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자전거도로 사인시스템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강연재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전거도로 사인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자전거도로 사인시스템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여 자전거 이용활성화와 인간중심의 소통가능한 사회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개념정립 후 자전거 선진 6개국과 국내의 사례비교를 통한 사례조사와 자전거 이용자 9인의 1:1 개별인터뷰를 실시한 사용자조사 등 3단계로 실시하였다. 사용자조사는 1,2차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1차에선 이용자들의 불편사항과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목적이었고, 2차는 앞선 사례조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검증을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국내외 사례조사에서는 해외에 있지만 국내에 없는 사인의 항목이 20항목으로 조사됨으로써 우리나라 사인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조사에서 도츌된 필요사인 20항목을 기준으로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도입의 필요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1차 사용자조사 결과는 필요사인의 항목이 17항목으로 나타났으며, 2차 사용자조사에서는 19항목으로 나타났다. 사례조사와 사용자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된 개발이 필요한 19항목의 사인 종류를 우리나라 사인의 분류기준인 지시 / 규제 / 주의/ 보조에 입각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시의 자전거/자동차 진입금지, 보행자 신호시 내려서 횡단, 자전거 역주행 허용, 주간/국도간 자전거도로, 자동차/전동차 겸용, 자전거/보행자 우회로, 자전거 우선차로, 자전거 종착지, 보행자에게 양보 순의 9개 항목, 규제의 자전거로 차량주차금지, 자전거/전동차 주차금지 순의 2개 항목, 주의의 추락주의, 표면굴곡주의, 미끄럼주의, 경사로주의, 도로꺽임주의, 다리주의 6개 항목, 마지막 보조에서는 이정표와 방향 순의 2개 항목의 사인이 필요 사인 항목으로 제시되었다. 위의 19항목들은 사례조사의 20항목의 필요성을 거의 충족시킨 항목들로 우리나라도 자전거 선진국과 같은 자전거도로 사인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외 사례를 통한 분석이기에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 자전거도로의 환경을 고려한 심도있는 분석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자전거도로 사인의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자전거도로의 사인시스템 구축과 함께 편의를 위한 인프라, 행정, 그리고 시민들과 이용자들의 자전거문화에 대한 인식이 뒷받침된다면 자전거 이용활성화가 활발해 질 것이며, 자전거 선진국의 현실도 보다 빨리 다가올것으로 기대된다.

      •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강연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Practice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focused on UBMK School kindergarten, which is Ulaanbaatar missionary kids School in Mongolia This study is about the actual and practical difficulties,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practice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UBMK School kindergarten, which is Ulaanbaatar missionary kids School in Mongolia. Mongolian Ulaanbaatar Missionary Children's School in the Mission Field The UBMK School Kindergarten's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s operated, what are the practical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mission field, and the future direction of UBMK School Kindergarten. The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alit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UBMK School kindergarten? Second, what is the practical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of UBMK School kindergarten? Third, what is the direction of UBMK School? This study selected four participants and one assistant in depth interview.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ll teachers at the Ulaanbaatar Missionary Children's School in Mongolia, three of them being kindergarten teachers in 2018 and one of the previous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interview, I visited Ulaanbaatar Missionary Children's School in Mongolia in early October 2018, asking for consent to the interview in advance and conducting the interview. In the course of conducting the research, additional research data were needed, and an additional participant was interviewed with a former principal who served as principal of UBMK School until July 2018. Based on two years of experience as a teacher of UBMK School kindergarten in Ulaanbaatar Children's Missionary School in Ulaanbaatar, Mongolia, 2009-2010, the researcher was able to identify the reality of the oper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of Mongolian Missionary Children's School kindergarten. For the collection of interviews and observational data, we reviewed the issues related to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school operation in the annual UBMK School Library and the school website. This study collected papers and books related to MK (Missionary Kids),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field studies, and analyzed previous studies. Interview and document data collected during this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an inductive method that reveals the uniqueness of the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UBMK