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배구부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임선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volleyball instructor’s teaching method on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nd self-esteem and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 to help students with career decision-making and volleyball instructors with teaching method. For this reason, 170 student volleyball players in Seoul, Gyeonggi, Gangwondo and Jeollabukdo were selected using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Besides, 20 questionnaires that were answered not properly or missing some contents, 150 samples were analyzed. Questionnaire contains 109 questions including those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region, grade, years of playing volleyball, position), teaching method (training and instructing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ositive reward behavior, overall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dependent, intuitive, rational) and self-esteem (personal, physical condition, appearance, friend-sociality, behavior, self-value). Se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were performed. Firstly, teaching metho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player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gender and region while no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with grade, years of playing volleyball and position. To be more precise, teaching method by gender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uthoritarian behavior type and social support behavior type. In average, female showed higher result than male. Concerning the teaching method by region, positive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training and instructing behavior and authoritarian behavior type. To be more precise, differences were shownbetween Seoul and Gangwondo, Seoul and Jeollabukdo, Gyeonggido and Gangwondo, Gyeonggido and Jeollabukdo and Gangwondo and Jeollabukdo in training and instructing behavior type. Secondly, career decision-making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players, positive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gender and region while no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grade, years of playing volleyball and position. Regard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by gender, statistically positive result was shown in dependent type. In average, male showed higher results than female. Concerning career decision-making by region, positive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dependent type and rational type. To be more precise,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Jeollabukdo, Gyeonggido and Jeollabukdo and Gangwondo and Jeollabukdo in dependent type. Concerning rational type,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Gyeonggido, Seoul and Gangwondo and Gyeonggido and Jeollabukdo. Thirdly, regarding self-esteem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players, positive relationship was shown only with region while no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gender, grade, years of playing volleyball and position. Concerning the self-esteem by region,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physical condition self-esteem, behavior self-esteem and self-value self-esteem.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Gyeonggido and Gyeonggido and Gangwondo in physical condition self-esteem. In addition,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Gyeonggido, Seoul and Gangwondo and Seoul and Jeollabukdo in behavior self-esteem. Furthermore,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Gyeonggido and Gyeonggido and Gangwondo in self-value self-esteem. Fourthly, regarding the influences of teaching method of volleyball instructor on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dependent type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ositive reward type and social support behavior type. Also, intuitive type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raining and instructing type, authoritarian behavior type and democratic behavior type. Furthermore, rational typ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raining and instructing type, authoritarian behavior type and positive reward type. Fifthly, concerning the influences of teaching method of volleyball instructor on student’s self-esteem, personal self-esteem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mocratic behavior type while physical condition self-esteem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behavior type. In addition, appearance self-esteem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raining and instructing type, authoritarian behavior type and positive