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마공동체의 내부 갈등과 이스라엘의 구원 : 로마서 11장 25-32절을 중심으로

        이대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15

        롬 11:25-32에 대한 연구는 이스라엘의 개념 즉 이스라엘이 유대인과 이방인으로 이루어진 크리스천 공동체를 가리키는 지 아니면 역사적 이스라엘을 가리키는 지에 대한 논의와, 이스라엘의 구원 방법 즉 이스라엘의 구원이 기독론적 방법을 통한 구원인지 하나님의 언약에 의한 구원인지에 대한 논의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로마공동체의 상황과 바울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본문을 통해서 바울이 로마공동체에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이끌어내지 못했다. 이에 비해 로마공동체의 상황과 바울의 상황을 고려한, 로마서 9-11장에 대한 서중석의 연구는 롬 11:25-32의 사회학적 논의의 출발점이 된다. 본 단락에 담긴 바울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로마공동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로마공동체는 회당을 중심으로 유대인 크리스천들에 의해서 설립되었다. 그러나 주후 49년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유대인 추방령 이후 로마공동체의 주도권은 이방인 크리스천들에게 넘어갔다. 유대인 크리스천들의 귀환 후 주도권이 이방인 크리스천에게로 넘어간 로마공동체는 갈등 국면에 접어들게 된다. 그 갈등의 항목들은 음식법, 리더십, 유대인 크리스천들의 도덕성 등에 관련된 것들이다. 바울은 로마공동체의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로마공동체의 정체성과 회원자격을 새롭게 규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로마공동체의 기존 정체성은 '의'였다. 로마공동체는 '의의 공동체'였고, 회원자격은 '믿음'이었다. 그러나 바울은 롬10:10에서 로마공동체의 정체성을 '구원'으로, 회원자격을 '공개적 고백'으로 새롭게 설정한다. 바울은 정체성과 회원자격을 새롭게 설정한 후 롬 11:25-32 단락에서 모든 이스라엘이 '구원'받을 것을 언급한다. 이는 곧 모든 유대인들이 로마공동체의 회원일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잠재적 회원임을 밝히는 것이다. 이렇듯 롬 11:25-32은 바울이 단순히 이스라엘의 실질적인 구원을 언급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단락이라기보다는, 이스라엘의 구원을 통해서 로마공동체 내의 유대인 크리스천들을 지원하고 있는 단락이다. 바울은 본문의 유대인 변호를 통하여 자신의 예루살렘 방문에 로마공동체 유대인 크리스천들의 지원을 유도하고, 로마공동체를 스페인 선교의 거점으로 삼으려는 이중목적을 추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tention of Paul in Rom 11:25-32. The studies on Rom 11:25-32 have focused on two things; first, the concept of Israel -Is Israel composed of the Jewish and Gentiles or the Jewish only?-, second, the method of salvation - Can Israel get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or God's Covenants?-. However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s of Roman Community and Paul, these investigations could not extract the intention of Paul to Roman Community from this paragraph. Otherwise the study of Joong S. Suh on Rom chap. 9-11 in which the situations of Roman Community and Paul is well reflected can be a starting point of sociological investigation on Rom 11:25-32. In order to clarify Paul's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analyse the Roman Community first. Roman Community was founded on the basis of synagogues by Jewish Christians. However, since the edict of Claudius in AD 49 was declared to expel the Jewish from Rome, the leadership of Roman Community was alienated from the Jewish christians to the Gentile christian. When the Jewish christians returned to Rome, the conflicts between Jewish christians and Gentile christians began in Roman Community. The conflicts were about Food abstention, Leadership, and Jewish Christian's morality. In order to get rid of those conflicts, Paul tried to redefine the membership and membership requirement of Roman Community. Ex-membership had been 'Righteousness' and ex-membership requirement had been 'Faith'. However in Rom 10:10, Paul redefined membership as 'Salvation' and membership requirement as 'Open confession'. Then he insisted on 'The salvation of all Israel' in Rom 11:25-32. In this way he insisted that all the Jewish including non christian Jewish is the possible members of Roman Community. Therefore, Rom 11:25-32 supports Jewish Christian in Roman Community through the salvation of Israel rather than just revealing the salvation of Israel. Through his advocation of Jewish Christians, Paul wanted to accomplish double goals; Gaining of Roman Jewish christians' support on his visitation to Jerusalem and Making Roman Community as the post for his future mission to Spain.

