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 활동과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지성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이 연구는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 활동과 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활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다. 설문조사도구는 관련분야 전문가(12명)의 타당도 검증 후 3개 학급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신뢰도 측정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만든 설문조사도구는 총 5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국 12개의 학교에 설문조사지 1,080부를 배포하고 회수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진급함에 따라서 자신의 학과에 맞는 곳에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과 진로를 미결정한 학생은 3학년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자신의 학과와 관련이 없어도 취업 및 대학 진학을 희망하고자 하는 학생은 증가하고 있다. 둘째, 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담임교사의 학급경영 활동 수준의 차이는 1학년 학생 담임선생님의 학급경영 계획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담임선생님의 전공이 전문교과 일 때 학생들의 학급경영 활동 영역에서 학급관리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담임선생님의 연령이 가장 낮은 20대가 모든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며 50대는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셋째, 학생이 인식하는 진로결정수준은 5점 만점에 3.12로 나타났다. 전공이 전문교과 선생님 보다 기타교과가 담임선생님일 때 진로결정수준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자신의 학과에 맞는 곳에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며,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의 진로결정수준 평균점수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넷째, 교사의 학급경영 활동의 하위영역들과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는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경영 활동의 하위영역들과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주제어 :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급경영, 진로결정수준

      •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적합한 경찰 성과평가 지표 개발을 위한 한·미 경찰 성과평가 비교 연구

        안계원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정책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경찰은 2005년 경찰 성과평가 제도를 시행하였다. 하지만 경찰의 성과평가는 성과평가 도구의 검증 없이 효과성만을 생각하여 실적 위주의 구성을 통해 항명파동, 가혹행위 사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경찰은 주민밀착 치안활동력 증진, 경찰권의 민주적 설계 및 정치적 중립성 확보를 목표로 도입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성과평가 지표 연구는 시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치경찰제도에 적합한 성과평가 지표 개발을 위하여 미국과 한국의 경찰 성과평가 지표를 비교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현직 국가경찰의 인재상과 비교하여 자치경찰제도에 적합한 성과평가 지표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국 LA경찰의 성과지표와 한국의 개인 성과평가 지표 및 지구대·파출소 성과평가지표를 비교하였으며, 위의 결과를 토대로 이창훈 외(2014)의 연구에서 서울, 대전, 경기, 부산 지방경찰청 산하 경찰서를 방문하여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문의한 뒤, 설문 참여 의사를 물은 뒤, 참여 의사가 있는 200여명을 선정하여 대학 시절의 수업 내용, 경찰활동 및 인문소양, 경찰 인재상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과 미국의 성과평가 지표 비교를 바탕으로 자치경찰제도에 필요한 경찰 인재상을 크게 세 분야로 지식/기술/능력, 리더십/팀워크, 자치경찰활동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분야에 평가지표, 평가 방법을 한국의 성과평가를 초석으로 하여 미국의 성과평가를 추가하였다. 둘째, 위의 도출된 성과평가 지표를 토대로 지식/기술/능력 부분을 한국 국가경찰의 인재상과 비교한 결과 체력을 중요 인재상이라고 생각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성과평가 지표에서는 찾을 수 없었다. 셋째, 리더십/팀워크에서 평가되는 인재상 항목을 한국 국가경찰의 인재상과 비교한 결과 리더십과 추진력에 관한 인재상을 현재 성과평가에서는 적용하지 않고 있다. 넷째, 자치경찰활동에서 평가되는 인재상 항목을 한국 국가경찰의 인재상과 비교한 결과 상식 인재상과 의사결정 능력을 현재의 성과평가에서는 평가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의사결정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사법경찰리에게도 주민의 민원과 약식명령 사건과 같은 약소한 사건에 대하여 독자적 책임 아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져야 하며, 민원과 사건에 대하여 적합한 의사결정으로 해결을 한 사례를 주기적으로 공지한다면, 의사결정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경찰 교육생의 실무교육 시 임용될 지역으로 파견되어, 지역 파악을 해야 한다. 지역 내의 우범지역 및 어떤 종류의 범죄가 자주 일어나는지를 파악하여, 자신이 임용 될 지역의 문제 및 우범지역 파악을 통하여 지역 내의 문제를 쉽게 파악 및 해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할구역에 대한 책임감을 배양할 수 있다. 셋째, 지역 멤버십 요소의 경우, 각 지자체와 시·도 경찰위원회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시민과 경찰이 공동으로 순찰을 하는 제도 및 주민 자치활동을 장려하며, 지역 내 편의점 및 관공서와 협력하여 여성·청소년 보호 장소를 지정,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일이나 업무에 관련하여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공표하여 바람직한 자치경찰제도가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대용량 IP 트래픽 관리 기술 조사 연구

