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전반적 급진성 치주염 환자에서 IL-10 promoter 유전자의 다변성에 관한 연구

        류지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치주질환은 세균으로 인해 치주조직이 상실되는 염증성 질환이며 1997년 Kornman에 의해 interleukin(IL)-1의 유전자형과 치주질환과의 연관성이 보고된 이후 유전적인 소인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치주질환의 진행시 발견되는 여러 cytokine 중 IL-10은 항염증성 cytokine으로 T, B세포와 대식세포에서 생산되어 다른 염증성 cytokine의 생산을 억제하고, B세포의 분화를 자극하여 항체의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유전자 다변성과 치주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해 다른 인종에서는 보고된 바가 있으나 아직까지 한국인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비흡연자에서 한국인의 전반적 급진성 치주염과 IL-10 유전자 다변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전남대학교 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비흡연자 중 전반적 급진성 치주염으로 진단된 37명(남: 20명, 여: 17명)을 실험군으로 하였고, 30세 이상이며 임상검사시 임상적 부착 수준이 4 mm를 넘지 않는 치주적으로 건강한 27명(남: 9명, 여: 18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각 대상군에서 면봉을 이용하여 채취한 협점막 탈락상피에서 genomic DNA를 얻어 IL-10 promoter 서열 중 -597, -824, -1082의 유전자 다변성을 검사하기 위한 primer를 사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시행한 후 그 산물을 해당 유전자 서열에 대한 제한 효소로 처리하고 전기 영동한 후 결과를 해석하여 유전자 다변성을 분석하였다. 군 간 유전자 분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전자형 분포에 있어 실험군에서 -597의 C/C는 13.5%, C/A는 37.8%, A/A는 48.7%였으며 -824의 C/C, C/T, T/T의 유전자형의 분포 비율이 -597에서와 같았다. -1082는 실험군에서 G/G가 2.7%, G/A가 16.2%, A/A 는 81.1%로 대조군과 비교 시 큰 차이가 없었다. 2. 대립유전자 2 보인자의 빈도는 세 부위에서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3. 대립유전자 2의 빈도에 있어서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이는 IL-10-597와 IL-10-824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번 연구로부터 IL-10 promoter의 유전자 다변성이 한국인 비흡연자 전반적 급진성 치주염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대립유전자 2 빈도가 전반적 급진성 치주염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 있어 앞으로 개체 수를 늘린 더 큰 표본에서의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한-베트남 FT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류지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의 주력 수출산업중 하나인 디스플레이 산업은 세계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은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막대한 투자로 중국의 LCD 세계시장점유율은 2010년 4.1%에서 2017년 24.8%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내에서 디스플레이의 대영화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중국내 자체생산량이 증가하며 한국의 對 중국 수출이 감소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과잉공급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수출의 감소로 인한 한국 주력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수출 증대방안으로 2017년 기준 한국의 디스플레이 수출 2위국인 베트남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 – 베트남 FTA 는 2015년 12월 20일에 발효되었으며 발효 후 한국과 베트남의 교역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 한 – 베트남 FTA 체결이후 한국의 對 베트남 주요 수출품목으로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기계류, 계측제어분석기 등이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는 2015년 기준 1.3억 달러에서 2017년 13억 달러로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는 2015년 기준 12.7억 달러에서 2017년 73.7억 달러로 수출금액이 증가하였다. 베트남 정부는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를 위해 법인세 면제 및 감세, 외국인 지분 51% 이상일 경우 외국인 투자기업 으로 적용시켜주는 규제의 완화 등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은 베트남의 제조업 부분에 337.3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베트남의 저렴한 노동력은 베트남이 제조업 국가로 발전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 베트남의 노동 집약적 산업에 대한 각국의 투자로 고도화가 진행중이며 전자산업은 베트남의 대표적인 제조업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기업들은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개방투자와 노동집약 산업과 고부가 가치산업의 성장을 동시에 견인하는 제조업 중심국가인 베트남에 대한 투자를 확장시키고 있다. 한 – 베트남 FTA 체결이후 2017년 기준 수출은 80.5%, 수입은 61.1% 증가하였다. 한 – 베트남 FTA는 한국의 對 베트남의 수출입 확대에 크게 기인하고 있다. 한 – 베트남 FTA 활용률을 보면 2017년기준 수출 50.4%와 수입86.7%로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 – 베트남 FTA를 활용한 對 베트남 수출확대 방안으로 글로벌 무역 네트워크 편입 및 통합노력을 지속하고 있는 베트남이 체결한 기 체결FTA와 향후 체결할 FTA의 효과를 선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베트남과 한국 각국이 체결한 FTA를 비교해본결과 한국은 일본과 EAEU와의 FTA가 체결되어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활용한 수출 극대화 방안으로 첫 번째, 누적조항을 이용한 수출 거점형 비즈니스모델.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원재료를 수출하여 베트남에 진출해있는 한국 기업의 공정과정이후 베트남 LED 조명산업에 진출하는 모델이다. 