      • 누가 공동체의 갈등과 세례 요한의 역할

        임민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금까지 복음서의 세례 요한 단락 연구는 세례 요한 공동체와 복음서 각각의 공동체와의 관계가 대립의 관계였음을 전제한 뒤 진행되었다. 그러나, 위의 전제와는 반대로 다른 복음서에 기록되지 않은 세례 요한의 출생 단락, 하나님의 말씀이 세례 요한에게 임한 사건, 세례 요한의 광야 설교를 누가만이 기록한 사실 등으로 미루어볼 때 누가는 세례 요한에 대해서 긍정적인 입장을 견지한 것으로 여겨진다. 즉 누가 복음의 전체에 걸쳐 등장하는 세례 요한에 대한 누가의 기록 등은 누가 공동체가 직면한 갈등 정황을 반영하는 단락들로 이해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누가 공동체는 바리새파와 예수에 관한 신학적 이해 차이로 서로 대립한다. 예수를 그리스도라고 인정하는 누가 공동체의 예수 이해를 바리새파는 거부한다. 이 논쟁에서 자신들의 이해가 정당하다는 것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바리새인들의 정체성을 비판할 필요가 있었는데 누가는 세례 요한을 통해 바리새파를 간접적으로 비판한다. 누가 공동체에 의하면 세례 요한은 말라기의 예언처럼 하나님의 말씀을 받고 그리스도인 예수를 준비하는 자다. 또한 그는 바리새인에게 호의적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예수를 그리스도로 선포하는 세례 요한의 가르침을 거부하는 바리새파들은 누가에 의해 구약의 예언을 무시하는 자들로 비판받는다. 또한, 누가는 세례 요한의 광야 설교 단락을 통해 누가 공동체의 경제적 갈등 해결을 모색한다. 누가는 경제적으로 가난한 구성원들과 부유한 구성원들의 공존을 꾀하기 위해서 이들의 입장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세례 요한의 광야 설교를 제시한다. 세례 요한의 경제관은 엣세네파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누가는 경제적인 약자들의 주장은 수용하되 부유한 자들에 대한 비판이 신분의 변화가 아닌 '분배'의 문제로 비판의 초점을 전이시키기 위해서 세례 요한의 광야 설교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누가는 세례 요한의 출생 단락과 같은 그에 관한 독특한 기록을 복음서에 제시함으로써 누가 공동체 구성원들 가운데 세례 요한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소유한 세례 요한 선교 반대파들을 설득하려한다. 누가에 의해 제시된 세례 요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스승인 세례 요한에 대한 누가의 기록들은 반대파로 하여금 세례 요한이 누가 공동체에게 긍정적인 인물로써 인식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그의 제자들도 누가 공동체에게 긍정적인 인물일 것임을 누가는 제시함으로써 누가 공동체의 세례 요한 공동체에 대한 선교적 정책을 계속 수행하고자 한다. The survey of the John the Baptist passages has been developed with the presupposi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the Baptist's Community and Lukan Community is rival. However, contrary to these arguments, only Luke among other synoptic authors reports the occassions involved in John the Baptist in positive ways. Especially John's infancy narrative, the incident in which john was given words from Heaven and John's preaching at the wilderness show that Luke tries to imply that Joh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is community First, the Lukan Community came to conflict with the Pharisees over the understanding about Jesus. To claim that only Lukna understanding is true, Luke criticized the Pharisees through the role john is playing in the passage. According to Luke, John the Baptist proclaimed that Jesus was the Christ just like prophet Malachi had prophesied it in the scripture. Therefore, John's declaration represents substantial authority supported by the Old Testament itself. If the Pharisees refused to believe John's statements, they could be recognized and critized as those who ignore the authority of the Old Testament, not to mention endangering their theologic positions. Second, Luke has been seeking the solution of a economic problem in his community through John the Baptist's preaching at the wilderness. Luke who wanted to advocate both the position of the poor and the rich of whom the Luke's community consisted manifested his opinion by quoting from John's preaching. John's ideas were influenced by the Esseness. The Esseness admitted that possessing the private property but required sharing that. Luke wants to solve the problem not by asking the rich to give up their economical status but by asking them to share their property with the poor by John's preaching. Finally, Luke wishes to persuade the members in the Lukan community who oppose the mission strategy toward the John's community by presenting the particular record about the John the baptist , such as the John's Infancy narratives. The reports of the John which Luke writes in his Gospel play a role in making his community consider John as a positive character. By mentioning John's disciples are also positive to Lukan community, Luke tries to sustain the mission strategy for the John's community.