School Kindergarten, Ulaanbaatar, Mongolia, Mongolia, participates in the annual seasonal program, experiences in daily activities and activities, includes Christian elements in the theme of activities, and utilizes the composition of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As such, the classroom environment was composed of Christian elements. Character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preaching related to the topic of character. Character education included spiritual retreat, travel, localization education in Mongolia, and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was operated by teachers and children taking part in various activities. Second, the practical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of UBMK School kindergarten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al difficulty is the retirement of school facilities, and the kindergarten is not renewed by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frequent replacement of teachers and school directors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consistency in continuity of education and operation. In addition,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missionary children's school has reduced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UBMK School kindergarten as the age of missionaries, such as senior missionary missions, has deepened. Educational needs require the dedication and support of qualified professional teachers with stable teacher supply. It is also necessary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stable education in a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 Christian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ids for an educationally rich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 was also a need for teacher re-education and spiritual training, and there was also a need for a transfer process between full-time teachers and succeeding teachers. Third, the direction of UBMK School is to move forward with school building, and the kindergarten is in a harsh environment that is lower than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Therefore, the urgent task for the s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chool is expansion of school facilities and construction. In addition, UBMK School needs to be flexible in the flow of missionary fields. In addition to the fundamental purpose of educating missionary children, UBMK School serves as a center for Christian history training in Christian private schools in Mongolia and Christian and religious education for seminary and church leaders. You will need to expand your ministry and deal with change.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UBMK School Kindergarten, Ulaanbaatar Missionary Children's School in Mongoli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unique situation of other mission fields. Therefore, there may be limitations to be limited to the stud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of missionary Korean missionary children's school. As there are no comparative studies of Korean missionary children's schools, I hope that comparative studies of three schools will be conducted as follow-up studies, with representative MANILA HANKUK ACADEMY of Philippines, UBMK School of Mongolia, and Phnom Penh Joeun School of Cambodia.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will continue so that we can listen to the life of teacher missionaries more realistically and continue to study ways to support the actual difficulties and needs of mission fields. In addition, the flow and situation of mission fields is constantly changing rapidl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shifting of missionaries and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children, the education of missionary children's schools should be more specialized and flexible, and have a detailed support system that can reflect the trends of the times.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본 연구는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현실적 어려움, 필요 그리고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에 관한 연구이다. 선교지에 있는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선교지의 현실적 어려움과 교육적 필요는 무엇이며 앞으로 UBMK School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UBMK School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실제는 어떠한가? 둘째, UBMK School 유치원의 현실적 어려움과 교육적 필요는 무엇인가? 셋째, UBMK School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심층면담으로 총 4명의 연구 참여자와 보조참여자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모두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의 교사선교사로 3명은 2018년 유치원 교사들이고 1명은 전직 유치원 교사경험이 있는 교사이다. 