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찰에 대한 시민 신뢰의 비교연구 : 한국과 일본경찰을 중심으로

        이정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 경찰에 대한 시민 신뢰의 비교를 하는 것이다. 경찰신뢰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사회적 신뢰(신문, 텔레비전, 선관위), 사회적 유대감(이웃, 친척, 교류하는 사람들), 정부 만족도(민주주의 만족도, 현 정권 만족도, 자부심), 부정부패(지방, 수도권, 부정부패 척결)의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으로 설정하였다. 결측치를 제외한 표본은 한국은 1,060, 일본은 662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시안 표준 조사의 표본추출을 통한 spss 분석결과 한국과 일본 경찰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한국은 사회적 신뢰, 사회적 유대 요인이 경찰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사회적 신뢰, 사회적 유대, 정부만족도, 교육수준이 경찰에 대한 시민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에 대한 시민신뢰를 향상하기 위해 다양한 공동체 치안활동을 활성화 시켜 유대감을 강화시키고, 더욱 공정하고 청렴한 정부가 되도록 개선해야한다. 또한 언론이나 다른 기관에 대해 시민들의 긍정적인 인식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 정부신뢰와 참여에 관한 사례연구 : 러시아 수산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Mirzamakhmudov Ibrokhimjon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초 록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극동지방의 수산업 현황 및 정책동향을 살펴보고, 행정부 구성 및 조직구조를 고찰하기 위해 현재 러시아 극동지방의 수산업이 직면한 문제를 정책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러시아 극동지방의 수산업에 종사하는 시민들의 정치참여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러시아 수산업의 정책은 정부주도하의 전폭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던 상황에서 민간사업자들이 쿼터를 획득하고, 이에 대한 자금조달 및 책임을 직접 지는 상황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러시아의 수산업은 과거에 비해 쇠퇴하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 행정부에 집중된 수산업 정책구조에 그 문제가 있고, 사회주의 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 전환된 수산업 현실에 맞는 정책의 부재 등이 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 극동지방 시민들은 정치참여가 낮으며, 정부정책의 이해도가 보통 수준이었고, 정부정책의 성과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부기관에 대한 신뢰가 보통 수준이었다. 또한 제도적 참여와 비제도적 참여의 정치참여가 높을수록 정부기관에 대한 신뢰가 높았고, 정치참여 중 제도적 참여가 높을수록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정치참여는 정치신뢰에 영향을 미치며, 참여유형에 따라 부분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 극동지방 시민들은 정치참여가 낮고, 정치신뢰도 높지 않은 실정이므로, 러시아 정부는 시민들의 정치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하며, 수산업 정책구조의 개선 및 발전을 통해 시민들의 정부신뢰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주요어: 정부참여, 정부신뢰, 러시아 정책, 수산업 학 번: 2009-22623

      • 공공서비스 만족도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 Off-line과 On-line 접촉유형 비교를 중심으로

        원혜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부신뢰는 정부의 정통성과 국정운영에 대하여 정당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지지의 의미까지 포함한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저신뢰 사회로 평가받고 있으며, 특히 정치권과 정부에 대한 불신 수준이 높은 편이다. 이는 정책과정상의 순응확보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적인 비효율을 발생시키므로 문제 해결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정부신뢰를 연구하는 목적은 결국 정부신뢰 제고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므로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신뢰는 경험적으로 형성되며, 특히 공공서비스는 정부의 업무수행에 대하여 시민이 가장 직접적이고 보편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경로이자 평가의 대상이다. 즉, 시민들은 공공서비스를 이용하고 만족수준에 따라 정부의 업무수행능력과 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 유무를 가늠하게 된다. 한편 전자정부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공공서비스 이용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공공서비스 접촉 유형을 과거의 방문(Off-Line)접촉과 On-Line접촉으로 구분하여 양자의 만족도 차이와 정부신뢰의 영향관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 만족도를 정부신뢰의 영향요인으로 보고, 공공서비스를 이용한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양자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공공서비스의 접촉 유형을 방문(Off-Line)접촉과 On-Line접촉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따른 만족도를 접근성, 반응성, 유형성, 정확성의 변수로 측정하였다. 종속변수인 정부신뢰는 중앙정부 신뢰, 지방정부 신뢰, 공무원 신뢰로 구성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서비스 만족도 변수 중 정확성 만족도가 정부신뢰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민들은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원하는 요구사항에 대하여 정부가 정확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여 결과에 대해서 만족하였을 때 정부를 신뢰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공공서비스 방문접촉 만족도는 반응성, 정확성, 유형성 만족도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무원 신뢰에 대하여 비교적 고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On-Line접촉 만족도의 경우 정확성과 유형성 만족도가 부분적으로 지방정부와 공무원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직접 관공서를 방문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보다 다양한 차원에서 만족을 느끼며, 이를 바탕으로 정부에 대하여 긍정적인 신뢰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로, 각각의 접촉 유형에 따른 만족도 모두 중앙정부 신뢰보다 지방정부와 공무원 신뢰에 더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경험적으로 거리가 먼 중앙정부보다 일상생활에서 직접적인 접촉이 잦은 지방정부와 공무원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분석을 통하여 공공서비스와 정부신뢰의 관계에서 시민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응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신뢰형성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공공서비스 이용은 여전히 On-Line보다 방문접촉의 영향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On-Line을 통한 공공서비스 이용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며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방안을 고려해야할 것이다. 또한 정부신뢰 제고를 위해서는 대인신뢰 형성이 중요하므로 지방정부와 공무원 조직의 인적자원 관리 및 조직역량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근대 일본 생활보장 시스템에 관한 의미론 연구 : N. 루만 관점에서 본 일본사회 신뢰기반의 붕괴