      • 누가공동체의 율법적 그룹과 비율법적 그룹 : 누가복음16:14-31절을 중심으로

        신웅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부자와 나사로(눅16:19-31)의 비유는 '경제적인 면'을 중심으로 '부의 잘못된 사용'에 대한 경고나 자선에 대한 권고의 측면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는 16:14-18과 16:19-31의 전후문맥과의 연결 속에서 살펴보면 이 본문의 정황이 경제적인 문제가 아닌 누가공동체 내의 율법적 그룹과 비율법적 그룹의 갈등이었음을 발견 할 수 있다. 첫 번째, 누가는 14절의 바리새인의 등장과 16-18절의 율법의 언급 그리고 16:19-31절과의 관련을 통해서 부자와 나사로가 공동체 내에서 각각 율법적 그룹과 비율법적 그룹임을 제시하고 있다. 두 번째, 누가는 부자와 나사로가 20절의 '대문(pulw'n)'과 26절의 '큰 틈(cavsma mevga)'을 사이에 두고 단절되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것은 율법적 그룹과 비율법적 그룹이 현재 율법에 의해서 서로 단절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누가는 부자가 나사로에 대해서 관심을 보이지 않고(19절) 그리고 죽은 후에도 계속해서 나사로를 자신의 종으로 여기고(24절) 있음을 통해서, 현재 율법적 그룹이 비율법적 그룹을 율법에 의해서 차별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세 번째, 누가는 공동체 내의 '단절'과 '차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율법의 재해석'과 '용서'를 통해서 연합을 제시하고 있다. 누가는 16-17절의 율법의 언급과 18절의 이혼불가를 통해서 율법적 그룹이 자신들의 율법관이 잘못됨을 깨닫기를 바라고 있다. 또한 누가는 이혼불가의 의미 속에는 이웃에 대한 사랑의 계명이 있음을 함축하고 있다. 그것은 누가공동체 내에서 두 그룹간의 갈등을 '이혼불가'라는 율법의 재해석 속에 함축되어 있는 '이웃 사랑'의 계명을 통해서 두 그룹이 서로 연합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누가는 죽은 후에 부자의 요구(27-28절)에 대한 아브라함의 거절은 현재 누가공동체의 율법적 그룹을 향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누가가 만약 그들이 회개하지 않는다면 죽음 후에 고통을 당하게 될 것이라는 경고 속에서 회개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또한 누가는 율법적 그룹이 회개하지 않는다면 공동체 내에서 축출당할 것을 경고하고 있다. 그렇지만 누가는 만약 율법적 그룹이 회개한다면 '용서'함으로써 두 그룹이 서로 연합하도록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Recent studies on the parable of the rich man and Lazarus (Luke16:19-31) have much focused on the warning about the misuse of wealth or exhortation of charity in the economic terms. The situation, however, of the contexts between 16:14-18 and 16:19-31 reveals that Lukan community is struggling with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have different views on the law. First, Luke presents that the rich man and Lazarus respectively as one group which is obsessed with abiding by the law and the other group which doesn't in connection with Pharisees's appearance in v.14 and the reference of the law in vv.16-18 and 16:19-31. Secondly, Luke suggests that the rich man