또한 베트남은 주변 아세안 국가로 육로를 이용한 수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국 디스플레이 시장의 진출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상대국 FTA를 활용한 비즈니스모델. 베트남이 체결한 베트남 - EAEU FTA를 활용해 보다 저렴한 관세로 수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거대한 EAEU 시장으로 진출하여 무역창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협상 진행중에 있는 러시아 및 유라시아경제연합시장을 선점하고 분석하여 향후 EAEU FTA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애로사항에 대해 빠르게 대처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isplay industry, one of Korea's main export industries, occupies the largest share of it’s global market. However, China's LCD market share is growing rapidly from 4.1% in 2010 to 24.8% in 2017 due to the enormous investment in display industry. With the production of displays available in China, domestic production in China is increasing and exports from Korea to China are decreasing. In addition, display panel prices are decreased overcapacity in China. As a way to increase exports to reduce the damage of Korea's leading industries due to a decrease in exports, we conducted research through Vietnam, the second largest display exporting country in Korea in 2017. The Korea-Vietnam FTA came into effect on December 20, 2015 and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ade between Korea and Vietnam after its entry into force. Since the signing of the Korea-Vietnam FTA, flat panel display manufacturing equipment, flat panel displays and sensors, other machinery, and measurement and control analyzers have been showing a high growth rate as Korea's major exports to Vietnam. In particular, equipment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s will increase from $ 130 million in 2015 to $ 1.3 billion in 2017, and flat panel displays and sensors will increase from $ 1.47 billion in 2015 to $ 7.37 billion in 2017. The Vietnamese government is exempting corporate tax exemption and tax cuts in order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and alleviating regulations that apply to foreign-invested companies when the foreign ownership is 51% or more. Korea is investing $ 337.3 billion in Vietnam's manufacturing sector. Vietnam's cheap labor force is one of the reasons why Vietnam can develop into a manufacturing country. Vietnam's labor-intensive industries are being upgraded with the investment of each country, and the electronics industry is emerging as a representative manufacturing industry in Vietnam. Companies around the world are expanding their investments in Vietnam, a manufacturing-oriented country that simultaneously drives open investment by the Vietnamese government and growth of the labor-intensive and high value-added industries. Since the Korea-Vietnam Free Trade Agreement (FTA), exports and imports have increased by 80.5% and 61.1%, respectively. The Korea-Vietnam FTA is largely due to the expansion of imports and exports from Korea to Vietnam. As for the utilization rate of Korea-Vietnam FTA, the gap between Korea and Vietnam is 50.4% and 86.7% in 2017, respectively.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preoccupy the effect of the FTA signed by Vietnam, which has been continuing its efforts to integrate and integrate the global trade network, and the FTA to be concluded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TAs concluded between Vietnam and Korea, Korea did not conclude an FTA between Japan and EAEU. In this study, As a way to maximize export First, an export-oriented business model using cumulative provisions. It is a model to enter the LED lighting industry in Vietnam after the process of Korean companies that export raw materials from Korea to Vietnam and enter Vietnam. In addition, Vietnam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advance into the Korean display market because it can export to the surrounding ASEAN countries by land route. Second, business model that utilizes partner FTA. Since the Vietnam - EAEU FTA signed by Vietnam can be used to export goods with lower tariffs, it can enter the huge EAEU market and expect trade creation effect. In addition, we will be able to quickly cope with various difficulties that may arise in the future EAEU FTA by preempting and analyzing the Russian and Eurasian Economic Union market which is under negotiation.

