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산업의 프랜차이즈 현황과 공동브랜드 인식에 대한 연구

        김명숙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63

        Recently, small business owners of beauty salon are faced with the great flow of transition to franchise beauty salon which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urvival of business and seriously consider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se changes. Some of beauty industry researches such as job or customer satisfaction are actively discussed and studied, however, it is are not properly conducted in terms of management performance and strategy of franchise business model on beauty industrie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research founda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successful management performance of co-branded beauty businesses. It is an attempt to identify factors determining the success of co-branded beauty industry and understand the strategy for reinforcement of capabilities and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maintaining cooperative partnership with small business owners of beauty related industries. In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 is carried ou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collect small business owners’ opinion about co-branding. Questionnaire survey objects were beauty industry workers in Ulsan, Korea. a total of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243 copies were collected and 212 valid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lso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SPSS 18 program was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mpetitiveness analysis of franchise beauty salons founded that highly influential factors are 'style, hairstyling skills, and staff service' as well as brand recognition. In addition, the result of survey showed that the greatest advantage of franchise beauty salons are 'brand recognition,' 'training program and hairstyling skills,' and 'customer services' besides. Non-franchised salons, on the other hand, has the biggest merit in 'training program and hairstyling skills.' Second, the analyzed result of owners' characteristics showed that franchised beauty salons' owners have higher ownership than non-franchised ones. In other words, they not put a lot of effort into management but also have desire of accomplishment and recognition.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franchised and non-franchised, that is owners' qualities. The result of survey showed franchised owners are deeply aware of qualities of management. Thirdly, this study founded the necessity of co-branding strategy between small beauty related business owners. there is different views between owners and employed hair stylists. The reasons why they should try to make co-branded beauty salons are to ensure cost competitive through group purchase of any equipment and facilities from business owners' point of view, but, to cope actively with the changing the consumers' preference and the latest skills and trends from hair stylists' view point. Lastly, this study founded that small beauty related business owners have intent to participate co-branded beauty salons as well. At this point, the type of participation preference is not existing beauty salon brands, but newly organizing co-branded one. It is because non-franchised owners have negative cognitions about existing franchised brand images. In conclusion, it is desired that co-branding strategy between small beauty related businesses is oriented towards cooperative system. It is also concurrently needed to develop a marketing strategy strengthening relations with local residents after building up a positive brand image of co-branded beauty salon as a cooperative association. Futhermore, it is needed the multi-pronged efforts maximizing the effect of co-branded franchise.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미용업의 현황 분석 및 미용 산업 프랜차이즈 전략 등에 대한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미용 산업의 공동브랜드화에 대한 영세 미용업체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공동브랜드화를 위한 중요 요인 파악을 통해 헤어미용 관련 영세업체 간 협력적 동반자 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체 역량 강화 및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 공동브랜드 헤어미용업 점포의 성곡적인 경영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영세 미용업체의 공동브랜드화를 통해 브랜드 미이지를 구축하고, 지역적으로는 협동조합에 가입한 각 미용업체들이 지역민들과 다시 이용조합을 구성하게 함으로써 지역민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각 미용업체들은 협동조합을 통해 미용에 필요한 원자재 및 교육, 기술, 정보 공유 등을 활용함으로써 프랜차이즈의 효과를 활용 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김명숙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등학생 4,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관계 및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아동의 생활 스트레스 적응을 돕는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강서구 초등학생 4학년 130명, 6학년 140명 학생 총 2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한 검사 도구는 Dubow와 Ulman(1989)의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적 지지 척도와 Harter(1985)의 아동용 사회적 지지 척도를 종합하여 개발한 김명숙(1995)의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는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박진아(2001)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5.0(ver.)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상관은 대부분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하위 변인 중 일부인 가족지지와 공격적 대처행동(r=-0.063, p>.05) 및 교사지지와 소극적·회피적 대처행동(r=-0.105, p>.05)과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으나, 그 외 다른 하위변인 및 전체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상관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r=-0.166∼0.585, p<.05).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차이검증결과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성별에서 여학생이 교사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는 인식이 남학생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으며(t=-2.094, p<.05), 학년별로는 4학년이 6학년보다 가족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686, p<.01).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차이 검증 결과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극적 대처행동, 소극적·회피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 전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대해서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한 결과, 공격적 대처행동이 성별에 따라서는 전체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하위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년에 따라서는 즉 6학년이 4학년에 비해서 공격적 대처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3.621, p<.001). 넷째,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회적 지지가 전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49.6%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243.184, p<.01).