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말기 암 환자의 통증 감소를 위한 마약성 진통제 사용의 제도적 개선 방안

        김승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315

        국내에서 암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연간 6만 4천여 명이 넘고 대략 30만 명의 말기 암 환자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2004년 통계청은 발표하고 있다.이런 암 환자들이 경험하는 주된 문제는 통증이며 특히 말기 암 환자들에게 통증은 식사, 휴식, 수면, 활동장애를 유발하며 불안과 죽음에 대한 공포를 가중시킨다. 결국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가지면서 지낼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그러나 일단 통증이 조절되면 암 환자라도 일상생활을 수행해 나갈 수 있으므로 통증 조절은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한다.현재까지는 암 환자의 통증 조절을 위해 진통제 사용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암성 통증의 강도가 심해질수록 일반적인 질환에 의한 통증의 치료와 다르게 마약성제제의 투여가 필요하다.암 통증에 대한 마약성진통제가 필요한 양보다 적게 처방되고 있다는 사실을 의사의 86%가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의사들은 마약진통제 처방을 주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암성통증의 부적절한 관리는 의사들의 마약성진통제에 대한 지식의 부족, 부정적 태도 등이 원인일수도 있지만 또한 법적, 행정적 제한 역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따라서 이 연구는 말기 암 환자들의 통증 조절을 위한 마약성진통제의 처방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게 하는 여러 원인들 중 의료진의 부정적인 태도에 대해 분석해보고 이와 관련된 법적, 행정적 제한 요소들을 분석하여 말기 암 환자들의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되는 해결방안을 찾아보고자 하기 위함이다.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 2개 대학 부속병원의 의사와 약사 서울 시내 3개 대학 부속병원의 간호사에게 설문 조사한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작성하기 위해 설문에 대답 할 직종별 의료진들과 각각 면접을 통해 자료를 얻었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설문에 대답한 의료진들 중 의사의 83.8 %가 통증 관리에 관한 교육을 받았고 62.5%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고 했다. 간호사의 94.1%가 통증 관리에 관한 교육을 받았고 70.6%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고 대답했다. 약사의 64%가 통증 관리에 관한 교육과 마약류 관리에 관한 교육을 받았다고 대답했다. 의료진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교육을 충분히 받았다고 대답하였고 또한 전체 의료진들이 통증관리에 관한 필수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둘째, 설문에 답한 의사들 중 통증이 ‘100’일 때 통증조절을 100%까지 할 수 있도록 진통제를 투여하겠다고 한 것은 15%정도 밖에 되지 않았으며 50% 미만으로 통증을 조절한다고 대답한 경우는 47.5%나 되었다. 또한 전문 간호사들이 환자를 방문해서 환자의 통증 정도와 사용 중인 진통제의 적절성을 평가하였을 때 환자가 100% 통증에서 자유롭다고 대답한 것은 2.9%였다. 이것은 통증교육을 받았음에도 마약성진통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장애요인임을 나타내고 있다.셋째, 말기 암 환자들의 통증 조절에 있어 마약성진통제 사용의 제한이 없다고 대답한 경우는 의사는 77.5% 이고 간호사는 96.9%로 간호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넷째,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 11조와 12조가 의료진들의 마약성 진통제의 처방과 취급을 저해하는지에 대해서는 의사들은 30% 정도가 지장을 받는 것으로 대답했고 약사들은 50~60% 정도 지장을 받는다고 대답했다. 직접적으로 마약성진통제를 관리하는 약사들이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다섯째, 마약성진통제의 사용이 3차 의료기관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환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집 근처의 1, 2차 의료기관이나 가정으로 바뀌어야 하며 개인 약국에서 마약성진통제취급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정을 방문하는 전문 간호사에 대한 마약성진통제의 선처방 후승인에 대한 응답은 각 의료진들의 입장에 따라 다르게 대답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진들은 환자들의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필요한 것임을 인식하고 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현재 의료진의 마약성진통제 사용에 대한 저해 요인으로 첫째 마약성진통제에 대한 의료진의 부정적인 시각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둘째 마약류 관리에 대한 법률이 엄격하여 의료진이 마약성진통제 사용에 제한을 받게 되어 마약성진통제의 처방이 주로 3차 의료기관에 집중되고 있으며 따라서 말기 암 환자들의 통증 조절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늘어나는 암 환자들의 통증 조절에 대한 교육 강화와 함께 의료용 마약성진통제에 대한 관련법의 입법이나 현행 관리법의 개정을 심각하게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ublished in 2004 year that the dying people with cancer exceeded sixty four thousands a year in Korea and around thirty thousands of them have been suffered by cancers.The main problem what cancer patients have is a pain. The pain disturbs cancer patients in terminal stage to have meals, rest and sleep activities. So it is aggravated the fear to them about anxiety and death.Finally, it can`t be lived them with interacting other people and then it is decreased a quality of the patients` life seriously.But If the pain is just controlled firstly, no matter what cancer patient can carry out daily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pains.To control pains of the cancer patients has been used commonly pain drugs until now. and they need to get narcotic drugs, different from a treatment of pain related general diseases as getting worst intensity of the pain by cancerAlthough the 86% of physicians know that pain killers related cancer pains have been prescribed less than needed amount to them, they still won`t be prescribed more narcotic pain killers. After all, a improper management of the pain related cancers may have some causes that physicians are lacking in knowledge about narcotic pain drugs, and they have a negative attitude, also some limits of the legal, administrative affect as obstacle factors.