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택지개발사업에 의해 공급된 도시공공시설의 입지적정성 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화성시 문화·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안치호 안양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at improving the rational dir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dequacy location and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supply and installation standards of urban public facilities and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s supplied by the urban public facilities. Especial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the urban public facilities supply and utilization status in the city center between the new towns and existing centers by large urban development projects and provide a reasonable supply pla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stalled base. For this, the study is divided into relative theory and previous research review, setting the framework for analysis, analysis of the relevant institutions and study area, location propriety of public facilities, and policy proposals. Referring to the content of each of the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examined the concept and content, historical changes the course of the academic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urban public facilities and underst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nd type of land development projects. The review of related theories is separated by accessibility, efficiency and equity, living area theory, and it reviews the location model of public facilities. This is relevant prior research examined previous studies, separated by land development and related public facilities. The result deriv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researches related to urban public facilities have been studied for spatial inequalities of urban public facilities. Second, researches related to supply aspect have been studies for install and supply standard on individual facilities. Third, it is the evaluation methodology and the allocation model, and location services right through the buffering and analysis of GIS in terms of presenting the position of the new public facilities. Fourth, in terms of user satisfaction and system improvement and analyze the causes and extent of use of unutilized degree of user inconvenience or public facilities. Fifth, regarding land development project presents a regional imbalance and due to change such as land development projects. The framework sets up in the analysi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irst, of the installation and supply standards of urban public facilities clarity. Secondly, land development projects insides and outside of experiences and differences in public facilities residents, third, urban public due to land development projects separated by a base adequacy analysis phase of the facility was set up the framework for the research. First, in the first step analysis that analyzes whether the relevant institutions and policies are clearly presented it is based on the supply and installation of urban public facilities and present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related systems. Installation standards of urban public facilities, but be divided into administrative areas, living area basis, based on population, and in most cases do not appear explicitly for the supply and installation clear as to present only the qualitative criterion standard. The current system of public facilities related to operation and puts emphasis on the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and because only declarative rules to the supply and installation standard room is supplied criteria to be reinterpreted and there are limitations reflect different regional environments. In the second phase, the research destination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adjacent regions, separated by the spatial categories other regions to conduct a survey to each of the local residents were analyzed using characteristics between the city residents and existing residents. As a result, land development experience of the district residents may find that high compared to neighboring regions and other local residents. Consequent days, but we believe that high satisfaction compared to public facilities if the facilities did not have access to the geographical distance in your area. And if you compared the welfare and cultural facilities, it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welfare facilities than cultural facilities. In the case of cultural services it can be inferred to determine relatively low, weak public services and cultural facilities in fashion or trend, because in many cases being supplied by the other private cultural facilities or outside facilities. And by analyzing the supply and installation earlier analysis based o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with public facilities compared to distinguish between four types of public facilities in the city and each was classified as a public facility. 