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전도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에서의 문자 입력자세 평가

        옥창열 경성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mobile devices are very popularly used in our business, study, leisure and daily lives. Text messaging is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 and tablet. Users use their fingers for touching, double clicking and dragging on the devices. We measured EMG on right flexor cardi radialis (RFCR) and right extensor carpi ulinaris (RECU) for sitting, lying on the belly, and lying on the back textual message input postures on the mobile devices. The participants also evaluated the textual input postures by Borg’s RPE scale. The study found smartphone requires less ergonomic workload than tablet. Sitting posture is ergonomically better than lying face down and lying on the back posture when using the mobile devices.

      • 평생교육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일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이주철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평생교육의 장이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e-평생학습환경으로 변화하고 있 으며,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해 원격형태 평생교육기관 학습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교육의 장이 온라인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따라서 양질의 평 생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평생교육사의 역량 강화에 대한 요구가 확대대고 있으며 중 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독립변수로, 일 몰입을 종속변수로, 학습민첩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각 변인별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디지털 리터러시란 인터넷에서 발견한 정보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올바르 게 평가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비판적인 사고력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일 몰 입이란 독립적이고 지속적인 동기부여가 되는 심리적인 상태이며 업무수행 시 긍정 적, 열정적, 헌신 및 몰두하는 개인의 마음상태이다. 마지막으로 학습민첩성이란 경험 으로부터 학습하려는 의지와 능력이다. 정리하면,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시대에서 평생교육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의 필요성과 중요성, 나아가 앞으로 평생교육사의 역 량강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상기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 생교육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평생교육사의 디지 털 리터러시는 학습민첩성을 매개로 하였을 때 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교육서비스업에 종사하는 평생교육사 2급 자격 증을 취득한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2023년 9 월 5일부터 2023년 9월 15일까지 총 10일에 걸쳐 네이버 폼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과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63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2부를 제외한 161부가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설문은 디지털 리터러시 18문항, 일 몰입 9문항, 학습민첩성 18문항, 인구통계학적 변인 6문항으로 총 5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분석을 위해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의 bootstrapping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 값을 통한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와 일 몰입은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으로의 평생교육의 장이 확대됨에 따라 인터넷 환경에서의 자료를 찾거나, 이를 업무에 적용하는 상황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평생교육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으면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개인 및 조직의 성장 또한 도모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학습민첩성은 디지털 리터러 시와 일 몰입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변화하는 사회에서 평생 교육사의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높더라도 이에 빠르게 대응 할 수 있어야 일 몰입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대다수가 계약직이라는 불 안정한 평생교육사의 고용환경, 본 업무 이외의 타 업무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상 황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역량을 강화하여 업무에 적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시대의 다양화되고 있는 평생교육의 환경에서 평 생교육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제고와 강화를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현재 평생교육사의 상황에 맞추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변인들을 통한 평생교육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요인에 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venue of lifelong education is turning into an e-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study at any place and at any time. The COVID-19 pandemic has continued to increase the number of learners at remot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spurred attempts to convert the venue of education online. As a result, demand for the reinforced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is expanding and gaining more importance to provide quality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an independent variable, the digital literacy of lifelong educators, a dependent variable, their work engagement, and a mediating variable, their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is a critical thinking ability demanded from users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they find on the Internet and assess its value right. Work engagement is a psychological state of independent and consistent motivation, representing an individual's mental conditions of positive, passionate, devoted, and engaged during the performance. Learning agility is an individual's will and ability to learn from their experience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eed and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ors' competencies in these changing times and the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reinforce their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the digital literacy of lifelong educators have effects on their work engagement?; and second, does their digital literacy have effects on their work engagement via learning agility?