      • 빅뱅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개념

        류지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에게 빅뱅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분명히 밝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빅뱅에 대해 그들이 갖고 있는 개념이 구체적으로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빅뱅에 대해서 학생들이 다양한 개념을 갖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고, 연구를 위하여 5문항으로 이루어진 질문지를 사용하여 빅뱅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9월까지 지방 국립 사범대학 4개 학교에서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는 학생 중 천문학 강좌를 이수하였거나 이수중인 118명의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지구과학 전공자 이므로 일반인보다 빅뱅을 접할 기회가 많아 어느 정도 개념이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사용된 질문지는 미국에서 수년간 천문학을 가르쳐 온 Lineweaver와 Davis (2005)가 학생들이 몇 가지 공통된 오개념을 갖고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발견하여 개발한 문항들을 번안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진술하였다. 질문지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개념을 알아본 결과, 학생들은 빅뱅에 대해 다양한 개념을 갖고 있었으며 Peebles 등(1991)과 Stukey (1992), 그리고 Harrison (1993)의 우주론을 기본으로 한 평가 기준(Lineweaver & Davis, 2005)에 따라 5문항에 대하여 몇 가지 오개념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이 공간의 팽창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불확실하게 정립되어 있고, 인지적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개념을 과학적 개념으로 이끌어주기 위해서는 발전된 과학기술에 근거하여 진화된 이론들을 접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재 과학 사회의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있는 부분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또한 좀 더 심도 있고 다양한 문항 선택과 조사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자신의 개념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학생들의 개념을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의 인지적 유연성을 기르기 위하여 다양한 학습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절실히 필요하다.

      • IT특성화고교사의 SW 교육요구도 및 역량분석

        류지선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행하는데 IT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과 소프트웨어 운영지침을 비교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의 지향점과 이에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탐색하였다. 이를 현행 소프트웨어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과 요구, 미래 소프트웨어교육 강화에 대한 인식과 요구, 기본소양영역과 실천역량영역 역량에 대한 보유도 및 중요도로 나누어 조사도구를 준비하였다. 완성된 조사도구를 종이설문지로 준비하여 서울특별시 지역에 소재해 있는 특성화고등학교 3개교의 전문교과 교사 67명을 대상으로 배부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를 일반변인에 따른 집단별 평균분석, 기술통계분석, 중요도-보유도 차이 분석, IPA 기법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IT특성화고등학교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중학교 및 일반 고등학교에서도 본 연구를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구성, 교수학습설계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IT specialization, the competence of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softwar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software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s and software operation guidelines, we searched for the orientation of software education and the competence of teachers needed.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wareness and demand for current software education activation plan, awareness and demand for future software education enhancement, possession and importance for basic literacy area and practical capability area competency.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s paper questionnaires and distributed to 67 specialized teachers in three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means of group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significance - retention analysis, and IPA analysis. It is hoped that, by using this research, middle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which have software education as well as IT specialization equalization high school will be helpful in the curriculum composi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of software education.

