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J. C. Bach 건반 소나타 Op. 5와 Op. 17 연주법 연구 : 장식음 연주법 중심으로

        박미숙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Existing studies on ornamentations are mostly limited to those on the ornamentations of the Baroque period and of the improvisation and there seems to be no research on the ornamentations of the Galant Styl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galant ornamentations to performers who plays the galant music and to be helpful for them to play the Pre-classical music correctly and rightly. In this research, quote; “Essay on the True Art of Playing Keyboard Instruments” of C. Ph. E. Bach (1714-1788), "Anleitung zur Singkunst" of J. F. Agricola (1705-1782), “The Clavier Playing Instruc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or the Guidelines for Clavier Playing or Instructions in Playing the Clavier for Teachers & Students” of D. G. Türk (1750-1813), “The Interpretation of the Music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of Arnold Dolmetsch (1858-1940). By using them as the guidances of this study, some rules about interpretation of ornamentations extracted. Used, Sonata in B♭, Op. 5, No.1, Sonata in D, Op. 5, No. 2, Sonata in E♭, Op. 5, No. 4, Sonata in G, Op. 17, No. 1, Sonata in c, Op. 17, No. 2 and Sonata in E♭, Op. 17, No. 3 by J. C. Bach in the Pre-Classism as materials of this research.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namentations and how to play them, the interpretation rules derived from the guidances of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the mid-18th century ar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ornamentations, presented in J. C. Bach's Op. 5 and Op. 17.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galant ornamentations are used to change or reproduce the themes by changing melodies and harmony. Also, to overcome week points about sounds of the pianos at that times, the ornamentations are used as maintaining sounds and emphasizing rhythms  The correct performance of the Galant Style must be preceded with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ornamentations. That is, the rated performance could be played after the correct interpretation.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lay some foundations to understand the galant ornamentations correctly and to reproduce the music of Galant period rightly.

      • Clinicopathologicalsignificance of phospholipase C gene in normal karyotype acute myeloid leukemia

        박미숙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Phospholipase C (PLC) isozymes are widely distributed in mammal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ath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cancer, as well as cell growth and signaling system function. Although associations between various cancers and PLC have been described in previous studies, there are few PLC-related studies on normal karyotype acute myeloid leukemia (NK-AML).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pathology of PLC gene expression in NK-AML patients and sought to determine whether PLC expression can be used as a biological index related to a molecular prognosis. The test samples were obtained from 101 patients with NK-AML at Hwasun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PLC expression levels of the NK-AML cells were determined by using a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reaction (qRT-PCR) method to identify the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PLC isozyme gene. In additi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HCS) was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biopsy specimens. After determining the optimal cutoff value via survival analysi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for previously reported prognostic markers: NPM1 mutation and FLT3-ITD, BAALC, and WT1 expression levels. The PLC-β2 and PLC-XD1 genes were selected as indicators of the expression level of the PLC isozyme gene in the leukemia cell line. In a comparison of the expressions of the two selected genes in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NKAML patient group, only the PLC-β2 gene was significantly lower in NK-AML patients. The 2-ΔΔCq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s of PLC-β2 and PLC-XD1 were lower in NK-AML patients than in the normal controls. IHCSbased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relative to the PLC-β2 low-expression group, the PLC-β2 high-expression group had a superior OS (72.6% vs. 26.5%; P =0.016) and a lower hazard ratio (0.453; P = 0.019). PLC-XD1 showed overall weaker IHCS results, and the PLC-XD1 high-expression group had a lower survival rate than that in the PLC-XD1 low-expression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qRT-PCR test results showed that PLC-β2 and PLC-XD1 gene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K-AML patients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well, the IHCS and protein survival rate results showed that PLC-β2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expression group than in the lowexpression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undergoing normal-level PLC-β2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may be increased in patients with NK-AML.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fully elucidate the functions and action mechanisms of PLC-β2.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LC-β2 may be a useful prognostic PLC biomarker in clinical pathology and can form a basis for further PLC-related studies in NK-AML patients

