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장 조절 물질과 배지 지지물이 벼 약배양에 미치는 영향

        백소현 全北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1921년 Bergner가 Datura stamonium에서, 1924년 Clausen & Mann이 Nicotiana tabacum에서, 그리고 1926년 Gains & Aase가 소맥류 Triticum compactum에서 반수체를 발견한 이래 유전, 육종학자들은 반수체 탐색에 열을 올렸다^12). 반수체 식물을 유도하기 위하여 원연 교잡에 의한 염색체수 감수화, 방사선 처리나 이질 세포질 작용에 의한 난세포의 단위생식 유도등 여러 방법이 이용되어 왔으나, 반수체 식물을 얻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6). 1964년에 Guha & Maheshwari^7,8)가 Datura innaxia에서 화분을 배양하여 반수체 식물의 획득이 가능해진 이후, 수 많은 종에서 활발한 약배양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져 현재 총 70여속 200여 종에서 반수체 식물의 획득이 가능함이 보고 되었고^1,5), 벼에 있어서는 1968년 Nizeki & Oono^19)가 벼의 어린약을 배양하여 처음으로 식물체 재분화에 성공한 이래, 약배양에 의해 벼의 반수체를 유도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졌다^2,10,14,16,17,23,24). 약배양에서 중요한 것은 배양할 약의 적합한 시기, 모식물체의 생육환경 및 상태, 배지 조성과 배양 조건, 저온 처리 및 pollen dimorphism등 여러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지만 이들 가운데 특히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영향이 크다는 것이 알려졌고^13), 배지 지지물인 agar등도 식물체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있다^18). NAA, 2,4-D, kinetin을 단독 또는 조합 처리에 의한 배양중 소포자의 생존율, pollen dimorphism, 약당 callus 수 및 식물체 분화율의 변화와, 배지 지지물인 agar, phytagel의 첨가 농도에 따른 callus 형성 및 식물체 분화율의 변화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약간의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공시재료 : 재료는 호남작물시험장 수도 육종 포장에서 1993년 4월 25일에 파종하여 6월5일에 이앙하였으며, 시비량은 N-P₂O_5-K₂O : 15-9-11㎏ / 10a으로 시비하여 재배된 만금벼와 대청벼를 사용하였다. 배양약의 구분 : 배양에 적합한 약의 발육정도를 선정하기 위하여 1% aceto-carmine으로 염색한 후 화분의 발육정도를 조사하였다. 분류는 Sunderland & Dunwell^4)의 방법에 따라 6단계로 구분하였고, 배양 약은 1핵성 소포자기인 3 stage의 약을 사용하였다. 저온처리 : 엽이간장이 4-7㎝로 채취된 이삭줄기를 하위엽을 제거하고 상부 2-3엽은 ½정도 남긴후, 물을 채운뒤 멸균된 배양병에 비닐 봉지로 밀봉후 10˚C의 저온 항온기에서 13일간 처리하였다. 배지조성 : 배지는 N_6 기본배지에 생장 조절물질로 NAA, 2,4-D, kinetin을 Table 1과 같이 각종 농도로 조합처리 하였고, L-glutamine 250㎎/L, casein hydrolysate 1g/L와 5%의 sucross를 첨가 하였다. 배지의 pH는 5.8로 조정한 후 phytagel 0.6%를 첨가하여 121˚C의 autoclave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소포자의 생존율 조사 : 배양 소포자의 생존율 조사는 치상당일로 부터 5일 간격으로 20일 까지 배양중의 약을 꺼낸 즉시 Evans blue 2% 수용액으로 염색하여 3개의 약으로 부터 500립의 화분을 검경 하였다. 화분의 크기, 세포질의 염색정도 및 핵분열의 양상에 따라 정상화분(N화분), 이상화분(S화분), 퇴화화분( De화분)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Table 1. Combination of growth regulators to N_6 basal medium for callus induction in rice anther culture.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배지 물리성 조사 : 배지 물리성 조사는 N_6 기본배지에 생장 조절물질로 NAA 2㎎/L를 동일하게 처리하고, 배지 지지물인 agar와 phytagel의 농도를 달리하였을때 callus 형성율과 식물체 분화율을 조사하였다. 농도는 agar 0.8%, phytagel 0.4, 0.6, 0.8, 1.0 %로 하였다. 약의 치상과 배양 : 벼 이삭을 70% alcohol에 20초간 침지후 멸균된 여지 위에서 물기가 완전히 제거되도록 말린후 각 처리별로 100약 이상씩 petridish(100 x 15㎜)에 치상하였으며, 치상한 약은 26±1˚C에서 암배양 하였다. 식물체 분화 : callus 직경이 3-5㎜ 정도 자랐을 때 NAA 1㎎/l, Kinetine 2㎎/l와 L-glutine 250㎎/l, casein hydrolysate 1g/L, phytagel 0.6%가 첨가된 N_6 기본배지에 옮겨 25±1˚C에서 2000 Lux로 16시간 조사하여 배양 하였다. I. 생장 조절물질의 영향 1. 배양중 소포자의 생존정도 배양중 생장 조절물질(Table 1)에 따른 소포자의 생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Evans blue의 생체염색 반응을 이용한 소포자 생존수 조사의 결과는 표 2와 같다. 활력이 있는 소포자는 염색이 되지 않아