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적극적 대처행동은 친구지지와 가족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극적·회피적 대처행동은 친구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격적 대처행동은 친구지지와 교사지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서는 친구지지와 교사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있어서 스트레스 문제 상황에 관련된 지지 제공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 The samples were totally 270 students, 130 in fourth grade and 140 in sixth grade in Gangseo-Gu respectively. The measurement questionnaire was applied and used from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Myong-Sook(1995), Min Ha-Yong and Yoo An-Jin(1998). The SPSS 15.0(ver.)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details, the reliability analysis with Cronbach's ,α,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ugh the correlation 'family support and aggressive coping behavior' and 'teacher support and passive coping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other variables and between total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ost result of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s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x and grad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that girls perceived they took more teacher's support than boys, all the sub-factors were not different. Third, the most result of the difference of stress coping behaviors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x and grad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aggressive coping behavior was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grade, the other coping behaviors-passive·avoidance, social support-pursuing, and total coping behavior-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student's sex.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ocial support g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tress coping behavior. In details, the more friend-support, family-support students take, the more positive coping behavior they can gain. And the more friend-support, the less passive·avoidance coping behavior; the more friend-support and teacher-support, the less aggressive coping behavior, while the more social support-pursuing coping behavior. This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family-support is important for stress coping behavior, and the roles of support-offers is critica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coping behavior.

      • 초등학교 방과후 강사들이 겪는 갈등의 양상 및 대응방식에 대한 연구

        김명숙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conflicts experienced by after-school instructors and its aspects and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how instructors respond to these conflicts. The study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causes the conflicts experienced by after-school instructors of elementary school? Second, what are the aspects of conflicts experienced by after-school instructors of elementary school? Third, how do instructors respond to conflic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based on the after-school and theory of conflict to investigate the causes, its aspects and ways of responds of conflicts of after-school instructors. We selected 6 after-school instructors who were working in elementary school in J city for more than 5 years as study participants. For data collection, we conducted one group interview and one individual interview,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data and categorizing with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of Kim Yeong-cheon. As a result, conflicts were largely categorized into four, which are relation, environment, compensation and practice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se conflicts are caused by employment issues, environmental problems, problems of compensation system, lack of communication and lack of perception for differences in positions. We confirmed that the conflicts of after-school instructors are appeared in various aspects due to the contractual relations, environment, compensation and practices. In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instructors experienced anxiety in a situation where they had to contract every year, and they perceived the relationship with contractor as byeong-jung relationship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y had a distrust in the evaluation affecting the contract renewal and confusion about the unclear contract criteria. For instructors who should borrow the classrooms, they should read countenance of teacher who is the owner of classroom, they are not free to use school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have difficulty in changing the lesson place according to the school circumstances without consulting with the instructors in advance. Among the compensation systems, after-school instructors were in conflicts with the school due to the problems such as negotiating tuition fees or failing to compensation properly when managing payment by proxy or nonpayment. In the conventions, the instructors expressed the iniquity for the school works other than the lessons and the unilateral notification of the school when closing the lessons. These conflicts which are made conventionally with the school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s of position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ways of respond to conflicts, after-school instructors mainly respond in three ways which are adaptation, avoidance and compromise. In particular, they said that they just follow what school wants and don’t speak or even can’t speak even if there is a conflict. And the attitude to just give up and to adopt it internally was appeared in all areas. The avoidance and compromise were partially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mainly thre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various causes of conflicts were found to require efforts to understand each other through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to solve conflicts aris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organiza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standardize the contractual condi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after-school lessons by providing a space where instructors can teach proper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payment method and tuition fee to set the payment of instructors, and school and instructors should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each other and have an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to provide better education to the students. Third, after-school instructors need to understand the proper functional aspect of conflict as the subject of conflict and to have point of view to see the conflict differently and to respond.

