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막유착조직에서 Thrombospondin-4와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β의 발현양상에 대한 연구

        김병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There are few preclinical and clinical data regarding the mechanism underlying formation of peritoneal adhesion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he major factors mediating peritoneal adhesion are considered to be thrombospondin (THBS) and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veral candidates as a standard marker associated with adhesion in adherent tissues and cultured cell line (CCD-18co cell) and to demonstrate their role in the formation of adhesion in patients underwent laparoscopic surgery for treatment of endometriosis.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thrombospondin-4 (THBS-4),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α (PDGFR-α),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β (PDGFR-β), α-smooth muscle actin (α-SMA), myosin heavy chain-11 (MYH-11)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in normal peritoneal tissues (n=28), mild adherent tissues (n=28) and dense adherent tissues (n=12) b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xpression pattern of THBS-4, PDGFR-β, α-SMA and MYH-11 in TGF-β1 treated CCD-18co cell by western blotting after treatment of PDGFR inhibitor (imatinib). Results: The expression levels of THBS-4, PDGFR-β, α-SMA and MYH-1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dherent tissues and cultured cell lines than normal peritoneal tissues. The expression levels of THBS-4, PDGFR-β, α-SMA and MYH-1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PDGFR inhibitor was applied to CCD-18co cell.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BS-4 and PDGFR-β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mediation of adhesion process and the inhibitor of PDGFR might be a therapeutic target for prevention of peritoneal adhesion with endometriosis.

      • 조선전기 中央軍 軍職의 변천과 그 성격

        김병륜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선전기 中央軍 軍職의 변천 과정과 그 성격을 규명한 논문이다. 조선전기의 中央軍 軍職은 中央軍의 지휘관 역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그 자신이 전투를 수행할 수도 있는 직책이었다. 軍職을 일종의 ‘계급’으로 인식하는 견해는 사실과 부합하지 않으며, 원래부터 직무가 없었던 직책이라고 볼 수도 없다. 즉 조선전기 中央軍 軍職은 太祖朝의 10衛부터 世祖 이후의 五衛에 이르기까지 中 央軍에 소속된 각급 부대 혹은 그와 연관된 군사조직에 설치된 ‘西班 京官職 중에서 上護軍, 大護軍, 護軍, 司正, 副司正, 司果, 副司果, 司猛, 副司猛, 司勇, 副司勇 내지그 前身 및 그에서 分化된 衛將·部將·旅帥 등의 직책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같은 軍職은 원래 ‘외침을 막는 禦外와 임금을 지키는 禁衛를 담당하고, 이를 위해 필요할 경우 중앙군에 소속된 각급 부대 및 유사시 동원된 卒伍들을 지휘하는 지휘관내지 將兵之任 역할을 수행하는 직책’이었다. 이 같은 軍職이 조선전기에 변화해 간 양상에 따라 高麗末과 연속성이 있는 朝鮮 太祖朝, 甲士에 대한 軍職 수여로 軍職의 遞兒職化와 軍職의 지휘관 기능 약화 현상이 나타나는 太宗~端宗朝, 五衛體制의 출현이후 衛將·部將·旅帥 등 새로운 성격의 軍職이 나타나는 世祖朝 이후 등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조선은 1392년(태조 1년) 7월 中央軍을 10衛50領으로 재편하고, 上將軍부터 正에 이르는 4,000여 職의 軍職을 설치했다. 일부 명칭 변경은 있었으나 기본적인 구성과 역할은 『高麗史』 百官志나 兵志에 나오는 2軍6衛 西班-武班職의 그것과 매우 유사했다. 건국 직후 鄭道傳 등은 직무를 수행할만한 경력·능력이 없는 사람이 軍職을 차지하고 있는 軍職의 虛職化를 개선하려 했다. 이를 위해 選兵制를 도입하려했지만 4,000여 職에 달하는 軍職에 적합한 사람을 단기간에 충원하기는 쉽지 않았다. 