      • 바이오 안전성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정성 논의를 중심으로

        백소현 중앙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생활을 보다 윤택하고 안전하게 만들었으나 그로 인한 위험을 제기하기도 했다. 특히 생명공학기술이 인류의 과제인 식량과 질병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는 기대감과 동시에 그것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그것이다. 과학이나 기술은 절대적으로 아무런 위험이 없는 것을 만들어 낼 수 없기 때문에 현대문명의 혜택을 누리려면 얼마간의 위험을 감수하지 않을 수 없다. 또 같은 위험이라 하더라도 각 사회의 정치 문화 경제 과학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 게 된다. 최근 국내외에서 이슈가 된 유전자변형생물체는 위해하다는 과학적 판단이 어려워 그 혜택보다는 위해성에 초점이 두어지고 있다. 미국과 EU는 이 같은 점에 있어 상이한 태도인데, 그러한 차이로 인해 통상마찰이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리에 대한 미국과 EU의 정책과 법에서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성 논쟁의 의미와 현재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유전자변형생물체는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위해한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수용여부는 윤리 문화 경제적 이유에 의해 달라 질 수 있다는 찬반논쟁으로 비화하고 있다.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관리에 있어 미국과 EU는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다. 이 같은 차이는 호르몬 소고기 분쟁의 경우와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호르몬소고기 분쟁이 현재 WTO에 상정된 유전자변형생산물 금지조치에 대한 패널의 결정에 선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상세히 분석하였고, 미국과 EU의 유전자변형생물체를 관리하는 규제체계에 대한 비교법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유전자변형식품의 경우를 예로 들면 미국은 유전자변형식품을 기존의 식품과 동일하다는 실질적 동등성 개념에 입각한 관리를 하고 있다. 따라서 유전자변형식품을 관리하는 특별법이나 특별행정기관을 두고 있지 않고 국민적 반감도 적다. 또한 표시제에도 소극적 태도이다. 반면, EU는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한 신중한 태도로 철저한 규제를 하고 있다. 이 같은 EU의 복잡한 규제체계는 유전자변형생산물 금지조치라는 결과를 가져와 세계무역기구 규범과 마찰을 빚고 있다.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리는「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동 법률은,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을 규제하기위한 국제법인 카르타헤나 의정서의 이행법률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카르타헤나 의정서 체결을 계기로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한 국제적 논의는 이 의정서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어, 이 의정서의 핵심조항을 분석하였다. 바이오 의정서는 환경조약이면서 유전자변형생물체 국가간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통상규범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현존하는 국제무역 규범들은 유전자변형생물체와 그 생산물의 국가간 이동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대처하도록 설립된 것이 아니다. 이것은 세계무역기구를 기준으로 할 때, 의정서 규범과 WTO 규정이 상충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검토하였다. 유전자변형생물체에 관한 국제법적 비교 분석을 통해 위험을 인식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정책과 법은 상이하나, 결국은 경제적 이해관계에 바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위해성 판단은 이미 우리의 인식수준을 넘고 있어 국가마다 이를 관리하는 법 제도 차원에서 논의 되는 문제가 된다. 또 이 같은 국내의 정책과 법 제도의 차이가 국제무역문제로 비화되는 것이기 때문에 국제법규와의 조화도 필요한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해 우리나라가 생명공학을 발전시키고, 그에 수반 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상반된 정책의 균형을 위해서는, 단순히 국제법규의 이행을 위한 것이 아닌 사회구성원간의 합의를 위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과 현재의 유전자변형생물체 수입국의 지위로서만이 아니고 생명공학기술 보유국의 입장에서도 대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부각시키고자 국제법적 비교 분석을 하였다.

