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국제특송(EMS) 활성화 방안

        조인숙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IT기술의 발달로 고객의 욕구는 급변하고 있다. 시간에 대한 개념이 고부가가치화 되면서 국제특송 서비스 시장의 성장은 더욱 가속화 되고, 해외인터넷 쇼핑몰의 등장으로 국제특송 및 물류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제특송(EMS)는 글로벌 4개사 및 국내특송업체와의 치열한 경쟁속에서 인터넷 쇼핑몰로 인한 다품종 소량의 물품들이 국제특송(EMS)보다 운송요금이 저렴한 특수통상(등기)으로 접수되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국제특송(EMS)는 각국 우정청과 연계를 기반으로 한 통관절차 시스템으로 통관을 대행하고 있는 글로벌 특송 4개사보다 배송기간에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제특송(EMS)의 내부·외부환경 분석을 알아보고, 글로벌 4개사와 비교분석하여 특수통상과 차별화된 서비스 및 통관제도 시스템을 개선하고자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물류시스템으로 국제특송(EMS)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특송업체 4개회사 및 국내특송업체는 적극적으로 스마트 기술을 물류에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기술 활용 방안은 시대적으로 필요한 전략이다. 둘째, 2009년부터 우체국의 특수통상(등기)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스마트 기술 활용의 차별화 전략으로 국제특송(EMS)의 활성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국제특송(EMS)는 글로벌 특송업체 4개사와의 통관절차로 인한 배송기간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국제특송(EMS) 우편물류시템과 스마트 기기 접목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전통관절차의 간소화를 추진함으로써 신속한 배송 시스템으로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즉, 국제특송(EMS)의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IT 기반을 바탕으로 한 고품질 서비스 제공만이 선도 물류기관으로써 성장할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이 논문을 완성하기까지 지도하여 주신 박종돈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인천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우정사업본부에 감사드리며, 성실히 학교생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국제우편물류센터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경제자유구역에서 지식산업센터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인천 송도국제도시 중심으로

        오재봉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외로 경제자유구역의 경쟁이 치열한 지금,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이제 국내 경제특구의 선두주자이다. 이곳의 성공을 많은 사람들이 지켜보며 기다리고 있으며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역사에 함께 동참해 온 필자 역시 누구 못지않은 기대와 애정 을 가지고 있다. 그런 만큼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성공적인 개발 앞에 놓여 있는 여러 해결 과제들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다. 국내 기업이 경제자유구역 내에서 활발한 기업 활동을 영위하고 있어야, 순차적으로 자연스럽게 외국인투자기업 유치가 이어진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진출을 유도하는 인센티브가 없고 오히려 수도권 규제를 적용 받기 때문에 한국기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는 외국기업들을 머뭇거리게 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 기업과 내국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고 경제자유구역의 효과를 내국인이 충분히 향유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다시 말해 경제자유구역에서는 말 그대로 국내외 기업을 막론하고 기업 활동의 자유가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송도국제도시는 다른 신도시와 다르게 첨단산업과 국제 비즈니스센터를 갖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클러스터의 한 축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집적화와 이에 따른 기업의 활성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송도국제도시를 첨단제조 및 국제 비즈니스센터로의 역할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중소제조업체들의 송도 진출은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배려가 선행되어야 하며 그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이 송도국제도시에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입주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과제이다. 송도 진출을 원하는 기업은 많으나 향후 송도국제도시 내에서 중소제조업체들의 활성화가 수반되어야만 국제도시로서의 위상도 높아질뿐더러 전체의 밸런스가 맞을 것으로 사료된다. 물론 그중에는 투자 가치만을 보고 들어온 기업도 있겠지만 송도국제도시의 가치는 필연적으로 기업을 통해서 나오게 되고 이는 다시 좀 더 좋은 정책 실현을 통해 더 나은 가치를 제고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과거 유사한 사례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아 본 설문을 일반화하는데 있어서는 다소의 문제가 될 수도 있어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가 송도국제도시 내 중소기업 진출에 필요한 지식산업센터의 건립을 위한 이해나마 도울 수 있기를 바란다.