      • 장애전담어린이집 언어재활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및 자기효능감

        김명숙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전담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언어재활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근무환경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근무환경은 언어재활사에 대한 금전적 처우, 장애전담 어린이집에서의 물리적 근무여건, 그리고 근무지에서의 인간관계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전담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언어재활사 96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고 설문의 구성은 인구통계학적 변인 6문항, 언어재활사의 금전적 처우에 관하여 5문항, 장애전담 어린이집 물리적 근무여건에 관하여 5문항, 그리고 근무지의 인간관계를 묻는 21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사의 언어치료경력이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언어치료경력이 많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고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언어재활사에 대한 금전적 처우가 좋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기효능감에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우에 대한 요인 중 직업안정성은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모두에 중요한 요인이었고 급여수준, 초과근무수당은 직무만족도에만 영향을 주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셋째, 근무지의 물리적 환경이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는데 치료아동수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근로조건을 준수하는 경우, 언어치료공간, 휴식공간이 제공되는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물리적 환경의 어떠한 하위요인도 자기효능감 변인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무지의 대인관계가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는데 근무지의 대인관계 하위요인인 동료관계, 상사관계, 학부모관계가 좋을수록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모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언어재활사의 높은 직무만족도는 업무에 대한 적절한 금전적 보상, 그리고 바람직한 물리적인 근무환경, 그리고 근무지의 긍정적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그러나 언어재활사의 높은 자기효능감은 금전적 보상과 물리적인 근무환경과 같은 외적 근무환경보다는 인간관계와 같은 심리적 요인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근무환경의 각 요인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각 요인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condi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at daycare center Job conditions were categorized into monetary conditions, physical work condi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t workpla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96 SLP working at child daily care facilities Questionaire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job conditions of SLP. The job conditions of SLP was constructed with monetary conditions on SLP with 5 items, physical work conditions at daycare center with 5 items, and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place with 21 ite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of SLP at daycare center had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other words, as the career of SLP increased, th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SLP increased. Second, a good monetary conditions on SLP at daycare center had high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but no relation with self-efficacy. The job stability was an important factor to explain job satisfaction as well as self-efficacy, but the level of salary and overtime payment were related only with job satisfaction. Third, the effect of physical work conditions at daycare center on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was high. This means that the lower the number of children having speech therapy, the more suitable the working hours, and the more the speech therapy space and rest space were provide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SLP at daycare center. On the other hand, any other factors of physical work environment were not found to be related with self-efficac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place on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 good peer, superior, and parent relationships increased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SLP at daycare center.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be said that high job satisfaction of SLP at daycare center is highly related with appropriate payment on workload, desirable physical work conditions,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t workplace, but the self-efficacy of SLP at daycare center is more related with psychological factor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t workplace than with monetary payment and physical work conditions.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what kind of work conditions affect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SLP at daycare center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eded to focus on coming up with an effective counterplan to improve job conditions of SLP at daycare center

      •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명상 프로그램 개발

        김명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editation program for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As for research problems, first, with which contents does the meditation program suitable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need to be designed? Second, it is to clarify which effects of the meditation program have on promoting interpersonal relation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hypothe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was established with saying that ‘the experimental group of participating in a program will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 m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it had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as 2 classrooms in the 2nd grade of one elementary school where is located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e meditation program in totally 13 times by 3 times every week from the first week in September to the first week in October.