and Lazarus were divided into 'gate(pulw'n)' in v.20 and 'great chasm(cavsma mevga)' in v.26. This presents that at present law-obsessed group and law-free group are divided into two group by the law. Moreover, the passage implies that the rich man is indifferent about the hardships Lazarus endures (v.19) and even after he is dead he continually regarded Lazarus as a slave(v.24), it indicates that law-obsessed group which is represented as the rich man tries to discriminate the other group. Thirdly, in an effort to solve their isolations and discrimination, Luke suggests a way to bring harmony with the two groups by 'the reinterpretation of the law' and 'the forgiving'. Through the reference of the law in vv.16-18 and 'the forbiddances of divorce' in v.18, Luke hopes that law-obsessed group realizes their misuse of the law. Luke indicates in the passage the forbiddances of divorce implies the covenant of love toward the neighbor. It suggests that Luke tries to reconciliate the two groups by reinterpreting the law of divorce. Finally, Luke warns the law-obsessed group that if they stick to their attitudes, it will eventually incur tragedy and agony even after the death and also put them out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reference of Abraham' rejection. In this regard, Luke urges them to repent and change their way so that the two groups can live in harmony with each other with the same Lukan community.

      • 예후드 통합을 위한 학개서의 신학과 전략

        오윤탁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예후드 통합을 위한 학개서의 신학과 전략 세스바살과 더불어 귀환했던 자들이 20여년이 지나도록 성전을 건축하지 못했던 이유는 예후드 사회가 분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학개 당시까지 지속되었다. 페르시아의 속주라는 정치적 상황은 예후드로 귀환한 자들을 페르시아의 통치를 수용하는 자들, 다윗 왕조를 부활시키려는 자들, 그리고 왕정이 아닌 신정 체제를 건설하려는 자들로 갈라지게 했다. 또한 포로로 끌려갔던 자들이 귀환한 뒤 땅의 소유권 문제를 결정하는 일로 예후드 사회는 귀환자들과 남아 있던 자들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귀환한 자들을 가운데서도 사회적 갈등은 존재했다. 왕족과 귀족들, 제사장들과 같은 기득권 세력과 바빌론에서의 경제적 활동으로 힘을 키우고 있던 평민 세력들이 예후드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갈등이 있었다. 예후드 사회의 갈등을 묘사하는 학개서만의 특징은 종래의 기득권자들인 사제들과 귀족, 왕족들이 신정론이냐 왕정론이냐를 놓고 경쟁하는 갈등의 장에 평민 세력의 입장을 추가한 것이다. 왕정 체제와 신정 체제는 수직적 권력체계라는 점에서 갈등관계이지만 공통점을 보인다. 학개서는 이 갈등에 수평적 권력 구조를 가진 평등적 신정 체제를 제시함으로, 예후드 사회를 새로운 방식으로 재건하려 했다. 