4 types are type I: If the installation criteria are met, experience preferred, Type II: If the installation criteria are met, the experiences and poorly, Type III: installation standards inadequate, if the experience is good, Type IV: lack of reference installation, if you use a low satisfaction. In the third step through the GIS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use and satisfaction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each category of spatially analyzed before residents were accessibility and service areas of the city public facilities. The adequacy of supply for the public facilities were one of four types of Type II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nd type III (general welfare facilities) of urban public facilities before analysis. As a result, users experience the city's public facilities appeared to influence depending on the spatial category of the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In the case of the composition due to land development public facilities,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ublic services in the region, which showed that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cessibility of citizens to use them.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land development business, though not the residents living in areas accessible to the facility (or users are concentrated) to take advantage of the facilities. Finally, it is as the first policy proposa 본 연구는 도시공공시설의 설치 및 공급기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택 지개발사업 등에 의해 공급된 도시공공시설의 입지적정성 분석을 통해 합리적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택지개발사업 등과 같은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신도시 및 신시가지가 조성된 도시를 중 심으로 신·기존시가지 간의 도시공공시설 공급실태 및 이용실태를 분석 하여 설치기준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공급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크게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분석의 틀 설정, 관련제도 및 연구대상지의 분석, 공공시설의 입지적정성, 정책적 제언 등으로 구분하 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각의 내용을 설명하면 이론 및 선행연구에서는 도시공공시설의 학문 적, 제도적 측면의 개념 과 내용, 역사적 변천과정을 검토하고 택지개발 사업의 개념과 특성, 유형 등을 파악하였다. 관련이론에서는 접근성, 효 율성과 형평성, 생활권이론 등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고, 공공시설의 입 지모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는 크게 공공시설관련과 택 지개발관련으로 구분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도시공공시설 관련한 연구는 도시공공시설에 대한 공간적 불균등의 문제인식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져왔고 이는 공공시 설의 기본적인 특징인 비재제성, 비경합성의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 둘 째, 공급기준 측면에서 기존 연구들은 개별시설에 관한 설치 및 공급기 준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셋째, 방법론 측면에서 GIS의 입지 배분모형 및 버퍼링 분석을 통해 서비스권을 평가하고 신규 공공시설의 입지를 제시하고 있다. 넷째, 이용자의 만족도 및 제도개선 측면에서는 이용자의 이용불편정도나 공공시설의 미활용 정도 및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다섯째, 택지개발사업 관련해서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한 지역 내 불 균형 및 변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동안 다루지 않 았던 택지개발사업에 의해 공급되는 도시공공시설의 제도적 문제점을 분 석하고, 이용권위계층별 제도적인 배치기준의 적정성 여부를 파악하여 도시공공시설의 입지적정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필요성을 도출할 수 있 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석의 틀 설정에서는 첫째, 도시공공 시설의 설치 및 공급기준의 명확성, 둘째, 택지개발사업 내·외의 공공시 설 이용주민의 이용만족도 차이, 셋째,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한 도시공공 시설의 입지적정성 분석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 분석의 틀을 설정하였다. 먼저, 첫 번째 단계에서는 관련 제도 및 정책들을 분석하여 도시공공 시설의 설치 및 공급기준이 명확히 제시되고 있는지를 여부를 분석하고 관련제도의 한계 및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도시공공시설의 설치기준은 크게 행정구역, 생활권 기준, 인구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정성적인 기준만 제시할 뿐 명확한 공급 및 설치기준에 대해 명시 적으로 나타나고 있지 않다. 현행의 공공시설 관련 제도는 공공시설의 운영 및 관리에 방점을 두고 있고 공급 및 설치기준을 선언적으로만 규 정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기준이 재해석될 여지가 있고 다양한 지역적 환 경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대상지를 택지개발지구, 인접지역, 그 외지역 으로 공간적 범주를 구분하여 각각 지역 주민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 여 신시가지 주민과 기존시가지 주민 간의 이용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택지개발지구 지역 주민의 이용만족도가 인접지역과 그 외지역 주민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당연한 결과 일 수 있으나 거리상 가까운 곳에 위치한 시설로의 접근이 그렇지 못한 경우에 비해 공공시설 이용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복지시설과 문화시설을 비 교하였을 경우, 문화시설에 비해 복지시설에 대한 이용만족도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문화서비스의 경우 다른 민간 문화시설이나 외부시설 등 에 의해 공급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행이나 트렌드에 취 약한 공공 문화시설의 서비스를 낮게 판단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분석한 공공시설의 설치 및 공급기준과 공공시설별 이 용자 만족도 분석을 비교분석하여 공공시설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 해당하는 도시공공시설로 분류하였다. 4가지 유형은 유형I: 설치기 준 충족, 이용만족도가 양호한 경우, 유형II: 설치기준 충족, 이용만족도가 저조한 경우, 유형III: 설치기준 미흡, 이용만족도가 양호한 경우, 유형 IV: 설치기준 미흡, 이용만족도가 저조한 경우이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앞에서 분석된 공간적 범주별 주민의 이용 및 만 족정도의 차이를 기초로 GIS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시공공시설의 접 근성과 서비스영역을 분석하였다. 앞에서 분석한 도시공공시설의 4가지 유형가운데 유형 II(복합문화시설)와 유형III(종합복지시설)에 해당하는 공 공시설의 공급적정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공공시설의 이용자 만 족도는 택지개발지구에 따른 공간적 범주에 따라 영향을