면담을 위해 2018년 10월 초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를 방문하여 사전에 미리 면담 내용에 대한 동의를 구하고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연구 자료가 좀 더 필요하여 2019년 11월 보조참여자로 2018년 7월까지 UBMK School 교장으로 섬겨주셨던 전직 교장선생님과 인터뷰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2009년에서 2010년까지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의 교사로 2년 사역한 경험을 기반으로 몽골 선교사자녀학교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실제를 파악하고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교사 면담과 관찰자료 그 외의 자료 수집은 매년 발간되는 UBMK School 학교문집과 학교 홈페이지에서 유치원교육과정 및 학교운영에 관련된 사항을 알아보았다. 이론적 배경이 되는 MK(Missionary Kids), 기독교 유아교육,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현장 연구와 관련된 논문 및 도서를 수집하고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면담자료 및 문서 자료는 사례의 고유성을 잘 드러내는 귀납적 방법을 토대로 하여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은 연간 절기 행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와 하루 일과 활동 속에서 경험하기, 활동 주제에 기독교적인 요소 포함시키기와 유치원 환경 구성 활용하기로 그 주제에 맞게 교실 환경도 기독교적인 요소들로 구성되었다. 성품주제와 관련된 설교말씀으로 성품교육이 시행되었고 특색교육으로 영성수련회, 여행, 몽골 현지화 교육 등이 있으며 교사와 유아들이 이러한 다양한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이 운영되었다. 둘째, UBMK School 유치원의 현실적 어려움과 교육적 필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실적 어려움은 학교시설 노후로 유치원은 몽골 정부로부터 재연장을 받지 못 한 상태로 인가 취소의 위기에 놓여 있고 재정의 어려움으로 인한 교사 수급의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교사와 학교 이사들의 잦은 교체로 교육의 연속성, 운영의 일관성을 갖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선교사자녀학교의 유치원 원아 수 감소는 운영의 어려움으로 몽골의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교민의 수가 줄고 사역지 변경으로 선교사들의 이동과 한국 선교의 연륜이 깊어지고 시니어선교 등 선교사의 연령이 높아지면서 UBMK School 유치원의 원아 수가 줄고 있다. 교육적 필요는 안정적인 교사 수급으로 자격을 갖춘 전문 교사의 헌신과 지원이 필요하다. 좋은 교육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재정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며 교육적으로 풍부한 교육환경을 위해 기독교 유아교육 교재, 교구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 재교육 및 영성훈련에 대한 필요가 있었으며 전임교사와 후임교사 간 인수인계 과정의 필요성도 느끼고 있었다. 셋째, UBMK School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학교건축으로 유치원은 몽골 교육부 기준에 못 미치는 열악한 환경으로 인가 취소의 위기에 있다. 그러므로 학교의 안정된 교육환경을 위해서는 시급한 과제가 학교 시설의 확충이며 건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UBMK School은 선교지의 흐름 속에서 융통성 있게 변화되어야 하며 선교사 자녀들을 교육하는 근본적인 목적에 더하여 몽골 기독사립학교의 기독교사 연수와 신학생과 교회지도자들에게 기독교교육 및 신앙 교육을 연수하는 센터의 역할을 감당하는 사역의 범위를 넓히고 변화에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형 선교사자녀학교 중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인 UBMK School 유치원으로 각 선교지의 상황과 다를 수 있다. 이에 한국형 선교사자녀학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연구로 한정하기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아직 한국형 선교사자녀학교의 비교연구가 없어서 대표적인 필리핀 마닐라 아카데미와 몽골 UBMK School, 캄보디아 프놈펜 좋은 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삼아서 세 학교의 비교연구가 후속연구로 진행되길 바라며, 선교지 교사선교사의 교육과 삶을 다룬 연구도 계속 이어져서 교사선교사의 삶을 더욱 현장감 있게 듣고 선교지의 현실적 어려움과 필요를 세심하게 지원할 수 있는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선교지의 흐름과 상황은 계속 빠르게 변화해 가고 있다. 이에 따른 선교사의 이동과 자녀의 수 감소와 같은 외부적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선교사자녀학교의 교육은 보다 전문화되고 융통성 있게 이루어져야 하며, 시대적 흐름을 반영할 수 있는 세분화된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 우리말 속의 日本語 語彙에 대한 硏究 : 世代別 使用實態를 中心으로

        강연재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오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서 역사를 살펴보면 言語를 交流하기 위해 交通手段이나 매스 미디어가 발달하지 않았던 이전에는 전달하는 사람이 이동하여 직접적인 접촉이 유일한 수단 이였을 것이다. 言語란 한민족의 문화적 傳統 속에서 자라난 얼이 담겨져 있으며 言語는 하나의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의 情緖와 感性까지 깃들여 있다고 볼 수 있다. 日帝 治下 36년간의 세월은 우리에게 정치, 경제, 사회, 문화면에서 큰 타격을 주었지만, 무엇보다도 민족의 얼을 멍들게 하였고 日本語 강제 교육기를 거치면서 言語는 물론이고 의식까지 혼란을 가져 다 주었다.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일본 문화를 예민하게 여겨 온 것 중에 하나가 일본어 사용의 억제이다. 1945년 이후부터 끊임없이 실시하고 있는 國語醇化運動에도 불구하고 기성세대들이 접하였던 日本語가 쉽게 사라지지 않은 채 다음 세대로 전이됨으로써, 光復 後 半世紀가 훨씬 지난 지금까지 우리의 言語生活 속에 깊이 잔존해 있다. 현재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투 語彙 중에는 日本語의 意味와 發音이 그대로 사용되는 固有 日本語를 비롯하여 마치 순수한 漢語라 여겨질 정도로 우리 語彙體系 속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는 日本製 漢語와 그 음운체계에 맞게 변형된 발음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日本製 外來語 등이 있다. 본 논문은 우리말 속의 日本語 語彙에 대해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어종별로 나뉘어 고유어, 한어, 외래어에 대해서 각각 성별 및 세대별로 사용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시대적인 언어 생활의 변화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또한 『국어 순화 용어 자료집』『일본어투 용어』에 실린 語彙중 分野別 專門用語를 제외한 일상생활에서 친숙하게 주로 쓰여지고 있는 日本語 語彙 중에 固有 日本語 60개와 日本製 漢語 26개, 日本製 外來語 44개를 중심으로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分析, 實態調査를 하였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固有 日本語에서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여지고 친숙해져 있는 어휘로서 전전 세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가족력이나 문화개방으로 적절한 표현 방법이 없어서 그대로 쓰여지고 있는 어휘임을 알 수 있었으며, 日本製 漢語에서는 대부분 응답자들은 자신들이 사용하고 있는 어휘를 韓國語라고 알고 있었고, 이것이 일본에서 만들어진 漢語라는 점을 모르고 있었다. 