behavior type while friend-sociality self-esteem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mocratic behavior type and behavior self-esteem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behavior type. Last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of student players and self-esteem, correlations of each variable were presented from .810 to -.206 and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types of career decision-making. In addition, positive relationship was also presented between self-esteem factors. In overall,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ere presented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nd self-esteem factors but no positive relationships were presented between intuitive type and physical condition self-esteem, intuitive type and appearance self-esteem, dependent type and friend-sociality self-esteem, dependent type and behavior self-esteem and dependent type and self-value self-esteem. Based on above results, it was indicated tha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decision-making of students but not many researches targeted student players. Also, there have been not enough researches on self-esteem and teaching method of instructor. So more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to help student players with career decision-making in case they stop being involved in doing athletic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배구부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학교 배구부 지도자의 지도법과 학생의 진로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강원도, 전라북도 고등학교의 배구부 학생선수 170명을 대상으로 단순임의표본방법을 이용하여 임의로 추출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이행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하고 총 1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성별, 지역, 학년, 운동경력, 포지션)을 측정하는 문항과 지도행동유형(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전제적행동), 진로결정유형(의존적 유형, 직관적 유형, 합리적 유형), 자아존중감(개인적 자아존중감, 신체능력 자아존중감, 외모 자아존중감, 친구·사회성 자아존중감, 행동 자아존중감, 자아가치 자아존중감)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총 10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 검정(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 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첫째, 학생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의 차이는 성별과 지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 운동경력, 포지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지도자의지도행동유형에서는 전제적 행동유형과 사회지지 행동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균을 살펴보면 남자에 비해 여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에 따른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에서는 훈련과 지시 유형과 전제적 행동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훈련과 지시 행동유형에서는 서울과 강원도, 경기도와 강원도, 경기도와 전라북도 간에 차이가 있었다. 전제적 행동유형에서는 서울과 강원도, 서울과 전라북도, 경기도와 강원도, 경기도와 전라북도, 강원도와 전라북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지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 운동경력, 포지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개인적 특성 요인 중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존적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균을 살펴보면 여자에 비해 남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에 따른 진로결정유형에서는 의존적 유형과 합리적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존적 유형에서는 서울과 전라북도, 경기도와 전라북도, 강원도와 전라북도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리적 유형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서울과 강원도, 경기도와 전라북도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 학년, 운동경력, 포지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개인적 특성 요인 중 지역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체능력 자아존중감, 행동 자아존중감, 자아가치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능력 자아존중감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 경기도와 강원도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행동 자아존중감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서울과 강원도, 서울과 전라북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가치 자아존중감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경기도와 강원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배구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의존적 유형에서는 긍정적 보상 유형과 사회지지 행동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관적 유형에서는 훈련과 지시유형, 전제적 행동유형, 사회지지 행동유형, 민주적 행동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합리적 유형에서는 훈련과 지시유형, 전제적 행동유형, 긍정적 보상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배구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학생선수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자아존중감에서는 민주적 행동유형, 신체능력 자아존중감에서는 사회지지 행동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외모 자아존중감에서는 훈련과 지시유형, 전제적 행동유형, 긍정적 보상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친구·사회성 자아존중감에서는 민주적 행동유형, 행동 자아존중감에서는 훈련과 지시유형, 자아가치 자아존중감에서는 사회지지 행동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816부터 -.206까지 상관이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유형과 자아존중감에서는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났지만 직관적과 신체능력 자아존중감, 직관적과 외모 자아존중감, 의존적과 친구·사회성 자아존중감, 의존적과 행동 자아존중감, 의존적과 자아가치 자아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제시하면,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연구들은 많지만 학생선수(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한 진로 연구와 진로결정과 관계가 있는 자아존중감, 그리고 영향을 주는 지도행동유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만큼 앞으로 학생선수(운동선수)가 운동을 그만두게 될 시에 향후 진로를 결정할 때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또 이에 관해 진로프로그램 개발이나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사료된다.

