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개지역 의사와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정현숙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의사,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호스피스 대상자를 간호하는데 실제적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8년 10월15부터 2008년 11월28일까지 P광역시에 소재한 500병상 이상의 2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 간호사 중 본 연구에 동의하는 180명을 편의 표집하여 연구자가 직접 대상 병원을 방문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Schwartz 등(2003)이 개발한 좋은 죽음 측정(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도구를 사용하였고, 본 도구는 친밀감, 통제감, 임상증상 3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7개 문항으로 된 4점 척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SPS/WIN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Independent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 alpha .82이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의사와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동질성 검정 연구 대상자는 의사, 간호사 각각 85명으로 총 170명이었다. 의사는 남자가 51명(60%), 여자가 34명(40%)이었으며, 간호사는 85명 모두 여자였다. 연령은 의사는 20대가 44명(51.8%)으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는 20대, 30대가 각각 32명(37.6%)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의사는 대학졸업이 45명(52.9%), 간호사는 대학졸업이 69명(80%)으로 가장 많았고, 결혼상태는 의사의 경우 미혼이 26명(30.6%), 기혼이 59명(69.4%)이었으며, 간호사의 경우는 미혼이 46명(54.1%), 기혼이 39명(45.9%)이었다. 종교는 의사의 경우는 ‘있다’가 44명(51.8%)이었고 ‘없다’가 41명(48.2%)이었으며, 간호사의 경우는 ‘있다’가 57명(67.1%)이었고 ‘없다’가 28명(32.9%)이었다. 의사와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결과 성별(t=72.853, p= .000), 연령(t=15.900, p=.000), 교육정도(t=12.663, p=.001), 그리고 결혼상태(t=9.637, p=.003)는 동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의사, 간호사의 근무관련 및 기타특성과 동질성 검정 근무기간은 의사의 경우 3년 미만이 54명(63.5%), 간호사는 10년 이상이 47명(55.3%)으로 가장 많았다. 직책은 의사의 경우 전문의가 25명(29.4%)으로 가장 많았고, 가까운 가족 죽음 경험은 의사는 49명(57.6%), 간호사는 47명(55.3%)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말기환자 간호경험은 의사가 43명(50.6%), 간호사 48명(56.3%)에서 ‘있다’고 하였다. 좋은 죽음에 대한 정보· 교육경험은 의사가 45명(52.9%), 간호사 46명(54.1%)에서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종교가 삶에 미치는 중요도에서는 의사 74명(87.0%), 간호사 81명(95.3%)에서 모두 ‘ 중요하다’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의사와 간호사의 근무관련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에서 근무기간(t=44.865, p=.000)을 제외한 가족죽음 경험(t=.216, p=.757), 말기환자경험(t=.379, p=.664), 좋은 죽음에 대한 정보ㆍ교육 경험(t=.094, p=.878), 그리고 종교가 삶에 미치는 중요도(t=6.253, p=.282)는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의사와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 의사와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236, p=.019). 좋은 죽음의 하위영역에서는 ‘친밀감’에서 의사와 간호사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2.221, p=.028), 기타 ‘통제감’, ‘임상증상’에서는 두 집단간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의사와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문항 분석 의사와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문항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4>. 응답점수가 가장 높은 문항은 ‘임종 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이다’에서 의사 3.48점, 간호사 3.66점이었다. 두 번째로 높게 나온 항목은 ‘평화롭게 죽는 것이다’로 의사 3.46점, 간호사 3.58점이었다. 반면, 응답점수가 가장 낮은 문항은 의사와 간호사 모두 ‘예상치 못하게 갑자기 사망하는 것이다’에서 의사가 평균 2.20점, 간호사는 평균 2.25점이었고, 다음으로 낮은 문항은 ‘가능하면 집에서 사망하는 것이다’에서 의사가 평균 2.27점이었고, 간호사는 평균 2.47점으로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었다. 의사,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의 차이를 보면 ‘기계적 도움 없이 자연스럽게 사망하는 것이다’(t=-2.259, p=.025), ‘임종 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이다’(t=-1.987, p=.049), ‘임종 시 본인이 원하는 영적인 지지를 제공 받는 것이다’(t=-3.596, p=.000), ‘임종 시까지 몸을 스스로 가눌 수 있는 것이다’(t=-2.002, p=.047), ‘임종할 때까지 의사소통이 가능한 것이다’(t=-2.349, p=.020)에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5문항 전부 의사보다 간호사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가 더 높았다. 5. 일반적 특성과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의사와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차이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차이는 두 군에서 동일하다고 검정된 종교, 가족죽음경험, 말기환자 간호경험, 좋은 죽음에 대한 정보·교육 경험 그리고 종교가 삶에 미치는 중요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표 5>. 