      •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NCS기반 교육과정만족도가 진로탐색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 자기효능감 및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소현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급속히 변화되는 산업기술의 진보로 산업 수요에 맞춤형 인재를 양성ㆍ공급하기 위해서 지식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통합된 지식, 기술, 태도가 연계되는 능력 중심 교육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런 시대적 변화에 맞춰 국가에서는 산업사회에 적합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능력 중심 사회를 위한 여건조성”의 핵심사업으로 개발한 것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다. 특성화고의 미용과 또는 미용고등학교 학생들이 NCS기반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미용 산업의 실무적인 지식과 경험을 하면서 자기 자신이 할 수 있다고 믿는 개인적 신념인 자기효능감(Bandura, 1977)을 키워나갈 수 있는 것인지 파악하고, 이론적 지식이 아닌 실무적인 지식을 배우며 다른 교육과정보다 진로정체감을 확립하는데 NCS기반 교육과정이 도움이 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NCS기반 교육과정 인식도를 분석한다. 둘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NCS 기반 교육과정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 미용 전공만족도, 진로탐생색 행동의도에 대해 분석한다. 셋째, NCS기반 교육과정 만족도가 자기효능감, 미용전공만족도, 진로탐색행동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넷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미용전공 만족도, 진로탐색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전공만족도가 진로탐색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섯째, 미용특성화고등학생들의 NCS기반 교육과정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 미용 전공만족도와 진로탐색 행동의도와 영향관계 연구하였다. 2016년부터 현재까지 미용특성화고에서 NCS기반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는 경기, 서울지역의 특성화고에 재학 중인 400명 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2018년 12월 12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설문을 실시하고, SPSS Win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기반 교육과정 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NCS기반 교육내용 만족도, NCS기반 교육방법 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기반 교육과정 만족도가 미용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내용 만족도와 NCS기반 교육방법 만족도가 미용전공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NCS기반 교육과정 만족도가 진로탐색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NCS기반 교육방법 만족도는 진로탐색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 만족도는 진로탐색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이 미용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미용전공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용전공 만족도가 진로탐색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용전공 만족도는 진로탐색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NCS기반 교육과정을 수행하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학생진로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 활용할 수 있으며, NCS기반 교육과정의 만족도, 자기효능감, 미용전공만족도, 진로탐색 행동의도는 NCS기반교육과정이 현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교육효과와 인식면에서 가치가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NCS기반 교육과정의 효과를 검증하고 실효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개선해나가야 할 방향을 잡는 것이 중요하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진로탐색 행동의도와 관련한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하여 심도 있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Because of rapidly changing industrial technologies, it is required to shift away from knowledge-oriented education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from which integrated knowledge, technologies and attitudes are connected together in order to cultivate and supply people of talent who are customized to industrial demands. In line with these changes in the times, the government developed a key project of "creating conditions for the competency-based society" to cultivate professional manpower for the industrial society, and that is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if the students studying beauty at characterization high schools or the students at beauty high schools once completed their NCS-based curriculum, then it would be possible for them to grow the self-efficacy as their personal conviction to believe in they can do it on their own(Bandura, 1977) while they are getting practical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the beauty industry, and look at whether or not the NCS-based curriculum is more helpful for them who are engaged in studying practical knowledge rather than theoretical knowledge to establish the identity in their career than that of any other curriculum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first,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urveyed and their awareness of the NCS-based curriculum. Second, it analyzed their satisfaction & self-efficacy of the NCS-based curriculum, their satisfaction of studying beauty, and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by the students at beauty characterization high