日本式 外來語에서는 응답자들은 자신들이 사용하고 있는 語彙가 日本式 外來語인 것을 몰랐으며 거의 英語를 한국식으로 발음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응답자들이 많은 혼돈을 가져온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사용빈도가 50%이상의 어휘를 15개로 선정하여 순위별로 일상생활에서 토착화 되어 버린 어휘들을 통계적으로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일상생활에 스며든 語彙가 의외로 많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世代別 20대에서 50대까지의 남, 녀 278명을 대상으로 實態調査를 한 결과로 사용빈도를 세대별, 성별차, 우리 일상생활에 토착화 되어버린 語彙가 어느 정도인가, 또한 주로 사용하는 語彙와 그다지 사용하지 않는 語彙를 분류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것을 위주로 分析 해 보았다. 본 논문은 우리말 속의 日本語式 語彙를 사용하지 말자는 취지가 아니라 우리가 韓國語에서 日本語式 語彙를 바르게 인식하고 올바르게 사용하자는 데에 논문의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또한, 좀 더 폭넓은 日本語 語彙에 대한 분석으로 우리말 속의 사용되고 있는 日本語 語彙에 대한 대체 할 수 있는 우리말 語彙를 연구해 보는 것이 논문의 의도이기도 하다. As examined in old history, there was no any other means of delivering language, but people directly moved and contacted with others for it before transportation or mass media developed. Language contains the spirit grown in the cultural tradition of one race, and the emotion and feeling of people in one community also dwell in language. 36 years under Japanese imperialism gave a serious blow to our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but most of all, it had done serious damage to the spirit of a nation, and it confused consciousness in addition to our language after the time of forced Japanese education. Till now we have strictly limited Japanese culture, particularly the use of Japanese language. In spite of Korean Purification Campaign that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since 1945, Japanese language that adult generations used to experience has been spread to the next generation without the disappearance of it, thus it still remains in our linguistic life deeply until this moment, although half a century has already passed sinc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Japanese style vocabulary currently used in our daily life can be classified into 3 types; original Japanese which uses its own meaning and pronunciation, Japanese style Korean word that is deeply in our linguistic system as if it is regarded as pure Korean word, and Japanese style loan word that uses transformed pronunciation for each sound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Japanese vocabulary according to its type and grasp the actual condition and cognition of using it in each generation for accurate understanding of Japanese vocabulary in Korean. Also this study analyzed and researched the actual condition with focusing on 60 original Japanese words, 26 Japanese style Korean words, and 44 Japanese style loan words selected from vocabularies in 『Source book of Korean Purified Terms』 and 『Japanese style terms』, except technical terms for each field. As the result of research, for original Japanese word, it is most frequently used and most familiar in our daily life because there is no other appropriate expression for it owing to family history or culture-opening, for Japanese style Korean word, most respondents misunderstood it was from Korean, not from Japanese. For Japanese style loan word, respondents did not know vocabulary that they used was Japanese style loan word, they thought it was just English pronounced in Korean accent, thus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highly confused respondents. Furthermore, this study shows the statistics of vocabularies settled in our daily life by selecting and making a graded list of 15 vocabularies whose frequency of use is 50% or above. and it means there are many vocabularies settled in daily life in a natural way than expected.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d vocabularies in order of the higher frequency of use in each generation and gender, the number of vocabularies from Japanese settled in our daily life, and the classification them by the frequency of use with the results of researching the actual condition targeting on 278 men and women between 20's and 50's. This study aims at uprightly recognizing and using Japanese style vocabulary in our daily life, not prohibiting using it.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Korean vocabulary to substitute for Japanese vocabulary now used in Korean with broader analysis of it.

