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지도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희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의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등에서 창의성 향상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안을 유치원 표현활동 과정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구성한 후, 남·여 구분 없이 5∼6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각 15명씩 나누어 실험집단에게는 본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를 8주 동안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기존의 무용 수업 내용으로 실시하였다. 유아의 창의성 측정도구로는 70∼90%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Torrance의 창의성(도형)검사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를 독립 t-test를 이용하여 처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의 평균치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성 평균이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창의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안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교육 방법은 유아들의 동기유발과 표현의욕을 높이는데 긍정적일 것이다. 또한 이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현장에서의 활용은 무용수업을 다양화 하게 함으로서 유아 무용 교육의 창의성 발달에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improvement in the fluency, the originality, the abstraction of title, the accuracy, and the resistance about the hasty termination etc. as a consequence of composing the dance instruc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ance instruction was composed the coaching guidance plan in the dance class on the basis of the kindergarten's expression activity process and the precedent studies. Without distinguishing the boys and the girls, 5 to 6 aged young children were divided each 15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nd then, the dance instruction were enforced for 8 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existent general dance classes were enforced to the controlled group. The young child's creativity was measured and analyzed by Torrance's creativity (diagram) examination paper as a measurement tool, which was shown 70-90% reliabilit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independence t-test in the aspect of difference of the pre and post-inspe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appe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mean value of the creativity.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he higher improved creativity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mean value. The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appe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all low rank areas of the creativity.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he high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all rank areas of the fluency, the originality, the abstraction of title, the accuracy, and the resistance about the hasty termination. As the above results, it may be positive to elevate the motivation induction and the expression desire that the dance instruction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pot of class. Also the results can be considered to be the basic data on the methodological view of the dance coaching education by diversifying the dance class.

      • 자아의 경계를 확장시키는 숭고한 체험적 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별’ 시기 작품을 중심으로

        성희승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works and features of the expression of sublime in art history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e sublime and how it is expressed in the researcher's work. The studied artwork w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pression techniques in the infinite repetition, expandability, scalability and fractal. The researcher presents new possibilities for these expression techniques and expressive media. In this study, researcher analyzes the visual composition and meaning of the work to 'visualize' the 'sublimeness of invisible experience’. This proves that the inspiration received from the stars and the universe has been sublimated into a sublime experience through performative artwork.