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타민 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생성 억제 효과

        장혜영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타민 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잎의 약리 활성 효과 중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한 미백 효과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 및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연구하였다. 항산화 작용이 우수한 Ascorbic acid에 비해 비타민나무 잎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65%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멜라닌 생성에 중요한 효소인 Tyrosinase 활성 억제를 통한 미백효과를 평가한 결과 20, 50 μg/mL 에서는 비교군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100, 500 μg/mL의 농도에서는 각각 50.2, 68.4%의 억제율을 보였다.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에 있어서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농도 5, 10, 20, 50 μg/mL 에서 각각 34, 36, 42, 47%로 미백효과가 우수한 Arbutin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Tyrosinase 억제 효과가 있는 결과 또한 멜라닌 색소 형성을 억제시키고 각각의 단계 반응 기전에 의한 미백작용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거라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의 성분이 함유된 비타민나무 잎의 분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항산화 제품 소재의 활용 가능성이 다양하고 용이하게 되고, 천연 원료를 사용한 기능성 미백 화장품을 제조하여 신제품 개발에 기초자료가 가능할 것으로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In this study,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of Hippophae rhamnoides L. leaf wer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leaves were determined by in vitro assays using the DPPH method and inhibitory effects against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melanoma cells. As for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H. rhamnoides L. leaf were significantly high inhibition activity similar to the ascorbic acid in the DPPH assay.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H. hamnoides L. leaf were similar to the effect of ascorbic acid at the concentration of 20, 50μg/mL.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the H. rhamnoides L. leaf extract inhibited melanin synthesis by 34, 36, 42% each concentration of 5, 10, 20 μg/mL, similar to the effect of arbut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 rhamnoides L. leaf have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 생존자료를 포함한 마이크로어레이의 통계적 분석

        장혜영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이크로어레이는 암 연구에서 점점 더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분야이다. 마이크로어레이 자료 분석을 통한 유전자형과 임상학적인 자료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는 현재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으로부터 얻은 암 환자의 생존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존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cDNA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얻은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CL)의 유전자 발현 자료를 이용하여 생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유전자를 찾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DLCL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GC B-Like group과 Activated B-like group인 2개의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는 것을밝혀냈다. 본 연구에서는 생존시간을 포함하는 유전자 자료를 이용하여 DLCL의 하위그룹간에 생존시간 차이의 여부와 하위그룹들의 모수적인 분포를 따르는지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Microarray data are increasingly used in the area cancer research. Active research began recently in the field of microarray data analys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henotype and clinical data. Specially, when gene expression data from microarray experiment also contains survival information of cancer patients, it is often of interest to predict the survival times based on the gene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finds out the significant gene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CL) in gene expression patterns derived from cDNA microarray. Previous report showed the DLCL couled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subgroups, based on a distinctive expression profile. DLCL was be classified into a basal GC B-Like and an Activated B-like based on pattern in gene expression. We showed there is survival time difference in two subgroup and survival times have Weibull distribution.

