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이용한 지하철 네트워크의 중심성 지표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안치원 서울市立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이용하여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의 중심성 지표를 분석한 연구이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 SNA)은 한 개체와 집단,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계량적으로 규명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 네트워크 이론에서 이용하는 분석 지표를 이용하여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해보고 서울시 철도 정책을 수립하는데 사용해보고자 한다. 네트워크는 링크에 가중치가 적용된 가중치 네트워크(Weighted Network)와 가중치가 없는 네트워크(Unweighted Network)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중치가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를 분석한다. 네트워크 가중치는 지하철의 특성을 반영하여 스마트카드 기반 승객의 일 평균 통행량을 이용하여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를 분석하였다. 중심성 지표란 네트워크에서 각 노드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는 계량적인 지표로서 분석 방법에 따라 다양한 지표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의 지표를 분석한다. 분석된 3가지 중심성 지표를 이용하여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의 지역적 중심, 철도 급행화 노선 검토, 장래 철도 네트워크의 진화 예측을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의 중심성 지표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교통정책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사회 네트워크 이론과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하철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새롭고 다양한 교통정책을 수립하는데 이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we can obtain big amounts of smart card data, which most of travelers using public transport have been used for their daily travel activities. These data could be viewed in microscopic as well as macroscopic leve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shapes and characteristics. We have analyzed how smart card based big data analytics can be used to diagnose and retrofit metro networks in Seoul Metropolitan Area. Unweighted metro networks are transformed to demand based and travel time based weighted networks in current and planned expansion lines of metro networks in order to identify weak points in terms of efficiency and equity. These networks have been analyzed using some centrality indices such as degree, betweenness, eigenvalue to measure an effectiveness of retrofits. In particular, long tailed asymmetry phenomena in daily travel activity movements have been analyzed to identify hub stations and corridor lines for faster movements. On the other hand, metro catchment areas are analysed as a symmetry phenomenon. In this context, we attempt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degree of asymmetry of transport weighted networks in transport reduced social well beings. The higher the degree of asymmetry in movements is the more concentrated and congested in travel conditions, which could be interpreted and connected as a transport induced social deprival index.

      • 외국인 투자자 주식투자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안치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위기 이후에 주식시장이 외국인투자자에게 개방됨에 따라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의 시가총액 보유비중이 2000년 말을 기준으로 30%가 넘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미치는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영향력은 외국인의 주식투자자금이 증가함에 따라 주식시장의 확대, 시장의 교란우려, 주가차별화 현상, 선진투자기법의 정착, 국내기업의 경영관행 변화 등으로 나타나며, 국내시장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인투자자의 매수금액에 초점을 맞추는 증시 뉴스를 자주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외국인투자자의 주식투자패턴에 대하여 분석하고, 아울러 국내 주식시장에서 주가변동성을 유발시킬 수 있는 시장 영향력이 큰 세력들(기관, 개인투자자)에 