      • 맞벌이 가정과 비맞벌이 가정의 영․유아 보육실태와 정책과제 : 부산지역 YMCA 어린이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임선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가정과 비 맞벌이 가정의 영·유아보육시설 이용 실태, 만족도, 개선점, 요구 등을 조사 분석하여 보육정책의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YMCA 어린이 보육시설 3곳의 학부모 181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영·유아 보육시설 이용실태, 보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취업실태, 보육제도 개선방안 및 정책과제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들이 취업할 때 겪는 어려움으로 응답자의 84%가 자녀양육 문제를 들고 있으므로 가족-노동 갈등 해소와 가정-직장 양립을 위한 보육제도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맞벌이 가정의 자녀양육 애로사항은 ‘빈약한 정부의 육아정책’(43%), ‘과다한 육아비용’(20%) 등으로 나타났으므로 공 보육 체계 강화를 위한 재정기반을 확충하고, 여성취업형태의 다양화에 따라 유연한 보육서비스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보육시설을 선택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교육 프로그램’이 82%를 차지하였으므로 보육시설 관리·평가제도 도입, 유형별 표준 보육과정 정비, 보육교사 양성과정 및 자격제도 정비 등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학부모들이 선호하는 보육시설 운영시간은 ‘근무시간에 맞춰 융통성 있게 조절 가능한 시간제’ 39%, ‘종일 제’ 27%, ‘반일 제’ 24%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자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유형에 맞도록 시간제·연장·휴일 보육서비스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보육정책 개선방향으로 비 맞벌이 가정의 경우 ‘공공보육의 확충’과 ‘보육비 지원확대’의 요구가 많은데 비해, 맞벌이 가정의 경우 ‘직장 내 보육 확충’ 요구가 많았다. 그리고 맞벌이 가정을 위해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영·유아 보육전문시설에 대한 정부보조금 지원 및 혜택’ 35%, ‘야간 및 연장 근무를 하는 부모를 위해 시간이 연장되는 보육기관 증가’ 33%, ‘전문성을 가진 대리양육자 전문 교육기관의 증설’ 16%, ‘육아휴직제도 강화’ 15% 순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여성 고용인구의 증가와 그에 따른 맞벌이 가정의 증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남녀의 역할 재정립, 성차별에 관한 법·제도상의 개선과 의식개혁, 보육의 사회적 책임분담을 위한 사회보육시스템의 확립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improvements on educare policy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realities, satisfaction, improvements, and needs on child orphanage for double-income family and single-income famil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181 parents and children at three Busan YMCA child orphanage about demographic factors, the realities on using child orphanage, the needs and satisfaction for child care service, the realities on employment by survey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extensive child care service is essential to solve conflicts between family and labor and compatibility between family and work because 84% of surveyees answered that it is hard to get a job for their children. Second, establishing infra structure to strengthen public education and expanding flexibility into child care services, due to diversifying job ranges for women, are needed because double income family's problems on raising children were found to be poor governments policy on child care policy(43%) and excessive cost for raising children(20%). Third, introduction of management and evaluation for child care facilities, reengineering processes for categorized standard child care, training teacher and reengineering requirements are needed to enhance the qualities of child care services because foremost condition on selecting child care facilities was education program(82%). Fourth, preferred hours for child care facilities were followings - adjustable flexible hours based on work 39%, all day 27%, and a half day 24%. Therefore, expansion on hour for child care services based on diversified job range for married women should take place. Fifth, as improvements on policy, there are needs for public education and child care fund from single-income family but for double-income family there are needs for child care expansion in workplace. Furthermore, factors to be improved for double-income family are - government support and benefits for infants and children facilities 35%, enlargements in numbers for facilities that runs for overtime worker's 33%, enlargements in numbers for facilities that has expert substitute fosters and leave off for children plans. In conclusion, reestablishment for gender role in new era to handle the rising numbers of working women and double-income family flexibly, establishment of social child care system to share the loads for social responsibilities, and enactment and reform in mindset on sexual discrimination are needs to be established.