      •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권리인식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대인식의 조절 및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미숙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권리인식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대인식의 조절 및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미숙 (응급전문간호 전공) (지도교수: 조정현)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권리인식, 아동학대인식, 아동학대 신고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아동권리인식과 아동학대 신고의도의 관계에서 아동학대인식의 조절 및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10개의 응급실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자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지에 동의한 123명의 간호사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8월20일부터 2020년 9월 3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LSD 사후검정, 피어슨 상관계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여자가 107명(87.0%), 남자가 16명(13.0%)였고, 연령은 평균 30.12±6.23세로 26-30세 49명(39.8%), 25세 미만 31명 (25.2%), 31-35세 21명(17.1%), 36세 이상 22명(17.9%)순이었다. 학력으로는 4년제 대학 졸업이 78명(63.8%), 전문대학 졸업이 42명(34.1%), 대학원 졸업 이상이 3명(2.5%)이었다. 응급실 근무경력은 평균5.05±4.42년이고, 근무년수 4년 미만이 57명(46.3%), 4년 이상 7년 미만이 35명(28.52%), 7년 이상이 31명(25.2%)이었고, 결혼상태는 미혼이 99명(80.5%), 기혼 24명(19.5%)이었다. 이 중 자녀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13명(54.2%)이었다. 아동학대 교육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07명(87.0%)이고 교육 경험이 없다는 대상자는 16명(13.0%)이었다. 2. 대상자의 아동권리인식 정도는 총 200점 만점에 177.88±16.53점이었으 며, 아동학대인식 정도는 총 30점 만점에 24.45±5.38점, 아동학대 신고 의도 정도는 총 56점 만점에 47.02±5.98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권리인식, 아동학대인식, 아동학대 신고의도의 정도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수준 0.05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대상자의 아동권리인식과 아동학대인식(r=.35, p<.001), 아동권리인식 과 아동학대 신고의도(r=.41, p<.001)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즉 아동권리인식이 높을수록 아동학대인식과 아동학대 신고의도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인식과 아동학대 신고의도(r=.41,p<.001) 또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아동학대인식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신고의도도 높았다. 5. 대상자의 아동권리인식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 학대인식의 조절 및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권리인식과 아동학대 신고의도 간의 관계에서 아동학대인식이 높으면 영향의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학대인식은 아동권리인식과 아동학대 신고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아동권리인식의 교육제공과 더불어 아동학대인식에 대한 강화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응급실 간호사, 아동권리, 아동학대, 인식, 의도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미숙 총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on on infant '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 's parenting efficac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fant' 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mother and child?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 's parenting efficac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fant' 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Third,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on on infant'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9 infants and their mothers who attended day care centers in G district of S city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13 to November 20, 2017 by survey and we analyzed the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e research instrument used was the scale of Lee, Kyung-Ha(2009), who adopted the Toddler Care Questionnaire Gross and Rocissano(1988), In order to examine th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we used Anrali(2005) translation of the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FEQ) developed by Halberstadt(1986). In addition, we used the rating scale of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Kim Ho-in (2010) to examine infant'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NA test using SPSS 16.0 program, Scheffe test by post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efficac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participation time, and academic background. Parenting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parenting tim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and parenting time. Infant '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attainment and parenting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mother who is younger than 29-44 years old is more active and interested in knowledge about child rearing.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result of the mother's academic attainment, but the higher the level of mother's academic attainment, the more affirmative and receptive attitude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in infant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f infants, the overall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showed a statistically correlated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parenting efficacy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In contras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overall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the infant. Thir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infant '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nurture healthy and communication