      •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생성이름대기 및 범주특정적 결함

        강연재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성이름대기검사란 제한시간 내에 주어진 단서에 따라 가능한 한 낱말을 많이 산출하게 함으로써 생성된 어휘수와 다양함으로 이름대기의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로, 뇌손상 및 실어증 환자들의 인지적인 유연성과 인지 기능을 측정하는데 효과적인 검사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브로카실어증 환자에게 생성이름대기 검사를 실시하여 범주단서와 음소단서의 단서유형에 따른 생성이름대기 능력을 비교하고, 범주단서의 하위유형에서 생물범주와 무생물범주에서 범주특정적 결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중도의 중증도를 가진 브로카실어증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브로카실어증환자는 생성이름대기 검사에서 범주단서와 음소단서의 단서유형에 따라 생성이름대기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범주단서에서 음소단서보다 현저하게 높은 생성이름대기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범주단서가 음소단서에 비해 심상어휘집에 의미적으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고, 더 작고 조직화가 잘 되어 있기 때문에 낱말 생성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범주단서와 음소단서에 따라 활성화 되는 뇌 영역이 다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브로카실어증환자는 범주단서의 하위유형인 생물범주와 무생물범주에서 특정범주에 의미적 결함이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두 범주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브로카실어증환자들은 생성이름대기 과제의 생물범주에서 더 높은 수행력을 보여 무생물 범주에서의 범주특정적 결함을 나타내었다. 셋째, 브로카실어증 환자는 생성이름대기 검사에서 침입오류, 반복오류, 무의미 오류의 3가지 오류유형에 대한 발생률을 알아본 결과 침입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즉,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은 해당 의미범주에 속하지 않는 다른 의미범주의 낱말을 산출하였는데 이는 어휘와 의미표상과 그 처리의 손상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omparison of Generative Naming abilities between category cue and phonetic cue in Broca' aphasics. The test has been done to find out any Category-Specific Impairment by comparing Generative Naming abilities when category cue is divided into Living category and Non-living category. And the characteristic of Error type that is made by Broca's aphasics also has been researched. In this study ten Broca's Aphasics were tested. And the period of each cue test was restricted to one minute. The number of total correct and incorrect responses were analyzed by T-Test. The SPSS was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Broca's aphasics formed more words in category cue than phonetic cue in General Naming test. Second, Broca's aphasics produced more words in living category than in non-living category and it shows that there is Category-Specific Impairment of Broca's aphasics. Third, among the types of errors : Intrusion error, Non-meaning error and Repetition error, Broca's aphasics made Intrusion error most and made Repetition error least.