대한 투자수요 결정요인에 대해서도 각 모형별로 분석하여 외국인투자자에 대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투자패턴의 차이점에 대하여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경제상황에 따라 투자패턴의 변화를 세밀하게 분석하고자 경제상황을 반영하는 경제변수를 모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모형별 종속변수는 매수비율을 지수화하였고, 모형에서 구분된 설명변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모형Ⅰ는 기본모형으로서 국내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경제변수를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내생 변수로서 국내 주식시장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주가지수, 국제분산투자시 추가되 는 위험과 국내 수출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환율, 주식을 평가, 기업의 차입비용이고, 대체투자수단인 이자율, 곧 다가올 국내 경제상황을 예측하는 경기종합 선행지수, 국내 수출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엔달러환율을 적용하였고, 증권시장의 부양의지가 담긴 증시안정화 대책, 외국인투자 한도확대,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살피기 위해 기업의 실적보고를 더미변수로서 추가로 모형에 포함시켰다. 두 번째 모형Ⅱ는 해외모형으로서 우리나라 경제가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므로 미국의 경제를 반영하는 다우지수와 연방기금금리를 모형에 적용하였고, 아시아 시장을 주도하며 분산투자자들에게 국내시장의 대체시장으로 작용하는 일본의 동증주가 지수를 포함하였다. 세 번째로 모형Ⅲ는 시차모형으로 환율의 적용에서 J-Curve 효과처럼, 경제지표의 변화가 경제에 반영되는 시점에서 투자수요 패턴을 분석하고자 기본모형에서 내생변수의 시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네 번째 모형Ⅳ는 경제위기 이후에 경제적 구조변화가 투자자들의 투자패턴에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 구조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Chow test로 검정하였고, 투자패턴의 변화를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가변수 검정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외국인투자자의 경우 국내경제에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여 시장상황을 반영하는 주가지수를 투자지표로서 활용하고, 투자한도 확대에 따라 큰 폭으로 투자수요를 증가시키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국내시장에 대하여 낙관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의외의 결과로 분산투자에 추가되는 환율위험은 투자수요 결정에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비유의적인 검정결과가 나타났고, 이는 경제위기 전후를 제외한 나머지 기간동안에 환율이 비교적 안정되어 환위험이 제거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기본모형의 분석 결과는 경제원리에 부합되는 안정적인 투자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해외경제가 포함된 모형은 동조현상을 보이는 일본의 주가지수에만 영향을 받아 투자패턴이 변화될 뿐 미국경제는 투자수요 결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지역별로 주식투자자금을 할당하여 투자함으로 그 지역을 반영하는 경제여건에 영향을 받을 뿐 해외경제 상황에는 뚜렷한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할당된 자금은 해당국가의 투자자금과 동일한 성격을 갖는 것으로 분석된다. 경제변수의 시차모형의 경우, 기본모형에서 당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 했던 환율과 엔달러환율의 변화가 경제에 반영되는 시점에서 투자수요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이자율 시차변수는 기본모형의 결과와 다른 투자패턴을 보이는데, 이는 이자율변동에 따라 기대되는 효과와 경제에 반영된 효과가 상반되어 나타난 결과라 생각된다. 경제위기 이후 경제구조 변화에 따라 환율, 경기종합 선행지수, 엔달러환율과 같은 경제지표가 전기에 비해 투자지표로서 활용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투자패턴의 변화는 사회구조 변화가 아닌 분석기간과 경제지표의 단순한 차이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Chow test에서 나타났으며, 가변수 검정에서는 이자율의 회귀계수만 유의적으로 변화될 뿐 경제위기 전기와 후기의 결과가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기관투자자의 경우 경기흐름을 반영하는 기본적인 거시경제지표에 근거한 안정된 투자패턴 보다는 증시안정화대책, 투자한도확대, 기업의 실적보고 등 단기적 정책변수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투자패턴이 나타났고, 정부의 증시부양 의지는 기관투자자에게만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난 것으로 투자규모가 큰 국내투자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해외경제가 포함된 모형의 결과는 외국인투자자와 동일하게 일본 주가지수의 변화를 투자수요 결정에 반영시키며, 미국경제에 대한 높은 의존 도를 보이는 우리나라에서 미국경제 변수는 투자수요 결정에 비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경제지표 시차모형의 결과에서 전기의 매수비율에만 영향을 받고, 나머지 시차변수에는 투자패턴이 영향을 받지 않아 기본모형의 분석결과처럼 단기적정책변화에 투자수요가 크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제위기 이후에 투자패턴도 분석기간과 경제지표의 변화에 의한 회귀계수의 단순한 차이만 보일 뿐 경제위기로 변화된 사회구조가 투자수요 함수의 변화를 유발시키지 못 한 결과로 나타났다. 