      • 텔레비전 드라마에 비친 영국 산업혁명 : 세계사 역사수업자료로서 드라마가 가지는 가능성 탐구

        임선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역사교육에서는 교과서 이외 영상물을 역사자료로 이용한 수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영화, 다큐멘터리, 드라마로 대표되는 영상물 중에서 특히 드라마 장르는 학생들의 역사의식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접근성, 대중성, 흥미성 면에서 장점을 갖지만 항상 제기되는 허구와 역사왜곡의 논란으로 역사교육에서 비판 받아 왔다. 또한 드라마를 역사수업자료로 이용한다고 하여도 모두 국내 드라마에 한정되어 있었고 활용의 문제에 대한 언급이 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드라마를 수업 현장에 활용하는 여부를 논의하기 이전에 드라마가 얼마만큼 역사적 사실이나 역사적 맥락을 다양하게 그려내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드라마가 갖는 역사수업자료로서의 가치를 파악하는 일이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라고 보았다. 또한 국사수업만을 위한 드라마 연구에서 벗어나 세계사 수업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드라마를 선정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는 작업이 역사 교육에서 중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교사의 입장에서 드라마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교과서 외에 다양한 역사적 현상을 다루어 역사수업자료로서 가치가 있는 드라마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지금까지는 생소했던 세계사 수업 시간에 역사수업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드라마를 선정하여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사수업자료로서 드라마가 갖는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영국 BBC에서 제작한 고전연속물 분야에 주목하였다. BBC 드라마는 접근성, 대중성, 흥미성을 만족시키면서도 동시에 고증이 잘 되어 있고 세계사 교육에 적합한 드라마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 역사적 사건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는 산업혁명을 주제로 한 드라마는 「남과 북(North and South)」(2004), 「크랜포드(Cranford)」(2007), 「올리버 트위스트(Oliver Twist)」(2007)가 있다. 이 세 드라마를 분석함으로써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해 산업혁명의 특징이 얼마나 다양하게 그려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세계사 역사수업자료로서 드라마가 가지는 가능성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한다. Although television dramas have many advantages as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history lessons, they are often discredited for the possibility of distortion and misrepresentation. However, if we take selective approach assessing the value of television dramas for history lessons, we can successfully make use of them in history classes. This study looks at BBC’s Classic Drama Series in order to explore the potentiality of television dramas as world history teaching materials. BBC dramas featured in Classic Drama Series are easily accessible, popular amongst people, and interesting to watch. Above all, these dramas are made based on strong historical researches and studies maximizing the effect of telling history. I narrowed down the theme of the dramas to British Industrial Revolution for it has such immens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 variety of dramas revolving around this theme are available. Three dramas I chose are 「North and South」 (2004), 「Cranford」 (2007) and 「Oliver Twist」 (2007).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Industrial Revolution revealed by these dramas, this study tries to explore ways to adopt television dramas to history education.

      • 상징적 이미지로 표현된 인간의 심리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임선미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진행한 본인의 작품 속에서 인간의 모습을 어떻게 표현하였고, 변화 시켜 왔는지를 설명하고 2009년 6월에 있었던 제1회 개인전 ‘사과 같은 내 얼굴’에 전시되었던 작품을 중심으로 심리학적 시선과 내용적인 측면을 분석하고, 작품 속에 이미지가 가진 상징적인 측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인의 ‘사과 같은 내 얼굴’이라는 주제속의 작품들은 사과의 의인화를 통해 사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심리를 담고 있다. 인간은 외부적 환경이나 타인에 의해 내적인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그래서 억압된 감정이 분노로 표출되거나, 자기고립상태로 빠지게 만든다. 이런 인간의 모습을 본인의 작품 속에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일인 사과와 인간의 얼굴에 있는 기관 중 하나인 입의 결합으로 초현실적인 이미지를 만들고자 하였다. 더 이상 사과가 가지고 있던 달콤하고, 맛있는 본래의 이미지는 사라지고, 기괴한 형상의 인간사과만이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의인화 된 사과를 통해 익숙함에서 낯설음으로 변화되는 상황으로 전환시켜 인간의 불안한 심리상태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인간의 어두운 모습을 화면 안에서 데페이즈망(Depaysement)기법과 색의 변환으로 새로운 이미지를 모색하였다. 본인이 경험한 인간의 다중성, 상처, 생경함 등을 바탕으로 작업을 하였다. 이것은 이 사회 에 속한 인간이라면 누구나 그 형태는 다르지만 경험하게 되는 부분이다. 