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성 및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이용석 서울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21C는 물질문명의 고도 성장에 의한 산업 폐기물의 처리문제, 인구 증가와 무분별한 자연의 개발 및 그로 인한 자연훼손 등에 의해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며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개발 및 환경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확고한 환경보존의 실천의지로서의 과학 및 환경에 대한 태도 변화와 과학적 방법을 통한 환경문제해결에 관한 기능으로서 창의성의 향상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가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환경교육은 환경오염과 자연보존에 관한 경험학습, 집단체험학습, 수련활동 및 역할수업, 켐페인활동, 실험수업 등의 적용에 의한 환경학습과 환경 문제를 창의적으로 풀어나가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학생들이 자연 속에서 자연과의 교감 형성을 통해 환경을 보존하려는 태도와 환경문제 해결의 창의적 기능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6학년에서 실험연구를 위해 표집된 83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15차시분의 환경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과 전통적 수업을 적용한 집단간에 다음의 효과를 공변량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과 전통적인 수업은 환경에 대한 태도의 변화, 과학에 관련된 태도, 창의성 변화에 각각 어떤 차이가 있으며, 이들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실행영역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사전 평균 0.2점 차이었던 것이 평균 1.7점 차이로 나타났으며 이는 역할시연, 캠페인 활동, 봉사활동을 통해 실천 의지가 강화된 것으로 보이며, 공변량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대응 및 토론영역 검사에서는 사전검사에서 0.2점 차이이었던 평균점수가 비교집단보다 실험집단이 3.4점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모의투표, 편지 보내기 등에 의한 효과로 분석되며, 공변량 분석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과 환경오염의 이해 영역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평균 3.4점 높았으며 공변량 분석 결과 높은 수준의 수업처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생활오염 물질을 줄이는 방법에 대한 과제, 현장, 실험 학습 등을 통해 실천 의지를 강화한 결과로 보여진다. 넷째,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 수업실시 후에 실험집단이 가치부여영역에서 평균점수가 각각 5.4점, 흥미영역 3.0점, 인식 영역의 검사에서 4.3점 더 높게 나타나 과학에 대한 태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과학적 태도 검사에서도 솔직성·객관성, 개방성·비판성, 협동성·준비성 영역에서의 수업 실시 후 검사결과 실험집단의 점수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공변량 분석 결과 매우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환경수업을 통해서 과학에서 요구하는 과학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여섯째, 창의성 검사에서는 호기심·독창성·인내심·융통성·다양한 흥미들 영역의 사전, 사후 검사에서 두 집단 모두 높게 나타나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공변량 분석 결과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로 환경프로그램 적용은 전통적인 수업방법에 비해서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실행 변화와 환경오염에 대한 대응 및 토론, 과학에 대한 태도, 창의성 등 모든 영역의 변화에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과학과 환경교육뿐 아니라 타 교과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an environmental programs which is developed in the ba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an integrated context(EIC) theory for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 We selected two groups of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rea. To the control group we applied traditional programs and to the experimental group we provided environmental programs. To verify the effect of experiments we composed pre-test, post-test analysis. For creativity test GIFT was used, for scientific attitude test, KEDI's evaluation instruments were used and for environmental attitude test Chung, Eun-Young(1992)'s environmental scale was used. Before experiments We tested the homogeneous quality between two groups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both of the leading teachers. Instruction period was 4 weeks, beginning from September, 4th until September, 30th in year 2000. Two groups of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is instruction period. As a conclusion Environmental program was statistically effective as following. Firstly, Environmental program was efficient to increase creativity which is very important for future generation to solve complex problems from everyday decision making environments. Secondly, Environmental program was efficient to increase science related attitude which is very good news for the science subjects are now becoming the most unpopular subjects between students. Finally, Environmental program was efficient to increase environmental attitude which is the key purpose of this experiments to find out if we can change students attitude toward environment positively as early as possible before they grow beyond the age of critical period without achieving environmental literacy. In short words, it could be estimated that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program helps for students to relate science to their daily livings and make them think creatively, and regard their environment highly important. The most difficult problems for this study was the conflict between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newly developed schoo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be freed from stereotyped curriculum and get more flexible to perform a research & development related with any kind of programs so that experimental programs could be easily melted to each school situations, then there would be a lot more good programs to satisfy student needs and social interests.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및 규모의 선택 변화 연구

