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도서관 열람석 규모 변화에 따른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손다희 광주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에 이르러 우리나라 국민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여가 및 문화생활, 다양한 교육시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지식 습득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정책적으로 공공도서관 및 작은도서관 진흥법 등과 같은 움직임과 사회적 분위기로 공중의 생활권역에 많은 도서관이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양적으로 많은 성장을 하고 있지만 이는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고 급하게 도서관 수가 증가함에 따라 열람석 규모, 크기, 방문객 특성에 따른 실내 디자인 등 방문객을 위한 열람 환경 등의 질적인 부분에서는 많이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국내 도서관의 건립 형태와 유형을 분류하여 분석하고, 광주 전남 지역 도서관의 열람 환경 분석과 해당 도서관 관계자 설문조사를 통해 추후 건립 될 광주 전남 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계획 및 실내 구성 방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장.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한다. 제 2장.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 도서관의 정책 변화와 현대사회의 인식 변화 등을 고찰하고, 도서관을 각 시도별로 세분화하여 개관년도에 따른 지역별 변화양상을 분석한다. 제 3장. 광주 전남 지역 도서관의 사례분석을 통해 열람실 평면구성과 시지각 구조를 이용한 VGA, Axial Map Analysis를 이용하여 정량적, 지역 특성으로서 사용되는 설문조사를 정성적으로 함께 종합하여 분석한다. 제 4장. 도시 구분에 따라 열람실 유형별 배치, 시선연결도 교차형태, 설문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파악한다. 제 5장. 위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 레위기 14:1-9에 대한 주석적 연구 : -'정결 의식'을 중심으로-