        윤혁기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대용량 IP트래픽 관리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보급 확산과, 모바일 네트워크 속도 개선에 따라 금융, 산업, 생활 전 방위적으로 인터넷 서비스가 확산됨에 따라 사용자들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그 필요성이 증가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IP트래픽 관리에 사용된 모니터링 기술을 살펴보고 서비스 영역까지 확대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로 대두되는 심층패킷분석 기술을 알아본다. 또한 대용량 IP트래픽 분석 시 심층패킷분석이 가진 하드웨어 성능 이슈 해결을 위해 분산/병렬 처리 기술에 대해 조사하고 분산/병렬 처리 구조를 사용한 심층패킷분석 시스템 구현 방안을 제시 한다. 또한 분산/병렬 처리 시스템 중 하나인 Hadoop 분산처리 시스템을 통한 인터넷 웹 서비스 분석 시스템 방안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방안 제시를 통해 매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대용량 IP트래픽에 대해 손실을 최소화 하여 실시간으로 처리/분석/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향후 심층패킷분석 시스템의 개발 방향에 대한 제시도 가능 할 것이다.

      • 보안 탐지 고도화를 위한 공격 모델 공유 체계 : 고도화를 위한 공격 모델 공유 체계

        한종명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사이버 침해 대응을 위하여 Anti-DDoS 장비, 침해탐지시스템(IDS), 침입방지시스템(IPS), 방화벽(Firewall) 등의 네트워크 보안 장비와 백신(Anti-Virus), 내부정보유출 방지 기술(DLP) 등의 호스트 보안 장비의 실시간 사이버 공격 탐지 및 대응, 로그분석, 모니터링을 한곳에 모아 수행하는 ESM(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은 각 보안장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으로 대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SIEM에 적합한 사이버 공격 모델의 공유와 교육, 연구 및 관리를 통해 고도화, 정교화 되고 있는 사이버 공격에 효과적인 공동대응 할 수 있도록 사이버 공격 모델링 공유 체계를 제안한다. In order to respond to cyber infringement, ESM(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which deploys network security applications such as Anti-DDos system, IPS, firewall, and real-time cyber attack detection of host security applications such as Antivirus programs and DLP, as well as the log analysis, and monitoring at once, was employed instead of 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through correlative analysis. The thesis suggests sharing systems with cyber-attack response model for effective joint response suitable for SIEM to a evolved, sophisticated cyber attack.

      •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근거한 발명·특허 특성화고의 발명교과서 학습목표 분석

        김경환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mprovement plan and problem by analyzing invention, patent,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textbook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s purpose, studying purposes mentioned in five kinds of invention textbooks have been analyzed through expert conference, and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studying purpose mentioned in invention textbooks has given too much importance and emphasis on som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s; so that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cause has been made from failure to perform its role for students’ various knowledge acquisition. Second, most studying purposes specified on five kinds of invention textbooks being used in invention, patent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are just corresponded to “understanding”. Third, by comparing knowledge dimension’s studying purpose per invention textbook, basic invention & patent and invention & design textbooks’ each area have been relatively distributed. In contract, invention & problem solving textbook does not have “true knowledge” area, and been showed unbalanced dispersion which take a lot of proportion of metacognitive ability knowledge. General patent specification textbook has taken half possession about “true knowledge”. Patent information survey analysis textbook can be confirmed by unbalanced distribution that possesses half area for “conceptive knowledge”. Fourth, by comparing cognitive procedure dimension per invention textbook, textbooks have generally exhibited extremely imbalance. All textbooks do not possess studying purpose which has belonged to “Remember” area. Generally, due to the reason that “Understanding” area has been exhibited too much, it has been very necessary to support studying purpose strategies that require high school student thinking abilities, such as “analyze” and “evaluate” in order to enhance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lso, the ratio of studying purposes which are belonged to “Apply”, “Analyze”, and “Evaluate” are being too low or little. Nevertheless, the ratio of studying purpose which is belonged to “create” is often high. This has proven that studying purpose that requires high school student standardized thinking ability has not been stated by stages. As a result, the students’ thought cannot be easily expand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 crucial matter to annihilate. Therefore, through restatement of studying purposes, consideration that students can do various studying experiences is necessary. Moreover, research for study plan which is coherent to connectivity of studying purpose and class activity by applying this research has been necessary. Furthermore, this research shall be used as a fundamental document for achievement standard development.