abilit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 showed a negative effect and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conclusion,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seem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in infants,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grow the children healthy in social, emotional aspect, various education programs which could improve parenting efficacy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re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자녀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S시 G구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들과 그들의 어머니 269명이며, 2017년 11월 13일부터 11월 20일 사이에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Gross와 Rocissano(1988)의 걸음마기 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Toddler Care Questionnaire)를 번안한 이경하(2009)의 척도를 그대로 사용하였고, 정서표현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Halberstadt(1986)가 개발한 가정에서 정서표현 질문지(Family Eml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FEQ)를 안라리(2005)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알아보기 위해 김호인(2010)의 사회정서발달의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과 ANOVA검증, 사후검증으로 Scheffe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살펴본 결과 연령, 양육참여시간,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은 연령과 양육참여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정서표현성은 학력과 양육참여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은 학력, 양육참여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연령이 만 29-44세 미만인 어머니가 자녀 양육에 대한 지식에 더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고 적극적임을 알 수 있으며, 어머니의 양육참여시간이 많을수록 부정적 정서표현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어머니의 학력에서 미묘한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로 학력이 높을수록 보다 애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 간의 각각의 하위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전체는 양육효능감 전체,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회정서발달에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은 정적인 영향을, 교육은 부적 영향을,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이와 같은 결과는 자녀가 사회·정서 적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고 긍정적 정서표현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서울지역 공공병원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 영향요인 연구

        박미숙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자원봉사활동이 사회적으로 높은 관심과 더불어 일반화되고 있으며,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자원봉사활동은 공공병원으로까지 확대되면서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민간병원과 달리 공공병원은 병원의 재정과 관리의 체계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직접적인 영향 하에 운영되어지므로 공공병원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에게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는데(정춘화, 2003; 고민석, 2008), 이러한 문제점은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의 지속성과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병원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병원에서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지속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과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을 통해 지속성과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총체적인 특성을 찾아내어 자원봉사자들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선행연구의 이론을 바탕으로 임파워먼트는 Thomas & Velthouse(1990)의 의해 제시되고 Spreitzer(1995)에 의해 타당성이 입증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성, 영향력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이 변수들에게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자원봉사자의 조직특성은 리더십, 보상체계, 교육과 계발기회 등으로 구분하였고, 업무특성은 과업다양성, 과업중요성, 활동자체특성, 역할특성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개인특성은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대인통제로 구분하였다. 표본조사는 시민을 상대로 비교적 자원봉사가 잘 운영되어진 서울지역 6개 기관의 공공병원 460명의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28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09년 7월 27일부터 8월 2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조사결과는 SPSS를 통한 신뢰도 검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자료를 활용하였다. 공공병원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한 조직특성요인, 업무특성요인, 개인특성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를 종속변수로 하는 분석 결과,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변수는 업무특성의 과업다양성, 과업중요성, 활동자체특성 변수와 개인특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 대인통제변수로 나타났다. 둘째는 조직특성요인, 업무특성요인, 개인특성요인과 임파워먼트의 의미성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변수는 업무특성의 과업중요성, 활동자체특성 변수와 개인특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 변수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의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유의미한 변수는 업무특성의 과업중요성과 활동자체특성 변수와 개인특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유의, 면 유의변수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자기결정성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변수는 업무특성의 과업다양성과 과업중요성 변수와 개인특성의 자기통제와 대인통제변수로 나타났고,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변수는 조직특성의 자원봉사관리담당자의 리더십 변수와 업무특성의 과업중요성, 활동자체특성 변수, 개인특성의 대인통제변수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병원자원봉사자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유의미한 변수는 업무특성의 과업다양성, 과업중요성, 활동자체특성 변수와 개인특성요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 대인통제변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들의 지속성과 만족도는 임파워먼트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며, 더욱더 효과적인 임파워먼트의 개입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며, 임파워먼트의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 될 필요가 있어야 될 것이다.