      • 호텔 예약사이트 서비스품질과 선택속성이 고객의 호텔 예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예약 채널의 (OTA / MTA)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류지선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논문요약 호텔 예약사이트 서비스품질과 선택속성이 고객의 호텔 예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예약 채널의 (OTA / MTA)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고객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직접적으로 호텔을 예약할 수 있는 경로에 따라 비교, 선택하여 좀 더 넓고 다양한 채널을 받아들여 예약의 흐름을 주도하길 원한다. 최근 예약 경로의 변화를 반영하는 OTA와 MTA에 대한 연구는 아직 호텔 경영학 내에서도 전무한 편이다. 따라서 이러한 호텔예약경로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및 모바일 채널을 통한 호텔 예약사이트에서 경쟁력 있는 인터넷 마케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사이트를 통한 호텔 예약 시 인터넷 마케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분석하는 것에 있으며, 호텔 예약 사이트의 서비스품질과 선택속성의 구성요소를 파악한 후 그 구성요소들이 고객의 호텔 예약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OTA와 MTA의 예약 채널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 관련자료, 선행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하여 이론을 정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조작적 개념을 통해 가설 설정 및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2017년 기준 최근 3년간 호텔 예약을 위해 온라인 호텔 예약 사이트 및 모바일 호텔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적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10일까지 10일간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회수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에 의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검증되었다. 최근 3년간 호텔 예약 경험이 있는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수인 서비스품질에서는 반응성이, 호텔 예약사이트 선택속성에서는 안전성이 가장 높은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호텔예약 이용만족도는 평균 3.77로 ‘조금 그렇다’에 가깝게 나왔다. 둘째, 호텔 예약사이트 서비스품질이 호텔 예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반응성과 심미성이 호텔 예약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호텔 예약사이트 선택속성 가운데에서는 정보와, 거래, 안전성이 호텔 예약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OTA와 MTA의 예약채널과 호텔 예약 사이트 서비스 품질 및 선택 속성의 평균비교 차이검증을 한 결과, 호텔 예약사이트 서비스품질 가운데 반응성과 유형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선택속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섯째, 호텔 예약사이트 서비스품질과 호텔 예약 만족도간에 OTA/MTA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반응성에서 유의적인 부(-)의 조절효과가 있어 반응성의 측면에서는 OTA가 MTA에 비해 효과적인 예약채널임이 밝혀졌다. 여섯째, 조절효과를 본 결과 선택 속성 가운데 거래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어 MTA가 OTA에 비해 효과적인 예약 채널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호텔 예약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품질 중에서는 반응성과 심미성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서비스품질의 반응성을 높이는 것은 OTA 이용자에게 더 큰 효과적일 것이다. 선택속성에서는 거래, 안정성, 정보적 속성에 중점을 두고 모바일 예약 채널을 개발해야 함을 주장할 수 있다. 선택속성 가운데 거래적 기능이 MTA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 앱을 통한 예약은 젊은 층이 훨씬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에 관련된 부분에서 소비자의 만족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 할 수 있다. 주제어: 호텔 예약사이트 서비스품질, 호텔 예약사이트 선택속성, 호텔 예약 만족도, 예약채널 (OTA/MTA)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이타성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류지선 건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지구의 사회적·경제적·환경적 문제들이 우리 생활과 직·간접적으로 나타나면서 유아기부터 관심을 갖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을 구성하여 유아들의 이타성과 공동체의식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유아의 이타성 및 공동체의식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이타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공동체의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을 구성하기 위해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14)가 제시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세 가지 핵심요소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의 목표 및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세 가지 핵심요소인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요소를 유아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경험하고 접할 수 있도록 주제를 선정하고, 프로그램의 각 내용 영역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구체적인 활동(예: 이야기 나누기, 유치원·가정 연계하기, 작업하기, 표현하기)들을 포함시켜 21회로 구성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고, 유아교육 전문가와 유아교육 현장에 근무하는 교사 4인에게 타당성을 검증받아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나눔 활동에 대해 ‘마음을 나눠요’, ‘희망을 나눠요’, ‘깨끗함을 나눠요’, ‘자원을 나눠요’, ‘실천을 나눠요’, ‘장난감을 나눠요’, ‘빛을 나눠요’ 등 7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각 주제에 대한 활동은 프로젝트 진행과정을 재구성하여 ‘1단계-주제에 대한 문제인식하고 관심 갖기’, ‘2단계-나눔 활동 준비하기’, ‘3단계-나눔 활동 실천하기’, ‘4단계-나눔 활동 공유하기’의 과정을 거쳐 유아들이 직접적으로 나눔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C시에 위치한 M유치원과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이다. 무선 표집을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어 M유치원을 실험집단, S유치원을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 실험집단의 경우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의 경우 유치원의 누리과정 생활주제와 일상 프로그램으로만 실시하였다. 지속가능발전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타성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의식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에 대해 생각해 보고, 직접적인 나눔 활동 경험을 통해 어려운 사람들을 이해하고 도와줌으로써 유아의 이타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가 나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어려움에 처해 있는 사람에 대해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지고, 유아 자신이 속해있는 집단 안에서 본 활동을 경험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나눔 활동 경험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일조할 수 있음을 시사해 보고, 실제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적용해 보고자 할 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children's altruism and sense of community us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based sharing project activities, as part of effort to arouse interest of children in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globe, which are directly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our life and to solve these problems.