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 established ‘Triple Universe Theory’ and 'Triangular Abstraction', emphasizing the planarity of painting and reaching 'Hyper-Abstract' represented by three-dimensional layers of space in the flat surface of painting. Through invisible experience, the researcher ultimately reached the quest for ontological sublimity and, as a result of the reason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a philosophy of cosmic mentality.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manifestation of cosmic mentality’ by visualizing certain non-visible and non-visible beings behind the trauma of the stars. Through this, light – darkness and the visible – began to construct together the quantum of the invisible. The concept of ‘action’ and ‘space’ is the basis of the researcher’s art activities throughout both the first period of the ‘Performance Period (2003-2014)’ and the second period of ‘Star Period (2014-2022)’. A consistent characteristic that appears throughout the first period of attempting multiple media experiments, including performance, and the second period, which expresses the spirit of the universe and the experience of sublimity by focusing on ‘star’ is that it expresses a formative will through the performative act of artwork. The unconscious world that the researcher wanted to recreate during the performance period entered a full-fledged star period, by finishing with paintings using ‘star’ in pop art manner. From the performance period of surreal pop art through unconscious imagination to the present star period, the common denominator of ‘acting’ is ongoing with current. Even at the ‘star’ period researcher repeatedly attempted to ‘breakout’ through various media activities, not limited to the ‘illusion’ it creates through the ‘performance’ of various workf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sublime in researcher’s ‘Universe_( )’ series artwork of the ‘Star’ period (2014∼2022) to establish the work theory. The focus was placed on the originality of the researcher's sublime experiential spatial express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sublime aesthetics of art history, basic theories were organized, an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related to art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er's work. The contents of the study led from a study of contemporary space and its boundaries to a study of the scalability of media. As a result, the researcher found a similarity between the expandability of digital media and spirituality. This evolved into a cosmic spirituality and ultimately established the ‘Triple Universe Theory’ consisting of matter, mind, and spirit. The researcher's work shows the process in which inspiration from the invisible arena reaches ontological expansion through the sublime experience. These research results will make an academic contribution to the analysis of the realism of the sublime. The researcher uses the night sky, starlight, morning star, space, dust, and cells as invisible materials symbolizing the sublime experience in the work. Using these materials projects the symbol of cosmic spirituality and the art-historical concept of the sublime. Furthermore, the paintings have drawn from fields such as literature, science, fashion, and architecture and collaborated with professionals in those fields. This also shows an ontological expansion from painting. This collaboration demonstrates the widespread use of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fine art – characteristics that are directly absorbed by objective observers through methodical elements that are visually projected - in many areas. This is an indication of how the universal elements of fine art, or the method of fine art reach the expansion of the realm. These researcher's efforts to continuously expand the realm and their new aesthetic pursuits demonstrate the ontological expansion of the underlying elements of painterly innocence. The researcher made various formative attempts based on humanistic and religious inquiry into the