        현윤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1990년대 이전만 해도 일본에는 생활에 대한 보장은 확실하다고 대체로 기대할 수 있는 신뢰기반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 신뢰기반 덕분에 일상적인 결정을 할 때 선택범위는 한정되어 결정에 따른 리스크가 흡수되었다. 결정에는 항상 리스크가 따르지만 일본인들은 리스크를 자각하지 않아도 되는 환경에서 미래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위 ‘1998년 문제’라 불리는 사회적 병리현상의 가시화, 예를 들어 자살자의 증가와 ‘니트(NEET)’의 증가, ‘사회적 히키코모리’의 증가 등은 이 자명성이 깨어졌다는 신호가 되었다. 이후 일본의 사회적 병리현상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원인이 1997년 일어난 금융위기에서 찾기보다는 기존의 신뢰기반에서 이미 조성되고 있었다고 본다. 이렇듯 신뢰기반을 회의하는 시각에서 이것이 형성되는 조건을 분석한다. 분석은 N.루만의 사회시스템 이론의 방법론에 의거한다. 이 방법론의 가장 큰 특징은 대상을 정태적으로 파악하는 <주체/객체> 도식이 아니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동태적 대상을 고찰하기에 적절하다는 점이다. 루만은 <시스템/환경> 도식을 사용해서 시스템과 환경의 차이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이 방법은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지만 반드시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해서 실재하는 저대로 나타나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즉, 시스템/환경-차이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학적 관찰(‘2차 등급의 관찰’)의 입장에서 시스템이 현재화되도록 한 구조적 조건(‘의미규정’)이 무엇인지를 탐색적(발견적, heuristic)으로 고찰한다. 시스템 자체는 어떠한 조건으로 현재화되었는지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런 방법은 시스템의 맹점에 접근해서 자체의 생성 구조를 자각시키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생활보장 시스템을 ‘자조·공조·공조(自助·共助·公助)에 의해 생활보장에 관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면서 형성되는 (창발적) 질서’로 정의하고, 이 생활보장 질서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미규정)를 탐색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 구조에 영향을 주는 문화(사회적 기억)를 일본의 풍토적 측면에서 ‘틀 문화’로 규정하고, 이 문화에서 나온 구조로서 ‘장(場)’을 주목한다. 장은 틀로 인해 <외부>와 구별된 <내부>다. 더불어 장 <내부>에서는 <부분>과 <전체>가 구별된다. 그리고 틀 문화에서 개인은 <구별 없는 관계>를 형성하는 개인으로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일본의 신뢰기반이 이 <내부/외부> 구별의 <내부>에서 의미론적으로 조건부여되어 형성되었다고 본다. 일본의 생활보장 질서는 장 구조의 의미론 동태와 밀접하다고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질문을 던진다. 장 구조의 제약을 통해 생활보장에 대한 신뢰기반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장 구조가 생활보장에 대한 신뢰기반을 조성한 한편으로 어찌해서 개인을 취약한 상태에 머무르게 했는가. 