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허반석 감리교신학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15881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관점으로 좋은 죽음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좋은 죽음을 갈망하고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좋은 죽음 - ‘어느 누구에게도 폐를 끼치지 않는 죽음’, ‘편안한 죽음’, ‘준비된 죽음’, 등 –을 맞이하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적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의 죽음에 관한 논의가 있기는 하였지만,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이루어진 각 연구들 간의 학문적 교류에까지는 다다르지 못하였다. 더욱이 의료기술의 점진적 발달에 따라 죽음의 시점을 결정하는 일에 있어서도 법률적, 제도적 지침이 미흡한 상태이다. 더욱이 한국에서의 의사들은 소극적 안락사조차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해석하여 의학적 판단이나 환자 및 가족들의 요청과는 관계없이 환자가 죽을 때까지 무의미한 의료행위를 계속 실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죽음을 앞두고 있는 이들에게 양질의 의료를 정의롭고 공평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와 정부차원의 제도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좋은 죽음에 대한 논의는 일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킬 뿐, 학문적 연구 차원으로의 발전은 이루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좋은 죽음에 대한 진중한 성찰의 필요로부터 시작하여 생명과 죽음에 대해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관점으로 다시금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더욱이 산재해 있고, 파편화되어 있는 다양한 안락사에 대한 정의와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고, 그 인접개념이자 앞으로 적극적 논의가 더욱 필요한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현주소와 논쟁점에 대해서도 이미 사회적 합의에 다다른 국가들과 논의 중에 있는 나라들의 사례를 동반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좋은 죽음을 맞고자 하는 사회적 대안으로 호스피스 제도와 사전의료지시서(Living Will)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의료기술의 눈부신 발달에 따라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병원에서 환자의 모습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의료기술의 발달에 비례하여 환자의 생명도 더욱 연장되어지고 있으며, 죽음의 시점을 결정하는 문제 또한 더욱 세세하게 나누어졌다. 이와 같이 더욱 복잡해져가는 현실 속에서 좋은 죽음에 관한 논의는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며, 앞서 사회적 합의를 이룬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본다면 대한민국에서의 논의는 더욱 다급하다. 결론적으로 어떻게 사는 것이 가치 있는 삶이고, 어떻게 삶의 마지막 장을 마무리하는 것이 인간적이고 인도적인지가 좋은 죽음 논의의 핵심이다. 더불어 본 논문은 병원에서 환자의 모습으로 삶을 마무리하는 오늘날 죽음의 모습 속에서 그 논의의 초점은 어디에 맞추어져야 할 것인지를 인식하게 하는 의미 있는 연구이었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studying on good death(Euthanasia)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bioethics. Today, many people long for good death - the death not causing trouble to anyone,  in comfort, well prepared, and even quick. But not many are facing it as expected. In Korea,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done on the topic of death, but many of them are lacking scholarly discussion in relation to various professional fields like medicine, law, ethics, and theology. In addition, even with progressiv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e legal and systematic guidance for deciding the time of death is still vague and ambiguous. Moreover, in Korea, doctors are put to the situation, not allowed to practice even passive medical treatment, so that it forces them to maintain purposeless medical treatments until the moment of patient's death without paying any concern to  care for the patient's need.  Without providing social agreement and legal justification for an equal and just providence of high quality medical care to the people facing their death, the discussion on good death only causes temporary concerns and cannot make a step forward to the genuine discussion on the issue of euthanasia.      The thesis started from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incere reflection on good death by focusing on a good understanding of life and death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bioethics.  Thus, it has tried to clarify the scattered and many-folded definition of Euthanasia by investigating in some countries' cases in which I could find positive rationale for Physician-Assisted Suicide.  Referring the cases I think we need to carry out a profound discussion on physician assisted suicide as soon as possible. Also, various topics related to hospice and Living Will are to be reviewed as minor alternatives for good death.      Today, with the great leap of medical technology and new social conditions, most people are to be dying in a hospital. Terminal patients could take a new lease of life with the great achievement of medical technology.  Yet some times prolonged life turns to be simply a process of prolonging suffering.  Between prolonging a life and prolonging suffering, we are in need of a substantial discussion on good death.  The thesis has discussed about what elements are to be considered when we discuss this new situation.      Discussing about how we can support for dignified death, the thesis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issue of euthanasia represents not the problem of legalization, but the level of life-ethics in a society. When the members of a society are deeply concerned with the dignified death of the terminal patients, beyond dogmatic or legalistic attitude the process of legalization follows.