조선은 1400년(태종 즉위년) 이처럼 李成桂와 李芳遠의 親兵·私兵적인 성격을 지닌 甲士들에게 軍職을 수여하고, 1,000명 단위로 교대로 근무하면서 輪番受祿할 수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軍職 중 상당수가 遞兒職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지휘관이란 軍職의 본질적 성격을 생각하면, 그 직책을 교대로 근무하게 하는 것은 軍職의 임무 수행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었다. 실제로 戶曹判書 李膺 등은 太宗10년(1410)에 “어찌 祿을 받는 자로 하여금 교대로 上下番이 되게 할 수 있습니까.”라고 비판했다. 반대 의견에도 불구하고 甲士들이 교대로 軍職을 가지게 하는 조치는 계속 시행되었다. 軍職의 虛職化를 부분적으로 개선하여 당장 侍衛·入直에 쓸 수 있는 정예 兵種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기 때문에 軍職이 유사시에 지휘관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크게 고려하지 않았던 때문으로 보인다. 이처럼 甲士들이 교대로 軍職을 맡게 되는 이상 지휘관 역할을 맡아야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兵書 강습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兵曹는 太宗 11년(1411) 甲士들에게 兵書 강습을 시키자고 청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太宗은 “병서를 가르치는 것은 장수를 구하는 바인데, 무엇 때문에 모조리 軍士들에게 다 그 법을 배우게 하느냐.” 고 반대하였다. 이 같은 여러 조치들은 軍職의 지휘관적인 성격을 약화시키고 정예 군병·군졸로서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촉매제가 되었다. 이처럼 각급 軍職이 지휘관이 아니라 하나의 정예 전투원, 일종의 특수 兵種으로 파악됨에 따라 軍職 편성기준도 변화했다. 太祖朝까지의 軍職 편성에 비해 世宗 이후 軍職 편성에 불규칙성이 심화되는 것은 그 같은 배경 속에 나타난 현상이다. 文 宗朝의 中央軍制 개편인 ‘衛領改制’에서 軍職을 기준으로 領을 편성하는 것이 아니라 甲士·銃筒衛 등 兵種별로 領을 편성한 것도 지휘관 성격의 약화가 초래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甲士에 대한 軍職 제수와 그에 따른 軍職의 遞兒職化 과정, 그리고 그에 따른 지휘관 성격 약화는 ‘한정된 財政 기반 위에서 당장 활용할 정예 병사를 얻기 위해 지휘관 정원 유지에 필요한 財源을 轉用한 것’이라고 해석할 여지가 있다. 甲士의 우수성은 군사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경제적 보상에서 출발하는 것임에도, 추가적 財政 투입 없이 단순히 甲士의 정원 확대만으로 정예자원을 추가 확보 하려 한 결과, 오히려 甲士의 질 저하, 그리고 그와 직결된 軍職의 질 저하를 가져왔다. 조정에서도 공공연히 “더 이상 甲士는 정예가 아니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이런 수준의 甲士라면 전투원은 물론 지휘관 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는 어려워지게 되었다. 軍과 전혀 관련 없는 직무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도 軍職이 주어졌는데 그것이 非軍務 軍職 遞兒職이다. 여말선초 軍職의 虛職化를 우려하던 분위기와는 달리, 世宗 朝이후 非軍務 軍職 遞兒職을 공공연히 제도화하게 된 것은, 결국 甲士에 대한 軍 職 제수 이후 軍務 軍職 遞兒職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軍職의 지휘관 기능이 약해지는 흐름의 연장선상에서 해석할 때 보다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다. 世祖(재위 1455~1468)는 1457년에 中央軍을 5衛25部로 개편했다. 이때 개편되고 成宗朝에 『經國大典』에 반영되면서 최종적으로 법제화된 군제를 흔히 五衛體制라 부른다. 五衛體制를 軍職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해 보면 네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五衛體制에서 衛將과 部將이란 새로운 軍職을 신설한 것은 『新陣法』, 『陣法』 같은 兵法書에 맞추어 中央軍을 개편했다는 의미도 있지만 軍職의 遞兒職 전환으로 기존의 軍職이 더 이상 지휘관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지휘관 성격임을 분명히 하는 새로운 軍職인 衛將과 部將을 만들었다는 측면이 더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五衛體制에서는 여말선초 이래 연속성을 지니는 上護軍~副司猛 등의 전통적인 軍職과 새롭게 신설한 衛將·部將 등 계통을 달리하는 軍職이 공존했다. 새롭게 신설된 상설직으로서의 部將은 품계가 너무 낮아, 대규모 병력 동원과 그 대규모 동원된 병력을 지휘하기 위한 다양한 품계의 다수 軍職이 필요한 대규모 전쟁에 대응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旅帥 등은 『陣法』에 따르면 125명을 지휘할 수 있는 자였으므로, 軍職의 범주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성격의 직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經國大典』 兵典 의 五衛의 軍職으로 정식으로 편제되지 못했다. 둘째, 軍務 軍職 遞兒職, 즉 遞兒職 형태로 軍職을 제수 받은 兵種들의 비율도 계속 높아졌다. 최종적으로 『經國大典』 기준으로 甲士의 총 정원은 1만 4,800職, 그중 遞兒職을 받는 자도 2,000職으로 정해졌다. 겸직인 衛將 12職을 제외한 전체 軍職이 3,236職임을 감안하면 軍職 중 적어도 2/3가 甲士에게 할당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조선전기 武科 방목에서 甲士 출신 무과 합격자의 비율은 두드러지게 낮았고, 이런 甲士의 質的인 劣化는 軍職의 劣化로 연결될 수밖에 없었다. 셋째, 文宗朝의 衛領改制 단계만하더라도 軍職을 가진 甲士들은 각 衛에 분산되었지, 특정 衛에 통합되지 않았다. 