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workers who obtained the Second Class Certificate for Lifelong Educators and worked in the types of occupations in the educational service industry in the nation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survey used an online format based on a Naver form and a face-to-face format for ten days on September 5~15, 2023. A total of 163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and 161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 analysis after two were excluded for their insincere respons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1 items including 18 on digital literacy, nine on work engagement, 18 on learning agility, and six on demographic variables. They were analyzed with bootstrapping in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The study carried out 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with Cronbach’s α coefficien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analyse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digital literacy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work engagement, which means that lifelong educators face many situations to find material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apply them to their work as the venue of lifelong education has expanded online.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lifelong educators with high digital literacy can promote the growth of individuals and their organizations by maximizing work efficiency; secondly, learning agility had ful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work engagement, which means that lifelong educators with high digital literacy can increase their work engagement by making a fast adjustment as their roles expand in this changing society. It also indicates that they should reinforce their diverse competencies in addition to digital literacy and apply them to their work in their unstable employment environment where a majority are contract workers and in their situation to do additional jobs in addition to their main ones. The present study offered implications for the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and reinforce the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environment of lifelong education that was diversifying amid the changing times. The study raised a need for consistent research efforts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of lifelong educator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a follow-up study on the factors to reinforce their competencies with various variable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 부산/울산/경남의 지역산업 연계 디자인 R&D 성과분석을 통한 지역디자인산업 발전방안 연구

        이경희 경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이 연구에서는 부산/울산/경남지역 디자인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재)부산디자인센터가 2017년 7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지원했던 부산/울산/경남 지역소재기업 연계 디자인개발사업의 전반적인 내용과 성과 분석을 토대로 지역 기업의 디자인 활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지역의 RDC, 디자인 전문회사, 기업체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디자인산업과 관련하여 기업은 ‘디자인 개발비 지원’, ‘고급 디자인 전문 인력 확보’, 지역 디자인 전문회사 확대‘를 필요로 하며, 디자인 전문회사는 ’고객 디자인 인식‘, ’지역 디자인 관련 수요 창출‘에 애로를 느끼고 있었다. 지역 RDC는 정부가 추진하는 디자인 R&D 참여를 통해 ’디자인 개발비 지원‘과 ’지역의 디자인 관련 수요 창출‘을 지원할 수 있으며, 산·학·연·관이 참여하여 과제를 발굴하는 연구회를 운영하여 신규 사업으로 디자인 R&D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의 디자인 수요를 창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 RDC는 지역 기업들이 디자인분야의 확대를 예상한 ‘IOT 가전’, ‘바이오헬스’, ‘전기/자동차’ 등의 분야와 연관한 디자인 전문회사의 역량을 강화시켜야 한다. 울산과 경남지역은 디자인산업의 규모가 작아서 지금 등록된 디자인 전문회사의 디자인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방법과 지역 디자인학과 졸업생의 창업 등으로 디자인산업의 양적 확대도 필요하다. 지역 기업들은 기업 경영 전반에 디자인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기업과 연계한 디자인개발사업 사업의 민간부담금을 로열티로 지급하는 것도 기업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았다. 디자인을 통한 매출 증대 효과가 크지 않다는 인식으로 인해 기업의 디자인 활용과 투자가 미흡한 것이 현실이므로, 디자인 활용에 대한 인식이 낮은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디자인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관련 컨설팅이 매우 중요하다. 디자인 전문회사가 지역 기업의 디자인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제품(서비스)에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과 예상되는 성과나 이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디자인에 대한 투자를 주저하는 기업에게는 정부가 추진하는 디자인 정책과 R&D 참여 방법 등을 컨설팅 하는 것도 바람직 할 것이다. 지역 기업이 기술개발을 통한 제품의 차별화나 기업의 경쟁력 제고가 한계에 이르렀음을 인식하게 하고, 디자인 개발과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과 지역 RDC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활용 방법, 디자인 성공 사례 등을 기업 상황에 맞추어 제시하는 방법이 효율적일 것이다. 제조업에서도 서비스디자인의 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시대적 추세이지만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서비스·경험디자인 분야는 아직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재)부산디자인센터는 지역의 지자체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회문제를 서비스디자인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기획하고 제안함으로써 지역의 서비스디자인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Doctoral Dissert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Design Industry through the Analysis of Design R&D linked with Busan, Ulsan and Kyeongnam Industry Lee, Kyong-Hee Department of Digital Design Graduate School of Digital Design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Cheng, Hong-I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s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design industrie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status. The design development project provided by Busan Design Center from July, 2017 to March, 2018 was analyzed and the roles of regional RDC(Regional Design Center), design specialized company, commercial businesses were present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design in the locality. General commercial enterprises