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causes to bring about negative attitudes of physicians to restrict prescriptions of narcotic pain drugs for removing pains of cancer patients in terminal stage. So it has the purpose to look for a solution that can be helped of controlling pains of cancer patients in terminal stage.The target of this research are physicians and pharmacists who belong to hospital in affiliation of two universities, nurses who work to hospitals in affiliation of three universities in seoul.It was gathered data what was researched by them and was made by an analysis wit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o write out questionnaires, we obtained through interviews with each medical teams who answer questionnaires.The results of research as below :The first, the 83.75% of physicians of medical teams who answered questions got a education about pain management, the 62.5 % of them had a education of the law about management of narcotic drugs. The 94.1 % of nurses had a education about pain management and they answered that the 70.6% of nurses took a education of the law about management of the pains and narcotic drugs.pharmacists replied that the 64% of them had educations about management of the pain and narcotic drugs.Most of medical teams replied that they had enough educations, also all of them understand to need necessary educations about the pain management.The second, the physicians who replied questions were just only the15% who gave pain killers to control pain until 100% if the pain is '100'. The other side, the 47.5 % of them answered that they control pains under 50%. Also home health care nurses visited and evaluated how severe pain they have and how proper pain killers they use, but the 2.9% of patients only answered that they were out of the pain completely ( until 100% ).This show that a negative attitude about narcotic pain drugs is an obstacle factor in spite of pain educationsThe third, the 77.5% of physicians, the 96.9% of nurses answered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of using narcotic pain drugs for controlling pain of cancer patients in terminal stage. It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nurses was highly than one of physicians.The fourth, the 30% of physicians , 50 - 60% of pharmacists replied that they have obstacles to prescribe and manage narcotic pain drugs because of the provision 11 and 12 of the law related to manage narcotic pain drugs. So we may know that the pharmacists who directly manage narcotic pain drugs have more difficulties.The fifth, whenever patient wants to get narcotic pain drugs, they have to contact to big medical centers ( like hospital in affiliation belong to universities ) in big cities. So to obtain narcotic pain drugs conveniently, it should be distributed to doctor`s clinics near the patients` home or home health care nurses who visit to them. There are different answers as medical teams` positions about that, but medical teams understand to need that for reducing pains to patients.As above the study results, we found two causes what distrub current medical teams to use narcotic pain drugs .First, there is a negative view of the medical teams about a narcotic pain drugs.Second, the medical team was restricted to use narcotic pains drugs because of strict laws about the management of narcotic drugs.so, they can get prescription of the narcotic pain drug from big medical center (like hospital in affiliation belong to universities) only, and we found that this causes a lot oe problems for controlling the pain of cancer patients in terminal stage.For that reason, we need to strengthen educations about pain control for increasing cancer patients and to examine a legislation of related the law or a revision of current policy of the management about the narcotic pain drugs for medical treatment