        이용석 가천대학교 환경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및 규모의 선택 변화 연구 베이비부머는 1955년부터 1963년까지, 9년의 기간 동안 출생한 세대를 말한다. 향후 10년간 이들의 지속적인 은퇴가 예상되지만, 은퇴준비가 미흡하고 부동산에 대한 자산 비중이 높은 특성으로 부동산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들의 대규모 은퇴는 개인문제가 아닌 범국가적인 문제로 다룰 필요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거주중인 1차 베이비부머―1955년-1963년生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현재 주택특성, 노년기 주거이동계획, 노년기의 가족관, 주거관 등을 파악하여 주택선택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주택의 선택유형과 규모는 베이비부머의 가구 특성에 따라 대안별로 확률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요자의 가구 구성과 소득수준 등의 사회적·경제적 특성, 가치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연하고 다양한 소비자 중심의 주택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향후 주택시장에서는 주택유형을 다양화하고, 주택규모도 지금의 중․대형에서 중․소형 규모로 구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쾌적성의 요소와 접근성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베이비부머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주택을 정비토록 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베이비부머 주택시장예측 로지스틱회귀분석 The change of housing choice by character of the Baby Boomers Yong Seok Lee Advised by prof, Hwan young Park Dept. of Urban Planning Graduate School of Kachon University Baby boomer is the generation born from 1955 to 1963 during a period of nine years. The next 10 years the ongoing retirement of thes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al estate market, Because they lack of preparation and high real estate holdings. Therefore, large-scale retirement of these is the need to deal with a national problem rather than a personal problem. The target of the research is the people who were born during from 1955 to 1963 and living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housing choice by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ousing characteristics, residential mobility plan, family values​​, and residential identifying. As a result, the baby boomer housing choice differed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is result says that the need for consumer-oriented housing policy,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ousing characteristics, residential mobility plans, and family values​​. Therefore, the future of housing types should vary. And should be changed from large to small scale. In addition, the homes of the future must repair the homes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comfort and accessibility for value-conscious baby boomers. Keyword : BabyBoomer Housing Market Logistic regression

      • 원불교의 정신·물질에 관한 Sāmkhya 철학적 연구

        이용석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clarify the ontological essences of the Spirit and Matter of Won-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khya Philosophy. But the assignment that must be solved before achieving this goal is to grasp the basic concepts of the Spirit and Matter of Won-Buddhism. In this context, I will examine the basic concepts which is deeply related with Taoist thought. The 'Spirit' in Won-Buddhism can be divided into two concepts. First concept is that the spirit is originally free from discrimination or attach- ment, the second concept is that the spirit is not free from discrimination . The Taoist Spirit(精神) which is a compound word of both the pure Energy(精) and numinousness(神) of Tao has both sides of indiscrimina- tion or discrimination. Also the Spirit has been characterized by the Energy world. But the Won-Buddhism's concepts of Spirit does not reveal the aspect of Energy. This may have occurred from taking the buddha-dharma as its core. Nevertheless, it is the obvious fact that Cultivating the Spirit of Won-Buddhism has accommodated the Taoist Energy world in large part.