requested design development subsidy, design experts acquirement, and development of local design specialized companies regarding design industry. Design specialized companies demanded customers’understanding of design and growth of local design market. The local RDC could support design development subsidy and growth of design market by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 design R&D projects or conducting new design R&D projects proposed by research meeting team composed of local industry, academy, government and institute. The RDC needs to assist regional companies enhancing their capabilities in IoT appliance, bio-health and electricity/automobile fields which were expected to be expanded in the near future by local compani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is required for Ulsan and Kyongnam design industry because of its small scale of design industry. It can be achieved by expansion of design field and establishment of new design companies. Local enterprises have not actively developed and applied design to the management. They hesitated paying design royalties to design specialized company for the levy. It’s very important to inform the enterprises the value of design for the design market expansion. Design specialized company could show expecting outcomes and profit in detail to the local firms to change their thoughts for design. They should understand competitive products and services could be provided by developing and upgrading design. Design application methodology and successful design cases would be useful to consult and persuade the enterprises offered by KIDP(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and RDC. Service and experience design is not common in the local manufacturing enterprises. Busan Design Center, RDC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could promote service design by planning and suggesting solutions for concerning local social problems.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성공적 노화 연구동향 분석: 중장년의 발달과업을 중심으로

        이지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국내 성공적 노화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중장년기의 발달과업 을 중심으로 성공적 노화 연구의 하위 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의 성공적 노화 연구가 평생교육적 관점 에서 중장년기 발달과업의 요소를 얼마나 다루고 있는지 연계성과 간극을 확 인하여 앞으로의 성공적 노화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통해 성공적 노화 연구의 전체적 구조를 분석하고, 중장년기의 발달과업 요소와 관련된 성공적 노화 연구 핵심어를 도출하여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절차는 선행연구분석, 자료수집단계, 자료정제단계, 자료 분석단계, 결과 정리로 시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연도 제 한 없이 2023년 7월 26일까지의 기간을 설정하여 한국학술연구정보 서비스 (RISS)를 통해 학술지 초록 데이터를 수집 후 최종분석자료 279편을 선정하 였다. 이후 자료정제를 위해 넷마이너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형태소 분석과 함 께 데이터 전처리를 시행하고, 교육학 박사 2인의 교차검증을 통해 적정성 여 부를 확인하였다. 자료분석 단계에서는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물 전체를 관통하는 잠재적 주제 분석을 위해 넷마이너를 활용하여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토픽은 상위 5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여 관련된 학술지 초록 원문 데이터를 검토한 후 토픽명을 부여하였고, 이후 토픽명의 타당성을 교육학 전공 박사 2인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중장년기 성공적 노화 연구 의 방향성 제시를 위해 중장년기의 발달과업을 중심으로 성공적 노화 연구 핵심어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중장년기 성 공적 노화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성공적 노화 연구의 전체 연구동향 분석 결과,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성공적 노화 연구의 주 요 대상은 노년기로 나타났다. 또한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및 영향요인 중 심으로 핵심어 빈도가 높고, 중심성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핵심어 동시출현 빈도분석과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통해 성공적 노화의 실천과 정책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최근 중요하게 주장되고 있 으며, 사회복지, 여가활동, 생활체육, 고용, 문화자본 등이 매개중심성 분석결 과에서 유의한 핵심어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공적 노화 연구의 주요 토픽 분석을 통해 중장년기, 평생교육에 대 한 논의가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했으며, 성공적 노화의 사회적 영역, 여성의 건강과 신체활동, 여가활동 및 노후준비, 문화자본 확충을 통한 성공적 노화태도 형성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특히 성공적 노화와 평생교육에 관한 토픽으로 토픽 그룹이 형성되어 고령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과업수행 과 적응을 통한 성공적 노화에는 평생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중장년기의 발달과업의 3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성공적 노화 연구동향 을 분석한 결과, 신체건강·인지적 영역에서 중장년기와 평생교육, 디지털 리터 러시 등의 핵심어에 대한 연결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중장년기의 사회 적 과제와 부담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실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리(정의)적 영역의 분석을 통해 향후 중장년의 심리적 발 달과업의 해결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연구와 더불어 교육적 요구분석의 필 요성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영역에서 중장년기에 관한 관심은 경 제적 노후준비에 집중된 경향을 보이고 있어 은퇴준비, 퇴직, 경력 등 중장년 기가 당면한 발달과업의 성취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 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시사점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성공적 노화 연구동향 분석을 위해서 관계론 관점의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기존 연구동향 분석연구들과 다른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국내 성공적 노화 관련 연 구는 국내 사회복지학, 사회과학, 공학, 복합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연 구되고 있고, 특히 고령사회에 진입한 2008년을 기준으로 급격한 증가세를 보 인다. 사회적, 학문적 관심이 증가에 따라 성공적 노화에 관한 국민 전반의 인 식변화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 고령친화적 환경구축 등 보다 거시적 측 면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다가오는 초고령사회로 인한 인구구조의 전환에 따라 전생애단계에서 성공적 노화를 위해 실천적으로 대비하는 관점의 연구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 동안 수행되어 온 성공적 노화 예측인자를 바탕으로 복지서비스 등 제도적 차 원의 접근, 교육적 차원에서 프로그램 개발 및 요구분석 등 성공적 노화의 요 소를 반영하기 위한 보다 실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중장년기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는 중장년기 연령대의 다양성을 반영한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중장년기는 노년층 진입을 앞둔 생애단계로 성공적 노화에 대한 가장 큰 욕구와 관심사의 대상으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개 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실천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중장년 ‘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보다 확장된 논의를 바탕으로 경력개발 지원, 사회구조적 차원에서 경력전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 하다. 