개인투자자의 경우 기본모형에서 이자율과 엔달러환율의 회귀계수가 투자수요 결정에 유의적으로 나타났지만,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와 상반된 투자패턴을 보이고 있고 경제원리에 의한 안정된 투자패턴이 아니라 고수익을 위한 위험한 투자패턴을 실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회귀계수값이 크지 않아 그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결과는 개인투자자가 소규모자금의 무수히 많은 투자자로 구성되어 시장에서 어떤 특징을 지니고 나타날 정도로 조직적인 투자패턴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해외모형 결과에서는 기관투자자와 동일하게 일본의 주가지수에만 영향을 받고 미국의 경제상황에 동조하는 투자패턴을 보이고 있지 않았다. 경제지표 변동이 반영된 경제상황을 고려하여 투자하지 않았으며, 경제위기 이후에 주가지수, 환율, 경기종합 선행지수 등 경제흐름에 맞게 투자기법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그 영향력이 여전히 미미하고 경제위기로 인해 변화된 사회구조는 투자패턴을 변화시키지 못 하였다. 본 연구는 투자주체별 주식투자 수요함수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경제모형별로 나누어 세밀하게 분석하였고, 모형별 회귀분석 결과도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R² 값이 실증분석에서 신뢰할 만한 수준이 나타났으므로 의미가 있는 투자패턴 분석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개인투자자의 경우는 대체로 신뢰하지 못 하는 수준의 R² 값이 나타나서 소규모 자금의 무수히 많은 투자자로 이루어진 개인투자자의 통합된 투자패턴을 살펴보는 데, 그 의미를 둘 수 있었다. 다만, 분석모형 설정에 있어 종속변수인 매수비율을 지수화하는 과정에서 경제상황의 변화에 대한 매수와 매도가 동시에 변화되어 지수가 형성되므로 거래규모의 변동성에 따라 투자패턴에 미치는 영향력이 분석결과에 반영되지 못한 점과 월별자료를 이용한 분석모형에서 동기간의 영향력이 반영된 결과인지에 대하여 의문점을 제시해보며 앞으로 논의될 연구에서 보완점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경제상황을 분류한 모형별로 투자패턴을 분석한 것이 이 논문의 특징이며 앞으로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외국인의 투자패턴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stock market opened completely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e influence of foreign investors on the stock market has grown extremely important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factors of foreign investors and to compare these with those of domestic investors in Korean stock market. Econometrics studies of the foreign investors' demand for stocks were made for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economy model, the foreign economy model, the time-lag model, and the structural change model of a demand for investments after the economic cri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found that rational foreign investors showing stable demand patterns, are not likely to react to the short-run stock index market supporting policies and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of foreign economies. Besides, it is found that the investment demand is projected upon the stock market to the extent that economic indices reflect in the economy. It was shown that the economic structure changed after the economic crisis had little impact on the foreign investors' demand. For domestic investors, institutional investors inclined towards stable investment patterns, but the effects on the stock market were small. They we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short-run stock index market supporting policies. In individual investors' case, they show a risk-loving tendency in investments, expecting high rates of returns. It is not possible to generalize the investment patterns due to the tiny effect of individual investors on the stock market and the facts that individual investors are composed of many investors with small fund. The economic structure changed after the economic crisis did not affect the investors' demand. Regardless of some limitation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that investors' demand factors of stocks were analyzed under economic conditions. This study c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further studies on the foreign investors' demand function of stocks.