      • 한국과 중국의 마약류 규제제도에 관한 연구

        신가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98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shares a variety of global issues and endeavors to resolve them. One of the widest, deadliest and most urgent issues may be the global widespread of narcotic drugs and subsequent crimes. Due to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the narcotic issue is no longer confined in one nation, but has evolved into a global problem. To this, many governments have intensified their regulations on narcotics. Narcotic drugs have become the subject of international control because of their distinguished properties.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a narcotic incites an overpowering desire or compulsion to continue taking the drug, a tendency to increase the dose, intolerable symptoms in the whole body after withdrawal, thus detrimental to the individual and to society. However, many still appeal for the injustice of drug control and decriminalization of drug use. This argument only applies to cannabis, which is known for relatively low degrees of harmfulness and addictiveness to the human body, based on the following grounds: the rights to the pursuit of happiness and equality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harmlessness and substitutability of cannabis. This issue is not new to the Constitution Court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have unanimously acknowledged the constitutionality of cannabis control in all of its related cases. In contrast to this, several European countries and many states in the United States have conceded the medical value and harmlessness of cannabis. As these governments are currently engaged in decriminalization of the drug, including its medical use in light of individual freedom, it is worth following up the results. In Korea, narcotic drugs are being controlled on the legal grounds of the 「Criminal Act」,「Act on the Control of Narcotics, etc.」,「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revention of Illegal Trafficking in Narcotics, etc.」, and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etc. of Specific Crimes」. Furthermore, drug-related crimes also apply to the 「Chemicals Control Act」, the 「Juvenile Protection Act, and the 「Act on Protection of Specific Crime Informants, etc.」, all of which constitute a meticulous legal framework for drug control in Korea. As a result of the cooperations among many organization around the Prosecution Services on narcotics control, Korea had no issue in maintaining its status of ‘drug-free country’ designated by the United Nations. However, this status has recently become endangered, due to the gradual rise of drug offenders dealing with psychotropic drugs. Narcotic drugs in China have been count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the rise of drug offenders in Korea. In 2015, half of the total amount of seized methamphetamine(a.k.a. philopon) was imported from China. As such, the drug issues in China are directly related to those in Korea, calling for the need to study the narcotic control system in China and identify the directions in their narcotics policies. China and Korea will promote mutual development of drug control for more effective solutions of drug offenses, if the Korean professionals introduce hi-tech scientific investigation techniques based on digital forensic and the high-quality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in Korea to China for more effective drug investigations, in exchange of the Chinese-style plea bargaining system and the strategies to improve practical operation of drug-related organizations and to develop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on narcotics eradication.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많은 문제들을 공유하며 또한 이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 중 인류에 대하여 미치는 작용력이 광범위하고 또한 부정적이어서 그 해결의 시급을 다투는 문제를 고르라면 단연 마약류의 전 지구적 확산과 그로 인한 마약류범죄 문제를 고를 수 있다. 최근 교통과 통신, 이동수단과 물류의 발전으로 마약류 문제는 더 이상 한 국가의 문제에 국한될 수 없는 전 세계적인 심각한 문제로 변모하였고, 이에 세계 각 국가의 정부는 마약류의 규제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마약류가 전 세계적으로 규제를 받는 대상된 이유는 마약류가 가진 고유한 특성 때문일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의하는 마약이란 약물사용의 욕구가 강제에 이를 정도로 강하고, 사용약물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사용 중지 시, 온몸에 견디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나며, 개인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회에도 해를 끼치는 약물이다. 그렇기에 이처럼 위험한 물질은 국가에서 단속하여 규제하는 것이 옳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마약류 규제의 부당함을 호소하며 마약류 사용의 비범죄화를 요구하는 사람들의 주장은 끊이질 않는다. 이는 마약류 중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과 중독성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알려진 대마에 한하여 제기되고 있는 주장으로, 이러한 주장은 여러 가지의 근거를 지니고 있다. 첫째, 헌법 등 법률에 규정된 행복추구권 및 평등원칙의 보장, 둘째, 대마의 무해성, 셋째, 마약류의 대체가능성 등이 그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에 관한 여러 차례의 헌법재판소 결정이 있은바, 모두 재판부 전원일치로 대마사용 규제의 합헌성을 인정하였다. 이에 반하여 유럽의 일부 국가와 미국의 대다수 주(州) 등에서 대마의 의료적 가치와 인체에 대한 무해성을 인정하고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으로 보장해주는 대마의 의료적 사용을 포함한 대마사용의 비범죄화가 진행되고 있어 그 추이를 주목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형법」과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마약류 불법거래 방지에 관한 특례법」,「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을 주요한 규제 법률로 하여 마약류를 단속하고 있다. 이 밖에도 「화학물질관리법」,「청소년 보호법」,「특정범죄신고자 등 보호법」에서도 마약류범죄를 의율하고 있어 매우 정밀한 단속의 근거를 마련해주고 있다. 또한 검찰기관을 중심으로 여러 기관들이 서로 협력하여 철저한 규제를 시행한 결과,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커다란 문제없이 UN에서 부여한 ‘마약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최근 향정신성의약품사범을 필두로 한 마약류사범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마약청정국’의 지위가 위태로워졌다. 우리나라의 마약류사범이 증가하게 된 주요한 원인으로는 중국의 마약류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2015년의 경우 향정신성의약품 중 하나인 메트암페타민(일명 필로폰)의 전체 압수량의 절반이 중국으로부터 밀반입하려던 것이다. 이처럼 중국의 마약류 문제는 우리나라의 마약류 규제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우리는 응당 중국의 마약류 규제제도를 연구하여 중국의 마약류 규제의 방향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우리는 우리나라의 우수한 마약류 수사 인력의 배양체계와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수사를 기반으로 한 첨단 과학수사기법 등을 중국에 소개하여 이를 마약류 수사에 적극 반영하기를 제언하고, 또한 반대로 중국은 중국식의 플리바게닝(Plea Bargaining)제도인 입공(立功)제도와 마약류와 관련된 국가 기관들의 실질적 운영의 제고방안 그리고 마약류 근절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식 함양의 방법 등을 우리에게 제언하여준다면 양국은 마약류 규제의 상호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양국은 자국의 마약류범죄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마약류남용자의 재활의지와 치료기관 이용의사에 관한 연구