분석결과에서 종교가 ‘없다’고 응답한 간호사군에서 좋은 죽음 인식 정도가 높았으며(t=-4.212, p=.000), 가족죽음경험은 ‘있다’고 응답한 군에서 간호사군의 좋은 죽음 인식 정도가 The extent and recognition of good death was assessed in a study involving doctors and nurses working at two general hospitals with 500 or more sickbeds located in a major metropolitan center of Korea. The 180 individuals received a questionnaire from 180 individuals October 15 to November 28, 2008. Responses from 170 individuals were analyzed using '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Schwartz et al., 2003).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ctors and nurses, and various work-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test of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was done using the χ²-test. Each question on the recognition of good death was analyzed to obtain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t-test and ANOVA. Te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ctors and nurses revealed non-homogeneity concerning gender (t=72.853, p=.000), age (t=15.900, p=.000), educational level (t=12.663, p=.001) and marital status (t=9.637, p=.003). Homogeneity was evident in the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fexperience with family death (t=.216, p=.757), experience with terminally-ill patients (t=.379, p=.664), education and practical experience in palliative care (t=.094, p=.878), and personal importance of religion in life (t=6.253, p=.282). Non-homogeneity was evident in the work-related characteristic of work period (t=44.865, p=.000). Nurses were well aware of palliative care (t=-2.236, p=.019). Concerning good death sub domain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se to 'sense of friendliness' (t=-2.221, p= .028) was revealed, while responses to 'sense of control' and 'clinical symptom'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answer that generated the highest response score was 'To be with the person that I love upon death' (3.48 and 3.66 points by doctors and nurses, respectively, on the 5point scale). The answer that generated the lowest response score was 'To die suddenly unexpectedly' (2.20 and 2.25 points by doctors and nurses, respectively on the 5 point scal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of doctors and nurses were noted ‘To die naturally without mechanical help’ (t=-2.29, p=.025), ‘To be with the person that I love’ (t=-1.98, p=.049), ‘To get the spiritual support that I want’ (t=-3.59, p=.000), ‘To be able to maneuver my own body until death’ (t=-2.00, p=.047), and ‘To maintain the ability to communicate until death’(t=-2.34, p=.020), with nurses consistently ranking higher in palliative care awareness of these aspects than docto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good death was high in nurses that responded to say ‘none’concerning importance of religion (t=-4.212, p=.000), 'exist' concerning experience with family death (t=-2.562, p=.012), ‘exist’ concerning experience with terminally-ill patients (t=-2.942, p=.004), ‘exist’ concerning educational and practical experience with palliative care (t=-2.493, p=.015), and ‘not important’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religion in life (t=-2.151, p=.033). The results suggest several actions in raising awareness of palliative care in doctors and nurses In Korea. Firstly, improved quality of life of terminally-ill patients and establishing a consensus on the nature of humane and patient-oriented palliative care requires more education on death for doctors and nurses, and development of a nation-wide hospice system. Secondly, a more in-depth follow-up study is needed to clarify the factors that affect palliative care delivery by doctors and nurses. Finally, a qualitative study must be done to explore the individual and subjective palliative care experiences of Korean medical professionals.