      • 스마트 반지 기반의 심폐소생술 피드백 시스템의 개발 및 유용성 검증

        안치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심정지 환자는 주로 병원 외에서 발생을 하며,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보건의료인보다는 일반인이 처음 상황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 심정지 후 무산소 기간이 4-5분 이상 경과하면 신경학적 손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성공적인 환자의 소생을 위해서 목격자는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제공하여야 한다. 국제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및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의 권고에 따라 성인 환자에게 고품질의 흉부 압박을 제공하기 위해서 분당 100-120회의 압박 속도와 5-6cm 의 압박 깊이로 심폐소생술 시행이 필요하다. 하지만 다수의 일반인은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다 해도 예고 없이 발생한 교육, 훈련 혹은 실제의 심정지 상황에서 정확한 깊이와 속도의 심폐소생술을 진행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다수의 흉부 압박 피드백 장비가 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 중 스마트 기기들을 이용한 피드백 장비는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도 쉽게 접할 수 있어 훈련, 교육 및 실제 사용에 적용할 수 있다. 이전 연구를 통해 심폐소생술 피드백 장비로써 스마트폰 및 스마트와치의 피드백 시스템의 정확도 및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 있으나, 기존 장비 사용에 있어 피드백 화면의 시야의 제한과 착용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장비를 소형화시켜 반지모양의 피드백 장비를 개발 하였고, 정확성 및 임상적 유용성 검증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흉부 압박 피드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초소형연산장치 (Micro Controller Unit; MCU), 관성측정장치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및 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LED) 를 소형화화여 반지모양의 심폐소생술 피드백 장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3축의 가속도센서를 가지고 있는 IMU를 이용하여 압박 깊이를 추정할 수 있는 본 개발 장비에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각도 및 거리에 대한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정확도 검증을 위해 거리별 (20-30, 30-40, 40-50, 50-60 mm), 상황별 (반지 0도 – 흉부표면 0도, 반지 30도 – 흉부표면 0도, 반지 30도 – 흉부표면 30도) 다양한 조건에서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정확도의 지표는 ‘오차’로 설정하였고 이는 거리센서인 선형 가변 변위 변환기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를 통해 측정된 기준값과 본 개발 장비에서 추정한 깊이값이 차이를 절대값으로 표현한 수치이다. 임상적 유용성 검증과 정확도 검증을 위해 마네킹에서 시뮬레이션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로 성인의 심정지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유용성 검증을 하였으며, 무작위 교차설계 (randomized crossover study) 총 20명의 실험 참가자를 무작위로 대조군 및 실험군으로 배정하여 대조군은 피드백 장비의 도움 없이 흉부 압박을 3분간 진행하였고, 실험군은 피드백 장비를 사용하면서 흉부 압박을 3분간 진행하였다. 결과값은 평균 흉부 압박 깊이로 설정하였다. 추가로 임상적 유용성 검증 실험하고 사용성 평가 도구인 Systemic Usability Scale (SUS) 설문을 통해 제품의 사용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성인과, 영아의 두 손가락 흉부 압박법 (two-finger technique), 두 엄지 흉부 압박법 (two-thumb encircling technique) 의 시뮬레이션 실험을 시행하였다. 스마트 반지와 스마트 와치를 동시에 착용한 상태로 마네킹에서 흉부 압박을 시행하며, 정확도 확인을 위해 스마트 반지와 스마트 와치, 그리고 마네킹의 LVDT 에서의 측정되는 값을 동시에 비교 분석 하였다. MCU와 IMU 및 LED를 삽입하여 1.5cm x 2.5cm 크기의 심폐소생술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비의 프로토 타입을 개발하였다. 