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유의어 교육 방안 연구 :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재의 동사를 중심으로

        벌러르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유의어 교육 방안 연구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재의 동사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과 벌러르마 지도교수 김 중 섭 본 연구는 한국어 유의어 중에서 중급 단계의 동사를 중심으로 해서 몽골인 학습자에게 유의어의 의미변별과 쓰임의 차이를 교육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유의어 교육은 어휘량을 확장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되고 유의어들 사이에 존재하는 섬세한 의미 차이를 알고 사용하는 것은 학습자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국어와 몽골어는 술어를 중심으로 문장이 구성된다. 특히 동사는 격을 지배하는 기능을 하는 등 언어 표현에 있어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 등을 분석해서 얻은 기본 어휘를 바탕으로 유의어쌍을 선정하고 의미를 변별하고자 하였다. 유의어의 의미를 변별하는 여러 방법 중에서 치환검증법과 결합 구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4단계의 절차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제1장에서 유의어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 대상 ?G 방법과 본 연구와 관련된 어휘 선정과 유의어 의미 변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봤다. 제 2장에서 유의어 선정에 앞서 기본적인 개념, 유의어 변별 방법 등 본 연구에서 다룰 연구 내용과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유의어를 선정하기 위해4개 대학교의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재에서 중복적으로 나타난 동사를 추출하여 20개의 유의어쌍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장평가원에서 공개한 한국어능력시험의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의 427개의 동사와 교재의 어휘 색인에서 추출한 동사와 비교해 보고 그 비율을 조사해 보았다. 또한 2007~2011상반기까지 실시한 총 12회의 한국어능력시험 문항에서 유의어로 출제된 동사를 추출하여 교재내 유의어쌍과 비교해 보았으며 한국어 능력시험의 어휘평가 영역을 통과했는데 한국어 교재가 충분한 어휘를 포함시키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였다. 제 4장에서는 의미 변별을 이용한 유의어 교육과 연어 관계를 이용한 유의어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앞에서 선정된 17개의 유의어쌍을 다음과 같은 4가지 절차를 통해 의미 분석을 했다. 1단계 사전을 참조하여 각각의 뜻풀이를 모두 정리한다. 2단계 어종의 차이를 제시한다. 3 단계 여러 예문과 사전 등을 참조하여 유의어쌍의 공통 의미와 공통 결합을 정리하고 치환이 가능하는지를 예문으로 확인한다. 4 단계에서는 의미변별을 하는 데 있어 변별 결합과 의미 차이가 무엇인지를 예문으로 통하여 기술하여 변별 결합을 찾고 표로 보여 주었다. 제 5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고 본고의 한계점과 앞으로 남은 과제를 제시하였다. 핵심어: 유의어쌍, 유의동사쌍, 변별 방법, 공통결합, 변별결합, 연어 관계 -Abstract- Study on Korean language Synonym for Mongolian learners V.Bolormaa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model that will be used in the study of intermediate Korean synonym verbs and discriminate its meaning and writing differences to Mongolian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This study consists from five main chapters which are 1st represent that the importance of study of synonym verbs, 2nd study of the theoretical concepts, types and discrimination methods of synonym verbs, 3rd (Korean Educational Status synonym) analyzed 20 verbs by synonym that selected from 4 universities intermediate training books, compared them with 427 verbs of the TOPIC, 4th (synonym training plan) the purpose to present the synonym training using relationships of meaning discrimination and synonym teaching methods in English. Previously selected 17 pairs of synonym semantic analysis of the following four means were analyzed by the procedure. Finally, organized each synonym meaning by dictionary order, separated by word origin as Chines or Korean and made combination of synonym groups using various examples and dictionaries to examine substitution of those synonym verbs. Key words: synonym group, discrimination, common combination, collocation.