      •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신희진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447

        국 문 초 록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임종환자 간호를 경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업성,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임종간호수행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파악하며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여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C지역의 400병상 이상의 4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중 임종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1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1년 8월 18일부터 동년 9월 8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전문직업성은 평균평점 3.38점(5점 만점),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평균평점 3.03점(4점 만점), 임종간호수행은 평균평점 2.71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2. 전문직업성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임종간호수행 간의 상관 관계에서는 전문직업성이 높을수록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r=.320, p<.001), 임종간호수행(r=.368, p<.001)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수행 간에는 상관관계(r=.130, p=.089)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영역에서 임상증상(r=.172, p=.025)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임종간호수행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전문직업성과 임종간호경험 부서 중 호스피스 병동이었으며 임종간호수행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26.1%였다(F=3.976, p<.001). 그러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임종간호수행과 상관성 및 영향력이 없는 결과를 보였지만 좋은 죽음에 대해 정립된 간호사의 인식은 임종간호수행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필수 조건이라 여겨지며 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임종간호수행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임종간호수행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관심 및 지원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중심 단어 : 임상간호사, 전문직업성,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수행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on Professionalism and Good Death Awareness in Clinical N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good death awaren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who had experienced car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these factor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Participants consisted of 171 nurses who had experienced caring for terminal patients working at 4 general hospitals, each with a capacity of 400 or more beds, in region C.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18th August to 8th September, 201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professionalism was 3.38. The mean score for good death awareness was 3.03. The mean score for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2.71.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ism and good death awareness(r=.320, p<.001) and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erformance of terminal care(r=.368, p<.001).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ood death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erminal care(r=.130, p=.089),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and clinical symptoms among subcategories of good death awareness(r=.172, p=.025). 3. The construction of a multiple regression model revealed an R2 of .261(F=3.976, p<.001) with professionalism and hospice ward of department that had experienced terminal care serving as the major predictor variables for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good death awareness has little correlation with and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However, clear awareness of nurses about good death is deemed necessary for their performing terminal care. Meanwhile,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have correlations with good death awareness and the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a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especially on the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Therefore, continuous efforts, att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to improve nurses' professionalism. Key words :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Good Death Awareness, Terminal Care Performance

      •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유상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2447

        Background: Studies on death by medical community in Korea are relatively few. Its interest in death is primarily focused on procedural issues such as withdrawal of a life-sustaining therapy, futile treatment, euthanasia, and physician-assisted suicide. Even though human death is primarily handled by medical community, it does not have primary interest in death per se. Therefore concrete and systematic research on death by medical community is very rare in Korea, and normative approach to establish good death concept in healthcare has never been attempted. As a result of this, how doctors in Korea experience and perceive death of their patients and what kinds of death they perceive and conceptualize as good or desirable are unknow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objective is to figure out how doctors in Korea experience and perceive death of their patients and what kinds of death they perceive and conceptualize as good or desirable. Second objective is to establish good death concept in healthcare based on results from first objective.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volving in-depth interview and theory formation was used to figure out how doctors in Korea experience and perceive death of their patients and what kinds of death they perceive and conceptualize as good or desirable. Eleven novice doctors and sixteen experienced doctors were recruited for in-depth interview. Concept analysis was also used for analyzing good death concept form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Doctor's experience and perception regarding death of their patients were assessed using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with novice doctors. This qualitative study on novice doctors showed that docto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death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personal and professional experience, doctor's role in handling his or her patient's death, and importance of death education. Doctor's perception and conceptualization regarding good or desirable death were assessed using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with experienced doctors. This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d doctors showed that doctor's percep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good death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hierarchically arranged: concepts related with individual, concepts related with individual's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significant other, and concepts related with environment, especially medical environment. Among factors forming these concepts, 'Accepting death', 'Giving no burden to family and significant other', and 'Humane medicine and virtuous physician' were identified as most significant factors for the good death concept in Korea. Importance and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for achieving good death in healthcare were also identified. Conclusion: The concept of good death in healthcare in Korea was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hierarchically arranged which were identified as concepts related with individual, concepts related with individual's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significant other, and concepts related with medical environment. Death education is definitely needed to realize these concepts in reality. 