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the program, and was carried out post-test. The test tool was used what Oh Eun-ju(2006)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line with a level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as for the scale, which was adapted by Mun Seon-mo(1980) in order to measure the scale of interpersonal relation. The sub-factors in this test were composed of satisfaction, communication, credibility, affinity, sensitivity, openness, and intelligibility of rationally discerning reason. And, the pre-and-post test was conducted bot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for the procedure of developing the meditation program, a goal of the program wa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meditation program, which is the preceding research by Lee Su-gyeong(2005), Kim Gye-suk(2006), and Lee Bo-ok(2002), to this researcher's experience, to several references, and to meditation leader's advice. And, even in addition to this, the theme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goal of meditation program for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 were selected by utilizing Lee Yeong-don(2006)'s Mind: KBS's special-planned documentary DVD, Thich Nhat Hanh(2007)'s walking-meditation literature, CD and DVD materials, and Jon Kabat-Zinn(2007)'s Mindfulness Meditation and Spontaneous Healing(first volume). Also, by utilizing Sim Jun-yeong(2003)'s brain-respiration program in the introductory part, it applied it to activity of relaxation and open mind.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the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MANCOVA in SPSS/Window 12.0. And, it utiliz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by analyzing contents through the experience report, which a participant in the program recorded the cases of utilizing the meditation method after each session was finished. A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ore of interpersonal-relation scal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medita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by having been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editation program had the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As for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it may be good data when introducing the meditation program targeting elementary-school students and then operating a classroom for enhancing effective interpersonal relation. Second, the meditation program so far has targeted small children or has mainly comprised adults. However, this study can be learnt a method of enhanc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 by forming the classroom-based systematic and preventive program centering on sub-factors in interpersonal relation. Third, students, who particularly have a conflict with a friend due to the lack of interpersonal-relation ability, can understand own anger and well control and regulate own mind through the meditation program. Fourth, students come to control impulsive emotion and to have comfortable mind through the activity of maintaining the certain distance from the psychological stimulation while doing respiration meditation, thereby being said to have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were the whole students in a classroom, which were formed regardless of own intention. Thus, there was difference among students in the interest level in the program. A follow-up research is needed, which can try to compare effects on the program when applying the program by selecting the subjects who desire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cond, there is no standardized questionnaire of targeting elementary-school students in terms of selecting the measurement tool, thus having used the questionnaire adapted by Mun Seon-mo(1980), which is relatively used extensively. By the way, there is terminology that elementary-school student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thus there was difficulty in conducting a test. Therefore, a method will need to be sought, which utilizes verification of effect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ather than analyzing the factors of effects by simply using questionnaire. Third, a future test is required for examining whether its effects of the meditation program are sustained for a long time on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Given applying the medication-activity program for a long tim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internal behavioral control.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학생에 알맞은 명상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으로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명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가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대인관계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1개 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9월 첫째 주부터 10월 첫째 주까지 매주 3회씩 총 13회의 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 처치를 하지 않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대인관계 척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선모(1980)가 번안한 척도를 오은주(2006)가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검사의 하위요인은 만족감 4문항, 의사소통 4문항, 신뢰감 3문항, 친근감 3문항, 민감성 2문항, 개방성 5문항, 이성적으로 사리를 분별하는 이해성 4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명상 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이수경(2005)과 김계숙(2006), 이보옥(2002)의 선행 연구인 명상 프로그램과 이 연구자의 경험, 여러 참고문헌, 명상 지도자의 조언 등을 참고하여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외에도 이영돈(2006)의 마음: KBS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DVD와 Thich Nhat Hanh(2007)의 걷기명상 문헌 및 CD와 DVD자료, Jon Kabat-Zinn(2007)의 마음챙김명상과 자기치유(上),를 활용하여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명상 프로그램의 목표에 따른 