invisible aspects of the universe. As a result,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abstraction was erased in the conception of the researcher. The characteristic of abstraction is to emphasize one aspect of the object to be expressed and to express it repeatedly. Through abstract painting the researcher realized something substantial by removing the ambiguity felt in the words of abstraction and highlighting, emphasizing, and repeating certain aspects of the essence of the object. Abstract art, which emphasized one side of reality, has resulted in a stronger reality for the researcher than hyper-realism or photo-realism art. The substance of the researcher's work that reproduces elements outside of representation is to discover the truth of the invisible world. The researcher's work is to find interest in the existence of the invisible world in art, and to find the truth through working and thinking about where the 'Source of Works of Art' may be found. Collectively, throughout the process of work, the researcher named this visual searching ‘Hyper-Abstract’. In the researcher's work, the touch and color emphasized in the painting provided an aesthetic experience different from the image in the digital media era. In the researcher's work, layer construction is a visualized expression of time and space, similar to the concept of a digital layer, and the researcher has also titled it 'Starlight Fossil'. In reality, implementing our visible ‘starlight’ through a layer of repetitive lines is similar to the digital implementation technique implemented through 0 and 1. As researcher constructs repetitive layers, drawing the visible ‘starlight’ on us achieves a structural firestorm through continuous, long-standing components such as fossils. It is a repetitive and imprinted work, like a ‘fossil’ and the result of that work is remembered as a beautiful work for the visitor. The researcher crossed the boundaries between analog and digital sensibility through the work and projected the sublime aesthetics on the boundary between abstraction and realism, and the phenomenon in which planes and three-dimensionality are erased. The researcher expanded the boundaries of the self through artistic activities using the expression of sublime experiential space. The images of light, stars, and the universe created by the researcher throw messages of comfort, hope, and love, and show illusions and expansions created through actions beyond representation. Regarding the nature of ‘lyric’ Ernst Fischer (1947∼ ) said, “The desire to return to the source” was intended to suggest the essence of the work. Primordial space and time, where the self and the world are not separated, are the underlying worlds. The world of space and realistic self-left in these memories cannot go into primordial space or time before division. Nostalgia is possible through art made only by the power of love. What the researcher's ego waits for is a fleeting objective time in which ‘the flowers of hope gather’ and become ‘light’. It interprets the emotional subtlety and perception of the pain of life and manifests itself as a serene internalization. It is perhaps the artist's calling to find a ‘light of hope’ that is not missed even if the ‘leaf’ loses. The way man seeks hope and comfort in the awe of an inscrutable universe of incalculable depths, an indefinable infinite time and space, is an element of art's pursuit of the subject. From the moment we are born into a single living entity, we use all kinds of senses of our bodies to accumulate detailed awareness. Throughout life, it is through a long process of organizing information and self-forming the forms of the world derived from it. Therefore, even in the same physical environment,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xperience, and the conditions under which it leads, make all of our worlds surprisingly different. Human awareness of something begins with experiencing and identifying my outside one by one. The researcher's picture fractal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the outside that becomes self-aware as soon