서론: 죽음에 대한 연구에서 의료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그리고 의료계가 관심을 가지는 죽음 문제는 연명치료중단, 무의미한 치료,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등과 같이 의사가 수행해야 하는 절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료계에 의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죽음에 대한 해명 노력은 전체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의사가 죽음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고 있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도 부족한 실정이며, 의료에서의 좋은 또는 바람직한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명 또는 품위 있게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라는 규범적인 접근(normative approach)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가 죽음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좋은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개념화하고 있는지를 경험적 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둘째, 경험적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된 개념을 중심으로 형성한 이론을 바탕으로 규범적으로 바람직하고(desirable), 좋은(good) 죽음에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방법: 이번 연구에서는 1) 죽음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해서는 초보의사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개념에 대해서는 유경험 의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와 2)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3) 죽음 관련 사실, 문헌, 이론 등에 기초한 개념 분석을 그 방법론으로 선택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좋은 또는 바람직한 죽음에 대한 이론을 구성하였으며, 이 이론에 대해 좋은 죽음과 관련된 기존 사실, 문헌,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결과: 초보의사들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해 현재 의사들이 죽음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죽음에 대한 경험은 개인적인 경험과 전문가로서의 경험으로 구분되었으며, 죽음에 있어서 의사의 역할 및 죽음 교육의 필요성도 확인되었다. 죽음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두려움과 허망함 및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인식이 확인되었으며, 전문가로서의 경험으로는 죄책감, 권위의 실추에 대한 두려움, 책무로부터의 해방 및 가족과 보호자를 대함에 있어서 두려움과 미숙함이라는 인식이 확인되었다. 죽음에 있어서 의사의 역할은 생사를 규정하고 남은 가족과 보호자를 소극적으로 위로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죽음에 있어서 의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부정적인 경험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죽음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유경험 의사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해 현재 의사들이 좋은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개념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좋은 죽음은 개인을 중심으로 한 개념과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개념 그리고 환경을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 구성되었다. 개인을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는 ‘죽음의 받아들임’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으며, 죽음을 받아들임으로써 ‘죽음을 준비’하고 ‘삶을 여한 없이 마무리’ 지을 수 있다고 개념화되었다. ‘신체적 편안함’과 ‘자신에 대한 조절능력의 유지’ 및 ‘존엄성 유지’도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는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부담과 상처를 주지 않음’과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함’이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환경을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는 ‘환자를 인격체로 대우하면서 끝까지 돌보는 의료인과 의료시스템’과 ‘기계적 의료에 의존하지 않음’이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 개념적 요소들 중에서도 ‘죽음의 받아들임’과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부담과 상처를 주지 않음’ 및 ‘환자를 인격체로 대우하면서 끝까지 돌보는 의료인과 의료시스템’이 규범적으로 바람직한 좋은 죽음에 대한 이론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초보의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죽음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었으며, 좋은 죽음의 개념들이 모두 실현되기 위해서는 죽음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의료에서의 바람직하고 좋은 죽음은 개인, 관계, 환경을 중심으로 한 세 가지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개념들을 현실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죽음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

        천호정 부산가톨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B광역시, Y시 소재 3차 상급종합병원 내과병동에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18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17일부터 11월 24일까지 설문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Schwartz 등이 개발하고 Jeong이 번안하여 사용한 좋은 죽음 개념 측정(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도구와 Jezewski 등이 개발한 The Knowledge, Attitudinal, Experiential Survey on Advance Directives (KAESAD) 중 태도관련 부분을 발췌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사전의사결정태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ė'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99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친밀감 3.22점, 임상증상 2.84점, 통제감 2.62점이었다. 2. 대상자의 사전의사결정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11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연령(F=4.445, p=.013), 총 임상경력(F=4.910, p=.008), 근무형태(t=-2.668,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연령에서 31세 이상이 25세 이하보다, 총 임상경력에서는 6년 이상이 3년 미만보다 좋은 죽음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사결정태도는 연령(F=6.386, p=.002), 결혼상태(t=-2.516, p=.015), 총 임상경력(F=6.419, p=.002), 근무부서(F=4.172, p=.003), 근무형태(t=-3.785, p<.001), 좋은 죽음 교육경험(t=2.666, p=.008),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지도(F=7.913, p<.001),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교육경험(t=3.481, p=.001), 사전의사결정서의 작성시기(F=8.008, p<.001), 사전의사결정서의 작성 의향(t=3.181, 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지도 문항에서 ‘조금 안다’와 ‘들어보기는 했지만 알지 못 한다’ 보다 ‘매우 잘 안다’라고 응답한 그룹에서 사전의사결정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사전의사결정서의 작성시기를 묻는 문항에서 ‘질병말기(임종기) 진단 시’, ‘호흡곤란, 혈압저하 등 임종 임박 시’ 보다 ‘건강할 때’ 라고 응답한 그룹에서와, ‘호흡곤란, 혈압저하 등 임종 임박 시’ 보다 ‘암 진단 및 입원 시‘라고 응답한 그룹에서 사전의사결정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는 양의 상관관계(r=.470,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사전의사결정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 사전의사결정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지도(더미변수1=매우 잘 알고 있다), 사전의사결정서의 작성시기(더미변수1=건강할 때), 총 임상경력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33.3%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간호사의 