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children's altruism and sense of community in ESD-based sharing project activ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of children's altruism in ESD-based sharing project activ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of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in ESD-based sharing project activ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organize ESD-based sharing project activities, the goal 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program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three key elem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Education presented by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2014). After choosing program themes to enable children to easily experience the three key elements: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elements in ordinary life and 21 sessions of program including specific activities(e.g.: story sharing, kindergarten-family connecting, working and expressing), which were considered to be most suitable for each content of the program, were carried out. The program was modified,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and the validity was verified by four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to complete the final program. The final program consists of 7 themes: 'Sharing heart', 'Sharing hope', 'Sharing cleanness', 'Sharing natural resources', 'Sharing practice', 'Sharing toys' and 'Sharing light'. To promote children's direct sharing experience, the activity of each theme was designed to have the following steps: 'Step 1 - Recognizing the problem regarding the theme and showing an interest', 'Step 2 - Preparing the sharing activity', 'Step 3 - Practicing the sharing activity' and 'Step 4 - Sharing the sharing activity'. This study was targeted at 40 young children aged 5 in M kindergarten and S kindergarten situated in C City, Choongcheongbuk-do. Due to the difficulty in random sampling, M kindergarten and S kindergarten were set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o acquire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only life themes of Nuri curriculum and daily program were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altruism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sense of community tha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inking of ESD-based sharing and experiencing the sharing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altruism by making them understand and help the needy. It also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by making them become interested in sharing, think of people in difficult situations and experience these activities in their groups.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children's sharing activity experience can contribute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when teachers appl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 무용수의 성격유형(MBTI)에 따른 감정이입 사례 분석

        류지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수의 성격유형(MBTI)에 따른 감정이입에 대해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자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 졸업 후 현재 무용수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예술가 기질의 무용수 4명을 대상으로 하여 유목적표집을 한 후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고, 문헌 조사, 서술적 설문조사, 심층면담등을 통 통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워 졌다. 수집된 자료들은 항시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연구의 진실성과 신뢰도, 타당도 및 윤리성을 검증하였다. 무용수의 성격유형(MBTI)에 따른 감정이입 사례 분석에 대해서 무용수의 개인적 특성, MBTI 성향분석 두 가지로 핵심주제를 구분하였다. 첫째, 예술적 기질을 갖고 있는 무용수들의 입문계기로는 스스로 무용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이 생긴 경우와 전문가의 권유를 통해 무용을 시작하게 됨을 알 수 있었고, 무용수로서의 스스로 생각하는 장, 단점에 대하여 알 수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용수로서 무대에 설 수 있는 수명이 길지 않다 보니 연구 참여자 모두 안무에 대해 각자다른 관심과 생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실제 성격은 MBTI성향 E(외향형), I(내향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었으며 MBTI특징에 따른 성격이 실제성격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정이입에 대해서는 무용수 모두 감정이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감정이입에 대한 각자만의 경험을 통하여 무용수의 몰입도와 감정이입의 중요성에 깨달음을 얻은 것을 알 수 있었고, MBTI의 성향 T(사고형), F(감정형)에 따라 감정이입 방법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같이 MBTI성향에 따라 감정이입에 대한 방법에 대해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연구 참여자 모두 무용수로서 관객들에게 최상의 모습을 보여 줄 수 있도록 항상 공부하고 노력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athy according to the dancer's personality type (MBTI).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researcher collected four artists who are currently active as dancers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and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study participants, and collected data through literature surveys, descriptiv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lways analyzed through the comparison method, and the authenticity, reliability, validity, and ethics of the study were verified. Regarding the analysis of empathy cases according to the dancer's personality type (MBTI), the key topic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dancers and MBTI propensity analysis. First, as an introductory opportunity for dancers with artistic temperament, they were able to get interested in and curious about dance and to start dancing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experts, and to know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inking for themselves as dancers. In addition, as a dancer, all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d different interests and thoughts about the choreography It was found that the actual personal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MBTI propensity E (extroversion type) and I (introversion type),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MBTI characteristics was consistent with the actual personality. Second, regarding empathy, both danc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mpathy, and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of empathy, they realized the importance of immersion and empathy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empathy changed according to the propensity T (thinking type) and F (emotional type) of MBTI. As such,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empathy according to the MBTI tendency, and that all the study participants always studied and tried to show the best performance to the audience as dancers.