        손다희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구약성서에서 가장 권위 있는 책인 오경의 가장 중심에 위치한 레위기의 중요성을 살피고, 레위기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내용인 ‘거룩’을 구체적으로 일상생활에서 규범화하는 방법이 ‘정결 의식’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보통 ‘정결 의식’을 접할 경우, 유대인들의 규제일 뿐 기독교와는 그렇게 많은 관련이 없다고 여겨왔으며, 이러한 피상적인 판단으로 인해 ‘정결 의식’에 대한 자세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정결 의식’의 해석에서 문자적으로나 상징적으로만 해석함으로써, ‘정결 의식’에 대한 다양한 시각 차이로 오해를 불러 일으킬만한 여지가 있었다. 더욱이 레위기 11-15장의 ‘정결 의식’은 제사 예식을 담당하는 공식 직무 수행을 위한 특수 성직 계층으로서의 제사장들만의 규정집으로만 여길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결 의식’을 단순한 유대교의 종교 행위로만 보고, 레위기의 ‘정결 의식’이 불필요하거나 현시대에 적용할 수 없는 것으로 오인하여 그리스도인에게 다소 거부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 논문을 통해 ‘정결 의식’ 가운데에서도 가장 자세하게 제시된 레위기 14장 1-9절을 주석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창조신학과 시내 산 단락의 거대한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본문이 제시하는 ‘정결 의식’이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레위기 14장 1-9절은 악성 피부병(‘차라아트’)에 걸린 환자가 치료된 후 야웨의 선언과 함께 정결 의식 절차를 구체적으로 진행한다. 본문을 주석하는 데 먼저 맛소라 본문을 우리말로 옮겨 설명했으며, 각 절에서 중요한 단어들을 선택하여 각 단어의 신학적 주제를 언급하므로 효과적인 용어의 해석을 제시한다. 그리고 오경의 구조에서 중심에 위치한 레위기의 강조점을 연결하여 레위기 전체의 구조 안에서 본문이 제시하는 짜임새를 통해 본문이 집중하고 있는 주제를 도출한다. 레위기는 창세기와 신명기, 출애굽기와 민수기에 이중으로 둘러싸여 각각 이스라엘 제도 사이에서 하나님의 현존하심을 일상생활로 구체화 시키는 강조점을 가진다. 이러한 레위기의 구조 안에서도 가장 중심에 위치한 레위기 16장에서 대속죄일 의식이 나온다. 이 16장을 향해 가는 레위기 13-14장이 본문에서 제시한 악성 피부병(‘차라아트’)으로 고통 받는 한 사람의 정결 의식에 집중하고 있는 인클루지오(inclusio) 구조를 가진다. 또한 그 구조 안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레위기 14장 1-9절은 그 중심에 ‘새의 피’의 정화 기능을 증명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지니는 본문은 다음과 같은 신학적인 특징을 갖는다. 첫째, 자칫 악성 피부병(차라아트)과 죄를 단편적으로 연결하여 불분명한 질병의 원인을 포괄적으로 죄라고 여기는 것에 대한 상직적 해석을 비판한다. 둘째, 제사장의 역할을 부정과 정결의 사이에서 고통 받는 사람을 통제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예방적인 차원에서 부정에 이르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헌신적인 섬김의 자리에 있음을 밝힌다. 셋째, 인간의 몸 또한 정결 의식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넷째, 정결 의식을 통해 홀로 됨에서 공동체로 회복할 수 있다. 다섯째, 본문이 제시하는 부정은 하나님의 소유권을 침범한 부정일 가능성이 있다. 여섯째, 정결 의식은 원시종교의 애매한 거룩과 부정의 구분과는 차별화된 명확한 경계 구분으로 단계적인 거룩의 제시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일곱째, 신약성서에도 정결 의식은 폐하여 버려지지 않고, 철저하게 실천된다. 본문은 레위기의 정결 의식을 통해 거룩에 대한 구체적인 규범을 일상생활에 제시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낸다. ‘악성 피부병’(‘차라아트’)에서 치료된 사람의 부정한 고통을 두고 보지만 않으시고, 공동체로 회복을 허락하시는 창조자이신 하나님의 다스림에는 인간이 이해 할 수 있도록 거룩에 관한 실천사항을 쉽게 제시하신 하나님의 성품이 숨겨져 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이러한 하나님의 성품을 이해하고, 정결 의식에 대한 참된 이해를 통해 성숙한 성품과 성숙한 신학을 추구해야 한다. 제시어: 정결 의식, 악성 피부병(차라아트), 레위기 14장 1-9절 This paper confirms the importance of the Leviticus, the most central structure in the Pentateuch, the most authoritative book in the Old Testament explain that the way to standardize 'holines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tent in Leviticus, in daily life is 'Ritual of Purification'. In general, when it comes to the "Ritual of Purification," it is regarded by the Jews as a regulation only, not so much related to Christianity, and this superficial judgment did not lead to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Ritual of Purification. There was room for misinterpretation in various interpretations of 'Ritual of Purification' by interpretation only literally or symbolically in the interpretation of 'Ritual of Purification'. Moreover, the 'Ritual of Purification' in Leviticus 11-15 is only a part of the priesthood as a set of rules for the priesthood, which is a special order for the official duties of the priesthood ceremony. For this reason, there is a tendency to deny Christians the "Ritual of Purification" as a religious act of simple Judaism, misrepresenting that Leviticus's "Ritual of Purification" is unnecessary or not applicable to the present. However, in this paper, by carrying out the annotative research of Leviticus 14: 1-9, which is described in detail in "Ritual of Purification", we have presented to the center of the huge story of the Sinai creation department in the text " Ritual of Purification"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Leviticus 14: 1-9 concludes with a cleansing procedure with YHWH's declaration after the patient has been treated for a malignant skin disease (צרעת). In order to annotate the text, first transfer the MT to Korean, explain it, select important words in each section, and present an interpretation of an effective term to describe the theological subject of each word . And connect the emphasis of the Leviticus notation in the center part with the structure of the Pentateuch, and derive the topics where the main body is concentrated through the quality presented in the text in the whole Leviticus structure. Leviticus has double emphasis on Genesis and Deuteronomy, Exodus and Numbers Numbers, each emphasizing emphasis on the existence of God in the Israel system in daily life. In the structure of Leviticus, Leviticus 16, which is at the center of the Leviticus, is to the Ritual of the Day of Atonement. The Leviticus 13-14 heading toward this chapter 16 has a inclusio structure focusing on the Ritual Purification of one person suffering from the malignant dermatosis (צרעת) presented in the text. Leviticus 14: 1-9, centered in its structure, presents a structure that demonstrates the purifying function of the 'bird's blood' at its center. The main text having these structural features ha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it criticizes the symbolic interpretation of the fact that the cause of unclear disease is comprehensively considered as sin by linking malignant skin disease(צרעת) with sin partly. Second, the role of the priest is not in the control of the suffering between the injustice and the cleansing, but in the place of the devoted service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so that it does not reach the injustice on the preventive level. Third, the human body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in the sense of cleansing. Fourth, it can be restored to community through Ritual Purificaiton. Fifth, the unclean presented by the text is likely to be a unclean that invaded God's ownership. Sixth, the Ritual Purification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present gradual holiness by distinguishing clearly distinct boundaries from the distinction between ambiguous holiness and unclean of primitive religion. Seventh, in the New Testament, the Ritual Purification is not abolished, but is practiced thoroughly. The text expresses God's love for presenting specific norms of holiness to everyday life through the Ritual Purification in Leviticus. God's character, which easily presented the practice of holiness so that man could comprehend the reign of God, the creator who allowed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without ignoring the unclean pain of a person who was treated in 'malignant skin disease' This is hidden. As Christians, we must seek mature character and mature theology through a true understanding of the ordinances of cleansing, participating in the character of this God. Keyword: Ritual Purification, malignant skin disease(צרעת), Leviticus 14:1-9

