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기독교 개념의 측정 및 발달에 대한 연구

        권기수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유아의 기독교 개념은 측정이 가능한지 전반적인 영역을 통해서 살펴보고, 어떠한 발달적 특성이 있는지 연구함으로써 기독교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기독교 신앙 교육을 활성화하고 유아의 기독교 교육 및 프로그램 연구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기독교 개념의 측정내용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기독교 개념은 유아의 신앙유무에 따라 어떻게 다른 가? 연구문제 3. 유아의 기독교 개념은 유아의 신앙기간에 따라 어떻게 다른 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절차를 통해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부모 중 최소한 한 분이 교회를 다니는 만4〜5세 유아 242명과 양부모가 모두 교회를 다니지 않는 유아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연령은 40개월이며, 성별은 각각 남아 242명, 여아 242명으로 총 484명의 유아와 그들의 부모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연구도구로는 연구자가 관련 문헌과 연구내용을 토대로 완성한 시안을 사용하였으며, 하나님(13문항), 예수님(5문항), 성령님(3문항), 기도(6문항), 예배(3문항), 창조(4문항), 믿음과 신앙생활(5문항) 요인의 7가지 하위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은 유아의 전반적인 기독교 개념을 측정하고, 유아의 신앙유무와 신앙기간에 따른 유아의 기독교 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 변량분석, Scheffe'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독교 개념의 측정내용은 유아의 기독교 개념 측정도구를 통해서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독교 개념은 유아의 신앙유무에 따라서 평균점수도 증가하고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기독교 개념은 유아의 신앙기간에 따라서 모든 영역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모태신앙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기독교 개념을 측정하고 연구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유아의 애착유형에 따른 인지능력에 관한 연구

        이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유아의 애착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애착이야기 완성과제(ASCT)를 사용하였으며, 그에 따른 인지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인지능력 검사 도구(K-ABC)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애착유형에 따른 인지능력의 차이를 검증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애착이야기 완성과제의 유아 반응은 어떠한가? 1-1. 애착이야기 완성과제의 유아반응 내용은 어떠한가? 1-2. 애착이야기 완성과제의 하위영역별 점수는어떠한가? 1-3. 애착이야기 완성과제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유아의 애착유형에 따른 인지능력은 어떠한가? 2-1. 유아의 애착유형에 따른 동시처리 능력은 어떠한가? 2-2. 유아의 애착유형에 따른 순차처리 능력은 어떠한가? 2-3. 유아의 애착유형에 따른 습득도는 어떠한가? 2-4. 유아의 애착유형에 따른 인지처리 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55명이다. 유아의 애착 측정을 위하여 Bretherton, Ridgeway와 Cassidy(1990)이 개발한(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ASCT)를 사용하였다. 또한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Kaufman 부처가 개발한 K-ABC를 문수백과 변창진(1997)이 한국판 K-ABC로 수정 개발한 인지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2012년 6월 12일에서 9월 30일까지 14주에 걸쳐 연구 대상 유아에 대하여 개별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위의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및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애착이야기 완성과제(ASCT)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애착이야기 완성과제의 하위영역별 점수를 알아보고,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애착유형에 따른 인지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이야기 완성과제에 따른 애착유형 분류를 살펴보면 매우 안정 애착, 비교적 안정 애착, 불안-회피애착, 불안-비조직 애착의 비율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는 안정 애착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이야기 완성과제의 하위 영역에 따른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애착유형에 따른 일관성 및 해결코드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회피적 반응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위의 결과는 회피적 반응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불안정 애착유형으로 분류되고 회피횟수가 적을수록 안정 애착유형으로 분류가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의 애착유형에 따른 인지능력의 차이를 분석해보면, 매우 안정 애착유형의 유아가 인지능력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능력의 점수는 비교적 안정, 불안 회피, 불안-비조직의 순서로 갈수록 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애착과 유아의 인지능력간의 유의미한 관련성을 검증해주고 있으며, 애착이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한다.