      • 인공와우 이식 청각장애 학생의 읽기 유창성 특성

        장혜영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령기 초기의 읽기는 학습을 위한 기초 능력이자,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발달 과제이다. 대다수의 학생들은 초등학교 저학년때 학교교육을 통해 자동적으로 읽기를 습득하지만 선천적 고심도 청각장애 학생들은 청력의 문제로 인해 청각정보의 입력과 피드백이 제한되어 말소리에 대한 청지각 곤란, 언어 발달 및 구어 산출의 결함 등 다양한 언어 문제 때문에 읽기에 어려움을 갖는다. 인공와우 이식이 보편화되면서 언어 습득 이전 청각장애 학생들의 듣기 능력의 개선으로 구어 습득이 가능해졌고 말소리 지각력과 구어 의사소통 능력에 큰 진전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조기에 인공와우 수술을 받고, 청각-구어중심의 중재를 받은 인공와우 이식 학생의 말 지각력과 말․언어력은 일반 학생들과 가까운 수준으로 보고되기도 하지만(Geer, 2003) 여전히 읽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3학년 인공와우 이식 청각장애 학생들을 연령과 어휘력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과 비교하여 읽기 유창성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문제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와우 이식 학생과 일반 학생을 읽기 유창성 구성 요소별로 비교한 결과, 읽기 속도와 읽기 표현, 읽기 이해에서는 인공와우 이식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읽기 정확도에서는 인공와우 이식 학생과 일반학생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인공와우 이식 학생은 일반 학생보다 두 배에 가까운 오류를 보였으며 두 집단은 오류 유형 중에서 삽입과 주저하기, 띄어 읽기 및 구두점 무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인공와우 이식 학생들이 주로 범하는 읽기 오류를 유형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띄어 읽기 및 구두점 무시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무의미변환, 생략, 자기수정, 의미대치, 반복, 주저하기, 삽입, 줄 건너뜀 순으로 나타났으며 반전은 나타나지 않았다. 인공와우 이식 학생의 낮은 읽기 속도와 읽기 정확도는 인공와우 이식 학생이 또래들보다 읽기의 자동성을 확립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해 읽은 내용의 이해에도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낮은 읽기 표현력은 읽기 속도와 읽기 표현의 연관성을 예측해 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읽기 이해에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오류분석에 나타난 결과는 인공와우 이식 청각장애 학생들이 일반 학생에 비해 읽기 능력이 빈약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공와우 이식 학생들은 문장을 의미 있는 구나 절로 적절히 묶거나 끊어 읽지 못하고, 문자 읽기에 급급해 무의미단어로의 대치가 높아져 읽은 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였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인공와우 이식 청각장애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나 언어치료사들이 이들의 읽기능력을 중재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관측자료 분석과 지역기후 모델링을 통한 최근 서태평양 지역 해양-대기 상호작용 변화 연구

        장혜영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태평양 지역의 해양-대기 상호작용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남중국해와 warm pool 지역에서의 해양과 대기변수들을 분석하였다. 남중국해는 1979년부터 2011년까지 여름철 기간을 분석하였다. 남중국해의 여름철 표층수온과 강수량과의 관계가 1990년대 후반에 음의 상관관계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변화하였음을 알았다. 또한 표층수온과 다른 대기변수들과의 동시상관성을 199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전반기에는 남중국해의 해양-대기 상호작용의 관계가 대기에 의해 주도됨을 알 수 있었지만, 후반기에는 표층수온과 해양에서 대기로의 잠열속의 영향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 지연 상관성을 통한 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전반기에는 대기의 지속적인 영향이 해양의 상태를 바꾸는 상관성을 보였지만, 후반기에는 해양의 표층수온의 증가가 2달 후의 강수량의 증가를 가져오는 관계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남중국해의 해양-대기 상호작용의 변화는 한반도 지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지역과의 관계에서도 발생하였다. 남중국해의 표층수온과 동아시아지역의 강수량과의 동시상관성은 전반기에 비하여 후반기에 증가하였다. 이는 남중국해의 표층수온의 증가가 남북방향의 대기순환을 통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강수량 변동성을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남중국해에서 발생한 여름철의 해양-대기 상호작용의 변화는 표층수온의 관측자료가 경계조건으로 처방된 Global/Regional Integrated Model system (GRIMs) regional model program (RMP)을 이용하여 강수모의성능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결과 대기의 강제력이 강한 전반기에 비하여 표층수온의 강제력이 강한 후반기의 모델의 강수모의성능이 크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관측에서 나타난 해양-대기 상호작용의 변화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표층수온이 경계조건으로 처방된 대기 순환모델에서 해양-대기 상호작용의 역할이 모델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태평양 warm pool 지역에서의 해양-대기 상호작용의 변화는 1984년부터 2006년 겨울철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로 표층수온, 표층풍속, 절대습도와 잠열속의 양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990년대 중반이후로 표층수온과 잠열속과의 상관성이 변화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전에는 양의 상관성에서 이후에는 표층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해양에서 대기로의 잠열속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성을 갖는다. 따라서 1990년대 중반 이후의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표층수온의 증가에 따른 잠열속의 증가는 해양에서 대기로의 증발량의 증가를 의미하며, 해양 표층에서 발생하는 증발량의 증가는 대기 중의 수증기량을 의미하는 절대습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수증기량은 대기에서 해양으로 들어가는 장파복사의 양을 증가시키며, 증가된 장파복사의 양은 표층수온을 증가시키는 관계를 가져, 표층수온의 증가, 잠열속의 증가, 수증기량증가, 장파복사량의 증가 그리고 다시 표층수온의 증가를 가져오는 양의 피드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핸즈온 활동(Hands-on activity)을 중심으로 한 방과후 과학수업이 창의적 사고활동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혜영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워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핸즈온 활동(Hands-on activity)을 중심으로 한 방과후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활동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H초등학교 3~4학년 4개 반이며 실험집단 36명, 비교집단 34명으로 모두 70명이다. 