      • 노인이 인지하는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박미숙 청주대학교 사회복지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노인이 인지하는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급격한 고령화의 사회변동을 겪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노인이 원만한 가족관계를 유지하고 보다 나은 질 높은 성공적 노화의 삶을 살아가는데 지표가 될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42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15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상관관계, t-검증, 일원변량분석(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영역별 성공적 노화의 차이 정도를 t-검증과 변량분석(ANOVA)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건강상태, 경제능력, 학력, 자녀수, 종교,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능력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년기 가족관계와 성공적 노화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 부부관계에서 부부결속도, 의사소통과 성공적 노화의 신체적 측면, 심리적 측면, 사회적 측면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관계에서 역할수행과 성공적 노화의 신체적 측면, 심리적 측면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측면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성인자녀관계에서 접촉적 결속도, 기능적 결속도, 일치적 결속도, 애정적 결속도와 성공적 노화의 신체적 측면, 심리적 측면, 사회적 측면 간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제․자매관계에서 정서적 지원, 경제적 지원, 서비스 지원과 성공적 노화의 심리적 측면, 사회적 측면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지원과 성공적 노화의 신체적 측면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기 가족관계가 영역별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한 결과, 노년기 가족관계에서 부부관계, 성인자녀관계, 형제·자매관계 모두가 영역별 성공적 노화의 신체적 측면, 심리적 측면, 사회적 측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부부관계에서 부부결속도가, 성인자녀관계에서 애정적 결속도가, 형제․자매관계에서 정서적 지원이 성공적 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입증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에서 노년기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 밝혀진 만큼 성공적 노화를 위해 노년기 가족관계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재정립할 수 있는 노인문화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성공적 노화가 각기 다른 사회적, 문화적 가치에 따라 결정되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과거의 생물학적 혈연관계에 있는 가족관계의 성공적 노화를 연구하는데 그치지 않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문화가 공존하는 현시점에서 전통적 가족관계를 포함한 다양한 관계의 가족구조와 가족기능을 한국실정에 맞게 포괄적으로 수용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노년기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학제 간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 우리나라 등산산업 현황과 발전방안

        박미숙 목포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등산산업을 생산 지향적 산업으로 패러다임 변화를 추구하며, 등산산업 발전을 위한 광범위한 전망과 대안들을 수집하고 전략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등산산업 분야 전문가 및 등산관련인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등산산업의 현황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의 주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대상 2차 설문은 문제점 개선방안과 발전방안의 실천과제 도출을 위해 이루어졌다. 심층면담 결과 도출된 실증적 검증을 위해 등산관련인 37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하였다. 심층면단 결과는 내용분석과 선택적 코딩을 하였으며, 등산관련인 인식조사 결과는 SPSS WIN Ver.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산산업 현황 조사 결과 스포츠 클라이밍 짐(GYM) 시설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시설의 규모가 대형화·체인점화 되는 추세이다. 스포츠 클라이밍은 2020년 도쿄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올림픽 이후 생활체육으로 대중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등산용품 시장은 포화상태 후 수요에 맞는 시장으로 조정하고 있으며 질적인 성장을 이룰 것으로 관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산 용품 브랜드보다 해외 유명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등산교육은 전문등반 교육을 중심으로 오랜 기간 검증을 거치면서 발전하였으나 생활인 등산교육 기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등산교육으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였다. 등산관광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지속 발전이 기대되는 산업 분야이다. 둘째, 등산산업 문제점 연구 결과 스포츠 클라이밍이 위험하다는 인식이 대중화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점 개선방안으로 미디어를 통한 짐(GYM)의 안전성 홍보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안전대책이 미미한 문제점 개선방안은 안전교육 이수 제도 마련을 제시하였다. 국산 등산용품 브랜드는 제품 개발보다 해외 유명 브랜드 디자인을 모방하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해외 유명 브랜드에 견주어 등산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개선방안으로 등산용품 개발 및 기획자의 등산 전문성 향상을 중요 순위로 제시하였으며, 등산학교를 통한 교육과 수준 있는 등산 활동을 하는 사람 중에서 용품 개발 및 기획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채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고액의 유명 연예인 광고는 가격거품의 요인으로 등산 활동에 필요한 기능성을 홍보하는 광고로 전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교육은 지도자에 따라 교육내용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표준화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지도자 임금 기준이 없어 학교마다 임금 지급 기준이 다른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등산지도자 자격을 국가공인 자격으로 전환하여 임금체계를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등산교육비 지급에 대한 인식 부족 개선방안으로 수요자 중심의 교육내용과 시설환경 개선이 중요 순위로 도출되었다. 등산대회는 관중을 동원하지 못하여 스폰서의 외면을 받는 문제점이 드러나, 이를 개선하기 위해 미디어에 노출이 되도록 전략적인 기획이 필요하고, 대중이 참여하는 동호인 대회등을 개최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스포츠 클라이밍 선수 처우 개선이 필요하며, 개선방안으로 스포츠 클라이밍 대중화가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등산산업 발전방안 연구 결과 스포츠 클라이밍 대중화를 위해 짐(GYM) 이용료를 인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요자 중심의 세분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리그전 등을 통한 동호인 교류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클라이밍을 생활체육으로 확산하기 위해 지자체 체육시설에 인공암벽 시설 조성이 필요하며, 청소년 스포츠 활동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교수 능력을 갖춘 전문지도자 양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용품업 발전을 위해서는 제품의 차별성으로 시장을 개척해 나가야 하며, 품질을 높이는 노력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개발에 있어 기능성 향상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제품의 등산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등반가로부터 필드테스트 등의 자문을 받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에 있어서 대중이 참여하는 등산이벤트로 브랜드를 홍보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유통구조 개선으로 가격거품 해결을 도모하고, 온·오프라인 방식의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다. 