      • 어머니 대모애착 및 양육효능감과 영아와 유아의 발달 단계에 따른 애착 및 기질과의 관계

        정경화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 및 경제적 수준이 영유아 애착과 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 및 경제적 수준의 애착에 대한 영향력이 발달단계(영아기와 유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전시 5개구에 위치한 8개소에 재원하고 있는 12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아와 48개월에서 60개월 사이의 유아,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와 유아의 애착 측정을 위하여 영아 Q-set검사와 Slough와 Greenberg의 유아용 SAT 면접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EAS 기질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 대모애착은 정혜승이성인애착 척도(AAS)를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어머니 양육효능감은 이윤진의 척도를 이용하여 평정하였다. 애착과 기질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와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 및 경제적 수준과 영유아의 기질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 및 경제적 수준이 영유아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 및 경제적 수준의 애착에 대한 영향력이 발달 단계(영아기와 유아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얻은 영아와 유아의 애착점수는 국내외의 선행연구들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영아는 안정 애착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영유아의 기질은 활동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활발한 성향의 기질 특성을 가진 아이들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의 총합과 전반적인 양육효능감 및 의사소통 능력이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어머니의 대모애착은 의사소통 능력과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양육효능감 총합과 양육효능감의 각 하위영역 간에도 정적 상관을 보였고 여기서도 역시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영아 애착에 어머니 대모애착과 경제적 수준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 애착에도 어머니 대모애착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유아 애착에 경제적 수준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어머니 양육효능감도 영아 애착과 유아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 및 경제적 수준과 영아의 기질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 및 경제적 수준과 유아의 기질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유아의 경우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이 기질의 하위 영역인 활동성 및 기질총합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경제적 수준이 유아 기질의 하위 영역인 사회성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다섯째, 발달 단계에 따라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 및 경제적 수준이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대모애착은 영아기보다 유아기의 애착 형성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수준의 경우 영아 애착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유아 애착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이 관계가 있음을 검증하였고 어머니의 대모애착이 영유아 애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양육효능감 및 경제적 수준과 유아 기질과의 관계도 확인하였다. 특히 어머니의 대모애착과 경제적 수준의 애착에 대한 영향력은 발달 단계(영아기와 유아기)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비부모와 영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들에게 있어서 애착 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재확인 해주었다. 더불어 본 연구 결과가 영유아기 애착 발달을 도울 수 있는 부모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취업모의 심리·사회적·경제활동 변인과 후속출산계획의 관계에 관한 인과모형 검증

        최항준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을 취업모의 가족 내에서의 심리․사회적 변인과 경제활동 변인으로 설명하였다. 어머니 심리적 특성 변인, 사회적 지원 변인, 영아기질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을 종속변인으로 선택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으로 이미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고 있는 취업모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과 관련이 있는 변인들을 밝히고 그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자녀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을 결정하는데 적합한 모형을 구축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 행동의 고전적 접근방법인 ‘합리적 선택 모형’을 기반으로 기존의 이론적 설명을 통합한 모형을 비교하는 분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모형 비교를 통해 이론적․실증적으로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모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둘째, 자녀가 있는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다.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을 결정하는 변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어떠한 변인들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변인들의 영향력은 어떠한지 비교하고 있다. 본 연구는 출산행위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제기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인들에 공통되는 추상적 개념인 잠재변인(latent variable)을 구성하고, 잠재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 볼 수 있는 ‘구조방정식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으로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의 방법론적 장점을 활용하여 통합적인 연구 모형을 구축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여러 변인이 후속출산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을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모형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을 결정하는 변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PSKC) 2차년도(2009)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의 대상자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의료기관에서 출생한 영아 2,078명과 그의 어머니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1차 연구에서 조사를 원하지 않고 탈락된 226가구와 신규참여가구 52가구를 추가하여 총 1904 가구 중 후속출산을 계획 하고 있는 취업모 2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12.0을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다. 어머니의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와 각 변인 간의 직․간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AMOS 7.0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모형 분석 절차에서는 각 이론에서 추출된 독립잠재변인과 종속잠재변인인 후속출산계획 간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는 가설모형에서부터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 선택 모형을 살펴보기 위한 최종모형으로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은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 양육스트레스였다. 매개변인인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된 주요한 변인들의 경로 중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기질 중 정서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였다. 기질 중 정서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 변인은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대한 통제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기존 경쟁모형과 다름없이 후속출산계획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없었다. 첫 자녀 성별 변인은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과 양육스트레스 변인 어디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경제활동과 자녀양육, 가족 및 친족 범위의 사회적 지원, 부부간의 가사 및 육아의 역할분담 경향,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변인, 사회적 지원이었다. 특히 경제활동 변인은 후속출산 계획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모의 후속출산은 여성들이 처해 있는 주변 환경 여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유도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후속출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일과 가정의 서비스 수준을 높여야할 것이며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 측면의 지원이 확대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및 인식