        김희수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284

        이 연구는 마약류 남용자의 일반특성과 재활의지, 치료기관 이용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치료진의 치료경험을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인지역의 교정기관을 출소한 마약류사범 16명, 재소자 94명과 치료기관의 치료진 33명이었다. 자료는 3월 30일부터 5월 30일까지 면접을 통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마약류 사범의 특성은 백분율을, 재활의지, 치료기관 이용의사와의 관계는 χ^(2) 검정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문대상자는 남성이 89명, 여성이 21명이고 남용약물로는 향정신성약물인 메스암페타민(이하, 히로뽕)이 87.1% 이었다. 2. 연령대는 30대가 가장 많았고, 78.7%가 종교를 갖고 있었으며, 건강상태는 자연발치 등 치과질환이 40.0%, 대인기피 및 우울상태가 35.5%, 간기능 저하 30.1% 등 전반적으로 건강이 취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3. 이들은 남용당시 약물이 마약류이며 사법처리되는 범죄행위임을 아는 상태에서 현실도피와 성적쾌락을 목적으로 단순한 호기심으로 시작하였다. 남용과정은 처음 사용약물은 대마초였고 다음이 히로뽕으로 남용되는 추세를 보였다. 4. 마약류남용자의 대부분이 약물남용을 시작한 것을 후회한 경험이 있으며 후회시점은 구속되었을 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후 남용자의 91%가 마약류남용 중단을 시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응답자 대부분이 약물중단을 원하고 있었고, 약물중단 동기는 가족관계 회복이었다. 높은 재활의지에도 불구하고 약물중단이 실패한 원인은 소극적인 중단 방법과 약물중단이 자신의 의지로 가능하다는 인식으로, 치료기관 이용자체를 연관짓지 못하고 사회에 노출되어 구속된다는 불신으로 기피하고 있었다. 6. 응답자의 80% 이상이 교정기관에서의 마약류남용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과 재활치료기관에 대한 정보제공를 받지 못했다고 답했고 국가지정치료 기관에서 무료로 치료받을 수 있는 것과 의료인의 마약류중독자 신고의무의 폐지 등 개정법률 내용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7. 마약류남용자의 재활의지와의 관계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종교가 있는 대상자와 질환이 있는 대상자, 남용약물별로는 히로뽕 남용자가 재활의지가 높았다. 8. 치료기관 이용의사와의 관계에서 종교가 있는 대상자와 질환이 있는 대상자, 재활의지가 높은 대상자, 가족과의 유대가 원만하다고 응답한 대상자에게서 치료기관 이용의사가 높았고, 가족과 동거하는 대상자에게서 이용의사가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재활의지가 높고 전문치료기관의 이용이 낮은 이들에게 법률 개정내용인 의료인의 신고 의무규정의 폐지, 치료비의 국가부담을 비롯한 국가지정 치료기관의 홍보가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구속시점이 약물남용의 가장 큰 후회시점임을 볼 때 수용된 사범들에게는 재활의지를 심어 줄 수 있도록 적극적인 교육과 치료기관의 소개, 재활치료기관의 바른 이해와 유도등 교정기관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basis for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for narcotic abusers in Kore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rug abusers, their will to recover,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the treatment centers, as well as the experiences of the medical personnels were also research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questionnaire survey were narcotic abusers who had been treated in prisons, narcotic abusers imprisoned in jail as well as medical personnels. The period of the study was between March 30 to May 30, 2002. Percentage wa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cotic abusers, the related factors of drug abusers, and the related factors regarding stopping the use of drugs. The relation among the drug user's characteristics, their will to rehabilitate, and the need to use the therapeutic centers was also analyzed by using the χ2test and the logistic regression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89 males and 21 females. 87.1% of the abused drugs was found to be Mesamphetamine, a psychotropic drug. 2. Majority of the abusers were in their thirties and 78.7% of them had a religin. 40.0% had dental problems( such as spontaneous odontectomy) and 35.5% were suffering from depression. 30.1% of the subjects were with liver disease. They were generally in poor health conditions. 3. The subjects were known to start using drugs from curiosity, to escape from reality and to seek sexual pleasures even though they were aware that using such drugs were illegal. The process of drug usage shows that marijuana was usually chosen first and that philopon was usually chosen next. 4. Most of the subjects have regretted starting to use drugs, and their regret was seen the greatest when they were arrested. As a result, 91.0% of the subjects were seen to make attempts to stop using drugs. 5. The main reason most of the subjects were seen to stop using drugs was their wish to recover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y. However even though their will to recover was strong, their attempts to stop using drugs often failed. This was due to many reasons 1) Their passive attitude 2) The treatment centers were not visited 3) Treatment centers were not consulted for fear of being known as drug abusers, and for fear of being arrested. 6. Over 80.0%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while in prison, they were not taught about drug abuse and were not informed about the treatment centers. The subjects also stated that they were not aware of the free treatment available in n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contents of reformed law. 7.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the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rug abusers and their will to recover shows that 1) the subjects who admitted that their disease had stronger will to recover than those who claimed that they were healthy. 2) Philopon abusers had stronger will to recover than the other drug abusers. 8. The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ir will to use the medical facilities shows that those who are old and those who stayed with families tended to use the therapeutic centers less. In addition those who were religious or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iseases were seen to use the therapeutic centers more.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 of reporting, national burden of cost, and publicizing of national therapeutic centers should be be taken into preference. In addition more vigorous education to those imprisoned, publicizing of the therapeutic centers, as well as emphasis of the various roles of organizations should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 마약류 범죄에 대한 국제법적 규제

        서민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267

        마약류 문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국제테러리즘, 자금원의 위장, 인신매매 등 다른 초국가적 범죄와 연계되어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미 마약류의 거래는 국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각국의 개별적인 노력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범세계적인 노력에 의해서만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한 국제법적 사안이다. 마약거래의 근본적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단순히 각국의 국내적 조치만으로는 불충분하다. 국내적 조치뿐만 아니라 국제사법공조와 같은 국제적 협력이 매우 긴요하다. 마약류에 대한 국제적 규제는 유엔 이후 마약에 관한 3대 협약이 채택된 이후 점차 강화되고 있다. 단일협약은 이전의 산발적인 국제조약과 협약을 하나로 통일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마약관리 대책을 마련하였으며, 향정신성 물질협약은 이전까지 마약에만 국한되었던 국제관리를 환각제·각성제·진정제 등 향정신성 물질에까지 확대하였다. 마약 불법거래방지협약은 마약류 범죄의 주요 요인인 국제적 마약 밀매 조직에 의한 불법거래에 대한 단속의 강화를 목표로 하였다. 유엔은 마약류 범죄의 확산을 차단하고, 효율적인 대처를 위해서는 범세계적인 차원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국제협력을 통한 해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앞으로 국제사회와 지속적인 협력을 계속적으로 확대하고 국제형사사법공조체제와 수사협력체제를 더욱 정밀하게 가다듬어 국제적 마약류범죄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외국과 범죄인인도 조약 및 국제형사사법공조조약의 체결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조약에 규정되어 있는 국내 입법 조치의무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 또한 마약류 범죄의 해결을 위하여 국제협약의 기준에 맞추어 마약류 관리법을 정비하고, 외국과의 수사협력을 강화해야한다. 더불어 빠르고 정확한 정보교환을 통한 마약류 범죄 억제를 위한 전문적이고 상설적인 공식창구의 개설도 필요하다. Narcotics often play a central role in international terrorism, money laundering and human traffic, so the world has a special interest in addressing crimes involving narcotics. The illegal drug trade is a global phenomenon, therefore the individual efforts of countries at a national level are not enough to solve the problem. It is an international legal issue that requires international-level efforts and awareness to be solved. In order to find a long-term solution that addresses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drug trade, we need not only management plans at the domestic level but also international involvement such as international judici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Legal control of crimes on narcotic drugs has been strengthened after three UN conventions. The UN has already concluded that global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block the spread of narcotic crimes and is making efforts to solve drug problems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continue to increase cooperation and arrange the judicial assistance system and international investigation system to better cope with narcotic crimes. We should revise laws related to narcotic drug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support investigational cooperation. Furthermore, we need a professional and expert anti-narcotics organization that can provide timely and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capabilities.