      • 차량용 전후방 카메라 적용을 위한 초광각 광학계의 구성과 광특성 분석 및 최적화 설계

        안치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 광각 초슬림형 차량용 후방 카메라 광학계를 설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제품 제작을 하여 성능 평가를 하였다. 상용화를 위해 플라스틱 사출이 가능한 재료를 선정하였으며, 광학계 설계는 상용 프로그램인 Code V를 사용하였다. 화각이 170°인 초 광각과 외부 환경 내구성을 위해 강한 Negative 글라스 렌즈 1매를 전면 배치하였으며, 아베수가 낮은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와 비구면 렌즈를 적용하여 수차를 보정하였다. 광각 설계로 인한 주변광량 저하 및 Distortion을 줄이기 위해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였고, 시제품 영상 Test를 통해 설계 Data와 비교하였다. We designed wide angle and ultra slim optical system of a vehicle front/rear view camera using a CodeV which is commercial design program. using this data, we made and analyzed the prototype. for commercial use, We selected the plastic material which injection molding is possible. In first time location, we arranged the negative glass lens for 170° wide angle and external environment durability. and we applied the plastic material of the low abbe number and aspherical lens and compensated aberration. in order to reduce the distortion and reduce the relative illumination decrease which is caused by wide angle design, we did an optimization design. and into prototype image test, we compared with the design data.

      • 차량용 워셔 펌프 모터 다이어프레임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안치호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차량 운전 중 안전과 관련된 구성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시야 확보와 운전 중 피로 예방에 있어 윈드쉴드(Wind shield)와 리어 윈도우(Rear window)의 청결 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이곳에 집중된 구성 부품은 많지만 크게 와이퍼시스템(Wiper system)과 워셔 시스템(Washer system)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 노즐(Nozzle) 분사를 통해 워셔액을 토출 분사시키는 워셔 시스템의 양방향 워셔 펌프 모터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부품인 다이어프레임(Diaphragm)의 밀착 불량에 의한 동시 분사가 이루어져 운전자가 차량 주행 중 신속한 시야확보를 필요시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부품 가공을 하여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 변수와 성능과의 상관성에 대하여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정적·동적 측면에서의 거동특성을 고찰하였으며 다이어프레임의 최적설계를 위한 최적화 방안을 확보하고 설계최적화와 성능 예측을 통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여 다이어프레임 설계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가까운 미래에는 새로운 차원의 윈드쉴드가 개발되어 와이퍼시스템이 점차 사라지게 되어 워셔 펌프 모터 시스템도 모습을 감추게 될 것으로 전망되어지고 있다.

      • 逆滴定法에 의한 콘크리트 强度의 早期推定에 관한 硏究 : 重量콘크리트에 대한 適用性을 中心으로

        안치호 淸州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 for the early estimation of concrete strength with the Reverse Neutralization Method of concrete by using normal and moderate-heat portland cement, natural and magnetite aggregate. Conclusively, the Reverse Neutralization amount,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have much influence by the kinds of cement and aggregate, so that quality factor with using the various cement and aggregate must by considered on practical use of concrete execution.