五衛體制에서 甲士를 義興衛로 모두 집결시킨 것은 衛將·部將 외에 기존 軍職者들에게 지휘관 기능을 수행하기를 기대하기보다는 하나의 정예병종으로서 역할을 기대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軍職을 실제 군사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에게 부여하는 非軍務 軍職 遞兒職은 五衛體制 성립이후 『經國大典』 같은 법전에 명문화되어 91職이 있었지만, 법전에 명시되지 않은 非軍務 軍職 遞兒職도 존재했다. 이처럼 五衛體制가 한계점을 가지게 된 이유는 將兵之任, 즉 지휘관 역할을 맡은 직책이라는 軍職의 원래 기능을 회복시키지 못하고, 당장의 侍衛·入直 등에 충당하는데 만족하는 부분적이고 임기응변식 개혁에 머물렀기 때문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transition process of Central Army(中 央軍) in the early Joseon(朝鮮) period based on Gun-jik(軍職). Joseon has reorganized its Central Army into Sip-Wi-Osip-ryeong(十衛五十領) in July 1392, and established more than 4,000 Gun-jik newly from Sangjanggun(上將軍) to Jeong(正). Gun-jik of the early Joseon period was the position that performed the role of Commanding officer of Central Army and took part in actual fighting. During peace time, it was in charge of si-wi(侍衛) and ip-jik(入直) for the King, but during a war when military force was mobilized it assumed the role of defending the capital and repelling the enemy. Jeong Dojeon(鄭道傳) and his colleagues made an attempt to improve Gun-Jik of early Joseon period that was filled with personnel who had no relation with the military or were not capable of carrying out military duties properly by introducing seonbyeongje(選兵制) or selective recruitment system, but to recruit more than 4,000 qualified Gun-jik in a short period of time was not easy. In 1400, King Taejong(太宗) awarded Gun-jik to 1,000 gapsa(甲士), and made them serve in shifts with a stipulation that they will be paid Nok-bong(祿俸) only when they serve in Gun-jik. Obviously, this system had positive aspects in a situation where non-qualified personnel occupied the positions of Gun-Jik. However, as the cycle of shift service was too long, it had a defect of lowering military preparedness among others. The reason this measure was adopted was that, despite shortcomings, it was able to secure required elite soldiers in a large scale who can be used in short notice for si-wi and ip-jik duties. It seems that, in this, the fact that Gun-Jik could assume the position of Commanding officers during an emergency wa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seriously. Since then, as the maximum number of gapsa was increased, the tendency of Gun-jik being replaced by Che-A-Jik(遞兒職) was accelerated. And along with this, organizational standard of Gun-Jik also underwent a change. The fact that irregularity is increasingly notic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世宗) and thereafter is not unrelated with this phenomenon. King Sejo(世祖) reorganized Central Army into Owi(五衛). With the introduction of this Owi system(五衛體制), a dualization phenomenon began to appear in which the traditional Gun-jik since the period of Koryeo was employed together with 『Sinjinbeop(新陣法)』, which was introduced by King Munjong(文宗) and modified by King Sejo, with an addition of newly established wijang(衛將) and bujang(部將) to match with the newly designed military strategy. But the official rank of bujang that was newly established was too low and the number of new bujang appointed was too small to carry out a large-scale warfare. Under Owi system, all gapsa were placed under the command of Uiheungwi(義興衛). This