핸즈온 활동(Hands-on activity)을 중심으로 한 방과후 과학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사전 및 사후검사 후 이원공변량 분석 (2-way ANCOVA)을 실시하여 창의적 사고활동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각 종속변인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핸즈온 활동(Hands-on activity)을 중심으로 한 방과후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활동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며, 창의적 사고활동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핸즈온 활동(Hands-on activity)을 중심으로 한 방과후 과학수업이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의 하위영역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집단 간 성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핸즈온 활동(Hands-on activity)을 중심으로 한 방과후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며 과학적 태도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핸즈온 활동(Hands-on activity)을 중심으로 한 방과후 과학수업이 정직성, 호기심, 비판성, 개방성, 자진성과 같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집단 간 성별의 차이는 비판성을 제외하고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핸즈온 활동(Hands-on activity)을 중심으로 한 방과후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활동 및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과학적 활동을 즐기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실행 사례로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간호사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감정노동, 동료지지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장혜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emotional labor, and coworker support on premenstrual syndrome(PMS) in nurses.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22 nurses working in a college hospital located in Gangwon-do, South Korea. All the nurses were premenopausal women of childbearing age, and they were under the age of 49. The participants answ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between March 22nd and March31st, 2019. This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nurses was 28.9 years old. Of these nurses, 49.2% were working in a general ward, 24.6% were in intensive care unit(ICU), 14.8% were in emergency room(ER), and 11.5% were in outpatient department(OPD).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80.3%) were single. 2) For participants’ menstrual characteristics, the mean age of the first menarche was 12.95 years old. 66.4% of the participants had a regular menstrual cycle, and 36.2% had a family history of PMS. Also, 63.9% had a menorrhagia. 3) The mean PMS score of the participants was 17.01 out of 57. For the relevant factors, the mean score of the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was 61.12 out of 96. The emotional labor and coworker support averaged 77.36 out of 100 and 31.71 out of 45, respectively. 4) Overall,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MS score and relevant factors were significantly significant. The PMS was correlated to the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r=.44, p=<.001), emotional labor (r=.45, p=<.001), and to the support from coworkers (r=.27, p=.003). 5) In order to identify relevant factors of PMS, the present research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nal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38.3%,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1.749, p=<.001). Variables affecting PM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the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β=.321, p<.001), emotional labor (β=.227, p=.001), working in ICU or ER (β=.225, p=.003), family history of PMS (β=.196, p=.009), and support from coworkers (β=.-151, p=.043).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and emotional labor and support from coworkers had the greatest impact on nurses’ PMS. Based on these finding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develop and evaluate measures to minimize the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and emotional labor in order to alleviate the PMS of nurses. 