      • 관광호텔의 식음료서비스품질 향상에 관한 연구

        안치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호텔 식음료영업부문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호텔 식음료서비스품질의 영향요인을 도출하여 식음료서비스품질의 변수들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와의 상관관게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밝히고, 식음료서비스품질의 향상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국내ㆍ외 관련 전문서적, 선행연구논문, 학술지, 기타 각종간행물 및 기존의 통계자료들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특1 등급 호텔 식음료부문의 레스토랑, 바(Bar), 크럽,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식음료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충성도에 대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01년 1월 8일~2001년 1월 28일까지였고 설문지는 600부를 배포하고 그중 489부(81.5%)를 회수하여, 유효포본은 489매로 확정되었다. 설문지에 의한 조사내용으로는 식음료 서비스품질요인으로 관리적품질 요인, 인적서비스(서비스 제공능력)요인, 친절성 요인, 분위기요인 등이며, 결과변수로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연구에 필요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 10.0을 활용하여분석하였으며, 사용된 분석방법으로는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의 신뢰도 계수 측정방법을 사용하였고, 변수의 내용 타당성검정을 위해서는 요인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관성검정을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가설검정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모든변수들에 대하여는 빈도분석,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음료 서비스업에서 서비스품질의 중요성은 종사원의 인적 서비스 제공눙력, 분위기, 관리적 품질, 친절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관리적품질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대하여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조사되었고, 관리적 품질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리적품질 요인 중에서 종사원의 외모와 복장의 청결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식음료의 가격과 다양한 메뉴, 레스토랑의 규모와 시설 등의 순으로 고객만족과 충성도의 요인이 되며, 음식의 양과 식기 및 기물등은 고객만족에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인적서비스 품질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대하여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인적서비스품질 요인에서 종사원들의 활기있고 자신감있는 태도요인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숙련된서비스 제공, 특별한 서비스 제공과 만족한지의 여부확인, 추천 제안판매, 적시의 빠른서비스 등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절성 요인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대하여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친절성 요인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불편한지를 살피고 따듯한 배려, 종사원의 상냥한 말씨와 인사, 친절한 태도, 만족여부의 확인과 인사 등의 순으로 영향력이 확인되었으나 따듯한 배려 요인이 유의성이 확인되었고 나머지 요인들은 유의성이 낮게 분석되었다. 다섯째, 분위기 요인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대하여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분위기요인에서 안락하고 편안한 안정성있는 분위기와 고객과 종사원의 수준과 상황적 분위기, 환락성, 실내장식과 기물의 고급스러움 등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청결성과 조명과 음악 등은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고객만족과 충성도는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위기요인에 대하여 충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친절성, 서비스 제공능력 (인적서비스), 음식, 음식의 가격, 관리적 품질의 등의 모든 변수들이 고객충성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음료(주류),바(Bar),나이트크럽의 서비스품질 요인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종사원의 서비스 제공수준(인적서비스), 종사원의 친절함과 배려, 조명 및 음악 적 분위기 등의 순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식음료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종사원의 인적서비스 제공, 분위기, 관리적 품질, 친절성 등의 요인들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중요한 요인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류 판매 식음료업장(Bar,Club)에서는 종사원의 서비스 제공능력과 종사원의 친절함과 배려, 분위기 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객만족과 충성도를 위해서는 종사원의 인적서비스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서비스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과 관심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분위기를 서비스 품질로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볼 때, 식음료 시설공간의 실내장식 및 디자인 등의 이미지와 분위기 연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food and beverage service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other is demonstrative field survey. The latter was done through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answered by guests of restaurants, bars, clubs of the super-deluxe hotels. An empirical research was from January 8th through January 28th, 2001. and 600 questionaire copies Were distributed and 489 copies, which were 81.5% of the total, were retrieved and 489 valid samples were selected. The statistical process of the collected data was done by the Windows SPSS 10.0 version. The reliability was analysed by the reliability quotient of Cronbach's alpha, and the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the test of the parameter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for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hypothesi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beverage service business is found. The service quality in food and beverage service business dependson employees' service providing capacity, atmosphere, systemic Quality, and Kindness in order. Second, systemic quality has the mutual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m. Among the factors of the systemic quality the apperance and the neatness of the employees are important. And the price of food and beverage, the variety of menu and the size of the restaurant are also factor of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But the amount of the served food, the silverwere, and facilities are nat significantly influential. Thir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employees' service quality has the mutual relationship with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the attitudes such as vigor and confident manner of employees are major factors. And among other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mployees' service quality and loyalty are there skillled service, special service, satisfaction checking, recommending sale, and timely service. Fourth, the kindness factor has the mutual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in the factor that has a good effect are Warm concideration, kind expression and greeting, kind attitude, satisfaction checking. Fifth, atmosphere factor has the mutual relationship with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It shows that the effective factors include comfortable and stable atmosphere, the cultural level of the customers and the employees, situational atmosphere, the high-quality of interior design and facilities. However, cleanness, light, and music are not so significant. Sixth, this study shows that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oty are mutually related. Customer's satisfaction was analysed to have a significant effcet on loyalty. Among atmosphere factors, loyalty has high relationship, and other factors such as kindness, service Providing ability(employees' service), food, price of food, management quality show efficient effect on the customer loyalty. Seventh, the service quality factor at beverage(alcoholic) bars, nightclubs, has the mutual relationship with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Other factor such as employees' service level, their kindness and consideration, light, and musical atmosphere show influential.