      • 북한 마약 문제 연구 : 국가주도형 초국가적 조직범죄 특성을 중심으로

        이관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267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f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l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from 1945 to present. The issues of North Korea’s drug problems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TOC) and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the rise of the state-led TOC. This study is distinctive from previous studies in the following ways. First, it examines the North Korean drug problem under the framework of the TOC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system. Due to the nature of the North Korean system, the subject of the TOC activities in North Korea are steered entirely—with complete control and efficiency—by the dictatorship of the suryong or the great leader. In other word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re directly involved—not sponsored or in an indirect intervention—with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Seco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34 North Korean defectors who served in the General Staff Department (GSD) the Korean People’s Army, the Workers’ Party of Korea (WPK),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s well as former secret agents from North Korea. In addition, defectors who have produced and smuggled drugs in North Korea were interviewed. Lastly, 143 drug cases reported in news articles and public documents related to North Korea from 1945 to 2013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see Appendix 1). These 143 cases are structured into categories of time, place, agents and routes of trafficking, and drug type and amoun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is an organized crime with transnational characteristics. To date, there is no internationally unified concept of TOC and organized crime. Accordingly, in Chapter 2, the conceptualization of TOC was attempted based on the organized crime theory. The TOC goals and special characteristics such as identity, hierarchy, exclusivity, hierarchy, violence, monopoly, and deception are presented. These factors are set as reference points for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C and the North Korean regim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system was discussed in Section 2. The dictatorship of the suryong is realized through the party leadership, which is a dictatorship mechanism that is executed impeccably in all North Korean organizations, regions, and people. In Section 3, an analytical framework is presented to discuss the drug trafficking and production l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C and the North Korean regime. In Chapter 3,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North Korean drug problem is outlined.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Second World War, Japanese government engaged in the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in their colonies and occupied territories, namel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Section 2 discusses the direct impact of the global drug strateg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Soviet Union on North Korea before and after World War II. In Section 3, the North Korean state control and expansion of drug use among the North Korean residents are analyzed from the Kim Jong Il period to the present.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confirm that the drug smuggl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aused the spread of narcotics consumption not only to the outside world but also domestically in North Korea. In Chapter 4, drug trafficking behavior l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s analyzed based on three periods. In Section 1, drug trafficking behavior is examined centered on North Korea’s espionage networks from the 1940s to the 1960s. In Section 2, diversified networks of drug trafficking from the 1970s to the 1990s is examined in detail. The 1970s was a period when Kim Jong Il emerged as the successor and North Korea began to expand its diplomatic network and WPK’s international revolutionary capabilities. As a result, drug trafficking network in North Korea also began to expand globally and by the 1990s, it actively utilized foreign embassies and diplomatic immunity privileges to expand this network. Section 3 examines the drug trafficking behaviors using transnational networks in North Korea from the 2000s to the 2010s. In the 1990s, North Korea's dire economic situation became more severe, and sanctions were further strengthened from the 2000s to the present. Accordingl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implemented stronger links with international criminal organizations in order to minimize the risks arising from drug trafficking and to ensure stable mass trade of narcotics. This allowed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o more effectively conceal its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Chapter 5 of this study discusses the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system l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ere, North Korea's drug production technology and facilities are described, and logistics, which directly manages production and trafficking is discussed. Section 2 examines how the TOC characteristics emerge in the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o this end,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argets for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are presented based on the period and type and North Korea’s legal, semi-legal, and illegal transnational bases and how each base is connected to form a transnational network is examined. Finally, Section 3 evaluates whether drug production and smuggling directly led or interven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s still occurring at the present and discuss the prospects of how it would evolve in the future. The last chapter recaps the main discus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discussions up to Chapter 5, policy recommendations and tasks are presented for relevant countries in the region including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China, Russi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TOC l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e state is the main actor in security and justice but it can also act as an implementation body that executes the TOC. In this study, state-led TOC is recognized as a crime in which the state leads or intervenes in international crimes by using their own capabilities and sovereignty.