schools. Third, it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satisfac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and their self-efficiency, their satisfaction of studying beauty, and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Fourth, it analyzed the impact of self-efficiency by the students at beauty characterization high schools on their satisfaction of studying beauty,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and the impact of their satisfaction of studying beauty on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Fifth, it looked into the influencing relation among their satisfac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their self-efficiency, their satsfaction of studying beauty, and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by the students at beauty characterization high schools so to figure out whether or not the education practically needed for the industrial setting is performed well through the NCS-based curriculum and how it affects on the students'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For the purposes described abov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the period from Dec.12, 2018 to Dec.31, 2018 of 400 students who were attending characterization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Seoul area, where the NCS-based curriculum has been conducted until today since 2016 and analyzed to verify the results in use of SPS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from analyses are as in the followings: First, as the result from the impact analysis of their satisfac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on their self-efficiency, it showed that their satisfaction of the NCS-based education contents & method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ir self-efficacy. Second, as the result from the impact analysis of their satisfac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on their satisfaction in studying beauty, it showed that their satisfaction of the NCS-based education contents & method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in studying beauty. Third, as the result from the impact analysis of the NCS-based curriculum on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it showed that their satisfaction of the NCS-based education method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while their satisfaction of the NCS-based education content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Fourth, as the result from the impact analysis of their self-efficacy on their satisfaction in studying beauty, it showed that their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in studying beauty. Fifth, as the result from the impact analysis of their self-efficacy on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it showed that their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Sixth, as the result from the impact analysis of their satisfaction in studying beauty, it showed that their satisfaction in studying beau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will be able to use as the basic material for the career guidance of students by identifying the structural causality among those factors influencing the determination of their career path, and that their satisfac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their self-efficacy, their satisfaction in studying beauty, and their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have an important value for the current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practical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their awareness of it.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NCS-based curriculum and identify its practical effectiveness for taking the course how to improve it in the future, and it is required of in-depth follow-up studies including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the behavior intention of career explorat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대학환경풍토지각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백소현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지능, 대학환경풍토지각의 정도를 알아보고 정서지능과 대학환경풍토지각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정서지능과 대학환경풍토지각, 대학생활적응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들의 정서지능과 대학환경풍토지각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정서지능의 영향이 대학환경풍토지각에 의해 매개되는가? 충남에 있는 H대학교 남녀학생 38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정서지능 척도, 대학환경풍토지각 척도, 그리고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포함한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대상으로 SPSS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MOS 20.