      • 탄소세에 따른 대형트럭 비즈니스 패러다임 전략 연구 : 청정에너지 대형트럭 기술의 현주소와 과제

        조우진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동차 매연으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가 핵심적 이슈로 주목받는 가운데, 자동차 중 대형트럭이 배출하는 매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대형트럭 브랜드사들은 탄소세에 따라 친환경 연비에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 다양한 이점과 가능성을 갖는 수소차에 관심을 집중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수소차는 여러 기술적 한계와 사회적 한계가 있음을 검토하여 본 연구는 대형트럭 메이커가 현시점에서 이러한 기술적, 사회적 한계에 대응할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자동차 매연으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가 핵심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상대적으로 매연 비중이 높은 대형트럭의 제조업체는 세계 각국의 탄소세부과 상승으로 친환경 연비에 관심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대처방안의 하나로 수소차의 관심이 높지만 여러 기술적 한계와 사회적 한계가 부담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트럭 메이커의 기술적, 사회적 한계를 극복할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연구결과는 수소전지 전환은 위험이 높아 내연기관의 사용과 수소전지사용을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하였고, 내연기관 중 디젤보다는 LNG (액화천연가스)가 절대적으로 유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대형트럭 메이커는 수소전지연로의 기술적, 사회적 한계를 극복하면서 LNG 내연기관의 오염도를 극소화하기 위한 기술적 대안창출과 LNG 충전소 인프라 구축이 최선이라 생각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형트럭의 탄소세 관련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정책적, - ii - 실무적, 학문적 측면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산·관·학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공동체 구성을 통한 유기적으로 시너지효과를 최적화 할 수 있는 발전방안의 수립이 요구된다. 분야별 역할구분에 따른 권한과 책임을 갖고 이를 관리 및 감독할 운영효율성을 극대화 할 중간지원조직 설립이 필요하다. 탄소세에 따른 대형트럭 비즈니스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위한 추가재정을 투입할 정책적 비전과 추진력이 담긴 강한 의지의 존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동종 업종과 이종 업종 간 사업다각화의 창의적 실천을 위한 개방형 혁신을 제시한다. 그리고 후속연구의 제언으로 첫째, 수소연료전지와 배터리가 적용된 운송수단이 지구온난화에 100% 무해여부에 대한 연구, 둘째, 현실적인 데이터가 확보되어야 할 방향성과 차후 LNG 엔진 개선을 위한 연구 방향으로 지구온난화 가스측정 시 “Tank to Wheel”의 개념이 아닌 “환경 전 과정 평가 개념(LCA – Life Cycle Assessment)”으로 접근한 합리적인 평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제안하며, 마지막으로 국내 기업들은 내연기관에 대한 연구투자보다는 이미 개발을 완료한 해외 기업들의 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상용화를 기하는 전략이 현실적으로 더 이상적임을 제시한다. Today the air pollution problem caused by automobile exhaust is drawing attention as a key issue, the proportion of emission emitted by large trucks among automobiles is relatively high. The attention is focused on hydrogen fuel-cell power-train as a potential solution. However, by examining that hydrogen fuel-cell cars have several technical and social 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ed a new business paradigm for large truck makers to respond to these technological and social limitations at this point. Currently heavy-duty truck manufacturers are interested in eco-friendly fuel efficiency due to the carbon taxation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one of the countermeasures, interest in hydrogen cars is high, but various technical and social difficulties have seen as big burden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new business paradigm to overcome the situation heavy truck makers are fac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judged that the method of us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using a hydrogen fuel-cell technologies at the same time is more effective because the conversion to hydrogen fuel-cell power-train option has a high risk. In other words, heavy truck makers think that it is best to create a technological alternative to minimize the pollution level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option which is a LNG engine - 47 - while overcoming the technological and social limitations of hydrogen fuel cell fuel. In that context,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method of organically cooperating with each other in the policy, commercial and academic aspects of the business paradigm related to the carbon tax of large trucks as follow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development plan that can optimize the synergy effect organically through the formation of a scientific, systematic and rational community of industry, government and academi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that will maximize operational efficiency to manage and supervise it with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roles by each areas. The existence of a strong will with a policy vision and driving force to inject additional finance for the large truck business paradigm in accordance with the carbon tax is required. Finally, open innovation for creative practice of business diversification between the same type of industry and heterogeneous industry is presented. And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First, a study on whether hydrogen fuelcell and batteries are 100% harmless to global warming. Second, the direction in which realistic data should be secur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LNG engine improvement. It is suggested that reasonable evaluation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an approach to the environmental whole process evaluation concept as “LCA (Life Cycle Assessment)” rather than “Tank to Wheel” concept.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a strategy for domestic truck makers to outsource the technologies of foreign companies which have already completed development on the conventional power-train option is more realistic than to invest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coming emission regulation and reducing CO2, since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 being phased out by the global goal as “carbon neutral” which has to be fulfilled by 2050.