학개서는 분열로 인해 정체된 예후드 사회를 개혁하고 통합하려는 입장을 지닌 자들에 의해 기록되고 보존되었다. 복잡하게 나뉘어 있는 자들을 통합시키기 위해 학개서는 이스라엘의 종교사에서 익숙한 개념들인 출애굽 신학과 만군의 여호와, 신명(神名) 신학을 가져 온다. 그러나 이 두 신학은 학개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 받는다. 출애굽 신학을 통해 학개서는 바빌론으로부터 귀환한 자들을 여호수아 때 가나안으로 진군한 자들과 동일시하며, 동시에 땅에 남아 있던 자들을 가나안 인으로 규정하는 작업을 한다. 그럼으로 학개는 땅에 남아 있던 자들을 배제하고, 귀환한 자들만을 자신의 청중으로 제한한다. 학개서는 출애굽 신학을 통해, 예후드 인들이 여전히 시내산 계약으로 여호와와 언약 관계 속에 있음을 설득한다. 시내산 계약은 시온 신학 이전의 것이며, 따라서 왕국이 멸망 당했다고 해서, 백성과 여호와의 관계마저 깨어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제시한다. 백성들은 여호와께 버림 받지 않았으며, 그러므로 성전을 지을 수 있는 자격이 있다. 신전은 왕만이 지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광야에서 이미 왕이 없이도 여호와의 집을 지었던 역사적 경험이 있다. 학개서는 왕이 없는 현재 예후드에서 성전 건축이 가능함을 출애굽 신학을 통해 역사적 정당화를 하고 있다. 또한 예후드 인들에게, 그들이 여전히 여호와와 언약 관계에 놓인 여호와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부여한다. 신명 신학은 출애굽 신학을 더욱 강화한다. 학개서에서 만군의 여호와라는 신명은, 여호와가 예후드와 온 세계의 왕임을 드러낸다. 또한 만군의 여호와는 여호와가 전쟁에서의 패배로 말미암아 고대 근동의 이류신으로 전락한 것이 아니라, 여전히 최고신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예후드 인들에게 증명하는 장치이다. 그러므로 신명 신학은 예후드 인들에게 자긍심을 부여하며, 그들이 여호와를 왕으로 모시고 있음을 설득한다. 또한 신명 신학은 성전 건축의 정당성 부여에 실제적 역할을 감당한다. 여호와가 왕으로 직접 예후드를 다스리므로, 인간 왕이 없더라도 성전 재건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이것은 신전 건축을 위해 반드시 있어야 하는 요소인 꿈과 계시 중, 학개서에 계시만 있는 이유이다. 꿈은 신이 왕에게 직접 내리는 것이며, 계시를 통해 그 꿈이 확증된다. 그러나 학개서의 경우 여호와께서 직접 예후드의 왕이므로, 여호와로부터 꿈을 받는 성전 건축의 한 요소가 사라지고, 선지자의 계시만 남게 되는 것이다. 학개서는 신명 신학과 출애굽 신학을 통해 예후드 인들에게 성전 건축의 신학적, 역사적 정당화와 정체성과 자긍심을 부여한다. 성전 건축의 신학적 문제를 해결한 후, 학개서는 자신의 신학을 기반으로 해 조건적 통합 전략을 수행한다. 새로이 부상하고 있는 신흥 세력인 평민 계급을 중심으로 여호와를 머리로 둔 수평적인 이상적 사회를 전망하고, 그 전망을 실현하기 위해서이다. 기득권 세력인 위계적 왕정론자들과 위계적 신정론자들에게 실질적인 정치적 권위와 예후드의 정치적 안정, 그리고 율법 해석과 성전에서의 제의 독점권을 각기 허용하면서, 그 권위들을 선지자의 권위 아래에 제한하고 있다. 그들의 권위는 예후드의 통합과 학개서의 전망에 위협이 되지 않는 정도에서 제한되며, 그 대신 자신의 권리를 제한적으로 행사할 공간을 허락 받는다. 학개서는 예후드 사회의 현실적 필요에 의해 생겨났다. 그러나 예후드의 개혁을 꿈꾸는 이들에 의해 창조된 학개서는, 예후드에 여호와를 머리로 둔 수평적이며 이상적인 새로운 공동체를 창조하기를 시도한다. 이 일의 중심에 성전 재건이 놓여져 있다. 성전은 학개서로 하여금 공동체를 통합하게 하는 구심점인 동시에, 학개서가 자신의 신학과 전망을 전체 예후드로 확장시키려는 원심력으로 작동하고 있다. 학개서는 성서 본문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신앙 공동체 안에 역동적인 관계를 잘 보여주는 정경이다. 학개서의 이런 가치는 기존의 제의 예식서나 정치적 선동물, 혹은 단순한 역사 기록물에 머물러 있던 평가를 재검토하게끔 한다.