인간의 삶 속에서 그림자처럼 존재하는 어두운 부분을 작업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인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 속의 구성원으로써 개인이나 타인의 모습 속에서 보여 지는 시대적인 풍경이 어떤 모습인지 의문을 갖고, 시작된 작품의 동기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작업을 하고 있는지 심리학적 시선과 작품의 내용을 분석하고, 작품 속에 이미지의 상징성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인간의 모습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연구하고, 다른 작가들은 인간을 작품 속에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 분석하여 본인이 추구하는 방향과 표현 방식을 논하고자 하였다. This document presents the way human images were expressed and how they have changed in my paintings from 2005 to 2009. It was also analyzed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the contents and the symbols in my paintings at the solo exhibition, 'My Face Like An apple' held in June, 2009 The paintings in 'My Face Like An Apple' contained the mental states of humans revealed in modern society or community personified on an apple. Humans can feel uncomfortable and uneasy because of external factors or other people, and they get isolated or angry because of feelings of being heavily burdened, either mentally or physically. These paintings were intended to be surrealistic by putting an apple, easily found everywhere, together with a mouth, the part of the human body. The sweet, delicious image of an apple disappeared and the bizarre image of a human took its place. With personification as an apple, the paintings represented the unstable, unrestful condition of humans by changing a familiar image to an unfamiliar one. The dark side of humans was illuminated on a screen by depaysement and color changes. It was also exposed like a shadow existing in human life. This work was based on multiple personality, wounds and unfamiliarity I experienced from people. Everyone in society has felt these feelings sometimes. I think we all live currently as members of society and I painted with wonders what our society looks like from my and other's viewpoint, and try to show my intention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the contents, and the symbol images in my pictures. Meanwhile, I expressed my direction in my picture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other artists thought for what human looks.

      • 옥살산에서 글리콜산으로의 선택적 전기화학 전환 반응 연구

        임선미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Oxalic acid used to be obtained via the oxidation of carbohydrates using nitric acid and catalysts. This process produces a variety of nitrogen oxides during oxidation and requires a separation process due to various intermediates. It results in increasing the harmfulness and complexity of the process. Recently,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to obtain oxalic acid was suggest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fficient technology for oxalic acid production. In this electrochemical conversion system, zinc oxalate (ZnC2O4) was obtained by the reaction of Zn2+ ions produced by Zn oxidation and oxalate ion from CO2 reduction. ZnC2O4 can be converted again to oxalic acid with strong acid and hea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system that can easily convert ZnC2O4 to oxalic acid without using strong acid and can separate easily. In addition, it is also further converted to glycolic acid which is a high-value-added chemical. ZnC2O4 was effectively separated into Zn(OH)2 powder and oxalate solution through a chemical treatment and vacuum filtration process. And Zn(OH)2 and oxalate were electrochemically converted to zinc and glycolic acid,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conducte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des for selective electrochemical conversion from oxalic acid to glycolic acid.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oxalic acid was performed at TiO2 nanotubes (TNT) electrode in an aqueous medium under potentiostatic control in a two-compartment cell. The competing H2 evolution was almost non-existent at an applied potential of -1.0 V vs. Ag/AgCl. Thus, conversion of oxalic acid was achieved with 46.8 % and faradaic (98 %) yield for 3 hours. The selectivity of glycolic acid (GC) formation over that of glyoxylic acid (GO) is controlled by the length of the TNTs. A high selectivity was obtained with H2O2-TNTs (GC/GO ≈ 10).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NTs, such as length, uniformity, and mechanical strength, were controlled by varying anodization time and the electrolyte composition. In addition, the modification of the TNTs was attempted using surface treatments, metal doping, and so on. With zinc-doped TNT electrode, higher conversion of oxalic acid was achieved with 55 % and Faradaic (95.8 %) yield for 3 hours.