등산교육업 발전을 위해 교육비 지불에 대한 인식 부족을 해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등산교육기관이 유료교육 형태의 아카데미로 전환이 필요하며, 국가인증 평생교육 기관으로 발전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교육학으로 학문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와 교육과정 표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등산과 운동생리학, 등산과 인문학 등으로 다 학문 간 연계가 필요하다. 등산지도자는 등산기술 뿐만 아니라 교수 능력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등산교육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으며, 등산교육기관을 소개하는 대중매체 확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등산서비스업은 등산 활동 활성화가 우선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등산과 산림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융·복합 휴양단지 조성, 지역 축제와 등산관광 연계 등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관광업은 앞으로도 성장 가능한 산업이며, 등산가이드 자격제도 마련이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mountaineering industry and collect a wide range of alternativ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untaineering industry.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mountaineering industry, identified problems, sought improvement measures, and presented development strategies accordingl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xperts in the mountaineering industry and mountaineering-related peopl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were used for methodolog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32 experts for the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interview,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ded on problem solutions and action plans of development methods in the mountaineering industry. For the quantitative study,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with 370 mountaineering-related people to empirically test the qualitative study.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WIN Ver. 23.0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Fin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mountaineering industry in Korea was examined. The business of sports climbing facilities was increased by increased population of sports climbing and facilities reached the world level. After the quantitative expansion, the mountaineering goods market was adjusted to meet the demand. Foreign famous brands led the market rather than Korean brands, but the qualitative growth of domestic brand was expected. Although professional mountaineering education was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mountaineering education, there were few opportunities for life mountaineering education. It was assumed that the demand for mountaineering education for young people would steadily increase. Second, the problems of the mountaineering industry were examined. The safety of gym should be publicized through media because the perception that sports climbing was dangerous delayed its popularization. Also, a safety education completion system was needed to improve the safety measures of gym. The problem of safety accidents caused by manager's absence was suggested in the artificial climbing wall in the local government. Domestic mountaineering goods brands imitated foreign famous brands’ design rather than developed their own products. Moreover, it was recognized that the expertise of domestic brands was lower than that of foreign famous brands. To solve these problems, it was proposed to hire people who could develop and plan mountaineering goods among mountaineering activists to improve the expertise of mountaineering developers and planners. It was indicated that the high advertisement guarantee of star performers was the factor of price bubble. Thus, advertisement should contain mountaineering goods which are actually used in climbing activities. As mountaineering education had a difference in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instructors, a standardiz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Because there are no wage standards for mountaineering instructors, mountaineering instructor qualification should be converted into national authorized qualification and wage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To actualize the cost of mountaineering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provide consumer-focused contents and improve facility environment. As mountaineering contests that focused on elite players had only players and related people without spectators, it obstructed its popularization and sponsor’s supports. To solve these problems, media exposure strategies are needed for contests. Also, a contest scale should be expanded for the participation of both players and the public. The most important is to popularize sports climbing to enhance the market value of sports climbing players. Third,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untaineering industry showed that to popularize sports climbing, it was necessary to reduce gym fees and develop consumer-focused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with artificial climbing walls in the local government to promote the exchange of club members through regional league matches. To develop sports climbing into life sports, it is the most important to create artificial climbing wall facilities in the gymnasium of the local governments.