      • 인프라 취약점 점검항목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호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최근 정보보안 분야가 발전하면서 보안성 약한 시스템에 관하여 악의적인 공격시도가 증가 하였다. 이로 인해 시스템 해킹에 대한 정보 유출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발생한 대부분의 악의적 공격은 정보시스템의 취약점을 통해 나타나고 있으며 시스템 보안을 위협 할 수 있는 취약점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경우 해당 취약점을 통해 직접적인 공격이 이루어지거나 악성프로그램 유포 등 수단으로 활용되게 된다. 또한 악의적인 커뮤니티를 통한 취약점 거래가 이루어지거나 자동화 스크립트가 개발되었을 경우 해당 취약점을 활용하여 공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 인프라 보안과 직결되는 취약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취약점관리 체계를 개선하여 인프라 취약점 관리체계를 구성하여 해외에서 발견된 체계를 국내에 맞는 취약점 대응체계를 구성하며 기존항목으로 보안을 유지 하지 않고 신규 취약점 항목을 통해서 진단 및 조치를 하여 보안성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취약점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취약점 표준체계를 비교·분석하여 취약점 식별, 분류, 공개방법, 관리기관 등을 국내에 맞는 취약점 체계를 구성 시 고려사항에 기술하였다. 또한 해외 취약점을 국내 취약점 항목 추가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취약점 관리체계 비교·분석 및 취약점 진단을 수행하며 논문에서 제안하는 내용이 타당함을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프라 취약점 관리체계를 통하여 취약점 진단항목 추가하며 기관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보안하고 개선방안을 제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잠재위험을 확인 및 조치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은 확인하였다.

      •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용 에듀팟 지도 프로그램 개발

        정보환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EDUPOT systematic guidance program to help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in a specialized industrial high school. EDUPOT is an online system to document and control the various creative activities a student carries out on his/her academic journey. It may be interpreted as a pot containing the procedures students have gone through and their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activities focusing on the four areas set forth in the curriculum on creative experimental activities (CEA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EAs, EDUPOT, instructional structure development, an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s we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most students can clearly identify their interests, aptitudes, and talents through CEAs. Moreover, they can explore information on their prospective studies and future work and therefore shape the future and prepare consistently for their career pathways. In this regard, EDUPOT as a tool for promoting the government’s education policies will create a new activity-based atmospher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examples related to the effective use of EDUPOT in schools. Second, the EDUPOT guidance program (i.e., student workbook, teaching/learning manual) was developed by a systematic process involving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revision, and complement. The development was conducted by using the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he content had to be interesting, practical, educationally relevant, and active. The program consisted of the introduction to EDUPOT, the EDUPOT basics, unsupervised activities, school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career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cluding writing an introduction letter and detailing afterschool activities in which they have faithfully participated). Third,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DUPOT guidance program, it was applied to freshman students for 8 weeks in a specialized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ontent was 4.11 out of 5 after applying the EDUPOT guidance program. Most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and interested in the content, and the program was able to help them. However, other students wanted to extend the participation time of each lesson, and others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a lot of content. In addition, career-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level.