둘째, 중장년의 발달과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의 변화 와 더불어 사회환경 변화에 적응을 위한 평생교육적 차원의 제도적 기반 마련 이 필요하다. 셋째, 중장년의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 사회자본 확충 및 정책개 발이 필요하다. 특히, 세부 발달과업영역과 관련해서는 은퇴준비, 퇴직, 경력 등 중장년기가 직면한 사회적 과제와 부담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과 제도, 디 지털 리터러시 등 환경적 변화에 따른 과업해결과 함께 중장년기의 심리적 발 달과업의 수행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심리상담 및 심리지 원서비스 지원, 또는 심리적 웰빙을 위한 여가문화시설 확충, 학습참여, 공동 체 형성 등 다양한 차원의 정책개발을 통해 중장년기의 성공적 노화를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 하였다. This study made use of text network analyses to analyze trends in the field of successful aging research in the nation and explore its substructure around the developmental tasks of the middle-aged phase.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connections and gaps in how much previous studies on successful aging dealt with the developmental task elements of the middle-aged phas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and propose directionality for future studies on successful aging.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the overall structure of successful aging research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es and topic modeling by conducting a text network analysis and performed an ego network analysis by identifying the keywords of successful aging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al task elements of the middle-aged phase. In this study, analyses went through a procedure of analyzing previous studies, collecting data, refining data, analyzing data, and arranging results. For data collection, the study set a period until July 26, 2023, with no restrictions to years, collected abstract data from academic journals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and selected 279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refining stage involved morpheme analysis and data preprocessing with the NetMiner program and had them checked for fitness by two doctorate holders in pedagogy in a cross-validation test. At the data analysis stage, the study carried out keyword network and topic modeling analyses with NetMiner to analyze the latent topics penetrating the entire research on successful aging. For each topic, five upper-level keywords were identified. After reviewing the data of related original abstracts in academic journals, the study named each topic and had the topic titles tested for validity by two doctors in pedagogy.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d the keywords of successful aging research around the developmental tasks of the middle-aged phase and figured out the trends of the research with an ego network analysis to propose directionality for successful aging research for the middle-aged phas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overall trends of successful aging research show that there was consistent research across various academic fields and mainly targeted old age for successful aging research. The keyword frequency was high around the components and influential factors of successful aging with a trend of high centrality. Second, the results of keyword co-occurrence frequency and network analyses show that researchers importantly argued for the need to practice successful aging and develop policies for it in recent years and found the significant keywords of the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es including social welfare, leisure activity, sports for all, employment, and cultural capital. Third, the main topic analysis of successful aging research indicates that there were active discussions about the middle-aged phase and lifelong education and that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e social domain of successful aging, women's health and physical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 preparations for old age, and the formation of a successful aging attitude through the expansion of cultural capital. In particular, topic groups were formed around the topics of successful aging and lifelong education, which shows that lifelong educ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uccessful aging through new task performance and adjustment required in an aging society.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successful aging research around the three domains of developmental tasks in the middle-aged phase. In the physical fitness and cognitive domain, there was a low degree of connection among the keywords of the middle-aged phase, lifelong education, and digital literacy, which raises a need for research on educational practice to solve the social tasks and burdens of the middle-aged phase. The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affective) domain identified a need to analyze educational needs along with the research of diverse topics related to the solution of psychological developmental tasks in the middle-aged phase. Lastly, the social domain exhibited a tendency of interest in the middle-aged phase concentrated on economic preparations for old age, which raises a need for diverse research efforts to perform the developmental tasks of the middle-aged phase including retirement preparation, retirement, and care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cademic implications, first, the study identified different meanings from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research