본 연구는 복지관을 지표로 생활보장 질서를 전전과 전후로 크게 나누고 각각 세 시기로 구분한다. 즉, 전전은 자선구제관, 사회적 연대, (전시)국민후생으로, 전후는 생존권을 위한 공적부조, 복지국가, 일본형 복지사회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서 형성된 생활보장 질서와 의미론의 관계를 살펴본다. 각 시기의 생활보장 질서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 포섭인 장 구조, 즉 <일극>구조는 패전이라는 큰 환경 변화에서도 변하지 않고 전전에서 전후에 걸쳐 일관되게 사회구조로 유지되어 왔다. 자선구제관부터 일본형 복지사회에 이르기까지 환경 변화에 대응해서 복지관은 변하고 생활보장 질서의 양상은 변해 왔으나, 그 형성은 <일극>구조의 의미론 변화로 이뤄졌다. 개인 또한 일관되게 <구별 없는 관계>를 형성하는 개인으로 고정되고 자립적·주체적인 개인으로서 존재하지 못했다. 분석 결과, 일본의 특징적 양상은 루만이 말하는 근대 이전의 <부분/전체>를 주도차이로 하는 분절 분화된 사회의 특징과 많은 유사점을 가진다. <개인>이 자신을 표현하기보다 <전체> 내에서 특정한 불변적 속성을 지닌 존재로 남은 채 있는 그대로 분수에 맞게 행동하면 생활이 보장된다는 ‘신뢰’를 품는다. 이 신뢰는 일본의 생활보장 질서 혹은 분절사회에서나 볼 수 있는데, 루만은 이를 ‘자연발생적인 신뢰’라고 말한다. 일본의 생활보장 질서는 이런 신뢰를 육성하는 신뢰기반인 것이다. 그런데 ‘자연발생적인 신뢰’를 낳는 생활보장 질서는 가동적(可動的)인 환경에는 취약하다. 그 동안 <일극>구조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환경 변화가 <일극>구조의 의미론상 대응만으로도 대처할 수 있는 변화에 불과했음을 말해준다. 1990년 중반 사회적 병리현상의 표면화 이후 일본이 혼돈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은 이제 <일극>구조로는 예전처럼 신뢰기반을 형성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즉, 사회구조의 변화가 요구된다. 사회구조의 <일극>구조에서 <양극>구조로 전환은 <구별 없는 관계>의 개인에서 <구별되는 개인>으로 변화를 수반한다. 이렇듯 개인성이 확립되어 이뤄지는 신뢰를 루만은 ‘인격적 신뢰’라고 말한다. 사회구조 변화로 인해 새로이 형성되는 생활보장 질서는 이 ‘인격적 신뢰’의 기반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본에서 사회구조의 전환은 쉽지 않으리라 예상한다. 장 구조는 일본의 풍토에서 나온 틀 문화의 영향을 받은 사회구조로서 긴 세월을 걸쳐 일본사회의 자명성을 형성해 왔기 때문이다. 더구나 전체적 포섭인 장에 귀속되어야 자기규정할 수 있는 개인에게도 개인성 확립이란 상당히 어려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본사회가 전체적 포섭인 장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자체 형성 조건을 인식해서 스스로를 대자화시켜야 한다. 그런데 시스템으로서는 자체 형성 조건이 맹점이기에 스스로 볼 수 없다. 생활보장 시스템의 형성 조건을 드러내는 본 연구는 시스템/환경-차이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조건부여되는지 고찰함으로써 시스템이 접근할 수 없는 맹점, 즉 자체 형성 맥락에 접근한다. 이는 전체적 포섭인 장을 상대화시키는 전제 작업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전체적 포섭을 상대화시키기란 쉽지 않은데 일본사회가 이를 극복해서 자각적으로 사회구조 변화를 이룰 수 있을지 여부가 미래에 대한 확실한 기대를 제공하는 신뢰기반 형성의 관건이 될 것이다.