      • 도시 인프라스트럭처를 활용한 제3의 공간 구현에 관한 연구 : 엘에이 다운타운 인근을 중심으로

        강연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사람들의 필요 요구에 발 맞추어 여러가지 도시 기반 시설물들을 구축하였다. 도시 구조가 다원화되는 과정 속에서 도시 인프라 시설물들은 파편화 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이 중 교통 인스라스트럭처는 고가도로, 고가철도, 대교 등으로 도시의 급격한 고밀화와 차량 통행량 증가의 대안으로 발생한 도시 인프라 시설이다. 이 사회 기반 시설물들은 교통체계와 차량 통행에 도움을 주었지만 가로경관의 심미성, 단절성 등 의도치 않은 부작용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가장 큰 이슈는 거대한 구조물들이 야기한 지역 간의 단절과 광범위한 도시 유휴공간의 파생이었다. 1989년 미국의 사회학자 올덴버그(Oldenburg, Ray)는 그의 저서 ‘The Great Good Place’에서 장소성에 대해 유형화하며 장소를 세가지로 분할하여 설명한다. ‘제1의 공간’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집,’제2의 공간’은 일터이다. 그리고 ‘제3의 공간’은 공동체 생활의 ‘앵커’로서 창의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육성하는 장소이다. 이 장소는 ‘열린 공간’으로서 사람들의 휴식처 가 될 수 있는 접근성이 좋은 공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프라스트럭처를 활용한 제3의 공간의 구현을 통해 현대 도시의 인프라스트럭처가 가진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사람들에게 더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저 이동 수단이자 비목적성을 가지고 지나가기만 할 뿐인 이 통행 공간에 목적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3의 공간의 개념의 적용 방안과 인프라스트럭처의 공간 활용 방안의 연구를 통하여 분석의 틀을 만든 후, 이에 해당하는 사례들을 선정하여 각각의 특징들을 분석한다. 또한 이 분석된 요소들을 통해 인프라스트럭처를 활용하여 제3의 공간이 구현된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장-뇌 축의 구현 및 엑소좀 이동 평가를 위한 생체모사 미세유체 시스템 모델링

        강연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ut-Brain axis is a biochemical signalling link between the gut and the brain. Currently, various mechanisms, including the involvement of the microbiome and the immune system, have been revealed, and recently, exosomes have emerged as new agents. Exosomes are cell-generated secretory vesicles that can load a variety of biomolecules depending on origin-cell characteristics. Exosomes produced and released from cells have the ability to pass through other cells and blood vessels, which can travel through the bloodstream to other tissues. Exosomes-fed cells can also be affected or utilized by biomolecules mounted on exosomes to characterize donor cells. To date, gut-brain axis research is mainly based on in vivo, but it is unethical, time-consuming, and requires professional skills. In vitro, on the other hand, has limitations in mimicking the microenvironment in which cells grow, as transwell co-culture is mainstream.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organ-on-a-chip has recently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s a gut-brain axis platform.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hip's design, exosomes can be imaged in sizes of only 50–200 nm. We selected Caco-2 and bEnd.3 cerebrovascular cells to implement the intestinal-brain axis and selected Caco-2-derived exosomes, which are readily available as model materials. In addition, all three channels prepared gut-brain axis chips that allow observation of cell co-culture and exosomes' movement in one plane. The central channel formed collagen, which acts as a physical barrier for small substances such as exosomes, to prevent cells from moving. We first conduct a diffusion experiment with FITC-dextran (4kDa), a polymer fluorescence dye, and extracted exosomes to contrast the results with COMSOL simulations. Although both substances spread in the gut-brain axis chip to form concentration bands, FITC-dextran showed consistent experimental trends with the results of the COMSOL simulation, and exosomes differed between COMSOL and experimental results compared to FITC-dextran. In addition, exosomes were extracted from Caco-2 and translated HEK-293T to measure their size and distribution with DLS. Furthermore, GFP-CD63 gene was transfected to Caco-2 and HEK-293T for experiments requiring imaging on chips, and HEK-293T with higher transformation efficiency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chip experiments. Next, extraction exosomes were treated on well plate Caco-2 cells and bEnd.3 cells, respectively, to confirm the cell interaction