 성공률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염산과 에탄올 3:1 비율로 진행한 식각 결과에서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진 탐침을 제작할 수 있지 만 안정적인 탐침 제작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완성한 50nm 이하의 탐침 직경을 가진 금 나노 탐침은 Scattering type NSOM에 부착하여 나노미터 크기 시료의 특성 및 표면 형 상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Near-field scanning optical microscopy(NSOM) is developed in order to observe electric field near the surface of the sample. Metal tip or optical fiber tip, which is a part of NSOM, is used to induce evanescent field from near to far field. To improve resolution of scattering type NSOM, gold nano tip was fabricated using electrochemical etching method, and optimized condition for the fabrication of tip with smaller diameter was studied. Gold nano tip was fabricated by applying square wave voltage to gold wire (connected to anode) and platinum ring (connected to cathode) after dipping into hydrochloric acid solution. By changing condition, which consists of amplitude, duty cycle, platinum ring depth, hydrochloric acid and ethanol ratio, we find to optimize etching condition. This study was organized in shape, diameter, and stability (success rate) of gold nano tip after fabrication ten tips by each con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amplitude of voltage applied in gold wire and platinum ring gives significant difference to tip diameter. Through the etching process in changing duty cycle, this study shows that stable probe fabrication requires sufficient supply of electric voltage. This study shows etching result from the change in Platinum ring depth does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to diameter of each tip but improving success rate. The etching result from the process where hydrochloric acid and ethanol used in 3:1 ratio was unable to improve success rate although it enabled the fabrication of the tip with smallest diameter. Key Words: Gold tip etching, Scattering type probe

      • 수직축 풍력 발전기 유형에 따른 진동 실험 및 해석

        오민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operational vibration experiment and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small vertical-axis wind turbine (VAWT) including the effect of tower elastic behavior. Also, optimized airfoil shapes are investigated and numerically tested to obtain best aerodynamic power characteristic and several blade models with different geometric parameters are tested in order to yield maximized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VAWT model. Computational structural dynamics analysis method is applied to obtain Campbell diagram for the during the ground test. Equivalent reduced elastic tower is used to support the VAWT so that the effect of elastic stiffness of the tower can be considered and the dominant operating vibration phenomena are physically investigated in detail.

      •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 도중 성문하부로 흡인이 된 환자들에서 발생한 흡인성 폐렴의 발생률과 위험인자

        오민우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도중 성문하부로 흡인이 된 환자들에서 흡인성 폐렴의 발생률과 그 연관된 위험인자를 조사한 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2년간 VFSS를 시행한 495명의 환자들 중 성문하부로 흡인이 된 129명을 선별하여, 이들의 의무기록을 검토한 후향적 연구이다. VFSS 연관된 흡인성 폐렴은 VFSS 후 3일 이내에 발열 또는 산소 포화도 저하가 있고, 혈액검사 상 C-reactive protein (CRP)나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고, 흉부 X-선 검사에서 새롭게 음영이 증가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인 나이, 성별 및 기저 질환을 조사했다. 또한, VFSS 당시 항생제 투여 여부, 폐렴의 과거력 여부 및 검사 전 식이 방법을 확인했다. VFSS 결과에서는 성대 하부로 흡인이 발생했을 때 기침 반사(cough reflex)가 일어났는지와,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및 functional dysphagia scale (FDS)를 확인했다. 또한, VFSS 후 흉부 X-선에서 기관-기관지 바륨 코팅(tracheobroncial barium coating)의 유무를 확인했다. 결과: 총 129명의 성문하부로 흡인이 된 환자들 중 9명에서 VFSS 후 흡인성 폐렴이 발생했다(6.98%). 흡인성 폐렴 그룹은 폐렴이 발생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VFSS 당시 항생제를 투여받지 않고 있었다(p < 0.05). 또한, 흡인성 폐렴 그룹에서 유의미하게 VFSS 후 촬영한 흉부 X-선 검사에서 기관-기관지 바륨 코팅이 발견되었다(p < 0.001). 두 그룹 간의 나이, 성별, 기저 질환, 기침 반사, PAS 및 FDS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VFSS 도중 성문하부로 흡인이 된 환자 중 VFSS 연관 흡인성 폐렴의 발생률은 6.98%이며, 위험인자로는 검사 당시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고 있었거나 검사 후 흉부 X-선에서 기관-기관지 바륨 코팅이 보이는 경우인 것으로 확인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aspiration pneumonia in patients with subglottic aspiration through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We also identifie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gression of subglottic aspiration to aspiration pneumoni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study. In total, 129 patients with subglottic aspiration were selected from 495 patients, who underwent VFSS for a period of 2 years from January 1, 2018 to December 31, 2019.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such as age, sex, and underlying diseases, were reviewed. VFSS-associated aspiration pneumonia was defined as a case in which all thre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were satisfied within 3 days after VFSS: 1) fever or decreased oxygen saturation, 2) elevated C-reactive protein or leukocytosis confirmed through blood tests, and 3) new infiltration on chest X-ray after VFSS. Additionally,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at the time of VFSS, history of pneumonia, and the diet before the test were checked. In the VFSS results, the cough reflex when subglottic aspiration occurred,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and functional dysphagia scale (FDS) were assessed.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presence of tracheobronchial barium coating was also reviewed using chest X-ray after VFSS. Results: Nine of the 129 patients with subglottic aspiration developed aspiration pneumonia after VFSS (6.98%). The group which developed aspiration pneumonia did not receive antibiotics at the time of VFSS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p < 0.05). In addition, tracheobronchial barium coat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that developed aspiration pneumonia (p < 0.001). There were no differences based on sex, age, underlying disease, reflex cough, PAS, and FD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VFSS-associated aspiration pneumonia among patients with subglottic aspiration during VFSS was 6.98%. The risk factors were antibiotics administration at the time of VFSS and tracheobroncial barium coating on chest X-ray after VF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