      • 몽골에서 아동권리 담론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벌러르마 충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은 태어난 순간부터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권리를 가지며 세상 모든 어린이들은 어떠한 생활 조건과 상황에서도 행복한 어린 시절을 가져 야 할 권리가 있다. 아동들에게 있어서 행복한 어린 시절이라는 것은 적절 한 생활수준에서 차별없이 놀고, 신체적 및 정신적 학대 없이 건강하게 자 라면서 필요한 사회적, 경제적 보장을 받고 자유롭게 살 수 있는 권리와 조 건을 누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고 성인과 동등하게 권리의 주장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국가와 사회 는 이러한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고 더 나은 성장환경을 마련하여 보장해 주 어야 할 책임이 있다. 아동이 독자적인 존재로서 성장하고 올바르게 발달하 며 이 세상에서 차별없이 살아갈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국가는 최전선에서 지원과 조치를 취해야한다. 하지만 아동의 권리를 지키는데 개별 국가만의 노력뿐만 아니라 국제사회, 즉 인권선진국가들의 인권네트워크들과 국내 시 민단체들의 광범위한 협력이 필요하다. 특히 아동권리 침해에 대한 문제들 은 더 이상 한 국가만의 내부적인 문제가 아니며 국제사회가 함께 해결하고 개선해야 할 국제정치적 문제가 되었다. Children have the fundamental rights to grow safe and healthy from the moment they are born, and every child in the world has the rights to have a happy childhood in any living condition and situation. But even today, rights of many children are being violated all over the world. In developing countries suffering from poverty, there are many problems surrounding the rights of children, such as children in poverty, children under labor exploitation, children with malnutrition and drinking water deficiencies, infant and child death and illness,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lack of education and health benefits. As such, the problem of child rights, which have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international society, is also considered to be very serious problem in Mongolia. Even though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western liberal democracy was introduced into Mongolia, children's rights have not been well realized, and have been evaluated as insufficient condition by national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This thesis has made an analysis of the policies, laws and practices of Mongolia on child rights. In particular, it focused on conditions and differences of child rights in socialist and democratic system respectively in Mongolia and on efforts of actors who have played key roles in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discourse on child rights of Mongolia. To explore the causes of problems and to find the solutions, this thesis has delved into child rights situation of Mongolia in the time span of 70 years during the socialist period and 30 years during the democratic system in Mongolia respectively. This thesis discusses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that have to do with the realization of child rights in Mongolia. Children are unable to fight for their rights themselves because of their immaturity. Thus, if there are actors who respect and are willing to protect the rights of children in any time and society, the situation of child rights can be improved. In Mongolia, the discourse and situation of child rights has expanded due to the participation and efforts of various actors in each era, and the role of civic groups has been very important. Since the political transition from socialist to democratic system in 1990, the situation of child rights in Mongolia has been improved and changed due to national and international impacts,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s and ratific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Practically, civil society and civic organizations were the main actors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Through this the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efforts and participation of various actors for the formation and change of child rights in Mongolia. Although, surely, the democratic political system has great significance to open opportunities of liberal activitie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various actors, in the case of Mongolia, the outcome of this study reveals that discourse of child rights was formed and improved through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actors regardless of the political system. Therefore,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the improvement of child rights, the government has to accommodate the recommendations of civil society and civil organizations and has to establish cooperative policy relations that support their mobilization so that positive results can be achieved in the realization of child rights.