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roduction and trafficking of narcotics l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s continued from 1945 to the present. Subsequently, the North Korean drug problem can be understood as a classic case of state-led TOC that abuses the regime's capabilities and sovereignty. For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earning foreign currency is of utmost priority and a goal to achieve by any means necessary.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North Korea, the only way North Korea can acquire foreign currency is through criminal activities such as arms and drug trafficking and cyberattacks. In particular, drug is one of the best “exports” that can generate high profits for North Korea and the best technology it has to offer. It is apparent that North Korea have established drug production bases in third countries for quite some time. North Korea is evading international surveillance by sending drug production technicians to these countries.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rug production and smuggling may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not only international criminal organizations but also the governments of third countries. Lastly, a generational shift has taken place in North Korea's drug business and it is highly possible that it will continue to evolve and advance in the future. Hence, this is an issue that requires close monitoring and continuous study by relevant government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find a collaborative and pragmatic solution to this dire problem. 본 연구는 1945년부터 최근까지 북한 당국이 주도한 마약류 생산 및 밀매 행태를 초국가적 조직범죄(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이하 TOC) 관점에서 고찰 및 분석하고, 국가주도형 TOC의 부상 가능성을 논의했다.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본 연구가 갖는 차별성은 첫째, TOC와 북한체제의 특성을 바탕으로 북한 마약 문제를 고찰한다는 것이다. 북한체제의 가장 큰 특징은 수령에 의한 개인 독재가 효율적이고 빈틈없이 실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국제사회에 알려진 북한의 마약류 생산 및 밀매는 당국의 간접적인 개입이나 후원이 아니라 당국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연구 데이터 확보를 위해 3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심층면접 대상자로는 공작원, 외교관 출신뿐 아니라 노동당과 총참모부에서 활동한 탈북민들도 있다. 또한 재북 당시 자체적으로 마약류를 생산하고 밀매한 경험을 가진 대상자들도 있다. 그리고 1945년부터 2013년까지 발생한 북한 당국과 관련된 143건의 마약 사건들을 뉴스 기사와 공개 자료들에서 찾아 <부록 1>과 같이 정리했다. <부록 1>에는 143건의 마약 사건을 시간, 장소, 밀매 주체 및 경로, 마약 종류 및 양 등의 항목으로 분류했고 출처를 빠짐없이 명시했다. 초국가적 조직범죄는 초국가성이 가미된 조직범죄이다. 현재까지 TOC와 조직범죄와 관련해 국제적으로 단일화된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2장 1절에서는 조직범죄 이론을 바탕으로 TOC의 개념화를 시도했다. 개념화를 통해 TOC 목표 그리고 정체성, 위계구조, 배타성, 위계질서, 폭력, 독점, 기만이라는 특성 요소들을 제시했다. 또한 이 요소들을 TOC와 북한체제의 특성 비교를 위한 기준점으로 설정했다. 2절에서는 북한체제 특성에 대해 논의했다. 수령의 독재권력은 당적지도를 통해 실현된다. 또한 당적지도라는 수령독재 메커니즘은 북한의 모든 조직, 지역, 인민들에게 빈틈없이 작동되고 있다. 3절에서는 TOC와 북한체제의 특성을 바탕으로 북한 당국 주도의 마약류 밀매 및 생산을 논의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했다. 본 연구의 3장 1절에서는 북한 마약 문제의 역사적 기원을 살펴보고자 했다. 20세기 초반부터 2차 세계대전 시기까지 일본 당국은 자국의 식민지와 점령지 즉 한반도와 중국에서 마약류 생산과 밀매를 진행했다. 2절에서는 2차 세계대전 전후 중국 공산당과 구소련의 글로벌 마약 전략이 북한에 직접적으로 끼친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그리고 3절에서는 김정일 집권 시기부터 현재까지 북한 당국이 주민을 대상으로 한 마약류 통제 및 확산 실태에 대해 고찰했다. 이 고찰을 시도한 이유는 북한 당국이 국제사회로 밀매한 마약류는 북한 외부뿐 아니라 내부의 마약류 소비 확산을 초래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본 연구의 4장에서는 북한 당국 주도의 마약류 밀매 행태를 시기별로 구분해 고찰했다. 1절에서는 194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공작 네트워크 중심의 밀매 행태를 다뤘다. 2절에서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다각화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 마약류 밀매 행태에 대해 논의했다. 1970년대는 김정일이 후계자로 등장한 시기이다. 또한 북한의 외교 네트워크가 확대되고 노동당 차원의 국제혁명역량 강화가 강조된 시기였다. 이에 따라 북한의 마약류 밀매 네트워크도 확장되었다. 북한은 해외 대사관과 면책특권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1990년대까지 마약류 밀매 네트워크를 확장했다. 3절에서는 200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북한의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마약류 밀매 행태에 대해 고찰했다. 북한은 1990년대에 들어 경제난이 보다 가중되었고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 대북 제재가 더욱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북한 당국은 마약류 밀매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마약류 대량 거래를 위해 국제범죄조직과 더욱 견고한 연계를 실행했다. 이에 따라 북한 당국은 마약류 생산 및 밀매를 보다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5장 1절에서는 북한 당국이 주도하는 마약류 생산 및 밀매 체계를 논의했다. 여기에서는 북한의 마약류 생산 기술과 시설에 대해 서술하고 생산 및 밀매를 직접 관리하고 있는 로지스틱스에 대해 논의했다. 2절에서는 북한 당국에 의해 발생한 마약류 생산 및 밀매 행태에서 TOC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고찰했다. 이를 위해 북한 당국의 마약류 생산 및 밀매 목표를 시기별․유형별로 제시했다. 또한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초국가적 합법․반합법․비합법 거점에 대해 언급하고 각 거점이 어떻게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지 논의했다. 끝으로 3절에서는 북한 당국이 직접 주도하거나 개입된 마약류 생산 및 밀매가 현재에도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해 평가했다. 그리고 미래에는 어떠한 모습으로 진화할지에 대해 전망했다. 본 연구의 6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논의들을 요약했다. 그리고 5장까지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북한 당국 주도의 TOC와 관련해 한국, 미국, 중국, 러시아,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제언과 과제를 제시했다. 국가는 형벌 주체이지만 TOC의 실행 주체도 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주도형 TOC를 국가라는 주체가 자신이 갖고 있는 역량과 주권을 이용해 국제적인 범죄를 주도하거나 개입하는 범죄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북한 당국이 주도한 마약류 생산 및 밀매는 1945년부터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음을 밝혔다. 북한 마약 문제는 체제의 역량과 국가의 주권을 남용한 전형적인 국가주도형 TOC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북한 당국은 외화를 벌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북한이 현재 처해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실질적으로 외화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은 무기 및 마약류 밀매, 사이버 공격과 같은 범죄 활동이 유일하다. 특히 마약류는 북한 당국에 있어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최고의 ‘수출품’ 중 하나이고 북한은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북한 당국은 오래전부터 제3국에 마약류 생산 거점을 개설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이곳에 마약류 생산 기술자들을 파견하는 방식으로 국제사회의 감시를 회피하고 있다. 또한 국제범죄조직뿐 아니라 제3국 정부와 연계해 마약류 생산 및 밀매를 진행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북한의 마약 사업은 이미 세대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도 더욱 진화하고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 약물 남용자의 TCI 프로파일 특성 : 기소유예 재활교육 대상자를 중심으로