      • 일부지역 직장인들의 아침식사 섭취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임선미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경남(마산, 진해, 창원)에 근무하는 직장인과 서울지역에 근무하는 남녀 직장인을 대상(남 :131명, 여 61명)으로 실시하였으며, 연령은 20~50세 이상이며 근무형태는 사무직과 영업직이 대부분 차지하였다. 조사기간은 2009년 12월 1일부터 12월10까지 실시하여 이를 지역별, 성별로 비교 분석한 것이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건강상태 및 생활습관에 관한 사항, 아침식사 실태로 조사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성별은 서울 지역이 남67.3%, 여 32.7%로 구성되었고, 경남 지역은 남 69.2%, 여 30.8%로 남녀 비율이 두 지역 모두 비슷하였다. 근무형태는 서울은 사무직이 경남은 서비스/판매직이 가장 많았으며, 연령은 서울 이상 50대 이상이 경남은 30~40세 미만이 가장 많았다. 두 지역 모두 기혼자가 많았으며, 동거가족은 핵가족 형태가 가장 많았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가장 많았고 한 달 수입은 서울 100~200만원 33.7%, 500이상 25.7%순로 높았고, 경남 200~300만원 38.6%, 100~200만원 33%로 나타나서 두 지역의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 지역은 은행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여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8~10시간 미만이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출근 소요시간은 서울 지역은 30분~1시간 57.4%로 가장 높았고, 경남 지역은 30분 이하 66.7%로 가장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66.1%가 정상체중 이었으며, 남자의 경우 체중과다, 과체중의 비율이 높게 조사되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건강상태는 54.7%가 보통이었으며 현재 앓고 있는 질병에 대해서는 소화불량이 가장 많았다. 일일 평균 수면시간은 6~8시간이 가장 많았고, 남자의 경우 여자보다 수면시간이 모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44.5%가 주 1~2회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28.8%는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나타났으며 여자보다 남자가 규칙적인 운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1). 두 지역 모두 술은 거의 마시지 않는다고 응답 하였으며, 주 1~3회 29.0%, 월 1~3회 27.9%로 조사되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음주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61.3%가 흡연을 하지 않으며, 21.0%는 하루에 10개피~1갑의 흡연을 하며 비 흡연의 경우 서울 지역이 높게 조사되었으며, 경남 지역의 흡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45.2%가 일주일에 0~1회 외식(회식)을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2~3회가 41.5%로 조사되었다. 회식장소로 삼겹살집 51.6%, 기타 28.0%, 횟집 14.5%, 호프집 5.9% 순으로 조사되었다. 하루 동안 간식의 횟수는 경남 지역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1). 간식횟수가 1회이하 남자 83.1%, 여자 55.2%였으며, 2회 이상은 남자 16.9%, 여자 44.8%로 남자보다 여자의 간식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3. 조사대상자의 88.4%가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인식하고 있는 사람이 아침식사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사람은 결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4. 아침식사를 하는 이유로는 습관적으로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가 41.0% 가장 높았으며, 아침식사 메뉴 선택에 시간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아침식사 시 개선점으로는 손쉽게 조리섭취 36.5%, 소화가 잘 되는 음식 33.2%, 음식의 맛과 영양 14.9% 순으로 지역별, 성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아침식사로 자주 먹는 음식은 한식이 78.2%로 가장 높았고, 48.7%가 아침식사에 만족하였으며, 불만족스럽다는 5.3%였다. 아침식사에 만족스럽지 않은 응답자(N=77)를 대상으로 선호하는 아침식사 형태에 대해 알아본 결과 한식이 가장 높았으며, 아침식사 시 걸리는 시간은 10~15분이었다. 아침식사를 하는 장소는 지역별, 성별에 관계없이 집이 80%이상 이었으나, 집을 제외한 경우 남자는 한식/분식/편의점등의 식당에서, 여자는 회사구내식당에서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이 높게 조사되었다. (p<0.05). 아침식사는 남자는 주로 혼자서 먹는다, 여자는 시간이 맞는 가족과 함께 먹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5. 아침 매식에 관한 사항에서는 아침식사를 전혀 사먹지 않는다가 51.8% 가장 높았으며, 아침식사를 사 먹는다고 응답한 69명을 대상으로 아침식사를 사서 먹게 되는 이유는 아침을 준비할 시간이 없어서였다. 아침식사로 가장 많이 사먹는 음식으로 여자는 토스트/샌드위치/햄버거류를, 남자는 분식류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서울 지역은 아침으로 토스트/샌드위치/햄버거를 가장 많이 사먹는 반면 경남 지역은 한식을 가장 많이 사먹는다고 조사되었다.(p<.001). 아침을 사먹는 횟수는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다.(p<0.01). 서울 지역은 아침을 사먹을 경우의 중요한 선택기준으로 간편식이 85.4%, 맛이 좋은 음식 2.4%였으나, 경남 지역은 간편식 57.1%, 맛이 좋은 음식 32.1%로 맛이 좋은 음식에 대한 응답률이 높았다. 지역과 아침을 사먹는 음식 선택 기준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1). 6. 아침식사를 거르는 이유로는 시간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아침식사를 한다면 먹고 싶은 음식으로는 한식이 많았고, 가장 중점을 두는 끼니는 저녁이었다. 아침 결식으로 인한 공복 시 해결방법으로는 남자는 차를 마신다, 여자는 빵/과자 등을 먹는다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p<0.01). 