주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또한 심준영(2003)의 뇌호흡 프로그램을 도입 부분에 활용하여 긴장풀기 및 마음열기 활동에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 12.0에서의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한 통계적 분석을 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 회기가 끝나고 난 후 프로그램 참가자가 명상 방법을 활용한 사례를 기록한 경험보고서를 통하여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질적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보면, 명상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대인관계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명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명상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효과적인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학급운영 시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둘째, 지금까지의 명상 프로그램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거나 성인이 주를 이루고 있었지만, 이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초등학생 학급단위의 체계적이고 예방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익히게 하였다. 셋째, 대인관계 능력의 부족으로 특히 친구와의 갈등 문제를 지닌 학생들이 명상 활동을 통해 자신의 분노를 이해하고 자기 자신의 마음을 잘 다스려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학생들이 호흡명상 중 호흡의 길이나 호흡이 스치는 신체의 느낌을 유지하면서 심리적 자극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활동을 통해 충동적인 감정을 자제하고 편안한 느낌을 가지게 되어 대인관계가 원만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참여 대상은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구성된 학급 전체 학생이었다. 그래서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도에서 학생 간 차이가 있었다.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정해서 실험집단을 구성한 것과 한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경우에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비교해 볼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측정도구 선정에 있어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표준화된 검사지가 없어서, 비교적 널리 쓰이는 문선모(1980)가 번안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초등학생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가 있어 검사를 실시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단순히 검사지를 이용해서 효과요인을 분석하기보다는 질적 분석을 통한 효과검증을 활용하는 방안이 더욱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명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있어 그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추후 검사가 요구된다. 명상 활동 프로그램은 일반 교과 학습 프로그램보다는 흥미 있게 참여하고 명상 자체가 주의집중 과정이므로 산만해 지는 마음을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명상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학생의 내적인 행동통제에 유의한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제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 과정 요소별 유형 분석 : 기초 탐구 과정을 중심으로

        김명숙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은 SAPA와 같이 탐구 과정 요소를 기초 탐구 과정과 통합 탐구 과정으로 나눈 이분법적 위계를 따르고 있으며, 탐구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또 많은 학자들이 탐구 과정 요소의 특징을 서술하면서 이를 세분화하여 유형으로 구분하였지만, 학자들 간에 탐구 과정 요소 유형에 대한 구분이 다르며,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탐구 과정 중 기초 탐구 과정 요소를 중심으로 비율을 알아보고, 분석틀을 개발하여 요소별·학년별로 분석해 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초 탐구 과정 요소의 유형 분석틀을 개발하여, 제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 과정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탐구 과정 구성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얻어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 6학년 과학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이다.탐구 과정을 기초, 통합, 기타 3가지로 나누어 학기별, 학년별 빈도수와 비율을 분석해 보았더니, 기초 탐구 과정은 탐구 과정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비율이 줄어들었다. 통합 탐구 과정과 기타 탐구 과정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였다. 기초 탐구 과정 중 관찰 외에 다른 탐구 과정 요소는 특별한 분포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관찰과 빈도 및 비율 차이가 많이 났다.유형 분석틀은 기초 탐구 과정 요소의 탐구 형태를 ≪유형≫으로 범주화했으며, <단계>로 세분화하였다. <단계 1>은 탐구 형태에 따라 유형을 세분화한 것이며, <단계 2>는 탐구 방법적인 측면에 따라 유형을 세분화한 것이다. 세분화한 ≪유형≫별로 기준을 개발하고, 예시 문장을 제시하였다. 매 차시별로 중복되거나 없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유형≫별로 1개씩 선택하였다. 관찰의 ≪유형≫은 “정성-정량”, “대상-전체성”, “대상-수”, “방법”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정성-정량”을 살펴보면 ‘정성적 관찰’을 많이 하였으며, 6학년으로 갈수록 ‘정량적 관찰’이 증가하였다. ‘정성적 관찰’은 시각 위주로 이루어졌으며, ‘정량적 관찰’은 주로 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관찰 “대상”은 ‘전체 관찰’과 ‘다수 관찰’을 많이 하였으며, 6학년으로 갈수록 ‘단일 관찰’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관찰하는 “방법”으로 3학년은 ‘단순 관찰’을 많이 하였으며, 6학년은 ‘조작 관찰’을 많이 하였다. ‘단순 관찰’과 ‘조작 관찰’의 방법으로 비교 관찰을 많이 사용하였다.분류의 ≪유형≫은 “속성 인식”과 “기준”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주로 ‘다른점’을 인식하였으며, ‘기준을 제시’하는 일단계 분류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측정의 ≪유형≫은 “측정 영역”, “결과 분석”, “표현하기”로 범주화할 수 있다. “측정 영역”의 세부 유형은 제시되는 시기와 빈도에 특별한 규칙이 없으며, 해당 학년과 학기에 제시되는 단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었다. “결과 분석”하는 방법으로 3학년은 ‘비교’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6학년은 ‘비교’와 ‘분석’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표현하는” 방식은 6학년으로 갈수록 ‘표’와 ‘그래프’를 많이 사용하였다. 예상의 ≪유형≫은 “상황”과 “관계 인식”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주로 ‘관찰’과 ‘실험’하는 “상황”을 통해 예상을 하였다. 또한 3학년에서는 주로 ‘인과 관계’와 ‘상관 관계’에 대한 “관계 인식”을 하였으며, 6학년에서는 주로 ‘상관 관계’에 대한 “관계 인식”을 하였다. 추리의 ≪유형≫은 “방법”, “검증”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일반화로 대표되는 ‘귀납적 추리’의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이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관찰’과 ‘실험’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이 탐구력 신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탐구 과정을 많이 포함시켰지만, 제시 시기와 빈도, 분포가 계획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요소의 ≪유형≫이 학년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일부 요소에 그치기 때문이다. 기초 탐구 과정 요소와 요소의 ≪유형≫은 학기별·학년별로 불규칙하게 제시되었으며, 요소들 사이의 제시 빈도 차이가 심했다. 이렇게 탐구 과정의 빈도 및 분포 차이가 큰 까닭은 과학의 교과 지식에 따라 탐구 과정이 구성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용에 따라 구성된 탐구 과정은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지 못하였다. 