      • 정보보호관리체계(ISMS)를 이용한 데이터센터 출입통제 강화 개선 방안 연구

        박종규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발전으로 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발맞춰 기업들은 데이터센터의 서버와 스토리지 등의 IT인프라를 경쟁적으로 구축 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침해로 인해 개인정보가 상업적 가치를 지니게 되어 개인정보의 유출 및 오남용 사례가 급증하였으며, 대부분의 개인정보유출사고는 사용자 부주의 보다는 기업의 개인 정보 관리소홀 및 정보시스템의 물리적 취약점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데이터센터의 출입보안 강화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센터의 출입통제 강화 개선을 위한 정보보호관리체계(ISMS)를 이용한 데이터센터 출입통제 강화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정보보호관리체계(ISMS)의 절차와 통제 그리고 데이터센터 출입통제 강화 개선 항목을 검증하면서, 데이터센터 출입통제 강화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조사는 기업의 데이터센터를 담당하는 부서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을 살펴보면, 데이터센터의 출입 5단계 항목과 보안 지침 적용시의 5단계 개선항목을 만들어 설문을 통해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데이터 출입 통제 시 세부 점검 항목에 대한 적합성 검증은 정보보호 조직, 외부자 보안, 정보자산분류, 물리적 보안, 암호통제, 접근통제, 운영 보안, 침해사고 관리는 전체 매우적합 및 적합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술적 기반의 데이터 센터 출입 통제에 관련 연구들이 주를 이루어 왔지만 정보보안 방법론을 이용하여 데이터 센터 출입 통제에 적용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안 방법론을 이용하여 데이터센터 출입 통제를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센터를 이용해 관리되는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고, 그 가치도 매우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설문조사에서도 언급되었지만 실제 보안사고의 70%이상은 인적보안에 가장 큰 취약점을 보이고 있다. 정량화된 ISMS의 통제항목을 실제 데이터센터 출입통제에 적용함으로 매우 높은 실무적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rvices using the internet,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geometrically increasing. Meeting this trend, companies are competitively establishing IT infrastructures such as servers and storages of data center. However, as personal information came to have commercial values due to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and privacy, leakage andabuse/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are rapidly increasing, and most of the accidents are being caused by physical weaknesses of companies’improper maintenanceof personal information andinformation system rather than users’negligence. Accordingly, enhancement of security of data center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rengthening and improving of data center access control by using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MS). Thu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tems of the procedure and control of ISMS and strengthening and improving of data center access control, and thereby suggest measures for strengthening and improving of data center access control.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a survey was performed targeting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taking charge of data center.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e survey consisted of five-stage items of data center access and five-stage improvement items of security guidance applica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detailed inspection items of data access control, information protection organization, outsider security, information asset classification, physical security,password control, access control, security operation, and infringementaccident management turned out to be very valid or valid.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lated to technology-based data center access control, there have been few ones dealing with data center access controlby using the methodology of information security. Thu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meaning in that it systematically examined data center access control by using the methodology of information security and derived improving measures. In addition, currently personal and financial information managed by using data center is rapidly increasing, along with its values. As explained in the survey, actually over 70% of security accidents are weak against personnel security. Thus, this study has a great practical meaning in that it applied control items of quantified ISMS to actual data center access control.

      • 도박중독 행동에 대한 범죄학적 분석 : 긴장이론과 학습이론을 중심으로

        오유정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2000년 강원랜드가 개장되어 내국인들의 카지노 출입이 가능해지면서 도박문제가 사회적으로 표면화되었으며, 기술발달로 인한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사용 증가로 온라인 도박문제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박중독은 신체 및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주며, 가정폭력, 이혼 등과 같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개인적 업무능력 저하와 범법행위 시도, 직업 상실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박중독에 대한 개인 수준의 원인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적 원인까지 포함 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포괄적인 정책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범죄학 이론 중 긴장이론과 학습이론을 활용하여 도박 중독의 사회 환경적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창훈 외(2017)의 연구가 전국 9개의 도박문제관리센터(수원, 광주, 대구, 순천, 서울, 대전, 진주, 경기, 창원)의 도박범죄 기소유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23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긴장이론과 학습이론의 변수들이 도박중독에 어떠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중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도박인지오류와 금전적 스트레스는 도박기회/차별접촉과 도박중독에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가설1)은 지지되지 않았다. 둘째, 도박인지오류와 금전적 스트레스는 도박기회/차별접촉과 도박중독에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가설2)은 지지되었다. 셋째, 도박인지오류와 금전적 스트레스는 도박기회/차별접촉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3과 도박인지오류와 금전적 스트레스는 도박중독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4는 모두 지지되었다. 넷째, 도박기회/차별접촉과 인지오류, 금전적 스트레스는 서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친다고 말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연령이 어릴수록 도박에 대한 인지오류를 가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도박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주변 사람들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도박에 빠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박자들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한 정책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도박에 참여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도박에 대한 소정의 교육을 받도록 하는 정책을 고려해야한다. 넷째, 금전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소정의 교육을 받은 도박자들을 위한 더 나은 일자리 제공과 같은 복지정책을 시행하여야 한다.