      • 누가복음서의 율법과 누가공동체

        김은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누가복음서 15장의 세 가지 비유와 16장의 두 가지 비유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15장을 잃어버린 자의 회개와 ‘이방인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에 관한 비유들로, 16장을 ‘부의 슬기로운 사용’ 혹은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에서 그리스도인이 취해야 할 삶의 태도’를 교훈하는 비유로 이해한다. 이러한 해석은 누가 기자가 그의 저작물 전체(누가복음-사도행전)를 통해 보여준 이방인에 대한 선교적 관심과, 바리새적 유대교와의 논쟁 속에 있던 누가공동체 멤버들의 삶의 자리에 대한 전망에 근거한다. 따라서 15장 1절부터 16장 31절에 이르는 긴 단락에 담겨져 있는 다섯 편의 연속된 비유들은 그 주제의 차이만큼 거리가 있는 것으로 이해됨으로써 그들간의 연관성에 대해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 비유들은 누가기자가 누가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공동체의 당면 문제 해결이라는 특별한 목적 아래 치밀하게 구성한 것이다.“바리새파 사람들과 율법학자들”은 율법의 정결규정과 십일조 규정에 열심이었던 바리새적 유대교의 영향을 받은 자들로서 율법의 요구들을 여전히 자신들의 삶에서 지키고자 노력하던 누가공동체 내부의 율법적 그룹에 대한 상징이다. 그들은 15장 7절에서 드러나듯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회개할 필요가 없는(οὐ χρείαν ἒχουσιν μετανοίας) 의인들’로 규정하고 스스로를 다른 멤버들로부터 구분하고 분리시켰다. 한편 “세리와 죄인들”로 상징되는 비율법적 그룹은 자신들을 ‘죄인’이라 정죄하는 율법적 그룹에 대해 율법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하였고, 두 그룹의 상의한 율법관은 공동체 내부 갈등의 일차적인 원인이 되었다.갈등은 비율법적 그룹의 공동체 이탈로 진행되었고, 그들의 공동체로의 복귀는 이를 수용하지 못하는 율법적 그룹으로 인해 공동체의 내부 갈등은 더욱 증폭되었다. 즉 누가 기자는 비율법적 그룹이 공동체로 복귀하자 공동체의 멤버로서 다시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그들의 권위를 회복시켜 주길 원했으나 율법적 그룹은 비율법적 그룹의 재수용에 반대하고 그들의 재수용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공동식사를 거부하기에 이른 것이다. 누가 기자의 수용 당위성에 대한 설득에도 불구하고 율법적 그룹의 불만은 가라앉지 않았다.이에 누가 기자는 보다 적극적으로 두 그룹간의 화해와 중재를 모색한다. 한편으론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이 된 율법에 대한 공동체 멤버들의 오해를 수정해준다. 즉 율법이 여전히 유효함을 인정함으로써 율법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는 비율법적 그룹의 율법관을 수정하고, 그러나 율법의 효력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율법에 관한 공동체 멤버들의 오해를 수정해준다. 다른 한편으로 공동체의 가족 관계를 파기한 두 그룹의 잘못된 행동을 지적한 후 그 해결책으로써 지혜롭게 행동할 것, 서로를 “친구”로 삼을 것, 서로를 용서하고 실족케 하지 말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누가 기자가 일련의 비유들을 연속적으로 제시하면서 궁극적으로 관심한 것은 공동체 내부 그룹간의 갈등을 종식하고 파기된 관계성을 회복하는 것이었다.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f the Gospel of Luke have perceived the three parables of Chapter 15 as passages on the repentance of the lost souls and ''God''s love towards non-believers'', and the two parables of Chapter 16 as passages teaching ''wise use of wealth'' or ''attitude towards life that Christians must assume in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God.'' Such interpretation is based upon (1) Luke''s evangelical interest in non-believers portrayed through his entire literary works (The Gospel of Luke - The Acts of Apostles), and (2) the prospects of Lukan community members'' position in life, who have been in dispute with Pharisaic Judaism. As a result, the five series of parables contained in the long passages from verse 1 of Chapter 15 to verse 31 of Chapter 16 have not received attention for its correlation as the parables are interpreted as being distant as much as its subjects. However, the parables were formed elaborately by Luke with the special purpose to resolve the problems at hand of the Lukan community that have surfaced in its circumstances.'Pharisees and lawyers' are people who have been influenced by Pharisaic Judaism, which emphasizes the laws of chastity and tithe. They represent the group Pharisaic group within the Lukan community devoted to the observance of the demands of the Law. As revealed in verse 7 of Chapter 15, they define their own identity as ''just persons which need no repentance(οὐ χρείαν ἒχουσιν μετανοίας)'' and separate themselves from other