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Won-Buddhism Spirit as the mind-centered concepts and also consider the Energy aspects. The concepts of Won-Buddhism's Matter can be comprehended as En- ergy(氣). The Matter in Taoist thought is Energy. The One Energy(一氣) is introduced through pure Matter and this is the power that creates and harmonizes the universe. In addition, it also explains that the Phenomenal World exists due to effects of the Energy changed by the gathering and scarttering. These aspects of Taoism is similar with concepts of Won- Buddhism's Matter. Relating the perspective of the S??khya Philosophy and aforementioned concepts of Won-Buddhism's Spirit and Matter, we can clarify the ontol- ogical essences into several kinds. First, the ontological aspects of Won-Buddhism Spirit have three kinds: transcendence, immanence and manifestations. Similar patterns can be found in puru?a of S??khya. Second, the epistemic feature of th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in Won-Buddhism Spirit is the Pure Spirit of indiscrimination. The manifestations is discrimination with right or wrong thoughts which is appeared when the Pure Spirit is reflected in The Boundary. The Puru?a of S??khya have similar patterns too. Th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is Pure Consciousness. And when the Puru?a is reflected in buddhi, the manifestations appears in jn?na or ajn?na. Third, the Spirit(of Won-Buddhism) and Puru?a of the Original World is inner core or soul. Fourth, as the Void(Calm) and Active nature of the Original World is explained by relations between the Spirit and Matter, so the Puru?a and prak?ti of S??khya, it also has similar aspects. Fifth, as the One Energy is the Pure Matter with the evolving power of the universe, so the prak?ti of S??khya is the Pure Matter with creative power too. Sixth, it can be comprehended that the Phenomenal World in Won- Buddhism is Energy changed by the gathering and scarttering , namely Matter World. As the One Energy is divided into yin and yang, the Phenomenal World is evolved by operating methods of the alternating concealing and revealing, which yang is concealed by predominance of yin, or yin is concealed by predominance of yang. In S??khya, the prak?ti is a equilibrium condition of tri-gu?a. As the Phenomenal World is evolved from prak?ti, tri-gu?a is operated by a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which other two is concealed by being subordinated from domination of one. Therefore, in methods which is evolved to the Phenomenal World both One Energy and prak?ti are similar in their functions Seventh, if the Spirit and Matter is classified into Original World and Phenomenal World, the former becomes the ultimate destination, and the latter becomes the subject of both bondage and emancipation. That is to say, both bondage and emancipation depend upon practicing the Spirit and Matter of Phenomenal World. In S??khya, the Spirit and Matter of Phenomenal World is regarded as Matter. The S??khya claims that both bondage and emancipation depend on practicing principles of Matter. Therefore both Won-Buddhism and S??khya is smilar in the aspects of practice. Generally, it is said that Indian philosophy have sprung from two(or three) original traditions. They are the orthodox systems based on the ?tman doctrine of Upani?ads and the Buddhist schools on the nair?tmya doctrine of Buddha. Althought The Buddhist philosophy has been based on the nair?tmya doctrin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could not be excluded from relations with the ?tman traditio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orthodox systems based on the ?tman doctrine is im- portant to studying essences of the Buddhist philosophy. In order for Won-Buddhism to expend its thoughts more widely, it needs confer with Indian philosophy. Because Won-Buddhism takes the buddha-dharma as its core. Therefore this study has considerable significance because it relates to the S??khya which is the first formation among the orthodox systems and it had a lot of influence on Indian philosophy. This thesis will be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ideas of Won-Buddhism thought. 본 논문의 목적은 상키야 철학의 관점에서 원불교의 ‘정신?물질’에 관한 존재론적 본질을 밝히는 것이다. 그러나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요청되는 과제는 원불교의 ‘정신?물질’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의 파악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원불교의 ‘정신?물질’ 개념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도가 사상을 참조하여 살펴볼 것이다. 원불교의 정신 개념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분별과 주착이 없는 무분별지(無分別智)의 정신이고, 둘은 좋아하고 미워하는 등의 분별이 있는 정신이다. 도가에서 정신은 순수 기(氣)인 도(道)의 정(精)과 이에 바탕 한 도(道)의 신령스러움을 나타내는 신(神)이 합성된 것으로 무분별지와 분별심이라는 두 가지의 정신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기(氣)적인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원불교의 정신 개념은 기적인 측면은 드러나지 않는다. 