사전의사결정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를 대상으로 좋은 죽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개선함과 동시에 환자 및 보호자의 사전의사결정 과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연명의료결정 법률안의 효율적 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nurse's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This descriptive study us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of 218 nurses who were recruited from two tertiary hospital medical wards in Pusan and Yangsa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7, 2017 to November 24, 2017 in 218 subjec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developed by Schwartz et al. translated by Jeong and revised version of KAESAD(The Knowledge, Attitudinal, Experiential Survey on Advance Directives) developed by Jezewski et al. The data were analys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 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WIN program version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perception of good death is 2.99 out of 4. The intimacy was 3.22, clinical symptom were 2.84, and personal control was 2.62. 2.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is 3.11 out of 4.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good dea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F=4.445, p=.013), total work career(F=4.910, p=.008), and shift work(t=-2.668, p=.008). More than 31 years of age are more perception of good death than age 25. And more than 6 years of experience in the total work experience showed a higher perception of good death than under 3 years.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F=6.386, p=.002), married(t=-2.516, p=.015), total work career(F=6.419, p=.002), work department(F=4.172, p=.003), shift work(t=-3.785, p<.001), Good death education experience(t=2.666, p=.008),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 (F=7.913, p<.001), Educational experience in advance decision making(t=3.481, p=.001), The time of documenting written advance directives(F=8.008, p<.001), Intention to write an advance directive(t=3.181, p=.005). The results of the post test, In the question about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th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was positive in the group that responded "I know a little" and "I know very well" rather than "I listen but I don't know". At the time of documenting written advance directives, Th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was positive in the group who answered 'when I am healthy' rather than 'when I was diagnosed at the end of my illness(end of life)', 'dyspnea, hypotension etc. when death is imminent', And was positive in the group who answered 'cancer diagnosis and when i hospitalized' rather than 'dyspnea, hypotension etc. when death is imminent'. 5.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r=.470, p<.001).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good death of the tertiary hospital nurse,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the advance directive. 6.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wer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time of documenting written advance directives(dummy1="when I am healthy") and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dummy1="I know very well"), total work career, explaining 33.3% of the variance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ttitude toward nurses' advance directive was positive, an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were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developing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This can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nurse's good death, play a positive role in the pre-decision making process of patients and caregivers,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efficient settlement the Law of Determination of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개념과 임종간호태도

        이성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개념의 속성과 임종간호태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임종간호태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국내 생애말기 간호 실무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6년 1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환자의 임종을 1회 이상 경험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중 편의 표출된 161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가보고 형식의 웹 기반 설문지를 이용하여 좋은 죽음에 대한 개념은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로, 임종간호태도는 Frommelt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Scale (FATCOD)로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28.18(±4.58)세였고 여성이 91.9%였다. 좋은 죽음에 대한 개념의 문항 평균은 3.18점이었으며, 하위 속성별 문항 평균은 친밀감(3.49±0.31), 임상증상(2.85±0.83), 통제감(2.83±0.6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좋은 죽음의 속성과 임종간호태도를 상관분석한 결과 친밀감(r=.24, p=.002)과 임상증상(r=.19, p=.014)을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임종간호태도가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임종간호태도의 영향요인은 결혼 상태(β=.19, p=.012)와 좋은 죽음의 속성 중 친밀감(β=.22, p=.005)이었으며, 이들 요인이 임종간호태도 변량의 30.5%를 설명하였다. 생애말기 간호실무의 발전을 위해 종합병원 간호사들에게 기존의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통증관리에 국한된 교육에서 벗어나 좋은 죽음과 그 속성에 초점을 맞춘 생애말기 돌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환자와 간호사가 생각하는 좋은 죽음에 대한 개념의 차이를 파악하고 그 간극을 좁히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a good death and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in general hospit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involving 161 general hospital nurses (mean age=28.18yrs, 91.9% female) was carried out through online survey. Concept of a good death was measured using a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Cronbach’s α=.87), while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was measured using the Frommelt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FATCOD) Scale (Cronbach’s α=.86). Results: The item score of ‘closure’ (3.49±0.31)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a good death, then clinical (2.85±0.83) and personal control (2.83±0.63) were followed. Scores from the FATCOD scale ranged from 74 to 106 (91.89±6.83). In addition, among the attributes of good death, closure (r=.24, p=.002) and clinical (r=.19, p=.014)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30.5% of the variance in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was due to closure (β=.22, p=.005) and marital status (β=.19, p=.012). Conclusion: End of life education need to be considered both on nurses’ concept of a good death and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Future studies on difference of concept of a good death between patient and nurses will be needed.