members. Meanwhile, the non-Pharisaic group, symbolized by 'tax collectors and sinners' claimed that the Law is no longer valid for the Pharisaic group, which condemns them as ''sinners''. The disparate sense of the Law between the two groups became the initial source of internal conflict within the Lukan community.Such antipathy progressed into separation of the non-Pharisaic group from the community, while conflicts within the community became heightened due to the Pharisaic group''s unwillingness to accept their return back into the community. In particular, while Luke wanted to take in the non-Pharisaic group back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and actively restore their authority upon the group''s return to the community, the Pharisaic group opposed their return, leading to the refusal of a collective meal. Despite Luke''s persuasion on the validity of accepting the non-Pharisaic group, discontent of the Pharisaic group did not subside.In turn, Luke actively seeks to reconcile and medi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Luke also amends the misunderstanding of community members with regard to the Law, which had become the fundamental source of the conflict. In particular, Luke alters the perception of the non-Pharisaic group on the Law, which does not acknowledge its validity, by confirming legitimacy of the Law. However, Luke rectifies community members'' misunderstandings of the Law by means of limiting its validity. Meanwhile, Luke points out the wrong behavior of the two groups, which had destroyed the family relationship of the community and goes on to strongly urge the member, as a solution to conflict, to act wisely, to regard each other as 'friends', to forgive each other, and to not act wrongfully.Luke presents a series of parables and, ultimately, was interested in removing the conflict among the groups within the community and restoring the damaged relationships.

      • 불의한 청지기 비유와 누가 공동체의 부의 문제

        김계영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누가 공동체의 부의 분배 문제와 이를 둘러싼 갈등 세력을 파악한 후, 누가 공동체의 갈등해결을 위한 누가의 조정을 추적함으로 불의한 청지기 비유의 해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누가 공동체의 부의 분배를 두고 일어난 갈등을 누가 공동체의 자기 정체성 논란과 관련지어 인식한다. 누가 공동체는 도시에 정착하기 시작한 확대일로의 공동체였다. 때문에 누가 공동체는 자연스럽게 부의 분배라는 민감한 문제와 직면했으며 이것은 외면상 공동체의 정체성 논란으로 표출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시도는 누가의 대적자들의 위선의 모습을 가시적인 것이 되게 해 주며 비유 해석의 난제 파악에 도움을 준다.2장은 확대일로에 있던 누가 공동체의 경제적 정황을 분석한다. 누가는 가난한 자들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면서 구성원 모두에게 청지기적 물질관을 요구한다. 그러나 누가는 공동체 안의 부자들에게 우선적인 책임을 기대하는데, 부자의 의무를 청지기직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 두는 일반성에 두면서도, 부의 문제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 먼저 부자들에게 있음을 경고한다.3장에서는 누가 공동체 내의 갈등 세력을 파악한다. 청지기적 물질관을 제시하는 누가와 이를 수용하면서 누가의 지지 세력으로 떠오르는 새로 유입된 세력들(세리계층) 그리고 이에 대항하는 보수적인 부자들(바리새인들)의 존재를 상정한다. 누가 공동체의 바리새적 부자들은 누가 공동체의 전환기적 상황을 정체성의 위기로 이해하고 공동체 구성원들의 자격이 좀 더 엄격해야 한다고 확신하는 자들이었다. 그러나 누가는 반대자들이 주장하는 누가 공동체의 정체성이란 ‘부의 손실(구제)’을 두려워하는 물신주의 가치관에 근거한 것임을 지적하며 반박한다. 또한 자기의 지지기반인 가난한 자들과 이들을 구제하는 신흥부자 세력을 옹호하면서 이들이 수용한 청지기적 물질관이야말로 누가 공동체의 참 된 정체성임을 역설한다.마지막 4장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누가공동체의 정황을 중심으로 불의한 청지기 비유의 해석을 시도한다. 비유 안에는 부의 문제를 둘러싼 물질관의 대립을 누가 공동체의 정체성 논란과 관련지어 이해한다.부자 주인 삶의 터는 구별된 자이나 물질관은 세속적인 자로, 반면 불의한 청지기의 삶의 터는 세속적이나 그의 물질관은 거룩한 자로 대비되고 있음을 밝힌다. 부자 주인은 누가 공동체의 정체성 논란의 한축인 바리새적 부자들의 폐쇄성과 그 안에 감추어진 물신주의적 물질관을 보여주는 인물로 평가한다. 