        박순복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부모들이 어떠한 경험과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부모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2012년 8월 현재 대전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총257명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 도구는 부모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이인정(2009)의 질문지를 수정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에 대한 어머니들의 참여도는 과거보다 높은 수준으로, 대부분 부모교육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교육과 관련한 사전요구조사 실시는 과반수이상 실시하고 있으며 부모교육 평가에 유치원은 피드백을 해주고 있었다. 어머니들이 경험한 프로그램으로는 가정연계정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원봉사와 워크숍, 학부모의 능력지원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학부모들이 재능을 교육기관에 자발적으로 지원하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현대 부모들은 자녀와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녀교육에 대한 전문지식과 교육기관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난 성교육과 안전교육은 날로 증가하는 아동 성범죄에 대해 어머니들은 불안과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부모교육 효과성 방안에 대해 어머니들은 자녀교육활동과 연계된 부모교육을 선호하고 교육기관의 상황에 따라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교육에 긍정정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자녀와의 밀접한 관계형성을 위해 전문지식을 학습하고자 하며 올바른 자녀교육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절대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 실태 및 학부모와 교원의 인식

        송강숙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에 관한 학부모와 교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특별활동과 관련된 학부모와 교원의 요구를 이해하여 유아교육기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에 대한 학부모와 교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에 대한 학부모와 교원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의 학부모 152명과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원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지혜(2008)의 설문지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학부모와 교사의 어린이집 특별 활동에 대한 실태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특별활동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특별활동의 실태를 파악한 결과, 특별활동을 실시하는 곳 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특별활동의 종류 중 영어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고 각 활동의 주별 횟수는 주 1회가 가장 많았으나 영어에 있어서는 4-5회가 가장 많았다. 소요시간은 20분이 가장 많았고 실시 시간대는 오전에 비해 오후가 더 높았다. 담당교사로는 외부 특기 전공자가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유아들은 특별활동을 좋아하며, 만 3-4세 때 가장 많이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별활동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선호 시간대, 소요시간, 담임교사의 역할, 특별활동의 문제점, 개선점, 향후 바람직한 방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이 부분에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특별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보통이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for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on the extracurricular. For thi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is the present state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2. What is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understanding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3. What is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satisfaction level with extracurricular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7 teachers and 152 par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 D city. The questionnaire made by Jihye, Kim(2008) was amend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used for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see present status with extracurricular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sed to see the difference in teachers' and parents' understanding and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is study was used SPSS 12.0 program to see the present stat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 ;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and par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status of the activities carried out to conduct special activities, where more than 90% occupied. The most English of the kind of activities are conducted. Weekly count of each activity per week was the most common. However, the most common English extracurricular activities 4-5 times. Takes time is 20 minutes, the most common higher in the afternoon than in the morning. Activities teacher skills outside of the majors is the most comm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most children like. Start time was 3-4 years when most start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recognition of the special activities for teachers and parents preferred time zone, time, the problem of the role of homeroom teacher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mprovements, and future in the right direction,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this part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revealed.   Third,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satisfaction on the activities that usually more than satisfied with both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재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 실태를 조사하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영아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 (애정적, 자율적, 통제적, 거부적)는 유의한 차이가 있 는가? ❲연구문제2❳ 영아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친사회적 행동, 긍정적 감정, 또래관계, 자아강도, 일과에 대한 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3❳ 어머니의 양육태도(애정적, 자율적, 통제적, 거부적)가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친사회적 행동, 긍정적 감 정, 또래관계, 자아강도, 일과에 대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총 2가지이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Schaefer(1959) 의해 개발된 MBRI(MaternalBehaviorResearch Instrument)를 이원영(1983)이 번역․ 수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영아의 어린이집에서의 초기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Jewsuwan, Luster와 Kostelnik(1993)이개발한 유아의 적응 질문지(The preschool Adiustment Questionaire:Kostelinik)를 오종은(2001)이 번안하여 사용한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13개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250명의 만 1세, 만 2세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이다. 영아 및 어머니의 관련 변인에 따른 초기적응과 양육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T-TEST와 ANOVA가 사용되었고, 양육태도와 초기적응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관계에서는 어머니의 연령이나 경제활동 유무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에서는 애정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의 관계에서는 영아의 성별과 출생순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에서는 일과에 대한 적응, 어린이집 재원 기간에 따라서는 자아강조와 일과에 대한 적응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정도의 예측을 살펴보면 애정적 양육태도는 친사회적 행동과 긍정적 감정 변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율적 양육태도는 친사회적 행동, 또래 관계, 일과에 대한 적응 변인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통제적 양육태도는 자아강조와 일과에 대한 적응 변인에 영향을 미쳤다.