이는 불법(佛法)에 주체를 세우려는 교법정신에 기인 한 것이라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불교 정신 수양의 체계가 도가의 기적 세계관을 많은 부분에서 수용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므로 원불교 정신 개념을 심(心)중심의 해석을 하되 기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원만한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원불교 물질 개념은 기(氣)적인 측면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가 사상에선 물(物)을 기로 파악하고 있으며 순수 물(物)로 정(精) 혹은 일기(一氣)를 상정하고 있으며, 이는 우주를 생성하는 생성력, 조화력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의 변화작용에 의해 현상세계가 전개됨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원불교의 입장과 상통된다. 원불교 역시 근원적인 순수물질로 일기를 상정하고 있으며, 일기는 우주 만유를 생성하는 생성력, 조화력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일기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세계를 기의 변화작용으로 보고 있다. 원불교 ‘정신?물질’에 관해 전술된 기본적인 개념을 토대로 상키야 철학과 연관하여 존재론적 본질을 밝히면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원불교 정신의 존재론적 양상은 초월(超越), 내재(內在) 그리고 현현(顯現)이라는 3종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상키야 철학의 뿌루샤(puru?a, 순수의식) 역시 유사한 양상을 가지고 있다. 둘째 원불교 정신에서 3가지 존재론적 양상의 의식성은 초월과 내재는 분별과 주착을 초월한 무분별지(無分別智)의 순수정신이며, 순수정신이 경계(境界)를 따라 현현(顯現)될 때 망념(妄念) 혹은 정념(正念)이라는 분별심(分別心)으로 나타난다. 상키야 철학의 뿌루샤 역시 초월과 내재는 무분별지의 순수의식, 혹은 초월의식으로 인정되고, 뿌루샤가 붓디(buddhi, 知性)에 반영될 때 구별지(區別知) 혹은 무지(無知)라는 분별심으로 나타난다. 셋째 본체계 차원의 ‘정신’과 ‘뿌루샤’는 인간 존재의 내적 본질(本質) 혹은 본성(本性)으로 인정된다. 원불교 정신은 인간 존재의 본질로 ‘자성(自性)’, ‘성품(性品)’, ‘공적영지(空寂靈知)의 광명’ 등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상키야 철학의 뿌루샤 역시 인간 존재의 내적 본질로 아뜨만과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넷째 상대적 분별을 초월해 있는 본체계의 정태성(靜態性)과 능동성(能動性)을 원불교는 ‘정신?물질’의 관계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상키야 철학 역시 ‘뿌루샤?쁘라끄리띠’의 이원(二元)적 관계성으로 설명한다. 다섯째 원불교의 물질은 기(氣)적인 측면으로 파악될 수 있고 본체계 차원에서 기의 가장 순수 상태인 일기(一氣)는 순수물질로 규정될 수 있으며 우주 생성의 생성력(生成力), 조화력(造化力)을 가지고 있다. 상키야 철학의 쁘라끄리띠(prak?ti) 역시 근본물질 혹은 순수물질로 규정되고, 일체 현상계 창조의 근본 원인으로 창조력, 즉 전변력(轉變力)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여섯째 원불교에서 현상계는 기(氣)의 변화작용으로 나타나는 물질계로 파악될 수 있다. 즉 순수물질 일기(一氣)에서 음양이기(陰陽二氣)가 분화되어 음이 우세해져 드러날 때 양은 멸(滅)하는 것이 아니라 숨겨져 드러나지 않고 혹은 양이 우세해져 드러날 때 음은 멸(滅)하는 것이 아니라 숨겨져 드러나지 않는 ‘은현(隱現)’ 작용에 따라 현상계를 생성 전개하고 있다. 상키야 철학 역시 현상계는 3구나(gu?a)의 균형 상태에 있는 순수물질 쁘라끄리띠에서 전개되는 것이므로 물질로 파악하고 있으며, 현상계의 전개 방식은 3구나 가운데 어느 하나가 우세하여 드러나고 나머지 둘은 종속되어 드러나지 않는 ‘지배와 종속’의 관계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일기와 쁘라끄리띠 양자의 현상계를 전개하는 작동방식이 기능적으로 유사하다. 일곱째 본체계 차원의 ‘정신?물질’과 현상계 차원의 ‘정신?물질’로 나누어 볼 경우 본체계 차원은 수행의 궁극적 지향처가 되고 현상계 차원의 ‘정신?물질’은 수행에 있어 닦음의 주체가 된다. 즉 현상계 차원의 ‘정신?물질’을 어떻게 닦는가에 따라 속박과 해탈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상키야 철학에선 원불교에서 말하는 현상계 차원의 ‘정신?물질’을 모두 물질로 파악하고 있으며 물질 원리들을 어떻게 닦아나가느냐에 따라 속박과 해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상키야 철학과 마찬가지로 원불교는 현상계 차원의 ‘정신?물질’을 어떻게 닦느냐에 따라 속박과 해탈이 결정되므로 양자는 이러한 수행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인도 철학은 두 가지 주요한 전통들 속에서 발전해 왔다. 하나는 인도 정통학파들로 대표될 수 있는 우빠니샤드(Upani?ad)의 아뜨만(?tman) 교의에 토대를 둔 아론(我論)적 전통이고, 다른 하나는 불교로 대표되는 무아(nair?tmya) 교의에 토대를 둔 무아론(無我論)적 전통이다. 불교 철학이 무아를 주장하고 있지만 그 형성과 발전 배경에 아론적 전통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아론적 전통에 대한 이해는 불교 사상의 본질을 파악함에 중요하다. 이는 당연히 불법에 주체를 둔 원불교 사상의 폭넓은 지평을 넓히기 위해 인도 사상과의 교섭을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도 정통 학파들 가운데 가장 먼저 형성되고 많은 영향을 끼친 상키야 철학과 연관하여 본 연구를 진행한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으며, 이는 원불교 사상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MATLAB/SIMULINK의 TI C2000 DSP 임베디드 타겟을 이용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구동 시스템

        이용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인 전동기 제어 시스템은 먼저 시스템 모델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통해 제어기를 설계한 후, 다시 C나 assembly 언어로 구현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으로 제어기를 잘 설계하였어도 구현하는 과정에서 코딩에러나 잘못된 실행들을 유발할 수 있고 문제점을 찾는데에도 오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벡터 제어 시스템의 속도 및 전류제어와 과변조 기법을 MATLAB/SIMULINK의 Embedded Target for TI C2000 DSP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구현하였고, Mathwork사에서 제공하는 Demo 프로그램에서의 속도 및 전류제어와 과변조 기법과 비교했다. 속도 및 전류제어기와 과변조 기법의 설계는 MATLAB/SIMULIN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으로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한 다음 직접 실시간 프로그램으로 자동 변환하여 제어기의 응답을 테스트함으로서 전동기의 제어 시스템 개발을 간편하고 손쉽게 구현할 수 있었다. 속도 제어기에는 비례-적분 속도 제어기를 사용하였으며, d축 및 q축의 전류 제어기는 비간섭 비례-적분 전류 제어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PWM에는 옵셋 전압을 이용한 공간 벡터 전압 변조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최소거리 과변조 기법으로 과변조 시에도 부하의 동적특성을 유지시켜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구현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벡터 제어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In general motor drive system, a controller is designed through simulation based on the system model. Then it is implemented by C or assembly language. However coding error or incorrect operation can occur in the process of its implementation, though it is designed effectively through simulation. Accordingly it takes lots of time and cost to solve the problem.