      • 주지의 변혁적 리더십과 소임자의 사찰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

        권상혁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ust of Buddhist monks in Buddhist temples are meaningful as a factor affecting the dedication(commitment) of Buddhist priests,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way to maintain and develop Sangha by forming a community of trust with monks. In order to confirm this, first of all, how are the three variable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at is, the difference in the mastery transformation leadership, trust, and temple organization commitment? Second, what ar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master's transformative leadership, trust, and temple organization commitment?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ubordinate factors on the influence of the mast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dedication of the leader? As a research problem. 232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questionnaires returned by mail to the researchers of the Buddhist temple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for the validity test,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test for difference test, ANOV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3-step regression analysis of Baron & Kenny's (1986)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motional and cognitive trust and the dedication of the temple organization, First, when the first person is male, it is positive fo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main subject, and for the woman, the emotional reliability for the main subject is high. In addition, regardless of gender, they were positively evaluated f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more emotional and cognitive confidence when they were in their 20s or over 60s. Also, the longer the period of inhabiting the temples, the higher the emotional, reten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of the templ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ust, and the leader' s dedication to the organization, all the sub - factors of the three variables had a static correlation. Third,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preacher' s dedication to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gnitive and emotional trust act as mediators in affecting emotional commitment, which is one of the sub - factors of temple organization commit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monk education can increase the trust among monk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that can lead to various leadership can be suggested. 본 연구는 불교 사찰에서 주지가 가지는 변혁적 리더십과 신뢰가소임자 스님들의 사찰헌신(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주지는 단위 사찰의 리더로서 소임자 및 대중 스님들과 신뢰의 공동체를 형성하여 승가(僧伽)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세 가지 변인 즉, 주지의 변혁적 리더십, 신뢰, 사찰 조직헌신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주지의 변혁적 리더십, 신뢰, 사찰 조직헌신의 하위 변인들 간에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주지의 변혁적 리더십이 소임자의 사찰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신뢰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를 연구 문제로 선정하였다. 전국 사찰의 소임자 승려를 연구대상으로 우편으로 발송하여 회신 받은 설문지와 면대면으로 회수한 설문지 232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타당도 검사를 위한 요인분석, 신뢰도 측정을 위한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계수, 차이검정을 위한 T-test, ANOVA 분석, 피어슨(Pearson)의 상관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확인을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주지의 변혁적 리더십, 주지에 대한 감정적·인지적 신뢰와 사찰 조직헌신을 측정한 내용을 토대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임자가 남성인 경우 주지의 변혁적 리더십에 긍정적이고, 여성인 경우 주지에 대한 감정적 신뢰도가 높았다. 또한 남녀에 상관없이 20대이거나 60대 이상인 경우 변혁적 리더십에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감정적, 인지적 신뢰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찰에 거주한 기간이 길수록 사찰에 정서적, 유지적, 규범적 조직헌신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주지의 변혁적 리더십, 신뢰, 소임자의 사찰 조직헌신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세 변인의 모든 하위요인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주지의 변혁적 리더십과 소임자의 사찰 조직헌신의 관계에 있어서 신뢰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지의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이 사찰 조직헌신의 하위요인 중 하나인 정서적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인지적, 감정적 신뢰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승려 교육에 있어서 승려들 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리더십을 체득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

      • 중소기업의 신뢰와 혁신역량이 상생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시장지향성 요인의 매개효과