trends by making active use of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 theories to analyze the trends of successful aging research. Second, there has been consistent research on successful aging conducted across various fields in the nation including social welfare, social science, engineering, and interdisciplinary science. The number of such studies started to make a rapid increase in 2008 when the nation entered the aging society phase. This implies a need for research in a more macroscopic aspect such as more active policies and old age-friendly environments to change people's overall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heir growing social and academic interest in it. Third, there should be a shift to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al preparations for successful aging across the entire life stages due to the conversion of the population structure in the upcoming super-aging society. Based on the predicting factors of successful aging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more practic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reflect the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including an approach at the institutional level such as welfare service, program development at the educational level, and needs analysis. Fourth, there is a need for segmented research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phase to reflect the diversity of different age groups in the middle-aged phase. As a life stage before entering old age, the middle-aged phase has the biggest need and interest in successful agi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research findings so far in an integrated manner and compare their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tudy provi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the practical aspect: first, there is a need for efforts to support the career development of middle-aged "women" and provide them with an opportunity for a career switch at the social structure level based on more extended discussions about their successful aging; second,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basis at the lifelong education level for adjustment to social environment changes as well as changes at the individual level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al tasks in the middle-aged phase; and third, it is needed to expand social capital and develop policies for it to promote the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In the area of detailed developmental tasks, there is special importance in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al tasks of the middle-aged phase along with resolving the social tasks and burdens faced by the middle-aged such as retirement preparation, retirement, and career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cluding education, system, and digital literacy. It is critical to ensure the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phase through policy development across various dimensions including support for psychological consultation and psychological assistance services, expansion of leisure culture faciliti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community building. Based on these, the study discussed its limitations and made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 캡슐커피의 포장 디자인이 고객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

        등준걸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Coffee is a necessary beverage for modern people, and its market size is steadily increasing. Especially the demand for capsule coffee is recently much increased because of its convenience, quality, and COVID-1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apsule coffee packaging design on customers’ emotions regarding the coffee flavor. Three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the study. Although the packaging is mainly used to protect food, different packaging designs can provide consumers with a proper and rich experience in terms of food flavor and other aspects. Packaging color is a significant marketing element for the capsule coffee packaging design. Forty-nine colors were selected for the first experiment after surveying the colors of capsule coffees and the Coffee Taster’s Flavor Wheel in the first experiment. Thirteen commercial capsule coffees were chos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and subjectively compared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participants compared seven capsule coffees’ flavors subjectively by assessing expected and experienced the flavor of the products. They imagined the flavors of coffee just observing the coffee capsules and evaluated the tastes after drinking the products. We found the color of capsule coffee affects the perceived expected and experienced coffee favor. The participants expected brownish colored capsule coffee would have good flavor and taste, strong strength, and body. Green, blue, pink, purple, and gray colors were presumed to show bad aroma and taste. The dark-colored capsule was expected to be proper for the capsule coffee with strong strength and body and saturated colored capsules were believed good for weak strength and body coffee. Coffee aroma and overall flavor were similarly evaluated and body and strength were also assessed correspondingly. Customers would expect weaker and stronger flavor when saturated and the darker color is used for the capsule respectively. Customers can expect the corresponding coffee aroma, strength, body, and taste from the coffee capsule color when proper packaging color is used. Coffee makers can apply the results of the study to select appropriate packaging colors for the capsule coffee.

