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작물 생장 예측 모델 설계

        이원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redicting the yield of crops is important for stabilizing the market price of agricultural products. Climate change causes droughts, high temperatures, and cold waves. It is difficult to predict crop yields due to the influence of abnormal temperatures. Market prices for crops are often determined by supply rather than demand. Failing to predict the annual supply of crops will cause market prices to rise or fall, threat to the government's policy to stabilize agricultural prices. To analyz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crop growth, image devices, temperature sensors, and big data technologies are used to quantify measurable variables and crop growth values ​​in a general growing environment. The device of observation that measures the growth of crops is installed in the main production area to collect and analyze data.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sunlight, and precipitation. Research is needed to collect and analyze crop growth information every year to create a representative library that is the standard for yield, and to create a database that can measure crop yields.

      • Effect of Mechanical Vibration-Frequency 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이원 동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간의 치수 줄기세포에 물리적인 자극을 시행시 골분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는 연구이다. 3가지 주파수 (30, 45, 100 Hz) 로 물리적자극을 14일동안 지속시켜 변화를 측정하였다. 물리적인 자극에도 형태학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으며 새롭게 세포재생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줄기세포 표현인자인 CD73, CD90, CD 105 들을 측정한결과 45Hz, 100Hz 에서 감소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골분화의 특정 유전자인 osteonectin, osteocalcin, BMP-2, ALP, Runx-2 등과 ALP, Calcium 등은 control 과 비교했을 때 모두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p-ERK, BSP, osteoprotegrin, osteonectin 은 45Hz 에서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면역조직학적 소견상 type I collagen, osteocalcin, osteonectin, osteopontin 이 45Hz 와 100Hz 에서 증가소견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치수줄기세포 분화에 미세진동 자극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과정에는 적정한 주파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관찰할수 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mechanical vibration-frequency by assessing the osteogenic differentiation properties of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SCs). To measure the effect of mechanical vibration, three frequencies (30, 45 and 100 Hz) were applied to cells continuously for 14 days during culture in an osteogenic medium. The morphology was not indicative of cytotoxicity for various frequencies of mechanical vibration. New cell growth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mechanical vibration and the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analysis revealed decreased CD73, CD 90 and CD 105 expression at 45 Hz and 100 Hz. The mRNA levels of osteogenic-specific markers including osteonectin, osteocalcin, BMP-2, ALP and Runx-2 increased at 45 and 100 Hz and the amounts of ALP and calcium content were elevated in mechanical vibration groups compared to control. Additionally, the protein expression of p-ERK, BSP, osteoproteogrin, and osteonectin were increased at the 45 Hz compared to other groups by western blott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demonstrated the increased expressions of type I collagen, type III collagen, osteocalcin, osteonectin, and osteopontin at 45 and 100 Hz. The results suggest that an appropriate frequency of vibration can serve as a potent positive modulator of differenti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production in HDPSCs.

      • 수부의 사구 종양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원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Glomus tumors were first described by Wood in 1812 as painful subcutaneous tubercles. It is an uncommon benign neoplasm involving the glomus body, an apparatus that involves in thermoregulation of cutaneous microvasculature. Glomus tumor constitutes 1~5% of all hand tumors. It usually occurs at the subungual region and more commonly in aged women. Its classical clinical triad consists of pain, tenderness to palpation and temperature intolerance, especially cold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15 cases of glomus tumor which were analyzed according to its anatomic location, surgical approach and histologic findings. Methods: Fifteen patients with subungual glomus tumors of the hand operated on between January, 2006 and March, 2013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with standard physical examination including ice cube test and Love’s test. Diagnostic imaging consisted of ultrasonography, CT and MRI. All surgical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 tourniquet control under local anesthesia. 11 patients underwent excision using the transungual approach, 3 patients using the volar approach and 1 patient using the lateral subperiosteal approach. Results: Total of 15 cases were reviewed. 11 tumors were located in the nail bed, 3 in the volar pulp and 1 in the radial aspect of the finger tip. After complete excision, patients remained asymptomatic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In the long term follow up, patients exhibited excellent cosmetic results with no reported case of recurrence. Conclusion: Accurate diagnosis should be made by phys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examinations. Pre-operative localization and complete extirpation is essential in preventing recurrence and subsequent nail deformity.