      • 노년기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아통합감, 좋은 죽음인식, 비합리적 신념을 중심으로

        김영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노년기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통합감과 좋은 죽음인식, 비합리적 신념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인 60세 이상의 노인을 노년준비기(60-64세), 노년전기(65∼69세), 노년중기(70∼74세), 노년후기(75세 이상)로 나누어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노년기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의 관계에서 좋은 죽음인식은 조절변인으로, 비합리적 신념은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대구, 울산을 중심으로 경기도와 경상남북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42명이며, 분석 방법으로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노년기 단계에 따른 차이검증을 위해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변인 간의 상관을 분석하기 위해 Person 상관관계 분석을,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단계(준비기, 전기, 중기, 후기)에 따른 죽음불안, 자아통합감, 좋은 죽음인식, 비합리적 신념 간에 일부 차이가 나타났다. 죽음불안은 노년기 단계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자아통합감의 경우는 노년준비기와 노년전기가 노년후기에 비해 평균값이 높았으며, 좋은 죽음인식의 하위요인별 비교에서는 다층적 죽음인식은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현세적 죽음인식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비합리적 신념의 하위요인인 파국화, 불안회피, 자기비하는 모두 집단 간의 차이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좋은 죽음인식은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좋은 죽음인식에 따라 죽음불안에 대한 자아통합감의 영향력이 달라지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따라서 노년기에 가지고 있는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수준을 점검하고, 바라는 좋은 죽음인식이 실현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비합리적 신념은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통합감은 비합리적 신념을 통해 죽음불안을 낮추므로 노년기의 자아통합감을 높이고, 비합리적 신념을 점검하는 것이 죽음불안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아통합감과 좋은 죽음인식, 비합리적 신념이 노년기의 죽음불안을 완충하는 기제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년기 죽음불안을 낮추기 위해 상담 현장에서는 노년기 삶에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살아온 삶을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자아통합감의 성취를 돕는 것이 중요하며, 좋은 죽음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바탕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을 점검하는 것과 원하는 좋은 죽음 인식을 확인하여 실현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고,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을 분석함으로 심리적 불안감을 완화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문화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한 웰다잉, 좋은 죽음 등에 대한 교육과 노년기 단계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지역교회 중년 교인들의 좋은 죽음과 호스피스 인식의 관계

        신경혜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45

        중년기는 인생주기의 한 부분이며 장년기에서 노년기로 넘어가는 교량 역할을 하며, 인간의 발달적 관점에서 신체적이고, 생물적인 노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인생의 유한성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이 때는 지적인 상실감, 죽음에 대한 자각이 생기며, 노부모를 부양하는 책임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 좋은 죽음 인식이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교회 중년교인들의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 인식에 대한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호스피스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1개 지역 교회의 40~59세의 중년교인 203명 이었다. 연구도구로 좋은 죽음 인식 측정은 Schwartz, Major, Rogers, Ma와 Reed(2003)가 개발하고 정현숙(201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호스피스 인식 측정은 김정희(1990)가 개발하고 이은자(1998)가 사용한 도구를 김명숙(200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10월 1일부터 10월30일까지 30일간이었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자가 지역교회를 직접 방문하여 해당기관장 승인을 받고, 선정기준에 적합한 대상자 연구의 목적과 응답방법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서면동의서를 받은 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작성하게 한 후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수,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t-test, ANOVA, Scheffe‘s test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좋은 죽음 인식 정도는 평균 50.33±12.06(도구범위:17-73), 평균평점2.96±0.74(척도범위:1-4)으로 중간정도이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친밀감 평균 27.47±3.71, 평균평점 3.05±0.41, 통제감 평균8.71±1.98, 평균평점 2.90±0.66, 임상증상 평균 14.14±1.83, 평균평점 2.82±0.36의 순 이었다. 호스피스 인식 정도는 평균 67.06±12.27(도구범위:28-88), 평균평점3.04±0.55(척도 범위:1-4)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 죽음 인식 정도는 호스피스 교육 참석 여부(t=2.23, p=.02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식 정도는 호스피스 교육 참여 의사(t=2.73, p=.007), 직업유무(t=2.21, p=.031)와 신급(t=-2.42,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학력(F=4.22, p=.006), 월평균 수입(F=2.86, p=.038), 교회출석 년수(F=3.71, p=.01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학력 중 대학원 졸이 중졸과 고졸 군 보다 호스피스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 인식 정도는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333, p<.001).즉, 지역교회 중년교인들의 좋은 죽음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 인식의 하위영역별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친밀감과 호스피스 인식 정도는 r=.373(p<.001)으로, 임상증상과 호스피스 인식 정도는 r=.227(p<.001)으로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역교회 중년 교인들의 좋은 죽음 인식은 중간 정도이며 호스피스 인식은 약간 높았고,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 인식은 관련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지역교회 중년 교인을 위하여 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좋은 죽음에 대한 교육과 호스피스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하여 지역교회 중년 교인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여 좋은 죽음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성숙하고 질적인 현재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암 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 노인에 대한 태도, 감정노동이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아련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4