      • 지역사회 임파워먼트 과정에 있어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류지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community has changed, approach to community in social welfare must be changed. But, I think that until now, discussion and practice on community welfare have been feeble, in Korea, because of an ambiguous attitude to community. So we need more precise viewpoint on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oses of social worker in community empowerment process. For this, I examine diverse concepts of community and community concept in social welfare. Community is a union which have social interaction and shared sense of identity. And union is organization like a person or group, so community can be client system. But, now in Korea, there is little viewpoint of community as client. There is a community just as context, or technique or source to help client. However, I think that community is client. For that reason, Community needs empowerment. Moreover, empowerment has a variety of notion, but important thing is empowerment is all kind of activity which convert potential power to actual power. So, empowerment must be significant frame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nd study which focus powerless target. As a result, it is so important to empower community as a client. On this Study, community empowerment has proceed 5 steps. First step is as a stage of sympathizing with change and presenting vision. Because social worker must seek for community issues in interaction with community, help community members to solve problems, social worker will have experience of self-empowerment that learn various knowledges and attainments. And they make program for community member, collect members, publicize program, present vision. On the 2 step, social worker concentrate management and execution of program, help community members to achieve individual empowerment and group empowerment. On this step, social worker may be educator or facilitator of communication, and bring up aboriginal leadership. The 3 step is a step as man-power development of whole community, at the present time, empowered individual or group spread empowerment to others. Community members more than social worker will be the main body. Interacting with community members by diverse ways, worker devises consideration and relationship change of community. On the 4 step, we will make a supreme effort to come to stay at change of constitution and system from thinking and relationship change. For instance, pressing activity like lobbying or campaign is possible. And on the 5 step, community change must give positive compensation to its members for settlement of individual change. As a consequence, community empowerment could be continuous. Most important point is social worker must support and assist community members to b active in community empowerment by themselves. That is, major roles of social worker in community empowerment process are supporter and facilitator. Some suggestions to accomplish community empowerment are as follow. First, social worker must understand community as a client, have sustaining concern and interaction to perform active intervention on community. Second, social worker must exert all possible efforts for self-empowerment because social worker must acquire knowledge, information, skill etc to intervene effectively. Third, though social worker empower self by himself, if not support or supervision of social welfare agency which hire social worker, community dimensional practice is impossible. So, organization empowerment of social welfare agency is an essential condition so that social welfare agency gives encouragement and support to social worker.