      •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이미지, 만족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성뱃놀이축제를 중심으로

        손다희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Cities worldwide are actively engaging in efforts to establish artistic ecosystems, foster community cohesion, and enhance local identity through cultural and arts festivals. Similarly, in South Korea, most local governments view local festivals as crucial tools for cultivating cultural awareness and stimulating regional economic activity. However, financial constraints on festival development pose a significant challenge, necessitating the exploration of new strategies and approaches.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for a fresh direction in festival development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eflecting the unique cultural,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region while considering entertainment and locality concurrentl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maximize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festivals organized by local governments and explore the additional positive effects generated by these festivals. Focusing on the Hwaseong Boat Festival, designated as a preliminary cultural tourism festival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study targets tourists to identify the enticing factors of regional festivals. The study employ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alyze the impact of local festival environmental cues on imag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f local festival environmental cues on the image (regional and festival), with subsequent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positive image influences the intention to revisit, while satisfaction also plays a pivotal role in shaping the revisit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Recognizing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Hwaseong city's urban-rural community and local festivals,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s guiding regional development. Instead of uniformly urbanizing all areas within Hwaseong city, the study advocates for respecting the value of agriculture alongside urbanization. Integrating the region's unique characteristics with culture and art through local festivals is propos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Therefore, the cultiv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festivals, particularly in the resource-rich western regions, becomes essential to embrace the agricultural lifesty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eas, fostering unity across different zones through arts and culture. Keywords: Local festival, Environmental cues, Regional image, Festival image,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Hwaseong city, Hwaseong boat festival, Urban-rural community, Balanced urban development 세계 각국 도시에서 문화예술축제를 통해 예술 생태계를 구축하고 지역공동체 형성과 지역의 정체성 강화를 시도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방축제를 문화의식 함양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축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예산 한계로 인해 새로운 전략과 방법을 모색해야 하는 당면을 맞이하고 있다. 성공적인 축제 진행을 위해 그 지역의 문화, 역사, 환경 등 지역 특성을 잘 반영하고 유희성과 지역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새로운 방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개최되는 축제들의 질적 향상과 축제로부터 발생하는 부가적인 효과 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체육관광부 예비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된 화성뱃놀이축제 관광객을 대상으로 지역축제의 유인 요인을 발췌하고,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이미지, 만족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이미지(지역이미지, 축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지역이미지, 축제이미지)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이미지(지역이미지, 축제이미지)도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도 또한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화성시의 도농복합사회 발전을 위한 지역축제의 상호 연계성을 확인하고 환경단서를 분석하여 이에 맞춘 지역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최근 급격한 도시화와 함께 농어업의 가치를 존중하고 지역의 고유 특성을 살려서 문화와 예술을 결합한 지역축제를 통해 지속적이고 균형이 있는 발전을 촉진하는데 요인을 발굴하고 부가적인 효과 창출에 기여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화성시 모든 관내를 도시화하기보다는 농어업의 생활과 특성을 수용하고, 각 권역을 함께 어우를 수 있도록 예술문화를 통해 환경자원이 풍부한 서부권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축제 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주요어: 지역축제, 환경단서, 지역이미지, 축제이미지, 만족도, 재방문의도, 화성시, 화성뱃놀이축제, 도농복합사회, 도시균형발전

      •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혈액암 생존자의 수면상태에 따른 증상경험과 지지간호요구