      • 대학생활만족도가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준비행동의 매개효과

        서덕운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20대 대졸 청년층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첫 일자리 만족도와의 관 계에서 취업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 여 대졸 청년층의 대학생활만족도, 첫 일자리 만족도,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선 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한 대졸 청년층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 째, 한국고용정보원의 2020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9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이하, 2019GOMS)를 기초자료로 하여,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 수집된 2019GOMS 표본 18,2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을 졸업한 청년층으로, 청년기본법 제 3조(정의)에서 정 하는 청년층 연령(19세 이상 34세 이하)과 청년고용촉진 특별법에서 정하고 있는 청년층 연령(15세 이상 29세 이하)의 교집합을 기준으로 하였다. 셋째, 첫 일자리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첫 일자리가 아르바이트인 경우를 제외 하였으며 상용직 근로자만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월 급여 평균 100만원 미만 표본은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추출된 2019GOMS 데이터는 IBM SPSS 2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Cronbach’s α 계수를 분석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주요변 인의 기술통계와 변인 간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취 업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부트스트래 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만족도와 첫 일자리 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 와 첫 일자리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취업준비행동이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 대학생활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이 부분 매개할 경우 첫 일자리 만족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졸자의 대학 생활만족도가 향상될수록 첫 일자리 만족도가 향상한다. 이는 대학 재학 시절 경험하는 대학생활 전반의 만족도가 향상할수록 대학 졸업 이후 첫 일자리에 서의 만족도 또한 향상됨을 의미한다. 둘째, 대졸자의 취업준비행동은 대학생 활만족도와 첫 일자리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진다. 대졸자가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교육만족도, 교육서비스만족을 포함한 전반적 인 대학생활만족도가 향살 될수록 취업준비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론적, 실무적 측면에서 시사 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취업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첫 일자리에서 가지 게 되는 일자리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취업문제를 직면한 대졸 자가 취업을 위하여 대학 시절동안 경험하는 취업준비활동이 향상될수록 개인 이 원하는 직업에 안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첫 일자리에서 경험하는 전 반적인 만족도의 향상을 촉진할 수 있으며 첫 일자리에서의 불만족을 해소하 기 위하여 대학생활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 재학시절부터 대학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 대학운영, 제도적 변화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첫 일자리에서 만족 도 향상을 위해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ㆍ취업관련 교과목에 대한 효과적ㆍ효 율적 운영과 적용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 모바일 전화기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고령 사용자의 참여 디자인 : PARTICIPATORY DESIGN FOR MOBILE PHONE INTERFACE WITH THE ELDERLY

        바튜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83

        인간에게 있어 이동성은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이다. 이동하는 동안에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의 개발은 그 필요성이 오래전 부터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1990년대까지는 멀리 떨어진 동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대안들이 개발되지 못했다. 최근에 인류는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타인과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모바일 전화는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의 하나이다. 이동 전화는 우리들의 삶을 보다 편리하게 변화시켰으며 일상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이동 전화기의 물리적인 제약으로 인해 모든 기능들은 작은 입출력장치(키, 버튼, 스크린 등)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들은 사회와의 지속적인 접속을 비롯한 다양한 필요에 의해 모바일 전화기를 구입하지만, 모바일 전화기 자체가 기기의 목적 성취를 보장하지는 못한다. 모바일 전화기 사용자들의 일부는 전화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일부는 기능을 제한적으로 사용하며, 어떤 사용자들은 모든 기능을 능숙하게 사용 한다. 모바일 관련 기술들의 급속한 발전은 전화기의 다양한 새로운 기능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고령자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새로운 하이테크 기능들이 요구하는 인지적인 수준을 따라가지 못해 전화기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비록 많은 고령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데 적극적이지는 않지만 요즘의 젊은 고령자들은 모바일 기술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다. 이같은 이유로 전세계적으로 고령자를 위한 모바일 전화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모바일 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매우 경쟁이 심한 시장이다. 주요 모바일 전화 생산업체들은 장기간의 투자로 고객에게 보다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장에 새로운 기술을 계속하여 선보인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는 컴퓨터보다도 모바일 전화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업의 시장조사에서는 어린이들과 고령자들은 사용자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모바일 기기와 기술의 개발은 주로 중장년층의 사용자를 목표로 한다. 모바일 전화기의 복잡한 메뉴의 배치, 사용성이 낮은 인터페이스디자인, 작은 버튼이나 글자들로 인해 고령자들이 모바일 전화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많은 문제가 있음은 이미 알려져 있다. 