이는 탐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탐구 과정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탐구 과정 요소와 유형의 제시 시기와 빈도, 분포를 고려하여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탐구 과정을 구성하여 운영해야 하며, 효과적인 탐구 과정 운영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current 7th Science curriculum follows the dichotomic hierarchy set by SAPA, which divides the inquiry process elements into the fundamental and integrated inquiry process, and emphasizes the inquiry process.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quiry process elements, many scholars segmented them and divided them into types. But the problem is that their categorie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nd have no established systems. Thu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percentage of the fundamental inquiry process of the entire inquiry process,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by systematizing the types of fundamental inquiry process elements, and analyze them by the elements and grad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types of the fundamental inquiry process elements and to see if the inquiry processe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organized systematically. It also aimed to analyze the inquiry processe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the Eighth Curriculum based on the new information about the inquiry process organization. The objects of the study included the science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in the third and sixth grade. The inquiry processes were divided into the fundamental, integrated and other ones and compar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by the grades and semesters. The fundamental inquiry processes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e entire inquiry processes and lost their percentage as the grades went up. The integrated and other inquiry processes increased as the grades went up. Among the fundamental inquiry processes, all the elements except for observation didn't show any particular distribution patterns.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observation and frequency & percentage. As for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types, the inquiry forms were categorized by the "types" and segmented into the "stages"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fundamental inquiry processes. "Stage 1" segmented the types according to the inquiry forms, and "Stage 2" did according to the methods. The standard and example sentences were developed by the stages of the "types". One of them was selected by the "types" in every lesson except for the overlapping or missing parts. The "types" of observation were categorized into "quality and quantity", "object-whole", "object-number" and "methods". There were usually many 'qualitative observations' in "quality and quantity". As the grades moved up to the sixth grade, 'quantitative observations' were augmented. While 'qualitative observations' were conducted visually, 'quantitative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with tools. They usually did 'singleness observations' and 'multiple observations' with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observations increasing as they moved up to the sixth grade. As for "methods", while the third graders usually used 'simple observations', the sixth graders did 'manipulative observations'. 'Simple and manipulative observations' were usually conducted through comparative observations, which were followed by phenomena and changes observations in the order. The "types" of classification were categorized into "attribute perception" and "standards(criteria)". They did 'difference' perceptions a lot. The first-grade classification of 'suggesting standards' was most used. The "types" of measurement were categorized into "measurement areas", "result analysis" and "expression". The detailed types of the "measurement areas" didn't have particular rules about the time and frequency and were dec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s for each grade and semester. For the methods of "result analysis", the third graders used 'comparison' a lot and the sixth graders did 'comparison' and 'analysis' a lot. And for "expression" methods, the students increased their uses of 'tables' and 'graphs' as they moved up to the sixth grade. The "types" of predictions were categorized into "situations" and "perceptions of relations". The "situations" that made the third and sixth graders make predictions included 'observations' and 'experiments'. While the third graders conducted the 'causal relations' and 'correlations' for perceptions of relations, the sixth graders did 'correlations' in most of the cases. The "types" of inference were categorized into "methods" and "verification". The 'inductive inference' represented by generalization was much used for "methods", and 'observations' and 'experiments' were much used for "verific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7th Science Curriculum included many inquiry processes to help the students increase their inquiry abilities but didn't plan the time, frequence, and distribution of their presentations well. The elements and "types" of the fundamental inquiry processes were presented irregularly by the grades and semesters, and the difference in frequency was huge among the elements. The big difference in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the inquiry processe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inquiry processes are decided by the contents. That implies the inquiry processes should be operated in a well-planned and systematic manner to help the students increase their inquiry abilities. In the new curriculum, they need to operate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sistent and systemized inquiry processes.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follow-up studies on effective operations of inquiry processes.