as the world is recognized. Researcher encounters the ‘essence of life’ as an artistic element gained through this process. Researcher sees the location of art as a means of human-transcendental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in an age when the source of human abundance transitions from physical resources to knowledge resources, providing people with new inspiration and content. The researcher wants to spread good ideas to people, convey the light of love and hope, and blossom cosmic spirit and spirituality. The researcher sees the present age as a time when the movement beyond the metaverse, which sees the universe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universe to the next, is expected to be multiverse. Even in this mechanical, scientific and transitional time, the super-polar relationship at the heart of exquisite harmony and relationships is 'love'. Art and culture are the biggest pillars of integrating and bringing humanity together to create a society where mentality and spirituality triumph. Until now, in a society that is subject to matter and domination, there is now a society that helps one another does much of its good and has a great mentality triumph. Art is a genre where mentality prevails, and it will be the center of this social flow. The researcher hopes that for mankind to achieve continuous development, it will always go through the process of spiritual evolution, realizing the inevitability of a mental and spiritual transition from material dominance to spiritual dominance. The researcher's art world, which seeks cosmic harmony by spiritual superiority in contemporary art that ushers in the era of great transition, is significant. 본 연구는 미술사적으로 숭고의 가시적 표현을 대상으로 관련 작품과 특징들을 살펴보고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숭고의 의미와 그 표현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작품은 무한 반복과 확장성, 작품의 규모, 그리고 프랙털 등의 표현 기법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표현 기법과 표현 매체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비가시적(invisible) 경험의 숭고미’를 ‘가시화(visualization)’ 하기 위한 연구 작품의 시각적 구성과 의미를 분석한다. 이로써 연구자는 별과 우주로부터 받은 영감이 수행적 미술 작업을 통해 숭고한 체험으로 승화되었음을 증명한다. 그 과정에서 연구자는 ‘삼중 우주론’과 ‘삼각형 추상’을 정립하였으며, 평면 회화의 평면성을 강조하며 입체적 층의 공간으로 표현된 ‘하이퍼-추상’에 도달했다. 연구자는 비가시적 경험을 통해 궁극적으로 존재론적 숭고에 관한 탐구에 도달했고, 사유의 결과로써 우주적 정신성에 대한 철학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별의 외상 이면에 존재하고 있는 어떤 비가시성과 비가시적 존재를 가시화하는 작업을 통해 ‘우주적 정신성의 표출’에 주력했다. 이를 통해 빛 – 어둠 그리고 보이는 것 - 보이지 않는 것의 양자를 함께 구성하기 시작하였다. ‘행위’와 ‘공간’의 개념은 연구자의 작품 제1기 ‘퍼포먼스 시기(2003∼2014년)’와 제2기 ‘별의 시기(2014∼2022년)’ 회화 전반에 걸쳐 작품 활동의 근간이 되어 일관되게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퍼포먼스를 비롯한 다중적 매체 실험을 시도한 제1기와, ‘별’에 집중하여 우주의 정신성과 숭고의 체험을 표현한 제2기에 걸쳐 나타나는 일관된 특징은 미술 작업이라는 수행적 행위를 통해 조형 의지를 표현하였다는 점이다. 연구자의 퍼포먼스 시기에 재현하고자 했던 무의식의 세계는 ‘별’ 도상을 활용한 회화로 마무리되면서 본격적인 별 시기에 들어섰다. 무의식적 상상력을 통한 초현실적 팝아트를 하던 퍼포먼스 시기에서부터 현재의 별 시기로 오기까지 ‘행위’라는 공통분모는 현재성을 가지고 진행 중이다. ‘별 시기’에도 다양한 작업 과정의 ‘수행성’을 거치며 그것이 만들어내는 ‘환영’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매체 활동을 통한 ‘탈주’를 거듭 시도하였다. 연구자는 미술사의 숭고미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를 수행하여 기초이론을 정리하였고 연구자의 작품해석과 관련된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문헌을 연구함으로써 연구의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동시대의 공간과 그 경계에 대한 고찰에서부터 매체의 확장성에 관한 고찰로까지 연구 내용이 이어졌다. 그 결과 연구자는 디지털 매체와 우주적 정신성 간에 ‘확장성’의 측면에서 유사성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는 예술에 있어서 정신성이 우주적 영성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연구자는 물질적 우주에서 정신적 우주로, 그리고 영적 우주로 진화하고자 하는 부단한 노력으로 삼중 우주론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자의 작품에서, 연구자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부터 받은 영감이 숭고한 체험을 거쳐 존재론적 확장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숭고미의 실재론 분석 및 작가 연구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는 작품에서 숭고한 경험을 상징하는 비가시적 소재들로 밤하늘, 별빛, 샛별(모닝스타), 새별, 우주, 먼지, 세포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들을 사용하여 연구자는 작품에 우주적 영성의 상징과 숭고미의 미술사적 관념을 투영하고 있다. 더 나아가 연구자는 이러한 회화 작품을 통해 문학, 과학, 뷰티, 건축 등의 영역과 다양한 협업을 수행하였다. 이 또한 회화 작품으로 이룰 수 있는 존재론적 확장을 보여준다. 