      • Legal Defensiveness-Induced Life-Sustaining Treatment: Results of a Natural Experiment : 법방어적 태도에 의하여 유도된 연명치료: 자연유사실험 결과

        Jang, Suk Yong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15564

        Background: Although great attention has been paid to futile life-sustaining treatment (LST), little is known as to whether decreasing a physician’s legal defensiveness could decrease LST. Focusing on the legally defensive attitude toward forgoing LST, whether a decrease in a physician’s legal defensiveness could decrease the use of legally high-risk LST was examined through quasi experimental quantitative analyses under the natural experimental circumstances brought about by two landmark court decisions. Materials and Methods: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garding defensiveness medicine and legal defensiveness, a conceptual framework for a legal defensiveness model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from the model, the study design for quantitative analyses was drawn.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Elderly Cohort (NHIS-NSEC) which consisted of 588,147 Korean participants older than 60 years in 2002. From the NHIS-NSEC, 73,096 decedents who died during 2003–2013 owing to cancer, circulatory, or respiratory disease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Time series were constructed by time units of a quarter from 2003 to 2013 and divided into periods of increasing, conflicting, and relieving periods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ians’ legal defensiveness toward forgoing LST. Within the time series, trends and changes in legally high-risk (physician-driven) LST includ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nd mechanical ventilation (MV) provided during the last 30 days of lif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hree periods by interrupted time series with segmented regression. Admission to hospitals and per capita hospital days were used as control outcomes (patient-driven) for comparison. Annual increasing rate (AIR) of outcomes during each period and ratio of AIR and outcome level along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estimated with a generalized linear model with a Poisson distribution and robust standard error.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CPR and MV were administered to 7,809 (11.1%) and 11,863 (16.8%) decedents, respectively, during their last 30 days of life. The risk of receiving CPR during the last 30 days of life increased 11.9% per year (AIR 1.119, 95% CI 1.082–1.158), decreased 6.1% per year (AIR 0.939, 95% CI 0.899–0.981), and maintained the same level (RR 1.009, 95% CI 0.982–1.038) during the periods of increasing, conflicting, and relieving legal defensiveness, respectively. The risk of receiving MV during the last 30 days of life increased 8.3% per year (AIR 1.083, 95% CI 1.055–1.112) during the increasing period of legal defensiveness, then maintained the same level during the conflicting (AIR 1.017, 95% CI 0.982–1.053) and relieving (AIR 1.000, 95% CI 0.978–1.022) periods of legal defensiveness. In contrast, although AIRs during the conflicting and relieving period were lower than the AIR of the increasing period, the risks of admission to hospitals (12.3%, 3.6%, and 1.1% per year) and per capita hospital days (20.5%, 4.9%, and 2.3% per year) increased during all three period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physicians’ legal defensiveness toward forgoing LST contributes to administering LST and if a physician’s legal defensiveness can be decreased then defensive LST can also be decreased. However, considerable legal defensiveness still remains and the level of LST needs to be decreased further. Policies that can reduce physician’s legal instabilities should be implemented to reduce defensive LST. 