정확도 검증을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검증을 해 본 결과, 오차의 평균은 50-60 mm 거리에서 1.99(1.10) mm 의 결과값이 측정되었다. (20-30 mm : 2.41(0.95) mm, 30-40 mm : 1.99(1.12) mm, 40-50 mm : 1.92(1.12) mm) 흉부표면이 편평하고 기기를 30도로 기울인 상황에서는 2.19(0.88) mm 의 결과값이 측정되었다.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해 마네킹 실험을 진행하였을 때 피드백을 받는 그룹 (n=20)과 피드백을 받지 않은 그룹 (n=20)에서 압박 깊이는 50.5 (6.1) mm, 44.4 (9.4) mm 였고, 압박 깊이의 정확도는 62.7 (38.7) %, 35.9 (39.2) % 의 결과값을 보였다 (p < 0.001, p < 0.001). 흉부압박 2분을 4구간으로 나누어 압박 깊이와 압박 깊이의 정확도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였을 때 압박 깊이에서 실험군은 시간 경과에 따라 약간의 압박 깊이 저하를 보이나, 비교적 권고수준의 압박 깊이를 보이고 있었다. (52.0 mm – 50.7 mm – 50.0mm – 49.8 mm) 흉부 압박의 정확도에서 대조군은 사분위 시간이 경과할수록 수치가 낮아졌고, (44.0 % – 38.2 % – 33.3 % – 28.2 %) 실험군은 75.8 %로 시작하여 2분 종료 시까지 60% 이상을 유지하였다 (75.8 % - 68.0 % - 64.7 % - 64.0 %). 스마트 반지와 스마트 와치를 동시에 착용한 후 마네킹의 LVDT와의 오차를 비교한 정확도 검증 실험에서는 성인 심정지시와 영아에서 두 엄지 흉부 압박법시 스마트 반지의 압박 깊이의 측정값은 마네킹의 LVDT 측정값과 Bland-Altman Plot 에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용성 평가를 위한 SUS 설문에서는 83.9 (8.7) 점으로 “acceptable”, “excellent”로 평가되었다. 개발된 스마트 반지형태의 피드백 장비는 적절한 정도의 정확도를 보이며, 흉부 압박 시에 권고되는 압박 깊이에 대한 피드백의 정보를 제공하여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압박시간이 경과할수록 정확도가 감소할 수 있는데, 본 장비를 이용하여 일정하게 정확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영아의 심정지 상황에서 두 엄지 흉부 압박법을 시행할 경우 스마트 반지는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줄 수 있는 장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근대적 경건(Devotio Moderna)과 칼빈의 경건(Pieats)의 비교 고찰

        안치원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회의 부패와 타락 스콜라 신학의 대두로 인한 영적인 메마름으로 인하여 그 시대는 새로운 영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당시의 영적인 상황 가운에 등장한 것이 흐로테로 출발한 근대적 경건(Devotio Moderna)운동이다. 근대적 경건 주의자들은 무미하고 사변적인 스콜라 신학에 대한 반발로 반 신학적 이며 반 사색적인 경건을 추구한다. 교회와 성례를 통한 제도적 은혜를 떠나 주관적이며 개인적인 신과의 합일을 통한 영성을 추구한다. 이 운동의 중심에 「그리스도를 본 받아」의 저자인 토마스 아 켐피스가 있다. 토마스는 신학이 논쟁화 되는 것을 반대한다. 신학의 마땅한 역할은 하나님을 사랑하며 죄를 회개하고 변화된 삶으로 인도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토마스는 자신의 책『그리스도를 본받아』에서 기독교 신앙에 대한 강한반 사색적인 접근 방식을 지향한다. 지적인 비약의 공상에 빠지기보다는 그리스도에게 순종해야 함을 강조하고 참 된 경건에 이르기 위하여 자기 부인과 자기포기로 십자가의 길을 걸어가야 한다고 말한다. 토마스에게 있어서 영적 생활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에 관한 지식이며, 그리스도를 본 받도록 이끄는 지식이다. 그리스도에 의해 깨우쳐진 인간 자신에 대한 지식은 인간의 본 바탕이 순례자이며, 죄인이라는 인식이다. 이렇게 자신을 인식하고 자기포기와 자기 부인을 한 사람은 이 땅에서 유랑하며 순례하는 존재임을 시인하는 것이다. 토마스 아 켐피스의 영성은 본질적으로 금욕적이다. 죄 된 인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의 존재인 인간의 실존을 깨닫고 하나님을 의존하라는 것이다. 이것은 자기를 부인하는 것이며 아버지의 뜻에 따르는 것이며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임을 주장한다. 결국 토마스가 열망했던 경건의 내용은 주관적이며, 사변적인 신학을 반대하며, 금욕과 성령의 내적 생활을 통해 경건에 이르고자 하는데 있다. 그러나 근대적 경건주의 운동은 대부분 다른 영성의 경향과 운동들에 의해 동화되었고 16세기 프랑스 인문주의에 경건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6세기 프랑스 인문주의의 자들로는 제르송, 페트라르카, 에라스무스, 에따블이 있다. 