      • 오복녀·이은관의 서도잡가 <장한몽> 비교연구 : 사설·박자구조·선율진행을 중심으로

        류지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A novel adaptation of 『Janghanmong』, namely the original work of Seodo jabga <Janghanmong (長恨夢)>, was Iljae Jo Jung-Hwan’s adaptation of Japanese novel 「Gonjikiyasa (金色夜叉)」 in 1913, written by Japanese novelist Ojakigoyo (尾崎紅葉), but it aroused Korean people’s explosive responses in colonial Korea in 1910s. When Korean music broadcasting enjoyed a golden age in the 1930s, Seodo jabga was also in its renaissance. At that time, the story of Lee Su-Il and Sim Sun-Ae was made into saseol, thus becoming a Seodo jabga, and then this Seodo jabga has been handed down to today. Seodo jabga <Janghanmong>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novel adaptation and has a value of comparing/analyzing its musical difference by performers, but comparative studies on it have not been conducted sufficiently. Researches on Seodo jabga <Janghanmong> contained in the gramophone record in Japanese colonial era were conducted, but Seodo jabga <Janghanmong> after the 1990s has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In this regard, this study wrote down the sound source of Seodo jabga <Janghanmong> sung by Oh Bok-Nyeo, the artistic talent holder of Seodo song, namely No. 29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Lee Eun-Gwan, the artistic talent holder of Seodo song Baebaengigut, namely No. 29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then comparatively analyzed its saseol, bakja structure and melodic progress between two performers. The reason why this study examined the song of Oh Bok-Nyeo and Lee Eun-Gwan was that as the Sedo song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ts musical school was established focusing on its artistic talent holders, and then the completion of musical/theatrical capability was achieved, thus making artistic talent holder’s Seodo jabga bear a representative nature and have artistry and traditionality.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aseol of Seodo jabga <Janghanmong> between Oh Bok-Nyeo and Lee Eun-Gwan is a little different in case particles, adverbs, predicates, particle changes, pronunciations, words and sentences. The ending of saseol is sometimes different and sometimes similar, but it does not have effect on the flow of contents and has no great changes in meaning. Oh Bok-Nyeo’s 4th ~ 6th paragraphs in the first part were omitted in Lee Eun-Gwan’s saseol, but there is no clear reason. Both Oh Bok-Nyeo and Lee Eun-Gwan use Lee Su-Il’s saseol for their Susimga, but the contents of the saseol are different between them. Second, all the jangdans of Seodo jabga <Janghanmong> sung by Oh Bok-Nyeo and Lee Eun-Gwan are irregular and saseol butimsae within a same bakja is sometimes identical and sometimes different. And the bakja of a same saseol is sometimes elongated, thus lengthening jangdans. The jangdan of Oh Bok-Nyeo and Lee Eun-Gwan consists of bak, bak, bak, bak and bak, thus presenting frequent changes of jangdans. The jangdan of Lee Eun-Gwan has bak additionally. A most frequently used jangdan by Oh Bok-Nyeo and Lee Eun-Gwan is bak. Oh Bok-Nyeo’s finishing jangdan is three baks, namely bak + bak + bak, and this bak is most frequently used by 8 times. Lee Eun-Gwan’s finishing jangdan is four baks, namely bak + bak + bak bak. And this bak is most frequently used by 8 times. Susimga consists of tempo rubato, and both performers are not consistent in the length of bakja and saseol butimsae. Their saseol is different and therefore bakja structure is different as well. Third, regarding the melodic progress of Seodo jabga <Janghanmong> sung by Oh Bok-Nyeo and Lee Eun-Gwan, their saseol is