이러한 협업은 순수미술이 가진 보편적 특성-시각적으로 투영하는 방법적 요소를 통해 객관적 관찰자에게 직접 흡수되는 특성-을 여러 영역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알게 해준다. 이는 순수미술이 가진 보편적 요소나 순수미술의 방법이 어떠한 양식으로 영역 확장에 도달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자의 지속적인 영역 확장에의 노력과 새로운 미적 추구는 회화적 순수가 가진 근원적 요소의 존재론적 확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보이지 않는 것과 우주에 대한 인문학적·종교적 탐구를 밑바탕으로 하여 여러 가지 조형적 발전 요소를 창출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의 추상 개념에서는 사실성(reality)과 추상(abtract)의 경계가 사라졌다. 추상은 결과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와 요소 중에서 일면을 부각해 중점적이고 반복적으로 표현하는 특징을 갖는다. 연구자는 추상회화를 통해 ‘추상’이라는 낱말의 본연에서 느껴지는 모호성이나 애매함을 배제하고 주제적 요소를 부각해 반복함으로써 강조하는 방법으로 실제를 현현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실제를 통해 실체의 일면을 부각하고 반복시킨 추상미술이 극사실주의 미술보다 강한 실재성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구자의 추상회화는 보이지 않는 실체를 가시화하여 사실성을 강조한 색채와 회화성으로 표현하는 결과를 낳았다. 재현의 바깥을 재현하는 연구자 작품의 본질은 보이지 않는 것-영적이고 정신적인 측면의 진리와 진실성-의 구현을 위한 끊임없는 미적 추구에 있다. 연구자는 비가시적 세계에 있는 존재에 관한 관심을 미술 안에서 찾고 작업과 사유를 통해 ‘예술작품의 근원’과 ‘진리’를 찾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자의 작품세계를 통틀어 연구자는 이를 ‘하이퍼-추상(Hyper-Abstract)’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회화성이 강조된 터치감과 색감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이미지와는 다른 미적 체험을 선사하였다. 연구자가 작품에서 반복적인 선으로 보여주고 있는 레이어는 시간과 공간의 가시화된 표현으로 디지털의 레이어 개념과 흡사하다고 말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를 ‘별빛 화석’이라고 표현하기도 하였다. 현실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별빛’을 반복적인 선의 레이어를 통해 구현하는 것은 0과 1을 통해 구현해내는 디지털의 구현 기법과 유사하다. 연구자가 반복적인 레이어를 구성하면서 우리에게 눈에 보이는 ‘별빛’을 그려내는 작업은 ‘화석’처럼 지속적이고 오랜 구성적인 요소의 반복 작업을 통해 구조적인 화풍을 이룩하게 된다. 이는 ‘화석’을 이루는 것처럼 반복적이고 각인된 작업이며 그 작업의 결과물은 관람객에게 아름다운 작품으로 기억된다.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아날로그적 감성과 디지털적 감성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추상성과 사실성의 경계, 평면과 입체가 지워지는 현상에 숭고미를 투영하고 있다. 연구자는 숭고한 체험적 공간을 표현하는 예술 활동을 통해 자아의 경계를 확장하기 위한 시도를 거듭하고 있다. 이로써 연구자가 만들어낸 빛·별·우주의 이미지는 위로·희망·사랑의 메시지를 던진다. 연구자의 작품 활동은 재현을 넘어 행위를 통한 환영의 확장으로 나아간다. 이는 자아의 경계를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서정’의 본질에 대하여 에른스트 피셔(Ernst Fischer, 1947∼ )가 “근원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욕망”이라고 한 말은 작품에 대한 본질을 시사하고자 한 말이다. 에른스트 피셔, 김성기 역, 『예술이란 무엇인가』, 돌베게, 1984, pp.17∼127. 자아와 세계가 분리되지 않은 원초적인 공간과 시간은 근원적 세계이다. 이러한 기억 속에 남은 공간과 현실적인 자아의 세계는 분열되기 이전의 원초적 공간이나 시간 속으로 갈 수 없다. 단지 사랑의 힘으로 만드는 예술을 통해 향수(享受)가 가능하다. 연구자의 자아가 기다리는 것은 ‘희망의 꽃들이 모여’ ‘빛’이 되는 찰나적 객관적 시간이다. 심정적 미묘함과 삶의 고통에 대한 인식을 해석하고 고요한 내면화로 나타난다. ‘잎새’가 지는 것에서도 놓치지 않는 ‘희망의 빛’을 찾는 것은 어쩌면 작가의 소명이다. 인간이 헤아릴 수 없는 깊이로 구조화된 우주, 밝혀낼 수 없는 무한한 시공간의 경외감 앞에서 희망과 위로를 찾아가는 방식은 예술이 추구하는 주제의 한 요소이다. 우리는 하나의 생명체로 태어난 그 순간부터 몸이 지닌 온갖 감각을 동원하여 세밀한 인식을 축적해나간다. 생애를 통해 기나긴 과정을 거쳐 정보를 체계화하고 그로부터 파생된 세계의 형태를 스스로 구성해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물리적 환경 속에서도 경험의 질과 양, 그것을 이끄는 저마다의 조건에 따라 우리 모두의 세계는 놀랍게도 각기 다른 모습을 지니게 된다. 인간이 무언가를 인식한다는 것은 나의 바깥을 하나하나 경험하고 규명해나가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연구자의 그림은 세계를 인지하는 순간, 스스로 인지하게 되는 나와 바깥의 관계를 프랙털로 구현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게 되는 예술적 요소로 ‘삶의 정수’와 마주하게 된다. 연구자는 인간 풍요의 근원이 물적 자원에서 지식자원으로 전환하는 시대에 사람들에게 새로운 영감과 콘텐츠를 제공하는 예술의 위치를 인간과 초월자의 연결 및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본다. 이에 연구자는 사람들에게 좋은 생각을 확산시키고 사랑과 희망의 빛을 전달하며 우주적 정신성과 영성을 꽃피우고자 한다. 연구자는 현시대를 우주의 경계를 넘어 다음 우주까지 보는, 메타버스(metaverse)를 넘어, 멀티버스(multiverse)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시기로 본다. 기계적이고 과학적이며 전환적인 이 시기에도 절묘한 조화와 관계의 핵심이 되는 초극적 관계는 ‘사랑’이다. 정신성과 영성이 승리하는 사회를 만드는데 인류를 통합하고 하나로 만드는 가장 큰 축은 예술이자 문화이다. 지금까지는 물질에 허덕이고 물질에 지배받는 사회에서, 이제는 서로 돕고 선한 일을 많이 하고 위대한 정신성이 승리하는 사회가 오고 있다. 예술이야말로 정신성이 우선하는 장르이며, 이러한 사회적 흐름의 구심점이 될 것이다. 연구자는 인류가 지속적인 발전을 이룩하려면 물질 우위에서 영성 우위로 가는 정신사적 전환이 필연적인 것을 몸소 깨닫고 영적 진화의 과정을 반드시 거치기를 희망한다. 대전환의 시대를 열어가는 현대미술사에 있어 영성의 우위에 의한 우주적 조화를 추구하는 연구자의 작가 세계는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무의식적 상상력을 통한 회화연구