아침결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으로 건강에 나쁘다가 47.4%가 응답하였고, 잘 모르겠다 29.0%, 아침을 먹지 않아도 점심 저녁을 잘 먹으면 별 상관없다 23.7%로 조사되었다. 서울 지역은 아침결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잘 모르겠다가 53.9%로 가장 높았으나 경남 지역은 건강에 나쁘다가 64.0%로 가장 높았으며, 서울 지역은 상관없음 30.8%, 건강에 나쁨 15.4% 순이었고, 경남 지역은 상관없음 20.0%, 잘 모르겠음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 지역과 아침 결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간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성별과는 차이가 없었다. 7. 아침식사 여부에 따른 성별, 근무형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의 경우 아침식사를 먹는 사람은 40대가 35.1%로 가장 높았으나, 아침식사를 먹지 않는 사람은 30대가 56.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결혼 유무의 경우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은 기혼 80.8%, 미혼 19.2%였으나,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은 기혼 53.9%, 미혼 46.2%로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은 기혼과 미혼의 차이가 적었으나,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은 기혼인 사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8.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이 정상체중이 많았고 하지 않는 사람이 체중과다 비율이 높았다. (p<.05).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이 안 하는 사람보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믿고 있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이 아침식사를 안 하는 사람보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아침 결식자 중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사람의 비율이 더 높게 조사되었다.(p<.01). 직장인들의 대부분은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아침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결식률이 높았으며 회식 등의 이유로 저녁에 중점을 두는 식사습관은 성인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일의 능률을 높이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식습관이 중요하다. 바쁜 아침 시간에 ?i기는 직장인들에게 소화하기에 부담이 없고, 손쉽게 조리가 가능한 영양적인 메뉴의 개발이 필요하며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널리 인식시켜 바람직한 식생활 형성은 물론 건강한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중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은퇴 후 주거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임선미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은퇴 후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차이 및 은퇴 후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수도권 및 지방에 거주하는 30대 이상의 중년층들이며, 총 300명의 표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불성실한 12부를 제외한 총 28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Ver.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성분석(reliabilit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은퇴 후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이 은퇴 후 주거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층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층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은퇴 후 주거선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한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현재의 중년층은 자신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안락한 주거환경에서 여유롭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높게 나타났고, 이에 편승하여 보건 의료시설, 문화, 휴양, 오락시설 등과 수준 높은 서비스가 제공되는 미래노인 주거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주택수요 구조 변화의 또 다른 요인으로 꼽히는 것은 주5일 근무제의 확산 , 소비 수준의 향상, 교육수준의 향상,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산 등 사회.문화. 경제적 환경의 전반적인 변화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중년층은 기존의 노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신을 젊게 생각하고 도전적이며 능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은 더욱 다양하게 전개될 것이며 노후의 다양한 삶의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주택 및 주거환경 계획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중년층의 은퇴 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주거만족과 주거선호를 예측하여 다양한 주택공급, 주거마케팅, 주택정책에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하여. 그들이 선호하는 미래주거를 다양화 시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미래 주거환경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