      • 전자상거래에 대한 소비자 구매태도 및 의도에 관한 연구 : 몽골 소비자를 대상으로

        벌러르마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rying to find a way and stratagem to develop the Internet marketing efficiently by analyzing an actual state of Mongolian’s use of e-commerce and the impact which has on the purchasing attitude of Mongolian and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chasing attitude and intent of purchase with priority given to e-commerce between the company and customers among various kinds of e-commerce. I set a hypothesis by analyzing a precedent study, related to e-commerce, investigating influence factors and result factors and suggesting a study model for this. I investigated which relationship there are between influence factors like a security of paying, self-utility of customers, economic feasibility, the quality of service of e-business and the quality of system and result factors, attitude of purchase, and a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 factors and an intent of purchase. This study did a survey targeting Mongolian customers who live in Mongolia now to collect data. 200 sheet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used 197 sheets of questionnaires except 3 sheets whose answers were not sufficient. I divided respondents into two groups: one was composed of respondents who have bought goods on the Internet and the other was made up of respondents who have not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then analyzed the data of the whole respondents. Security of paying did not have an impact on the purchasing attitude of respondents who have bought goods on the Internet and the quality of service did not have an impact on the purchasing attitude of respondents who have not bought goods on the Internet. In comparison, it was shown that all 5 influence factors had impacts on all of the purchasing attitude and the intent of purchase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which used the data of all responden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purchasing attitude had an impact on the real intent of purchase and the intent of recommenda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marketing strategy which fits for Mongolian customers is order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is based upon the quality of service like security of paying, economic feasibility, shipping of e-business, after-sales service and return and refund services which all impact customer purchasing attitude. 정보 통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상거래의 발전도 가속화되고 있다. 기업 - 소비자-정부 등의 경제 주체가 상거래를 전자적 통신망으로 수행하는 것을 전자상거래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그 중심에는 인터넷이 자리하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소규모 기업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전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으며 소비자에게도 보다 폭 넓은 상품과 서비스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전자상거래의 실현은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어 주요 선진국들은 이에 대해 많은 투자와 자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몽골에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정보통신 및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는 전자상거래를 통해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경쟁력을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몽골 정부에서는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법규를 제정하는 노력과 함께 e-Mongolia 등과 같은 정부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과 인터넷 사용자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몽골의 전자상거래 분야는 아직 발전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네티즌들의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 부족과 아울러 전자상거래를 통한 물품 구입에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의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이 부족하고 인프라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의 여러 유형 중에서 기업과 소비자간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하여, 몽골에서의 전자상거래 활용 실태 및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더 나아가 구매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인터넷 마케팅을 효율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방법과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영향요인과 결과요인들에 대해 조사하고 연구모형을 제시하며 가설을 설정하였다. 전자상거래 태도와 관련이 있는 지불 보안, 소비자의 자아효용성, 경제성, 인터넷 상거래 업체의 서비스 품질, 시스템 품질 등의 영향 요인이 결과요인인 구매태도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와 구매의도와의 관계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현재 몽골에 거주하고 있는 몽골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총 200부를 배포하였으며 답변이 부족한 3부를 제외한 총 197부를 사용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구매 경험이 있는 응답자와 경험이 없는 응답자들의 데이터를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그 다음에 전체 응답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전자상거래 구매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의 경우에는 지불보안 요인은 소비자 구매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상거래 구매경험이 없는 응답자들의 경우는 서비스 품질 요인이 소비자 구매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하여 전체 응답자들의 데이터를 사용한 가설 검증 결과로는 모든 가설들이 채택되어 5가지 영향 요인이 모두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태도는 실제 구매의도와 다른 사람들에게 권유할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불 보안, 경제성, 전자상거래 관련 업체의 배송, 구매 후 서비스, 반품 환불 처리 등 서비스 품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몽골 소비자의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 수행이 필요하다.