모바일전화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고령 사용자들이 모바일 전화기를 원하지 않게 만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화기에 대한 불만을 가중시키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고령인구가 전체 부의 큰 비율을 소유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고령자들에게 효과적인 모바일 기술 개발이 IT 업계에 큰 시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전화는 고령자들의 독립적인 생활, 사회와의 연계, 삶의 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고령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커뮤티케이션 기기이다. 하지만 여전히 모바일 전화기를 포함하여 IT 제품이나 서비스는 60대 이상의 고령자들에겐 부적절하지 않게 개발된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따로 실시하고 분석한 다섯가지의 실험 연구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장(chapter)은 서로 연관성을 가지며, 실험은 터키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관련 문헌연구, 인터뷰, 설문조사와 준비조사(pilot study)는 필요한 경우 각각의 연구에서 수행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뮬레이션과 어플리케이션도 연구를 위해 개발하였다. 고령자와 모바일 기기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고 활발히 연구하고 있는 분야이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고령자의 웰빙을 위한 효과적인 기술개발, 현재와 미래의 기술 검토, 고령자에 대한 기술의 적정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아이콘의 평가와 디자인 가이드 라인 제시, 피험자를 이용하여 아이콘을 사용한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평가 등을 통해 고령자들이 모바일 전화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과 사용 행태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고령자를 위한 모바일 전화기의 개발에 공헌하는 것이다.

      • PARTICIPATORY DESIGN FOR MOBILE PHONE INTERFACE WITH THE ELDERLY : 모바일 전화기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고령 사용자의 참여 디자인

        Yucel Batu Salman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83

        인간에게 있어 이동성은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이다. 이동하는 동안에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의 개발은 그 필요성이 오래전 부터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1990년대까지는 멀리 떨어진 동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대안들이 개발되지 못했다. 최근에 인류는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타인과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모바일 전화는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의 하나이다. 이동 전화는 우리들의 삶을 보다 편리하게 변화시켰으며 일상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이동 전화기의 물리적인 제약으로 인해 모든 기능들은 작은 입출력장치(키, 버튼, 스크린 등)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들은 사회와의 지속적인 접속을 비롯한 다양한 필요에 의해 모바일 전화기를 구입하지만, 모바일 전화기 자체가 기기의 목적 성취를 보장하지는 못한다. 모바일 전화기 사용자들의 일부는 전화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일부는 기능을 제한적으로 사용하며, 어떤 사용자들은 모든 기능을 능숙하게 사용 한다. 모바일 관련 기술들의 급속한 발전은 전화기의 다양한 새로운 기능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고령자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새로운 하이테크 기능들이 요구하는 인지적인 수준을 따라가지 못해 전화기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비록 많은 고령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데 적극적이지는 않지만 요즘의 젊은 고령자들은 모바일 기술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다. 이같은 이유로 전세계적으로 고령자를 위한 모바일 전화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모바일 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매우 경쟁이 심한 시장이다. 주요 모바일 전화 생산업체들은 장기간의 투자로 고객에게 보다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장에 새로운 기술을 계속하여 선보인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는 컴퓨터보다도 모바일 전화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업의 시장조사에서는 어린이들과 고령자들은 사용자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모바일 기기와 기술의 개발은 주로 중장년층의 사용자를 목표로 한다. 모바일 전화기의 복잡한 메뉴의 배치, 사용성이 낮은 인터페이스디자인, 작은 버튼이나 글자들로 인해 고령자들이 모바일 전화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많은 문제가 있음은 이미 알려져 있다. 모바일전화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고령 사용자들이 모바일 전화기를 원하지 않게 만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화기에 대한 불만을 가중시키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고령인구가 전체 부의 큰 비율을 소유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고령자들에게 효과적인 모바일 기술 개발이 IT 업계에 큰 시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전화는 고령자들의 독립적인 생활, 사회와의 연계, 삶의 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고령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커뮤티케이션 기기이다. 하지만 여전히 모바일 전화기를 포함하여 IT 제품이나 서비스는 60대 이상의 고령자들에겐 부적절하지 않게 개발된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따로 실시하고 분석한 다섯가지의 실험 연구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장(chapter)은 서로 연관성을 가지며, 실험은 터키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관련 문헌연구, 인터뷰, 설문조사와 준비조사(pilot study)는 필요한 경우 각각의 연구에서 수행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뮬레이션과 어플리케이션도 연구를 위해 개발하였다. 고령자와 모바일 기기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고 활발히 연구하고 있는 분야이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고령자의 웰빙을 위한 효과적인 기술개발, 현재와 미래의 기술 검토, 고령자에 대한 기술의 적정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아이콘의 평가와 디자인 가이드 라인 제시, 피험자를 이용하여 아이콘을 사용한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평가 등을 통해 고령자들이 모바일 전화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과 사용 행태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고령자를 위한 모바일 전화기의 개발에 공헌하는 것이다.