shows that, instead of expecting them to serve as Commanding officers, these gapsa were expected to serve as simple elite soldiers. Furthermore, newly established lower Gun-Jik such as yeosu(旅帥) was too lowly to perform the role of a Commanding officer adequately. This kind of Gun-Jik was institutionalized with the compilation and implementation of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In 『Gyeongguk daejeon』, the maximum number of Gun-Jik was 3,236, of which 3,005 Gun-jik was Che-A-Jik, an extremely high ratio. Of these, 2,000 Gun-jik was allocated to gapsa to perform the duty of actual command officers, an obvious limitation for the job. Furthermore, examples of non-military personnel who were appointed to high ranks of Gun-jik as sanghogun was not infrequent. The reason why this Owi system had such a limitation was that the original role of Gun-jik to serve as Commanding officer was not fully recovered since the measures of innovation remained as a partial innovation, as evidenced by commissioning of Gun-jik to the duties of si-wi and ip-jik.

      • 조선후기 화약무기의 발달과 운용

        김병륜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documents and artifacts related to gunpowder weapons in the late Joseon period, with the aim of elucid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patterns of gunpowder weapons during that time. In response to ‘the Japanese invasions of Sampo(三浦倭亂)’ and the subsequent Japanese invasions that followed intermittently, Joseon(朝鮮_ promoted the enlargement of various gunpowder weapons equivalent to cannons, such as Chongtong(銃筒), which were traditional to Joseon around the mid-16th century before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by increasing the length and caliber. Through this process, Jijachongtong(地字銃筒) and Hyeonjachongtong(玄字銃筒), that were enlarged, influenced the decisions that led to the victory of the ‘Joseon navy(朝鮮 水軍)’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round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Joseon learned about the matchlock gun(火繩銃:鳥銃) that originated in Europe, through Japan. Joseo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ifles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learned shooting methods, manufacturing methods, and tactics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the Chinese Ming(明) army, and developed them on its own. Afterwards, the number of rifle gunners was gradually expanded, related systems were established, and the manufacturing base was expanded. In the early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continuous shooting techniques were systematized, and in the late 18th century, 『Byeonghaktong(兵學通)』 systematized the stratification for operating troops with gun gunners as the main force on the battlefield, and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artillery guns. Efforts were continued to overcome weaknesses tactically. In addition to the matchlock gun, the acceptance of weapons through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the West continued into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rough contact with the late Japanese and Chinese, Joseon introduced new European-style gunpowder weapons, such as the