      • 흉노 무덤 출토 등잔 연구

        벌러르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금까지 소개된 흉노 무덤의 등잔 출토 사례들을 정리하였으며, 등잔의 형식분류 및 시간성과 지역성 그리고 부장 양상에 대해 전반적이고 구체적으로 분석검토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분류를 바탕으로 한 가운데 중국 한나라와 스키타이 문화 등잔에 대한 자료를 첨가하여 흉노 무덤에서 출토된 등잔의 기원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등잔의 부장 위치와 공반 유물을 통해, 등잔이 무덤에 부장된 의미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등잔 출토지의 양상을 살펴보면 오늘날 몽골 중앙부에 해당되는 지역의 무덤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으며, 서부 및 동부 지역의 유적들에서는 등잔의 출토 수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은 지역적인 특징과 연관된 것이 아니라 무덤 분포 및 연구 상황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는 지금까지 출토된 등잔은 재질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토제(A), 청동제(B), 철제(C)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등잔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면 잔형(a), 두형(b), 접시형(c)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재질, 형태의 분류를 바탕으로 등잔의 시간성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가장 이른 시기인 BC3세기 무덤에서는 Aa가형 등잔이 출토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C2세기 무덤에서는 Aa나형, Ac형, Bc형, Cb형 등잔이 다소 출토되었으나 출토 수량으로 본다면 이러한 등잔은 BC1세기-AD1세기에 사용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장 늦은 시기에 해당되는 무덤에서는 Ac형, Bc형 등잔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는 등잔이 출토된 유적, 즉 출토 고분에 대한 의미를 추적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등잔을 사용한다는 그 자체는 유목 사회에서보다는 정착 사회에서 더욱 필요성이 강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덧붙여 무덤 구조와 등잔의 상관관계, 즉 상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크기가 작고 간단한 구조를 가진 목관을 안치한 원형묘에서는 Aa형, 이와 비교하여 크기가 좀 더 크고, 노동력이 더욱 집중된 무덤에 해당되는 목곽묘에서는 모든 종류의 등잔이 발견되었으나 Ac형과 Cb형이 주를 차지하였다. 또한 크기가 가장 크고 귀족 계층의 무덤으로 판단되는 묘도를 갖춘 방형묘에서는 Ac형, Bc형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판단하면, 등잔의 재료와 형태는 무덤의 규모 및 구조와 상호 연관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나라와 스키타이 등잔을 참고 자료로 활용하여 흉노 등잔의 기원에 대해 고찰하였다. 스키타이 등잔으로 소개된 자료에서는 흉노 등잔과 유사한 사례를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흑해지역의 스키타이 무덤과 흉노 무덤에서 용기의 바닥 부분을 등잔으로 사용한 방식은 상호 간의 연결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풍습은 유목민족 자체에서 용기의 바닥 부분을 등잔으로 재활용하는 풍습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a형 등잔과 매우 유사한 사례가 스키타이 무덤에서 확인되었으나 그 용도는 등잔이 아니라 향로 혹은 제의와 관련 있는 용기로 해석하고 있다. 다음으로 한나라 등잔 중 접시형과 두형 등잔을 흉노 무덤에서 출토된 등잔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흉노 무덤에서 출토된 토제 등잔은 한나라의 영향을 받은 흉노인들이 현지에서 직접 제작한 등잔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한나라와 흉노 무덤에서 확인된 청동제 등잔은 형태적으로 아주 유사한 배경으로 인해 서로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기에 한나라에서 흉노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철제 등잔은 한나라와 흉노 무덤에서 출토 수량이 모두 적고 일정한 형태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상호 간의 연결고리를 찾기는 쉽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등잔의 부장 위치와 공반 유물을 통해, 등잔이 무덤에 부장된 의미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흉노 무덤에서 등잔은 일반적으로 피장자의 머리 및 발쪽에서 단독으로 부장되었다. 이를 통해 추정해 보면, 흉노인들의 사후 세계에 대한 상상력 및 신념 등 종교 혹은 사후 세계관과 관련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 GPU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카툰 렌더링 비교 분석 : 벌러르마B = A Research on Comparison of Cartoon Rendering using GPU programming

        벌러르마B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출시되고 있는 고성능 그래픽 카드에서는 다양한 GPU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특히 본 논문은 GPU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만화 같은 느낌을 주는 카툰 렌더링에 대해 소개하며, 다양한 카툰 렌더링의 특징을 GPU 프로그래밍 기법과 비교해 본다. GPU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언어 중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GLSL, HLSL, Rendermonkey를 통해 카툰 렌더링을 수행하고, 각 언어의 특징에 대해 소개한다. In current high level of graphic cards available to support a GPU programming. The main goal of thesis introduces GPU programming, which is ability to create cartoon rendering and compare to the GPU programming techniques and results. The GPU programming supports GLSL, HLSL and Rendermonkey for create cartoon shading.