      • 몽골과 주요 국가들의 국제 교역 현황 분석 및 시사점 : - 한·중·일·미·러 대상으로 -

        Gotov Tuvshinjargal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몽골이 최근 세계 주요국들의 이해 관심이 되는 곳으로 변모하였다. 이는 우선 전통적으로 러시아와 중국이라는 두 개의 거대국가에 둘러싸여 있는 몽골이 소위‘제3의 이웃’ 정책에 기초하여 전방위(Multi-Vector) 외교를 추진하면서 그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또한 최근 몽골에서 대규모 신규 광산들이 발견되면서 세계 각국이 몽골의 자원개발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과 관련된다. 1990년 본격적인 시장경제체제 전환을 시작한 몽골은 다른 체제 전환 국가들에 비해 비교적 개혁·개방 수준이 높았으며, 거시경제 안정이 빠르게 정착되었다. 몽골 경제는 2010년에 들어와서 주요 수출품목인 구리 및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몽골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개발정책 노력으로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대규모 광물자원개발 프로젝트에 힘입어 몽골의 GDP는 향후 5년 내에 2배로 늘어나고, 10년 내에 4배까지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논문은 몽골과 주요 국가들의 국제교역 현황을 국내 문헌 및 통계 자료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몽골의 수출의 80%이상을 석탄, 구리 등의 광물이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몽골정부는 더 앞서가는 유치정책을 세워 시행에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하여 산업다각화 및 수출증대에 큰 관심을 갖게 한다는 것 으로 보인다. Mongolia has recently turned into a place of global interest. This raises its international stature from the fact that Mongolia, which is traditionally surrounded by two large countries, Russia and China, has pushed for Multi-Vector diplomacy based on it`s called "3rd neighbor" policy. Also related to the recent discovery of massive new mines in Mongolia,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expanding their advancement into resource development. Mongolia, which started to change its market economy system in earnest in 1990,had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reform and openness than other countries, and the macro-economic stability was quickly established. The Mongolian economy has been rapidly recovering since 2010, with prices of its major export items, copper and international raw materials, rising and the government`s aggressive economic development policy efforts. With the ongoing massive mineral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Mongolia`s GDP is expected to double in the next five years, and it could grow up to four times in 10 years. This paper analyzed the status of international trade in Mongolia and major countries, focusing on domestic literature and statistics. As a result, coal, copper and other minerals account for more than 80 percent of Mongolia`s exports. Therefore, the Mongolian government seems to have set up an advanced hosting policy to produce products with high value added to the implementation, and thus pay keen attention to diversifying industries and increasing exports.