      •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 변인이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정민 배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영유아교사의 근무경력 및 자격증취득기관이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근무경력 및 자격증 취득기관은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근무경력 및 자격증 취득기관은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계수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영유아교사의 근무경력 및 자격증취득기관이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근무경력과 자격증 취득기관은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변인 중 자격증 취득기관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근무경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며 원장이 감성리더십을 발휘할 때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즉 원장이 감성리더십을 발휘할 때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며 이를 통해 영유아에게 제공되는 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고, 영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여겨진다. 논문 검색 키워드: 감성리더십, 영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s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work experiences, and the institutional types of the certificate acquisi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1. How do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work experience and the institutional types of the certificate acquis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How do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work experience and the institutional types of the certificate acquis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is study,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the 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tudy subjects. Cronbach's coefficient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he career experiences and the types of certificate acquisi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n effect on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teachers, and that the teacher's work experience and the certification institute did not affect the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fluence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Among the teacher' variables, the type of the certification institution had an effect, and the teacher's work experiences did not affect. In conclusion,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s the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the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be increased when the director performs the emotional leadership. In other words, when the director demonstrates emotional leadership, the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will be increased,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s provided for infants and toddlers will be improved, and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improved. Keywords: Emotional Leadership, Early Childhood Teacher, Teaching Efficacy, Job Satisfaction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선영 배재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1.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어떠한 가? 2.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3.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 한가? 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프로그램에 필요한 요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요소들은 유아 교육기관 교원의 요구분석 및 전문가 협의를 토대로 수정 보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구성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은 만 5세를 대상으로 현장에 적용하고 프로그램 보완점을 찾아 최종적안으로 개발되었다.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자기조절력 프로그램의 교육 목적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인식을 바탕으로 정서를 조절하고 자신의 사고를 스스로 인지조절함으로써 자기조절능력을 증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올바르게 안다’,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를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태도를 기른다’, ‘자신이 정한 목적에 맞게 계획하고 점검·평가하는 능력을 기른다’, ‘자신과 타인의 정서교류를 통해 원만한 대인 관계를 형성한다’ 이다.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정서조절과 인지조절의 2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정서 조절의 하위 내용은 정서 인식하기, 정서 억제하기, 정서 대처하기이며 인지조절 의 하위 내용은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하기이다. 정서 인식하기의 세부내용은 자신의 정서 바르게 인식하기, 타인의 정서 이해하고 공감하기이다. 정서억제하기의세부 내용은 충동적인 행동 억제하기, 주변상황에 집중하기, 규칙과 질서지키기이다. 정서 대처하기의 세부 내용은 부정적인 정서 해소하기, 긍정적인 정서 유지하기, 정서적 문제해결하기이다. 계획하기의 세부 내용은 목적에 맞게 활동 계획하기와 상황에 맞게 계획 조정하기로 구성하였으며 점검 및 평가하기의 세부내용은 계획과 관련지어 실제 놀이·활동에 대해평가하기, 계획에 따른 수행과정에 대해 점검하기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 학습원리는 통합의 원리, 나선형의 원리, 흥미·몰입의 원리,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과정은 기본차시와 심화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계는 도입, 전개, 마무리 등 3단계의 과정이며 각 단계별 세부 단계로 구성되었다. 교수학습 전략은 자기표현 촉진하기, 긍정적 정서연결하기, 추론하기와 회상하기, 언어적 계획 ·평가하기, 토의하기, 연관 및 확장하기이다 프로그램 평가는 유아평가와 교사평가로 이루어지며, 유아평가는 유아의 자기평가 및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과 활동 산출물 등을 기반으로 한다. 교사평가는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저널과 유아의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에 대한 교사 관찰 및 분석기록 및 활동 산출물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진다. 현장 적용 과정에서 유아들은 정서를 경험하고 그림책 속 상황과 정서문제를 확장하여 다양한 통합적 활동을 통해 상호 역동적인 정서조절과 인지조절을 경험하였으며 적합성 검증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인식을 바탕으로 정서를 조절하고 자신의 사고를 스스로 인지조절함으로써 자기조절능력을 증진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가 연계성있게 구성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기조절 요소를 담고 있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유아기 자기조절력 교육의 가능성을 확장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주제어: 유아 자기조절력, 프로그램개발, 그림책.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s Self-Regulation Using Picture Books Sun-Young Sh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ook-Ryong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hild self-regul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How does the child self-regul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consist of ? 1. What ar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child self-regul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2. What is the content of the child self-regul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3. What i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child self-regul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4. What is the evaluation of the child self-regul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The necessary elements for the program were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to develop the child self-regul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The selected element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needs analysis of the teachers and expert consult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hild self-regul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applied into the field for the 5 aged-children to find out improvement points and the program was supplemented and finalized. The purpose of the child self-regul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to improve the self-regulation ability by controlling the emotion based on the self and others' emotion awareness and by controlling one's own cognition. The specific objectives to achieve this goal were 'to know the correct emotions of oneself and others', 'to cultivate attitudes to deal positively with their negative emotions', and 'to improve the ability to plan, check and evaluate according to the goal', and 'to create a good 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emotional exchange between oneself and others'. The program content consisted of two areas: emotion control and cognition control. The sub-contents of the emotion control were emotion recognition, emotion suppression, and emotional coping. The sub-contents of cognition control were planning, checking and evaluating. The emotion recognition meant to recognize one's emotions correctly and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others' emotions. The emotion suppression meant to suppress impulsive behavior, to focus on the surroundings, and to keep rules and order. The emotional coping meant to deal with negative emotions, to maintain positive emotions, and to solve emotional problems. The details of the planning were to plan according to the goal and to adjust the plan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details of the checking and evaluating were to evaluate actual play and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plan, and to check the performance process according to the pla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 of the program were the integration principle, the spiral principle, and the interest-immersion principle,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the program were 3 main step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wrap-up and each step consisted of small step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consisted of promoting self-expression, connecting positive emotions, reasoning and recalling, verbal planning and evaluation, discussing, relating, and expanding. The program evaluation was done with the children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The children evaluation was based on the self-assessment of children, children’s verbal and non-verbal responses, and outputs of activities. The teacher evaluation consisted of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teachers’ observations and analysis of children's verbal and non-verbal responses, and the evaluation of the activity outputs. In the field application process, the children experienced emotions, expanded the situation and emotional problems shown in the picture books, experienced the mutually dynamic emotion control and cognition control through the various integrated activities. The conformity verification result showed that the goal and objective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child self-regul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ere linked to focus on improving the self-regulation ability by controlling emotion and self-cognition based on the self and other people’s emotion recogni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nds the possibility of the self-regulation education by using picture books including the self-regulation elements that are easily accessibl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Key Words : Child’s Self-Regulation, Program Development, Picture Books