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정서지능, 대학환경풍토지각,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서지능은 대학환경풍토지각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환경풍토지각 요인 중 사교지향성이 정서지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서지능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의 요인 중 정서조절이 대학생활적응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환경풍토지각도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환경풍토 요인 중 사교지향성 요인이 대학생활적응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는 대학생의 성별과 학년이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요인 중 정서조절, 정서표현, 감정이입이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환경풍토지각 요인 중 사교지향성과 예절지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정서지능이 대학환경풍토지각 요인 중 사교지향성에 영향을 주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지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대학생활에 적응을 더 잘하는데,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들이 자신의 대학환경풍토를 더 사교지향적으로 느끼기 때문임을 시사한다. 주요어 : 정서지능, 정서조절, 대학환경풍토지각, 사교지향성, 대학생활적응

      • 협동조합주택의 커뮤니티공간 형성에 관한 연구

        백소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함께 살아가면서 생기는 공동체 문화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공동주택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협동조합주택을 살펴보고, 거주자들의 단절된 공동체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마련된 커뮤니티공간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각 주거에서 나타나는 커뮤니티공간의 건축구성방법을 비교 및 분석하여 이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협동조합주택에서 커뮤니티공간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인 ‘커뮤니티공간(Community Space)’을 통해 협동조합주택에서 다양한 활동들이 이루어지면서 거주민과 그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도 이루어질 수 있는 사회적 공간으로 활용된다. 현재 협동조합주택의 사례에서 볼 수 있는 커뮤니티공간을 커뮤니티 구성요소에 따라 살펴보았으며 건축구성공간을 중심으로 커뮤니티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협동조합주택의 커뮤니티공간은 3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이는 거주민전용 커뮤니티공간, 교류형 커뮤니티공간, 오픈형 커뮤니티공간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둘째, 협동조합주택의 커뮤니티공간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1) 저층부 공유를 통한 사회적 교류 형성 ● 주변 대지의 특성에 따라 건물 규모에 영향을 주며, 외부환경을 대지 안쪽으로 끌어들여 사회적 교류 형성 ● 협동조합주택의 다양한 커뮤니티공간을 통해 공간을 공유하고 서로 다른 성격의 공간을 연결 2) 연계정도에 따른 커뮤니티공간 계획 ● 협동조합주택은 지역-주거와의 연계 정도에 따라 커뮤니티공간의 진입방법과 범위가 결정 ● 지역과의 연계: 출입구와 동선을 분리하여 자유로운 진입 가능 ● 주거와의 연계: 공동체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는 내부친밀형 사회적 교류 발생 3) 공동체 성격의 다양성을 지원하는 공간 형성 ● 거주민과 건축가 사이의 소통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커뮤니티 형성 ● 특정한 목적 달성 위해 모인 공동체가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특성에 맞는 공간 계획으로 거주자가 만족감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공간을 사용 이상의 결과로, 협동조합주택은 거주민들의 공동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커뮤니티공간 형성이라는 물리적인 공간이 중심이 되어, 공동체적인 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거주민들 사이에서 사회적 교류활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특성들은 서로 연관이 있으며, 이를 통해 종합적인 건축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과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협동조합주택의 커뮤니티공간 형성에 대한 기초적인 특성을 도출하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도출된 특성은 현재 집합주택에서 나타나는 커뮤니티 부족이라는 문제점에 대응하는 건축공간 구성방식이라는 것을 확인한 기초 연구로 공동체를 활성화 시키는 건축공간적 특성으로서 결론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앞으로 협동조합주택의 사례수가 늘어남에 따라 후속 연구로 협동조합주택만의 커뮤니티공간에 대한 연구의 진행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교 영어교과를 위한 온라인 개별 학습 시스템 설계 연구 : 원격 교육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백소현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첨단 교육정보 시스템의 발달로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은 교육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많은 학습자들이 학교 교육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학습자 개개인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원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내용과 방법은 옛 것을 고수하면서 단순히 첨단기술만을 이용한다고 해서 교육효과의 향상을 가져오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대상으로서 초등학교의 영어교과에 관한 온라인 개별 학습 시스템의 설계방향 및 내용 구성을 도출하여 앞으로 이루어질 많은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현재 우리 나라 초등학생 영어과목 사교육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 유형의 원격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 개별방문지도와, 국내외의 온라인 통신 학습을 분석하여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영어 교과 능력 향상을 지원할 수 있는 온라인 원격 개별학습 시스템의 설계방향 및 내용구성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시스템의 기본 설계 방향 및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매일 스스로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 아무리 교육적인 효과가 뛰어난 프로그램이라 하여도 학습자 스스로의 능동적인 참여가 없이는 어떠한 교육적 효과도 기대하기가 어렵다. 둘째, 영어 학습은 기초 능력의 습득이 중시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학습자들의 능력과 학습수준에 적절한 학습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새롭게 추가된 교과학습이므로 학습자에 따라서 선수능력에 많은 차이가 예상된다. 