      • 확장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 근로자와 베트남인 근로자 집단 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현배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베트남 소재 한국기업에 근무하는 베트남 근로자와 한국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이론에 토대를 두고 이를 확장 및 심화를 통해 연구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 모형을 검정하기 위해 실증 분석을 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베트남 한국법인에서 근무하고 있는 베트남 근로자 200명, 한국근로자 214명에게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가설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인 근로자의 경우 정서적 유대감, 공헌도, 직무만족,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성도, 전문성 존경은 조직몰입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한편, 베트남인 근로자의 경우 충성도, 전문성 존경,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유대감, 공헌도,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두 집단 간 갈등회피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 근로자의 경우 갈등회피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사이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정서적 유대감, 충성도, 공헌도, 전문성 존경,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간 유의한 조절역할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베트남인 근로자의 경우 정서적 유대감, 충성도, 공헌도,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간 갈등회피가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문성 존경, 직무만족과 조직 몰입사이에 갈등회피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은 검정되지 않았다. 아울러 갈등회피 조절변수를 투입한 결과 인과관계와 부호가 반대로 나왔다. 즉, 갈등회피는 선행변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의 영향 관계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를 하였으며,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인 시사점과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농산물도매시장의 유통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조경진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논문의 연구 목적은 우리나라 농산물도매시장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고 그 속에서 구월농산물도매시장의 이전 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상황들에 관하여 검토해 보고자했다. 우리나라의 농산물 유통구조는 1985년 공영도매시장의 개장과 함께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시스템을 정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도매시장은 농산물 유통을 선도하는 핵심적인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994년 구월농산물도매시장이 개장하면서 인천도 공정하고, 투명한 공영도매시장의 시대를 맞게 되었다. 그러나 구월농산물도매시장은 개장한지 20년이 지나면서 부족하고 노후된 시설로 인해 급속한 유통변화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출하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외면당하는 도매시장이 되어가고 있다. 인천은 인구 300만명을 바라보는 대한민국 제2의 도시로 성장하고 있으며, 동북아의 관문으로서의 입지를 다져 나가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인천시민의 식탁을 책임질 도매시장의 열악한 환경은 인천의 농산물 유통의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변화하는 소비자의 구매성향과 신 유통업체의 요구에도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고 있어, 불필요한 유통비용의 증가와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구월농산물도매시장은 2018년 개장을 목표로 도매시장 이전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새로 건설될 도매시장은 변화하는 유통환경과 소비자의 니즈를 완벽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모습으로 건립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 선진국의 도매시장들은 수집주체와 분산주체의 분리와 명확한 역할 구분을 기반으로 유통의 효율성을 확립하고, 공정한 유통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도매시장의 이전 사업이 차질 없이 일사분란하게 이루어져,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하고 농산물 유통발전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시설로 건설되어야 할 것이다. 구월농산물도매시장의 이전을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매시장, 시민에게 건강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도매시장,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큰 원동력이 될 도매시장, 인천의 대표적인 관광명소로서의 도매시장으로 발전하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 몽골 외국인직접투자 정책 및 시사점

        히식바야르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몽골은 외국인의 직접투자로 인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높은 경제성장률을 경험하고 있는 국가들 중에 하나이다. 그래서 지하자원과 에너지에 대한 대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면 몽골은 대외무역을 개방해 나아가야 하며, 특히 주변강대국인 러시아와 중국 이외의 제3국가와의 교역을 확대시켜 나아가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국, 일본 등 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국가들과 긴밀한 협력하는 대외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현재 몽골은 생활품과 공산품, 식품의 8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광업보다 제조업 투자자는 세금과 토지 관련하여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자유무역지대의 관련법에는 다양한 혜택이 있다. 그래서 외국인 기업은 생산 및 가공업을 운영하면 세금 면제 혜택뿐만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몽골의 경제와 투자환경을 분석하여 외국기업의 투자자들에게 투자전략 및 진출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려고 하였다. Mongoli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high economic growth rates in Central Asia by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refore, there was a high inveted for foreign investor for underground resources and energy. Currently in this situation, Mongolia should open trade to other countries. In specially, it is necessary to more improve trade with neighbor nations with Korea and Japen except power Russia and China. Therefore, we need to good relation with Korea and Japen that is not enough underground resource. Currently, Mongolia relies on import manufactured goods and food that is over 80%. Mongolia support to foreign investing companies about tax and lent land. especially, Investing in free trade areas have to many benefits to investing companies. And when foreign companies running production and operation, not only the tax benefits but also the good opportunities to enter chinese and Russian markets. This paper analyzes the economic and invest for Mongolia and aims to provide information to help investors in foreign investment strategies and advancement plans.