        성희승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예술은 그 어느 시대보다 다양하고 다원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단 하나의 패러다임을 예술에 요구한다는 것 자체가 비판과 창조를 생명으로 하는 예술정신에 거슬린다고 본다면, 다양한 시각과 다양한 사고는 오히려 당연한 현상이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한 시대의 예술적 창조행위와 사유가 다른 시대와 구별할 수 있는 문제의식과 시대정신을 갖는 것도 현실인식과 반응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시대를 살아가는 예술가가 현실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철학적 사유와 창조적 예술형식과 이론적 노력뿐만 아니라, 현실 속에서 현실을 바르게 평가하고, 바르게 방향설정을 해보고자하는 실천적인 노력을 할 때, 예술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하겠다. 모더니즘(Modernisime)의 사회는 데카르트(Decarte)의 이성중심의 사회적 체계를 구성하였다. 데카르트는 최초로 물질과 정신을 독립된 두 영역 (실체) 으로 분리하여, 물질이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정신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사유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 결과 경험적 차원에서 존재를 둘로 나누는 이원론이 초래되었다. 또한 자아 중심적 주관론의 전통을 형성하였다. 그 결과 경험적 과학과 과학 기술의 진보, 물질적인 부의 축적, 보다 나은 생활환경의 발전을 이루었지만, 그로 인하여 전체로부터의 개체의 소외, 전통과 문화와 역사로부터의 단절, 자연 고갈과 문명 훼손 그리고 보다 철저하고 조직적인 사회통제 등이 초래되었다. 또한 자아의 절대성, 이성의 자율성 등을 비판함으로써 이성은 절대적 근원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합리화하고 은폐하는 수단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20세기 많은 예술가들과 철학자들의 관심은 물질문명에 따른 비인간화로부터 벗어나려는 노력에 집중된다. 이성은 계급적 관심에 봉사하거나 (마르크스) 숨겨진 힘에의 의지를 은폐하거나 (니체) 무의식적 사고의 표출을 왜곡한다 (프로이트) . 이러한 인식 체계에 힘입어 궁극적으로 근대화, 산업화, 과학기술화 등으로 대변되는 서구적인 삶의 양식을 탈피하여, 이론과 분석보다는 총체적 체험, 인간 중심주의 보다는 자연 중심주의, 획일과 통일보다는 정선성과 초현실적 환상성, 무의식적 자아 속에서 인간의 원초적인 내적 본성을 인식하기에 이른다. 이것은 인간의 감성, 즉 상상력의 힘을 되찾음으로서 논리와 언어의 세계를 초월하여, 직접적인 삶의 의미를 다시 찾아보려는 몸부림이라 할 수 있다. 본인의 창작활동은 이러한 사유와 맥락을 같이 한다. 즉 인간의 내적인 세계와 외적인 세계의 통합, 의식과 무의식의 대립되는 접점을 조화롭게 풀어나가며, 상상력의 힘을 통한 인간의 감성의 자율성을 해방시킴으로서 그 자체의 유기체적인 생명을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보고자 한다. 이러함에 있어서 꿈의 실체로서의 물질은 본인의 오랜 경험으로 퇴적되어 창작의 의지와 연결되며, 인간사고의 심층을 이루는 유동적이고 자유로운 일종의 원초적 무의식에 작업의 바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상력은 어떤 하나의 상태가 아니라 연간 실존 그 자체이다"라는 바슐라르 (G. Bachelard:1884~1962) 의 말처럼 본인에게서 물질은 작업수행의 오랜 경험으로 퇴적되어 의지와 연결됨으로서 심층을 이루는 무의식의 결과물로써 자리한다. 이러한 물질은 작품의 이미지의 규칙이 되는 끊임없이 동기를 부여하는 물질적 상상력을 통해 나타난다. 예술작품의 생성원리로 비(非)지식 (non-savoir) 의 개념을 제시한다. 역동적 상상력을 토대로 한 비지식의 원리는 예술가의 창작의 차원에서 본다면, 그것은 끝없는 도전에 의해 정신의 경직화를 거부함으로서 매너리즘을 극복한다는 의미에 결부된다. 또한 논리의 영역에 한정되지 않은 표현의 자유를 의미하는 동시에 그 시대를 초월하여 미래로 열려있는 초 역사성의 원리, 즉 예술의 영원한 생명력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본인에게 창조의 힘과 동기를 제공하는 무한히 넓은 무의식의 세계와 그에 근거한 상상력의 실행은 스스로를 새롭게 하며 능동적인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따라서 창작충동의 원초적 질료이며 인간 정신의 가장 깊은 심층을 지배하는 무의식에 의한 이미지들은 상상력의 독자적인 작용을 가능케 한다. 동양의 예술가들이 자연으로부터 그 속에 항상 내재하여 그것을 살아있게 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관조하고 직관적으로 느끼고자하였듯이, 본인 또한 자연이 숨쉬고 있는 생성(生成) 의 질서에 순응하고 일치가 되려는 ‘범자연주의’의 정신을 작품을 통해 발현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인은 인간과 자연, 의식과 무의식, 불질과 이성을 분리해서 보지 않고 하나의 상생(相生)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객관과 주관의 대립함이 없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이러한 일체화를 통한 정신적 조화와 균형을 작품에 표현하고자 함이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또한 앞으로 본인의 작품세계를 개진해나가는 계기로 삼고자한다. Modern art has more various and plural features than that of any other period. In fact, to call upon art to have a single paradigm is against its spirit, whose soul is criticism and cre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 would preferably say that diverse perspectives and speculations are proper results. Therefore, art-creating activities and cogitation of one era possess a critical mind and the spirit of the times distinctive from those of another period; this results from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reality and response to it. Accordingly, art will change when an artist, during his days, not only does philosophical speculation trying to understand reality, creates art forms, and strives to theorize; judges reality properly and practically endeavors to direct the right course. In the society of Modernism, the social system was formulated with priority given to Descartes's Reason. Descartes, for the first time, separated matter and mind as two independent spheres - entitie! s; viewed while matter occupied space, mind did not occupy it and existed as cogitation. As a result, dualism arose which separates being into two from the experiential point of view; the tradition