        김정효 동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study aims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impact of SMEs' trust and innovation competence on win-win cooperation performance. SMEs should be based on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maintaining business relationships with large compan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odel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previous studies such as trust, innovation competence, and win-win cooperation performance. The factors of market orientation represented by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These are the mediating factors, how it act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earch model is set up to confirm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a survey of 154 SMEs of domestic and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Surveys were conducted to more than managerial level. After the company data were collected and then verifi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 between trust and innovation competence of SMEs on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SMEs dealing with large corporations must maintain their relationship with customers. In order to maintain a trust-based transaction relationship, SMEs need that customer's needs are accurately grasping and problems are immediately solving when problems arise. In addition, SMEs have to make continuous attention to acquire competitive advantage not only for existing competitors but also for potential competitors. It means that the customer's transaction will be maintain only if the competitor's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analyzed. Second, the impact of trust and innovation competence of SMEs on win - win cooperation performance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rust between companies, the higher the win-win cooper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keep efforts to maintain mutual trust between the companies. The conflicts and uncertainties that may occur are reduced by the high trust between companies. It ensures that SMEs secure stable supply and delivery to large enterprises and positively affecting the win-win cooper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innovation competence of SMEs is an element that enhances win-win cooperation performanc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cooperate closely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trengthen this. Particularly,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between SMEs and large corporations is an important part because they can solve the technical problems quickly and minimize the risk of sudden changes in the environment. Third,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play a positive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between trust and innovation competence of SMEs on win - win cooperation performance. In other words, companies with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make an effort to acquire the resources,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order to get its, they need various methods and relationships. And they will share these with each other. If the sharing of resources,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companies will get ability to respond to intensely competitive environments. In addition, the synergy effect through such market orienta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in-win cooperation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SMEs and large corporations to obtain positive cooperation results through mutual cooperation, the inter-firm relationship structure should be independent and horizontal rather than dependent and vertical. Second, SMEs need to drastically improve their production system and processes through innovation , also actively seek out new market opportunities. SMEs need to take risks themselves and must build competitive advantage ability rather than rely on large companies. Third, SMEs should not exclude cooperation such as co-marketing with large corporations even if they have innovative products or technologies. The lack of SMEs' competence should be complemented through cooperation with large enterpris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amples are limited to manufacturing industry among domestic SMEs. Also, the number of samples are not enough to generalize the analysis result as a whole domestic industry.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search on other industries as well as manufacturing industry. So they generalize the results and increase the number of samples for more strengthen the survey's reliability. Second, on the trust between companies are not a mutual trust but rather a trust of SMEs to large companies. Also, the measurement of win-win coopera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from the perspective of SMEs. Future studies will require research both SMEs and large companies to ensure their validity. Third, various measurement variables were not used. In order to measure win - win cooperation performance, we analyzed only the variables such as trust, innovation competence and market orientation among many variables.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nalyze other variables such as cooperation attitude, external environment and cooperation infrastructure to make up for the insufficiency. Key words : trust, innovation competence, win-win cooperation performance, customer orientation, competitor orientation, SMEs, large company 본 연구는 대기업과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국내 중소기업 중에서 제조업을 기반으로 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신뢰와 혁신역량이 상생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은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변수요인을 크게 신뢰, 혁신역량, 상생협력성과 등 3가지로 구분하고 고객지향성, 경쟁자지향성으로 대표되는 시장지향성 요인이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에서 어떻게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국내 중소기업 154개 업체를 대상으로 하고 관리자급 이상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업 자료를 수집한 후에 이를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신뢰와 혁신역량이 고객지향성과 경쟁자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과 거래하는 중소기업은 신뢰를 바탕으로 하여 거래관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즉시 해결하여야만 고객과의 거래관계가 유지됨을 의미한다. 아울러 중소기업은 기존의 경쟁자뿐만 아니라 잠재적 경쟁자에 대해서도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경쟁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등 부단한 노력을 하여야만 역시 고객과의 거래관계가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중소기업의 신뢰와 혁신역량이 상생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 간의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상생협력성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기업 간의 상호신뢰를 계속해서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기업 간의 높은 신뢰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대한 안정적인 물량 확보 및 납품 등이 보장됨으로써 발생 가능한 갈등과 불확실성이 감소하여 상생협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은 상생협력성과를 증대시키는 요소이며 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업 상호간의 긴밀한 협력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공동연구 및 개발은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신속하게 해결하고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이다. 셋째, 중소기업의 신뢰와 혁신역량이 상생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객지향성과 경쟁자지향성은 긍정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지향성을 추구하는 기업, 다시 말해서 고객지향성과 경쟁자지향성을 가진 기업은 다양한 방법과 여러 가지 관계를 통해서 기업 자신이 필요로 하는 자원, 지식, 정보 등을 획득하고자 노력하며 이를 상호간에 공유하고자 할 것이다. 이렇게 확보한 자원, 지식, 정보 등을 서로 간에 공유하게 되면 치열한 경쟁 환경에 대응하는 능력이 길러지게 되고 이러한 시장지향성을 통한 시너지효과는 기업의 상생협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게 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상호협력을 통하여 긍정적인 협력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기업 간 관계구조가 종속적이고 수직적이 아닌 독립적이고 수평적이어야 한다. 둘째,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의존하기 보다는 스스로 위험을 감수하고 경쟁우위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혁신을 통하여 생산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과감하게 개선하고 새로운 시장기회를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셋째, 중소기업은 혁신적인 제품이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대기업과의 공동 마케팅과 같은 협력을 배제해서는 안되며, 중소기업에게 부족한 역량은 대기업과의 협력을 통해서 보완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이 국내 중소기업 중에서도 제조업으로 한정되어 있고 표본의 수도 많지 않아서 그 분석결과를 국내 산업 전반의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다른 업종에 대해서도 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를 일반화하고 표본의 수도 늘려서 신뢰성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 간 신뢰에 있어서 신뢰는 상호 신뢰라기보다는 대기업에 대하여 중소기업이 가지는 신뢰의 성격이 강하다. 또한 상생협력성과의 측정에서도 상호간이 아닌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측정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타당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중소기업과 대기업 양자 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측정변수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상생협력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많은 변수들 가운데 신뢰, 혁신역량, 시장지향성 등의 변수 요인들만 한정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협력태도, 외부환경, 협력인프라 등의 다른 변수 요인들도 함께 실증 분석하여 미흡한 점을 보완해야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신뢰, 혁신역량, 상생협력성과, 고객지향성, 경쟁자지향성, 중소기업, 대기업