      • GT24, SEV 열전달 특성 확인 및 liner impingement hole 배열 개선

        김영훈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환경의 문제에서 산업의 문제로 구체화 되어 우리에게 다가온 지구온난화는 산업생태계에 격변을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모든 산업활동의 근간이 되는 에너지 분야에서의 과감한 탄소 감축을 요구하고 있다. 유럽을 필두로 시작된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 발전산업 분야에서도 이 같은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의 급격한 증가와 기존 발전설비에 사용되는 연료를 수소, 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로 대체하여 발전하는 ‘무탄소 가스터빈’으로의 전환이 대표적이다. 수소 및 암모니아 연소는 천연가스 대비 현저히 많은 NOx가 발생하고 화염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연료 주입구와 주입량을 컨트롤하기 용이하고 연소온도를 낮출 수 있는 구조의 가스터빈이 연료전환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인천발전본부에서 운영중인 Alstom社(현 GE) 가스터빈 GT24 모델은 재열 연소기인 SEV를 통해 Turbine Inlet Temp(이하 TIT)를 낮추고 NOx 발생량을 저감하는 2단 연소기 구조의 가스터빈으로써 수소발전은 EV(1단 연소기)와 SEV(2단 연소기) 모두 Lean combustion으로 운용하거나 암모니아의 경우 Rich & Lean combustion으로 운용하는 등 친환경 연료의 연소 특성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무탄소 가스터빈으로의 전환에 부합하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GT24 모델의 고온 부품인 연소기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기에 따라 발전량이 급변하는 신·재생에너지발전 확대로 인한 전력망의 불안정에 대응하여 가스터빈이 잦은 기동정지를 반복한다는 점, 무탄소 가스터빈으로의 전환에 적합한 모델로써 앞으로 친환경 연료 혼소 시험운전과 같이 열응력 변화에 빈번하게 노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 등 제품 출시단계에서 반영하지 못했던 운전조건들로 인해 가스터빈 고온 부품 내구성에 대한 under design이 우려되는 바 연소기 내부의 복합 열전달 특성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주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연소기 liner의 불균일한 열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고 열 분포를 고르게 개선하고자 열응력 취약 부위에 impingement hole 배열을 추가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Ansys cfx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는데 Design modeler로 SEV 형상을 모델링 하였고 구현 범위는 「Solid」: Burner, Lance, Liner(Inner & Outer), 「Main fluid」: SEV Inlet, Lance premixed fuel inlet, SEV Outlet, 「Cooling fluid」: Liner cooling air inlet, Burner effusion cooling air path까지이며 전산 해석의 효율성을 위해 effusion cooling hole은 평면형상으로 단순화 하였으며 liner의 TBC는 생략하였다. 정확한 모델링을 위해 발전설비 제작사 성일터빈(주) 으로부터 제공받은 SEV 자료와 Alstom社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해석을 위한 fluid 경계조건은 인천발전본부 운전정보모니터링 시스템인 PARC View의 정보와 2015년에 Alstom社에서 시행했던 인천발전본부 연소튜닝 자료, 그리고 재열사이클 가스터빈에 관한 선행연구 논문을 참고하여 적용하였으며 liner 재질은 Hastelloy X로써 specific heat capacity 및 thermal conductivity, mole mass 및 density 등의 물성치를 입력하였다. 해석구간은 annular type으로 병렬 설치된 24개 연소기 중 1개의 연소기를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유동 및 복합 열전달 해석결과 연소기 확관부에서 발생하는 voltex에 의해 고온 유체 거동이 집중되는 liner 부위를 특정하였고 해당 부위로 주입되는 effusion cooling air에 의한 열 낙차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고온 부품 교체주기에 따라 교체한 실제 SEV liner의 TBC 손상 부위와 대조하여 simulation 결과를 입증하였으며 해당 부위에 impingement hole을 추가하여 해석을 진행한 결과 Inner 및 Outer liner 모두 열 분포가 고르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