따라서 모든 학습자들에게 동일한 학습내용을 제시하거나 학습활동을 요구하는 것은 매우 무리다. 넷째, 학습자의 학습활동이 제대로 관리되어야 한다. 영어 학습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학습 문제 사항이나 결손이 예상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도움이 제공되어야 하며, 정기적인 학습이 적정 수준만큼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관리하여 학습에 대한 적절한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매일 일정 분량의 학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학습의 관리는 학습자들의 학습목표 달성을 확인하고 동기 유발을 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초등학교 학습자들이 바람직한 영어 학습 습관을 갖도록 하는 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섯째, 학습을 위한 시스템의 활용이 편리하여야 한다. 새로운 매체를 이용한 학습에서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은 교육내용 보다 시스템 활용을 익히는 데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특히 언어 학습과 같이 다양한 활동이 요구되는 학습 프로그램에서는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활용이 지나치게 어려워질 수 있다. 여섯째, 개별적인 학습활동과 온라인을 이용한 협동학습을 적절히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장점을 충분히 살린다. 또한 교육 내용 면에 있어서는 기존의 영어 교재들의 분석과 더불어 영어교육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해 영어를 처음 접해보는 초등학생들에게 적절한 주제들로 구성하고 구체적인 학습내용목록을 제시해 줌으로써, 초등학생 영어교과를 위한 온라인 개별 학습 시스템을 개발할 때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교과 내용 목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홍차 주전자 개발에 관한 연구

        백소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ea is more than a beverage. It has contributed greatly in making of history of world, and formed a culture. Once, it was exclusive to royal members and aristocrats but, now it has become a part of our daily lives. Historically, there always were people fascinated with black tea, and now in today’s world, where there is no hierarchy in society after industrialization, anyone can enjoy any kinds of food they want, and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s, the tea market has expanded greatly. As a result, more and more people are enjoying black tea today. Black tea was loved for centuries, and many methods to brew and drink black tea were developed throughout the time. Now, it is a beverage enjoyed by many people regardless of age and sex, and people drink black tea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o maintain health, to enjoy the fragrance and taste, or to take a short break during a busy day. Black tea is available in various levels of fermentation, and there also are many ways to brew and drink. There also are various level of jumping for tea leaves during the process of blending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amount of water and amount of oxygen while brewing. In Korea, more than half of the tea lovers choose and enjoy black tea but, tea utensils for black tea are not very common, and most are being imported from abroad. Thus,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teapot design suitable for black tea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black tea and methods of brewing and drinking. The final design consists of a round body and a spout in a shape appropriate to pour out brewed tea with a dome-shaped lid.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newly designed teapot for black tea and imported teapots, it will be decorated with patterns inspired by traditional paintings containing the sprit and identity of Koreans. Motifs from traditional flower and bird paintings, grass and insect paintings and cat and bird paintings will be modified to more modern compositions and colors to be introduced to the teapot. It is the author’s personal hope for the new teapot design will become a brand loved by the world. 단순한 음료를 넘어 세계의 역사를 만들고 당대의 문화를 선도했던 차(茶)는 왕실과 귀족의 전유물에서 시간이 흘러 현대에는 우리 생활의 일부로 자리매김하였다. 오래전부터 홍차에 매료되었던 이들 외에도 산업화이후 계급이 사라짐에 따라 누구나 차별 없이 취향에 따른 식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되었고, 여유로워진 삶에 차 시장이 커져가면서 자연스럽게 홍차를 즐기는 이들도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몇 세기에 걸쳐 많은 이의 사랑을 받는 동안 홍차의 음용 방법도 여러 방식으로 발전하여 남녀노소 즐길 수 있는 음료가 되었고 현대에는 건강을 위해서 바쁜 일상 속에 잠시의 휴식을 위해서 향긋한 향내와 그 맛을 느끼기 위해서 다양한 목적으로 홍차를 마시고 있다. 홍차는 다른 차들과 비교하여 발효 된 정도가 차이가 있고 즐기는 방식이 다양하여 사용되는 물의 온도나 양, 우려내는 과정에서의 산소의 양과 블렌딩(blending)되는 과정에서 찻잎이 점핑(jumping)되는 정도 등이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도 차를 마시는 사람들의 절반이상이 발효차인 홍차를 선택하고 즐기고 있지만 홍차 차 도구는 보편화 되어있지 않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차가 지니는 성질과 특성, 음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에 알맞은 형태를 지닌 새로운 주전자를 디자인하여 제시하려한다. 둥근형태의 몸통과 출수에 적합한 주구로 디자인 되었으며 돔형식의 뚜껑으로 계획하였다. 새롭게 디자인 된 홍차주전자에는 외국의 홍차주전자와 차별 될 수 있도록 우리의 정체성이 담겨있는 민화를 모티브 삼아 장식할 예정이다. 민화에서 자주 보이는 화조화, 초충도, 묘작도를 현대적인 구도와 색으로 재구성하여 그려 넣을 계획이다. 제시 된 한국적인 홍차 주전자가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인의 사랑받는 브랜드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