        손다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혈액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증상경험, 수면의 질, 삶의 질, 지지간호요구를 파악하고, 수면상태에 따른 증상경험, 삶의 질 및 지지간호요구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일개 암 전문병원에 외래진료를 위해 내원하거나 입원중인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혈액종양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증상경험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MDASI), 수면의 질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삶의 질 Medical Outcome Study 12-Item Short Form Health Survey(SF-12), 지지간호요구 Supportive Care Needs Survey-Short Form 34(SCNS-SF34)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Bonferroni test, Pearson 상관 분석을 하였다. 증상경험의 증상중증도는 평균 3.46(±2.27), 일상생활방해 정도는 평균 3.74(±2.44)이었고, 수면의 질은 평균 7.47(±3.65), 삶의 질 평균은 신체건강지수 44.35(±9.45), 정신건강지수 45.69(±9.84)이었으며, 지지간호요구는 평균 33.87(±20.00)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지지간호요구는 심리적 요구에서 수입(F=3.478, P=.012), 건강관리체계 및 정보요구에서는 성별(F=2.132, P=.037), 신체 및 일상생활 요구에서는 수입(F=3.666, P=.009), 성적요구에서는 성별(F=-2.885, P=.0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수면의 상태는 지지간호요구와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 영역 중 심리적 요구(r=.259, P=.030), 건강관리체계 및 정보요구(r=.287, p=.016), 신체 및 일상생활요구(r=.337, p=.004)이었다. 삶의 질에서 신체건강지수(r=-.299, p=.012)가 음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의 상태에 따른 각 변수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증상경험이 심할수록 수면장애가 발생하였고(F=-3.143, p=.002), 수면의 질이 낮아지면 일상생활방해 정도가 증가하였다(F=-2.930, p=.005). 삶의 질은 하위영역 중 신체적 기능(F=.009, p=.001), 지지간호요구에서는 심리적요구(F=-3.326, p=.001), 건강체계 및 정보요구(F=-2.865, p=.006), 환자간호 및 지지요구(F=-3.070, p=.003)로 분석되었다. 주요 용어: 조혈모세포이식, 증상경험, 수면의 질, 삶의 질, 지지간호요구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understand the symptom experience, quality of sleep, quality of life, and supportive care needs targeting hematologic malignancy survivors with stem-cell transplantation, and also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symptom experience, quality of life, and supportive care needs in accordance with sleep state. The research subjects were 70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with stem-cell transplantation, hospitalized or visiting for outpatient care of a cancer hospital in Gyeonggi-do. As research tools, the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MDASI) for symptom experienc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for quality of sleep, Medical Outcome Study 12-Item Short Form Health Survey(SF-12) for quality of life, and Supportive Care Needs Survey-Short Form 34(SCNS-SF34) for supportive care needs were used.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Bonferroni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symptom severity of symptom experience was average 3.46(±2.27), and the degree of interfering daily life was average 3.74(±2.44). The quality of sleep was average 7.47(±3.65). Regarding the average quality of life, the physical health index and mental health index were 44.35(±9.45) and 45.69(±9.84) respectively. The average of supportive care needs was 33.87(±20.00). Regarding the Supportive care needs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the income(F=3.478, P=.012) for Psychological needs, sex(F=2.132, P=.037) for Healthcare system & Information needs, income(F=3.666, P=.009) for Physical & Daily living needs, and sex(F=-2.885, P=.005) for Sexual nee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leep state of patients with hematopoietic stem-cell transplant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pportive care needs, and sub-areas included the Psychological needs(r=.259, P=.030), Healthcare system & Information needs(r=.287, p=.016), and Physical & Daily living needs(r=.337, p=.004).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the Physical health index(r=-.299, p=.012)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in accordance with sleep state, when symptom experience got severer, sleep disorder occurred(F=-3.143, p=.002). When the quality of sleep got lowered, the degree of interfering daily life got increased(F=-2.930, p=.005). The sub-areas were analyzed as Physical omponent score(PCS)(F=.009, p=.001) of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needs(F=-3.326, p=.001), Health system & Information needs(F=-2.865, p=.006), and Patient care & support needs(F=-3.070, p=.003) of Supportive care needs. Keywords: Hematopoietic Stem-Cell Transplantation, Symptom Experience, Quality of Sleep, Quality of Life, Supportive Care Needs

      • Investigations of green apple rind extract on skin-care action, and plantamajoside on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induced endothelial cell dysfunction

        손다희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Unripen green apples contain condensed tannin ten times higher level than ripen ones. Tannin has been reported to have not only strong antioxidant activity, but also astringent proper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reen apple rind (GAR) extraction reducing facial pores and sebum secretion. Among GAR extract, the 70% ethanolic extract of GAR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tannin content. Hence, this ethanolic extract of green apple rind was further fractionated with different solvents. Among these rind solvent fractions, ethyl acetate faction of the extract (GAR-E) showed the astringent activity. Also, this GAR-E exhibited the inhibitory effect on 5-alpha reductase, as well as the effect of type 1 collagen and involucrin synthesis.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AR-E may contribute to reduce facial skin pores and sebum secretion, and it could be applied in cosmetic field in association with reducing facial pores and sebum secretion. Plantago asiatica leave (PAL) has traditionally used as a folk medicine in Asian countries. Plantamajoside, the major compound in PAL was reported to have the anti-glycation effects. The glycation is a series of non-enzymatic reactions leading to the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AGEs is concerned with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and aging-related compl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preventive effect of plantamajoside on endothelial dysfunction-induced by AGEs. Plantamajoside was obtained through further fractionation of crude extract steps.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ssa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FRAP value and DPPH SC50 was 4.0±0.09 mM FeSO4/mg DM and 61.25±0.68 µg DM/mL, respectively. Also, treatment of plantamajoside significantly showed lower fluorescent intensity-induced by AGEs. In addition, plantamajoside was treated with or without glycolaldehyde-AGEs (glycol-AGE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0.25, 1 and 4 µg/mL of plantamajoside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formation of ROS-induced by glycol-AGEs. Also, the adhesion of THP-1 to treated HUVEC with plantamajosid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HUVEC stimulated by glycol-AGEs.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ntamajoside isolated from plantago asiatica leave have a possibility to be used as novel material for the prevention of diabetic complications, endothelial dys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