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human being in centuries is the mobility. There was always a need for tools that people can use while they are mobile. Until 1990s, people did not have several alternatives as today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from far distances. Now anyone can be reached without any time and location restrictions by mobile devices. The mobile phone is accepted as the most significant invention of 20th century. Mobile phones cover an essential part of peoples’ life by supporting the daily activities and making the life easier in many aspects. The mobile phone satisfies great amount of the users with many useful functions collected in a small-sized device. Although, each person should purchase a mobile phone to stay connected to the society, having a mobile phone would not guarantee the effective utilization and adoption. It is possible for any user to completely reject it, or partially use it with limited features, or fully accept it with all functions. Mobile phone users show different type of behaviors especially when they interact with a newly introduced electronic device. Rapid advances in the mobile technologies outcome additional new features to the users. Some user groups such as the elderly find it difficult to deal with the cognitive demands of the mobile devices due to ageing. For instance, the reaction time may slow with the age. Although the seniors have serious concerns about using the new technologi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to mobile technologies by the elderly. The demand for a senior – friendly mobile phone is increasing in the world. Mobile phone market is a highly competitive business which is growing continuously. Especially the big manufacturers can make long term investments to provide better services and products to the consumers. These companies introduce new products equipped with new technologies to the market. In developing counties, people show their interest to the technology by using mobile phones more than computers because of the relatively easier use and cheaper prices. Children and the elderly were not included to the user profiles when the mobile phones took place in the market at first. Therefore, the device and the related mobile technologies were developed by mainly considering the needs of young and middle aged individuals. It was currently proven that people who are aged over 60 years old have various interaction problems with the mobile phones due to the complex menu arrangements, careless user interface designs, small sized buttons and fonts. This makes mobile phones as an undesired tool to the elderly and causes frustration while performing even basic tasks. Older population controls a large percentage of the wealth in developed countries. It presents a big market opportuni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with a key challenge to explore how new technologies can be effectively adapted to this group. Standard IT applications and services are not appropriate for people who are over 60s. Mobile phones can assist older people with independent living, an interconnection with society, and a satisfying daily life. Older people experience a natural decline in their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abilities which may limit their independence and the quality of life. The dissertation consists of five different empirical studies that were independently conducted and analyzed. All chapters are highly inter-related, an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urkish mobile phone users. The research encompasses literature studies, structured interviews, surveys, and pilot studies. Computerized applications were developed in the experiments and tested the contribution of the studi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statistically to provide accurate results. In Human – Computer Interaction research, the elderly and the mobile devices are hot and important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bining these issues by investigating the behaviors and needs of the older adults while using mobile phones; show the effect of the mobile technologies for the well-being of the elderly; examine concurrent, and suggest future technologies, and their suitability with the elderly; evaluate the current situation of mobile phone user interfaces, and the icons used on these interfaces; provide icon design guidelines for senior – centered mobile phones;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elderly and young adults to prove the need of this study, and evaluating the usability of mobile phone application which occupies icons designed with the actual users’ participation. Further, a comparison study is necessary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different cultures and nations such as Koreans and Turkish senior mobile phone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