      • 몽골과 한국 경제협력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벌러르마, 강바타르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59

        1990년 이전 몽골의 사회체제가 구소련으로 있었던 중아시아에 위치한 내륙국가 몽골은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국과 접경하고 있다. 몽골은 1990년 이후 P.오칠바트(P.Ochirbat) 대통령 때 소위 ‘'제3의 이웃’' 정책에 기초한 독립적인 전방위 실용외교를 구사하면서 지난 20년 동안 몽골의 국제적인 위상이 매우 높아졌다. 현재 몽골은 경제적으로 매우 큰 2 시장 사이에 있는 이직도 미개발 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은 세계 제10대 자원부국이기도 한다. 1990년 3월 몽골과 수교한 이래 한국은 그동안 알타이 계통의 인종적․문화적․언어적․정서적 유사성과 경제구조의 높은 상호보완성을 바탕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서 몽골과의 협력관계를 꾸준히 확대시켜 왔다. 1999년 4월 김대중 대통령의 몽골 방문에 이어 2001년 2월 N.바가반디(N. BAGABANDI) 몽골 대통령이 방한하면서 양국관계는 ‘'21세기의 상호보완적 협력관계’'로 설정되었다. 이후 2006년 5월 노무현 대통령의 몽골 국빈방문 과정에서 양국 정상은 ‘'한․몽골 선린 우호적 동반자관계로 합의하면서 기존의 관계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이와 따라 한국과 몽골의 통상확대는 역사적, 문화적 유사성과 산업 및 무역구조의 상호보완을 바탕으로 '선린우호협력을 위한 동반자 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한국기업의 투자환경 개선을 위하여 정부차원의 몽골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별로는 몽골정부의 경제개발 및 육성방향과 한국경제의 강점을 고려하여 몽골의 에너지자원분야 개발, 인프라개선 사업, 농-목축업분야, 관광산업 등에 투자를 집중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 은 현제 몽골의 경제, 통상 및 외교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몽골의 무역협력 분야를 개선 및 극대화시키기 목적으로 본 연구를 제시하였다. Before of 1990s, a former socialist country Mongolia, landlocked in the East and Central Asia has been in the center of the international attention. Mongolia is one of the dynamically developing countries in economic and international trading during the transformation period of 20 years from market society into democracy. It is bordered by Russia to the north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o the south, east and west, and it is 10th country by its natural and energy resources. During the presidential period of P.Ochirbat, when the policy of third neighborhood was being implemented, our country start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many foreign countries. Mongolia and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on March 1990 and now we have cooperation I every fields of history, culture, economy and trading. There were made many agreements on widening the cooperation of the two countries in those fields of history, culture, economy and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during the official visit of Nu Mu Hyong,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in 2006, only few of them were fulfilled properly. As the 10th country which has the highest amount of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it has also the highest probability of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further probability of expansion of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basis of the research on the current Mongolian economic, and trade situation.