배경: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대한 지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의사의 법적 불안정성의 감소가 연명치료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관하여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연명치료 중단 및 보류에 대한 법방어적 태도를 중심으로, 의사의 법방어적 태도가 감소할 경우 연명치료의 시행이 감소하는지를 두 개의 판결에 의하여 형성된 자연실험적 상황에 대한 유사실험적 연구설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방어의료 및 법방어적 태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법방적적 태도 모형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이로부터 계량적 분석을 위한 연구설계를 도출하였다. 연구자료는 2002년에 60세 이상이었던 노인 588,147명으로 구성된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코호트를 사용하였다. 노인코호트로부터 2003년부터 2013년 사이에 암, 순환기 및 호흡기 질환으로 사망한 70세에서 89세까지의 노인 73,096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년 4분기로 나누어 시계열을 구축하였으며 연구기간은 의사의 연명치료 중단 및 보류에 대한 법방어적 태도의 수준에 따라 상승기, 갈등기, 완화기의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주로 의사에 의하여 시행여부가 결정되는 법적 고위험 연명치료(심폐소생술, 기계환기)의 사망 전 30일 내 시행수준 및 변화를 분기별로 산출하여 세 시기 사이에 비교하였다. 환자측의 의사결정이 큰 역할을 하는 병원입원 여부 및 재원일수를 대조를 위한 결과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절적 회귀모형을 통한 중도절단 시계열분석을 위하여 포아송 분포 및 강건표준오차를 사용한 일반화선형모델을 사용하였다. 시기별로 연증가율을 추정하고 각 시기 사이의 연증가율의 비를 95퍼센트 신뢰구간과 함께 추정하였다. 결과: 사망 전 30일 내에 7,809명(11.1%)의 대상자가 심폐소생술을, 11,863명(16.8%)의 대상자가 기계환기를 시행 받았다. 사망 전 30일 내에 심폐소생술을 시행 받을 위험은 법방어적 태도의 상승기에 연평균 11.9%(AIR 1.119, 95% CI 1.082-1.158) 증가하다가 갈등기에는 매년 6.1%(AIR 0.939, 95% CI 0.899-0.981) 감소하였으며 완화기에는 그 수준을 유지하였다(RR 1.009, 95% CI 0.982-1.038). 사망 전 30일 내에 기계환기를 시행 받을 위험은 상승기에 연평균 8.3%(AIR 1.083, 95% CI 1.055-1.112) 증가하다가 갈등기(AIR 1.017, 95% CI 0.982-1.053)와 완화기 (AIR 1.000, 95% CI 0.978-1.022)에는 그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에 비하여, 비록 갈등기와 완화기의 연증가율이 상승기보다 작을지라도 병원에 입원할 위험(12.3%, 3.6%, 1.1%) 및 재원기간(20.5%, 4.9%, 2.3%)은 세 시기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결론: 대한민국에서 의사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법방어적 태도가 연명치료의 제공에 기여하고 있으며, 의사의 법방어적 태도가 완화될 경우 방어적 연명치료가 감소할 수 있다. 법방어적 태도는 상당 정도 남아 있으며 연명치료의 시행이 더욱 감소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의사의 법적 불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 임종기 환자 자기결정권 보호 방안 연구 : 사전의료의향서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신성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15561

        2012년 연명의료를 받다 사망한 사람은 50,298명이며 여기에 들어간 건강보험 재정과 법정본인부담금은 3,132억원이다.환자 자기결정권 보호장치의 하나인 사전의료의향서를 활용하는 상급종합병원은 17곳이며 서식이 제각각이어서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의향서를 작성한 9,514명은 연명의료 장치뿐만 아니라 통증조절장치,영양공급을 원하지 않겠다는 사람이 많다. 의향서 작성자는 미작성자에 비해 소득과 학력이 높고 대도시거주자가 많다. 의향서 작성자들은 가족이나 친구가 연명의료를 하다 사망한 것을 보고 작성을 결심한 경우가 많다. 이들은 자식들이 의향서대로 완벽하게 따라주기를 원한다. 의향서 법제화와 관리기관 설립을 지지한다. 하지만 미작성자는 의향서 자체를 잘 모르고, 어디서 작성하는지를 모른다.환자가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려면 의향서를 작성해 자신의 뜻을 명확히 해야 한다. 의향서는 병원 입원이나 건강검진 때 권유하는 게 가장 좋다. 의향서를 작성하는 게 가장 좋으나 이게 없을 때는 차선책으로 가족이 대리결정하는 게 불가피하다. 의사가 의향서를 환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권고하는 게 중요하며 상담 수가를 신설해 이를 유도해야 한다. 연명의료를 조속히 법제화하고 사전의료의향서의 근거 조항을 넣어 권고하되 의무화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의무화하면 또 다른 부작용이 속출할 것이다. 병원별 제각각인 의향서 서식과 절차를 통일하는 것도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