      •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 방안 연구

        김명숙 광주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교섭적 관점에 근거하여 실제 교실 상황에서 학습자의 의사소통 과정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학습자의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듣기와 말하기 영역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범위와 원리를 설정하고 듣기와 말하기 영역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 방법을 모색하였다.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를 위한 원리는 평가의 과정의 일관성과 타당하고 신뢰로운 평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평가 목적이 분명해야 한다는 목적성의 원리, 실제적인 언어 사용 맥락을 중시해야 한다는 실제성의 원리, 시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발달적 수행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지속성의 원리, 학습자의 표현 능력과 이해 능력,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을 중시하여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균형있게 평가하는 전인성의 원리,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수행한 내용이 그대로 평가의 대상이 되는 과정 중심의 원리가 있다. 그리고 통합성의 원리는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의 통합, 평가 주체의 통합, 평가 도구의 통합이라는 세 가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학습자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일련의 발달 단계로 각 학습자의 발달 정도를 평가하는 개별화의 원리, 학습자의 성장·발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 학습자와 학습자, 교사와 학부모, 학습자와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과정을 중시하는 대화성의 원리, 평가에 대한 평가 과정으로서의 메타성의 원리가 있다. 이 원리를 바탕으로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 방법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과정에서 해당 학년에서 지도해야 할 내용과 관련 단원을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단원의 내용과 학습목표를 알아보고 그 단원에서 어떤 시기에 어떤 평가를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평가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내용과 체계,교수·학습 및 평가 계획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 목표와 평가 내용을 선정해야 한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구체화하고 평가 목적, 평가 목표와 내용에 적합한 평가 방법을 선정하고 평가 도구를 만들어야 한다. 학습자에게 평가 도구의 특성, 응답 방법과 채점 기준, 평가 실시 방법에 대해서 정확하게 안내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채점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채점한 결과를 정확하고 타당하게 해석하고 평가 결과는 교수·학습 과정의 개선 및 학습자에 대한 교육적인 의사소통 과정의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이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의 절차는 순차적인 과정이 아니라 순환적이고 상호보완적인 과정이어야 한다. 연구자는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 방법을 초등학교 4학년 2학기말하기·듣기·교과서에서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 한정하여 적용하여 보았다.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4학년 수준에서 가르쳐야 할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본질, 원리, 태도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 과정을 통해 교수·학습 계획 및 평가 계획을 수립하였고 이에 따라 평가 목표를 선정하고, 성취 기준 기준과 평가 기준을 구체화하였다. 평가 방법으로 관찰법을 선정하고, 학습자의 학습 목표 성취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 도구로 자기평가표, 상호평가표, 교사 평가표를 제작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채점하고 결과 해석을 통해 교수·학습 개선과 학생과의 교육적인 의사소통 과정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 방안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는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기능간 통합할 뿐만 아니라 지식, 기능, 태도를 골고루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었다. 둘째,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는 평가도구와 평가주체의 통합을 통해 학습자의 듣기와 말하기 상황에서 학습자의 장점과 단점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셋째,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 결과는 학습자 자신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의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상호교섭적 관점에 의한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 방법은 학습자의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통합적 평가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다양한 평가 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with the communication process for learners in actual classroom situ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bargaining and devise a method of evaluating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the range and principles to evaluate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in an integrative way were established, along with an attempt to devise a method of evaluating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in an integrative way. Principles for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include the principle of finality that evaluation must have a clear goal to obtain consistent, valid, and reliable results, that of practicality that it is necessary to value the context of using practical language, that of sustainability that attention must be paid to learners' developmental performance which is constantly implemented over time, that of whole personality that learners' growth and development must be valued through balanced evaluation of their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abilities and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and that of process orientation that what learners perform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s evaluated.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includes three meanings: integr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integration of evaluation subjects, and integration of evaluation tools. There are the principle of individualization to accept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s and evaluate each learner's development at a series of development stages, that of conversation to valu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etween learner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nd between learners and parents so that learners can make growth and development, and that of meta-characters as a process of evaluating evaluation. On this basis, specific methods were devised to make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of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For the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ontents to teach for a given grade in a curriculum and relevant units.