      • 한·중·일 화장품 브랜드에 관한 중국인 여성 소비자의 브랜드 인식 연구

        이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의 화장품 시장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인들이 글로벌한 브랜드나 제품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개방적 환경에 들어섬에 따라, 해외의 명품 화장품 브랜드는 물론, 일본과 대만 등의 국가의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인지 역시 높아졌다. 또한, 중국 소비자들은 외국산 브랜드에 대한 거부감이 전혀 없고 오히려 국산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낮아, 현재 중국 화장품 시장은 외국 브랜드 위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현황에서, 우리가 중국 시장을 배경으로 일어나고 있는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들의 경쟁 구도와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 등을 검토하고,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인 소비자들의 인식을 살펴봐야 할 필요를 절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화장품 시장의 현황 검토를 통해 중국 시장 전반의 경향성과 문제점들을 짚어보면서 구조적이고 환경적인 외재적 분석을 시도함은 물론,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인 소비자들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서 심리적이고 내재적인 차원의 분석 역시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2014년 현재 중국 시장에서 열광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한국산 화장품 브랜드, 그리고 오래 동안 중국 시장을 선점해온 일본산 화장품 브랜드 등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을 하기 위해서 각 국가별 3개의 대표 브랜드를 선정하고, 이 브랜드들 각각에 대한 브랜드 자산 평가를 진행하면서 중국 화장품 시장 전반에 대한 이해를 시도함과 동시에 그 전략적 대안 역시 검토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 본 연구는 우선 중국인 여성 소비자들의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와 경험을 파악하는 사전적 연구를 위해 중국 화장품 시장의 점유율이 높은 중국, 한국, 일본, 미국, 프랑스 등 5개 국가의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원산지 인지를 파악하였다. 특히 중국 시장 점유율이 높은 중국, 한국, 일본산 화장품 브랜드에 대해서는 그 인지는 물론 사용경험과 구매경험 등을 검토하여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이 될 9개 브랜드를 추출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중국인 여성 소비자들의 화장품 소비패턴을 파악함과 아울러 사전적 연구 단계에서 선정된 한, 중, 일 9개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인 여성 소비자들의 브랜드 자산 평가를 진행하였다. 즉, 중국 여성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각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이미지, 지각된 품질, 선호도, 충성도, 커뮤니케이션 통로 등 6가지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 차이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브랜드 인지도 차원에서는 전반적으로 보면 6개 문항 전체에서 한국산>중국산>일본산 브랜드 순으로 그 인지 정도가 강함으로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는 중국인 소비자들에게 한국산 브랜드에 대한 인지가 얼마나 강하게 각인되어 있는지를 다시 한 번 이해시켜 결과라고 할 수 있었다. 브랜드 이미지 차원에서는 ‘이니스프리’ 등 한국산 화장품 브랜드 3개 모두가 17개 이미지 문항 모두에서 중국인 소비자들에게 가장 강한 인식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 국가 산 브랜드에 대한 중국인 여성 소비자의 브랜드 연상은 그 강도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독창성/, /재미성/, /기능성/ 차원에서 강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품질 차원에서도 대부분의 우수성 문항에서 한국산 브랜드의 평가가 가장 높았으며, 화장품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역시 피부보호기능이지만, 각 국가 브랜드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따라 나머지 부분에 대한 평가가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브랜드 선호도 차원에서도 한국산 브랜드인 설화수와 라네즈가 3개의 일본산 브랜드나 3개의 중국산 브랜드보다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산 브랜드가 브랜드경험과 관련된 요소들에 대한 관리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의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시켜 주었다. 한편, 브랜드 충성도 차원에서는 전반적으로 한국산과 일본산 브랜드 6개 모두가 3개의 중국산 브랜드보다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인 여성 소비자들의 한국산 브랜드에 대한 전폭적인 애착도를 짐작하게 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우리는 중국인 여성 소비자들의 한국이나 일본 같은 외국산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브랜드 자산 평가가 높음은 물론, 중국산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비호감과 비신뢰 역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중국 화장품 브랜드들이 이와 같은 현황을 심각하게 인지하고 해결 방안에 대한 검토를 조속히 진행하지 못한다면 중국 화장품 시장은 한국은 물론 외국 화장품 브랜드들의 각축장으로만 남겨질 것이라는 어두운 미래를 예견하게 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중국산 화장품 브랜드뿐만 아니라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들 모두에게 광고와 같은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보다는 매장, 패키지, 퍼블리시티, 이벤트, 기업행동 같은 통합적인 커뮤니케이션 체인 도구를 활용한 지속적이고 체험적인 PR전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해주었다. In today’s society, science and technology and medical developed, the aging problem is becoming serious. People began to how to freeing time for own skin. More and more people are interested in cosmetics. Now, the cosmetic are not only the beauty things, it’s also to show personal orientation, personality, lifestyle and other aspects essential to meet the psychological-desire props.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in 1978 China this big market is aimed at advanced countries. A variety of foreign brands started to enter China. Chinese women consumers’ access to the international brand of cosmetics is not difficult anymore. Soon, cosmetics brand in Japan and other Asian countries by domestic consumers and support. Also, Chinese consumers have no resentment of foreign brands and distrust, dislike own domestic brands. Now, Chinese domestic cosmetics market leading basic by foreign cosmetics brands occupied and rapid expansion. In this context, the background of this thesis is Chinese market. Attempts to Chinese domestic already form domestic and foreign cosmetics brand competition and marketing communication marketing strategy in China and abroad all the cosmetics brand.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relations between cosmetics brands and Chinese women consumers and from this to find Chinese cosmetic brands weakness and find the reason why Chinese women consumers don’t like domestic cosmetics brand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women consumers through two questionnaires to study. In the first questionnaire to perception investigation of female consumers of domestic and foreign cosmetics brands choose in China cosmetics market occupies a relatively high rate of China, South Korea, Japan, American, France this 5 countries cosmetics brand to research the cosmetics brand’s country of origin. Through this survey, Chinese women consumers whether the use of experience and purchasing experience South Korean brand is far higher than the Chinese and Japanese brand. And for American and French brand confusion. Selected by this step questionnaire to choose Chinese, South Korea, Japan study on each of the 3 highest recognition cosmetics brand to the following. The second step is from Chinese consumers’ position and perspective. It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consumers’ appraisals on the nine cosmetics brands’ brand equities. Namely, it’s through the analysis of 6 aspects, Awareness, Image, Perceived Quality, Preference, Loyalty and Communication channel. The results showed, as a whole, South Korean cosmetics brands are far higher than the two other countries and Japan is in the second place. All aspects Chinese domestic brand is the lowest evaluated. This study tries to get the picture of the gaps between the nine brands’ brand identity and their brand images in Chinese women consumers’ mind, and at the same time, helps to put forward new communication strategies. Through this, show Chinese women consumers on the domestic cosmetics low trust and low preference. Domestic brands if can’t find a way to resolve this situation then will be weed out of this arena very soon. In addition,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more than Chinese brand, foreign cosmetics brand also just focus on the traditional advertising marketing and ignoring the other like store services, packaging, communication activities prop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arketing way, the experience of the nature PR strategic plan is more important.