        설재용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50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TCI temperament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drug abusers in the first-time offender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igh-risk group for addiction by comparing the TCI profile differences among groups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to identify temperament and personality traits that can act as risk factors for addiction. In the first half of 2021, the drug abuse screening test (DAST-10) and TCI test were conducted for 54 drug abusers who were commissioned to participate rehabilitation program which conducted by Korean Association Against Drug Abuse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city. In this study, the TCI temperament and personality scales of 54 drug abusers were used for analysis.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drug dependence and major variables of the TCI scale. And t-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TCI profile between the groups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ir experience of taking illegal drugs. In addition, in order to classify all study subjects into groups with simila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TCI-RS 7 upper scale, and the difference in TCI characteristics of each extracted cluster was verifi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Based on the DAST-10 scale for determining drug dependence, the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into a low-risk group, a medium-risk group, and a high-risk group, and were verified through ANOV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rug abusers had higher 'novelty-seeking' scores compared to normal adult scores. Second, female drug abus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rm- avoidance' scores than males in terms of temperament. Third, drug abus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cluster analysis: 'novelty-seeking group', 'high novelty-seeking and high harm-avoidance group', and 'low harm-avoidance group'. Fourth, the more severe the drug dependence, the higher the novelty- seeking, harm-avoidance, and self-transcendence, and the lower self-directedness. Fifth, among the variables of TCI, novelty-seeking, harm-avoidance, and self- transcend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rug dependence, that is, the risk of addiction. Self-directedn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rug dependence,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sistence.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high novelty-seeking’ wa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drug abusers, and ‘harm-avoidance’ was related to the severity of drug dependence. In addition, the addiction vulnerability of female drug abusers was confirm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risk group' with high addiction risk were 'high novelty-seeking and high harm-avoidance', 'low self-directedness' and 'high self-transcen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igh novelty-seeking' propensity predicts the likelihood of drug use, and 'high harm-avoidance' and 'high self-transcendence' that appear together with high novelty-seeking may act as factors predicting the risk of addic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on first-time offenders in a situation where there were no research on first-time drug offend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gh-risk group of drug addiction were identified by TCI as a tool for predicting the risk of drug addiction.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prevention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s should be diversified, the active use of TCI for drug-related counseling, and differenti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drug abusers. 본 연구는 초범자 집단 약물남용자의 일반적인 TCI 기질 및 성격적 특성을 알아보고, 군집 분석을 통해 집단 간 TCI 프로파일 차이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중독 위험 집단을 판별하고, 중독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기질 및 성격적 특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2021년 상반기 서울 및 인천지역 소재의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에 기소유예 재범방지 재활교육에 의뢰된 약물남용자를 대상으로 약물남용선별검사(DAST-10) 및 TCI 검사를 실시하고, 취합된 총 54부의 결과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약물의존도와 TCI 척도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연구 대상자들의 성별 및 불법약물 투약경험 여부에 따라 각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 TCI 프로파일 양상의 차이를 t-검정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연구 대상자를 유사한 성격 특징을 가진 집단으로 분류하기 위해 TCI-RS 7개 상위 척도를 사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추출된 각 군집들의 TCI 특성 차이를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약물의존도를 판별하기 위한 도구인 DAST-10 척도를 기준으로 중독 위험성이 낮은 저위험군, 중간인 중위험군, 중독 위험성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세 집단 간 TCI 척도의 점수 차이를 ANOVA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약물남용자는 일반 성인 규준점수에 비해 기질적인 차원에서 자극추구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약물남용자는 남자에 비해 기질차원에서 위험회피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약물남용자의 군집분석 결과 ‘자극추구형 집단(군집 1)’, ‘자극추구와 위험회피가 동시에 높은 집단(군집 2)’, ‘위험회피가 낮은 집단(군집 3)’ 등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넷째, 약물남용자는 약물 의존도 수준이 심각할수록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자기초월이 높고 자율성은 낮았다. 다섯째, TCI의 변인 중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자기초월은 약물의존도, 즉 중독 위험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차원의 자율성은 약물의존도와 부적 상관이 있으며, 인내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약물남용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높은 자극추구’ 성향을 확인하였고, ‘위험회피’는 약물 의존의 심각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성 약물남용자의 중독 취약성을 확인하였으며, 중독 위험성이 높은 고위험군의 특성인 ‘높은 자극추구와 높은 위험회피’, ‘낮은 자율성’ 및 ‘높은 자기초월’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높은 자극추구’ 성향이 약물 사용에 대한 가능성을 예측하고, 높은 자극추구와 함께 나타나는 ‘높은 위험회피’와 ‘높은 자기초월’은 중독의 위험성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마약 초범자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초범자를 그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TCI를 통해 중독의 위험성이 높은 집단의 기질 및 성격적 특성을 확인하고, 약물 중독의 위험성을 예측하는 도구로서의 TCI의 유용성을 시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약물 관련 상담에 TCI의 적극적 활용 및 각종 예방교육이나 재활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화를 기대해 본다.