      •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간의 구조적 관계

        김미정 배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간의 구조적 관계 김 미 정 지도교수 김 숙 령 배재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본 연구는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에서 구축한 한국아동패널(PSKC)연구의 4차년도(2011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4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1754가구의 35개월∼42개월 유아와 그의 부모이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아버지 심리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Kessler 우울척도(K6), Rosenberg 자아존중감척도, Pearlin 자아효능감척도를 사용하고 부부특성은 결혼만족도척도(Revised -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RKMSS)와 부부갈등척도를 양육특성은 양육참여 척도와 양육스타일(The Parental Style Questionnaire: PSQ)을, 유아 사회성 발달은 또래놀이 상호작용 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를 사용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과 AMOS 21.0 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긍정적 심리특성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아버지 부정심리 특성인 우울을 상쇄한 효과로 유아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아버지의 심리특성은 유아 사회성 발달과 관련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아버지 심리특성은 아버지 양육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는 부적절한 양육특성이 나타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아버지는 자녀의 요구에 민감하고 온정적 양육특성을 보여주어, 아버지의 긍정적 심리특성은 부정적 양육방식을 완화 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버지 부부특성 중 결혼만족도는 부부갈등으로 인한 부정적 요인을 상쇄하여 유아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높은 가정에서 성장한 유아는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부부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경우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공격성이 증가하여 유아 사회성 발달을 저해시킨다. 넷째, 아버지 부부특성이 아버지 양육특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결혼만족도가 높은 아버지는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허용적인 양육행동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아버지 부부갈등이 높으면 양육참여가 낮고 통제적인 양육행동이 나타났다. 즉 아버지 부부특성은 아버지 양육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아버지 심리특성과 아버지 부부특성이 유아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경로에서 아버지 양육특성은 매개변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즉 유아 사회성 발달은 아버지 양육특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만 아버지 양육특성은 아버지 심리특성과 부부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 사회성 발달을 지지하기 위해 아버지 양육특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아버지 양육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의 긍정적 심리특성과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이 유아 사회성 발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유아 사회성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및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