      • 식물상 인자를 활용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정량적 가치평가에 대한 연구

        안치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금까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 등의 정성적으로 판단하였던 부분을 정량적으로 산출 가능한 식물상 인자를 중심으로 가치평가지수를 산출하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및 관리에 객관화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분석체계는 총 3단계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첫째, 수년간 직접 조사한 9개소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 인자를 정리하였다. 둘째, 자료를 분석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유형별 가중치를 설정하여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셋째, 유형별로 평가된 가치평가지수(EI) 결과를 토대로 타당성 검토 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의 점수와 등급을 도출하였다. 가치평가 결과, 특산식물가치평가지수(EEI)의 평균은 0.115이며, 일반지역 평균은 0.134, DMZ일원 평균은 0.106으로 분석되었다. 희귀식물가치평가지수(REI)의 평균은 0.340이며, 일반지역 평균은 0.346, DMZ일원은 0.336으로 분석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징식물종 가치평가지수(SEI)의 평균은 0.272이며, 일반지역 평균은 0.307, DMZ일원은 0.255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인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가치평가지수(FEI)의 평균은 0.242이며, 일반지역 평균은 0.262, DMZ일원은 0.233으로 분석되었으며, 0.262보다 높으면 A등급(최우수, 희귀식물자생지), 0.261~0.233은 B등급(우수, 유용식물자생지), 0.232~0.210 C등급(보통, 자연생태계보전지역), 0.210이하는 D등급(미흡, 보류지역)으로 산출하였다. 9개 대상지 중 A등급은 점봉산, 계방산, 대성산이며, B등급은 덕항산, 한묵령, C등급은 주파령, 천불산, 백석산, 계웅산으로 나타났다. 현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많은 연구가 된 기존 식생리스트를 활용한다면, 기 지정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객관화․정량화된 지정기준 및 잠재적 보호구역 가치를 도출하는데 중요한 평가인자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objectified guidelines for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by calculating the evaluation index based on flora factors that can be quantitatively calculated from the qulitative judgment such as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The analysis system of the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was to summarize flora factors in nin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that have directly investigated over the years. Second, the data was classified according to analysis type and an analysis process was performed by setting weights for each type.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ndex(EI) evaluated by type, the score and grade for designation as a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were derived after a feasibility review.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average of the Endemic plant Evaluation Index(EEI) was 0.115, the average of the general area was 0.134, and the average of the DMZ area was 0.106. The average of the Rare plant Evaluation Index(REI) was 0.340, the average of the general area was 0.346, the average of the DMZ area was 0.336. The average of the Specific plants by phytogeography Evaluation Index(SEI) was 0.272, the average of the general area was 0.307, the average of the DMZ area was 0.255. The average of the overall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Evaluation Index(FEI) was 0.242, the average for the general area was 0.262, and the DMZ area was 0.233. If it is higher than 0.262, It is grade A(best, rare plant habitat), and if it is between 0.261 and 0.233, it is grade B(excellent, useful plant habitat), and if it is between 0.232 and 0.210, it is grade C(normal,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rea), and lower than 0.210 was calculated as D grade(inadequate, suspension area). Among the 9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grade A was Mt. Jeombongsan, Mt. Gyebangsan, and Mt. Daeseongsan, grade B was Mt. Deokhangsan and Mt. Hanmukryeong, grade C was Mt. Juparyeong, Mt. Cheonbulsan, Mt. Baekseoksan, and Mt. Gyewungsan. If the existing vegetation list, which has been studied a lot in the current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is used, it will be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in deriving the objectification and quantified designation criteria and potential reserve values of the pre-designated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