Frankish gun(佛狼機砲), and manufactured them domestically in the 1550s and 1560s. Then, in the 17th century, Fusiform Culverins Cannon(紅夷砲) wa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meeting Western missionaries in China, and ‘Nammanpo (南蠻砲)’ was introduced when the Dutch drifted and settled in Joseon.Then, in the early 18th century, two Fusiform Culverins Cannon(紅夷砲) were produced. Unlike matchlock gun or Frankish gun, Nammanpo and ‘Fusiform Culverins Cannon’ were not connected to mass production. There was a limit to the development of gunpowder weapons technology in Joseon without active exchanges with European countries. In the 18th century, active discussions took place to develop the field of vehicle warfare, such as fire wagons and infantry vehicles, rather than cannons. As a result, Hwacha(火車) were manufactured in large quantities and deployed to the central military Garrison. The high proportion of Hwacha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pon possession pattern of the central army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this is meaningful as a realistic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the effects of barrage fire. The Joseon-style cannons included in 『Yungwonpilbi(戎垣必備)』 are larger than before. The Hwangjachongtong(黃字銃筒) cast in 1812 was heavier than Hwangjachongtong of the previous stage, and the length of the gun barrel was also longer.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cannon and the length of the gun barrel are clos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in power and accuracy. This means that Joseon gunpowder weapons continued to partially develop even in the early 19th century. 조선은 16세기 이후 삼포왜란 및 그 이후 간헐적으로 이어지는 왜구의 내습에 대응하여 조선 전래의 총통류 등 대포에 해당하는 여러 화약무기의 길이와 구경을 키우는 대형화를 추진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크기가 커진 지자·현자총통 등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이 승리하는데 결정을 영향을 미쳤다. 조선은 16세기말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유럽에서 기원한 화승총인 조총을 일본을 통하여 접하였다. 조선은 실전경험을 통하여 조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명군, 항왜 등 여러 창구를 통하여 조총 사격법과 제조법, 전술 등을 익히고 자체적으로 발전시켰다. 이후 점진적으로 조총 포수를 확대하고, 관련 제도를 마련하고, 제조 기반을 확대하였다. 조선의 17세기 초반에 연속사격술을 체계화하고, 18세기 후반 『병학통(兵學通)』에서 조총 포수를 주력으로 하는 부대를 전장에서 운용하기 위한 층진(層陣)을 체계화하는 등 조총의 기술적 약점을 전술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였다. 조총 외에도 서양과의 직간접적 접촉을 통한 무기 수용은 16~17세기에도 계속되었다. 조선은 후기왜구나 중국인과의 접촉을 통하여 1550~1560년대에 걸쳐 불랑기포 등 유럽식 신형 화약무기를 도입하여 국내에서 제조하였다. 이어 17세기에는 중국에서 서양 선교사를 만나는 과정에서 홍이포(紅夷砲)를 접하거나, 남만인의 표류후 조선 정착 과정에서 남만포(南蠻砲)를 도입하였다. 이어 18세기 초반에는 2문의 홍이포를 제작하였다. 조총이나 불랑기 등과 달리 남만포와 홍이포는 대량 제조로 연결되지 못했다. 전면적 교류가 아닌 부분적 대외 교류로 보다 발전된 형태의 기술을 수용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18세기에는 대포보다는 화차(火車)나 병차 등 차전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화차가 다량 제조되어 중앙군영에 배치되었다. 화차의 비중이 높은 것은 18~19세기 조선군 중앙군 무기 보유 양상의 특징 중의 하나이며, 이는 탄막 사격 효과 등을 감안한 현실적인 접근법으로 의미가 있다. 『융원필비』에 수록된 조선식 대포들은 그 이전보다 커지고 있다. 1812년에 주조된 황자총통은 16~17세기에 제조된 황자총통보다 무게가 더 무거워지고, 포신의 길이도 길어졌다. 대포의 무게가 늘어나고 포신이 길어지는 것은 위력과 명중률 향상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이는 19세기 초반에도 조선 화약무기가 위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계속 발전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