또 불의한 청지기는 누가 공동체에 새롭게 진입하려는 세리 계층을 암시하며 누가가 제시하는 청지기적 물질관을 수용한 그룹을 대변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해석은 불의한 청지기 비유를 제시하는 누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데, 누가는 바리새적인 부자들의 위선을 지적하며 이들의 감추어진 물신주의의 패배를 경고하는 동시에 자기의 지지 세력들이 고무될만한 청지기적 물질관을 제시하며 자기 세력의 결집을 시도한다. Purpose of this paper is grasping discord influence connected with Lukan community's division problem of wealth. And chase Luke's control who try discord solution of Lukan community which appear to the unjust steward parable. But, this paper understands correlating Lukan community's division problem of wealth with Lukan community's own identity. This paper conjectures that Lukan community was branching in city at that time and was faced with sensitive problem that is wealth's division. But, this paper sees that Lukan community's problem of wealth is expressed by community's identity controversy outwardly.Therefore, this paper observes division problem of the wealth in Lukan community's identity controversy trying social interpretation about the unjust steward parable. And through this observation, chase Luke's control who appear inside the unjust steward parable.Chapter 2 analyze economical outlook of extended Lukan community. As Luke urges interest about poor persons, Luke asks all of the members a sense of material as stewardship. But, Luke expects responsible action first to rich persons in community. Luke does duty of rich persons in community so that is located inside big structure called stewardship, at the same time, he warns rich persons in community God's judgement.Chapter 3 grasp groups in Lukan community's discord relation. We will find new influence who expropriate Luke's sense of material and incestuous rich persons resisting to Luke' leadership. Lukan community's incestuous rich persons were group who think the turning point of community as crisis of identity. Therefore, They believed that qualification of community members should be stricter. But, Luke refutes insistence of opponents(incestuous rich persons). Luke blame them for incestuous rich persons's claim in community wants to avoid damage of their wealth. Luke criticizes that they are persons who is possessed by mammonism On the other hand, Luke defends new rich persons who do an act of charity to poor persons and these. Luke claims that their sense of material is real identity of Lukan communityFinally, in Chapter 4, try analysis of the unjust steward parable through social and economical outlook of Lukan community referring in front. Problem and confrontation of related a sense of material is a paper that see this confrontation to be of the wealth understand in connection with Lukan community's identity controversy in parable proposition. And confrontation of this sense of material was linked with Lukan community's identity controversy.It is seemed that the rich master's life space is distinguished with crime, but his sense of material is an earthen thing. But, steward's life space is undistinguished with crime, but his sense of material is holiness. Rich master shows obstruction of Pharisaic rich persons. Also, this paper evaluate rich master by person who show a sense of material that is hidden inside Pharisees. But, this paper assert tax office group which steward enters newly in Lukan community hint do and speak for group which these expropriate a sense of material that Luke presents justly. Such analysis grasps Luke's intention who present the unjust steward parable. Luke indicates hypocrisy of Pharisaic rich persons and cautions their setback of hidden a sense of material. At the same time, give group which support own that Luke presents a sense of material, stewardship, admittable and attempts their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