이들이 추구한 사상과 경건의 내용은 반 사색적 반신학적인 영성을 추구하는 것을 옳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사랑의 신학, 능동적인 목회의 신학을 추구하는 가운데 경건을 추구하였다. 이들은 또한 근대적 경건주의자들과 달리 사변적인 신학은 원치 않되 생명력 있는 신학을 통하여 신학과 신앙의 간격을 좁히려고 노력하였고 신학과 신앙의 조화를 통하여 참 된 경건에 이르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한계는 전적인 하나님의 은총을 의지하지 않고 인간의 노력을 통한 도덕적 갱신을 주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건의 흐름 가운데 칼빈은 근대적 경건과 16세기 프랑스 인문주의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칼빈이 개인의 경건을 철저히 강조하는 것이나, 신학과 신앙에 있어서 성경을 강조한 것, 그리고 성화를 위한 자기 부인 등은 ‘근대적 경건’ 의 영향으로 보인다. 칼빈이 경건을 강조한 이유나 경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유도 “ 근대적 경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본다. 또한 프랑스 인문주의자들의 영성은 프랑스 개혁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칼빈 역시 그러한 분위기 가운데서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페트라르카의 자기를 아는 지식이 하나님에 대한 질문을 가지게 되며 하나님을 추구하도록 이끈다는 점에서 인간에게 있어서 사실상 가치 있는 지식은 자기 자신과 자기 운명에 대해 아는 지식이라는 것, 제르송이 성경을 신학의 기초로 삼는 것, 에라스무스의 세상에 대한 경멸, 현세의 임무, 신앙의 개념, 성령의 내적 삶을 강조한 것, 기독교의 본질이 창조주에 대한 개인의 태도에 있고 이것이 ‘경건’의 개념을 형성한다는 것, 개인주의 신학을 표방한 것, 그리스도 중심적 경건, 신학과 영성을 결합시킨 것들은 칼빈이 프랑스 인문주의자들에게서 고스란히 물려받은 것이라 볼 수 있겠다. 이렇듯 칼빈의 경건은 지난 역사의 연속성 가운데 있다. 그러나 전적으로 그들의 신앙과 사상을 수용하여 그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경건을 따르고 있지는 않다. 칼빈이 비록 그들에게 영향을 받은 부분은 있지만 칼빈은 자신만의 독특한 경건을 추구하고 있다. 칼빈은 경건을 추구하되, 신학과 신앙을 조화시키려 하였고 신학과 신앙을 조화하여 힘찬 경건을 이루고자 하였다. 칼빈은 지난 역사 속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흘렀던 수도원적 영성을 과감하게 비판하고 분리주의를 배격하였다. 분리주의적 경건을 추구하는 것은 오히려 해가 된다는 것이다. 반 사색적이고, 금욕적인 경건도 배격한다. 칼빈은 세상을 증오하고 경멸하되 그러나 그것이 곧 세상으로 부터 떠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축복된 세상에 살 되 세상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세상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들은 영원을 사모하며 이 땅이 아닌 영원을 소망하게 되며 영원에 소망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을 부인하고 자신의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른 다는 것이다. 자신을 부인하는 것은 자신을 믿지 않는 것이며 자신을 신뢰하지 않는 것이며 자신의 십자가를 진다는 것은 자신에게 처한 모든 고난과 고통을 감내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전 삶을 이웃을 위해 내어 주는 삶을 의미한다. 이것이 혼란한 시대 속에서 하나님 앞에서의 거룩한 삶을 힘썼던 칼빈의 삶의 모습이다. 우리 시대도 이러한 경건이 요구된다. 신비주의적 영성, 사색적인 영성, 금욕주의적 영성 같은 극단적이고 균형 잡히지 못한 영성이 많은 사람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는 시대 가운에 우리는 개혁주의적 경건의 토대위에서 우리의 경건을 힘써야 하겠다. 참 된 기독교의 경건이 무엇인가? 참 된 기독교의 경건은 하나님의 영을 받고 이 땅에서 활동한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직시하고 그리스도의 삶을 따르는 것이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그러했던 것처럼 자신을 부인하고 자신의 십자가를 지고 주를 따르는 삶이다. 세상을 떠나 수도사적인 영성을 추구하며 금욕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세상안에서 수도사적인 영성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삶이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이다.