      • 중소기업 연구 인력의 전략적 육성 방안 연구 : 자동차 부품업체 연구소 중심으로

        안희영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의 애로사항인 연구 인력인 연구소 설계자를 전략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의 연구소 설계자 현황을 보면 대다수의 기업들이 전문 설계자 부족현상을 겪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여느 분야도 마찬가지겠지만, 자동차의 세계는 2만5천개이상의 부품이 모여 하나의 완성차가 되기까지는 최소 2~3년 이상의 반복된 손길과 테스트에서 검증에 이르기까지 최첨단의 기술을 요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각 분야별 전문 설계자가 되기까지 최소 3년에서 5년까지 숙련기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항이다. 또한 설계자 인력난에 국내 대학생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도 한몫을 하고 있다. 물론 기피현상에는 기업문화 탓도 있겠지만 사회적으로 엔지니어에 대한 인식도 가까운 일본이나 유럽만큼 인정하지 않는 사회적 환경 이유도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자동차 부품업체 연구소의 전반적인 인재육성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실적으로 연구소에서 필요로 하는 설계자를 도출하여 전략적으로 설계자를 육성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해서 중소기업의 기술 인력육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문헌적 연구방법과 선진기업의 인재육성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국내 자동차 기업 연구소를 대상으로 연구 인력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국내 중소기업 연구소의 인재육성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다수의 중소기업에서 사내 인재육성 시스템이 있지만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인재육성 시스템의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현실적인 업무의 프로세스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었다. 하여 중소기업 환경에 적합하고 실효성 있는 맞춤 인재 육성 전략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업무특성을 고려하여 교육시스템을 계획하고 현 업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체계적인 설계자 육성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효성 있는 인재육성시스템이 정착된다면 중소기업도 대기업과 차별화된 고급인재 확보로 고품질의 연구개발 활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인재경영 성과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자동차 연구 인력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미흡한 사항이다. 본 연구를 단초로 향후 중소기업에서 전략적으로 연구 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 되리라 기대하며, 또한 자동차 연구 인력의 인재발굴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부지원정책도 함께 한다면 자동차 중소 R&D 분야의 발전이 촉진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strategic nurturing of research engineers working for research centers of automotive parts industr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research engineers working for the automotive parts industry in Korea, a majority of companies are lacking the number of professional engineers. Similar to other engineering fields, the automotive industry requires more than 25,000 parts and at least 2-3 years of application of highly advanced technologies from testing to verification to complete a finished car. In order to nurture a professional engineer in each field of expertise, it takes at least 3 to 5 years of training. Korean college students’ evasion of Engineering is also a cause of lack of engineers in Korea. This is not just because of the corporate culture, but it is also because of the social environment where engineers are not as highly regarded as the engineers in Japan or Europe.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human resources nurturing process and problems of research centers of small/medium automotive parts makers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measures to strategically nurture engineers that research centers need.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that provid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echnical training of small/medium businesses, surveyed and analyzed advanced companie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s, and surveyed Korean automotive companies’ research centers for the demand and satisfaction of researchers to survey and analyze the overall information of nurturing researchers for Korean small/medium companies’ research cent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most small/medium companies have inter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s, but do not use them much. They understand the needs to operate 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 but cannot operate the system due to realistic issues. Therefore, it has been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trategies that are suitable and attainable for small/medium businesses. Also, this study planned an educational system and suggested an applicable training system for engine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panies. Once these applicabl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s settle, professional engineers would be nurtured for small/medium businesses for quality R&D outcome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but not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searchers for the automotive industr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to attempt various studies to strategically nurture researchers for small/ medium businesse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R&D of small/medium automotive businesses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to discover and nurture capable researchers for the automotive industry.

      •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구매의도 영향요인 비교분석

        우영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스마트폰 이용이 대중화된 지금, 앞으로도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스마트폰에 의한 소비생활 변화는 매우 신속하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구매 시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경영전략 수립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구매의도에 관해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하여, 중국 시장을 겨냥하는 기업들에게 전략적 시사점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런 배경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도출하였다. 독립변수로 비용(price), 적합성(compatibility), 보안성(security), 사회적 영향(social influence)과 소비자 혁신성(consumer innovations)을 설정하고, 소비자 만족도(satisfaction)는 매개변수로, 구매의도(purchase intention)는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 모형의 타당성 및 연구 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한국과 중국 모두 40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해 보면, 한국의 경우, 적합성, 사회적 영향, 소비자 혁신성은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용과 보안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매개변수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적합성, 소비자 혁신성은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용, 보안성과 사회적 영향은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스마트폰을 비롯한 첨단 제품 사용에 관한 구매의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한국과 중국 시장에 대한 내수 지향적 투자를 추구하는 외국기업들에게 소비자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확인한 스마트폰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기업들이 스마트폰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를 통한 한국과 중국 시장 진입 장벽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경영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서 가치를 발휘할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