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speed, current controller and overmodulation method for SMPMSM vector control system using Embedded Target for TI C2000 DSP library of MATLAB/SIMULINK to improve these problems. Also it is compared to the demo program provided by Mathwork company for the speed, current controller and overmodulation method. Firstly Speed, current controller and overmodulation method have been designed and simulated based on GUI(Graphic User Interface) using MATLAB/SIMULINK program. MATLAB/SIMULINK program has been converted to real time program automatically and the designed controller's response is tested. So it was simple and easy to implement controllers of motor drive system. PI controller has been used as speed controller and decoupling PI controller has been used as the current controller of d axis and q axis. And the space vector modulation method using offset voltage has been implemented as PWM. Its stability has been enhanced, maintaining the load dynamics using close magnitude overmodulation method in times of overmodulation. Also the validity of implemented vector control is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 부동산 매매시장과 경매시장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 아파트 실거래가를 중심으로

        이용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동산 매매시장과 경매시장은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언론에서는 종종 부동산 시장의 선행지표로 부동산 경매시장을 언급하고는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부동산 경매시장이 매매시장의 선행지표로서 검증되거나 분석된 연구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고 이에 대한 앞선 연구들은 다소 엇갈린 결론을 도출하였기에 보다 실질적인 자료를 통해 과연 경매시장이 매매시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재검증 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동산 매매시장과 경매시장의 상호관계를 전국, 서울, 부산으로 지역을 나누고, 추가적으로 서울에 대해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로 기간을 나누어 거시경제변수들과 함께 단위근 검정,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공적분 검정, 벡터오차수정모형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지역별, 기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국과 부산 및 서울의 금융위기 이후 기간에 대해서는 경매시장이 매매시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서울 및 서울의 금융위기 이전 기간에 대해서는 매매시장이 경매시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부동산 매매시장의 가격은 거래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부동산 시장이 지역별, 기간별로 다른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It has been known that Real Estate Sales Market and Auction Market are closely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n a variety of aspects. And the media often mention real estate auction market as a leading indicator of real estate market. However, research data of real estate auction market that have been verified or analyzed as the advance indicator of real estate sales market so far are insufficiently effective. Moreover, antecedent researches drew mixed views and divergent opinions concerning the conclusion. This study, therefore, attempted to retestify whether real estate auction market affects real estate sales market through much more substantial materials and data. To achieve this, the interrelation between real estate sales market and auction market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Nationwide, Seoul and Busan. Additionally, Seoul was divided into two; before financial crisis and after financial crisis. Then a variety of analyses were conducted through unit root test, Granger causality, cointegration test,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nalysis along with macroeconomic variables. According to actual proof analysis and empirical testing, it was indica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y region and period. As for nationwide, Busan and the period after financial crisis in Seoul, real estate auction market has a decisive effect on real estate sales market. As for Seoul and the period before financial crisis in Seoul, the study could draw a conclusion that real estate sales market has an impact on real estate auction market. And besides, this study finds out that the price of real estate sales market affects the transaction volume of real estate sales market. It was known in this study that real estate market shows a different movement by region and period. It also implied that a variety of researches concerning these are required.