of self-centered subjectivism was formed, as well. This caused development of experiential science, advance in scientific technique, accumulation of wealth, better life environment; it also led to alienation of individuals from the whole, exhaustion of nature, damage of civilization, more thorough and systematic social control, severance from tradition, culture and history. In addition, because of criticizing absolute ego and its autonomy, Reason was not considered as absolute origin but as a means to rationalize and conceal reality. Accordingly, numbers of artists and philosophers in the 20th century were concerned about freeing themselves from dehumanization resulting from material civilization. Reason serves class interest (Marx), conceals reliance upon hidden power (Nietzsche), ! or distorts expression of unconscious thoughts (Freud). Thanks to these knowledge theories, they have ultimately broken from the Western life style represented by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scientism. That is, they have valued general experience above theory and analysis; emphasis on nature over that on human beings; soul and surrealistic fantasy above uniformity. They have extended these features to the point where they, in the unconscious self, appreciated the original nature of human beings. This can be said to be a struggle, by recovering the power of human sensibility (or imagination), to surpass the limit of logic and language and then search for the direct meaning of life. With these considerations my creative activities have a thread of connections. That is, by unifying inner and outer world of human beings, unraveling the opposition point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releasing autonomy of sensibility through the power of imagination, I would 1! ike to open up the possibility for a human being to acquire his own life as an organic body. In doing this, matter as a substance of dreams has been accumulated through my long experience and connected with my creative volition; a kind of original unconsciousness, free and floating, which forms the depths of human thoughts constitutes the basis of my work. As said "Imagination is not a certain status but the human existence itself" by Bachelard (1884~1962), matter, for me, is accumulated through long experiences of work, connected with creative will, and settled as a result of deep unconsciousness. The matter is represented through 'incessantly-motivating material imagination', which is a rule to the image of productions. The concept of non-savoir is suggested as the principle of generating works of art. From the creative point of view of an artist, non-savoir, which is based upon dynamic imagination, refuses stiffness of mind through endless challenges and so surmounts manner! ism; it means the freedom of expression which is not limited in the logic region; it also heads toward eternal life of art, or the history-transcending principle. Speaking from this standpoint, creation-motivating profound un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based fulfillment of the imagination are renewing and changing me actively. Consequently, images made by unconsciousness, which is original substance of a creation drive and dominates the depths of human mind, enable imagination to act independently. Just as oriental artists contemplated nature and tried to feel by intuition what is immanent in nature and maintains its existence, so I, through my works, would like to express 'pan-naturalism - which tries to adapt and correspond to the creation order in which nature breathes-through my productions. Therefore, I do not regard human vs. nature, consciousness vs. unconsciousness, matter vs. reason as divided from each other but as concepts which sustain mutually. At the sam! a time, I would like to express spiritual harmony and equilibrium through the integration in which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act reciprocally. This is the purpose of my thesis. Hereafter, I will also have this as a start in expressing my pieces of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