      • 몽골 캐시미어 제품의 한국 및 중국 시장에서의 국제경쟁력 분석

        엥흐자르갈 벌러르마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8

        몽골은 세계 시장에서 캐시미어(Cashmere) 생산 2위, 구리 매장량 2위, 석탄 매장량 5위를 차지하는 나라이다. 특히 몽골의 캐시미어 산업은 2019 년 기준 몽골 국내총생산(GDP)의 11%를 차지할 정도로 몽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몽골 캐시미어 산업의 15개 품목 분류 중에서 HS 코드 6단위 기준 수출 비중이 높은 4개 품목을 선정하였다. 이 4개 품목은 여자 코트(610210), 남자셔츠(610590), 블라우스(610690), 가디건(611012)이다. 그리고 최근 5년(2015~2019) 기간 동안의 UN 상품무역통계(Comtrade)와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K-Stat)를 바탕으로 3개 산업간무역지수(특정시장 점유율(Market Share, MS), 무역특화지수(Trade Specification Index, TSI), 교역국 비교우위지수(Comparative Advantage by Country, CAC) 및 1개 산업내무역지수(수출입단가비율)를 통해 몽골 캐시미어 제품의 국제경 쟁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4개 몽골 캐시미어 품목에 대한 국제경쟁력 분석 결과다음과 같 은 시사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수출 비중이 높은 몽골 캐시미어 4개 품목은 중국시장 및 한국시 장에서의 수요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수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중국 및 한국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높은 부가가치의 신제품 개발, 마케팅 활동 강화 등이 필요하다. 둘째, 중국시장의 경우 몽골 캐시미어 4개 품목 중 여자코트(610210)는 높은 국제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 무역특화지수, 교역국 비교우위지 수 등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수출단가는 계속 하락하는 등 채산성이 점 차 악화되고 있다. 반면, 한국시장의 경우 블라우스(610690)는 높은 국제경 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 무역특화지수, 교역국 비교우위지수 등이 높 게 나타났으며, 수출단가도 계속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시장의 경우 중국 경제가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사치품 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유럽산 대비 몽골산 캐시미어의 매력은 떨어졌 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반면 한국시장의 경우 몽골의 내륙국가 특성으로 인해 운송기간이 오래 걸리고 운송비가 비싸기 때문에 가격이 높아질 수밖에 없 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몽골 정부 차원의 물류 인프라 구 축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따라서 몽골 캐시미어 제품의 중국시장 및 한국시장에 대한 캐시미어 수 출 증가를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캐시미어 신제품 개발, 생산 공정 혁신 등 이 필요하다. 또한 소비자 만족도 조사, 판매 채널 구축, 품질 기준 마련, 디자인, 색상 보완 등과 같은 다양한 노력을 통해 몽골 캐시미어 제품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기업 차원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몽골 정부의 정책 적 지원과 함께 해외직접투자 유치를 위한 건전한 투자 환경의 조성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Mongolia is world’s is the second-largest cashmere producer and ranks second in copper reserves, and fifth in coal reserves in the world’s market. Mongolia’s cashmere indus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ngolian economy and that accounted for 11% of Mongolia’s Gross Domestic Product (GDP) as of 2019. Hence, 4 groups of items with a high export ratio based on 6 units of HS code among 15 groups of items defined in the cashmere industry are selected in this study. These 4 groups of items include HS code women’s coats(610210), men’s shirts(610590), blouses (610690), and cardigans(611012). Based on the data from the UN Comtrade and the K-Stat of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for the last 5 years(2015-2019), three inter-industry trade indices (Market-Share, Trade Specialization Index, Comparative Advantage by Country) and one intra-industry trade index (Export/Import unit price ratio),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Mongolia’s cashmere industry is examin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key implications are fou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reviously mentioned four Mongolian cashmere items, that account for a higher proportion of exports, are showing continuous export growth due to the increased demand in the Chinese and South Korean markets. Due to this fact, developing high value-added new products and strengthening marketing activities to the diverse demands of Chinese and South Korean consumers are necessary. Second, the women’s coats(610210) among the four Mongolian cashmere items showed higher market share,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of trading partners, however, the profitability is gradually declining and the export unit price is falling in Chinese market. On the other hand, in Korean market, the blouse(610190) has a high market share,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of trading partners due to the highe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ising export unit price. Thes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that due to the Chinese market’s rapid growth in demand for luxury goods, the Mongolian cashmere’s demand compared to European ones has fallen in Chinese market. On the other hand, the price in Korean market is bound to rise due to Mongolia’s characteristics of inland countries as it takes a long time to transport and transportation costs are expensive.