        본 연구는 암 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 노인에 대한 태도, 감정노동이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간호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암 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일반 병동 간호사 176명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내용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2문항,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 17문항, 노인에 대한 태도 20문항, 간호사의 감정노동 55문항과 노인간호수행 16문항으로 총 1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2년 9월 13일부터 9월 1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 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은 4점 만점에 평점 평균 3.06점이었다. 하위 영역별 평점 평균은 친밀감은 3.30점, 통제감은 3.13점, 임상 증상은 2.58점이었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7점 만점에 평점 평균 4.11점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5점 만점에 평점 평균 3.78점이었다. 간호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하위 영역별 평점 평균은 조절 행위 3.87점, 내면화 3.81점, 표면화 3.71점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간호수행은 4점 만점에 평점 평균 3.08점이었다. 2.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연령(F=9.094, p<.001), 결혼(t=-2.894, p=.00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연령(F=13.174, p<.001), 결혼(t=-2.797, p=.007), 최종학력(F=5.604, p=.001), 임상 경력(F=8.683, p<.001), 직위(F=4.606, p=.011), 노인과의 거주 경험(F=4.623, p=.011), 노인을 위한 자원봉사 활동 경험(t=-2.756, p=.006), 노인간호 선호(F=7.475,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임상 경력(F=2.910, p=.03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간호수행은 최종학력(F=3.108, p=.028), 임상 경력(F=2.941, p=.03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간호사의 감정노동(r=.176, p=.020)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간호사의 감정노동(r=-.155, p=.039)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노인간호수행(r=.439,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노인간호수행(r=-.344,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노인간호수행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일반적 특성 중 학력, 임상 경력과 좋은 죽음 인식, 노인에 대한 태도,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독립변수로 노인간호수행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사의 노인간호수행에 대한 전체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23.561, p<.001). 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β=.358, p<.001), 간호사의 감정노동(β=-.293, p<.001)이 노인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확인되었다. 이들 변수의 회귀모형은 전체 26.2%의 설명력을 가졌다. 본 연구 결과 암 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 노인에 대한 태도, 감정노동 중 노인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인에 대한 태도와 간호사의 감정노동으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간호사의 감정노동 정도가 낮을수록 노인간호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암 병원 간호사의 노인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노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간호사의 감정노동 정도를 낮출 수 있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꾸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양로시설 거주 초고령 노인의 삶과 좋은 죽음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경아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444

        본 연구는 양로시설 거주 초고령 노인의 삶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본 연구에서 양로시설에 거주하는 초고령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관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구성한 퍼즐은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살아온양로시설 입소 전과 후 삶의 이야기는 어떠한가. 둘째, 연구참여자들이 전생애 삶의 과정을 통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의미는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의 삶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로수행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는 자립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하고, 치매 안심보건센터에서 실시한 인지검사에서 정상 범위에 있는 노인 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자료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 주제에 맞는 양로시설에 입소하여 2년 이상 생활 경험이 있는 초고령 노인 세 명이었다. 면담은 2023년 8월부터 10월까지 개별 인터뷰 대화로 이루어졌다. 2주마다 1회씩 2시간 전후로 총 4회 기의 만남을 갖고 이후에 추수 면담 시간을 가지면서자료를 보완하였다. 자료 수집은 대화 전사 기록과 연구자의 현장 노트, 참여자의 자작시, 사진, 저널, 자서전 등이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과정은면담 전사본과 연구일지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현장 텍스트를 정리하였다. 또한, 주요 연구일지 등을 활용하여 내러티브 풀어내기를 작성하였다. 이후 3차원의 내러티브 공간에서 독자와 공명이 되는 의미로 연구참여자의 고유하고 개별적인 경험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전체적인 이야기를 ‘나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살아가다’, ‘내 인생의 주인공이 되어 살아가다’, ‘나의 삶에는 운이 따른다’,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살아가다’의 네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자기에게 주어진 운명을 극복하고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간다. 참여자들은 주어진상황과 환경에 따라 자녀로, 배우자로 며느리나 사위로 그리고 부모로, 가족 안에서 역할을 하며 살았다. 참여자들은 시대적 격동을 모두 경험한세대로서 사회적으로 주어지는 역할을 완수하며 힘든 삶을 살아왔다. 이렇게 역할에 맞추어 살아왔던 삶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는 계기를 만나게 되는데 바로 정체성의 위기이다. 살아오는 삶 속에숨어있는 고난과 시련이라는 걸림돌을 만나고 자기 성장의 길로 이어지고, 그것은 의미 있는 자기실현의 길을 찾아 살아가는 디딤돌이 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참여자는 현미, 순봉, 형도 이렇게 세 명의 참여자로 90세가 넘거나 가까운 초고령 노인들이다. 삶과 죽음의 경계선에 있는 연구참여자의 개인적 경험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현미]는 배움과나이 듦, [순봉]은 위대한 어머니, [형도]는 불행과 행운을 모두 가진 삶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적·신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 스스로가 노력하는 삶이 좋은 죽음으로 보고 있다. 둘째, 남길 것이 있는 삶을 좋은 죽음으로 보고 있다. 셋째, 죽음은 세상과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되는 삶이기때문에 나를 기억하는 죽음이 될 수 있도록 베풀며 죽음을 준비하는 삶을좋은 죽음으로 보고 있다. 즉 양로시설 거주 초고령 노인이 삶을 통해 바라본 좋은 죽음의 의미는 죽음은 세상과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삶과 죽음의 연결고리가 완성된 삶’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의 개인적 정당성은 ‘삶의 경험을 통해 인식한 좋은 죽음’이며, 실제적 정당성은 ‘관계가 연결되는 운명적 공동체’이고, 사회적 정당성은‘자기 결정권이 존중되는 죽음 준비’이다. 