      • 도시지역 침수해석을 위한 과부하 맨홀의 손실계수 적용성 분석

        이원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급격한 도시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에서 빈번하는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내수침수피해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내수침수 해석을 위하여 많은 도시유출모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XP-SWMM의 2차원 침수범위 분석이 실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XP-SWMM은 맨홀을 하나의 절점(node)으로 간주하여 절점의 형상과 크기에 따른 국부손실의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맨홀 내에서의 손실계수를 고려한 해석의 기준이 필요하며, 손실계수의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XP-SWMM을 통하여 침수범위 분석을 할 경우 손실계수의 적용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군자 배수분구을 대상으로 실측 유출량 자료를 통한 매개변수를 보정하였다. 보정된 매개변수를 고정한 후 손실계수만을 변수로 하여 2차원 침수범위 분석을 시행한 결과 군자 배수분구에서의 손실계수의 적용 유무에 따라 침수범위가 17%정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손실계수의 적용 유무에 따른 침수범위의 변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천구 목동 배수분구와 고척 배수분구, 서초구 방배(4) 배수분구, 그리고 강남구 역삼 배수분구를 대상유역으로 원형맨홀에서의 평균 손실계수 0.61을 적용하였다. 이들의 분석 결과 모든 대상유역에서 손실계수를 적용하였을 경우 손실계수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침수범위가 1.6∼66ha가 증가하였으며, 실제 침수범위와의 일치율도 6∼40% 증가하여 침수범위 분석시 손실계수의 적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제 침수범위와의 일치율 60% 이상을 목표로 한 손실계수는 0.5∼0.75정도 이다. 이 값과 손실계수 0.61의 값을 적용하였을 경우를 비교한 결과 차이가 미미하였다. 따라서, 과부하 원형 맨홀의 평균손실계수인 0.61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범위 내의 값이며, 실험을 통하여 실측된 값이므로 침수범위 예측에 합리적인 값이라고 판단된다. In recent years, rapid urbanization has caused frequent regional torrential rains in urban area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internal inundation damages. In this connection, many urban runoff sewer models are being used for an analysis of internal inundation. Among them, XP-SWMM’s 2D flood range analysis is widely being used at the working level. However, XP-SWMM regards manholes as a node, and it does not consider the effects of local los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nod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ise analysis standards that consider the head loss coefficients in manholes and conduct specific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In this study, parameters were calibrated through measured runoff data with Gunja basin as the target to review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in the case of an analysis of the flood range using XP-SWMM, and a two-dimensional flood rang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only the head loss coefficients as variables after fixing the calibrated parameters. The result was approximately 17% difference in the flood rang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in the Gunja basin.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the flood rang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average loss coefficient of 0.61 to circular manholes with Gocheok basin, Mokdong basin in Yangcheon-gu, Bangbae (4) basin in Seocho-gu and Yeoksam basin in Gangnam-gu as target watershe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lood range further increased by 1.6 to 66ha when the head loss coefficients were applied to all target watersheds compared to the case when the head loss coefficients were not applied, and consistency with the actual flood range also increased from 6 to 40%, indicating the need for the applic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upon analyzing the flood range. In addition, the results of estimating the range of head loss coefficients for the flood range analysis with the goal of more than 60% consistency with the actual flood range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coefficients between 0.5 and 0.75 contributed to the estimation of a more actual flood range, but the difference from the results of applying the loss coefficient of 0.61 was insignificant. Therefore, as the average loss coefficient of 0.61 at surcharged circular manholes is a value within the rang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a measured value through an experiment, it is deemed to be appropriate for the loss coefficient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