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ed to build logistics infrastructure at the Mongolian government level.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developing new high value-added cashmere products and innovating production processes to increase the exports of Mongolian cashmere products to Chinese and Korean markets are considered as necessary steps. Therefor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s of Mongolian cashmere products needs improvements through various efforts such as consumer research or market research on Chinese and Korean markets, establishment of sales channels, quality standards, design and color supplementation. In addition, this should be implemented by the Mongolian government’s policy support and the creation of a sustainable investment environment to attract foreign direct investment. Монгол улс нь дэлхийн зах зээл дээр түүхий ноолуурын бэл тгэлээрээ хоёрдугаарт, зэсийн нөөцөөрөө хоёрдугаарт, нүүрсний нөөцөөрөө тавдугаарт ордог. Монголын ноолуурын салбар нь Мон гол Улсад чухал байр суурь эзэлдэг бөгөөд 2019 оны байдлаар Монгол Улсын дотоодын нийт бүтээгдэхүүний (ДНБ) 11% -ий г бүрдүүлсэн байна. Тиймээс энэхүү судалгаанд ноолуурын 15 нэр төрлийн бүтээ гдэхүүнээс HS код 6 нэгжийг үндэслэн экспортын борлуулалт өндөртэй 4 бүтээгдэхүүнийг сонгон Хятад болон БНСУ-ын зах зээл дээрх өрсөлдөх чадварын судалгааг гүйцэтгэлээ. Эдгээр дө рвөн бүтээгдэхүүн нь HS кодтой эрэгтэй цамц(610590), эмэгтэ й цамц(610690), эмэгтэй пальто(610210), кардиган(611012) юм. UN Comtrade худалдааний статистикийн мэдээллийн сайт болон БНСУ-ын Олон Улсын Худалдааны Холбооны K статусыг үндэс лэн сүүлийн 5-н жил(2015~2019)ийг судалсан болно. Судалгааний аргад салбар хоорондын худалдааны 3-н төрлий н индекс болох (Худалдааны мэргэшлийн индекс(Market-Share), Зах зээлийн онцгой хувь хэмжээ(Trade Specialization Index), Худа лдааны түншүүдийн харьцангуй давуу тал(Comparative Advantage by Country)) ба Монголын ноолууран бүтээгдэхүүний о лон улсын өрсөлдөх чадварыг шалгах зорилгоор салбар доторх х удалдааны индекс болох (Экспорт / Импортын нэгжийн үнийн харьцаа) тулгуурлан судаллаа. Энэхүү судалгаа нь дараахь үр дагаврыг үзүүлсэн болно. Нэгдүгээрт, экспортын борлуулалтаар өндөр хувийг эзэлдэг М онгол ноолуурын дөрвөн бүтээгдэхүүн нь Хятад болон БНСУ-ын зах зээлд эрэлт ихэссэнтэй холбоотой экспортын тасралтгүй өс өлтийг харуулсан болно. Тиймээс цаашид энэ байдалыг хадга лж үлдэхийн тулд Хятад болон БНСУ-ын хэрэглэгчдийн эрэл т хэрэгцээнд нийцүүлэн өндөр чанартай олон нэр төрлийн ши нэ бүтээгдэхүүн үйлдвэрлэх, маркетингийн үйл ажиллагааг бэ хжүүлэх шаардлагатай гэж үзэж байна. Хоёрдугаарт, Хятадын зах зээлийн хувьд Монгол ноолууран дөрвөн бүтээгдэхүүнээс эмэгтэй пальто(610210) нь өндөр өрсөлдө х чадварыг үзүүлсэн ба худалдааны зах зээлд эзлэх хувь нь ха рьцангуй өндөр хувьтай, худалдааны мэргэшсэн индекс нь хар ьцангуй давуу гарсан ба экспорт импортийн нэгжийн үнийн х арьцаа нь байнга буурсан үзүүлттэй гарсан болно. Нөгөөтэйгүү р, БНСУ-ын зах зээлийн хувьд эмэгтэй цамц(610690) нь өрсөлд өх чадвар өндөр гарсан ба зах зээлийн эзлэх хувь, худалдааны мэргэшлийн индекс зэрэг нь худалдааны түншүүдийн харьцан гуй давуу байдлыг харуулсан бөгөөд экспортын нэгжийн үнэ өссөн байдалаар гарсан болно. Эдгээр үр дүн нь Хятадын зах зээлийн хувьд Хятадын эдий н засаг хурдацтай өсөхийн хэрээр тансаг хэрэглээний бараа бүт ээгдэхүүний эрэлт нэмэгдэж байгаа бөгөөд Монгол ноолуурын сонирхол татахуйц байдал Европын бүтээгдэхүүнийхээс доогуу р байгаа гэж үзэж байна. Нөгөөтэйгүүр, БНСУ-ын зах зээлийн тухайд Монгол Улс далайд гарцгүй орны онцлогоос шалтгаал ан тээвэрлэлтийн хугацаа удаан үргэлжилж, үүний үр дүнд тэ эврийн зардал өндөр тусч экспортын үнэ өсөж байгаа нь үүнтэ й холбоотой гэж үзэж байна. Иймээс Монгол Улсын засгийн г азар нь тээвэрлэлтийн талаар инфра болон хөрөнгө оруулалтын түвшинд дэд бүтцийг бий болгох шаардлагатай гэж үзэж бай на. Мөн судалгааний үр дүнд Монголын ноолуурын салбар Хятад болон БНСУ-ын зах зээлд экспортыг нэмэгдүүлэхийн тулд нэмү ү өртөг шингэсэн өндөр зэрэглэлийн бүтээгдэхүүнийг шинээр ү йлдвэрлэх түүнчлэн үйлдвэрлэлийн техник технологийг шин эчлэх шаардлагатай гэж үзэж байна. Үүний тулд Хятад болон БНСУ-ын зах зээлийн талаархи хэрэглэгчдийн судалгааг хийх, борлуулалтын суваг бий болгох, чанарын стандартыг өндөржүүл эх, загвар хийц болон өнгөөр баяжуулах зэрэг олон төрлийн хүч ин чармайлтаар Монгол ноолууран бүтээгдэхүүний олон улсын өрсөлдөх чадварыг дээшлүүлэх шаардлагатай гэж үзэж байна. Т үүгээр ч зогсохгүй гадаадын шууд хөрөнгө оруулалтыг татах хө рөнгө оруулалтын таатай орчныг бүрдүүлэхэд Монгол Улсын т өрөөс бодлогын дэмжлэг үзүүлэх хэрэгтэй гэж үзэж байна.