      • Super-SBM과 Tobit Regression을 이용한 세계철도산업 효율성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안치원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세계철도산업은 유럽연합의 주도하에 개방과 경쟁체제를 목표로 구조개혁을 추진해 오고 있으며, 환경문제 부각 및 경쟁력 강화를 통한 철도중심의 교통체계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철도산업의 경우 2005년 상하분리가 시행된 이후 10년을 맞이한 상황에서 적자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코레일 자회사 설립을 통한 민영화 논쟁, 수서발 KTX 운영회사 설립과 같은 경쟁체제 도입, 시베리아횡단철도 연결을 통한 유럽진출 등 여러 가지 개혁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철도의 상대적인 효율성을 분석하고 비효율성 원인을 찾아내어 효율성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한국철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Non oriented slack-based Super SBM을 이용하여 한국철도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였으며, 2차로 Tobit Regression을 사용하여 효율성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한국을 포함한 세계 28개국의 철도회사를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조사하였으며 투입변수로는 영업선로길이, 직원 수, 차량 수를 산출변수로는 연인-km, 연톤-km를 사용하였다. 또한 결정요인 분석을 위해 효율성 측정값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투입변수, 전철화율, 복선화율, 상하분리, 여객화물분리, 여객 및 화물 경쟁체제, 1인당 GDP, 인구밀도, 국토규모, 2008년 세계금융위기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중국, 룩셈부르크, 일본, 러시아, 인도, 캐나다, 호주, 한국 순으로 효율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6년 평균 0.5026으로 나타나 기존연구결과와 달리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철도산업의 비효율성 원인은 투입된 차량의 수가 너무 많으며, 화물수송량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세계철도산업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설과 운영의 분리인 상하분리(Vertical)는 철도산업 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2. 여객과 화물의 분리인 수평분리(Horizontal)는 철도산업 효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3. 여객 및 화물분야 경쟁 체제(P and F Competition)는 철도산업 효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4. 철도전철화는 철도산업 효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5. 철도복선화는 철도산업 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6년간의 짧은 기간에 대한 결론이며 철도복선화의 장점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는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됨.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철도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철도산업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하분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상하통합에 대한 다양한 의견수렴 및 상하분리를 시행한 국가들의 철저한 분석을 시행하여 상하통합을 재 논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선로시설은 국가가 소유하고 운영은 경쟁체제를 통해 여객과 화물을 분리하는 방식을 도입하고, 우리나라 철도산업의 비효율성으로 분석된 화물수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들을 모색하여 실행한다. 셋째, 전철화 및 복선화를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에너지 절감, 수송능력 증대를 통해 철도운영 효율성을 개선한다. 본 연구는 28개국의 철도산업만 조사하였지만 더 많은 국가조사, 다양한 투입산출자료의 확보 및 더 많은 독립변수들을 활용한다면 더 실증적이고 객관화된 정책적 제안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An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Korean railway freight station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Assurance Region(DEA-AR)

        안치원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Railway corporation made a big stroke in its history from the starting point of changing to a public corporation in 2005 and has been taking every possible endeavor for the management improvement. This research analyzed a trend and stability of the efficiency about Korea 26 railway container handling goods station from 2002 years to 2007 years based on time of after being changed to a public corporation in 2005 in order to look into the trend of efficiency. The DEA- AR (Data Envelopment Analysis-Assurance Region) and the DEA-Window widely used as the estimation techniques of the efficiency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fficiency was a little bit enhanced in 2003 years in comparison with 2002 years and then, it by continuously decreased the year 2006 and again rises in 2007 years. Efficiency of railway corporation was 0.6345 but after being changed to a public corporation, it showed the trend of better efficiency after some transition period has passed. We could know that the chronological efficiency of Sapgyo station was most stable and that of SongJeong-Ri station was most uns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