nearly the same, but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aseol butimsae-oriented melodies are sometimes different between them and sometimes progressed inversely, Their register is different partially and therefore much of their melodic progress is not the same but different. In particular, there is much difference in the finish or cadence of jangdans. Regarding the melodic progress of Susimga,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melody is different between two performers or sometimes progressed inversely, since two performers are different in its saseol. And their register is different partially, and therefore much of their melodic progress is not the same but different. Study findings present the fact that Oh Bok-Nyeo and Lee Eun-Gwan’s Seodo jabga <Janghanmong> is similar in saseol and the contents of saseol, but different in jangdan structure and melodic progress. The author hopes many follow-up comparative studies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 of artistic talent holders’ Seodo jabga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thus contributing to the inheritance and preservation of Seodo songs. 서도잡가 <장한몽(長恨夢)>의 원작이 되는 번안소설 『장한몽』은 1913년 일재 조중환이 일본의 소설가 오자키고요(尾崎紅葉)가 지은 「곤지키야샤(金色夜叉)」를 번안한 것으로 비록 일본의 소설을 번안한 것이지만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을 살아가는 대중들의 폭발적인 호응을 이끌어 내었다. 1930년대 국악방송의 전성기로 서도잡가 또한 전성기를 누리게 되어 이때, 이수일과 심순애 이야기를 사설로 담아내 서도잡가로서 만들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현재까지 전승되어 오고 있다. 서도잡가 <장한몽>은 번안소설을 서도소리 화 시킨 잡가로서 의미가 있고 창자에 따른 음악적 차이를 비교, 분석할 가치가 있으나 비교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일제강점기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서도잡가 <장한몽>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 졌지만 1990년대 이후의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 예능보유자였던 오복녀와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 배뱅이굿 예능보유자였던 이은관의 서도잡가 <장한몽> 음원을 채보하여 사설과 박자구조, 선율진행을 중심으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오복녀와 이은관을 중심으로 연구한 이유는 서도소리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받으면서 예능보유자를 중심으로 음악적 흐름이 형성되어 음악적, 연희적 능력의 완성을 보이고 예능보유자의 서도잡가는 대표성을 띄며 예술성과 전통성이 있어 연구할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오복녀와 이은관의 서도잡가 <장한몽> 사설은 격조사의 유무에서 차이를 보이거나 부사어와 서술어, 조사의 변화, 발음상 다르게 표현되는 경우가 있고 단어나 문장에 약간의 차이가 보인다. 사설의 어미가 다르게 종지되거나 유사한 표현으로 바뀐 경우도 보이나 내용의 흐름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내용상 큰 의미 변화가 없다. 전반부에서 오복녀의 4~6단락이 이은관의 사설에서는 생략되어있는데 뚜렷한 이유는 찾을 수 없다. 수심가는 오복녀와 이은관, 모두 이수일의 사설로 구성되어있으나 사설이 달라 사설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둘째, 오복녀와 이은관의 서도잡가 <장한몽> 장단은 모두 불규칙 장단을 사용하며 동일한 박자 안에서 사설 붙임새가 같거나 다른 부분이 있고, 동일한 사설의 박자를 길게 하여 장단을 늘이는 경우가 있다. 오복녀와 이은관의 장단은 , , , , 박으로 이루어져 장단의 변화가 잦으며 이은관의 장단은 박이 추가된다. 오복녀와 이은관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단은 박이며 오복녀가 장단 마무리에 사용하는 박자는 박 3개인 ++박의 횟수가 8회로 가장 많았다. 이은관의 장단 마무리에 사용하는 박은 박 4개인 +++박의 횟수가 8회로 가장 많았다. 수심가는 Tempo Rubato로 구성되어 오복녀와 이은관 또한 부르는 박자의 길이와 사설 붙임새가 일정하지 않으며 사설이 달라 박자 구조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셋째, 오복녀와 이은관의 서도잡가 <장한몽> 선율진행은 오복녀와 이은관의 사설은 거의 유사하나 사설 붙임새에 따른 선율 유무의 차이가 나거나 서로 반대로 선율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고 음역대가 서로 다른 부분이 있어 동일한 선율진행보다 상이한 선율진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장단의 마무리, 종지에서 차이가 많이 남을 알 수 있었다. 수심가의 선율진행 또한 吳와 李의 사설이 다르므로 선율 유무의 차이가 있거나 서로 반대로 선율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고 음역대가 서로 다른 부분이 있어 동일한 선율진행보다 상이한 선율진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오복녀와 이은관의 서도잡가 <장한몽>은 사설과 사설의 내용은 유사하나 장단구조와 선율진행에서는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을 시작으로 하여 서도잡가와 예능보유자의 음악적 특징에 따른 비교 연구가 활발해지고 서도소리의 전승과 보존에 이바지 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