      • 인지 라디오 시스템에서 다중채널의 경우 협력 스펙트럼 센싱 기술

        촐롱바타르 벌러르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358

        인지 라디오(CR: Cognitive Radio) 기술은 대역 중인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를 검색하면서 사용하는 통신 기술이다. 인지 라디오 기술을 도입하는 핵심적인 요소는 2차 사용자(SU: Secondary User)가 1차 사용자(PU: Primary User)에게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주파수 사용의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1차 사용자가 해당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 빌딩 등의 전파 장애물 때문에 발생하는 페이딩, 음영지역, 잠복 터미널 등의 문제들이 있다. 이를 위해서 1차 사용자의 스펙트럼 점유,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통신 주파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대두되고 있는 인지 라디오 시스템에서 비어있는 주파수를 검출하는 기술 협력 스펙트럼 센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우리는 인지 라디오 시스템에서 협력 스펙트럼 센싱 기술을 다중 채널을 위해 제안한다. 또한 우리는 협력 스펙트럼 센싱을 위해서 CR 사용자들을 사용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센싱 시간을 줄일 것이다. Cognitive Radio is considered as a promising solution to scare spectrum probalem. The primary user object of cognitive radio is to increase spectram efficiency, while causing limited interference to primary users who are using the spectrum. Hence, an essential part of cognitive radio systems is spectrum sensing which determines whether a particular spectrum is occupied or not by a primary user at a particular time. However, sensing decision of each individual secondary user alone may not be reliable enough due to shadowing and multipath fading of wireless channels. The so called hidden terminal problem makes the problem even worse, possibly yielding undesired interference to the primary users. Recently,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is emerging as a remedy to these problems of individual sen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cooperative sensing scheme of multiple channels in a cognitive radio system.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cooperative sensing, the proposed scheme divides the cooperating users into several groups, such that each group is in charge of sensing on only a part of the channels. The proposed scheme can provide a tradeoff between the sensing accuracy and required sensing ti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