본 연구는 양로시설 거주 초고령 노인의 삶의 경험을 통해 인식하는 좋은 죽음의 의미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시대적 위기를 경험한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죽음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는 좋은 죽음의 의미와 관련된 요인들을 발견하였다. 1세대 양로시설 거주 초고령 노인의 삶의 경험을 통해 사회적 관심과 양로시설에 입소한 초고령 노인의 삶을 조명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meaning of good death recognized by them through the experience of life by the oldest old residing at a nursing house. Through this, the following are the puzzles that were 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good death perceived by the oldest old who live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First, what about the story of life before and after entering a residential facility where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lived? Second, what about the meaning of good death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realized through the process of their entire l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of lif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senior citizens who are available for a self-reliant daily life and who are in the normal range based on the cognitive test that was conducted by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addition, the subjects included 3 oldest old people who have the experience of living for more than 2 years after entering a residential facilities suitable for the research topic so that the research materials can be provided. Interview was made with an individual interview conversation from August to October 2023. Data were supplemented with having a follow-up interview time after having a meeting for about two hours once every two weeks across totally 4 sessions. Data collection was covered the conversation transcriptional recording, the researcher’s field note, the participant’s self-written poem, photography, journal and autobiography. The data analysis process was arranged the field text with repetitively reading the interview transcript and the research journal. Also, the narrative accounts were prepared by applying major research diaries. After this, the meaning of research participants’ unique and personal experiences as a meaning of being sympathetic to the readers in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space was constructed. The whole story was suggested by being divided into four stages in ‘living by accepting my fate,’ ‘living as the main character of my life,’ ‘my life being followed by luck,’ ‘proceeding with living in a new home.’ Human beings proceed with living a life of doing the best with overcoming the fate given to them at birth. The participants have lived with playing a role within a family as a child, as a spouse, as a daughter-in-law or a son-in-law, and as a parent depending on the given situation and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have lived a tough life with completing a socially-given role as a generation that has experienced all the turbulence of the times. As they come across an opportunity to accept who they are with escaping from the life that had lived in line with a role in this way, it is just the crisis of identity. Meeting the obstacles dubbed hardship and ordeal hidden in their life leads to their own growth. That became a stepping stone to live with finding a meaningful path of self-realiz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volve three participants such as Hyeon-mi, Sun-bong and Hyeong-do like this and are oldest old people or near the age of 90. The following are the stories of individual experiences in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on the border between life and death. The lives were composed of [Hyeon-mi] in learning and getting older, [Sun-bong] in a great mother, [Hyeong-do] in having both misfortune and good fortune. The following are the meanings of good death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 First, the good death is being regarded as a life of own effort for the sake of living a mentally and physically healthy life. Second, the good death is being seen as a life with something to leave behind. Third, death is a life that is connected to the world, not disconnected from it. Thus, the good death is considered to be a life of having mercy and preparing for death in order to be a death that remembers me. In other words, as for the meaning of good death at which the oldest old living in a residential facilities looked through life, the death is being deemed as ‘a life with a complete link between life and death,’ not what is separated from the world. In this study, the personal legitimacy is ‘good death that is realized through the experience of life.’ The practical justification is ‘a fateful community in which a relationship is connected.’ The social legitimacy is ‘death preparation in which the self-determination is respected.’ This study broadened the width of understanding about a meaning of good death through the experience of life by the oldest old living in a residential facilities. Their stories of having experienced a crisis of the times led to having discovered the factors related to a meaning of good death perceiving a death through cases. There is a significance in terms of having offered basic data so as to illuminate the life of oldest old people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along with a social concern and to improve quality of their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life in the first- generation oldest old living in a residential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