      • 유아사교육 참여 형태가 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용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만 2-4세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유아 사교육의 참여 형태가 유아의 창의성, 사회성 및 부정적 정서성,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1단계에서는 다항 로지스틱 모형을 활용하여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에 따른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얻은 일반화경향점수의 안정화 역확률 가중치를 적용하여 선택편의를 교정한 후, 유아 사교육의 참여 형태 별 관심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를 산출한다. 연구 문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의 결정요인 1.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에 따라서 차별적인 특징이 존재하는가? 특히, 아무 사교육도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타 형태 사교육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2.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별 처치효과 2.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 별 차별적인 특징을 조정했을 때,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에 따라 창의성, 사회성 및 부정적 정서성,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대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사교육 형태 별 참여 선택과정에 있어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을 기준집단(reference group)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인지 사교육 집단을 선택할 확률을 유의미하게 결정하는 요인은 수도권 거주여부, 정서적 반응성의 가정환경이었다. 수도권에 거주할수록 인지사교육을 받을 확률이 높았고, 부모-자녀 간 정서적 반응이 활발할 가정환경일수록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참여하기보다 인지 사교육에만 참여할 확률이 낮았다.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비인지 사교육 참여집단을 선택할 확률을 유의미하게 결정하는 요인은 모 양육스트레스, 학습 자료가 충분한 가정환경, 학습관여 정도, 부모의 모델링 역할수행정도, 다양성을 존중하는 가정환경으로 나타났다. 학습 자료가 충분한 가정일수록, 다양성을 존중하는 가정환경일수록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을 집단보다 비인지 사교육 집단에 참여할 확률이 높았으며 모 양육스트레스가 높고 학습관여 정도가 높은 가정환경일수록, 부모의 모델링 역할 수행정도가 높은 가정일수록 비인지 사교육에만 참여할 확률이 낮았다.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모든 형태의 사교육에 참여할 확률을 유의미하게 결정하는 요인은 수도권 거주여부, 모 의 주당 양육시간, 정서적 반응성과 관련된 가정환경 요인, 다양성을 존중하는 가정환경, 부정적 행동 수용정도, 보육비 면제/감면여부였다. 수도권에 거주할수록, 다양성을 존중하는 가정환경일수록, 보육비 면제/감면 대상 가정일수록 모든 형태의 사교육을 받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고, 어머니의 주당 양육시간이 많을수록, 정서적 반응성과 부정적 행동 수용정도가 높은 가정환경일수록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을 확률에 비해 모든 형태의 사교육을 받을 확률이 낮았다. 둘째, 유아 사교육 형태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최종 회귀모형으로 제시했다. 안정화 역확률 가중치를 적용하기 전(OLS)과 적용 이후(WLS)의 회귀 계수들에 대한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가중치를 적용하기 이전에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비인지 사교육 집단의 평균 창의성 점수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가중치를 적용하여 선택편의를 제거한 이후에는 효과가 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통제변인들은 이론적 토대로 창의성과 관련이 깊은 변인을 선별했으며 아동월령(만), 어머니 부정적 자기효능감, 표현어휘력 점수가 창의성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셋째, 유아의 사교육 형태가 유아의 사회성과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효과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추가로 사회성, 부정적 정서성과 관련이 깊은 변인과 전년도 사회성, 부정적 정서성과 같은 천장효과(Ceiling Effect)를 통제하기 위해 필요한 변인들까지 모형에 투입한 결과 유아의 평균 사회성 정도에 있어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보다 비인지 사교육 집단과 모든 사교육 참여 집단이 유의미하게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 사교육 형태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절편만 유의미할 뿐, 기준 집단에 비해 다른 형태의 사교육 집단이 갖는 특별한 효과는 찾을 수 없었다. 통제변인 중 어머니의 허용적 양육방식은 사회성이나 부정적 정서성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넷째,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별 유아의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성을 확인해본 결과, 가중치를 적용하기 이전에는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별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유의미한 효과는 없었지만 적용 이후에는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인지 사교육만 받는 집단의 내재화 문제행동 평균점수가 더 높았다.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선택편의를 조정하기 전/후의 모형들을 확인해 봐도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별 외현화 문제 행동 점수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내재화 문제행동과 관련 있는 통제변인은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허용적 양육스타일, 어머니 우울정도로 나타났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동성별, 가구 월 소득, 어머니 허용적 양육스타일과 어머니의 우울정도, 부부갈등이 유의미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