      • 크로스 도메인 메타데이터 모델 기반의 자원공유 서비스를 위한 신뢰 관리 시스템 개발

        최환석 한밭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사람들은 일상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역할은 주변 환경 및 구성원간의 관계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다양한 역할 및 기대를 충족하기 위한 여러 분야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한 명의 사용자는 다수의 장치를 사용하며 연결된 상호작용 및 경험을 원한다. 현재 다수의 장치에서 연속적인 콘텐츠 소비 및 일관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구글, 애플, 콘텐츠 사업자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 기술과 융합되면서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상황 및 환경을 인지하고 제어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술은 일부 서비스를 제외하고는 각자 자신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으며 부분적인 개방만 이루어진 상태이다. 또한 서비스 주체별로 정보의 의미적, 구조적, 절차적 이질성을 가지고 있어 연관 정보의 연결된 상호작용 및 처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사용자는 다양한 서비스 및 장치를 활용하는 대상이며 이 모든 자원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연결되어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크로스 도메인 지식 모델이 필요하다. 이는 지속적으로 변하는 서비스의 특성상 각자의 데이터 형식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수정이 용이해야 한다. 또한 각자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데이터간의 의미적 이질성을 해결하고 지식 모델에 포함된 대상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크로스 도메인 지식 모델은 다양한 영역의 데이터 연관성을 기반으로 자원 활용을 용이하게 할 것이나 신뢰 문제에 따른 비용이 증가할 것이다. 자신의 플랫폼 안에서 관리, 처리, 제공되는 데이터는 각자 수준에 맞는 보안 및 신뢰관리를 제공할 수 있지만 타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관리, 판단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최종 서비스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최근에 급격하게 성장한 Airbnb나 Uber와 같은 자원공유 서비스의 경우 거래자 간 분쟁 및 신뢰 검증 미비로 인한 다양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이를 위해 각국에서는 정보통신 기기 및 시스템에 대한 신뢰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국제표준화 단체인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는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인프라를 위한 신뢰 기술 보고서를 발간하고 새로운 표준개발을 추진 중이다. 본 논문은 크로스 도메인 서비스 환경의 다양한 구성원, 데이터 및 자원의 신뢰를 관리하는 신뢰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이질성 제거 및 연관성 표현을 위한 공통 모델을 정의하며 이를 기반으로 신뢰 정보를 수집, 처리, 배포한다. 또한 자원공유 서비스를 위한 신뢰 계산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신뢰 정보 수집, 처리, 배포와 관련된 기능을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하며 신뢰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서비스의 지식 정보 관리자가 손쉽게 자신의 서비스에 신뢰 관리를 적용 할 수 있도록 한다.

      • 케이블교량의 구조적 비선형성을 고려한 케이블부재의 신뢰도평가

        이진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내외 교량설계 개념이 경험적 설계에 기반하는 허용응력설계법(ASD)으로부터 확률기반의 신뢰도분석에 근거하는 하중-저항계수설계법(LRFD)로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최근 물류이동량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케이블교량을 위한 설계지침에 하중-저항계수설계법의 도입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신뢰도분석에 근거하는 설계를 위해서는 현재 설계수준에 대해 신뢰도를 평가해보고, 이 경험을 토대로 목표신뢰도수준을 설정하여 이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하중 및 저항계수를 결정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 국내 케이블교량에 대한 신뢰도수준 평가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며, 특히 일반 단중지간교량에는 없는 케이블교량 케이블부재의 경우에는 이러한 경험적 한계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구조적으로 비선형성을 갖는 초장대 케이블교량의 케이블부재에 대하여 하중-저항계수설계법의 적용을 위해, 현재 구조계를 선형시스템을 가정하여 일반교량에서와 동일한 신뢰도평가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계의 비선형성을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신뢰도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초장대 케이블교량 설계를 위한 목표신뢰도수준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로서 이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케이블교량의 구조적인 비선형성을 고려한 신뢰도평가를 국내 실교량에 대해 적용하여 신뢰도수준을 파악하고, 선형시스템으로서의 가정을 통한 신뢰도수준을 비교하여 그 차이와 원인을 밝혀본다. 또한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케이블부재에 대하여 현재 설계수준에 부합하는 목표신뢰도지수를 파악해보고, 이 수준을 만족할 수 있는 하중 및 저항계수를 도출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