본 연구는 간호사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감정노동, 동료지지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강원도 소재 일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폐경이 안된 49세 이하 가임기 성인 여성 12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22일부터 3월 31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법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대상자는 평균 연령 28.9세로 미혼이 80.3%를 차지하였다. 근무 부서는 일반 병동 49.2%, 중환자실 24.6%, 응급실 14.8%, 외래 근무 11.5%였다. 2)대상자의 월경 관련 특성으로 초경 나이는 평균 12.95세였으며, 월경주기는 규칙적인 경우가 66.4%였다. 또한, 월경전증후군의 가족력은 있는 경우가 35.2%였으며, 월경량은 월경과다군이 63.9%의 분포를 보였다. 3)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 정도는 57점 만점에 평균 17.01점이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정도는 96점 만점에 평균 61.12점, 심리 사회 요인 중 감정노동은 45점 만점에 평균 31.71점, 동료지지는 100점 만점에 평균 77.36점이었다. 4)월경전증후군과 관련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월경전증후군은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r= .44, p=<.001), 감정 노동(r= .45, p=<.001), 동료 지지(r= -.27, p=.003)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5)월경전증후군의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모형의 설명력은 38.3%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1.749, p =<.001).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β=.321, p<.001), 감정 노동( β=.277, p=.001), 근무 부서가 응급실 및 중환자실인 경우( β=.225, p=.003), 월경전증후군 가족력(β=.196, p=.009), 동료지지(β=-.151, p=.043)순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월경전증후군의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감소를 위한 생활 습관 권장과 감정 노동의 강도를 완화하기 위한 동료지지를 강화 할 수 있는 중재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치료식 편의식 개발에 관한 환자 및 영양사의 요구도 조사

        장혜영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eed on the development of convenient therapeutic diets is demanding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and chronic diseas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need of patients and dietitians for convenient therapeutic diets and to suggest direction for the convenient therapeutic diet development. A preliminary test on six diabetic patients and four dietitians in hospital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wording of a questionnaire. A face to face interview was applied for 150 patients and a quantitative questionnaire survey was undertaken for 123 dietitians in general hospitals. Detailed information from 148 patients and 121 dietitians was colle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Need assessment scores of patients and dietitians for convenient therapeutic diets were 3.55 and 3.40 out of 5 respectively, showing slightly higher level above the average. The ranking for the development of convenient therapeutic diets was product for diabetes, hypertension and kidney in order. The potential market for the convenient therapeutic diets is rapidly increasing, thus the indepth and intensive research for this area will be needed.Key Words: therapeutic diet, convenient food, patient, hospital dietitian, demand 노인인구가 늘어나고, 만성 질환 환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치료식 편의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식 편의식 제품의 요구도가 늘어감에 따라 실제 필요로 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병원 영양사대상으로 요구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추후 치료식 편의식 개발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본 연구를 위해 2006년 3월 10일부터 3일간 서울지역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의 당뇨clinic을 방문하는 환자 6명과 병원에 근무하는 영양사 4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했다. 본조사는 환자대상으로 2006년 3월 25일부터 4월 20일까지 약 1달간 실시했다. 서초구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비만clinic, 제약회사에서 실시한 당뇨 식사교육, 그리고 서울지역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의 당뇨clinic, 내과, 외과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대상으로 직접면접법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150부중 148부를 조사에 이용하였다.영양사대상으로는 2006년 4월 5일부터 29일까지 약 25일간 서울, 경기에 위치한 병원 영양과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했으며 우편을 통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회수된 123부중 121부를 조사에 이용하였다.본 연구의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결과를 보면 설문에 응답한 영양사 및 환자 모두 치료식을 편의식 형태로 구입 할 수 있다면 환자들이 이용하길 원할 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평균에서 환자 3.55, 영양사 3.40으로 높은 요구도의 결과를 보였다. 편의식 형태의 치료식 구매를 원하는 경우 종류를 보면 영양사와 환자 모두 당뇨식을 가장 선호했으며 고혈압 질환식, 신장 질환식에 대한 요구도가 또한 높았다. 식사요법이 필요한 만성질환 환자들이 늘어나고 노인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편의식 형태의 치료식 개발은 새로운 시장이 될 수 있으므로 개발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환자와 영양사의 치료식 편의식의 원하는 종류의 차이는 환자군의 질환이 당뇨와 고혈압이 많은 결과로 보인다. 좀더 다양한 질환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라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