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units and learning objectives and establish an evaluation plan concerning what evaluation must be performed in what times. Evaluation goals and contents must be selected in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curricular contents and systems and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plans. It is necessary to concretize accomplishment and evaluation criteria, select evaluation methods suitable for evaluation goals, objectives, and contents, and make evaluation tools. By giving learners correct knowledge about properties of evaluation tools, methods to respond, scoring criteria, and evaluation methods before performing evaluation and scoring.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scoring accurately and validly and use the results as data for improvement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for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process for learners. The procedure of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must be a circulatory and inter-complementary process, not sequential one. My application of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was restricted to Speaking, Listening, and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in textbooks for the second term of the fourth grade. Curricula we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s of essence, principles, and attitudes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to teach at the level of the fourth grade.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teaching-learning plans and evaluation plans were established, followed by selection of evaluation objectives and provision of specific accomplishment and evaluation criteria. As for observation, the self-evaluation table, the mutual evaluation table, and the teacher evaluation table were manufactured as evaluation tools to determine learners' learning objective accomplishment levels in performing evaluation. They were used as data for improvement in teaching-learning and for the process of educational communication with students by scoring evaluation results and interpreting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on the plan of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could evenly deal with knowledge, functions, and attitudes as well as functional integration of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Second,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could effectively evaluat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learners in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situations through integration of evaluation tools and subjects. Third, the results of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could be used as data to improve teaching-learning as well as learners themselves. To put the results together, the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bargaining improved learner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and enhanced smooth communication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take interest constantly in the integrative evaluation method in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and to make researches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 초등학교의 특기·적성교육 연구

        김명숙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화, 개방화, 정보화의 국제사회를 맞이하여 다원화된 사회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특기·적성을 개발하고 신장시켜 나갈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정부가 교육개혁을 위하여 도입한 방안 중 하나로 1996년도 방과 후 교육활동이라는 명칭으로 학교 현장에 도입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특기·적성교육이 실시된 7년이 지난 지금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특기·적성교육의 실제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자료와 문헌연구로 이론을 고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특기·적성교육의 개념, 특기·적성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특기적성교육의 운영지침, 선행연구의 고찰 등의 이론을 구축하여 특기·적성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인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4개 문항의 질문지를 작성하여 충청남도 소재의 도시와 농촌지역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20학교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계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부모가 특기·적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방과후 시간도 좋지만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강사로부터의 수강을 원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둘째, 특기·적성교육은 학생의 특기나 소질 적성 등을 발견하여 지도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프로그램 선정 시 소질 및 특기신장 프로그램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특기·적성교육의 한종목당 적당한 인원은 14명 내외나 그 이하를 적정인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필요시수는 주 2, 3회가 적당하고 1일 시간의 길이는 어학이나 예체능, 과학실기 프로그램에 따라 교사의 재량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특기·적성교육의 지도교사로는 외부인으로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교사가 적임자로 적당하였으며 농촌지역의 학부모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전문적인 교사 확충의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이 결과로 볼 때 농촌지역에 전문적인 강사에게 재정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특기·적성교육을 통해 특기신장 효과가 크다고 인식하며 특기·적성교육으로 인한 학부모들의 재정적 부담은 대체로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시설 및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사설학원 쪽으로도 많이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시설 확충에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 사설학원보다 학교의 시설이 더 좋다고 인식되어지면 훨씬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통해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적성교육을 정규교육과정인 특별활동을 보완, 발전시키는 수준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특기·적성교육을 위한 재정적 지원이 대폭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농촌지역은 특기를 신장시켜줄 만한 사설학원이 없어 공교육에 의존하는 농촌에 우선적으로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특기를 신장시킬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강사를 확보하여 교육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사교육비 절감과 창의성 개발이라는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지역단체, 학교, 학부모가 협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의 기초에서 심화까지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