      • Effect of polymer types on the abuse deterrent narcotic formulation

        원동규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39

        Pharmaceutical strategies to design abuse-deterrent formulations (ADFs) should be considered by preventing the modific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opioid dosage forms. Among these, four major properties such as particle size by physical modification, swellability, dissolution test and solvent extraction were mainly characterized for evaluating abuse deterrence. In this study, the frequently used eight polymers in the formulation of abuse-deterrent dosage forms such as polyvinyl alcohol (PVA), HPMC 90SH 4,000, HPMC 90SH 100,000, xanthan gum (XG), cellulose acetate (CA), polyethylene oxide (PEO), carbomer 940 and Compritol 888 ATO were chosen to evaluate their potential to prevent abuse of narcotic-loaded tablet. Tramadol (TM) was chosen as a model drug. A new abuse deterrent index (ADI) of TM-loaded compressed tablet was then defined on the assumption that it was proportional to particle size and swellability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dissolution and solvent extraction rates. The chosen polymers could vary these physicochemical properties, giving ADI in a decreasing order: HPMC 90SH 4,000, Carbomer 940, Compritol, XG, PVA, HPMC 90SH 100,000, PEO and cellulose acetate. This study could provide a way to utilize different polymers for the prevention of drug abuse.

      • 호스피스 암환자 통증관리를 위한 국내 마약성 진통제 처방 현황 분석

        김옥봉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1979

        호스피스 암환자 통증관리를 위한 국내 마약성 진통제 처방 현황분석 Analysis of narcotic drug prescription patterns for pain management in cancer patients in hospice care in Korea 단국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전 공 : 약물과학 제출자 : 김 옥 봉 지도교수:오 좌 섭 말기 암환자의 돌봄을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정책이 시행된 이래로 국내 암환자의 호스피스 이용 현황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호스피스 이용환자는 임종을 앞둔 말기 암환자이므로 이들 환자에서 통증 관리를 위해 마약성 진통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 암환자 또는 말기 암환자 대상 연구는 주로 완하제 복약 순응도와 인식도, 대학병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 양상, 마약성 진통제와 용량, 진통제 사용 후 재평가 적합성, 상급 종합병원에서 사용한 마약성 진통제 양, 10대 암으로 사망 전 6개월간 사용한 마약성 진통제 주제로 하여 이를 분석하여 사용량과 추이, 종류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주로 사용하는 마약성 진통제가 무엇인지, 적용하는 암종은 무엇인지, 마약성 진통제 사용 후 평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 연구는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 10대 암 등에 사용한 마약성 진통제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국내 암환자, 특히 호스피스 암환자에게 사용 한 마약성 진통제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호스피스 영역에서 발생 하는 변화를 분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전에서 나타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호스피스 암환자에게 사용한 마약성 진통제 현황을 입원형 과 가정형으로 나누고 연도별, 의료기관 특성별, 암종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연구용으로 공개하고 있는 맞춤형 데이 터 청구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기간은 진료일 기준 2015년~2022년이 며, 연구대상은 신생물을 주상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호스피스 명세서가 청구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출된 호스피스 명세서를 입원형과 가정형 으로 분류하였으며, 연도별, 의료기관 특성별, 마약성 진통제 성분 및 투여경 로별 처방 현황에 대한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암 환자 중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받은 환자는 2015년 47만 명에서 2022년 65만 명으로 증가하였고, pethidine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fentanyl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입원 형 호스피스 환자에서 마약성 진통제를 분석한 결과, 2022년 기준 투여 경로 별로는 주사제, 외용제, 경구제 순으로 많이 처방되었으며, 성분별로는 모르 핀(morphine), 펜타닐(fentanyl), 옥시코돈(oxycodone), 코데인(codeine) 순으로 많이 처방되었다. 의료기관 종별 마약성 진통제 처방 빈도를 비교한 결과 대 체로 상급 종합병원에서 많이 처방되고 있었다. 가정형 호스피스 환자의 이 용 의료기관의 소재지는 주로 서울과 경기 지역이었으며, 마약성 진통제의 투여경로별 분석 결과 경구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외용제, 주사제 순으로 처방되고 있었다. 성분별로는 펜타닐(fentanyl), 옥시코돈(oxycodone)순으로 처방되고 있어 입원형 호스피스 환자에서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다소 차 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상급종합병원 또는 종합병원, 또는 전체 암환자 혹은 말기 암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것과 달리 국내 처 음으로 호스피스 이용 환자만으로 제한하여 분석하였다는 강점이 있으며, 호 스피스 이용 환자에서의 마약성 진통제 처방 현황을 보여줬다는 것에서 기 존 연구 대비 새로운 지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 입원형 호스피스와 가정형 호스피스에서의 마약성 진통제 처방 현황에 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이용환자에서의 특성만 분석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한계점으로 인하여 구체 적인 정책의 시사점 또는 개선점을 제언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향후 말기 암 환자에서의 마약성 진통제 처방 현황과 특성을 확인하고 호스피스 이용 및 비이용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처방을 비교, 분석하며 차이에 대한 구 체적인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이를 개선하는 정책적 시사점과 개선점을 제시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호스피스, 암환자, 통증관리, 마약성 진통제, 처방

      •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rescription Opioid-Related Drug-Drug Interactions in Electronic Healthcare Data

        Khan, Nazleen Harvard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2021 해외박사(DDOD)

        RANK : 231963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 Understanding and Harnessing Psychological and Social Forces to Improve Healthcare

        Leibowitz, Kari Alyse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Stanford Universit 2021 해외박사(DDOD)

        RANK : 231946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