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instructors should be the first consideration to be promoted to youth sports activities. To develop the mountaineering goods, each brand should open up the market with product differentiation and raise product quality for overseas expansion. The mountaineering expertise of products became more important. For this, field tests from mountaineering experts who had an eye for clothing and equipment also became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have marketing through popular climbing events and improve price bubble through on- and off-line services and an improved distribution structure. The government-certifi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mountaineering education to perform a public interest fun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untaineering education business. Private mountaineering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actualize educational costs in the form of academy rather than free education. Also, researche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cademic system by mountaineering pedagogy and multidisciplinary studies are required to link mountaineering and exercise physiology or mountaineering and humanities. Mountaineering instructors should have faculty skills as well as climbing skills. Using mass media was foun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promote mountaineering education institutions. To develop the mountaineering service industry, mountaineering population should be increased by creating a recreational complex that can enjoy climbing and forest recreation. For this,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concerns and supports to connect local festivals with mountaineering tourism. Keywords: Mountaineering industry, Mountaineering goods, Mountaineering education, Mountaineering tourism, Mountaineering facility(Sports climbing)

      •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유아교육기관만족도 연구

        박미숙 목포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커다란 국가적 관심사의 하나가 출산율 저하 문제임을 직시하고 아울러 여성의 취업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양육 스트레스 문제를 다루었다. 양육 스트레스 및 관련 변인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을 진단하고 나아가서 양육 스트레스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양상에 있어서 취업모와 비취업모간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양육 스트레스 관련 변인으로는 모취업 여부 외에도 모학력, 자녀수, 자녀연령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변인들과 양육효능감, 유아교육기관만족도 요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M시내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327명의 어머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변인들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구성하고 예비조사 과정을 통해 설문지로 제작하여 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비취업모 집단이 취업모 집단에 비해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 부모역할관련 스트레스 모두에서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냈다. 비취업모의 경우 반복적인 가사노동과 병행되는 자녀양육 부담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된 양육효능감에 있어서 취업모와 비취업모 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유아교육기관만족도에 있어서는 취업모가 비취업모 집단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셋째, 양육 스트레스 관련 변인들이 전체 양육 스트레스를 설명하고 있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취업모의 경우 자녀연령 요인이 양육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설명하고 있는 반면 비취업모의 경우 양육효능감 요인이 양육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부모들은 자녀가 어릴수록 더 많은 관심과 보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취업모의 경우 직장생활로 인해 어린 자녀에 소홀 한다는 느낌을 갖게 되고 이것이 스트레스로 나타나게 됨이 밝혀졌다. 이러한 경향은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역할관련 스트레스에 있어서는 취업모의 경우 유아교육기관만족도와 자녀수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나타낸 반면 비취업모의 경우 양육효능감 요인이 부모역할 스트레스를 더 많이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저출산 문제가 우리사회의 심각한 이슈가 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부모들이 자녀양육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모색과 더불어 전체적인 양육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취업모의 경우 어린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보육 및 교육시설의 여부가 중요한 관심사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보육 및 교육 기관에 대한 인증평가를 강화하고 수준 높은 교육이나 보육을 보장 할 수 있는 기관들의 확충이 시급하다. 셋째, 양육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양육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도적, 물리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양육환경을 구성하는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고 특히 중요한 양육환경 요인의 하나인 아버지 양육협조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the parenting stress level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 of parenting stress in the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The related variables of parenting stress was mother's academic level, child number, chile age, parenting self-efficacy, and the satisfaction of early-childhood education agency. For this study, 327 mothers who attended their childre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in Mokpo city sampled. And the questionnaires which measured the research variables were administered to 327 mo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on-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level was higher than the working mother. Second, the parenting self-efficacy levels of the two groups of mother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ut the satisfaction of early-childhood education agency in the working mother was higher than the non-working mother. Third, the parenting stress was explained much more by the child-age variable in the working mother group, but by the parenting self-efficacy variable in the non-working mother group. Fourth, the parent-role stress was related higher to th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and child number than the other variables in the working mothers, but higher to the parenting self-efficacy than the other variables in the non-working mothers. Accordingly the differences related to parenting stress between the working and the non-working mothers ought to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ject and programs.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will be important to the working m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