with exosomes, and the amount absorbed by exosomes also increased as the exosomes processing time increased. Subsequently, extraction exosomes were treated on bEnd.3-cultured chips and we can confirm that uptake of exosome was decreased as time. And we co-culture transfected HEK-293T and bEnd.3 on chip, and we can confirm more HEK-293T-derived exosomes entered to collagen as time. But bEnd.3 uptake low exosomes, so we couldn’t analyze uptake amount as time. Through this study, we have confirmed that intestinal-brain scale chips are suitable for the co-culture of intestinal cells and cerebrovascular cells, and that diffusion and movement of exosomes, a substance transfer medium of both cells, can be implemented and imaged. It was also possible to image interactions such as cell-exosome absorption or release through fluorescence. Existing invitro transwell BBB models or most microfluidics-based BBB models typically have two layers, making it difficult to simultaneously image the co-culture and exosomes of cells. However, our gut-brain scale allows this imaging because all channels are located in one plane. Also, gut-brain scale chips have the potential to mimic the human body more similarly depending on improvements such as collagen concentration control. It is expected that our chips can be useful in implementing and related research of improved gut-brain axial chips. 장-뇌 축이란 장과 뇌 사이의 생화학적 신호전달의 연결성이다. 현재 장미생물과 면역계의 관여 등 다양한 메커니즘이 밝혀져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운 관여물질로 엑소좀이 떠오르고 있다. 엑소좀은 세포가 생성하는 방출형 소포로, 유래-세포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생체분자가 탑재되어 있다. 세포로부터 생성되어 방출된 엑소좀은 다른 세포와 혈관을 통과하는 능력이 있어 혈류를 타고 다른 조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엑소좀을 섭식(uptake)한 세포는 엑소좀에 탑재된 생체분자의 영향을 받거나 활용하여 donor 세포의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현재까지 장-뇌 축 연구는 in vivo가 주류를 이루나 윤리적 문제가 크며 시간이 많이 들고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한다. 반면 in vitro는 transwell 공배양이 주류이기 때문에, 세포가 자라는 미세환경을 모사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런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최근 장-뇌 축 플랫폼으로 organ-on-a-chip이 점점 각광받고 있다. 우리는 장-뇌 축 구현을 위해 Caco-2 장세포와 bEnd.3 뇌혈관세포를 선정하였고 모델물질로는 손쉽게 구할 수 있는 Caco-2-유래 엑소좀을 선정하였다. 또한 3개의 모든 채널이 하나의 평면에서 세포의 공배양 및 엑소좀의 이동 관찰이 가능한 장-뇌 축 칩을 준비했다. 중앙에 위치한 채널에는 세포가 이동하지 못하되 엑소좀과 같은 작은 물질은 통과할 수 있는 물리적 장벽 역할의 콜라젠 젤을 형성하였다. 먼저 고분자 형광dye인 FITC-dextran(4kDa)과 추출한 엑소좀으로 확산실험을 하여 COMSOL 시뮬레이션과 결과를 대조하였다. 장-뇌 축 칩에서 두 물질 모두 확산되어 농도구배를 형성하였으나, FITC-dextran은 COMSOL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 결과 경향성이 일치하였고, 엑소좀은 FITC-dextran에 비하면 COMSOL과 실험 결과 간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Caco-2와 transfected HEK-293T에서 엑소좀을 추출하여 DLS로 크기와 분포를 측정하였다. 또한 칩에서의 이미징이 필요한 실험을 위해 Caco-2와 HEK-293T에 GFP-CD63 gene을 transfection하였고, transfection efficiency가 더 높은 HEK-293T가 칩 실험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엑소좀과 세포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well plate에서 배양한 Caco-2 cells와 bEnd.3 cells에 추출 엑소좀을 처리하였고, 각각 엑소좀 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엑소좀을 흡수한 양 또한 비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엔 bEnd.3를 배양한 칩에 추출엑소좀을 처리하여 시간에 따라 엑소좀 흡수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transfected HEK-293T와 bEnd.3를 공배양한 상태에서 HEK-293T가 방출한 엑소좀이 콜라젠에 들어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bEnd.3에선 형광이 약하여 유의미한 분석이 불가능했다. 우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장-뇌 축 칩이 장세포와 뇌혈관세포의 공배양에 적합하며 확산실험을 통해 두 세포의 물질전달 매체인 엑소좀의 확산과 이동이 장-뇌 축 칩에서도 구현 가능하며 이미징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또한 세포와 엑소좀의 흡수 혹은 방출과 같은 상호작용을 형광을 통해 이미징할 수 있었다. 기존 in vitro transwell BBB 모델 혹은 대부분의 microfluidics-based BBB 모델이 2개의 층을 가져 세포의 공배양과 엑소좀을 동시에 이미징하기 어려웠으나 우리의 장-뇌 축 칩은 모든 채널이 하나의 평면에 위치해 있어 이러한 이미징이 가능하다. 또한 장-뇌 축 칩은 콜라젠 농도 조절과 같은 개선 방안에 따라 더 유사하게 인체를 모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보다 향상된 장-뇌 축 칩 구현 및 관련 연구에 있어 우리의 칩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